맨위로가기

직산 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산 백씨는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오는 직산의 토성 중 하나로, 시조는 고려 시대 평장사를 지냈다고 전해지는 백양신이다. 백가적은 장수(고려)의 외조부이며 백문보의 9대조로 알려져 있다. 대흥 백씨의 시조 백임지는 백가적의 후손이며, 백수희는 1450년 과거 시험지에 본관을 직산으로 기록했다. 직산 백씨는 선산, 대구, 청도, 공주, 대흥, 임천, 해미, 태인, 수원, 부여 백씨 등으로 분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직산 백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稷山白氏
관향충청남도 천안시 직산읍
시조백양신(白良臣)
년도2000년
인구93명
인물

2. 역사

직산 백씨는 고려시대부터 기록에 나타난다. 백양신이 고려 때 평장사를 지냈다고 하나, 이를 뒷받침할 자료는 없다. 장수(? ~ 1156년)의 묘지명에 따르면, 그의 외할아버지가 상사직장동정을 지낸 직산 백씨 백가적(1045년경 출생)이며,[1] 백문보의 9대조이다.

대흥 백씨 시조 백임지(1130년 ~ 1191년)는 백가적의 후손으로, 묘지명에 대흥 출신이라 하였다.[2] 고려 후기 문신 백문보는 직산군에 봉해졌다.

백천장의 증손 백수희1450년(세종 32) 과거 시험지에 본관을 직산이라고 기록했다.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백양신(白良臣)은 고려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고 하나 전거가 없다. 검교태자태보 비서감을 지낸 장수(張脩, ? ~ 1156년) 묘지명에 그 외조가 상사직장동정(尙事直長同正)을 지낸 직산 백씨 백가적(白可績, 1045년경 출생)이라고 기록되었는데,[1] 백문보의 9대조에 해당한다.

대흥 백씨의 시조 백임지(1130년 ~ 1191년)는 백가적의 후손으로 그 묘지명에 대흥 출신이라 하였다.[2] 고려 후기 문신 백문보(白文寶)가 직산군에 봉해졌다.

백천장(白天藏)의 증손이라는 백수희(白受禧)는 1450년(세종 32) 경오식년시 과지(科紙)에 본관을 직산(稷山)이라 썼다.

2. 2. 고려 후기

백양신은 고려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고 하나 전거가 없다. 검교태자태보 비서감을 지낸 장수(? ~ 1156년) 묘지명에 그 외조가 상사직장동정(尙事直長同正)을 지낸 직산 백씨 백가적(1045년경 출생)이라고 기록되었는데,[1] 백문보의 9대조에 해당한다.

대흥 백씨의 시조 백임지(1130년 ~ 1191년)는 백가적의 후손으로 그 묘지명에 대흥 출신이라 하였다.[2] 고려 후기 문신 백문보가 직산군에 봉해졌다.

2. 3. 분파


  • 선산 백씨: 선산 토성(金·郭·文·林·沈·秦·白) 중 하나이다.[3] 시조는 백인관이다. 다른 계통으로 조선 중기에 임천 백씨 단항(端恒)의 후손인 인적(仁迪)이 선산 백씨로 분적했다.
  • 대구 백씨: 대구 토성(白·夏·裵·徐·李) 중 하나이다.[4] 시조는 백서경이다. 이전에는 해안 백씨라고도 했다.
  • 청도 백씨: 청도 토성(申·金·白·李·曺) 중 하나이다.[5] 시조는 백계영이다. 백계영은 고려 때 청도 호장으로 박경순 일당의 난을 진압하고 영직되어 청도를 관향으로 삼았다. 고려 말에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백원항이 있었고, 조선 조에 백구가 경주로 이거하였다. 증손 백이소가 임진왜란 때 경주에서 창의하였다. 2000년 인구는 213가구 702명, 2015년 인구는 1,479명이다.
  • 신풍 백씨: 신풍 성(白·朴) 중 하나이다.[6] 공주 백씨라고도 한다. 시조는 고려 전기 사람으로 태자사부(太子師傅)를 지냈다는 백가미이다.
  • 대흥 백씨: 대흥 토성(李·韓·白) 중 하나이다.[7] 시조 백임지(1131년 ~ 1191년)[8]는 고려 의종 때인 1170년(의종 24) 정중부의 난으로 무신들이 정권을 잡자 형부상서(刑部尙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에 올랐다.[9] 2000년 인구는 399가구 1,280명, 2015년 인구는 4,041명이다.
  • 임천 백씨: 임천 토성(趙·林·方·白·翟) 중 하나이다.[10] 시조는 백경신이다. 2000년 151가구 473명이다.
  • 해미 백씨: 해미 토성(정해현(貞海縣))(白·韓·仇·尹) 중 하나이다.[11] 시조 백광성은 전라도 장흥 출신이며, 1561년(명종 16년) 진사시에 급제했다. 조선 중기 문신이자 시인 백광홍, 백광훈 형제가 있다. 2000년 인구는 24가구 87명이다.
  • 태인 백씨: 시조는 백녹승이다. 해미 백씨에서 분적했다. 의주와 태천으로 이거하였다. 임진왜란 때 무신 백광언, 병자호란 때 무장 백광종, 백광조가 있다. 2000년 인구는 156가구 485명, 2015년 인구는 1,228명이다.
  • 수원 백씨: 백씨 중시조 창직의 증손 백휘가 '고려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졌고, 9세손 천장은 원(元)나라에서 이부상서를 거쳐 우승상(右丞相)을 지내고 귀국하여 충선왕 때 수성백(水城伯)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수원을 관향(貫鄕)으로 삼게 되었다'고 하나 사적에 없다. 다만 수원 백씨는 개성에서 왔다고 했다. 조선 조 이래 백씨의 대종을 이루고 있다. 백효삼의 증손인 문신 백인걸이 있다. 2015년 인구는 354,428명이다.
  • 부여 백씨: 시조는 고려 전기에 부여군(扶餘君)을 지냈다는 백영신이다. 임진왜란 때 백수회가 계보를 잃고 양산에 정착하여 후손들이 세거함으로써 양산 백씨가 생겼다. 2015년 인구는 2,120명이다.

3. 본관 연혁

직산은 삼한시대 마한의 54개 소국 중 하나인 목지국이 있던 곳으로, 삼국시대에는 백제 위례성 또는 고구려의 사산현(蛇山縣)이었다. 통일신라 때는 백성군 사산현이 되었다.

고려 때 천안부 직산이었고, 조선에서는 직산군(서변, 일서면)이었다. 충청도 공주목의 관할이었고, 1895년 제2차 갑오개혁으로 23부제를 실시하였을 때 공주부에 속하였다. 1914년 천안군, 직산군(현 직산읍, 성환읍, 성거읍, 입장면), 목천군(현 목천읍, 북면, 성남면, 수신면, 병천면, 동면)이 천안군으로 통합되어 천안군 직산면이 되었다. 1963년 천원군에 속했다가 1991년 다시 천안군 직산면이 되었다. 1995년 천안시 직산면에서 2002년 천안시 직산읍으로 승격하였다.

직산군은 고려시대에 교통의 요충지로 홍경원(弘慶院)이 설치되어 있던 곳인데, 홍경원은 현종이 1021년 아버지 안종을 추념하여 세운 280칸짜리 고려 10대 사찰 중 하나였다. 홍경원은 본래 교통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어 막대한 경제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망이·망소이의 난때 명학소민들이 홍경원을 불태우고, 홍경사의 승려들을 죽였다는 기록이 있다.

4. 인물

백사유는 고려 초기의 문신, 백현례는 고려 초기의 명필, 백임지는 고려 중기 무신, 백원항은 고려 후기 문신, 정치인, 시인, 백문보는 고려 후기 문신이다.

4. 1. 고려


  • 백사유(白思柔)는 973년에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991년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 백현례(白玄禮)는 고려 초기의 명필로 벼슬은 국자승(國子丞)을 지냈다. 해서(楷書)의 고려 제1인자로, 1026년(현종 17) 홍경사개창비문(弘慶寺開創碑文)(국보 제7호)을 썼다.

  • 백임지(白任至, 1130년 ~ 1191년)는 고려 중기의 무신으로, 형부상서(刑部尙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를 역임했다.
  • 백원항(白元恒, ? ~ ?)은 고려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시인(한시작가)이다. 안향의 문인으로 1279년(충렬왕 5) 국자감시(國子監試)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1311년(충선왕 3) 선군(選軍)을 설치할 때 지언부사(知讞部事)로서 별감사(別監使)가 되었고, 이후 전교령(典校令)이 되었다. 1314년(충숙왕 1)에 윤신걸(尹莘傑)·윤선좌(尹宣佐) 등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진강(進講)했다. 1317년(충숙왕 4) 총부전서(摠部典書)로 동지공거(同考試官)가 되어 홍의손(洪義孫) 등을 진사(進士)로 뽑았다. 1321년(충숙왕 8) 밀직사(密直使) 첨의평리(僉議評理)가 되었으며, 같은 해 박효수(朴孝修)와 함께 원나라 중서성(中書省)에 대위왕(大尉王)의 환국(還國)을 청원하는 상서(上書)를 올렸다.

  • 백문보(白文寶, 1303년 ~ 1374년)는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정당문학(政堂文學) 직산군(稷山君)에 봉해졌다.

5. 분파


  • '''선산 백씨'''(善山白氏)는 선산 토성(土姓) 중 하나로, 시조는 백인관(白仁寬)이다.[3] 조선 중기에 임천 백씨 단항(端恒)의 후손인 인적(仁迪)이 선산 백씨로 분적하였다.
  • '''대구 백씨'''(大邱白氏)는 대구 토성 중 하나로,[4] 시조는 백서경(白瑞卿)이다. 이전에는 해안 백씨라고도 불렸다.
  • '''청도 백씨'''(淸道白氏)는 청도 토성 중 하나로,[5] 시조는 백계영(白桂英)이다. 백계영은 고려 때 청도 호장으로 박경순 일당의 난을 진압하고 영직되어 청도를 관향으로 삼았다. 고려 말에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백원항(白元恒)이 있었고, 조선 조에 백구(白球)가 경주로 이주하였다. 증손 백이소(白以昭)가 임진왜란 때 경주에서 창의(倡義)하였다. 2000년 인구는 213가구 702명, 2015년 인구는 1,479명이다.
  • '''신풍 백씨'''(新豐白氏)는 신풍 성(姓) 중 하나로,[6] 공주 백씨라고도 한다. 시조는 고려 전기 사람으로 태자사부(太子師傅)를 지냈다는 백가미(白可美)이다.
  • '''대흥 백씨'''(大興白氏)는 대흥 토성 중 하나이다.[7] 시조 백임지(白任至, 1131년 ~ 1191)는[8] 고려 의종 때인 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의 난으로 무신들이 정권을 잡자 형부상서(刑部尙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에 올랐다.[9] 2000년 인구는 399가구 1,280명, 2015년 인구는 4,041명이다.
  • '''임천 백씨'''(林川白氏)는 임천 토성 중 하나로,[10] 시조는 백경신(白景臣)이다. 2000년 인구는 151가구 473명이다.
  • '''해미 백씨'''(海美白氏)는 해미 토성 중 하나로,[11] 시조 백광성(白光成)은 전라도 장흥 출신이며, 1561년(명종 16년) 진사시에 급제했다. 조선 중기 문신이자 시인 백광홍, 백광훈 형제가 있다. 2000년 인구는 24가구 87명이다.
  • '''태인 백씨'''(泰仁 白氏)의 시조는 백녹승(白祿承)이다. 해미 백씨에서 분적하여 의주와 태천으로 이주하였다. 임진왜란 때 무신 백광언, 병자호란 때 무장 백광종, 백광조가 있다. 2000년 인구는 156가구 485명, 2015년 인구는 1,228명이다.
  • '''수원 백씨'''(水原白氏)는 백씨 중시조 창직의 증손 백휘(白揮)가 고려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졌고, 9세손 백천장(天藏)은 원(元)나라에서 이부상서를 거쳐 우승상(右丞相)을 지내고 귀국하여 충선왕 때 수성백(水城伯)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수원(水原)을 관향(貫鄕)으로 삼게 되었다고 하나 사적에 없다. 다만 수원 백씨는 개성에서 왔다고 했다. 조선 조 이래 백씨의 대종을 이루고 있다. 백효삼(白效參)의 증손인 문신 백인걸(白仁傑)이 있다. 2015년 인구는 354,428명이다.
  • '''부여 백씨'''(夫餘白氏)의 시조는 고려 전기에 부여군(扶餘君)을 지냈다는 백영신(白英臣)이다. 임진왜란 때 백수회(白受繪)가 계보를 잃고 양산에 정착하여 후손들이 세거함으로써 양산 백씨가 생겼다. 2015년 인구는 2,120명이다.

6. 조선 왕조 과거 급제자

백수희(白受禧)는 백천장(白天藏)의 증손으로, 1450년(세종 32) 경오식년시 과지(科紙)에 본관을 직산(稷山)이라 썼다.

7. 인구

2000년 인구는 28가구 93명이다.

참조

[1] 묘지명 장수묘지명 1156
[2] 묘지명 백임지묘지명 1191
[3] 실록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상주목 선산 도호부 조
[4] 실록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 대구군 조
[5] 실록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 청도군 조
[6] 실록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조
[7] 실록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홍주목 대흥현 조
[8] 묘지명 백임지묘지명 1191
[9] 웹사이트 『고려사』 권100, 열전13 https://terms.naver.[...]
[10] 실록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임천군 조
[11] 실록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홍주목 해미현 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