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잠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잠군은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서구, 그리고 계룡시에 걸쳐 있던 옛 행정 구역이다. 선사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백제 시대에는 진현현이 설치되었다. 신라 시대에는 진령현으로 개명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진잠현으로 불리며 고려청자 도요지가 운영되었다. 1895년 군으로 승격되어 공주부에 속했으나, 일제강점기에 대전군에 합병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대전광역시 유성구 진잠동으로 이어졌다. 성북동 산성, 진잠 향교 등 유적이 남아 있으며, 이중환의 《택리지》에도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유성구 - 노은동
    노은동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행정동으로 백제 시대부터 유래한 오랜 역사를 지니며, 월드컵 개최 후 인구 증가로 분동되어 현재 3개의 행정동으로 나뉘었고, 도시철도와 도로망이 잘 갖춰져 있으며 연구 시설, 주요 기관, 월드컵경기장, 현충원, 아파트 단지 등이 위치한다.
  • 대전 유성구 - 대전극동방송
    대전극동방송은 1999년 개국하여 대전, 세종, 충남, 충북 지역에 FM 93.3㎒로 방송을 송출하는 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국이며, 2015년 세종방송을 개국하며 영역을 확장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남포군
    남포군은 백제의 사포현에서 유래하여 남포로 개칭된 충청남도의 옛 행정구역으로, 여러 변천을 거쳐 보령군에 편입된 후 현재는 보령시의 일부이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온양시
    온양시는 1986년 아산군 온양읍이 승격되어 설치되었으며, 1995년 아산군과 통합되어 아산시로 개편되었다.
  • 한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옥구군
    옥구군은 백제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명칭으로 불리다가 1914년 군산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과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옥구군으로 유지되었고, 1995년 군산시와 통합되었다.
  • 한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마전군
    마전군은 현재 연천군 지역에 있었던 옛 행정 구역으로, 신라 시대 임단현으로 개칭되었다가 고려 시대에 마전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연천군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진잠군
진잠군
지도
기본 정보
설치조선 시대
폐지1914년
위치
영역현재의 대전광역시 유성구 진잠동, 원내동, 학하동, 온천동, 구즉동, 전민동 일대 및 계룡시 두마면 일부
역사
조선 시대1413년 (태종 13년)에 현으로 승격됨
1895년 (고종 32년)에 군으로 승격됨
일제강점기1914년대전군에 통폐합됨

2. 역사

진잠(鎭岑)의 '잠(岑)'은 구봉산의 바위 봉우리처럼 작지만 높이 솟은 산을 의미한다.[3] 조선 시대에는 회덕현, 유성현공주목에 속했으며, 고종 32년(1895) 지방행정 제도 개편으로 진잠군이 되었다. 현재 진잠초등학교 근처에 진잠현 관아터가 있었다고 추정된다.[4]

2. 1. 선사 시대 ~ 통일 신라 시대

원내동과 세동 일대에서 선사시대 인류의 거주 흔적이 발견되었고, 대정동에서는 청동기 시대 유적이 확인되었다.

마한 시대에는 신흔국(臣釁國)이 이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온조왕, 다루왕 대에 백제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이후에도 백제가 대외적으로 마한을 칭하며 마한의 체제를 존속시켜, 백제의 지배 하에 소국 체제가 유지되었다.

백제 시대에는 진잠동에 '''진현현'''(鎭峴縣)이 설치되었다. 660년 백제 멸망 후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백제부흥군은 계룡산 동쪽에 위치한 진현성(鎭峴城)을 거점으로 저항하였으나, 당나라의 유인원, 유인궤에 의해 진압되었다. 진현성은 동, 서, 북면이 두마천에 둘러싸인 흑석동, 용촌동에 위치한 산성이다.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행정 체제 개편으로 진령현(鎭嶺縣)으로 개명하고 황산군(黃山郡, 현 논산시)의 영현이 되었다.

2. 2. 고려 시대 ~ 일제강점기

고려시대에 '''진잠현'''(鎭岑縣)으로 개명되었다. 이 시기부터 진잠(鎭岑)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1] 계산동(鷄山洞)에는 고려청자 도요지가 운영되었다.

1895년 고종 32년, 23부제 시행으로 행정 구역이 재편되면서 (縣) 제도가 폐지되었고 (郡)으로 승격되어 공주부 관할 '''진잠군'''(鎭岑郡)이 되었다.[2] 이듬해 충청도가 남북도로 분할된 채 부활하여 충청남도에 편입되었다.

일제강점기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대전군에 합병되어 진잠면과 기성면으로 분단되었다. 현재의 진잠동계룡시 신도안면은 진잠면이 되었고, 기성동, 가수원동, 관저동 일대는 기성면이 되었다.

2. 3. 해방 이후 ~ 현재


  • 1983년 진잠면 전역이 대전시 중구 관할 유성 출장소에 편입되었다.
  • 1987년 대통령령 제12007호로 대덕군 진잠면 계산리 일원이 대전시 직할 유성출장소에 편입되었다.
  • 1988년 대통령령 제12367호(1987. 12. 31 공포)로 충청남도 대전시 서구가 신설되면서 유성 출장소의 관할 구가 서구로 변경되었다.
  • 1989년 논산군 두마면에 편입된 신도안리를 제외하고, 충청남도 대전시가 대전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유성구가 신설되자 이에 편입되었다.
  • 1989년 행정동이 진잠동과 원내동으로 분리되었다.
  • 1995년 동 명칭이 진잠 1, 2동으로 변경되었다.
  • 1998년 10월 26일 행정동이 통합되어 지금의 진잠동이 되었다.

3. 영역

대전광역시 유성구 진잠동(대정동, 성북동, 세동, 송정동, 방동, 원내동, 교촌동, 용계동, 학하동, 계산동), 서구 기성동, 가수원동, 관저동,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에 해당되는 지역이다.[1]

4. 유적

대전과 연산을 잇는 길이 지나가는 성북동 산성과 진잠향교가 현재 남아 있다. 그 외에도 성북 산성 등 역사 유적지가 산재되어 있다.

5. 기록

이중환의 《택리지》에는 진잠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동서의 두 산이 남쪽에서 평야를 끼고 돌아 북쪽에 이르러서 합치었고, 또 높게 사방을 산으로 막아 가운데를 둘러쌌고, 평평한 언덕과 산은 길고 구불구불하고, 구봉산보문산이 남쪽에 높이 솟아 그 맑고 깨끗한 기상이 거의 한양의 동교보다 낫다."[5]

참조

[1] 간행물 이츠대전 2011-06
[2] 웹사이트 http://museum.daejeo[...] 2020-03 # 링크 깨짐 날짜를 date 필드로 처리
[3] 간행물 이츠대전 2011-06
[4] 웹사이트 http://museum.daejeo[...] null # 링크 깨짐 정보만 있고 정확한 날짜 없음
[5] 서적 진잠현 지도 김재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