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중환은 1690년에 태어나 1756년 사망한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인문지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이익의 학문을 계승하여 인문학 연구에 전념했으며, 관직 생활을 거쳐 유배를 경험한 후 전국을 답사하며 지리, 사회, 경제를 연구했다. 이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택리지》를 저술하여 인문지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상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사대부의 특권을 비판하는 등 개혁적인 사상을 펼쳤으며, 박지원, 박제가 등 북학파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풍수지리적 한계와 신분적 제약으로 인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풍수지리학자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풍수지리학자 - 홍성훈
홍성훈은 언론계, 정계, 문학계를 비롯하여 사회, 문화예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인물이다. - 조선의 지리학자 - 김정호
김정호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제작자로, 대동여지도를 비롯한 여러 지도와 지리지를 제작하여 조선 시대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95016 김정호가 명명되었다. - 조선의 지리학자 - 정상기
정상기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로, 이익의 제자로서 경세치용학파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정확한 측량법을 이용한 지도 제작과 조선 전역을 답사하여 제작한 팔도도로 조선 시대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 1756년 사망 - 마리아 아말리아 폰 외스터라이히 (1701년)
마리아 아말리아 폰 외스터라이히는 신성 로마 황제 요제프 1세의 딸로 태어나 바이에른의 카를 알브레히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사후에는 자선 활동을 펼치다 사망했다. - 1756년 사망 - 박문수
조선 후기 문신 박문수는 소론 가문 출신으로 문과 급제 후 이인좌의 난 평정에 공을 세워 경상도관찰사가 되었고, 암행어사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별견어사로 민생을 살피는 데 힘썼다.
| 이중환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이중환 |
| 한자 표기 | 李重煥 |
| 자 | 汝明 (여명) |
| 호 | 靑霞子 (청하자) |
| 본관 | 慶州 李氏 (경주 이씨) |
| 생애 | |
| 출생 | 1690년 |
| 사망 | 1756년 |
| 국적 | 조선 |
| 저서 | |
| 주요 저서 | 택리지 |
2. 생애
2. 1. 생애 초반
이중환은 1690년 12월 25일 충청도 공주에서 태어났으며, 정확한 출생지는 전해지지 않으나 백마강 북쪽으로 추정된다. 숭진(崇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泳)이고, 아버지는 충청도관찰사와 참판을 지낸 이진휴(李震休)이며, 어머니는 오상주(吳相胄)의 딸이다. 재종조부인 이익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그는 이익의 학풍을 이어받아 인문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안정복, 신후담의 공서파와 권철신, 권일신 등의 신서파와는 달리 천주교 수용 여부보다는 사회, 인문, 지리학에 관심을 가졌다. 이후 자연 환경과 인간의 생활 방식 간의 관계를 오랫동안 연구하였다. 1704년 강릉부사로 부임한 아버지 이진휴를 따라 강릉에 갔다가 1708년 고향으로 돌아왔다. 음서로 관직에 올라 통덕랑(通德郞)이 되었으며, 1710년 부친상을 당한 뒤 과거 시험에 전념하였다.
2. 2. 과거 급제와 관료 생활
1713년(숙종 39년) 통덕랑으로 재직 중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승정원가주서(假注書)가 되고 그 해 승문원 부정자, 승문원 정자를 역임하였다. 그의 과거 급제 동기 중 윤순, 조문명 등은 소론계 인사였다. 그는 친우인 오광운, 이인복과 함께 남인의 강경파인 청남의 당원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부사정(副司正) 등을 거쳐 1716년에는 목호룡과 같이 숙빈 최씨의 묘지를 구하기 위해서 황해도와 충청도, 경상도 등을 답사하고 돌아왔다. 1717년(숙종 43년) 김천의 도찰방(道察訪)을 지냈으며, 신임사화 후 병조좌랑을 지냈다.1719년에는 승정원 주서를 거쳐 그 1720년(경종 즉위년) 춘추관사관, 성균관 전적 등을 역임하고, 1722년(경종 2) 병조정랑, 성균관전적을 거쳐 1723년(경종 3년) 병조정랑, 부사과에 임명되었다. 1722년(경종 2년) 노론 대신들이 세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경종을 제거하고 왕위를 찬탈하려고 모의했다는 목호룡의 고변이 있었다. 이때 그는 장인인 목일임(睦林一, 경남 사천)의 친족인 목호룡에게 말을 빌려주었다가 후에 옥사에 연루된다. 1723년(경종 3년) 6월 소론계 오명항은 그가 노론 계열이 주도한 신임옥사에 관련되었다며 노론계 인사들과 엮어서 탄핵당하기도 하였다.
2. 3. 형문과 유배
1723년(경종 3년) 병조정랑 겸 춘추관기주관이 되었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고 목호룡이 1722년(경종 2년)의 신임사화에 관련되었다 하여 영조 즉위 후 1726년 목호룡 일파가 사형되자, 그는 목호룡에게 말을 빌려주었다는 이유로 심문받았다. 이후 백망(白望)의 사건에 연좌되어 그의 일당과 함께 이듬해 절도로 유배형을 받았다.의금부에 투옥된 이후 1725년(영조 1) 2월부터 4월까지 네 차례나 형을 받았다. 이중환은 이 사건에서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였지만 뚜렷한 증거가 없었기 때문에 1726년 12월 섬에 유배되었다가, 1727년 10월에 석방되었다. 그러나 그 해 12월에 사헌부의 탄핵으로 다시 유배령이 내려졌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에도 정치참여의 자격이 박탈돼 전국을 유랑하며 지내야 했다. 이후 관직을 단념하고 고향 공주로 물러났다. 그는 몰락한 사대부가 되어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전국을 떠돌아 다니는 불우한 신세가 되었다.
2. 4. 전국 답사와 학문 활동
사헌부의 거듭된 탄핵으로 다시 유배령이 내려졌으나 철회되었다. 그 후 30년간을 전국을 돌아다니며 지리·사회·경제 등을 연구하였다. 성호 이익의 제자로서 그 학풍을 계승하여 인문 지리학의 선구자로 활약하였다. 1751년부터 택리지를 저술하였다.유배에서 풀려나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일정한 거처도 없이 이곳 저곳을 떠돌아다니면서 세상의 온갖 풍상을 다 겪으면서 살았다 한다. 그는 조선 전역 강토를 두루 답사했으며, 이 과정에서 당시 전국의 인심과 풍속 및 물화의 생산지, 집산지 등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간략하게 기록으로 남겼다가 후에 택리지 등을 저술하는데 참고하였다.
그는 자신의 저서를 저술하면서 스승이자 재종조부인 이익에게 자문하였고, 이익은 1751년 완성된 그의 책 택리지의 책의 원고를 읽고 나서 내용을 교열, 수정해주고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였으며,택리지의 서문과 발문을 직접 써주기도 했다.
사대부로서의 신분적 위치와 서민적 현실생활의 괴리에서 무척 고민하였던 실학자였으며 박지원, 박제가에게 영향을 끼쳤다. 1753년(영조 30년) 특명으로 은전을 받고 통정대부로 승진하였다.
2. 5. 최후
이중환은 1756년에 사망하였다. 정확한 사망연대는 전하지 않아 일설에는 1760년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묘소는 황해도 금천군 설라산에 안장되었다. 《택리지》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인문지리서였다.3. 저서
택리지 등.
4. 사상과 학문
그는 실용적인 학문과 생산의 당위성을 역설하였다. 생산활동에 지리적 환경을 이용할 것과 상업적 농업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장사에 대한 편견, 금전에 대한 무조건적인 비난을 지양할 것을 촉구하였다. 또한 원활한 생산활동을 위해서는 수송 수단의 발달이 중요함을 역설했다.
이중환은 관직에서 물러난 사대부들이 살아갈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고자 지리학에 관심을 가졌다. 일찍이 풍수지리학에도 조예가 깊었던 그는 목호룡 등이 숙빈 최씨의 묘자리를 간택할 때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거주지 선정 기준으로 교통, 인심, 산천, 경제적 교류 등을 중시했으며, 자신의 저서 택리지에 이러한 신념을 담았다.
택리지의 '복거총론'에서는 기본적인 주거 조건으로 지리, 생리, 인심, 산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살기 좋은 곳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특히 인문적 주거 조건인 생리와 인심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풍속이 아름답고 인정이 넘치는 곳을 강조했다. 지역 주민들의 수준과 인심 또한 거주지 선정에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택리지에서 이중환은 당쟁의 폐해에 따른 인심 타락상을 경고하고, 당쟁의 원인과 경과를 비교적 자세히 기록했다. 또한 각 지역의 지형, 사람, 인심, 습속, 경제 등 다양한 방면에 대한 의견과 당시의 정치, 경제, 문화 등에 대한 견해를 남겼다.
이중환은 사대부의 특권을 비판하였다. 원래 사대부(士大夫)란 것이 따로 없고 모두 민(民)으로 되어 있었으며, 다만 성인과 현인들의 말과 뜻을 따르는 자들을 특별히 사대부라 칭했을 뿐이라 한다. 민에는 네 가지가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평등하다고 하는 평등론을 주장하였다. 계급이 발생하게 된 유래는 사회적 환경에 불과하다고 봤다.
사대부란 옛 성인(聖人)의 법도를 잘 지키고 예(禮)를 숭상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라고 하였다. 그는 사농공상의 등분은 단순히 직업상의 차이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으며, 직업의 귀천은 없다고 보았다. 그리고 지배계급의 특권을 전면 부정하였다.
이중환은 인간의 생산 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는 스스로 생산활동을 하여 의식주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실용적이지 못한 학문에 집착하는 사대부들을 비판했다. 그는 인간은 스스로 자신의 삶을 해결해야 하며, 이를 위해 지리적 환경을 잘 이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가장 좋은 지리적 환경은 기름진 땅이며, 배와 수레를 통해 사람과 물자가 모여들어 서로 필요한 것을 교환할 수 있는 곳이 그 다음으로 중요하다고 여겼다. 그는 물자 유통이 활발한 곳을 살기 좋은 곳으로 보았는데, 태백산과 소백산 사이에 있는 공주 및 안동 지역을 예로 들었다. 또한 평양, 충주, 상주, 대구, 진주 등 강을 끼고 있어 수운이 편리하고 도로가 발달하여 교역이 활발한 도회지를 언급했다.
이중환은 교통의 편리성과 상업 발달, 유통 경제 활성화와 같은 당시 변화하는 상황을 주거 조건 선정에 반영했다. 그는 특정 부농과 지주들이 재원을 독점하는 것을 지적하며, 조정이 나서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수전(水田)의 벼 생산량과 각 지방의 특수 농작물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부농들이 진안의 담배밭, 전주의 생강밭, 임천·한산의 모시밭, 안동·예안의 왕골밭(龍鬚田) 등을 매점하여 폭리를 취하는 것을 비판했다.
이중환은 상업을 천시하지 않고 상업을 이용하는 방안을 비전으로 제시하였다. 상업적 농업도 중시해 상업의 발달은 필연적으로 도시의 발전과 교역의 증대를 가져온다고 보았다. 상업이 천하다고 해도 경제적 이윤이 없다면 생활이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조선의 금강, 한강, 예성강, 대동강, 섬진강 등 상선의 운영과 무역선의 유입에 좋은 지리적 조건들을 각지에 갖추고 있으나, 상업을 천시 여겨 이것을 최대한 이용하지 못하고 조선술의 미발달 때문에 운송수단으로는 수레보다도 불리한 말(馬)로써 물자와 사람을 운송하고 있음을 지적하여 운반수단의 개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의 이러한 사상은 당색은 다르지만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하던 노론 북학파인 박지원, 박제가 등에게도 수용되어 배·수레의 제조, 활용론을 제기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4. 1. 지리학
이중환은 관직에서 물러난 사대부들이 살아갈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고자 지리학에 관심을 가졌다. 일찍이 풍수지리학에도 조예가 깊었던 그는 목호룡 등이 숙빈 최씨의 묘자리를 간택할 때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거주지 선정 기준으로 교통, 인심, 산천, 경제적 교류 등을 중시했으며, 자신의 저서 택리지에 이러한 신념을 담았다.택리지의 '복거총론'에서는 기본적인 주거 조건으로 지리, 생리, 인심, 산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살기 좋은 곳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특히 인문적 주거 조건인 생리와 인심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풍속이 아름답고 인정이 넘치는 곳을 강조했다. 지역 주민들의 수준과 인심 또한 거주지 선정에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택리지에서 이중환은 당쟁의 폐해에 따른 인심 타락상을 경고하고, 당쟁의 원인과 경과를 비교적 자세히 기록했다. 또한 각 지역의 지형, 사람, 인심, 습속, 경제 등 다양한 방면에 대한 의견과 당시의 정치, 경제, 문화 등에 대한 견해를 남겼다.
4. 2. 사대부 특권론 비판
이중환은 사대부의 특권을 비판하였다. 원래 사대부(士大夫)란 것이 따로 없고 모두 민(民)으로 되어 있었으며, 다만 성인과 현인들의 말과 뜻을 따르는 자들을 특별히 사대부라 칭했을 뿐이라 한다. 민에는 네 가지가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평등하다고 하는 평등론을 주장하였다. 계급이 발생하게 된 유래는 사회적 환경에 불과하다고 봤다.사대부란 옛 성인(聖人)의 법도를 잘 지키고 예(禮)를 숭상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라고 하였다. 그는 사농공상의 등분은 단순히 직업상의 차이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으며, 직업의 귀천은 없다고 보았다. 그리고 지배계급의 특권을 전면 부정하였다.
4. 3. 경제관
이중환은 인간의 생산 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는 스스로 생산활동을 하여 의식주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실용적이지 못한 학문에 집착하는 사대부들을 비판했다. 그는 인간은 스스로 자신의 삶을 해결해야 하며, 이를 위해 지리적 환경을 잘 이용해야 한다고 보았다.가장 좋은 지리적 환경은 기름진 땅이며, 배와 수레를 통해 사람과 물자가 모여들어 서로 필요한 것을 교환할 수 있는 곳이 그 다음으로 중요하다고 여겼다. 그는 물자 유통이 활발한 곳을 살기 좋은 곳으로 보았는데, 태백산과 소백산 사이에 있는 공주 및 안동 지역을 예로 들었다. 또한 평양, 충주, 상주, 대구, 진주 등 강을 끼고 있어 수운이 편리하고 도로가 발달하여 교역이 활발한 도회지를 언급했다.
이중환은 교통의 편리성과 상업 발달, 유통 경제 활성화와 같은 당시 변화하는 상황을 주거 조건 선정에 반영했다. 그는 특정 부농과 지주들이 재원을 독점하는 것을 지적하며, 조정이 나서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수전(水田)의 벼 생산량과 각 지방의 특수 농작물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부농들이 진안의 담배밭, 전주의 생강밭, 임천·한산의 모시밭, 안동·예안의 왕골밭(龍鬚田) 등을 매점하여 폭리를 취하는 것을 비판했다.
4. 4. 사회 개혁론
이중환은 상업을 천시하지 않고 상업을 이용하는 방안을 비전으로 제시하였다. 상업적 농업도 중시해 상업의 발달은 필연적으로 도시의 발전과 교역의 증대를 가져온다고 보았다. 상업이 천하다고 해도 경제적 이윤이 없다면 생활이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조선의 금강, 한강, 예성강, 대동강, 섬진강 등 상선의 운영과 무역선의 유입에 좋은 지리적 조건들을 각지에 갖추고 있으나, 상업을 천시 여겨 이것을 최대한 이용하지 못하고 조선술의 미발달 때문에 운송수단으로는 수레보다도 불리한 말(馬)로써 물자와 사람을 운송하고 있음을 지적하여 운반수단의 개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그의 이러한 사상은 당색은 다르지만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하던 노론 북학파인 박지원, 박제가 등에게도 수용되어 배·수레의 제조, 활용론을 제기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5. 가족 관계
증조부는 이숭진(李崇鎭)이다. 조부는 이영(李泳)이고, 조모는 동래 정씨로 정만호의 딸이다. 아버지는 이진휴(李震休, ? - 1710년)이고, 어머니는 함양 오씨이다. 외조부는 오상주(吳相胄)이다. 부인은 사천 목씨(? - 1732년)로, 장인은 목임일(睦林一)이다.
6. 평가
이중환은 인문 지리학의 선구자(先驅者)라는 평가를 받는다.[6] 30년간 전국을 돌면서 지리와 사회·경제를 연구해 택리지를 저술, 인문지리학의 발달에 크게 기여했다.[6]
그러나 그의 사상은 풍수지리적인 경지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도 지적된다. 이는 시대, 사회, 세대적 한계에서 기인한 것으로, 정치, 사회, 경제적 관점에서도 마찬가지였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양반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해 신분제 전면 철폐에 반대했다는 점도 지적된다.
6. 1. 긍정적 평가
이중환은 인문지리학의 선구자(先驅者)라는 평가를 받는다.[6] 30년간 전국을 돌면서 지리와 사회·경제를 연구해 택리지를 저술, 인문지리학의 발달에 크게 기여했다.[6]6. 2. 비판적 평가
이중환은 인문 지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한다.[6] 30년간 전국을 돌면서 지리와 사회·경제를 연구해 택리지를 저술, 인문지리학 발달에 기여했다는 것이다.[6]그러나 그의 사상은 풍수지리적인 경지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점도 지적된다. 이는 시대, 사회, 세대적 한계에서 기인한 것으로, 정치, 사회, 경제적 관점에서도 마찬가지였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양반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해 신분제 전면 철폐에 반대했다는 점도 지적된다.
참조
[1]
서적
Geographers
Bloomsbury Publishing
[2]
서적
A Place to Live: A New Translation of Yi Chung-hwan's T'aengniji, the Korean Classic for Choosing Settlements
University of Hawaii Press
[3]
웹사이트
택리지(擇里志)
http://yoksa.aks.ac.[...]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9-01-27
[4]
서적
성호전집
[5]
백과사전
한국민죽문화대백과사전
[6]
서적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