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척계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척계광은 명나라 시대의 장군으로, 왜구 토벌과 만리장성 보강에 크게 기여했다. 산둥성 출신으로, 호종헌의 지휘 아래 유대유, 유현 등과 함께 왜구를 물리쳐 명성을 얻었다. 1555년부터 절강성에서 왜구와 싸우며 척가군을 조직하여 원앙진 전술을 활용, 수군을 이끌고 동남 해안 지역을 평정했다. 이후 북방으로 이동하여 알탄 칸의 침입에 대비, 만리장성 보강 및 증축 공사를 지휘했다. 장거정의 신임을 얻었으나, 장거정 사후 탄핵되어 파직되었고, 병사했다. 저서로는 『기효신서』, 『연병실기』 등이 있으며, 그의 병법은 조선과 청나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척계광 - 장거정
    장거정은 명나라 만력제 시기의 정치가이자 개혁가로, 수보의 자리에 올라 일련의 개혁을 추진하여 명나라의 재정을 안정시키고 국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지만,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척계광 - 양명학
    양명학은 명나라 시대 왕양명에 의해 창시된 유교의 한 학파로, 심즉리, 치양지, 지행합일을 핵심 사상으로 하며 동아시아에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다는 비판도 받았다.
  • 지닝시 출신 - 궈판 (영화 감독)
    중국의 영화 감독 궈판은 《유랑지구》를 통해 중국 SF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으며, 중국 문화적 가치와 미학을 융합한 자신만의 독특한 영화 스타일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지닝시 출신 - 진탕
    진탕은 전한 시대의 관료이자 장군으로, 서역부교위로 복무하며 감연수와 함께 흉노족의 질지선우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칙령 날조 논란에도 불구하고 전한의 서역 지배 강화에 기여하여 왕망 집권 후 파호장후에 추증되었다.
  • 1588년 사망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1588년 사망 - 미마르 시난
    미마르 시난은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건축가이자 토목 기사로, 쉴레이만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세 명의 술탄을 섬기며 쉴레이마니예 모스크와 셀리미예 모스크를 포함한 300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하여 오스만 건축 양식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척계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척계광 초상화
척계광 초상화
이름척계광 (戚繼光)
원경 (元敬)
시호무의 (武毅)
남당 (南塘)
맹저 (孟諸)
출생일1528년 11월 12일
출생지산둥
사망일1588년 1월 17일
사망지산둥성 펑라이
활동
직업군인, 작가

2. 생애

등주위(登州衛, 현재 산동성 연태시 봉래구) 출신으로, 호종헌(胡宗憲)의 지휘 하에 유대유(兪大猷), 유현(劉顯) 등과 함께 동남연안 지역에서 활개를 치던 왜구를 토벌하는데 공을 세워 명성을 쌓았다. 부인은 가정제(嘉靖帝)와 회영현비 정씨의 딸인 청교공주(淸嬌公主)이다.

가정 28년(1549년) 무거시(武擧試)에 합격하였고, 가정 32년(1553년) 등주위지휘첨사(登州衛指揮僉事)로 시작했다. 가정(嘉靖) 34년(1555년) 절강도사첨서(浙江都司僉書), 다음 해에 참장(參將)으로 승진했다. 1555년(嘉靖 34년)부터 절강성에서 왜구의 침입에 맞서 항왜(抗倭) 활동을 본격화하였다. 그는 절강성(浙江省) 금화(金華), 의오(義烏)에서 농부와 광부 등으로 4000명의 의용군을 조련하였다. '척가군(戚家軍)'이라 불린 이들에게 공방합일의 원앙진(鴛鴦陣)을 훈련시켜서 왜구토벌의 주력으로 삼았다. 그리고 수군(水軍)을 조직하여 중국 남동부의 해안 지역에서 밀무역을 하며 노략질을 일삼던 왜구의 토벌에 나섰다.

그 뒤 1567년까지 10여년 동안 왜구와 80여 차례나 전투를 벌이며 왜구를 물리쳤다. 1561년(嘉靖 40년), 그는 절강성 태주(台州), 선거(仙居) 등에서 왜구와 9차례 전투를 벌였으며 모두 승리하였다. 1562년에는 복건성(福建省)의 왜구 근거지를 소탕하였고, 그 공으로 도독첨사(都督僉事)가 되었다. 가정 43년(1564), 평해위(平海衛, 지금의 福建省 莆田)에서 왜구를 물리쳐 도독동지(都督同知)를 거쳐 복건총병(福建總兵)이 되었다. 그 뒤에도 척계광은 복건성과 광동성(廣東省) 연안에서 왜구와 전투를 벌여 중국 동남 해안 지역을 평정하였다.[11]

1567년에 해금령이 풀리면서 왜구의 활동이 뜸해지자 융경(隆慶) 2년(1568년) 계주(薊州)로 배치되어 알탄 칸의 위협에 대비해 국경을 안정시키는 임무를 맡았다. 이 때 대규모의 만리장성 보강, 증축 공사를 실시하였다. 척계광은 북경 북쪽의 만리장성을 보강하여 공심적대(空心敵臺)와 보(步), 기(騎), 거(車), 치(輜), 중(重) 등의 영(營)을 세웠고, 이들은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활약으로 내각대학사로 당시 큰 권력을 가지고 있던 장거정(張居正)에게 중용되었지만, 1582년 장거정 사후, 척계광의 공적을 시기하는 대신들로부터 탄핵되어 만력(萬曆) 11년(1583년) 광동으로 배치되었다가, 나중에 파직되어 등주로 돌아왔고, 얼마 뒤에 병사했다.[12]

산둥성 봉래현 등주위 출신이다. 중국 연안을 중심으로 밀무역을 행하던 왜구(후기 왜구라 불림) 토벌에 종사했다. 절강성 금화·의우에서 병사를 모아 “척가군”이라 불리는 자신의 정예병, 수군을 조직했다. 호종헌의 지휘하에 유대유, 류현 등과 함께 왜구를 토벌했다(단, 당시 후기 왜구는 다수의 중국인 구성원을 일본인 간부나 수령이 지휘하는 오늘날의 다국적 범죄 조직에 가까운 성격의 것이 중심이었다)[10].

1567년에 해금령이 해제되면서 왜구의 활동이 진정되자 북방 방비에 종사하여 알탄 칸의 침입에 대응했다. 대규모 만리장성 보강·증축 공사에 착수했다.

이러한 무공으로 내각대학사로 당시 큰 권력을 가지고 있던 장거정에게 중용되었으나, 장거정 사후 척계광의 공적을 시기하는 자들로부터 탄핵되어 면직되었다. 그 처분은 3년 후에 철회되었으나, 곧 실의 속에 세상을 떠났다.

2. 1. 초기 생애 및 군사 경력

척계광은 산둥성 등주위(登州衛, 현재 옌타이 시 펑라이)의 군인 가문 출신이다. 그의 선조는 명나라 건국 황제인 홍무제(洪武帝)를 섬기다 전사하였으며, 명나라 건국 후 척씨 가문은 등주 수비대의 지휘관 직책을 세습받았다.[11]

척계광의 아버지 척경통(戚景通)(1473–1544)은 뛰어난 무술 실력을 갖춘 군 장군이었다. 척계광은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린 시절부터 군사에 관심을 가졌으며, 진흙으로 성벽을 쌓고 대나무 막대기와 종이로 깃발을 만들어 전쟁 놀이를 하며 군 지휘관의 꿈을 키웠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척계광은 17세에 등주 수비대의 지휘권을 세습받았다. 그는 수비대의 해상 방어를 강화하는 한편, 1548년부터 1552년까지 몽골 유목민들의 침입으로부터 베이징 인근 지역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다.

1549년, 척계광은 22세의 나이로 무거시(武擧試)에 합격하였다.[11] 시험을 위해 베이징으로 향하던 중, 알탄 칸이 이끄는 몽골군이 베이징을 포위하자, 척계광은 수도 방어에 참여하여 뛰어난 용기와 군사적 기지를 발휘하여 몽골군을 물리치는 데 기여했다. 1553년 등주위지휘첨사(登州衛指揮僉事)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군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11]

2. 2. 왜구 토벌

1555년, 척계광은 절강도사첨서(浙江都司僉書)로 임명되어 절강성에서 왜구 토벌 활동을 시작했다.[11] 그는 절강성 금화(金華), 의오(義烏) 지역에서 농민과 광부들을 중심으로 4,000명의 의용군을 모집하여 '척가군(戚家軍)'을 조직했다.[11] 척계광은 척가군에게 원앙진(鴛鴦陣)이라는 독특한 전술을 훈련시키고,[11] 수군(水軍)을 조직하여 왜구 토벌에 나섰다.[11]

1561년, 절강성 태주(台州), 선거(仙居) 등지에서 왜구와 9차례 전투를 벌여 모두 승리했다.[11] 1562년에는 복건성(福建省)의 왜구 근거지를 소탕하고 도독첨사(都督僉事)로 승진했다.[11] 1564년에는 평해위(平海衛, 현재 푸톈)에서 왜구를 격파하고 도독동지(都督同知)를 거쳐 복건총병(福建總兵)이 되었다.[11] 1567년까지 복건성과 광동성(廣東省) 연안에서 왜구를 소탕하여 중국 동남 해안 지역을 평정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1]

척계광이 절강성 해안 방어 사령관을 맡았을 당시, 명나라 군대는 훈련과 규율이 부족했고, 방어 시설은 낡은 상태였다. 1555년 가을, 척계광은 유대유(兪大猷)와 담윤(譚綸) 등과 함께 명나라 군대를 이끌고 1558년 섬강(岑港)에서 왜구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 절강성의 상황이 안정되자, 척계광은 의우현(義烏縣)의 광부와 농민들을 징집하여 군대를 훈련시켰고, 바다에서 왜구와 싸우기 위한 군함 건조를 감독했다.

1562년 7월, 척계광은 6,000명의 정예 병력을 이끌고 복건성으로 남하하여 왜구들의 주요 은거지를 소탕했다. 1563년 4월에는 1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복건성으로 들어가 흥화(興化, 현재의 푸톈)를 탈환했다. 1565년 9월, 복건성과 광동성의 경계 근처에 있는 남오현(南澳縣) 섬에서 유대유(兪大猷)와 다시 합류하여 왜구 잔여 세력을 물리쳤다.

기제광 시대 중국(파란색)을 침략한 왜구 해적들

2. 3. 북방 방어 및 만리장성 보강

1567년, 해금령(海禁令)이 해제되면서 왜구의 활동이 뜸해지자, 척계광은 북방으로 이동하여 몽골의 침입을 막는 임무를 맡았다.[11] 1568년, 계주(薊州)에 배치되어 알탄 칸의 위협에 대비해 국경을 안정시켰다.[12]

14세기 중반 홍무제몽골만리장성 너머 북쪽으로 몰아내고 명나라를 건국하였으나, 몽골은 이후 200년 동안 북방 국경을 계속해서 괴롭혔다. 척계광이 북경에 있을 때, 투메드 몽골의 지배자인 알탄 칸이 북방 방어선을 돌파하여 북경을 거의 쑥대밭으로 만들기도 하였다. 1571년 명나라는 알탄 칸에게 "순의왕"(順義王중국어) 칭호를 수여하고 몽골과의 무역을 시작하여, 알탄 칸은 자신의 부하들이 중국 마을을 약탈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러나 자사그투 칸이 이끄는 다른 몽골 세력들은 척계광의 방어를 계속 시험했다.

척계광은 만리장성 보강 및 증축 공사를 지휘하여 공심적대(空心敵臺)와 보(步), 기(騎), 거(車), 치(輜), 중(重) 등의 영(營)을 건설했다.[12] 산해관과 주용관 사이의 만리장성 구간 수리 작업을 감독하고, 성벽을 따라 망루 건설을 지휘하여 2년간의 노력 끝에 1,000개가 넘는 망루가 완공되어 북방 방어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바다링에 있는 기계광 동상


1572년 겨울, 척계광은 10만 명이 넘는 군대를 동원하여 대규모 군사 훈련을 실시하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연병실기(練兵實紀)』를 저술했다. 만력제 초기(1570년대)에 도얀 부족의 수장인 동후리가 이끄는 몽골 군대는 계속해서 명나라 영토를 침략했고, 척계광의 군대는 그들을 여러 차례 물리치고 동후리의 동생 창투를 사로잡았다. 동후리는 조카와 300명의 종족원을 데리고 최전방에 와서 자비를 구하자, 척계광은 그들의 항복을 받아들였다.

2. 4. 장거정과의 관계 및 말년

1582년 장거정이 사망한 이후, 척계광의 공적을 시기하는 대신들은 그를 탄핵했다.[12] 척계광은 내각대학사였던 장거정에게 중용되어 큰 권력을 행사했지만, 장거정 사후 만력제의 총애를 잃었다.[12] 1583년 초, 척계광은 직무에서 해임되었으며, 광동(廣東)으로 배치되었다가 파직되어 고향인 등주(登州)로 돌아왔다.[12] 그의 아내는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그를 떠났고, 그는 남은 생애를 가난과 허약한 건강 속에서 보냈다.

척계광은 뛰어난 무장이었지만, 아내에게 약한 모습을 보였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군율을 어긴 아들을 처형한 것에 분노한 부인에게 평생 후처를 두지 않겠다는 맹세를 했지만, 이를 어기고 두 명의 후처에게서 각각 아이를 낳았다. 부인은 격노하여 후처와 아이들을 죽이라고 요구했고, 척계광은 부하이자 부인의 남동생을 불러 부인을 설득하도록 협박했다. 결국 부인은 아이들을 받아들이고 후처들은 장형 50대를 맞고 추방되었다. 척계광은 수년 후 부인이 죽자 후처들을 다시 불러 아이들과 함께 생활했다.

1588년 1월 17일, 척계광은 병으로 사망했다.

3. 저서

기효신서(紀效新書)』는 척계광의 군사 전략과 전술, 병사 훈련법 등을 담은 병법서이다. 『연병실기(練兵實紀)』는 척계광이 북방에서 군대를 훈련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저술한 책이다. 『지지당집(止止堂集)』은 척계광의 한시산문을 모은 시문집이다.

기효신서(紀效新書)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 전래되어 조선 군사 제도와 전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의 군사 훈련 교범인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는 기효신서의 내용을 상당 부분 참고하여 제작되었다.

3. 1. 기효신서와 조선

기효신서(紀效新書)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 전래되어 조선 군사 제도와 전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의 군사 훈련 교범인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는 기효신서의 내용을 상당 부분 참고하여 제작되었다.

4. 평가 및 영향

푸저우에 있는 기제광 흉상


뛰어난 무장이었지만 엄청난 처가 덕이 강한 사람이었다고 전해진다. 군율을 어긴 아들을 처형한 것에 분노한 부인에게 평생 후처를 두지 않겠다는 맹세를 하게 되었다. 그 후 맹세를 어기고 두 명의 후처와 간통하여 각각 숨겨둔 자식을 하나씩 낳았지만 부인에게 들키게 된다. 격노한 부인에게 후처와 아이들을 죽이라는 요구를 받은 기계광은 하루의 유예를 얻어 부하였던 부인의 남동생을 불러 "후처들을 용서하고 아이들을 양자로 삼도록 내일까지 누님을 설득하라. 그렇지 않으면 너와 네 누님, 너의 일족 모두를 죽이고 나는 관직을 버리고 세상을 떠나겠다"라고 협박했다. 남동생은 울면서 부인을 설득했기 때문에 부인은 어쩔 수 없이 숨겨둔 아이들을 받아들이고, 어머니인 후처 두 명에게는 장형 50대를 때리고 추방하는 것으로 그쳤다. 이 소식을 들은 세간 사람들은 기계광의 깊은 계략을 칭찬하는 동시에 그의 처가 덕이 강한 면모를 비웃었다. 수년 후 부인이 죽자 후처들을 집으로 불러들이고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게 했다.

왜구가 지닌 날카로운 일본도 대책으로, 가지가 달린 대나무로 만든 창인 랑선을 개발하고, 이 무기를 장비한 병사들을 포함한 "원앙진"이라고 불리는 10명의 분대에 의한 집단 전투 방식을 고안해냈다. 이 전투 방식으로 왜구와의 전투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기효신서』, 『련병실기』 등의 병서를 남겼다. 이러한 병법이 청나라 말기에 주목받게 되면서, 먼저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나섰던 증국번이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군대를 정비한다. 그리고 얼마 후 중국에 대한 일본의 침략이 시작되자, 왜구를 토벌한 경력을 가진 기계광의 업적을 기리는 풍조가 일어났다. 일본에서도 병학에도 일가견이 있던 에도 시대의 유학자 오기 소라이가 『기효신서』를 높이 평가했다.

기효신서』 본문 18권 중 하나인 "권경"은 송 태조 삼십이세 장권이라고 불리는 무술을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다. 태극권에는 같은 기법(단편 등)이 보인다. 또한 기계광은 왜구와의 전투에서 얻은 일본의 음류 검술 목록을 연구하여 『신유도법』을 저술했다.

4. 1. 긍정적 평가

척계광은 탁월한 군사적 능력으로 왜구와 몽골의 침입을 막아내고, 명나라의 국방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의 군사 훈련법과 전술은 당시 동아시아 군사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기효신서』는 동아시아 병법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왜구가 지닌 날카로운 일본도 대책으로 가지가 달린 대나무로 만든 창인 랑선을 개발하고, 이 무기를 장비한 병사들을 포함한 "원앙진"이라고 불리는 10명의 분대에 의한 집단 전투 방식을 고안하여 왜구와의 전투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기효신서』, 『련병실기』 등의 병서를 남겼으며, 이러한 병법은 청나라 말기에 주목받게 되어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나섰던 증국번이 이를 바탕으로 군대를 정비했다. 또한 일본의 침략이 시작되자 왜구를 토벌한 척계광의 업적을 기리는 풍조가 일어났으며, 일본에서도 병학에 일가견이 있던 에도 시대의 유학자 오기 소라이가 『기효신서』를 높이 평가했다.

『기효신서』 본문 18권 중 하나인 "권경"은 송 태조 삼십이세 장권이라고 불리는 무술을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태극권에는 같은 기법(단편 등)이 보인다. 척계광은 왜구와의 전투에서 얻은 일본의 음류 검술 목록을 연구하여 『신유도법』을 저술했다.

뛰어난 무장이었지만 처가 덕이 강한 사람이었다고 전해진다. 군율을 어긴 아들을 처형한 것에 분노한 부인에게 평생 후처를 두지 않겠다는 맹세를 하고, 맹세를 어기고 간통하여 낳은 두 아이와 후처들을 부인이 죽이라는 요구에 부하를 시켜 부인을 설득, 아이들을 받아들이고, 어머니인 후처 두 명에게는 장형 50대를 때리고 추방하는 것으로 그쳤다는 일화가 있다. 이 소식을 들은 세간 사람들은 그의 깊은 계략을 칭찬하는 동시에 그의 처가 덕이 강한 면모를 비웃었다.

4. 2. 부정적 평가

척계광은 뛰어난 장군이었지만, 권력을 남용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장거정의 측근이었던 그는, 군율을 어긴 아들을 처형한 것에 분노한 부인에게 평생 후처를 두지 않겠다는 맹세를 하고 이를 어겨, 부인에게 협박을 받은 일화가 전해진다. 이로 인해 척계광은 아내를 두려워한다는 비웃음을 사기도 했다.

5. 대중문화 속 척계광

1978년 대만 영화 《척계광(戚繼光)》(영어 제목: The Great General)은 해적과의 갈등을 묘사한다.[5] 척계광이 산둥에서 보낸 말년은 1980년 홍콩 영화 《암살령(密殺令)》의 주제이다.[6]

2008년 중국 TV 드라마 《소림영웅》은 척계광이 왜구와 다른 침략자들로부터 중국을 방어하기 위해 소림사 무술 승려들의 도움을 받는 허구적인 이야기를 그렸으며, 말레이시아 배우 크리스토퍼 리가 척계광 역을 맡았다.

배우 위붕림(余秉霖)이 연기한 척계광의 역사적 묘사는 2007~2008년 디스커버리 채널채널 4가 공동 제작한 특집 프로그램 《만리장성 뒤편》(''중국의 만리장성'')에 등장한다.[7][8] 이 다큐멘터리는 척계광이 대제학 장거정과의 협력을 통해 만리장성을 재건한 것에 초점을 맞춘다.

2017년 영화 《전쟁의 신》은 장군과 그의 아내를 묘사한 또 다른 허구적인 작품이며, 조문탁이 주연을 맡았다.[9]

2006년 중국 드라마 《대명왕조 1566~가정제와 해려~》에서는 배우 진지휘가 척계광 역을 연기했다. 2010년 중국 드라마 《만력수부 장거정》에서는 배우 장창의가 척계광 역을 맡았다.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웹사이트 1587, a year of no significance : The Ming dynasty in decline https://archive.org/[...] 1981
[5] 웹사이트 戚繼光 (1978) Great General http://hkmdb.com/db/[...] hkmdb.com 2020-03-09
[6] 웹사이트 The Warrant of Assassination https://hkmdb.com/db[...]
[7] 웹사이트 Discovery Channel's Original Special, BEHIND THE GREAT WALL, Tells the Story of the Greatest Architectural Structure Ever Built and How It Defined Ruler and People of the Ming Dynasty (summary only) https://press.discov[...]
[8] 웹사이트 The Great Wall of China (TV Movie 2007) - IMDb https://www.imdb.com[...] 2022-01-28
[9] 영화 Dang kou feng yun (2017) http://www.imdb.com/[...]
[10] 서적 明史卷三百二十二 列傳第二百一十 外國三 日本 https://zh.wikisourc[...]
[11] 웹사이트 척계광 [戚繼光] https://terms.naver.[...]
[12] 서적 明史, 戚繼光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