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화롄 교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주교 화롄 교구는 대만 동부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교회 교구이다. 1859년 대만에 가톨릭 교회가 처음 설립된 이후, 1952년 화롄 지목구로 설립되었고, 1963년 정식 교구로 승격되었다.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선교사들의 노력으로 대만 원주민 신자가 증가하였으며, 1998년에는 푸유마족 출신 쩡젠츠 사제가 보좌 주교로 임명되어 대만 원주민 최초의 주교가 탄생했다. 2010년 기준 신자 수는 56,401명이며, 5명의 역대 교구장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롄현 - 푸리역
푸리역은 타이완 화롄현 푸리향에 위치한 타이완 철로管理局 타이둥선의 철도역으로, 1926년 개업하여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지상역 형태로 운영된다. - 화롄현 - 화둥쭝구
화둥쭝구는 타이완 동부의 중앙산맥과 해안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길게 뻗은 계곡 지형으로, 다양한 자연 경관과 타이완 원주민의 거주지이자 관광 명소이다. - 1952년 설립된 종교 단체 -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은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저항 목사들을 중심으로 설립된 장로교 교단으로, 고려신학대학 설립 후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과의 통합과 분열을 거쳐 현재 서울에 본부를 두고 국내외 선교 및 교육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 1952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컴패션
컴패션은 한국 전쟁 고아를 돕기 위해 설립된 기독교 기반의 국제 어린이 양육 및 구호 단체로, 개인 후원을 통해 빈곤 지역 아동들에게 교육, 의료, 식량, 영적 지원 등을 제공하고 긴급 구호 활동도 수행한다. - 대만의 로마 가톨릭 교구 - 천주교 타이중 교구
천주교 타이중 교구는 타이완 타이중 지역을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구로, 1950년 지목구로 설정된 후 1962년 교구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쑤야오원 주교가 교구장으로 재임 중이다. - 대만의 로마 가톨릭 교구 - 천주교 신주 교구
천주교 신주 교구는 1961년 타이베이 대교구에서 분할되어 교황 요한 23세의 결정으로 설립된 대만의 로마 가톨릭 교구로, 뚜바오진 주교를 초대 교구장으로 하여 대만 지역 천주교 발전에 기여했으며 2010년 기준 약 15만 5천 명의 신자를 관할한다.
천주교 화롄 교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관할 지역 | 화롄 현과 타이둥 현 |
국가 | 중화민국 |
관구 | 타이베이 대교구 |
종류 | 교구 |
전례 | 로마 전례 |
교회 | 라틴 교회 |
지역 이름 | 화롄 |
라틴어 이름 | Dioecesis Hvalienensis |
중국어 이름 | 天主教花蓮教區 |
교회 정보 | |
주교좌 성당 | 화롄 시의 그리스도인 도움의 모후 대성당 |
공동 주교좌 성당 | 없음 |
주보 성인 | 그리스도인 도움의 모후 |
본당 수 | 47개 |
통계 | |
신자 수 | 정보 없음 |
사제 수 | 27명 |
관련 인물 | |
교구장 | 황자오밍 (필립보) |
명예 보좌 주교 | 존 밥티스트 당로 킹지 |
사무총장 | 피터 천충광 |
대주교 | 중안주 (토마스) |
기타 | |
웹사이트 | 화롄 교구 웹사이트 |
2. 연혁
- 1859년 5월 18일, 스페인 도미니코회 소속 선교사들이 다거우항에 도착하여 대만에서의 가톨릭 활동 거점을 마련하였다. 당시 대만은 푸젠 사도 대리구 관할이었다.
- 1913년 7월 19일, 로마 교황청은 일본 통치 하의 대만과 펑후 제도를 관할하는 포르모사 사도좌 지목구(대만 지목구)를 설립하였다.
- 1949년 12월 31일, 대만 지목구에서 화롄현을 포함한 북부 지역이 분리되어 타이베이 지목구(현재의 타이베이 대교구)가 설정되었다.
- 1952년 8월 7일, 대만에 교계제도가 설정되면서 타이베이 지목구의 화롄현과 가오슝 지목구의 타이둥현을 합쳐 '''화롄 지목구'''가 설립되었다. 초대 지목으로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앙드레 장 베리누(fr, zh) 주교가 임명되었다.
- 1963년 7월 15일, 화롄 지목구가 '''화롄 교구'''로 정식 승격되었고, 베리누 지목이 초대 주교로 취임하였다.
- 1998년 5월 22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푸유마족 출신 쩡젠츠 사제를 화롄 교구 보좌 주교로 임명하였으며, 그는 대만 원주민 최초의 주교가 되었다.
2. 1. 대만 가톨릭의 두 번째 활동 거점
1859년 5월 18일, 필리핀에서 활동하던 스페인 출신 도미니코회 선교사 3명이 중국 대륙을 거쳐 다거우항에 도착했다. 같은 해 12월, 현재의 가톨릭 가오슝 교구 주교좌 성당 자리에 간이 전도소를 세우면서 대만 가톨릭의 첫 활동 거점이 마련되었다. 초기 대만은 푸젠 사도 대리구 관할이었다.1913년 7월 19일, 로마 교황청은 대만과 펑후 제도를 관할하는 포르모사 사도좌 지목구( Praefectura Apostolica de Formosala ), 즉 대만 지목구를 설립했다. 당시 대만은 일본의 통치 하에 있었다.
1949년 12월 31일, 로마 교황청은 기존 대만 지목구를 분할하여, 화롄현을 포함한 대만 북부 지역에 타이베이 지목구를 새로 설치했다. 타이둥현을 포함한 나머지 지역은 기존 지목구에서 이름을 바꾼 가오슝 지목구가 관할하게 되었다.
1952년 8월 7일, 대만에 교계제도 (히에라르키)가 설정되면서 중국의 21번째 교회 관구가 되었다. 이와 동시에 로마 교황청은 타이베이 지목구에서 화롄현을, 가오슝 지목구에서 타이둥현을 분리하여 합치고 '''화롄 지목구'''를 새로 설립했다. 초대 지목으로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프랑스인 앙드레 장 베리누( André-Jean Vérineux프랑스어 , 費聲遠|페이셩위안중국어 ) 잉커우 교구 주교가 임명되었다.
1963년 7월 15일, 로마 교황청은 화롄 지목구를 정식으로 '''화롄 교구'''로 승격시켰고, 베리누 지목이 초대 주교로 취임했다. 역대 주교들과 파리 외방전교회 등 수도회의 노력으로 많은 대만 원주민이 세례를 받고 신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가톨릭 신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만에서 대만 동부 지역은 비교적 신자 비율이 높은 지역이 되었다.
1998년 5월 22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푸유마족 출신인 쩡젠츠(曾建次) 사제를 화롄 교구 보좌 주교로 임명했다. 같은 해 8월 29일 쩡 사제가 정식으로 주교직에 오르면서, 대만 원주민 출신으로는 최초의 주교가 탄생했다.
2. 2. 화롄 지목구 설립과 교구 승격
1949년 12월 31일, 로마 교황청은 기존의 대만 지목구에서 화롄현을 포함한 대만 북부 지역을 분리하여 타이베이 지목구(현재의 타이베이 대교구)를 새로 설정하였다. 타이둥현을 포함한 나머지 지역은 가오슝 지목구가 관할하게 되었다.1952년 8월 7일, 대만에 교계제도(히에라르키)가 정식으로 설정되면서 중국의 21번째 교회 관구가 되었다. 이와 동시에 교황청은 타이베이 지목구에 속해 있던 화롄현과 가오슝 지목구에 속해 있던 타이둥현을 분리하여 합병하고, '''화롄 지목구'''를 새롭게 설립하였다. 초대 지목구장으로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앙드레 장 베리누(fra, zho) 잉커우 교구 주교가 임명되었다.
1963년 7월 15일, 로마 교황청은 화롄 지목구를 정식으로 '''화롄 교구'''로 승격시켰으며, 초대 주교로는 지목구장이었던 베리누 사제가 임명되었다. 역대 주교들과 파리 외방전교회를 비롯한 여러 수도회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많은 대만 원주민이 세례를 받고 신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가톨릭 신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만 내에서도 화롄 교구가 위치한 대만 동부 지역은 비교적 신자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998년 5월 22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푸유마족 출신의 쩡젠츠 사제를 화롄 교구의 보좌 주교로 임명하였다. 같은 해 8월 29일, 쩡 사제는 정식으로 주교직에 취임함으로써 대만 원주민 출신으로는 최초의 주교가 되었다.
2. 3. 원주민 사제 배출과 현재
역대 주교 및 파리 외방전교회 등 수도회의 노력으로 많은 원주민이 세례를 받고 신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가톨릭이 소수 종교인 대만에서 대만 동부 지역은 비교적 신자 비율이 높은 지역이 되었다.1998년 5월 22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푸유마족 출신 쩡젠츠 사제를 화롄 교구 보좌 주교로 임명했다. 같은 해 8월 29일 쩡 사제가 정식으로 취임하면서, 대만 원주민 최초의 주교가 탄생했다.
3. 통계
가톨릭 신자는 전체 인구(548,870명)의 10.3%(56,401명)를 차지한다.
(2010년 현재)
4. 역대 교구장
순서 | 이름 (세례명, 소속) | 임기 | 비고 |
---|---|---|---|
초대 | 안드레 장 베리누 (파리 외방전교회) | 1963년 - 1973년 | 사도좌 관리 (잉커우 주교 겸무)[1] |
2대 | 마태오 자옌원 | 1974년 12월 14일 - 1978년 11월 15일 | 타이베이 대교구 대주교 임명 |
3대 | 바오로 샨궈시 (예수회) | 1979년 11월 15일 - 1991년 3월 4일 | 가오슝 교구 주교 임명 |
4대 | 안드레아 첸즈춘 | 1992년 1월 23일 - 2001년 11월 19일 | 은퇴 |
5대 | 필립 황자오밍 | 2001년 11월 19일 - 현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