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철도 의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도 의인화는 철도 차량이나 노선을 사람의 모습으로 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 매체에서는 어린이 대상 작품으로 기관차 토마스 시리즈와 로봇트레인 등이 있으며, 만화로는 청춘 철도, 소설로는 다이아몬드 벚꽃놀이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철도 차량을 전문 용어나 오타쿠 문화에서 의인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철도 차량의 탄생, 현역, 활약, 은퇴 등을 사람의 일생에 비유하기도 한다. 특히 오타쿠 문화에서는 철도 차량을 미소녀 또는 미남 캐릭터로 의인화하는 경우가 많으며, 관련 동인지 즉매회나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인화 - 여우 이야기
    여우 이야기는 중세 유럽 민담 및 문학 작품군으로, 교활한 여우 레나르, 늑대 이젠그림, 사자 노블 왕 등 의인화된 동물들이 인간 사회를 풍자하는 에피소드를 다루며, 《로망 드 르나르》를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어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다.
  • 의인화 - 마네킹
    마네킹은 의류 전시, 의료 교육,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체 모형으로, 15세기 패션 돌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소매점 디스플레이, 의료 시뮬레이션 등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철도 의인화

2. 대중 매체 속 철도 의인화

철도는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의인화되어 등장하며, 각 매체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된다. 철도 차량은 아동 문학이나 그림책에서 자주 의인화되는데, 증기 기관차는 인간과 비슷한 생리 현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의인화 소재로 자주 사용된다.

어린이 대상 작품으로는 영국의 윌버트 오드레이가 쓴 《기관차 토마스》, 일본의 아카와 히로유키 글, 오카베 후유히코 그림의 《기관차 야에몬》, 대한민국의 《로봇트레인》 등이 있다.

만화 및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는 일본 만화 《청춘 철도》가 철도 노선을 의인화했으며, SUPER BELL"Z의 캐릭터 『철도전대 레오☆레인저』도 철도 의인화의 예시이다.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초특급 히카리안》, 《트랜스포머 카 로봇》 등은 철도 차량을 로봇으로 의인화한 애니메이션이다.

소설에서는 시미즈 요시노리의 『다이아몬드 벚꽃놀이』가 라쿠고 『나가야의 벚꽃놀이』를 패러디하여 히카리, 야마노테선, 나하,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등을 의인화했다.

2. 1. 어린이 대상 작품

철도 차량은 주로 그림책, 동화 등 어린이를 위한 작품에서 의인화되었다. 특히 증기 기관차는 인간이 만든 것 중 가장 생물에 가까운 기계라고 불리며 종종 의인화 소재로 사용된다.

영국의 윌버트 오드레이 목사가 집필한 그림책 시리즈인 '''기관차 토마스'''는 증기 기관차뿐만 아니라 디젤 기관차, 객차화차 등 철도 차량을 폭넓게 의인화하여 그리고 있다. 해당 작품을 영상화한 TV 시리즈 '''꼬마기관차 토마스''' 또한 국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일본 작품으로는 1호 기관차를 의인화하여 그린 아카와 히로유키 글, 오카베 후유히코 그림의 그림책 '''기관차 야에몬'''이 유명하다.[7]

대한민국에서는 2015년에 작품 안에 등장하는 철도 차량이 인간처럼 말을 구사할 수 있으며 사지가 있는 로봇으로 변신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로봇트레인'''이 방영되었고, 관련 상품도 여럿 판매되었다.[8][9]

2. 2. 만화 및 애니메이션

일본의 만화 《청춘 철도》는 철도 노선을 의인화한 작품으로, 2021년에 《청춘-AOHARU-철도》라는 제목으로 뮤지컬로도 상영되었다.[10] SUPER BELL"Z의 캐릭터 『철도전대 레오☆레인저』 또한 철도 의인화의 한 예시이다.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초특급 히카리안》, 《트랜스포머 카 로봇》 등은 철도 차량을 로봇으로 의인화한 일본 애니메이션이다.

2. 3. 소설

시미즈 요시노리의 『'''다이아몬드 벚꽃놀이'''』(라쿠고 『나가야의 벚꽃놀이』의 패스티쉬)가 있다. 여기서 히카리는 나가야의 주인, 야마노테선은 쾌활한 에도 사람, 나하는 시골 사람,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는 외국인으로 각각 의인화되어 있다.

3. 철도 문화 속 의인화

일본의 철도 잡지 등, 철도 팬을 대상으로 한 글에서는 철도 차량을 의인화한 표현이 종종 사용된다. 단순히 차량 전면에 눈과 입을 그려 손과 발을 붙이는 패턴의 의인화도 볼 수 있다.

3. 1. 전문 용어 및 관용 표현

철도 차량이 신조되어 운용에 투입되는 것을 "탄생", 운용 중인 것을 "현역", 많은 대수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활약" 또는 "군림", 운용을 종료하고 신형 차량으로 교체되는 것을 "은퇴"라고 표현하는 등, 마치 한 사람이 직업을 갖는 것처럼 표현한다.[1]

3. 2. 오타쿠 문화

오타쿠 문화에서 철도 의인화는 해당 차량을 이미지한 코스튬을 착용한 여성[3], 혹은 미남풍의 남성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1980년대 후반, 철도 잡지 중 가장 만화, 애니메이션 계열의 힘이 강했던 『레일 매거진』에 어반 라이너의 철도 의인화 일러스트가 게재되었다.

이 무렵에는 『기동전사 건담』 등으로 시작되는 리얼 로봇 계 로봇 애니메이션의 장갑을 여자아이의 몸에 붙여 의인화한 "메카+여자아이"(메카 소녀)라는 의인화가 유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철도 의인화가 본격화되는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 21세기 초까지 기다려야 했다.

2004년10월 23일, 탈선 사고를 겪은 조에쓰 신칸센 "도키 325호"는 '''도키탄'''으로 의인화되었다. 해당 열차는 200km 속도로 탈선했음에도 전복되지 않았고, 승객·승무원의 사망자는 물론 부상자도 없었기 때문에 "차량이 승객을 지켰다"며 해당 열차에 사용되었던 200계 "K25 편성" 차량이 익명 게시판2ch에서 "(・○・)" AA와 함께 의인화되었다.

2005년9월 4일에는 철도 의인화·철도 관련 총합 동인지 즉매회 "철녀 팬"이 개최되었다. 2006년 11월에는 『'''전차 학원 모하모하반'''』이 첫 상업 작품으로 월간 드래곤 에이지에 기간 한정으로 연재되었다.

최근에는 남성에 대한 의인화도 늘어나고 있으며, 2009년 2월에는 여성향 역 의인화 프로젝트 『'''미라클☆트레인'''』이 시작되어, 만화·소설·애니메이션·무대 등이 전개되고 있다[4]2009년 6월 23일에는 "'''청춘 철도'''"가 상업 코믹화되었다[5]

참조

[1] 서적 "子どもの本だより" 徳間書店 2003-07-01
[2] 웹사이트 シンカンセン {{!}} キャラクター {{!}} サンリオ https://www.sanrio.c[...] 2020-04-25
[3] 뉴스 もしも電車が「女の子」だったら? 「鉄道擬人化フィギュア」に萌え~ https://www.j-cast.c[...] 2021-09-03
[4] 웹사이트 ミラクル☆トレイン~大江戸線へようこそ~ https://www.miracle-[...] 2020-04-25
[5] 뉴스 松井玲奈も愛読!“鉄ミュ”で話題の鉄道擬人化マンガ『青春鉄道』最新刊が今回も面白い! https://ddnavi.com/n[...] 2021-09-03
[6] 뉴스 厳しくも優しい終電を擬人化した「終電ちゃん」、モーニングで開幕 https://natalie.mu/c[...] 2021-09-03
[7] 서적 아동용 서적에 관한 소식 도쿠마 서점 2003-07-01
[8] 뉴스 (새상품) 애니메이션 '로봇트레인' 캐릭터 케이크 https://n.news.naver[...] 2021-02-01
[9] 뉴스 CJ E&M 애니메이션 사업부 출범..로봇트레인 RT 첫공개 https://n.news.naver[...] 2021-02-01
[10] 웹사이트 https://prtimes.jp/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