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칸센 200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칸센 200계 전동차는 일본의 고속철도 신칸센에서 운행된 전동차로, 1982년 도입되어 산악 노선 운행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초기에는 0계 신칸센과 유사한 외형이었으나, 이후 100계와 비슷한 뾰족한 형태의 샤크 노즈 디자인도 등장했다. 200계는 도호쿠 신칸센과 조에쓰 신칸센에서 운행되었으며, 일부는 야마가타 신칸센 및 아키타 신칸센 열차와 연결될 수 있도록 개조되었다. 1990년대 후반 리뉴얼을 통해 객실 내부와 외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2013년 정기 운행에서 퇴역했다.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으로 탈선 사고가 발생했으나, 승객들의 부상은 경미했다. 현재 일부 차량은 보존 및 전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도입 - 포스트스크립트
어도비 시스템즈에서 개발한 포스트스크립트는 페이지 기술 언어이자 튜링 완전한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데스크톱 출판 혁명을 이끌고 인쇄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PDF 형식의 기반이 되었다. - 1982년 도입 - 맥콜
맥콜은 일화에서 1982년 출시한 보리 탄산 음료로, 1980년대 큰 인기를 얻었으나 통일교 관련 논란과 경쟁 제품 등장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200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판매되며 현재 한국에서 유일하게 판매되는 보리 탄산 음료이다. - 일본국유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0계 전동차
신칸센 0계 전동차는 1964년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한 최초의 신칸센 차량으로, 흰색 차체에 파란색 줄무늬 디자인과 최고 속도 220km/h로 일본 고속철도 시대의 개막을 알렸으나 2008년 12월 퇴역하였다. - 일본국유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100계 전동차
신칸센 100계 전동차는 1985년 국철이 도카이도 신칸센에 투입하기 위해 개발한 전동차로, 0계 전동차의 노후화 및 디자인 개선, 승차감 및 쾌적성 향상을 목표로 "샤크 노즈"라 불리는 독특한 전면 마스크와 신칸센 최초의 2층 차량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며, 국철 민영화 후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에 승계되어 운용되다 2012년 3월 퇴역하였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미니 신칸센
미니 신칸센은 일본에서 기존 협궤 선로를 표준궤로 개궤하여 신칸센과 직통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며, 야마가타 신칸센과 아키타 신칸센에 적용되어 건설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이 있으나, 속도 제한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E8계 전동차
야마가타 신칸센에 투입하기 위해 개발된 신칸센 E8계 전동차는 E6계를 기반으로 산업 디자이너 오쿠야마 기요유키가 디자인을 담당하여 2023년부터 도입되어 기존 E3계를 대체하고 최고 속도 향상 및 좌석 개선 등을 통해 서비스 향상을 목표로 하며, 야마가타현의 자연을 모티브로 디자인된 외관과 그린샤와 보통차로 구성된 객실을 갖추고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신칸센 200계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차종 | 고속철도 차량 |
운행 기간 | 1982년 6월 23일 ~ 2013년 4월 14일 (30년 9개월 22일) |
제조사 | 히타치 가와사키 중공업 긴키 차량 일본차량제조 도큐 차량 |
제작 연도 | 1980년 ~ 1986년 |
퇴역 연도 | 1997년 ~ |
제작 수량 | 700량 (66개 편성) |
폐차 수량 | 695량 (K25 편성, 2004년 주에쓰 지진 피해) |
보존 차량 | 4량 |
편성 | 8량, 10량, 12량, 13량, 16량 (편성당) |
운영사 | 일본국유철도 (1982년 ~ 1987년) 동일본 여객철도 (1987년 ~ 2013년) |
소속 기지 | 니가타, 센다이 |
노선 | 도호쿠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 갈라유자와선 |
차체 재질 | 알루미늄 |
차량 길이 | 25,000mm |
차량 폭 | 3,385mm |
차량 높이 | 4,410mm |
문 개수 | 양쪽 2개 |
최고 속도 | 240km/h (과거 275km/h) |
구동 방식 | 사이리스터 구동 |
전력 공급 | 25kV AC, 50Hz 가공 전차선 25kV AC, 50Hz 및 60Hz 가공 전차선 (F80 편성 한정) |
집전 방식 | 팬터그래프 |
신호 장치 | ATC-2, DS-ATC |
연결 가능 차종 | 400계 신칸센, E3계 전동차 |
로렐상 수상 | 1983년 (제23회) |
기술 정보 | |
제어 방식 | 사이리스터 버니어 연속 위상 제어 |
주전동기 형식 | MT201형 직권 정류자 전동기 |
주전동기 정격 출력 | 230kW |
1시간 정격 출력 | 255kW |
기어비 | 2.17 |
가속도 | 1.5km/h/s |
감속도 | 0~70km/h 시 2.6km/h/s (고속 영역에서는 낮아짐) |
비상 감속도 | 0~70km/h 시 3.9km/h/s (고속 영역에서는 낮아짐) |
브레이크 방식 | 발전 브레이크 (초퍼 연속 제어)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 |
편성 정보 | |
K 편성 (10량) 정원 | 749명 (선두차 1500번대 매점 없음) |
F 편성 (12량) 정원 | 895명 (선두차 1500번대) |
H 편성 (16량) 정원 | 1,235명 (선두차 2000번대) |
E 편성 (12량) 정원 | 885명 (전 차량 기본 번대) |
F 편성 (12량) 중량 | 697톤 |
차량 규격 | |
전체 길이 | 25,150/26,050mm (선두차), 25,000mm (중간차) |
전체 높이 | 4,470mm |
차체 높이 | 4,000mm |
2. 디자인
1982년 도호쿠 신칸센 및 조에쓰 신칸센 개업에 맞추어 1980년에 등장했다. 100계보다 먼저 데뷔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열·형식 번호가 큰 것은, 등장 당시 도호쿠·조에쓰 신칸센 계통의 차량은 백의 자리 숫자가 짝수,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계통의 차량은 백의 자리 숫자가 홀수가 되도록 번호를 부여했기 때문이다.
선두 차량은 0계와 유사한 형태와 100계와 유사한 형태 두 종류가 있으며, 후자는 200·2000번대로서 구별하기도 한다. 200번대는 225형 또는 226형 중간차를 개조한 차량이고, 2000번대는 새로 제작된 차량이다.
주회로 제어에는 사이리스터 연속 위상제어를 채용하여, 0계의 탭 변환 제어보다 진보했다.
일본 철도 차량으로서는 처음으로 운전대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모니터 지원 장치를 장비했다. 초기에는 9.6kbps의 FSK(Frequency Shift Keying) 모뎀 전송을 통해 5행 정도의 도트로 가타카나, 알파벳, 숫자만 표시했다. 이후 삼성전자나 도시바의 LCD 디스플레이로 교체, 22.9kbps의 486 모뎀 전송을 통해 최대 25행의 컬러, 히라가나, 한자, 가타카나, 영어, 숫자, 사진을 지원하도록 개선되었다.
JR 이행 후에는 K편성과 100계에 준하는 2층 차량도 새로 제작되었다.
2. 1. 차량 외형
0계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지만, 차체 하부까지 일체형인 바디 마운트 구조를 채택하여 기기를 차체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내설·내한성을 향상시켰다. 0계와 동일한 강철 차체를 사용할 경우 중량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영업용 신칸센 전동차로는 처음으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했다.[26]전면 형상은 두 종류가 있다.
- 0계와 유사한 둥근 형태
- 100계와 유사한 뾰족한 형태 (200번대, 2000번대)
: 200번대는 225형 또는 226형 중간차를 개조한 차량이고, 2000번대는 새로 제작된 차량이다.
차체 도색은 엷은 황색(크림 10호)을 바탕으로 창문 부분에 녹색(녹색 14호) 띠를 둘렀다. 이는 눈 속에서 뚫고 나오는 새싹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등장 당시에는 "녹색의 질풍"이라는 애칭이 있었으나, 조에쓰 신칸센 개통 이후에는 '토키', 도호쿠 신칸센에서는 '야마비코'라는 애칭으로 변경되었다.[24]
폭설 지대를 운행하기 때문에 궤도면에 눈이 쌓여 있어도 문제없이 주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확인 시험도 실시되었다.[28] 차체 각 부분에는 동결 방지용 히터가 설치되어 있다.[28]

2. 2. 차량 내부
新幹線200系電車일본어의 보통차 좌석은 0계와 마찬가지로 해안 쪽 3열, 산 쪽 2열의 총 가로 5열 배치를 하였고, 0계에서 시도되었던 오렌지색을 기조로 한 간이 리클라이닝 시트(D-23, D-32)가 채용되었다. 좌석 간격은 980mm였으며, 3열 좌석은 집단 이반으로 회전이 불가능했지만 모켓은 교체되었다. 차내의 창 주변부는 FRP 유닛이 되어 음료 등 소품을 놓았던 창 아래의 턱이라고 불리는 공간이 폐지되었다. 홀수 호차와 짝수 호차에서 차내의 색상을 바꾸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홀수 호차는 객실 칸막이 및 커튼이 오렌지색, 짝수 호차는 녹색 계통이 되었다.1987년에 등장한 200, 2000번대는 100계와 같은 1,040mm 간격이 되었고, 프리 스톱 방식의 리클라이닝 시트, 3열 좌석도 회전 가능하게 되었다. 다만 200, 2000번대는 선두차에만 해당되었고, 중간차는 3열 좌석 회전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동일 편성 내에서 격차가 발생했다. 단열을 위해 창 유리는 3mm 두께의 강화 유리와 중간막, 그리고 5mm 두께의 복층 유리로 구성되어 있다[29]。
JR 동일본은 3열 좌석을 "본체 부분만 회전"시키는 방식을 고안했다. 이것은 양쪽 끝의 손잡이를 남겨두고 회전시키는 것으로, 좌석 간격을 넓히지 않고 프리 스톱 리클라이닝 시트화를 실현했다. 1990년에 H편성의 중간차 중 지정석 보통차가 되는 차량의 좌석을 교체하고, 해당 차량을 확대했다. 이 방식은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도 0계의 차내 개량 시에 채용했다.
K편성 리뉴얼과 관련해서는, 간이 리클라이닝이었던 것은 E4계와 동등한 것으로 교체되었다. 보통차의 3열 좌석도 전체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양쪽 끝의 팔걸이를 구부리고 등받이를 수직으로 하는 등의 궁리로 좌석 간격 980mm를 유지한 채 회전 가능하게 했다. 이미 "본체 부분만 회전"이었던 것은 모켓만 다시 씌웠다.
공조 장치는 다설 지역 및 한랭지를 운행하기 때문에, 0계의 AU56・57 (히트 펌프 방식)으로는 비교적 온난지인 도카이도·산요에서도 난방 능력이 부족했던 점을 변경했다[30]。신형식 AU82형은 난방 기능의 발열체에 기존의 시즈선이 아닌 PTC 서미스터(포지스타)를 사용했다[30]。AU82형 1기당 능력은 냉방이 29.07kW(25000kcal/h), 난방은 25kW를 갖고 있으며, 각 차량의 지붕 끝 부분에 2기씩 탑재된다(집약 분산식)[30][31]。이 외에, 승무원실 및 기기실용으로 전용 AU63형 공조 장치, 능력 4.65kW(4000kcal/h)를 선두차에 탑재했다[30]。
방송 장치는 후술할 모니터 장치와 연동되어 자동 방송 장치가 사용되었다[29]。
12량 편성 F편성의 11호차는 그린샤(1등석)였고, 9호차에는 뷔페가 있었다.[3]
3. 기술적 특징
1982년 도호쿠 신칸센 및 조에쓰 신칸센 개업에 맞춰 1980년에 등장했다. 100계보다 먼저 데뷔했음에도 형식 번호가 큰 이유는, 당시 도호쿠·조에쓰 신칸센 계통 차량은 백의 자리 숫자를 짝수로,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계통 차량은 홀수로 부여했기 때문이다.
0계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지만, 차체 하부까지 일체형인 바디 마운트 구조를 채택하여 기기를 차체 내부에 배치, 내설·내한성을 향상시켰다. 0계와 같은 강철 차체를 사용할 경우 중량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에, 신칸센 영업용 전동차로는 처음으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했다.
주회로 제어에는 사이리스터 연속 위상제어를 채용하여, 0계의 탭 변환 제어보다 진보했다. 겉모습은 0계와 비슷하지만, 기술적으로는 큰 차이가 있다.
일본 철도 차량으로서는 처음으로 운전대에 디스플레이 방식의 모니터 지원 장치를 장비했다. 초기에는 9.6kbps FSK(Frequency Shift Keying)모뎀 전송을 통해 5행 정도의 도트 단위로 가타카나, 알파벳, 숫자만 표시했다. 리뉴얼 차량은 삼성전자나 도시바의 LCD 디스플레이를 채용, 22.9kbps의 486모뎀 전송을 통해 최대 25행 정도의 도트에 의한 컬러, 히라가나, 한자, 가타카나, 영어와 숫자, 사진을 지원한다.
선두차 전면 형상은 0계와 유사한 형태와 100계와 유사한 두 종류가 있다. 100계와 유사한 전면 형상은 200·2000번대로 구별하며, 200번대는 225형 또는 226형 중간차를 개조한 차량이고, 2000번대는 신조(新造)차량이다.
차체 도색은 엷은 황색을 바탕으로 창문 테두리에 녹색 띠를 배치했다. 이는 한랭지를 달리므로 눈을 뚫고 나오는 새싹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것이다. 등장 당시에는 '초록의 질풍(하야테)'이라는 애칭이 있었으나, 조에쓰 신칸센 개통 당시부터 조에쓰 신칸센에서는 '토키', 도호쿠 신칸센에서는 '야마비코'라는 애칭으로 변경되었다.
JR 이행 후에는 K편성과 100계에 준하는 2층 차량도 신조되었다.
200계의 설계는 정면 조형이나 기본 크기 등은 0계를 기본으로 하지만, 특징적인 곡선을 그리는 스노우 플로, 약간 길어진 노즈 부분, 눈 대책이 된 흡기구와 제설실 공간 등 눈에 띄는 조형상의 차이뿐만 아니라,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대폭적인 변경이 있다.
- 내설/내한 대책: 눈 대책으로 0계에서 발생했던 문제(바닥 하부 기기에 눈이 얼어붙어 빙괴가 된 후 낙하하여 쇄석을 튀어 올리는 현상)를 해결하기 위해 차체 하부까지 일체형의 바디 마운트 구조 2중 바닥 구조를 채택하고, 바닥 하부 기기는 2중 바닥 사이에 배치했다. 이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차량 시스템의 내설·내한성을 향상시켰다.[25]
- 차체 재질: 0계와 같은 강철 차체를 사용하면 중량이 과대해지므로, 영업용 신칸센 전동차에서는 최초로 알루미늄 합금을 채택했다. 시험차 951형을 기반으로, 뼈대 골조는 가공성 및 용접성이 뛰어난 7N01(Al-Zn-Mg), 차체 외주부는 내식성이 뛰어난 5083(Al-Mg), 차체 측면부에서 지붕에 걸친 곡선부에는 7N01보다 압출 가공성이 뛰어난 7003(Al-Zn-Mg)을 구분하여 사용했다.[26] 이를 통해 뼈대 중량 7.5t(0계 대비 3t 경량화)을 실현했다. 단, 후년에 등장한 2층 차량(248형·249형)은 제조 비용 및 전동기 미탑재 관점에서 보통강으로 제작되었다.
- 제설실 설치: 전동기를 냉각할 때 외부 공기와 함께 흡입한 눈을 분리하기 위해 사이클론식 제설 분리 장치를 설치했다.[27]
- 스커트: 선두부 스커트는 스노우 플로와 일체화된 형태이다.[28]
- 동결 방지: 차체 각 부분에 동결 방지용 난방기(히터)를 설치했다. 측면 여닫이 레일, 경적, 대차 높이 조정 밸브, 축전지, 급수 장치, 전동 공기 압축기 등에 설치되었다.[28]
- 전면 형상: 2종류가 존재하며, 하나는 국철 시대에 제조된 0계와 비슷한 라운드 노즈, 다른 하나는 나중에 등장한 100계와 비슷한 샤크 노즈(200번대, 2000번대)이다. 0계와 비슷한 선두차 운전석 측면 창은 0계 2000번대와 마찬가지로 개폐 가능하게 제조되었다.
- 차체 도장: 크림 10호를 바탕으로 창 부분에 녹색 14호 띠를 배치했다.
0계와 마찬가지로 해안 측 3열, 산 측 2열의 총 가로 5열 좌석 배치를 했다. 0계에서 시도되었던 오렌지색을 기조로 한 간이 리클라이닝 시트(D-23, D-32)가 채용되었다. 좌석 간격은 980mm였으며, 3열 좌석은 집단 이반으로 회전이 불가능했지만 모켓은 교체되었다. 홀수 호차와 짝수 호차에서 차내 색상을 달리하여, 홀수 호차는 객실 칸막이 및 커튼이 오렌지색, 짝수 호차는 녹색 계통이었다.
1987년에 등장한 200, 2000번대는 100계와 같은 1,040mm 간격이 되었고, 프리 스톱 방식의 리클라이닝 시트, 3열 좌석도 회전 가능하게 되었다. 단, 200, 2000번대는 선두차에만 해당되었고, 중간차는 3열 좌석 회전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동일 편성 내에서 격차가 발생했다. 단열을 위해 창 유리는 3mm 두께의 강화 유리와 중간막, 그리고 5mm 두께의 복층 유리로 구성되어 있다.[29]
JR 동일본은 3열 좌석을 "본체 부분만 회전"시키는 방식을 고안했다. 이는 양쪽 끝의 손잡이를 남겨두고 회전시키는 것으로, 좌석 간격을 넓히지 않고 프리 스톱 리클라이닝 시트화를 실현했다. 1990년에 H편성의 중간차 중 지정석 보통차가 되는 차량의 좌석을 교체하고, 해당 차량을 확대했다. 이 방식은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도 0계의 차내 개량 시에 채용했다.
K편성 리뉴얼과 관련해서는, 간이 리클라이닝이었던 것은 E4계와 동등한 것으로 교체되었다. 보통차의 3열 좌석도 전체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양쪽 끝의 팔걸이를 구부리고 등받이를 수직으로 하는 등의 궁리로 좌석 간격 980mm를 유지한 채 회전 가능하게 했다. 이미 "본체 부분만 회전"이었던 것은 모켓만 다시 씌웠다.
공조 장치는 다설 지역 및 한랭지를 운행하기 때문에, 0계의 AU56・57 (히트 펌프 방식)으로는 난방 능력이 부족했던 점을 변경했다.[30] 신형식 AU82형 장치는 난방 기능 발열체에 기존의 시즈선이 아닌 PTC 서미스터(포지스타)를 사용했다.[30] AU82형 1기당 능력은 냉방이 29.07kW(25,000kcal/h), 난방은 25kW이며, 각 차량의 지붕 끝 부분에 2기씩 탑재된다(집약 분산식).[30][31] 이 외에, 승무원실 및 기기실용으로 전용 AU63형 공조 장치(4.65kW)를 선두차에 탑재했다.[30]
방송 장치는 후술할 모니터 장치와 연동되어 자동 방송 장치가 사용되었다.[29]
0계와 비교하여 선두차의 전두부가 약 600 mm 길어진 탓에 운전대의 높이는 약 260 mm 높아졌다.[29] 운전대는 오른손 조작의 마스콘 핸들 (가력 1 - 10노치), 왼손 조작의 브레이크 설정기(상용 1 - 7단·비상·제거 위치 및 긴급 브레이크 위치)로 구성된다.[21] 0계 신칸센에서는 브레이크 핸들을 삽입할 필요가 있었지만, 200계에서는 키 하나로 잠금이 해제된다.[21]
주 속도계는 0계와 마찬가지로 바늘이 옆으로 움직이는 아날로그 지침식이다.[32] 오른쪽에 백업용 보조 속도계가 배치되어 있지만, 보조 속도계는 격납식으로 되어 있어, 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납되며, 필요한 경우에만 옆에 있는 꺼냄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스프링의 힘으로 상승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샤크 노즈 선두차의 2000번대, 200번대 및 후술할 275 km/h 운전 대응 차량은 100계 신칸센과 마찬가지로 LED 램프가 옆으로 점등하는 주 속도계·보조 속도계 일체형으로 바 그래프식 디지털 미터가 되었다.[32]
국철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운전대에 모니터 지원 장치를 장착했다(오렌지색 단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방식). 이 장치는 9.6kbps의 FSK (Frequency Shift Keying) 모뎀 전송을 통해, 도트 매트릭스에 의한 가타카나・알파벳・숫자만을 8행 × 32문자(총 256문자를 동시에 표시 가능)로 각종 정보를 표시했다. 장치는 '''MON1형 모니터 장치'''라고 불렸다.[33]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킬로미터 정보 표시(일반 화면)[33]
- 현재 시각, 킬로미터, ATC 신호, 현재 속도, 가력・브레이크 노치 표시, 브레이크 종류, 기기 개방 정보 등이 표시된다.[29]
- 차량 고장 발생 시 응급 처치 간소화(기기 고장 발생 시 호차 등을 표시)[33]
- 개방 처치의 응답(고장 발생 처치 후 상태 표시)[33]
- 주요 기기의 동작 상태 표시[33]
- 차량 검사의 용이화(차량 검사 시, 지상의 검사 장치와 연계하여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33]
- 고장 데이터 저장(기기 고장 발생 시의 상황 기록)[33]
- 표시 화면의 지상 전송(열차 무선을 사용하여 모니터 표시 화면을 지상 CTC 센터로 전송)[33]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조작은 터치 패널이 아닌 펑션 키(킬로・고장・SET・CTC 등의 키)와 텐키(0 - 9)로 수행했다.[34]
모니터 지원 장치 오른쪽에 기기 원격 제어 스위치가 있어, 고장이 발생한 기기를 선택하여 원격 개방이 가능하다.[29]
- 개방 유닛 선택 스위치(1 - 8 유닛까지)[29]
- 개방 기기 선택 스위치
- 팬터그래프 하강, 팬터그래프 상승, VCB 차단, VCB 투입, 전원 유도, 전원 유도 리셋, M차 개방, MM 리셋, M'차 개방, 콤프 개방, 콤프 개방 리셋[29]
- 기기 개방 버튼[29]
주 회로 제어는 0계 저압 탭 제어를 대체하여, 가선으로부터의 교류 25kV를 주 변압기의 2차 권선을 유도 장해를 억제할 목적으로[35]부등 6분할(1:1:2:2:2:2)하고, 여기에 사이리스터와 다이오드를 부착한 브리지(정류 회로)를 설치하여 6분할 구성으로 한 사이리스터·다이오드 혼합 브리지로 하고, 전압비 1의 권선의 브리지를 사이리스터에 의한 위상 제어로 하고, 다른 권선의 브리지는 온·오프 제어에 의한 버니어 제어의 위상 제어로 함으로써, 2차 권선의 6분할 브리지를 10분할 브리지에 상당하는 위상 제어로 하고, 그것에 의해 정류·제어된 직류 전원으로 주 전동기를 구동하는 버니어 연속 위상 제어가 채용되었다.[36]
MM' 유닛을 채용하여, M차(221형·225형)에는 주 제어기와 주 저항기, 초퍼 제어 장치, 주 평활 리액터가, M'차(222형·226형)에는 집전 장치와 주 변압기, 주 제어 정류 장치, 정지형 변환 장치, 공기 압축기, 축전지 등이 탑재된다. 전기품은 미쓰비시 전기(Mitsubishi Electric)[37], 히타치 제작소(Hitachi)[38], 도시바(Toshiba)(당시)[39], 도요 전기 제조(Toyo Denki Seizo)[40], 후지 전기(Fuji Electric)(당시)[41]의 5개사가 제작하고 있다.
주 제어기는 전동 캠축식인 CS47 (4차차부터 변경)을 채용한다.[41] 발전 제동에서 저항기를 사용한 버니어 초퍼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환 캠과 저항 캠 외에 프리휠 다이오드와 과포화 변류기를 탑재한다.[41]
주 변압기는 송유 풍냉식 외철형인 TM202를 채용한다.[41] 1차 권선은 2,350kVA, 주 회로용 2차 권선은 2,100kVA, 보조 전원 회로용 3차 권선은 250kVA의 정격 용량을 갖는다.[41]
주 전동기는 직류 직권식 전동기 MT201을 채용한다.[41] 연속 구배나 강설시의 주행 저항 증가 대책으로 연속 정격 출력이 230kW로 증강되었으며, 냉각 방식을 설날 장치에 의한 타력 통풍 방식으로 변경했다.[41]
보조 전원 장치는 962형 시험 전차, 925형 전기 궤도 종합 시험차에 이어 정지형 변환 장치(SC201형·도쿄 시바우라 전기 및 도요 전기 제조製)를 채용했다.[39][40] SC201형 정지형 변환 장치는 주 변압기 3차 권선으로부터의 단상 교류 400V를 입력 전압으로 하여, 보조 변압기(정격 용량 29.5 kVA·19.5 kVA는 충전 정류 장치용, 10 kVA는 난방 등의 전원용), 철 공진형 정전압 변압기(안정화 전원·단상 교류 100V, 50Hz·정격 용량 3.5 kVA), 충전 정류 장치(직류 100V·정격 용량 13 kVA)를 하나의 기기 상자로 한 것이다.[39][40] 이 방식의 정지형 변환 장치는 400계 신칸센, 100계 신칸센에도 채용되었으며, 심플한 회로 방식에서 약간의 개량형이 500계 신칸센에도 채용되었다.[43]
브레이크는 발전 제동 (초퍼 연속 제어) 병용에 의한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 (상용·비상)를 채용한다.[44] 이 외에도, 110 km/h 이하에서 발전 제동 사용 시에만 내설 브레이크가 작용하며, 긴급 브레이크와 보조 브레이크를 갖추고 있다.[44] 전동 공기 압축기는 MH1068-TC1000A를 탑재한다.[44]
전동차대차는 DT201, 부수차 대차는 TR7002로 명명되었으며, 전동차는 0계와 동등한 것을 장착했다. 착설에 의한 동작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 부분에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기초 브레이크는, 전동차에서는 0계와 마찬가지로 발전 브레이크를 고속 영역에서의 감속에 사용하고, 저속 영역에서는 공기압 유압 변환식 벤틸레이티드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H편성 조성 시 신제작된 2층 객차의 248・249형은 200계 유일의 부수차였지만, 마찬가지로 부수차 2층 객차를 가지고 있던 100계와는 달리, 와전류 브레이크를 설치하지 않았다. 기계식 브레이크만으로 감속하기 때문에, 디스크 브레이크를 차축에 2개 설치하여, 제동력 부담을 분산시키고 있다.
IS식 축상 지지 장치, 침대 스프링은 0계와 마찬가지로 채용되었다.
집전 장치는 0계부터 계속해서 하부 교차형 팬터그래프가 채용되었다. PS201이라고 호칭한다. 집전주(가선과 접촉하는 부분)가 가동식이 된 미동 슬리브를 채용함으로써 가선 추종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팬터그래프 전류 회로에 페라이트 코어를 장착하여 전파 장애를 대폭 저감했다.[35] 게다가, 강설 대책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5.5kg에서 7.5kg까지 향상시켰다.[41]
초기의 200계 편성에서는 0계의 설계를 답습하여 전동차의 각 유닛마다 1기의 팬터그래프가 탑재되었지만, 팬터그래프가 많은 것이 주행 시 소음원이 되었기 때문에, 차량 간에 특고압 인통선을 인통하여, 팬터그래프를 올리지 않는 유닛에는 특고압 인통선으로부터의 가선 전기를 공급하게 되었다. 도호쿠·조에쓰 신칸센은 AT 급전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BT 급전 방식에 따라 트롤리선에 설치된 부스터 섹션이 없기 때문에, 부스터 섹션 단락에 의한 트롤리선에 흐르는 부하 전류 단락에 의한 파괴의 걱정이 없이 실시가 가능하며, F·H·K 편성에서는 천장에 늘어뜨린 고압 케이블에 의한 특고압 인통선을 차량에 인통하여, 각 차량 간을 케이블 헤드로 접속함으로써 팬터그래프의 실 사용 수를 삭감하게 되었다. 0계와는 달리,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공조 실외기가 차단부 2곳에 집약되어 있기 때문에, 200계에서는 이러한 인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팬터그래프의 일부는 차체에 탑재한 채로 접어 예비로 활용하고 있다.
이 인통선은, 신제 시부터 인통이 되어 있는 1000번대 차량의 경우에는 모두 산측(열차를 남북으로 늘린 시의 서측)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신제 후에 개조하여 설치된 0번대 차량(E 편성에서 개조되어 F 편성에 편입된 것 등) 중, 225형 등의 홀수 형식에서는 인통선은 해측(동측)에, 226형 등의 짝수 형식에서는 산측에 설치되어 있다.
팬터그래프 커버는, 상시 사용 팬터그래프에서는 사방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예비 팬터그래프는 차량 측면의 커버가 생략되어 있다.
본 계열은 단기간에 제조되었기 때문에, 제조 연도에 따른 변경점은 적지만, 아래와 같은 변경점이 있다.
4. 파생형
200계 전동차는 1982년 도입 이후 다양한 편성으로 운행되었다.[1]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편성 기호 | Mc | M' | M | M' | Mk | M' | Ms | M' | MB | M' | M | M'c |
차량 번호 | 221 | 226 | 225 | 226 | 225-400 | 226 | 215 | 226 | 237 | 226 | 225 | 222 |
- F편성: 1983년 11월에 도입된 최고 속도 240km/h의 12량 200-1000계열 열차이다. 일부 F편성은 H편성과 유사하게 뾰족한 코를 가진 선두차량으로 제작되었지만, H편성과 달리 단색 녹색 선을 특징으로 한다. 12량 편성 F편성의 구성은 다음과 같으며, 1호차가 도쿄 방향, 11호차는 그린샤(1등석), 9호차에는 뷔페가 있었다.[3]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기호 | Mc | M' | M | M' | Mk | M' | M | M' | MB | M' | MS | M'c |
차량 번호 | 221 | 226 | 225 | 226 | 225-400 | 226 | 225 | 226 | 237 | 226 | 215 | 222 |
2, 4, 10, 12호차에는 각각 1개의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었다. (F90-93편성의 경우 3, 5, 7, 9호차)[3]
- F90~F93편성: 1990년 3월부터 4개의 12량 F편성(F90–F93, 이전 F54, F59, F14, F16)을 개조하여 소수의 하행 ''아사히'' 열차에서 최고 275km/h로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275km/h 운행은 E2계 열차의 도입으로 1998년부터 조에쓰 신칸센에서 중단되었고, F90편성은 이후 다른 240km/h F편성과 상호 교환하여 사용되었다.
- F80편성: F17 편성 1개를 1997년 8월부터 1998년 1월까지 센다이 차량기지에서 개조하여 1998년 동계 올림픽이 열린 1998년 2월에 추가 나가노 신칸센 ''아사마'' 열차에 사용되었다. 개조 사항으로는 25 kV AC 50 Hz 및 60 Hz 가공 전원 공급 장치에서 모두 작동할 수 있는 기능, 16톤 축중 제한을 준수하기 위한 경량화 조치, 나가노 신칸센의 30‰ 구배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 제어 장비 등이 있었다.[4] 나가노 신칸센에서 운행할 때는 최고 속도가 210km/h로 제한되었다.[4] 1호차와 12호차인 양쪽 끝 객차의 좌석은 중량을 줄이기 위해 E2계 전동차 스타일의 좌석으로 교체되었다.[4]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차량 형식 | Mc | M' | M | M' | Mk | M' | M | M' | MB | M' | MS | M'c |
차량 번호 | 221-1514 | 226-1081 | 225-1033 | 226-1082 | 225-1417 | 226-1083 | 225-1034 | 226-1084 | 237-1017 | 226-1085 | 215-1017 | 222-1514 |
2, 4, 8, 10호차에는 각각 한 개의 크로스 암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었다.[4] 1998년 2월 이후 F80 편성은 다른 F 편성들과 상호 교환하여 사용되었으며, 2004년까지 운행되었다.
- G편성: 12량 E편성에서 개조된 10량 및 이후 8량 편성으로, 최고 속도는 210km/h였다. 1987년 4월 18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2]
- 초기 10량 편성 G편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2]
차량 번호 | 1 | 2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형식 | Mc | M' | M4 | M' | Ms | M' | MB | M' | M | M'c |
차량 번호 | 221 | 226 | 225-400 | 226 | 215 | 226 | 237 | 226 | 225 | 222 |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
형식 | Mc | M' | M4 | M' | Mhs | M' | MB | M'c |
차량 번호 | 221 | 226 | 225-400 | 226 | 215-300 | 226 | 237 | 222 |
2, 4, 6, 8호차에는 팬터그래프가 탑재되었다. 일부 편성에는 11호차의 237호차 식당차 대신 "Mpk"차(차량 번호 225-400)가 있었다.[3]
- H편성: 최고 속도 240km/h의 13량 편성 6개, 이후 16량 편성(H1~H6)으로 야마비코(''슈퍼 야마비코''라는 별칭) 운행에 사용되었으며, 2층 그린샤 2량(9호차와 10호차)을 포함했다.[5] 1990년 6월 23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2] 16량 편성 H편성을 이용한 정기 운행은 2004년 3월 13일 시간표 개정을 시작으로 종료되었지만, H4편성과 H5편성은 그린샤가 제거된 채 12량 편성으로 2004년 여름부터 계절별 운행으로 부활했다. 이 두 편성은 2005년 중반까지 존속했다.[2]
- 초기 13량 H편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2]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
형식 | Mc | M' | M | M' | Mk | M' | TsD | Ms | M' | MB | M' | M | M'c |
차량 번호 | 221 | 226 | 225 | 226 | 225-400 | 226 | 249 | 215 | 226 | 237 | 226 | 225 | 222 |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
형식 | Mc | M' | M | M' | M | M' | Mk | M' | T'sD | TsD | MCON | M' | M | M' | M | M'c |
차량 번호 | 221-200 | 226-100 | 225 | 226-100 | 225 | 226 | 225-400 | 226-100 | 249 | 248 | 225-100 | 226-100 | 225-200 | 226-100 | 225 | 222-200 |
좌석 정원 | 50 | 95 | 80 | 95 | 80 | 95 | 70 | 95 | 67 | 40 | 70 | 95 | 68 | 95 | 80 | 55 |
2, 4, 8, 12, 14호차에는 각각 1기의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었다.[3]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형식 | Mc | M' | M | M' | Mk | M' | M | M' | M | M' | Mcon | M'c |
차량 번호 | 221-200 | 226-100 | 225 | 226-100 | 225-400 | 226-100 | 225 | 226-100 | 225-200 | 226-100 | 225-100 | 222-200 |
2, 4, 6, 8, 10호차에는 각각 1기의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었다.[2]
- K편성: 최고 속도 240km/h로 운행하며, 400계 야마가타 신칸센 열차 및 E3계 아키타 신칸센 열차와 병결 운행을 위해 선두부에 연결기를 장착한 8량 또는 10량 편성이다. 도호쿠 신칸센에서 운행하던 남은 열차는 2011년 11월 19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지만, 200계 열차는 조에츠 신칸센에서 계속 사용되었다.[6] 마지막 남은 열차는 2013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정기 운행에서 퇴역했다.[7] K편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8]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차량 형식 | Mc | M' | M | M' | M | M' | Mpk | M' | Ms | M'c |
차량 번호 | 221 | 226 | 225 | 226 | 225 | 226 | 225 | 226 | 215 | 222 |
200계 각 형식명과 차종은 다음과 같다. 부수차인 248형과 249형을 제외하고, 홀수 형식과 짝수 형식은 MM' 유닛을 구성한다.
- '''215형''' (Ms): 그린석. 짝수 형식과 짝을 이루어 사용된다. 주 제어기, 주 저항기, 초퍼 제어 장치 등을 탑재한다.
- '''221형''' (Mc): 보통석을 갖춘 제어 전동차. 짝수 형식과 짝을 이루어 사용된다. 도쿄 방향 운전대, 변소, 세면소, 업무용 실을 갖추고 있으며, 주 제어기, 주 저항기, 초퍼 제어 장치 등을 탑재한다. 라운드 노즈와 샤크 노즈의 선두차 형태가 존재한다.
- '''222형''' (M’c): 보통석을 갖춘 제어 전동차. 홀수 형식과 짝을 이루어 사용된다. 하치노헤・니가타 방향 운전대를 갖추고 있으며, 집전 장치, 주 변압기, 주 제어 정류 장치, 정지형 변환 장치, 공기 압축기, 축전지 등을 탑재한다. 선두 형태는 221형과 동일하다. 1991년 이후, 일부 차량에는 400계 또는 E3계와의 병결용으로 분할・병합 장치가 선두에 설치되어 있다.
- '''225형''' (M, Mk): 보통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 짝수 형식과 짝을 이루어 사용된다. 변소, 세면소를 갖추고 있으며, 주 제어기, 주 저항기, 초퍼 제어 장치 등을 탑재한다. 그린차 215형을 보통차로 개조한 것은 100번대, 차량 판매 준비실을 갖춘 차량은 400, 1400번대("Mk" 약호)이다.
- '''226형''' (M'): 보통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 홀수 형식과 짝을 이루어 사용된다. 집전 장치, 주 변압기, 주 제어 정류 장치, 정지형 변환 장치, 공기 압축기, 축전지 등을 탑재한다.
- '''237형''' (Mb): 반실 뷔페를 갖춘 중간 전동차. 0계의 37형식에 준하며, 변소, 세면소, 장애인 대응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주 제어기, 주 저항기, 초퍼 제어 장치 등을 탑재한다. 뷔페 내 속도계는 디지털화되었다.
- '''248형''' (T'sbd): 그린석과 카페테리아를 병설한 2층짜리 부수차. 1층에 카페테리아, 2층에 그린석이 설치되었다. H편성에서만 사용되었으며, 6량만 제조되었다.
- '''249형''' (Tsd): 보통석과 그린석을 병설한 2층짜리 부수차. 1층에는 1인용 그린 개실 3실, 2인용 그린 개실 1실, 4인용 보통 개실 5실, 2층은 그린석이 설치되었다. H편성에서만 사용되었으며, 6량만 제조되었다.
형식 | 차량 번호 | 정원 | 제조 수 | 제조 총수 | 비고 |
---|---|---|---|---|---|
215 | 1 - 36 | 52명 | 36량 | 57량 | |
1001 - 1021 | 21량 | 차내 설비는 0번대와 동일. | |||
221 | 1 - 36 | 45명 | 36량 | 59량 | |
1001 - 1003 | 3량 | 차내 설비는 0번대와 동일. | |||
1501 - 1518 | 50명 | 18량 | 차내 설비는 0번대와 거의 동일. | ||
2001, 2002 | 2량 | 시트 피치를 1040mm로 확대. | |||
222 | 1 - 36 | 55명 | 36량 | 59량 | |
1001 - 1003 | 3량 | 차내 설비는 0번대와 동일. | |||
1501 - 1518 | 60명 | 18량 | 차내 설비는 0번대와 거의 동일. | ||
2001, 2002 | 2량 | 시트 피치를 1040mm로 확대. | |||
225 | 1 - 72 | 80명 | 72량 | 171량 | |
401 - 436 | 70명 | 36량 | 매점 부착. | ||
1001 - 1042 | 80명 | 42량 | 외관, 차내 설비는 0번대와 동일. | ||
1401 - 1421 | 70명 | 21량 | 외관, 차내 설비는 400번대와 동일. | ||
226 | 1 - 180 | 95명 | 180량 | 285량 | |
1001 - 1105 | 105량 | 외관, 차내 설비는 0번대와 동일. | |||
237 | 1 - 36 | 28명 | 36량 | 57량 | |
1001 - 1021 | 21량 | 외관, 차내 설비는 0번대와 동일 | |||
248 | 1 - 6 | 40명 | 6량 | 6량 | |
249 | 1 - 6 | 55명 | 6량 | 6량 |
장기간 사용 과정에서 운용 재검토 등으로 인해 발생한 각 형식의 개조에 따른 차호 구분은 다음과 같다. (보통차 시트 피치: 980mm,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 '''215형''' (Ms, Mhs)
- 100번대: 보통차 225형을 그린차로 개조. 초기에는 900번대 (901, 902).
편성명 | 낙성일 | 제조 회사 | 편성 번호 | 리뉴얼 공사 | 편성명 삭제 | 비고 |
---|---|---|---|---|---|---|
F1 | 1983년 11월 22일(센다이) | 긴키 차량 | K41 | 1999년 10월 4일 | 2013년 2월 19일(니가타) | |
F2 | 1983년 12월 24일(니가타) | 가와사키 중공업 | K42 | 2002년 1월 8일 | 2013년 3월 7일(니가타) | |
F3 | 1983년 12월 7일(니가타) | 히타치 제작소 | K43 | 2001년 10월 11일 | 2013년 4월 3일(니가타) | |
F4 | 1984년 6월 1일(센다이) | 일본 차량 제조 | F51→K1→K21 | 2000년 3월 29일 | 2012년 1월 16일(니가타) | |
F5 | 1984년 6월 15일(센다이) | 히타치 제작소 | K2→K22 | 2001년 6월 8일(센다이) | ||
F6 | 1984년 6월 29일(센다이) | 가와사키 중공업 | K3→K23 | 2001년 3월 24일(센다이) | ||
F7 | 1984년 7월 13일(니가타) | 도큐 차량 제조 | K4→K24 | 2003년 11월 7일(니가타) | ||
F8 | 1984년 7월 27일(니가타) | 긴키 차량 | F40→K5→K25 | 1999년 7월 6일 | 2005년 3월 25일(니가타) |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피해 폐차 |
F9 | 1984년 8월 9일(센다이) | 가와사키 중공업 | K6→K26 | 2000년 12월 27일 | 2013년 1월 15일(니가타) | |
F10 | 1984년 9월 11일(센다이) | 일본 차량 제조 | K44 | 2000년 10월 2일 | 2012년 6월 18일(니가타) | |
F11 | 1984년 9월 28일(센다이) | 히타치 제작소 | K45 | 2003년 1월 9일(니가타) | ||
F12 | 1984년 10월 11일(센다이) | 긴키 차량 | K46 | 2001년 3월 23일 | 2013년 1월 31일(니가타) | |
F13 | 1984년 10월 24일(센다이) | 도큐 차량 제조 | K47 | 1999년 2월 9일 | 2013년 4월 25일(니가타) | 리뉴얼 제1호 편성·복각 도장 편성 |
F14 | 1984년 11월 8일(센다이) | 가와사키 중공업 | F92 | 2002년 12월 8일(센다이) | 275km/h 대응 편성 | |
F15 | 1984년 11월 20일(센다이) | 일본 차량 제조 | K48 | 1999년 12월 28일 | 2011년 12월 5일(니가타) | |
F16 | 1984년 12월 5일(센다이) | 히타치 제작소 | F93 | 2004년 4월 16일(센다이) | 275km/h 대응 편성 | |
F17 | 1984년 12월 17일(센다이) | 가와사키 중공업 | F80 | 2004년 6월 18일(센다이) | 나가노 신칸센 운행 대응 | |
F18 | 1985년 2월 16일(센다이) | 도큐 차량 제조 | K49 | 2000년 7월 4일 | 2012년 2월 13일(니가타) | |
F19 | 1985년 2월 28일(센다이) | 긴키 차량 | - | 2007년 5월 11일(니가타) | 마지막까지 남은 비 리뉴얼 편성 | |
F20 | 1985년 4월 2일(센다이) | 일본 차량 제조 | K50 | 2003년 2월 1일(니가타) | ||
F21 | 1985년 4월 4일(센다이) | 가와사키 중공업 | K51 | 2001년 7월 14일 | 2013년 6월 3일(니가타) | 200계 최종 폐차 편성 |
'''200·2000번대(F·H 편성)'''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style="font-size:80%"
! 차량 번호
! 낙성일
! 249형
! 248형
! 제조 회사
! 종차
! 편성 번호
! 편성명 삭제
! 비고
|-
! 221/222-201
| 1988년 2월 27일(센다이)
| 1990년 7월 28일
| 1991년 3월 3일
| rowspan="7" | 센다이 종합 차량소
248형: 일본 차량 제조
249형: 도큐 차량 제조
| 225-43
226-104
| F42→H5
| 2004년 6월 23일·2005년 8월 28일(센다이)
|
|-
! 221/222-202
| 1990년 1월 29일(센다이)
| 1990년 4월 29일
| 1990년 12월 25일
| 225-7
226-42
| F43→H1
| 2004년 5월 5일·14일(센다이)
|
|-
! 221/222-203
| 1990년 2월 16일(센다이)
| 1990년 6월 26일
| 1991년 2월 25일
| 225-8
226-44
| F57→H2
| 2003년 12월 19일·2004년 1월 8일(센다이)
|
|-
! 221/222-204
| 1991년 2월 5일(센다이)
| 1990년 7월 18일
| 1991년 2월 5일
| 225-25
226-62
| H6
| 2004년 4월 2일·10일(센다이)
|
|-
! 221/222-205
| 1991년 4월 12일(센다이)
| -
| -
| 225-26
226-64
| F5
| 2003년 3월 15일(센다이)
|
|-
! 221/222-206
| 1992년 4월 27일(센다이)
| -
| -
| 225-1011
226-1017
| F40
| 2002년 8월 12일(센다이)
|
|-
! 221/222-207
| 1992년 6월 26일(센다이)
| -
| -
| 225-69
226-1019
| F8
| 2006년 6월 25일(니가타)
|
|-
! 221/222-2001
| 1987년 3월 27일(센다이)
| 1990년 7월 18일
| 1991년 3월 3일
| rowspan="2" | 가와사키 중공업
248형: 일본 차량 제조
249형: 도큐 차량 제조
| -
| F58→H4
| 2004년 6월 23일·2005년 5월 28일(센다이)
|
|-
! 221/222-2002
| 1987년 3월 27일(센다이)
| 1990년 7월 16일
| 1991년 3월 3일
| -
| F52→H3
| 2004년 1월 21일·2월 14일(센다이)
|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 2006년
12량 편성, 라운드 노즈의 앞면 형상. 도호쿠 신칸센・조에쓰 신칸센 개업에 대비하여 투입된 편성. 210km/h 주행 대응.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와 니가타 신칸센 제1 운전소에 각각 18개 편성씩 총 36개 편성(E1 - E36 편성)이 배치되었다.
; 1차차(1980/10 - 11・48량)
- E1 - E4 편성(설해 방지 대책 시험용[53]。센다이・니가타에 2개 편성씩 반입[53])
- 1979년(쇼와 54년) 12월 - 1980년(쇼와 55년) 3월에 걸쳐 선행으로 완성된 도호쿠 신칸센 센다이 차량 기지의 분기부에서 키타카미역 앞까지의 키타카미 시험선(연장 114.7 km)을 사용하여 925형 전기 궤도 종합 시험차를 사용한 설비 감사와 설해 대책 시험을 실시했다[54](1겨울).
- 다음 1980년(쇼와 55년) 12월 - 1981년(쇼와 56년) 3월에 걸쳐서는, 도호쿠 신칸센에서는 키타카미 시험선을 북쪽으로 53.0 km 연장한 모리오카역 및 모리오카 신칸센 제1 운전소(당시)까지 167.7 km로 연장, 925형 전기 궤도 종합 시험차 1개 편성 및 200계 1차차 2개 편성을 설비 감사(연장 구간)와 설해 대책 시험에 사용했다[54][55](2겨울). 같은 시기에 조에쓰 신칸센에서도 선행으로 완성된 나가오카역 부근에서 니가타역 및 니가타 신칸센 제1 운전소(당시)까지 63.9 km를 설해 대책 시험에 사용했다[54][56]。962형 시험 전차 2량과 921형 궤도 시험차 1량(200계와 병결하여 사용) 및 200계 1차차 2개 편성을 사용했다[54]。
; 2차차(1981/1 - 3・60량)
; 3차차(1981/7 - 10・156량)
; 4차차(1981/12 - 1982/3・84량)
- E23 - E29 편성
; 5차차(1982/3 - 8・84량)
- E30 - E36 편성
기본 번대의 E1 - E36 편성은 1980년(쇼와 55년)부터 1982년(쇼와 57년)까지 432량이 제조되었다.
편성 중에 연결된 225형 중 5호차에는 차내 판매 준비실을 갖춘 225형 400번대 차량이 연결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80%;"
|+기본 번대 편성표(낙성시)
| style="background-color:#ccc;" |
| colspan="12" style="background-color:#4da;"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ccc;" |
|-
!호차
|1||2||3||4||5||6||7||8||9||10||11||12
! rowspan="3" |제조 구분
! rowspan="3" |제조 년차
! rowspan="3" |제조 메이커
|-
!형식
|221형
(Mc)
|226형
(M')
|225형
(M)
|226형
(M')
|225형
(Mk)
|226형
(M')
| style="background-color:#cf9;" |215형
(Ms)
|226형
(M')
| style="background-color:#fc6;" |237형
(Mb)
|226형
(M')
|225형
(M)
|222형
(M'c)
|-
!좌석
| colspan="6" |보통차
| style="background-color:#cf9;" |그린샤
|보통차
| style="background-color:#fc6;" |뷔페차
| colspan="3" |보통차
|- style="border-top:solid 4px #999;"
!E1
| 1 || 1 || 1 || 2 || 401 || 3 || 1 || 4 || 1 || 5 || 2 || 1 || rowspan="5" |1차차|| rowspan="5" |1980||일본 차량
|-
!E2
| 2 || 6 || 3 || 7 || 402 || 8 || 2 || 9 || 2 || 10 || 4 || 2 ||가와사키 중공업
|-
! rowspan="2" |E3
| colspan="6" style="background-color:#ccc;" | || 3 || 11 || 3 || 12 || 5 || 3 ||히타치 제작소
|-
| 3 || 13 || 6 || 14 || 403 || 15 || colspan="6" style="background-color:#ccc;" | ||긴키 차량
|-
!E4
| 4 || 16 || 7 || 17 || 404 || 18 || 4 || 19 || 4 || 20 || 8 || 4 ||도큐 차량
|-
!E5
| 5 || 21 || 9 || 2
7. 탈선 사고
2004년 10월 23일 오후 5시 56분경(일본 표준시)에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이 발생하여, 도쿄발 니가타행 '도키' 325호(K25편성)가 시속 약 200km로 주행 중 나가오카역 앞 약 5km 지점인 타키야 터널 앞에서 피해를 입어, 10량 중 8량이 탈선했다. 이는 일본 신칸센 사상 최초의 영업 운전 중 탈선 사고였다.[84]
항공·철도 사고 조사 위원회는 중간 보고 후 3년 뒤인 2007년 11월 30일에 최종 보고서를 발표했다. 당초에는 차체가 순간적으로 떠올랐다고 알려졌지만, 보고서에서는 지진의 흔들림으로 인해 씨름의 '시코'를 밟는 듯한 상태가 되어 탈선에 이르게 되었다고 결론지었다.
이 사고로 K25편성은 손상이 심해 2005년 3월 25일에 폐차되었고, 당초 폐차 예정이었던 리뉴얼 개조 미시공차 K31편성의 운용이 2005년 말까지 연장되었다. 2006년 초 K31편성이 폐차되었고, 그 대체 차량으로 2005년 12월에 E2계 J69편성이 제조되었다.
200계는 60t 정도의 무거운 차량이었으므로, 승객 155명 중 부상자는 없었다.[2] 대부분 경상을 입었으며, 이는 신칸센의 안전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독일 ICE는 탈선 대비 장치가 없어 에세데 참사에서 많은 사람들이 중상을 입었다.
2005년 10월 19일, JR 동일본은 사고의 교훈을 남기기 위해 해당 편성의 일부를 후쿠시마현시라카와시의 종합 연수 센터 내에 정태 보존한다고 발표했다.[69] 2013년 9월에는 1호차 221-1505가 후쿠시마현 시라카와시의 연수 센터로 이전되었다.
8. 보존 및 전시
221-1일본어, 237-1일본어(E1편성 → F30편성):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에 보존 중이다.[89]
215-1일본어, 222-1일본어, 226-1일본어, 249-5일본어(E1편성, F30편성, H5편성):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에 보존했다가[89] 2010년에 해체되었다.
215-15일본어, 221-15일본어, 237-15일본어(E15편성 → F37편성): 하코다테 본선 나가레야마 온천역에 유치 되었다가[89] 2013년에 해체되었다.[90]
222-35일본어 (K31편성):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에 위치한[89] 철도박물관에 보존되었다.[89]
221-1510일본어 (F13편성 → K47편성): 2013년 6월 22일부터 니가타 니쓰 철도박물관에 전시를 시작했다.
'''221-1일본어''' 및 '''237-1일본어''' (구 E1편성, 후일 F30): 미야기현미야기군리후정의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에 2량이 정비되어 보존되어 있다.
'''222-35일본어''' (E35→F56 편성 12호차→K11 편성 8호차→K31 편성 10호차): 사이타마현사이타마시오미야구의 철도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차내와 차체 하부를 견학할 수 있다. 또한, 병결용 연결기의 전개·수납도 실연하고 있다.
'''221-1510일본어''' (F13→K47 편성 1호차): 니가타현니가타시아키하구의 니가타시 신쓰 철도 자료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2013년 6월 22일부터 일반 공개를 시작했다. 5월 26일부터 다음날 27일 새벽에 걸쳐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에서 자료관 본관까지 육송되었다. 본관에는 종래 200계 전동차 선두부의 실물 크기 모형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리뉴얼에 따라 상기 221일본어형과 교체되는 형태로 해체되었다.

'''226-1일본어''', '''215-1일본어''', '''222-1일본어'''(E1→F30편성 2, 11, 12호차), '''249-5일본어'''(H5편성 9호차): 과거에는 미야기현 미야기군 리후정의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 야외에 유치되어 있었으나, 2010년에 해체되었다.
'''221-15일본어''', '''215-15일본어''', '''222-15일본어'''(E15→F37편성 1, 11, 12호차): 홋카이도 가메다군 나나에정의 하코다테 본선 나가레야마 온천역 앞에 보존되어 있었다. 이 차량은 홋카이도 신칸센의 개통을 기원하며 보존되었으나, 실제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을 기다리지 못하고 2013년 6월 말까지 해체되었다.[79]
'''221-1505일본어'''(K25편성 1호차): 2004년 10월 23일에 발생한 주고쿠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K25편성의 1호차. 마지막 운행은 니가타행 325호였다. 만년에는 니가타현 니가타시 히가시구의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 내에 유치되어 있었으나, 후에 1호차를 제외하고 해체되었다. 2013년 9월 상순에 해체를 면한 1호차가 후쿠시마현 시라카와시의 JR 동일본 종합 연수 센터 내로 이설되어 보존·전시되고 있다. 2024년 3월에 폐차.
참조
[1]
간행물
Kōyūsha Co., Ltd.
1996-11
[2]
서적
JRR
2011-03
[3]
서적
JRR
1998-07
[4]
간행물
Kōyūsha Co., Ltd.
1998-04
[5]
서적
JRR
2000-01
[6]
간행물
Kōyūsha Co., Ltd.
2011-12
[7]
웹사이트
http://www.tetsudo.c[...]
Asahi Interactive Inc.
2012-12-21
[8]
간행물
Kōyūsha Co., Ltd.
2011-05
[9]
간행물
Kōtsū Shimbun
2012-08
[10]
간행물
Kōtsū Shimbun
2012-08
[11]
간행물
Koyusha Co., Ltd.
2013-02
[12]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3-04-01
[13]
웹사이트
http://www.jr-sendai[...]
East Japan Railway Company, Sendai Division
2013-02-26
[14]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3-04-15
[15]
서적
San-ei
[16]
웹사이트
http://www.jrhokkaid[...]
Hokkaido Railway Company
2013-05-24
[17]
문서
[18]
서적
高速鉄道物語 -その技術を追う-
成山堂書店
[19]
PDF
100系新幹線電車の車両構造
https://www.hitachih[...]
日立製作所
1986-03
[20]
간행물
東海道・山陽新幹線にモデルチェンジ車を投入(1)
車両電気協会
1984-08
[21]
간행물
東北,上越新幹線の話(その4) - 200系新幹線電車のブレーキ制御 -
車両電気協会
1980-10
[22]
서적
新幹線電車データブック 2011
交通新聞社
[23]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Vol.1 新幹線
三栄書房
[24]
간행물
新幹線200系
交友社
1996-11
[25]
문서
[26]
웹사이트
鉄道車両における車体軽量化設計の実際 : 主として新幹線電車の車体について
https://cir.nii.ac.j[...]
1982-07-05
[27]
PDF
鉄道車両用雪分離装置
https://www.hitachih[...]
日立製作所
1979-10
[28]
간행물
東北,上越新幹線の話(10) - 200系電車の雪寒害設備 -
車両電気協会
1981-11
[29]
간행물
200系新幹線電車
日本鉄道運転協会
1982-02
[30]
간행물
冷房今昔物語 - 鉄道車両冷房の沿革 -
車輛工学社
1981-10
[31]
PDF
車両用空気調和装置
https://www.giho.mit[...]
三菱電機
1981-01
[32]
간행물
新幹線200系
交友社
1996-11
[33]
간행물
JR東日本における車両情報システム
鉄道ジャーナル社
2004-09
[34]
간행물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による新幹線電車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第4報)
日本鉄道サイバネティクス協議会
1980
[35]
간행물
Ii. 200系新幹線電車
https://www.jstage.j[...]
1982
[36]
서적
鉄道ピクトリアル2005年12月号
電気車研究会
[37]
간행물
東北・上越新幹線向け200系電車用電機品
三菱電機
1981-11
[38]
간행물
200系新幹線電車の主要電気品
日立製作所
1981-11
[39]
간행물
200系新幹線電車の電気機器
東京芝浦電気
1981-11
[40]
간행물
東北上越新幹線200系電車の電機品について
東洋電機製造
1981-11
[41]
간행물
日本国有鉄道200系新幹線電車用電気機器
https://www.fujielec[...]
富士電機
1982-06
[42]
문서
브러시는 30만㎞까지 교환 불필요, 축수 구조는 90만㎞까지 점검 불필요
[43]
간행물
新幹線用補助電源装置
東洋電機製造
1998-11
[44]
간행물
JNR200系新幹線のブレーキシステムについて
日本エヤーブレーキ
1982-01
[45]
간행물
56年総集編
東洋電機製造
1982-01
[46]
간행물
56年総集編
東洋電機製造
1984-03
[47]
간행물
56年総集編
東洋電機製造
1985-03
[48]
논문
鉄道ジャーナル社
1999-04
[49]
웹사이트
200系新幹線電車のリニューアル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1998-01-29
[50]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9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9-07-01
[51]
문서
객실과 데크를 분리하는 문도 교체되었지만, 도어 장치는 종차의 공기압식을 유용하고 있다.
[52]
문서
이 중 K47 편성은 2012년 6월 23일의 "도호쿠 신칸센 오미야 개업 30주년 기념호"(야마비코 235호) 운전 시 랩핑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부흥 추진 스티커가 벗겨져 있었다. 그 후, 1호차의 "연결하자 일본"의 스티커만을 붙여 정기 운용을 실시하고 있었다.
[53]
간행물
55年総集編
東洋電機製造
1981-02
[54]
간행물
2冬目を迎えた雪試験
日本鉄道運転協会
1981-01
[55]
간행물
東北新幹線雪試験を終えて
日本鉄道運転協会
1981-07
[56]
간행물
上越新幹線雪試験線について
鉄道電化協会
1980-11
[57]
서적
東北・上越新幹線 東北・上越から山形・秋田・長野新幹線まで20年の歩み
JTBパブリッシング
[58]
서적
鉄道ファン 2008年7月号(車両配置表)
交友社
[59]
서적
鉄道ファン1996年11月号
交友社
[60]
서적
鉄道ファン1996年11月号
交友社
[61]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Vol.1 新幹線
三栄書房
[62]
서적
新幹線EXPLORER Vol.11 新幹線車両DATABOOK200系
イカロス出版
[63]
문서
東海道・山陽新幹線のATCは220信号以上での抑止速度は現示速度+5km/h(300のみ+3km/h)であるのに対し、東北・上越・長野新幹線(当時)では現示速度=抑止速度のため。
[64]
서적
名列車列伝シリーズ12 新幹線あさひ&上越特急とき+JR東日本の新幹線電車
イカロス出版
[65]
서적
東北・上越新幹線 東北・上越から山形・秋田・長野新幹線まで20年の歩み
JTBパブリッシング
[66]
뉴스
東北新幹線でマッサージを
日本経済新聞社
2000-12-02
[67]
문서
드림 캠페인 호 이래, JR 동일본의 신칸센에서 디즈니의 래핑을 한 신칸센은 잠시 없었지만, 2023년에 도쿄 디즈니랜드 개원 40주년을 기념하여, 2023년 12월 24일부터 2024년 3월 28일까지 E2계 J69 편성에 「Magical Dream Shinkansen」의 래핑이 베풀어진 것 외, 2024년 10월 10일부터 2025년 6월말경까지의 예정으로, 도쿄 디즈니씨에 판타지 스프링스가 개업한 것을 기념하여, E5계 1편성에 「Magical journey Shinkansen」의 래핑이 베풀어졌다.
[68]
문서
공교롭게도, 이 때 탈선한 것은 앞서 말한 J69 편성였다. 덧붙여 이 편성은 손상이 경미했기 때문에, 그 후 수리를 받아 2011년내에 운용 복귀하여, 2024년 3월에 운용을 종료했다.
[69]
PDF
大規模地震に対する当社の取組みについて
http://www.jreast.co[...]
JR東日本
2005-10-19
[70]
뉴스
E5系車両を東北新幹線に追加投入!E2系車両を上越新幹線に投入!
http://www.jreast.co[...]
2012-11-16
[71]
뉴스
201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12-12-21
[72]
PDF
「ありがとう200系 日帰り満喫の旅」を発売!!
https://web.archive.[...]
東日本旅客鉄道 仙台支社(インターネットアーカイブ)
[73]
PDF
旅行商品専用新幹線「さよなら200系やまびこ号」 運転および「専用旅行商品」の発売について
https://web.archive.[...]
東日本旅客鉄道 盛岡支社(インターネットアーカイブ)
[74]
뉴스
びゅうトラベルサービス「ありがとう200系新幹線 特別企画」を発売
http://railf.jp/even[...]
交友社『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3-02-21
[75]
PDF
仙台・宮城デスティネーションキャンペーン特別企画旅行商品「ありがとう200系で行く東京・大宮・東京ディズニーリゾート Rへの旅」を発売します!!
https://web.archive.[...]
東日本旅客鉄道 仙台支社(インターネットアーカイブ)
[76]
PDF
「さよなら200系」号の惜別ラッピングデザインを募集します!
https://web.archive.[...]
東日本旅客鉄道 新潟支社(インターネットアーカイブ)
[77]
문서
JR電車編成表2014冬
[78]
PDF
団体臨時列車200系「春満喫TYO号」を運転します!!
https://web.archive.[...]
東日本旅客鉄道 新潟支社(インターネットアーカイブ)
[79]
PDF
流山温泉駅に設置されている新幹線200系車両の撤去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80]
간행물
JR東日本 "東北新幹線大宮開業25周年記念号" 運転
Kōtsū Shimbun
2012-08
[81]
웹인용
国鉄型が続々引退、2013年春のダイヤ改正
http://www.tetsudo.c[...]
Asahi Interactive Inc.
2012-12-21
[82]
간행물
復活 ! "はやぶさ",東北新幹線
Kōyūsha Co., Ltd.
2011-12
[83]
웹인용
「さよなら200系号」運転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3-04-15
[84]
서적
新幹線電車データブック2011
JRR
2011-03
[85]
서적
JR電車編成表 '98夏号
JRR
1998-07
[86]
간행물
200系F80編成
Kōyūsha Co., Ltd.
1998-04
[87]
서적
JR電車編成表 '00冬号
JRR
2000-01
[88]
간행물
今こそ200系
Kōyūsha Co., Ltd.
2011-05
[89]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 Vol.1 新幹線
San-ei
[90]
웹인용
流山温泉駅に設置されている新幹線200系車両の撤去について
http://www.jrhokkaid[...]
Hokkaido Railway Company
2013-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