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원자가 분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원자가 분자는 1920년대 화학 결합에 대한 논쟁에서 시작된 개념으로, 15~18족 원소가 옥텟 규칙을 넘어선 원자가를 갖는 분자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랭뮤어와 루이스의 논쟁, 3중심 4전자 결합 개념의 등장, 그리고 머셔의 공식적인 정의를 거쳐왔다. 초원자가 분자는 N-X-L 명명법으로 분류되며, VSEPR 모형, 분자 궤도 이론, 원자가 결합 이론 등으로 결합을 설명한다. 이들의 구조, 반응성 및 반응 속도는 *ab initio* 계산을 통해 연구되며, 초원자가 수소화물과 같은 특수한 경우도 존재한다. 듀란트는 원자 전하 지도를 활용한 새로운 정의를 제안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자기하 - 삼각쌍뿔
삼각쌍뿔은 6개의 정삼각형 면, 5개의 꼭짓점, 9개의 모서리를 가진 존슨 다면체이자 델타다면체로, 두 정사면체를 밑면끼리 결합한 형태이며, 분자 기하학, 색채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분자기하 - 배위수
배위수는 중심 원자에 직접 결합한 이웃 원자의 총 개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배위 화합물의 성질과 원자 배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결정 구조나 리간드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고 실험적 방법이나 계산 화학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 화학 결합 - 원자가 전자
원자가 전자는 원자의 최외각 전자껍질에 존재하며 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주족 원소는 최외각 전자껍질의 전자로 정의되지만 전이 원소는 (n-1)d 궤도의 전자도 포함하며, 주기율표 족에 따라 예측 가능하지만 예외도 존재하고, 화학 결합, 산화 상태, 전기 전도도에 영향을 미친다. - 화학 결합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초원자가 분자 | |
|---|---|
| 개요 | |
| 정의 | 주족 원소 화합물 중 옥텟 규칙을 넘어선 8개 이상의 원자가 전자를 갖는 분자 |
| 예시 | |
| 분자 | PCl5 SF6 ClF3 ClO2- I3-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M. Fugel, L. A. Malaspina, R. Pal, S. P. Thomas, M. W. Shi, M. A. Spackman, K. Sugimoto and S. Grabowsky, Revisiting a Historycal Concept by Using Quantum Crystallography: Are Phosphate, Sulfate and Perchlorate Anions Hypervalent? Chem. Eur. J., 2019, 25, 6523-6532 Musher, J. I., The Chemistry of Hypervalent Molecules, Angew. Chem. Int. Ed. Engl., 1969, 8, 54-68 |
2. 역사와 논쟁
초원자가 분자의 개념과 관련된 논쟁은 1920년대 길버트 N. 루이스와 어빙 랭뮤어 사이의 화학 결합의 본질에 대한 논쟁에서 시작되었다.[3] 루이스는 초원자가를 설명하기 위해 확장된 옥텟 규칙을 적용하여 2중심 2전자(2c-2e) 결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PF5나 SF6 같은 분자의 결합은 중심 원자의 sp3dn 혼성 오비탈로 설명되었다. 반면 랭뮤어는 옥텟 규칙을 중시하며, 이를 위반하지 않기 위해 이온 결합을 통해 초원자가를 설명하고자 했다. 예를 들어 SF6는 SF42+ 2F−와 같은 이온 결합 형태로 설명했다.
초원자가 분자는 1969년 제러미 I. 머셔가 처음 공식적으로 정의했으며, 15~18족의 중심 원자가 해당 족의 가장 낮은 원자가(15족은 3, 16족은 2, 17족은 1, 18족은 0) 이외의 원자가를 갖는 분자를 의미한다. 이는 옥텟 규칙에 기반한 정의이다.[1]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에 서그덴은 2중심 1전자(2c-1e) 결합 개념을 제안하며, 확장된 옥텟이나 이온 결합 없이도 초원자가 분자의 결합을 설명하려 했으나, 당시에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 이후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런들과 피멘텔은 3중심 4전자 결합 개념을 대중화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서그덴이 제시했던 아이디어와 유사하다. 3중심 4전자 결합은 두 개의 공선상 2중심 1전자 결합으로 구성되며, 나머지 두 개의 비결합 전자는 리간드에 국한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3]
초원자가 유기 분자를 실제로 합성하려는 시도는 20세기 전반 헤르만 슈타우딩거와 게오르크 비티히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들은 기존의 원자가 이론에 도전하며 질소와 인을 중심으로 한 초원자가 분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했다.[4] 초원자가 개념의 이론적 기초는 1969년 제러미 I. 머셔(Jeremy I. Musher)의 연구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정립되었다.[1] 머셔는 15족에서 18족 원소가 중심 원자일 때, 해당 족의 가장 낮은 원자가 수를 초과하는 원자가를 갖는 분자를 초원자가 분자로 정의했다.[1]
오랫동안 초원자가 분자의 결합을 분자 궤도 이론으로 설명하는 데 있어 d 오비탈 혼성의 역할은 논쟁거리였다. 1990년, 매그너슨(Magnusson)은 2주기 원소의 초원자가 화합물 결합에서 d 오비탈 혼성화가 중요하지 않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이 논쟁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5] 과거에는 이러한 화합물을 설명하는 기저 함수계에 d 함수를 포함해야 정확한 에너지와 구조를 얻을 수 있었고, 분자 파동 함수에 대한 d 함수의 기여도가 크다는 점 때문에 d 오비탈이 결합에 직접 관여한다고 해석되었다. 그러나 매그너슨은 d 오비탈의 포함이 계산상의 필요일 뿐, 실제 초원자가 결합 형성에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결론지었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3년의 현대 원자가 결합 이론 연구에 따르면, 플루오린화 제논(XeF2)의 결합에서 이온 구조가 파동 함수의 약 81%를 차지하며 가장 큰 기여를 하지만, 확장된 옥텟 구조(sp3d 혼성)의 기여도(약 11%) 역시 무시할 수 없다. 이 기여는 분자를 7.2kcal 몰−1 만큼 안정화시키며,[6] 이는 전체 결합 에너지(64kcal 몰−1)의 작지만 의미 있는 부분이다.[7] 다른 연구에서도 SF6(17%) 및 XeF6(14%)에서 확장된 옥텟 구조의 기여가 작지만 존재함을 확인했다.[8] 화학적 현실성과는 별개로, IUPAC는 설폰이나 포스포란과 같은 작용기를 표기할 때, 형식 전하를 많이 표시하거나 부분 단일 결합을 그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확장된 옥텟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기도 한다.[9]
초원자가라는 용어와 개념 자체에 대한 비판도 꾸준히 제기되었다. 1984년, 파울 폰 라구에 슐라이어(Paul von Ragué Schleyer)는 '초원자가'라는 용어가 특정 화학 결합 방식을 암시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결합 방식에 대한 가정을 배제하는 '초배위(hypercoordination)'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3]
로널드 길레스피(Ronald Gillespie)는 2002년 전자 국소화 함수 분석을 바탕으로 "초원자가 분자와 비초원자가(루이스 옥텟) 분자 사이의 결합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없으므로 초원자가라는 용어를 계속 사용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하며 개념 자체에 의문을 제기했다.[23] 실제로 전기음성도가 높은 리간드(예: 플루오린)를 가진 초배위 분자(예: PF5)의 경우, 리간드가 중심 원자로부터 전자 밀도를 강하게 끌어당겨 중심 원자의 실제 전자 수는 8개 이하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러한 관점은 PF5와 같은 안정한 플루오린 화합물과 달리, 수소화물인 포스포란(PH5)이 불안정하다는 사실과도 일치한다. 이온 모델은 열화학 계산에서도 어느 정도 타당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삼플루오린화인(PF3)과 플루오린(F2)으로부터 PF4+F−가 형성되는 반응은 발열 반응이지만, 유사한 수소화물 반응(PH4+H− 형성)은 그렇지 않다.[24]
3. 정의 및 명명법
초원자가 분자의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다.
'''N-X-L 명명법'''은 1980년 마틴, 아르두엥고, 고치 연구 그룹의 공동 연구를 통해 도입되었으며,[2] 주로 주요 그룹 원소의 초원자가 화합물을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각 문자는 다음을 의미한다.
N-X-L 명명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4. 초원자가 분자의 결합
초원자가 분자의 결합 방식과 그 본질에 대한 논의는 1920년대 길버트 루이스와 어빙 랭뮤어 사이의 화학 결합의 성격에 대한 논쟁에서 시작되었다.[3][39] 루이스는 중심 원자가 옥텟 규칙을 확장하여 8개 이상의 전자를 가지는 모델(확장 옥텟)을 통해 초원자가를 설명하려 했고, 이는 2중심 2전자(2c-2e) 결합을 기반으로 하며, 예를 들어 PF5나 SF6 같은 분자에서 중심 원자가 sp3dn 혼성 오비탈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반면 랭뮤어는 옥텟 규칙을 엄격히 지키고자 했으며, 초원자가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예: SF6를 SF42+ 2F−처럼) 이온 결합을 도입하는 것을 선호했다.[3][39]
1920년대 후반 서그덴(Sugden)은 2중심 1전자(2c-1e) 결합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여 확장 옥텟이나 이온 결합 없이 초원자가를 설명하려 했으나 당시에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39] 이후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런들(Rundle)과 피멘텔은 세 중심 사전자 결합(3c-4e) 개념을 대중화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서그덴이 제안한 개념과 유사한 방식으로 초원자가 결합을 설명하는 모델이다.[3][39] 이 모델은 3중심 4전자 결합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초원자가 유기 분자를 실제로 합성하려는 시도는 20세기 전반 헤르만 슈타우딩거와 게오르크 비티히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들은 기존 이론에 도전하며 질소와 인을 중심으로 한 초원자가 분자를 성공적으로 만들었다.[4][40] 초원자가의 이론적 토대는 1969년 머셔(J.I. Musher)의 연구를 통해 더욱 명확해졌다.[1][38]
초원자가 결합 설명에서 오랫동안 논란이 되었던 d-오비탈의 역할에 대해, 1990년 매그너슨(Magnusson)은 분자 궤도 이론 계산을 통해 2주기 원소의 초원자가 화합물 결합에서 d-오비탈 혼성화는 중요하지 않다고 결론지었다.[5][41] 계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d 함수를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지만, 이것이 d-오비탈이 결합에 직접적으로 크게 기여한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 내용은 분자 궤도 이론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현대에 와서는 분자 궤도 이론과 원자가 결합 이론이 초원자가 결합을 설명하는 주요 이론으로 사용된다. 분자 궤도 이론은 d-오비탈의 참여 없이도 결합을 설명할 수 있으며, 특히 세 중심 사전자 결합 모델은 분자 궤도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원자가 결합 이론은 공명 구조를 이용하여 이온성과 공유 결합성을 조합하여 초원자가 결합을 설명한다. 이 두 이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각각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현대 원자가 결합 이론 연구에 따르면, 플루오린화 제논과 같은 분자에서 d-오비탈을 포함하는 구조(형식적인 확장 옥텟 구조)의 기여가 전체 파동 함수의 약 11%를 차지하며, 분자를 7.2kcal 정도 안정화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7] 이는 전체 결합 에너지(64kcal)에 비하면 작지만 무시할 수 없는 기여이다.[7] 다른 연구에서도 SF6(17%) 및 XeF6(14%)에서 확장된 옥텟 구조의 에너지 기여가 작지만 존재함을 보여주었다.[8]
화학적 현실성에 대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IUPAC는 설폰이나 포스포란과 같은 작용기를 표기할 때, 다수의 형식 전하나 부분 단일 결합을 그리는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확장된 옥텟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기도 한다.[9] 스핀 결합 원자가 결합 이론을 다이아조메탄에 적용한 연구에서는 중심 질소 원자가 5개의 공유 결합을 형성한다는 해석을 제시하며, 이것이 d-오비탈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27][46]
4. 1. 분자 궤도 이론
분자 궤도 이론(MO 이론)은 초원자가 분자의 결합을 설명하는 중요한 접근 방식 중 하나이다. 초기에는 VSEPR 모델과 함께, 중심 원자가 s, p 궤도 외에 d 궤도를 사용하여 확장된 옥텟 규칙을 만족시킨다는 설명(예: sp3dn 혼성)이 제기되었다.[3] 그러나 이후 ''ab initio'' 양자 화학 계산 연구가 발전하면서, d-궤도가 초원자가 결합에 기여하는 정도는 결합의 주요 특성을 설명하기에는 너무 작다는 것이 밝혀졌다.[5][41] 1990년 매그너슨(Magnusson)의 연구는 특히 2주기 원소 화합물에서 d-궤도 혼성화의 중요성을 결정적으로 배제하였다. 계산의 정확성을 위해 기저 함수에 d 함수를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지만, 이것이 반드시 d-궤도가 화학 결합에 직접적으로 크게 참여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결론지었다.[5][41]분자 궤도 이론에 따르면, 초원자가 결합은 d-궤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고도 설명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육플루오린화 황(SF6) 분자를 들 수 있다. LCAO (Linear Combination of Atomic Orbitals) 방법을 사용하여 SF6의 분자 궤도를 구성하면, 중심 황 원자의 3s 오비탈 1개, 3p 오비탈 3개와 주변 6개 플루오린 원자들의 대칭 적응 선형 결합(SALC) 6개를 조합하여 총 10개의 분자 궤도(MO)가 형성된다. 이 10개의 MO는 에너지 준위에 따라 4개의 결합성(bonding) MO, 2개의 비결합성(non-bonding) MO, 그리고 4개의 반결합성(anti-bonding) MO로 나뉜다. 황 원자와 플루오린 원자들이 제공하는 총 12개의 원자가 전자는 에너지 준위가 가장 낮은 6개의 MO(결합성 MO 4개와 비결합성 MO 2개)를 완전히 채우게 된다. 이 설명은 황 원자가 형식적으로 옥텟 규칙을 초과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d-궤도의 참여 없이도 안정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2개의 비결합성 MO(1eg 대칭성)는 특정 황-플루오린 결합에 국한되지 않고 6개의 플루오린 원자 전체에 걸쳐 비편재화되어 분포한다.
이 분자 궤도 모델은 왜 플루오린과 같이 전기음성도가 높은 리간드 원자들이 중심 원자와 결합할 때 안정한 초원자가 분자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는지를 잘 설명한다. 전기음성도가 높은 리간드는 중심 원자로부터 전자 밀도를 효과적으로 끌어당겨 분자 전체의 에너지를 낮추고 결합을 안정화시킨다. 반면, 전기음성도가 낮은 수소와 같은 원자가 리간드로 작용하는 경우 이러한 안정화 효과가 부족하여, 예를 들어 SH6와 같은 분자는 안정하게 존재하기 어렵다.
한편, 초원자가 결합을 설명하는 또 다른 모델인 세 중심 사전자 결합(3c-4e) 모델은 분자 궤도 이론의 관점에서 정성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3c-4e 결합은 중심 원자의 p 오비탈과 축 방향의 두 리간드 원자 오비탈의 선형 결합으로 형성되는 3개의 분자 궤도(결합성, 비결합성, 반결합성)로 설명된다. 이 3개의 MO에 4개의 전자가 채워지는데, 2개는 결합성 MO에, 나머지 2개는 비결합성 MO에 채워져 전체적으로 결합을 형성한다. 이 모델 역시 중심 원자가 옥텟 규칙을 위반하지 않으면서 초원자가 상태를 설명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3][39]

비록 d-궤도의 직접적인 혼성화 참여는 초원자가 결합을 설명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가 아니라고 여겨지지만, 현대 원자가 결합 이론 연구들은 d-궤도의 기여가 완전히 없지는 않다고 제안한다. 예를 들어, 플루오린화 제논의 결합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d-궤도를 포함하는 공명 구조가 전체 파동 함수에 작지만 의미 있는 기여(약 11%)를 하며 분자를 7.2 kcal/mol 만큼 안정화시키는 데 역할을 한다고 보고했다.[6][7] 이는 총 결합 에너지(64 kcal/mol)의 작지만 중요한 부분이다.[7] 다른 연구에서도 SF6(17%) 및 XeF6(14%)에서 d-궤도 참여를 가정하는 확장된 옥텟 구조가 전체 결합 에너지에 작지만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기여한다는 계산 결과도 있다.[8]
4. 2. 원자가 결합 이론
원자가 결합 이론은 공명 구조를 이용하여 초원자가 분자의 결합을 설명하기도 한다. 특히, 중심 원자보다 전기음성도가 큰 리간드가 결합된 초원자가 화합물의 경우, 최대 4개의 공유 전자쌍 결합과 이온 결합을 포함하는 공명 구조를 통해 옥텟 규칙을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결합을 설명할 수 있다.[45]예를 들어, 오플루오린화 인(PF5) 분자는 삼각쌍뿔 분자 구조를 가지며, 축 방향의 P-F 결합 길이(158pm)가 적도 방향의 결합 길이(154pm)보다 약간 더 길다.[26][45] 원자가 결합 이론에서는 PF5를 4개의 공유 결합과 1개의 이온 결합을 갖는 5가지 공명 구조의 혼성체로 설명한다. 이 공명 구조들에서 이온 결합은 주로 전기음성도가 큰 플루오린 원자에 의해 형성되며, 특히 축 방향 결합에서 이온성이 더 크게 나타나는 구조가 기여함으로써 실제 분자의 구조와 결합 길이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45]
육플루오린화 황(SF6)과 같은 6배위 분자의 경우, 모든 S-F 결합 길이는 동일하다. 이는 4개의 공유 결합과 2개의 이온 결합을 갖는 총 15가지의 공명 구조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이 공명 구조들의 기여를 통해 이온성이 6개의 황-플루오린 결합 모두에 동일하게 분포되어, 모든 결합 길이가 같아지는 현상을 설명한다.
4. 3. 3중심 4전자 결합
옥텟 규칙에 대한 추가적인 수정은 초원자가 결합에 이온 특성을 포함시키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러한 수정 중 하나로, 1951년에는 3중심 4전자(3c-4e) 결합의 개념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정성적인 분자 궤도로 초원자가 결합을 설명했다.[3][39] 이 개념은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런들(Rundle)과 피멘텔(Pimentel)에 의해 대중화되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수십 년 전 서그덴(Sugden)이 제시하려 했던 2중심 1전자 결합 개념과 유사하다.[3][39]3c-4e 결합 모델은 중심 원자의 p 원자 궤도와 그 양쪽에 위치한 두 리간드 각각의 원자 궤도가 조합되어 3개의 분자 궤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 세 개의 분자 궤도에는 총 4개의 전자(두 쌍)가 채워진다. 이 중 한 전자쌍은 중심 원자와 리간드 사이의 결합에 관여하는 결합성 분자 궤도를 차지하고, 나머지 한 전자쌍은 두 리간드의 원자 궤도로만 구성된 비결합성 분자 궤도를 차지한다. 이 모델은 중심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하면서 초원자가 결합을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머셔(Musher)에 의해서도 지지되었다.[3][39]
5. 구조, 반응성 및 반응 속도
초원자가라는 용어와 개념은 여전히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1984년, 이러한 논란에 대응하여 파울 폰 라구에 슐라이어(Paul von Ragué Schleyer)는 '초원자가' 대신 '초배위(hypercoordinateeng)'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초배위라는 용어는 특정 화학 결합 방식을 전제하지 않으므로 개념적 논란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
초원자가 개념 자체에 대해서도 로널드 길레스피(Ronald Gillespie)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2002년 전자 국재화 함수 분석을 바탕으로 "초원자가 분자와 비초원자가(루이스 팔전자 규칙) 분자 사이의 결합에 근본적인 차이가 없으므로 초원자가라는 용어를 계속 사용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23]
오플루오린화인(PF5)과 같이 전기음성도가 높은 리간드를 가진 초배위 분자의 경우, 리간드가 중심 원자로부터 전자 밀도를 강하게 끌어당겨 중심 원자의 순 전자가 8개 미만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플루오린 리간드를 가진 PF5와 같은 초배위 분자는 존재하지만, 이에 해당하는 수소화물인 포스포란(PH5)은 불안정하여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이온 결합 모델은 열화학 계산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 모델은 삼플루오린화인(PF3)과 플루오린(F2)으로부터 PF4+F− 이온쌍이 형성되는 반응이 발열 반응으로 유리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측하는 반면, 유사한 반응으로 PH4+H− 이온쌍이 형성되는 것은 불리하다고 예측한다.[24]
5. 1. 구조
육배위 인 분자는 질소, 산소 또는 황 리간드를 포함하여 루이스 산-루이스 염기 육배위의 예시를 제공한다.[28] 아래 그림의 두 유사한 착물에서, N–P 결합 길이가 감소함에 따라 C–P 결합 길이는 증가한다. 이는 N–P 루이스 산–루이스 염기 상호작용의 강도가 증가하면 C–P 결합의 강도가 감소함을 의미한다.이러한 경향은 하나 이상의 고립 전자쌍을 포함하는 리간드를 가진 5배위 주족 원소에서도 일반적으로 나타나며, 아래의 산소-5배위 규소 예시가 이를 보여준다.
Si-할로젠 결합 길이는 A에서 보이는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에 가까운 약한 결합 상태부터 C에서 보이는 공유 단일 결합에 가까운 강한 결합 상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28]
5. 2. 반응성
하나 이상의 고립 전자쌍을 포함하는 리간드를 가진 5배위 주족 원소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특정 반응 경향을 보인다. 아래 그림은 5배위 규소 화합물의 예시이다.Si-할로젠 결합은 A에서 예상되는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에 가까운 약한 결합 상태부터 C에서 예상되는 공유 단일 결합에 가까운 강한 결합 상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28]
| 클로로실란 (Chlorosilane) | 친핵체 (Nucleophile) | kobs (M−2s−1) 20 °C에서 아니솔 |
|---|---|---|
| Ph3SiCl | HMPT | 1200 |
| Ph3SiCl | DMSO | 50 |
| Ph3SiCl | DMF | 6 |
| MePh2SiCl | HMPT | 2000 |
| MePh2SiCl | DMSO | 360 |
| MePh2SiCl | DMF | 80 |
| Me(1-Np)PhSiCl | HMPT | 3500 |
| Me(1-Np)PhSiCl | DMSO | 180 |
| Me(1-Np)PhSiCl | DMF | 40 |
| (1-Np)Ph(비닐)SiCl | HMPT | 2200 |
| (1-Np)Ph(비닐)SiCl | DMSO | 90 |
| (1-Np)(m-CF3Ph)HSiCl | DMSO | 1800 |
| (1-Np)(m-CF3Ph)HSiCl | DMF | 300 |
Corriu 연구진은 초원자가 전이 상태를 거치는 것으로 생각되는 반응을 연구하는 초기 연구를 수행했다.[29] 이들은 소량의 물 존재 하에서 4배위 클로로실란의 가수분해 반응 속도를 측정하여, 반응 속도가 클로로실란 농도에 대해 1차, 물 농도에 대해 2차임을 발견했다. 이는 가수분해 과정 동안 두 개의 물 분자가 실란과 상호작용함을 시사하며, 이를 바탕으로 이중 친핵성 반응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Corriu 연구진은 이어서 HMPT, DMSO 또는 DMF와 같은 친핵체 촉매 존재 하에서 가수분해 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반응 속도는 클로로실란에 대해 1차, 촉매에 대해 1차, 물에 대해 1차로 나타났다. 또한 가수분해 속도는 친핵체 산소 원자의 전하 밀도와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연구진은 다음과 같은 반응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먼저, 친핵체(또는 물)가 4배위 실란을 공격하여(사전 속도 결정 단계) 초원자가 5배위 실란 중간체를 형성한다. 이어서, 물 분자가 이 중간체를 공격하여(속도 결정 단계) 6배위 종을 형성하고, 이는 빠르게 분해되어 최종 생성물인 하이드록시실란을 만든다.
실란 가수분해는 Holmes 연구진에 의해서도 추가적으로 연구되었다.[30] 이들은 4배위 Mes2SiF2 (Mes = 메시틸)와 5배위 Mes2SiF3-를 각각 2당량의 물과 반응시켰다. 24시간 후, 4배위 실란은 거의 가수분해되지 않은 반면, 5배위 실란은 15분 만에 완전히 가수분해되었다. 또한, 플루오로실란의 테트라에틸암모늄 염에 대한 X선 회절 데이터는 HF2- 이온이 빠르게 떨어져 나가 수산화 생성물을 만드는 6배위 중간체의 형성을 지지하는 수소 비실로네이트 격자 구조를 보여주었다. 이 반응과 결정학 데이터는 Corriu 연구진이 제안한 메커니즘을 뒷받침한다.
초원자가 분자의 높은 반응성은 그리냐르 시약과의 반응에서도 4배위 유사체와 비교하여 뚜렷하게 나타났다. Corriu 연구진은 다양한 4배위 및 5배위 플루오로실란의 18-크라운-6 칼륨 염과 그리냐르 시약의 반응 반감기를 NMR로 측정했다. 반감기 측정 방법은 정밀도가 높지 않지만, 반응 속도의 큰 차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반응 경로가 제안되었다: 친핵체에 의한 4배위 실란 공격(사전 속도 결정 단계)으로 중성 4배위 종과 음이온성 5배위 화합물 사이에 평형이 이루어진다. 이후,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것처럼 두 개의 그리냐르 시약이 친핵성으로 배위하여 6배위 전이 상태를 형성하고 최종 생성물을 만든다.
이러한 메커니즘적 이해는 일부 반응에서 전이 상태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6배위 규소 종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릴- 또는 크로틸-트라이플루오로실란과 알데하이드 및 케톤의 반응은 플루오라이드에 의해 활성화되어 5배위 규소 중간체를 생성해야만 진행된다. 이 중간체는 루이스 산으로 작용하여 카보닐 산소 원자와 배위한다. 규소가 6배위가 되면서 규소–탄소 결합이 더욱 약해져 반응이 촉진된다.[32]
유사한 반응성은 인(P) 화합물과 같은 다른 초원자가 구조에서도 관찰되었으며, 6배위 전이 상태가 제안되었다. 포스포란과 옥시포스포란의 가수분해가 연구되었는데[33], 물 농도에 대해 2차 반응 속도를 보였다. 벨스키(Belsky) 등은 물 분자의 친핵성 공격으로 5배위 및 6배위 인 종 사이의 평형이 형성되고, 이어서 속도 결정 단계에서 두 번째 물 분자가 관여하는 양성자 이동이 일어나 고리가 열리면서 수산화 생성물을 만드는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트리메톡시포스포렌과 같은 5배위 인 화합물의 알코올 분해 반응(예: 벤질 알코올과의 반응)도 가수분해와 유사하게 고리 열림 없이 팔면체 전이 상태를 거쳐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34]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통해, 초원자가 분자에서 관찰되는 반응성 증가는 유사한 비(非)초원자가 화합물과 비교했을 때, 반응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형성되는 초배위 활성화 상태를 초원자가 분자가 더 쉽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5. 3. *Ab initio* 계산
초기 ''ab initio'' 계산은 초원자가 분자의 결합 길이, 전하 밀도, 결합 중첩 등을 예측하고 이해하는 데 사용되었다. 코리우와 동료들은 5배위 규소 원자의 더 큰 전기 양성적 성질이 증가된 반응성의 원인일 수 있다고 제안했으며,[35] 초기 ''ab initio'' 계산 결과는 작은 기저 집합을 사용했음에도 이 가설을 어느 정도 뒷받침했다.[36]보다 상세한 연구를 위해 Dieters와 동료들은 Gaussian 86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사배위 규소와 인을 오배위 유사체와 비교하는 ''ab initio'' 계산을 수행했다. 이 접근법은 오배위 화합물이 친핵성 반응에서 더 높은 반응성을 보이는 이유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계산에는 규소의 경우 오배위 음이온 특성을 고려하여 6-31+G* 기저 집합이 사용되었고, 인의 경우 6-31G* 기저 집합이 사용되었다.[36]
이론적으로 오배위 화합물은 입체 장애와 리간드로부터의 더 큰 전자 밀도로 인해 사배위 유사체보다 친전자성이 낮아야 하지만, 실험적으로는 친핵체와 더 높은 반응성을 보인다.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불소화 정도를 달리한 일련의 사배위 및 오배위 종에 대해 ''ab initio'' 계산이 수행되었다. 각 계열에서 수소화물 리간드가 하나씩 추가될 때마다 불소 원자가 하나씩 줄어드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36]
계산을 통해 규소와 인의 사배위 및 오배위 종에 대한 결합 길이, 전하 밀도, Mulliken 결합 중첩, 전하 분포 등이 분석되었다.[36] 사배위 규소에 불소 이온을 첨가해도 전체적인 평균 전자 전하 증가는 약 0.1 전자로 무시할 만한 수준이었다. 일반적으로 삼각 쌍뿔형 구조를 가지는 오배위 종의 결합 길이는 해당 사배위 유사체의 결합 길이보다 길었다. Si-F 결합과 Si-H 결합 모두 오배위 상태에서 길이가 증가했으며, 이는 인 화합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그 정도는 덜했다. 규소 화합물에서 결합 길이 변화가 더 큰 이유는 인에 비해 규소의 유효 핵 전하가 작기 때문이며, 이는 규소가 리간드에 더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Dieters와 동료들은 모든 계열에서 결합 길이와 결합 중첩 사이에 역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36] 즉, 결합 길이가 길수록 결합 중첩은 작아진다. 이를 통해 오배위 종은 더 길고 느슨한 결합(더 작은 결합 중첩) 때문에 사배위 종보다 더 반응성이 높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다양한 규소 및 인 종에서 불소 이온의 첨가 및 제거에 대한 에너지를 계산한 결과, 사배위 종은 오배위 종보다 리간드를 제거하는 데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규소 종은 인 종보다 리간드 제거 에너지 요구량이 낮았는데, 이는 규소에서의 결합이 더 약하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6. 초원자가 수소화물
초원자가 분자의 특별한 유형으로 초원자가 수소화물이 있다. 알려진 대부분의 초원자가 분자는 중심 원자보다 더 전기 음성적인 치환체를 포함하지만,[10][11] 초원자가 수소화물은 수소가 일반적으로 중심 원자보다 전기 음성도가 낮기 때문에 특별한 관심을 받는다. 칼코젠 수소화물에 대한 다수의 계산 연구가 수행되었으며,[11][12][13][14][15][16] 프닉토젠 수소화물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17][18][19][20][21] 최근의 새로운 계산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초원자가 할로젠 수소화물 XHn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IH3와 IH5는 관찰 가능하거나 심지어 분리할 수 있을 정도로 안정적일 수 있다고 제시되었다.[22]
7. 대안적 정의
듀란트(Durrant)는 분자 내 원자 이론에서 얻은 원자 전하 지도를 분석하여 초원자가에 대한 대안적 정의를 제안했다.[25] 이 접근법은 원자가 전자 등가(γ)라는 매개변수를 사용하는데, 이는 "관찰된 전하 분포를 재현하는 유효한 이온성 및 공유 결합 공명 형태의 조합에 의해 얻어진 주어진 원자에서의 공식적인 공유 전자 수"로 정의된다. 이 정의에 따르면, 특정 원자 X의 γ(X) 값이 8보다 크면 해당 원자는 초원자가로 간주된다.
이 대안적 정의를 적용하면, 이전 정의에 따라 초원자가로 분류되었던 많은 화학종들이 재분류된다. 예를 들어, PCl5, SO42-, XeF4와 같은 분자들은 중심 원자에서 전자를 강하게 끌어당기는 리간드의 영향(강한 이온 결합) 때문에 초원자가가 아닌 초배위 화합물로 분류된다. 반면에, 옥텟 규칙을 만족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온 결합으로 표기되었던 오존 O3, 아산화 질소 NNO, 트라이메틸아민 N-옥사이드 (CH3)3NO와 같은 일부 화합물들은 실제로는 초원자가인 것으로 밝혀졌다.
듀란트의 정의에 따른 γ 값 계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인산염 PO43−: γ(P) = 2.6 (비초원자가)
- 오르토질산염 NO43−: γ(N) = 8.5 (초원자가)

참조
[1]
논문
The Chemistry of Hypervalent Molecules
[2]
논문
An Electrically Neutral σ-Sulfuranyl Radical from the Homolysis of a Perester with Neighboring Sulfenyl Sulfur: 9-S-3 species
[3]
논문
The Origin of the Term "Hypervalent"
[4]
서적
Chemistry of Hypervalent Compounds
Wiley VCH
[5]
논문
Hypercoordinate molecules of second-row elements: d functions or d orbitals?
[6]
논문
The essential role of charge-shift bonding in hypervalent prototype XeF2
https://hal.archives[...]
2013-04-07
[7]
서적
The Chemistry of the Monatomic Gases : Pergamon Texts in Inorganic Chemistry.
Elsevier Science
2013
[8]
논문
The nature of the chemical bond in the light of an energy decomposition analysis
2005-01-01
[9]
논문
Graphical representation standards for chemical structure diagrams (IUPAC Recommendations 2008)
2008
[10]
논문
The anomeric effect with central atoms other than carbon. 2. Strong interactions between nonbonded substituents in mono- and polyfluorinated first- and second-row amines, FnAHmNH2
1988-11
[11]
논문
Hypervalent molecules, sulfuranes, and persulfuranes: review and studies related to the recent synthesis of the first persulfurane with all substituents carbon-linked
2009-10
[12]
논문
Analytic configuration interaction gradient studies of SH 4, sulfurane
1981-02
[13]
논문
Transition structures for H2 elimination from XH4 hypervalent species (X = S, Se and Te). Ab initio MO study
1993-03
[14]
논문
Is SH4, the simplest 10-S-4 sulfurane, observable?
2000
[15]
논문
Hypervalent molecules sulfurane (SH4) and persulfurane (SH6)
https://escholarship[...]
1975-03
[16]
논문
A study of some unusual hydrides: BeH2, BeH+6 and SH6
1999-02
[17]
논문
Electronic structure of PH5 and intramolecular ligand exchange in phosphoranes. Model studies
1972-05
[18]
논문
Theoretical study of the reaction PH5 → PH3 + H2
1982-02
[19]
논문
Theoretical study of the reactions of pentacoordinated trigonal bipyramidal phosphorus compounds: PH5, PF5, PF4H, PF3H2, PF4CH3, PF3(CH3)2, P(O2C2H4)H3, P(OC3H6)H3, and PO5H4-
1992-01
[20]
논문
The reaction path of PH5 → PH3 + H2 using an SCF study
1995-08
[21]
논문
AB Initio Molecular Orbital Study on the Periodic Trends in Structures and Energies of Hypervalent Compounds: Five-Coordinated XH5 Species Containing a Group 5 Central Atom (X = P, As, Sb, and Bi)
1995-11
[22]
논문
Hypervalent halogen hydrides HalHn (Hal = Cl, Br, I; n = 3, 5, 7): DFT and ab initio stability prediction
2019-12-12
[23]
논문
The octet rule and hypervalence: Two misunderstood concepts
[24]
논문
Predicting the Stability of Hypervalent Molecules
[25]
논문
A quantitative definition of hypervalency
http://nrl.northumbr[...]
[26]
논문
A Simple Qualitative Molecular-Orbital/Valence-Bond Description of the Bonding in Main Group "Hypervalent" Molecules
[27]
논문
Modern valence bond theory
[28]
논문
Comparison of Phosphorus and Silicon: Hypervalency, Stereochemistry, and Reactivity
[29]
논문
Mécanisme de l'hydrolyse des chlorosilanes, catalysée par un nucléophile: étude cinétique et mise en evidence d'un intermediaire hexacoordonné
[30]
논문
Pentacoordinated molecules. 76. Novel hydrolysis pathways of dimesityldifluorosilane via an anionic five-coordinated silicate and a hydrogen-bonded bisilonate. Model intermediates in the sol-gel process
[31]
논문
Pentacoordinated silicon anions: reactivity toward strong nucleophiles
[32]
논문
Regiospecific and highly stereoselective allylation of aldehydes with allyltrifluorosilane activated by fluoride ions
[33]
논문
[34]
논문
Nucleophilic substitutions at pentavalent phosphorus. Reaction of 2,2,2-trialkoxy-2,2-dihydro-1,3,2-dioxaphospholenes with alcohols
[35]
논문
Pentacoordinated silicon anions: Synthesis and reactivity
[36]
간행물
Enhanced Reactivity of Pentacoordinated Silicon Species. An ab Initio Approach
[37]
간행물
Revisiting a Historycal Concept by Using Quantum Crystallography: Are Phosphate, Sulfate and Perchlorate Anions Hypervalent?
[38]
간행물
The Chemistry of Hypervalent Molecules
[39]
간행물
The Origin of the Term "Hypervalent"
http://jchemed.chem.[...]
[40]
서적
Chemistry of Hypervalent Compounds
Wiley VCH
[41]
간행물
Hypercoordinate molecules of second-row elements: d functions or d orbitals?
[42]
간행물
The octet rule and hypervalence: two misunderstood concepts.
[43]
간행물
Predicting the Stability of Hypervalent Molecules
http://jchemed.chem.[...]
[44]
간행물
A quantitative definition of hypervalency
[45]
간행물
A Simple Qualitative Molecular-Orbital/Valence-Bond Description of the Bonding in Main Group "Hypervalent" Molecules
[46]
간행물
Modern valence bond the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