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충청남도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충청남도의회는 충청남도의 입법 및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지방 의회이다.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 의회 운영 전반을 담당하는 의회운영위원회 등 6개의 상임위원회, 예산 및 결산을 심의하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의원 윤리 관련 사항을 담당하는 윤리특별위원회, 그리고 사무처로 구성되어 있다. 1952년 제1대 충청남도의회가 구성된 이래, 여러 차례 선거를 통해 의원이 선출되었으며, 정당별 의석 분포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현재 제12대 충청남도의회는 국민의힘 36석, 더불어민주당 12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5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5명 이상의 의원은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산군 소재의 관공서 - 예산경찰서
    충청남도 예산군 전체를 관할하는 예산경찰서는 1945년 10월 21일 개설되어 예산지구대, 삽교지구대, 덕산지구대, 파출소, 그리고 여러 치안센터로 관할 지역을 나누어 치안 유지를 위해 힘쓴다.
  • 예산군 소재의 관공서 - 충청남도예산교육지원청
    충청남도예산교육지원청은 충청남도 예산군 지역의 초등학교 24개교와 중학교 11개교의 목록을 제공한다.
  • 충청남도의 정치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의회
    2006년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의회 선거는 지역구와 비례대표 선거를 통해 도의원을 선출했으며, 한나라당이 압승을 거두고 열린우리당과 자유민주연합이 그 뒤를 이었다.
  • 충청남도의 정치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의회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의회에서는 지역구 40명과 비례대표 4명, 총 44명의 도의원을 선출하여 새누리당이 35석으로 압승하고 새정치민주연합이 9석을 얻었으며, 각 시·군별로 천안시 10개, 공주시 2개, 보령시 2개, 아산시 6개 등 총 15개 시·군별 선거구로 구성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충청남도의회
기본 정보
충청남도의회 휘장
충청남도의회 휘장
이름충청남도의회
원명Chungcheongnam-do Council
의회 체제단원제
의원 정수48석
의원 임기4년
의장홍성현
의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부의장정광섭
부의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부의장오인철
부의장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정당 구성국민의힘 (36)
더불어민주당 (12)
선거 제도보통선거평등선거직접 선거비밀 선거
선거구소선거구제 (43석)
비례대표제 (5석)
이전 선거2022년 6월 1일
의사당 위치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도청대로 600(내포신도시)
웹사이트충청남도의회
추가 정보
충남도의회 12대
충남도의회 12대

2. 조직

충청남도의회는 의장단, 위원회, 사무 기구로 구성된다.

2. 1. 의장단

충청남도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되며, 의회를 대표하고 의사를 진행한다.

2. 2. 위원회

충청남도의회는 효율적인 의정 활동을 위해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를 운영한다. 상임위원회는 의회운영, 행정자치, 문화복지, 농업경제환경, 안전건설해양소방, 교육 관련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위원회로는 예산 및 결산 심의를 담당하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의원 윤리 관련 사항을 담당하는 윤리특별위원회가 있다.[1]

2. 2. 1. 상임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행정자치위원회

문화복지위원회

농업경제환경위원회

안전건설해양소방위원회

교육위원회

2. 2. 2. 특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윤리특별위원회가 있다.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 및 결산 심의를 담당한다.
  • '''윤리특별위원회''': 의원 윤리 관련 사항을 담당한다.

2. 3. 사무기구

사무처[1]는 의정 활동을 지원하는 조직으로, 다음 부서들로 구성된다.

  • 총무담당관실[2]
  • 의사담당관실[2]
  • 입법정책담당관실[2]
  • 전문위원

3. 역대 충청남도의회 선거 결과

충청남도의회는 1952년 제1대 의회 구성을 시작으로 현재 제12대 의회까지 운영되고 있다.


  • 제1대 ~ 제3대 (1952년 ~ 1960년)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46명,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45명,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48명의 도의원이 각각 선출되었다.

  • 제4대 ~ 제6대 (1991년 ~ 2002년)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55명,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61명,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6명의 도의원이 각각 선출되었다.

  • 제7대 ~ 제9대 (2002년 ~ 2010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6명,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8명,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5명의 도의원이 각각 선출되었다.

  • 제10대 ~ 제12대 (2014년 ~ 현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1]를 통해 40명의 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새누리당이 30석, 새정치민주연합이 10석을 차지하였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에서는 42명의 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이 33석, 자유한국당이 8석, 정의당이 1석을 차지하였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3]에서는 48명의 도의원이 선출되었다. 국민의힘이 36석, 더불어민주당이 12석을 차지하였다.

3. 1. 제1대 ~ 제3대 충청남도의회 (1952년 ~ 1960년)

1952년 5월 10일에 실시된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제1대 충청남도의원 46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자유당23석
대한청년단9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2석
민주국민당1석
기타정당1석
무소속5석



1956년 8월 13일에 실시된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제2대 충청남도의원 4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자유당37석
민주당6석
무소속2석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제3대 충청남도의원 48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민주당18석
신민당8석
기타정당1석
무소속21석


3. 2. 제4대 ~ 제6대 충청남도의회 (1991년 ~ 2002년)

1991년 6월 20일에 실시된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제4대 충청남도의원 55명이 선출되었다.

제4대 충청남도의회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민주자유당37
민주당4
무소속5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제5대 충청남도의원 61명이 선출되었다. 이때 지역구 의원 55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제5대 충청남도의회 정당별 의석 및 득표
구 분자유민주연합민주자유당민주당대한민주당무소속
의 석지역구4932-1
비례대표4200-
합계5352-1
득표득표수473,322235,04472,60685986,566
득표율54.5%27.1%8.4%0.1%10.0%
당선자수4200-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제6대 충청남도의원 36명이 선출되었다. 이때 지역구 의원 32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어 자유민주연합에 2석, 새정치국민회의에 2석이 배분되었다.

제6대 충청남도의회 정당별 의석 및 득표
구 분자유민주연합새정치국민회의한나라당국민신당무소속
의 석지역구301--1
비례대표22---
합계323--1
득표득표수378,636159,30411,99933,81594,063
득표율55.9%23.5%1.8%5.0%13.8%
당선자수2200-


3. 3. 제7대 ~ 제9대 충청남도의회 (2002년 ~ 2010년)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6명의 제7대 충청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32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제7대 충청남도의회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자유민주연합19221
한나라당718
새천년민주당314
무소속3-3



제7대 충청남도의회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자유민주연합303,4972
한나라당248,1751
새천년민주당88,9271
한국미래연합45,1820
민주노동당34,0550
녹색평화당18,8730
사회당11,3300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8명의 제8대 충청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34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제8대 충청남도의회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19221
국민중심당13114
열린우리당213



제8대 충청남도의회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336,6222
국민중심당241,8631
열린우리당165,4621
민주노동당70,4690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5명의 제9대 충청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36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제9대 충청남도의회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자유선진당19221
민주당12113
한나라당516
교육의원--5



제9대 충청남도의회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자유선진당328,4782
민주당244,0791
한나라당205,9621
민주노동당32,6690
국민참여당23,0810
진보신당15,0710
미래연합11,0820
사회당4,8900


3. 4. 제10대 ~ 제12대 충청남도의회 (2014년 ~ 현재)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제10대 충청남도의원 40명(지역구 36명, 비례대표 4명)이 선출되었다. 새누리당이 지역구 28석과 비례대표 2석을 차지하여 총 30석으로 다수당이 되었고, 새정치민주연합은 지역구 8석과 비례대표 2석을 합쳐 총 10석을 확보하였다.[1]

제10대 충청남도의회 정당별 의석 (2014년)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누리당28230
새정치민주연합8210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제11대 충청남도의원 42명(지역구 38명, 비례대표 4명)이 선출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이 지역구 31석과 비례대표 2석을 차지하며 총 33석으로 크게 약진하였고, 자유한국당은 지역구 7석과 비례대표 1석으로 총 8석에 그쳤다. 정의당은 비례대표 1석을 확보하였다.[2]

제11대 충청남도의회 정당별 의석 (2018년)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더불어민주당31233
자유한국당718
정의당011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제12대 충청남도의원 48명(지역구 43명, 비례대표 5명)이 선출되었다. 국민의힘이 지역구 33석과 비례대표 3석을 획득하여 총 36석으로 다수당 지위를 회복하였고,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 10석과 비례대표 2석을 합쳐 총 12석을 차지하였다.[3]

제12대 충청남도의회 정당별 의석 (2022년)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국민의힘33336
더불어민주당10212


4. 정당별 의석 수 (현재)

정당별 의석 수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국민의힘33336
더불어민주당10212


5. 교섭단체

충청남도의회는 5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5명 이상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3]

참조

[1] text
[2] text
[3] 웹인용 충청남도의회 교섭단체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조례 http://law.go.kr/ord[...]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