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칸러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츠칸러우(赤崁樓)는 타이완 타이난시에 위치한 역사적인 건축물이다. 원래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1653년 프로빈티아 요새(Fort Provintia)로 건설했으며, 한족은 이를 츠칸러우 또는 홍마루라고 불렀다. 정성공이 네덜란드를 몰아낸 후에는 타이완의 행정 중심지로 사용되었고, 이후 청나라 시대에는 훼손되었다가 19세기 후반에 재건되었다. 현재는 중화민국 정부에 의해 국정 고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시구 (타이난시) - 연평군왕사
연평군왕사는 대만 타이난에 있는 사당으로, 정성공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개산왕묘, 개산신사를 거쳐 현재는 정성공의 좌상과 위패를 모시고 대만 독립 정신을 상징한다. - 대만의 성 - 훙마오성
훙마오성은 17세기 초 스페인이 건설한 산토 도밍고 성에서 시작되어 네덜란드, 정성공, 청나라, 영국을 거치며 다양한 국가의 영향을 받은 단수이의 역사적인 건축물로, 현재는 박물관으로 공개된 타이완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 대만의 요새 - 질란디아 요새 (타이완)
질란디아 요새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타이완에 건설한 요새로, 현재 타이난시 안핑구에 있는 안핑 고보를 가리키며, 17세기 유럽 요새의 구조를 따라 행정 및 무역의 중심지로 사용되다가 정성공의 공격으로 네덜란드가 축출된 후 여러 시대를 거쳐 현재 중화민국 1급 고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츠칸러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원어 이름 | 한자: 赤嵌樓 |
로마자 표기 | 표준 중국어: Chìkǎnlóu 민난어: Chhiah-khám-lâu |
종류 | 요새 |
위치 | 웨스트 센트럴 지구, 타이난, 타이완 |
좌표 | 22°59′51″N 120°12′10.12″E |
역사 | |
건설 | 1653년 |
건축가 | 불명 |
사용 시기 | 불명 |
추가 정보 | |
소유주 | 불명 |
운영자 | 불명 |
관리자 | 불명 |
일반 공개 | 불명 |
지정 | 불명 |
웹사이트 | 불명 |
2. 역사
타이난시는 대만 본섬에서 가장 먼저 한족에 의해 개발된 지역 중 하나이다. 초기 타이난 서부에는 台江內海|타이장 내해zho라는 얕은 바다가 펼쳐져 있었고, 동쪽 해안 평원에는 시라야족의 일파인 츠칸사(赤崁社)가 거주했다. 명대 중기부터 한족 이민자들이 대만으로 건너와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이 지역은 점차 촌락을 형성하게 되었다.
츠칸러우의 역사는 17세기 네덜란드가 대만 남부에 진출하면서 시작된다. 1653년, 네덜란드는 궈화이이 사건 이후 방어 강화를 위해 이곳에 프로빈티아 요새(Fort Provintia)를 건설했다. 당시 한족들은 이 요새를 '''츠칸러우'''(赤崁樓|zho) 또는 '''홍마오러우'''(紅毛樓|zho)라고 불렀다.
1661년, 정성공이 네덜란드를 몰아내고 프로빈티아 요새를 점령하여 동도 명경(明京)으로 삼고 승천부(承天府)를 설치, 행정 중심지로 삼았다. 그러나 그의 아들 정경 대에 이르러 수도 기능이 안핑진(安平鎮, 옛 제란디아 요새)으로 옮겨가면서 츠칸러우는 군수품 창고로 사용되었다.
청나라 통치 시대에는 1721년 주이귀 사건 등으로 인해 건물이 파괴되고 황폐해졌으나, 19세기 후반에 대사전(大士殿), 해신묘(海神廟), 문창각(文昌閣) 등이 재건되었다.
일본 통치 시대에는 병원 및 학생 숙소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1921년 수리 과정에서 네덜란드 시대의 요새 문과 포대 유적이 발견되어 역사관이 설치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민국 정부는 여러 차례 수리를 진행했으며, 한때 타이난 시립 박물관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1983년에는 중화민국 문화부에 의해 국정 고적으로 지정되어 오늘날까지 중요한 역사 유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2. 1. 네덜란드 통치 시대 (1624년 ~ 1662년)
1624년, 펑후 제도에서 명나라와 대치하던 네덜란드는 명나라와의 강화 조약에 따라 펑후를 포기하고, 대신 타이완 남부에 상륙하여 상관과 포대를 건설했다. 네덜란드는 타이장 내해(台江內海|zho) 서안의 이쿤신 사주(一鯤身沙洲|zho, 현재의 안핑)에 제란디아 요새(Fort Zeelandia, 熱蘭遮城|zho, 현재의 안핑 고보)를 건설하여 타이완 통치의 중심지로 삼았다. 요새 동쪽에는 상업 지구인 "타이완 거리"(현재의 옌핑제 일대)와 유럽식으로 계획된 "프로빈시아 거리"(Provintia Street, 현재의 민취안루)가 조성되었다.네덜란드는 타이완을 통치하면서 한족 이민자들과 핑푸족에게 가혹한 정책을 시행했다. 이에 대한 불만이 쌓여 1652년에는 궈화이이가 주도한 대규모 봉기, 즉 궈화이이 사건이 발생했다. 이 봉기는 네덜란드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네덜란드 당국은 한족의 저항이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새로운 방어 시설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는 "프로빈시아 거리" 북쪽에 새로운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것이 바로 '''프로빈티아 요새'''(Fort Provintia)이다. 이 요새는 둘레 약 141m, 성벽 높이 10.5m 규모로 지어졌으며, 내부에는 수원(水源)을 확보하고 식량을 비축하여 유사시 방어 거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당시 한족들은 이 요새를 '''츠칸러우'''(赤崁樓|zho) 또는 네덜란드인을 지칭하는 '''홍마오러우'''(紅毛樓|zho)라고 불렀다.
2. 2. 명정(정씨 왕국) 통치 시대 (1662년 ~ 1683년)
1661년 4월, 정성공(鄭成功)은 네덜란드인의 통사였던 한족 何斌|하빈중국어(何斌)의 안내를 받아 鹿耳門|루얼먼중국어(鹿耳門) 수로를 통과하고 타이장 내해(台江內海)를 건너 프로빈티아 요새를 공격했다. 요새를 점령한 정성공은 이곳의 이름을 동도 명경(明京)으로 바꾸고, 승천부(承天府)를 설치하여 최고 행정 기관으로 삼았다. 이후 정성공은 제란디아 요새마저 함락시키며 38년간 이어진 네덜란드의 타이완 지배를 끝냈다.네덜란드가 항복하자 정성공은 제란디아 요새를 안핑진(安平鎮)으로 개칭하여 자신의 거점으로 삼았고, 기존의 동도 승천부와 함께 타이완 통치를 위한 행정 체계를 구축했다. 하지만 정성공은 반년 만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그의 아들 정경(鄭經)은 1664년 동도라는 명칭을 폐지하고 동녕(東寧)으로 고쳤으며 스스로 동녕국왕(東寧國王)이라 칭했다. 승천부가 폐지되면서 츠칸러우는 군수품, 특히 화약을 보관하는 창고로 사용되었다.
2. 3. 청나라 통치 시대 (1683년 ~ 1895년)
1721년, 주이귀가 청나라에 반란을 일으키자, 츠칸러우의 철제 문액이 무기 주조 재료로 사용되었다. 그 후에도 인위적인 파괴, 풍우에 의한 침식, 지진으로 피해를 입어 츠칸러우는 주변의 성벽만 남을 정도로 황폐해졌다.19세기 후반, 대사전(大士殿), 해신묘(海神廟), 봉호서원(蓬壺書院), 문창각(文昌閣), 오자사(五子祠) 등이 츠칸러우 터에 재건되어 옛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2. 4. 일본 통치 시대 (1895년 ~ 1945년)
일본 통치 시대에는 해신묘와 문창각, 오자사는 병원 및 의과대학 학생의 숙소로 이용되었다. 1921년, 타이완 총독부에 의해 대사전의 해체 및 수리가 이루어질 때 프로빈티아 시대의 보루 문이 발견되었고, 또한 동북부에서는 네덜란드 시대의 포대 유적이 발굴되어 역사관이 설치되었다.2. 5. 중화민국 시대 (1945년 ~ 현재)
종전 후에는 추가적인 수리가 이루어져 타이난 시립 박물관으로 발전하였다. 1974년에는 다시 대규모 수리가 실시되어 현재의 외관을 갖추게 되었으며, 1983년에 문화부에 의해 국정 고적으로 지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6. 네덜란드 시대 유적
1624년, 펑후 제도를 거점으로 명나라와 다투던 네덜란드는 명나라와의 강화 조약에 따라 펑후에서 철수하고, 대체지로 대만 남부에 상륙하여 상관과 포대를 건설했다. 이들은 타이장 내해 서안의 '''이쿤선身|중국어 사주'''(현재의 안핑)에 제란디아 요새(Zeelandia|제일란디아nl, 열란차성, 현 안핑 고보)를 축성하여 대만 통치의 중심지로 삼았다.네덜란드는 한족 이민자와 핑푸족에 대해 가혹한 통치를 시행했고, 이에 대한 불만으로 1652년 궈화이이 사건이 발발했다. 이 사건은 네덜란드에 의해 진압되었으나, 재발을 막기 위해 네덜란드인들은 기존의 "프로빈시아 거리"(현재의 민취안루) 북쪽에 새로운 요새인 프로빈티아 요새(Fort Provintia|포르트 프로빈티아nl)를 건설했다. 이 요새는 둘레 약 141m, 성벽 높이 10.5m 규모로 지어졌으며, 내부에 수원(水源)을 확보하고 식량을 비축하는 등 유사시 방어 거점으로 기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당시 한족들은 이 요새를 '''적감루'''(赤崁樓) 또는 '''홍마루'''(紅毛樓)라고 불렀다.
1721년, 주이구이가 청나라에 대항하여 봉기했을 때, 적감루의 철제 문액이 무기 제조를 위해 사용되었다. 이후에도 인위적인 파괴와 풍우, 지진 등으로 인해 요새는 크게 손상되어 주변 성벽 일부만 남을 정도로 황폐해졌다.
일본 통치 시대였던 1921년, 타이완 총독부가 대사전(大士殿)을 해체하고 수리하는 과정에서 프로빈티아 요새 시대의 보루 문이 발견되었고, 동북쪽에서는 네덜란드 시대의 포대 유적이 발굴되었다. 이 유적들은 현재 츠칸러우에 남아있는 주요 네덜란드 시대의 흔적이다. 발굴된 유적지에는 역사관이 설치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추가적인 수리를 거쳐 타이난 시립 박물관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1983년에는 중화민국 문화부에 의해 국정 고적으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 7. 청나라 시대 건축물
1721년, 주이구이(朱一貴)가 청나라에 반란을 일으켰을 때, 적감루의 철제 문액이 무기 주조 재료로 사용되었다. 그 후에도 인위적인 파괴, 풍우에 의한 침식, 지진 등으로 피해를 입어 적감루는 주변의 성벽만 남을 정도로 황폐해졌다.19세기 후반, 적감루 터에는 다음과 같은 건물들이 재건되어 옛 모습을 되찾기 시작했다.
- 대사전(大士殿)
- 해신묘(海神廟): 바다의 신을 모시는 사당
- 문창각(文昌閣): 학문과 과거 시험의 신을 모시는 사당
- 봉호서원(蓬壺書院): 과거 시험을 준비하던 서원
- 오자사(五子祠)
일본 통치 시대에는 해신묘와 문창각, 오자사가 병원 및 의과대학 학생들의 숙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1921년, 타이완 총독부는 대사전을 해체하고 수리하는 과정에서 프로빈티아 요새 시대의 보루 문을 발견했다. 또한, 부지 동북부에서는 네덜란드 시대의 포대 유적이 발굴되어 이곳에 역사관이 설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는 추가적인 수리를 거쳐 타이난 시립 박물관으로 발전하였다. 1974년에는 다시 대규모 수리가 이루어져 현재의 외관을 갖추게 되었으며, 1983년 중화민국 문화부에 의해 국정 고적으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3. 현대적 의의
츠칸러우는 타이완의 복잡한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지이다. 과거 네덜란드의 지배부터 정씨 왕국, 청나라,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다양한 문화와 건축 양식이 혼합된 독특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오늘날 츠칸러우는 이러한 역사적 가치를 바탕으로 중요한 역사 교육의 장이자 많은 사람들이 찾는 타이난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4. 논란
(내용 없음)
5. 사진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https://tainanstudy.[...]
1968-09-30
[2]
웹사이트
https://nrch.culture[...]
2009-09-09
[3]
간행물
Nederlandse architectenbureaus floreren in Taiwan (Dutch architecture firms thrive in Taiwan)
https://www.volkskra[...]
Volkskrant
2020-07-24
[4]
뉴스
赤崁樓推動漫角色 擬人化歲星
http://www.twtimes.c[...]
台湾時報
2016-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