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락스 스파시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락스 스파시누는 고대 도시로, 현재 이라크 남부에 위치해 있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건설되었다. 기원전 166년 히스파오시네스에 의해 재건된 후 카라케네 왕국의 수도가 되었으며, 282년간 번영했다. 로마 제국과 파르티아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으며, 사산 제국 시기에는 아스타라바드아르다시르로 불리기도 했다. 9세기 경 잦은 홍수와 교역 감소로 인해 버려졌으며, 고대 말 주요 교역 중심지였다. 2016년부터 유적 발굴이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시아만의 항구 도시 - 반다르아바스
반다르아바스는 이란 남부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해군 군항으로, 고대 해상 교역 요충지였으나 포르투갈의 지배를 거쳐 사파비 왕조 시대에 탈환되었고, 이후 무역 경쟁과 쇠퇴기를 겪었지만 20세기 이란 정부의 투자로 재개발되어 현재는 농수산물 생산, 우라늄 채굴, 중계 무역의 중심지이며 발달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페르시아만의 항구 도시 - 쿠웨이트시티
쿠웨이트시티는 쿠웨이트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석유 산업과 금융 시장을 기반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며 아랍 문화와 현대적인 도시 풍경이 공존하는 곳이다. - 이라크의 옛 취락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 이라크의 옛 취락 - 슈루팍
슈루팍은 이라크 카디시야 주에 위치한 고대 수메르 도시로, 수메르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원전 3000년경부터 곡물 저장과 분배의 중심지였고, 여러 차례 발굴 조사를 통해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카락스 스파시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위치 | 이라크 |
지역 | 바스라 주 (위치는 마이산 주와 관련됨) |
일반 정보 | |
이름 | 카락스 스파시누 |
원어 이름 | (스파시누 카락스) |
건설 정보 | |
역사적 정보 | |
발굴 정보 | |
기타 정보 | |
![]() |
2. 어원
카락스(Charax)라는 이름은 아마도 그리스어 Χάραξ에서 유래되었으며, 글자 그대로 "울타리 요새"를 의미하며, 여러 요새화된 셀레우코스 제국 도시들에 적용되었다.[1] 카락스는 원래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기려 알렉산드리아(Alexandria)라고 불렸으며, 어쩌면 그에 의해 직접 건설되었을 수도 있다. 홍수로 파괴된 후, 안티오코스 4세 (기원전 175-164년)에 의해 재건되었고 안티오키아(Antiochia)로 개명되었다. 이 시기에 안티오코스의 총독인 히스파오시네스에 의해 거의 4.5km 길이에 달하는 대규모의 홍수 방지 제방이 설치되었고, "히스파오시네스의 카락스"(Charax of Hyspaosines)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플리니우스가 기록한 바에 의하면, 카락스는 에우라이오스/카르케강과 티그리스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가까운 나이산에 있는 자발 쿠야비르라는 거대한 봉우리에 위치했다.[22]
카락스 스파시누의 역사는 도시가 완전히 발굴되지 않아 고대 문서와 화폐학 자료를 통해 주로 파악된다.[27]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건설된 후, 셀레우코스 제국, 카라케네 왕국, 로마 제국, 파르티아 제국, 사산 제국, 우마이야 칼리파국 등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카락스가 아람어 단어 Karkâ에서 유래했다는 이론도 있는데, 이는 '성'을 의미하지만, 카락스는 여러 다른 셀레우코스 제국 도시들에서도 울타리라는 의미로 자주 나타난다.
3. 위치
대 플리니우스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카락스는 페르시아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했으며, 그곳은 아라비아 펠릭스 지역으로 튀어나와 있다. 오른쪽에는 티그리스강 왼쪽에는 카룬강을 사이로 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고지에 자리 잡았는데, 이 지점에서 두 강이 합류하며, 폭이 약 3.22km 정도이다. 원래는 해안가에서 약 2.01km 거리에 있었고, 항만을 갖췄으나, 유바 2세(재위: 기원전 50년경—서기 24년경)가 지필을 할 때 쯤에는 내륙으로 약 80.47km 지점에 있었다. 해안가에서 현재까지의 거리는 아랍인 사절들 및 카락스에서 온 우리 상인들이 약 193.12km이라 전했다. 이곳보다 강으로 인해 옮겨진 토양이, 더 많이 그리고 빠르게 바다를 침식해 가는 곳은 없다.[22]
플리니우스의 설명은 포이팅거 지도에서의 묘사와 일치한다.
자발 쿠야비르 유적지는 카르케강이 1837년 폭풍으로 인해 진로가 변화함에 따라, 현재 에우라이오스/카르케강과 티그리스강의 합류 지점에서 남쪽으로 1km에 있다.[23]
나이산은 초기 이슬람 시대에 카라케네 지역의 이름이었던 마이산에 대한 아랍어 구어의 변형일 수도 있다.[24]
4. 역사
카락스는 잦은 홍수와 서방과의 교역 감소로 인해 9세기에 버려졌다.
4. 1. 초기 역사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셀레우코스 제국)
카락스는 완전히 발굴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시의 역사는 주로 고대 문서 자료와 화폐학 자료에서 얻을 수 있다.[27]
카락스는 기원전 324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웠으며, 두리네(Durine)라고 하는 작은 페르시아인 취락지를 대체했다.[28] 이 도시는 기원전 323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기 직전에 그의 이름을 따서 지은 마지막 도시들 중 하나였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이곳 항구에 자신의 고향의 이름을 따 펠라라고 하는 지구 (데모스)를 설치했는데, 이곳에 마케도니아 병사 출신 퇴역병들을 정착시켰다.[29]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카락스는 셀레우코스 제국에 넘어갔지만, 어느 시점에 범람으로 파괴되었다.[9] 기원전 166년경, 안티오코스 6세 디오니소스의 명으로 카락스는 재건되었으며, 안티오코스 6세는 이 작업을 감독할 사트라프로 히스파오시네스를 임명했다.[30] 파르티아가 셀레우코스 제국의 대부분을 정복하면서 발생한 정치적 불안은 기원전 127년에 히스파오시네스가 독립 국가 카라케네를 건립할 수 있게 하였다. 그는 도시 명칭을 자신의 이름을 따 바꾸었다.
4. 2. 카라케네 왕국 (독립과 번영)
카락스는 기원전 166년경 안티오코스 6세 디오니소스의 명으로 재건되었으며, 안티오코스는 이 작업을 감독할 사트라프로 히스파오시네스를 임명했다.[30] 파르티아가 셀레우코스 제국의 대부분을 정복하면서 생긴 정치적 불안으로 기원전 127년에 히스파오시네스가 독립 국가 카라케네를 건립했다. 그는 도시 명칭을 자신의 이름을 따 바꾸었다.
카락스는 282년간 카라케네의 수도였으며, 화폐 증거물들은 이곳이 방대한 무역망을 갖춘 다민족 헬레니즘 도시였음을 보여준다. 트라야누스 치세에 로마인들은 서기 116년에 카락스를 합병했다.[31] 카라케네의 독립은 이후 파르티아의 왕위를 두고 내전이 일어난 시기에 파르티아 왕 파코로스 2세의 아들인 미트리다테스 치세 15년간 다시 이뤄졌다. 이 시기부터 카락스의 주화는 좀 더 파르티아 문화 요소를 띠었다.
4. 3. 로마 제국과 파르티아 제국의 지배
카락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셀레우코스 제국에 넘어갔으나, 어느 시점에 홍수로 파괴되었다.[29] 기원전 166년경 안티오코스 6세 디오니소스의 명으로 재건되었으며, 히스파오시네스가 이 작업을 감독할 사트라프로 임명되었다.[30]
파르티아가 셀레우코스 제국의 대부분을 정복하면서 정치적 불안이 발생했고, 기원전 127년에 히스파오시네스는 독립 국가 카라케네를 건립했다. 그는 도시 명칭을 자신의 이름을 따 바꾸었다. 카락스는 282년간 카라케네의 수도였으며, 화폐 증거를 통해 방대한 무역망을 갖춘 다민족 헬레니즘 도시였음을 알 수 있다.
트라야누스 치세인 서기 116년, 로마는 카락스를 합병했다.[31] 이후 파르티아 왕위를 둘러싼 내전 시기에 미트리다테스 치세 15년간 카라케네는 독립을 되찾았다. 이 시기부터 카락스의 주화는 좀 더 파르티아 문화 요소를 띠게 되었다.[19] 카락스는 트라야누스 침략 이전에는 헬레니즘 양식의 동전을 주조했으며, 침략 이후에는 더욱 파르티아적인 특징을 가진 동전을 주조했다.
4. 4. 사산 제국과 이슬람 시대
221-222년에 파르스의 사트라프였던 페르시아계 아르다시르 1세는 파르티아에 반란을 일으켜 사산 제국을 건국했다.[32] 아랍 역사가들에 따르면, 그는 카라케네의 군대를 격파하고 카라케네의 마지막 통치자를 전사시켰으며, 도시를 다시 세우고 명칭을 아스타라바드아르다시르(Astarābād-Ardašīr)라고 명명했다고 한다.[32] 카락스 주변 지역은 카라케네의 일부였으며, 그 뒤로 아람어/시리아어 명칭인 마이산(Maysān)이라 알려졌고, 이 명칭은 시간이 흘러 아랍 정복자들에게도 받아들여졌다.[33]
마이산이라는 이름으로 카락스는 계속 존속했으며, 페르시아 사료들은 5세기간 이곳의 총독들을 다수 언급했고, 6세기에는 카락스에 있던 네스토리우스 교회에 관한 언급도 있었다. 카락스의 조폐소는 사산 제국과 우마이야 칼리파국 시기에도 계속 운영된 것으로 보이며, 늦어도 715년에는 주화를 주조했다.[24]
카락스는 지속적인 범람 및 서방과의 교역 감소 때문에 9세기에 결국 버려졌다.
5. 경제
본래 그리스식 도시를 아라비아계 지도자 스파시네스(Spasines)가 확장시켰다고 하며, 그 이후로 그의 이름을 따 ‘스파시네스’와 ‘카락스 스파시누’라 불렸다.[34] 이곳에서 발굴 동안에 발견된 다량의 그리스 주화들에서 확인되었듯이, 이곳은 고대 말 주요 교역 중심지였다.[35]
셀레우코스 왕조 그리고 그 뒤에는, 아르사케스 왕조의 명목상 봉신이었으나, 당시에 상당한 자치를 누렸던 것으로 보인다. 서기 106년에 로마에 합병될 때까지만 하더라도, 나바테아인들이 주름잡았던 아랍 무역의 중심지였다.
카락스는 게라, 이집트, 인도, 그 너머에서 온 정기적으로 도착한 배들로 가득한 부유한 항구였다. 트라야누스는 자신이 카락스를 방문한 동안 인도로 향하는 배들을 목격했고, 스트라본은 도시를 엠포리움이라 칭했고[36] 플리니우스는 희귀한 향수 무역 중심지 및[37] 진주 채취 중심지라 언급한바 있다. 페르시아만에서 페트라와 팔미라 또한 파르티아 제국으로 향하는 육상 무역로의 시작점이기도 했다.[38]
6. 고고학
2016년에 시작된 나이산 유적 발굴을 통해 이 도시가 가로 185m, 세로 85m의 주거 블록으로 구성된 격자형 도시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고대 세계에서 가장 큰 블록에 속한다. 두 개의 대형 공공 건물이 발견되었지만 아직 발굴되지는 않았다.[26]
7. 유명 인물
카락스의 이시도로스는 1세기 지리학자로 카락스 스파시누 출신이다.[40]
로버트 아이스만은 사도 바울이 처음으로 교회를 세운 곳은 안티오키아가 아니라 이 도시라고 주장했다.
참조
[1]
웹사이트
JSONpedia - Charax Spasinu
http://jsonpedia.org[...]
[2]
문서
Pliny VI 39
[3]
서적
Natural History
Loeb Classical Library
"0077"
[4]
논문
The role of human interference on the channel shifting of the Karkheh Riverin the Lower Khuzestan plain (Mesopotamia, SW Iran)
2012
[5]
간행물
Characene and Charax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6]
보고서
Charax Spasinou: Alexander's Lost City in Iraq
http://www.charaxspa[...]
University of Manchester
[7]
간행물
A Greek coin hoard from Susiana
1965
[8]
웹사이트
Charax
https://www.livius.o[...]
[9]
문서
Pliny, 6.31.138
[10]
문서
Pliny, 6.31.139
[11]
문서
Dio Cassius, 78.28
[12]
문서
Ṭabarī I
[13]
문서
Kitab mu'jam al-buldan IV and III
[14]
웹사이트
Classical Gazetteer, page 106
http://www.ancientli[...]
2006-10-28
[15]
웹사이트
Bibliography Page 37
http://www.parthia.c[...]
[16]
서적
Geography
[17]
문서
Pliny Nat. Hist.12:80
[18]
서적
The Parthian Stations
[19]
문서
Dio Cassius, 78.28
[20]
서적
pp. 5, 23, 240-242
"2009"
[21]
웹인용
JSONpedia - Charax Spasinu
http://jsonpedia.org[...]
[22]
서적
박물지
Loeb Classical Library
"0077"
[23]
논문
The role of human interference on the channel shifting of the Karkheh Riverin the Lower Khuzestan plain (Mesopotamia, SW Iran)
2012
[24]
간행물
Characene and Charax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25]
저널
CHARAX SPASINOU 2016 ENGLISH REPORT
https://www.academia[...]
[26]
저널
CHARAX SPASINOU 2016 ENGLISH REPORT
https://www.academia[...]
[27]
간행물
A Greek coin hoard from Susiana
1965
[28]
웹사이트
Charax
https://www.livius.o[...]
[29]
문서
Pliny, 6.31.138
[30]
문서
Pliny, 6.31.139
[31]
문서
Dio Cassius, 78.28
[32]
문서
Ṭabarī I
[33]
문서
Kitab mu'jam al-buldan IV and III
[34]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ancientli[...]
2006-10-28
[35]
웹인용
Bibliography Page 37
http://www.parthia.c[...]
[36]
서적
Geography Book XV, Chapter 3
[37]
서적
Nat. Hist.12:80
[38]
서적
The Parthian Stations
[39]
서적
78.28
[40]
서적
pp. 5, 23, 240-242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