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그렐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그렐어는 카르트벨리 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조지아의 사메그렐로 지역을 중심으로 약 30만에서 50만 명이 사용한다. 조지아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로 표기되며, 조지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라즈어와는 상호 이해가 가능하며, 두 개의 주요 방언인 주그디디-사무르자카노 방언과 세나키-포티 방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압하지야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압하지야의 언어 - 조지아어
    조지아어는 카르트벨리어족에 속하는 독립된 어족의 언어로, 5세기부터 문헌으로 기록되었고 므케드루리 문자를 사용하며, 복잡한 자음 체계와 다양한 방언을 가진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의 교착어이다.
  • 조지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조지아의 언어 - 라즈어
    라즈어는 카르트벨리어족 언어 중 하나로 메그렐어와 함께 잔어파를 형성하며, 터키 북동부와 조지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터키 알파벳 기반 문자와 조지아 문자로 표기되지만 공식적인 지위나 표준 문자가 없어 화자들은 터키어나 조지아어를 사용한다.
  • 소멸위기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소멸위기언어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민그렐어
언어 정보
이름메그렐어
로마자 표기Megreureo
자기 이름მარგალური ნინა
사용 국가조지아
사용 지역사메그렐로, 압하스
사용자500,000명 (1989년)
언어 계통카르트벨리어족
하위 분류잔어파
문자그루지야 문자(무헤드룰리)
ISO 639-3xmf
위험도위험
카르트벨리어족 언어 분포도
카르트벨리어족 언어 분포도
메그렐어의 언어 생존 정도
메그렐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아틀라스에 의해 "확실히 위기"로 분류됨

2. 분포 및 현황

민그렐어 원어민 화자 수는 정확한 수치가 없지만, 30만에서 50만 명 사이로 추정된다.[2] 대부분의 화자는 조지아의 민그렐리아(또는 사메그렐로, 이전에는 오디시) 지역에 거주하며, 이곳은 오디시 언덕과 콜키스 저지대를 포함하며 흑해 해안에서 스반 산맥과 츠케니스츠칼리 강까지 이어진다. 압하스에도 작은 거주지가 있었지만, 현재 진행 중인 내전으로 인해 많은 민그렐어 화자들이 조지아의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2] 그들의 지리적 분포는 비교적 밀집되어 있어 세대 간 언어 전파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2]

민그렐어 사용 인구.


민그렐어는 일반적으로 조지아 문자로 표기되지만, 정서법이나 공식적인 지위는 없다. 거의 모든 화자는 이중 언어 구사자이며, 주로 친숙하고 비공식적인 대화에 민그렐어를 사용하고, 다른 목적에는 조지아어 (또는 이주민 화자의 경우 현지 공식 언어)를 사용한다.[2]

2. 1. 대한민국과의 관계

3. 역사

민그렐어는 카르트벨리 어족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 라즈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북부(민그렐)와 남부(라즈) 지역 사회가 투르크족의 침략으로 분리된 후 지난 500년 동안 주로 차별화되었다.[3] 조지아어와는 덜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두 갈래는 기원전 첫 번째 천년 또는 그 이전에 분리되었으며, 스반어와는 더 멀리 관련되어 있는데, 기원전 2천년 또는 그 이전에 분리된 것으로 여겨진다.[3] 민그렐어는 라즈어와만 상호 이해 가능하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민그렐어와 라즈어를 잔어군으로 언급한다.[4] 잔어군은 이미 근대에 민그렐어와 라즈어 변종으로 분리되었지만, 오늘날 통일된 잔어를 말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민그렐어로 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텍스트는 19세기에 작성되었으며 주로 민족지학 문헌이다. 민그렐어의 초기 언어 연구에는 알렉산드르 차가렐리 (1880)의 음성 분석, 이오세브 킵시제 (1914)와 샬바 베리제 (1920)의 문법이 포함된다. 1930년부터 1938년까지 카자키시 가제티, 코무나, 사마르갈로쉬 차이, 나라제니쉬 차이, 사마르갈로쉬 투투미 등 여러 신문이 민그렐어로 발행되었다. 최근에는 오타르 카자이아의 민그렐-조지아 사전, 오타르 카자이아와 하인츠 패니치의 민그렐-독일 사전, 라샤 가카리아, 에뎀 이조리아, 라샤 그바살리아, 구리 오토바이아, 기오르기 시치나바, 줌베르 쿠카바, 바흐탕 하르칠라바의 시집, 저널 스카니, 민그렐어 위키백과, 여호와의 증인에 의해 출판된 책과 잡지가 발행되면서 언어 부흥이 이루어지고 있다.[5]

4. 음운론

민그렐어 모음
rowspan="2" |전설후설
비원순원순
고모음i 이(ə ) ჷu 우
중모음e 에o 오
저모음a 아



민그렐어는 5개의 모음 음소 /i ɛ a ɔ u/를 가지고 있다. 주그디디-사무르자카노 방언에는 /i/와 /u/의 동화의 결과로 여섯 번째 /ə/가 있다.

민그렐어의 자음 체계는 유성 자음과 대조되는 유기음방출음 계열을 포함한다. 이는 라즈어, 조지아어, 스반어의 자음 체계와 거의 동일하다. 아래 표는 민그렐어의 자음을 로마자, 국제 음성 기호(IPA), 므헤드룰리로 나타낸 것이다.

민그렐어 자음
colspan="2" |순음치경음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m მn ნ
파열음유성b ბd დg გ
유기p ფt თk ქ
방출p̌ პţ ტǩ კqʼ ყɔ ჸ
파찰음유성ž ძdj ჯ
유기ʒ ცç ჩ
방출ǯ წč ჭ
마찰음유성v ვz ზj ჟɣ ღ
무성s სş შx ხh ჰ
전동음r რ
접근음l ლy ჲ



민그렐어의 특정 모음 쌍은 단일 모음으로 축약된다.


  • ''ae'' 및 ''ai'' → ''ee'' → ''e''
  • ''ao'', ''oa'' 및 ''oo'' → ''aa'' → ''a''
  • ''ou → uu → u''


주그디디-사무르자카노 방언에서는 모음 ''i''와 ''u''도 종종 ''ə''로 축약된다.

자음 앞에서, ''g'' → ''r''로 변한다.

단어 시작 시 모음 앞과 모음 사이에서, ''q' → ʔ''. 자음 ''v'' 앞에서는, ''q' → ɣ/ǩ''.

흔한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유성/무성 자음 앞의 무성/유성 자음의 유성음화/무성음화 (각각).
  • 성문음화된 자음 앞과 성문 파열음 앞의 자음의 성문음화.


어간에 'r'이 포함된 경우 접미사 '-ar'과 '-ur'는 '-al'과 '-ul'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xorgaxmf ''(Gaghma Pirveli Khorga, 마을)→'' xorg-ul-ixmf ("Khorgan").

이 규칙은 어간에 'r'이 있고 그 뒤에 'l'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다. 예를 들어 marṫvilixmf ''("마르트빌리", 도시) dj'' marṫvil-ur-ixmf ''(adj. "마르트빌리안")''

무성 파찰음 또는 무성 치찰음이 있는 어간에서는 나중에 오는 ''ǯ''가 무파찰음화되어 ''d''가 된다. 예를 들어 orcxondjixmf ''dj'' orcxondixmf "빗", ç̌andjixmf ''dj'' ç̌andixmf "파리", isindjixmf ''dj'' isindixmf "화살" 등.

  • 민그렐어의 모든 방언에서 자음 앞의 ''l'' → ''r''로 변환된다.
  • 마르트빌리 하위 방언에서는 단어 시작 시 모음 앞에서 ''l → y → ∅''로, 그리고 모음 사이에서 ''l → ∅''로 변환된다.


모음 사이에서 유기적인 ''v''는 사라진다. 예를 들어 xvavixmf(그루지야어: "풍부함, 넉넉함") → *xvaixmf → xveexmf(동일), mṭevanixmf(그루지야어: "꽃송이") → ţianixmf(동일) 등.

파열음과 파찰음 앞에서는 무기적인 증강 ''n''이 나타날 수 있다(순음 앞에서는 ''n → m''으로 변한다).

4. 1. 모음

wikitable

민그렐어 모음
rowspan="2" |전설후설
비원순원순
고모음i 이(ə ) ჷu 우
중모음e 에o 오
저모음a 아



```

민그렐어는 5개의 모음 음소 /i ɛ a ɔ u/를 가지고 있다. 주그디디-사무르자카노 방언에는 /i/와 /u/의 동화의 결과로 여섯 번째 /ə/가 있다.

4. 2. 자음

민그렐어의 자음 체계는 유성 자음과 대조되는 유기음방출음 계열을 포함한다. 이는 라즈어, 조지아어, 스반어의 자음 체계와 거의 동일하다. 아래 표는 민그렐어의 자음을 로마자, 국제 음성 기호(IPA), 므헤드룰리로 나타낸 것이다.

민그렐어 자음
colspan="2" |순음치경음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m მn ნ
파열음유성b ბd დg გ
유기p ფt თk ქ
방출p̌ პţ ტǩ კqʼ ყɔ ჸ
파찰음유성ž ძdj ჯ
유기ʒ ცç ჩ
방출ǯ წč ჭ
마찰음유성v ვz ზj ჟɣ ღ
무성s სş შx ხh ჰ
전동음r რ
접근음l ლy ჲ



4. 3. 음운 변화

민그렐어의 특정 모음 쌍은 단일 모음으로 축약된다.

  • ''ae'' 및 ''ai'' → ''ee'' → ''e''
  • ''ao'', ''oa'' 및 ''oo'' → ''aa'' → ''a''
  • ''ou → uu → u''


주그디디-사무르자카노 방언에서는 모음 ''i''와 ''u''도 종종 ''ə''로 축약된다.

자음 앞에서, ''g'' → ''r''로 변한다.

단어 시작 시 모음 앞과 모음 사이에서, ''q' → ʔ''. 자음 ''v'' 앞에서는, ''q' → ɣ/ǩ''.

흔한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유성/무성 자음 앞의 무성/유성 자음의 유성음화/무성음화 (각각).
  • 성문음화된 자음 앞과 성문 파열음 앞의 자음의 성문음화.


어간에 'r'이 포함된 경우 접미사 '-ar'과 '-ur'는 '-al'과 '-ul'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xorgaxmf ''(Gaghma Pirveli Khorga, 마을)→'' xorg-ul-ixmf ("Khorgan").

이 규칙은 어간에 'r'이 있고 그 뒤에 'l'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다. 예를 들어 marṫvilixmf ''("마르트빌리", 도시) dj'' marṫvil-ur-ixmf ''(adj. "마르트빌리안")''

무성 파찰음 또는 무성 치찰음이 있는 어간에서는 나중에 오는 ''ǯ''가 무파찰음화되어 ''d''가 된다. 예를 들어 orcxondjixmf ''dj'' orcxondixmf "빗", ç̌andjixmf ''dj'' ç̌andixmf "파리", isindjixmf ''dj'' isindixmf "화살" 등.

  • 민그렐어의 모든 방언에서 자음 앞의 ''l'' → ''r''로 변환된다.
  • 마르트빌리 하위 방언에서는 단어 시작 시 모음 앞에서 ''l → y → ∅''로, 그리고 모음 사이에서 ''l → ∅''로 변환된다.


모음 사이에서 유기적인 ''v''는 사라진다. 예를 들어 xvavixmf(그루지야어: "풍부함, 넉넉함") → *xvaixmf → xveexmf(동일), mṭevanixmf(그루지야어: "꽃송이") → ţianixmf(동일) 등.

파열음과 파찰음 앞에서는 무기적인 증강 ''n''이 나타날 수 있다(순음 앞에서는 ''n → m''으로 변한다).

5. 문자

민그렐어는 므헤드루리, 라틴 문자,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므헤드루리민그렐어 라틴 문자민그렐어 키릴 문자국제 음성 기호 (IPA)
aаɑ
bбb
gгɡ
dдd
eеɛ
vвv
zзz
tt
iіi
ǩк
lлl
mмm
nнn
yјj
oоɔ
п
zhжʒ
rрr
sсs
т
uуu
ƨѵə
pҧp
kӄk
ǧҕɣ
qk
ɣɣʔ
ş / shшʃ
ç / chчt͡ʃ
tsцt͡s
dzӡd͡z
ʒ / tzҵt͡sʼ
ç̌t͡ʃʼ
xхx
djџd͡ʒ
hһh


6. 문법

민그렐어의 문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민그렐어 문법 문서를 참고하라.

7. 방언

민그렐어에는 두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 주그디디-사무르자카노 방언(또는 북서 방언)과 세나키-포티 방언(또는 남동 방언)이 그것이다. 주그디디-사무르자카노 방언에는 즈바리 하위 방언이 있으며, 세나키-포티 방언에는 마트빌리-반자, 아바샤 하위 방언이 있다.

8. 저명한 화자


  • 라브렌티 베리야는 소련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의 비밀 경찰 책임자였다.
  • 콘스탄틴 감사후르디아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조지아 작가 중 한 명이다.
  •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는 탈소련 조지아의 초대 대통령이었다.
  • 안티사 크비차바는 2012년 사망 당시 세계 최고령자라고 주장되었으며 (추정 132세),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는 조지아 축구 선수이다.[6]
  • 일리야 토푸리아는 스페인조지아 종합 격투기 선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8-04-04
[2] 웹사이트 Georgia https://2009-2017.st[...] 2016-04-09
[3] 웹사이트 Languages in the Caucasus http://wschulze.user[...] 2009
[4] 웹사이트 K2olxuri Ena (Colchian Language) http://www.icgl.org/[...]
[5] 웹사이트 იეჰოვაშ მოწმეეფიშ გიშაშკუმალირი ბიბლიური წიგნეფი დო ჟურნალეფი https://www.jw.org/x[...] 2018-04-04
[6] 뉴스 Georgia Claims it Has World's Oldest Person, 130 https://news.yahoo.c[...] 2010-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