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로스 P. 가르시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로스 P. 가르시아는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1953년부터 1957년까지 부통령을 역임했으며, 1957년부터 1961년까지 필리핀 대통령을 지냈다. 그는 보홀 출신으로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고, 교사, 시인으로 활동하며 '보홀의 음유시인'으로 불리기도 했다. 1953년 부통령에 당선되어 라몬 막사이사이 대통령을 보좌했고, 막사이사이 대통령 사망 후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필리피노 퍼스트 정책, 긴축 프로그램 등을 추진했다. 대통령 재선에는 실패했으며, 1971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홀주 출신 - 다투 시카투나
다투 시카투나는 볼 왕국을 통치한 부족장으로, 1565년 스페인 탐험대와 필리핀 원주민 간 최초의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말년에는 가톨릭으로 개종한 인물이다. - 19세기 필리핀 사람 - 후안 아라네타
후안 아라네타는 필리핀 혁명가, 정치인, 농업 혁신가로서 네그로스 혁명을 주도하여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고 네그로스 공화국 수립 당시 전쟁 장관을 역임했으며, 농업 기술 발전에도 기여했다. - 필리핀의 변호사 - 마누엘 L. 케손
필리핀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인 마누엘 L. 케손은 필리핀 코먼웰스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필리핀의 자치권 확보와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타갈로그어 국어 채택, 사회 정의 프로그램 추진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하여 필리핀의 완전 독립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다. - 필리핀의 변호사 - 호세 라우렐
호세 라우렐은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변호사, 상원의원, 대법원 판사를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 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전후 전범으로 기소되었고, 사면 후 상원의원과 경제 사절 단장을 지내다 1959년 사망했다.
카를로스 P. 가르시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카를로스 폴레스티코 가르시아 |
출생일 | 1896년 11월 4일 |
출생지 | 탈리본, 보홀, 스페인령 동인도 |
사망일 | 1971년 6월 14일 |
사망지 | 케손 시티, 필리핀 |
안장지 | 리빙안 응가 망가 바야니, 타기그, 메트로 마닐라, 필리핀 |
정당 | 나시오날리스타당 |
배우자 | 레오닐라 디마타가 (1933년 결혼) |
자녀 | 린다 가르시아-캄포스 |
모교 | 실리만 대학교 필리핀 로스쿨 (국립 대학교) (LL.B) |
직업 | 변호사 |
서명 | Carlos P. Garcia autograph.svg |
로마자 표기법 | ˈkaːɾ.los poˌlɛːs.tɪˈxo gɐɾˈsiː.ɐ |
기사 작위 | KR |
필리핀 대통령 | |
직위 | 제8대 필리핀 대통령 |
임기 시작 | 1957년 3월 18일 |
임기 종료 | 1961년 12월 30일 |
전임 대통령 | 라몬 막사이사이 |
후임 대통령 |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
부통령 | 없음 (1957년 3월 18일 – 12월 30일)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1957–1961) |
필리핀 제헌의회 | |
직위 | 제1대 1971년 필리핀 제헌의회 의장 |
대통령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임기 시작 | 1971년 6월 1일 |
임기 종료 | 1971년 6월 14일 |
전임 의장 | 없음 |
후임 의장 |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
필리핀 부통령 | |
직위 | 제4대 필리핀 부통령 |
대통령 | 라몬 막사이사이 |
임기 시작 | 1953년 12월 30일 |
임기 종료 | 1957년 3월 18일 |
전임 부통령 | 페르난도 로페스 |
후임 부통령 |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
필리핀 외무부 장관 | |
직위 | 필리핀 외무부 장관 |
대통령 | 라몬 막사이사이 (1953–1957) 본인 (1957) |
임기 시작 | 1953년 12월 30일 |
임기 종료 | 1957년 8월 22일 |
전임 장관 | 호아킨 미겔 엘리살데 |
후임 장관 | 펠릭스베르토 세라노 |
필리핀 상원 의원 | |
직위 | 필리핀 상원 의원 |
임기 시작 | 1945년 5월 25일 |
임기 종료 | 1953년 12월 30일 |
보홀 주지사 | |
직위 | 제10대 보홀 주지사 |
임기 시작 | 1933년 12월 30일 |
임기 종료 | 1941년 12월 30일 |
전임 주지사 | 셀레스티노 B. 갈라레스 |
후임 주지사 | 아가피토 Y. 혼타노사 시니어 |
필리핀 하원 의원 | |
직위 | 필리핀 하원 보홀 제3선거구 의원 |
임기 시작 | 1925년 6월 2일 |
임기 종료 | 1931년 6월 2일 |
전임 의원 | 테오도로 아부에바 |
후임 의원 | 필로메노 오르베타 카세냐스 |
2. 생애
1925년부터 1931년까지 보홀주 제3선거구에서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어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26] 이후 1933년 12월부터 1941년 12월까지 보홀 주지사를 역임했다.[26] 1941년에는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25] 태평양 전쟁 중 일본의 필리핀 침공으로 인해 실제 취임은 전쟁이 끝난 후인 1945년 5월에 이루어졌다.[26] 전쟁 기간 동안 그는 고향 보홀에서 저항 운동 지도자로 활동했다.[27]
상원의원으로 세 차례 당선된 후,[27] 1953년에는 임기를 2년 남기고 나시오날리스타당 후보로 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5] 이에 따라 1953년 12월부터 라몬 막사이사이 대통령 행정부에서 부통령 겸 외무장관을 지냈다.[26][25] 외무장관 재임 중이던 1954년 1월부터는 일본과의 전쟁 배상금 문제 해결을 위해 오오노 카츠미(大野勝己) 공사와 예비 협상을 시작했다. 같은 해 4월, 배상금 4억달러를 10년(추가 10년 연장 가능)에 걸쳐 지불하는 내용의 오오노-가르시아 각서 초안을 마련했으나, 필리핀 상원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최종적인 공식 배상 협정은 1956년 5월 9일에 체결되었다.
2. 1. 교육 및 초기 경력
가르시아는 1896년 11월 4일 보홀섬의 탈리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폴로크로니오 가르시아와 어머니 암브로시아 폴레스티코는 모두 아브라주 방게드 출신이었다.[2] 아버지가 4선 시장을 역임했기에 가르시아는 정치적인 환경 속에서 성장했다.[2]그는 고향 탈리본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고, 이후 세부에 있는 아벨라나 국립학교(구 세부 주립 고등학교)에서 중등 교육을 수석으로 마쳤다.[2] 처음에는 동네그로스주 두마게테에 있는 실리만 대학교에서 대학 교육을 시작했으나, 이후 마닐라에 있는 국립대학교 법과대학(당시 필리핀 법률학교)으로 옮겨 1923년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29][2] 그는 1923년 필리핀 변호사 시험에서 상위 10위 안에 드는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29][1][3] 이후 국립대학교에서 1961년 명예 인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일본 도쿄대학교에서도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2]
법학 학위를 취득한 후 바로 법조계에 투신하는 대신, 그는 보홀주립 고등학교에서 2년간 교사로 재직했다.[2] 또한 그는 보홀 지역에서 시인으로도 명성을 얻어 "비사야 시인들의 왕자" 및 "보홀의 음유시인"이라는 별명을 얻었다.[2]
3. 정치 경력
1925년 정계에 입문하여 하원 보홀 제3 선거구 의원으로 당선되었다.[26][4] 이후 1933년부터 1941년까지 보홀주 주지사를 역임했으며,[26] 1941년에는 상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25] 다만,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필리핀 점령으로 인해 상원의원으로서의 실제 활동은 1945년부터 시작할 수 있었다.[26]
1953년, 상원의원 임기 2년을 남기고 나시오날리스타당 후보로 부통령에 당선되었다.[25][27] 라몬 막사이사이 대통령 재임 기간(1953년 12월 ~ 1957년 3월) 동안 부통령 겸 외무장관을 지냈다.[26][25] 외무장관으로서 1954년 1월부터 일본과의 전쟁 배상 문제에 대한 예비 협상을 오오노 카츠미 공사와 진행했다. 같은 해 4월, 배상금 4억달러, 지불 기간 10년(10년 연장 가능)을 골자로 하는 '오오노-가르시아 각서'를 작성했으나 상원의 반대로 조인이 무산되었고, 최종적인 배상 협정은 1956년 5월 9일에 체결되었다.
1957년 3월 17일, 라몬 막사이사이 대통령이 비행기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대통령직을 승계했다.[30]
3. 1. 보홀 주지사
가르시아는 1925년 정계에 입문하여 필리핀 하원 보홀 제3 선거구 의원으로 당선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1928년 재선되어 1931년까지 하원의원으로 활동했다. 1933년에는 보홀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필리핀 점령 시기인 1941년 필리핀 상원 의원에 당선되었으나, 전쟁으로 인해 실제 의정 활동은 할 수 없었다. 그는 연합군의 해방과 전쟁 종식 후 1945년 의회가 다시 열렸을 때 상원 의원직을 수행했으며, 이후 상원 다수당 원내대표로 선출되었다.[4] 당시 언론은 그를 꾸준히 가장 뛰어난 상원의원 중 한 명으로 평가했다. 동시에 그는 나시오날리스타당에서도 활동했다.3. 2. 필리핀 상원 의원
1941년 상원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25]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필리핀 점령으로 인해 바로 의정 활동을 시작하지는 못했다.[26] 상원이 공개한 프로필에 따르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보홀주에서 저항 운동 지도자였다고 한다.[27]연합군의 해방과 전쟁 종식 후인 1945년 5월 의회가 재소집되면서 상원 의원직을 수행하기 시작했다.[26] 전쟁 후 상원 의원직에 복귀하여 상원 다수당 원내대표로 선출되었으며,[4] 언론으로부터 꾸준히 가장 뛰어난 상원의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4] 동시에 나시오날리스타당에서도 활동했다.[4] 상원의원으로 총 세 번 당선되었다.[27] 1953년, 상원의원 임기 2년을 남기고 나시오날리스타당 공인 후보로 부통령에 당선되었다.[25]
4. 부통령 (1953–1957)
1953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라몬 마그사이사이의 러닝메이트로 당선되어, 1953년 12월부터 1957년 3월까지 필리핀 부통령직과 필리핀 외무장관직을 겸임했다.[26][25]
부통령 겸 외무장관으로서 가르시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전쟁 배상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54년 1월부터 일본의 大野勝己|오오노 카츠미jpn 공사와 예비 협상을 시작하여, 같은 해 4월 배상금 4억달러, 지불 기간 10년(추가 10년 연장 가능)을 골자로 하는 '오오노-가르시아 각서' 초안을 마련했으나 필리핀 상원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후 협상을 지속하여 1956년 5월 9일 공식적인 배상 협정을 체결했다.
4. 1. 외교 활동

가르시아는 1953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라몬 마그사이사이와 함께 러닝메이트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마그사이사이 대통령에 의해 필리핀 외무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4년 동안 필리핀 부통령직을 동시에 수행했다.
외무장관으로서 가르시아는 1954년 9월 마닐라에서 열린 8개국 동남아시아 안보 회의에서 의장직을 맡았다. 이 회의는 이후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의 창설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5]
5. 대통령 (1957–1961)
1957년 3월 17일, 라몬 막사이사이 대통령이 비행기 추락 사고로 갑자기 사망했을 당시, 부통령이었던 가르시아는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에서 열리고 있던 동남아시아 조약기구(SEATO) 회의에 필리핀 대표단을 이끌고 있었다.[6] 비극적인 소식을 접한 그는 즉시 마닐라로 돌아왔다. 도착 직후 말라카냥궁으로 이동하여 대통령직 업무를 인수했으며, 3월 18일 필리핀 대법원장 리카르도 파라스 앞에서 대통령 취임 선서를 하고 대통령직을 공식 승계했다.[26][6] 가르시아 대통령의 첫 조치는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막사이사이 대통령의 장례식을 주관하는 것이었다.[6][7]
같은 해 11월 12일에 실시된 1957년 필리핀 총선에서 가르시아는 41.3%의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되었고,[26] 12월 30일부터 4년 임기를 시작했다.[8]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가르시아 행정부는 '필리피노 퍼스트 정책'으로 대표되는 민족주의적 경제 정책과 긴축 프로그램, 반공주의 정책 등을 추진했다.[31][6] 외교적으로는 비공산주의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에 힘썼으며,[25] 동남아시아 연합(ASA) 설립에 관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5. 1. 1957년 대통령 선거
1957년 3월 17일 전임 라몬 막사이사이 대통령이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자[28], 다음 날인 3월 18일 부통령이었던 카를로스 가르시아가 필리핀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26]같은 해 11월 12일에 실시된 1957년 필리핀 총선에서 가르시아는 나시오날리스타당 후보로 출마하였다. 그는 총 투표수의 41.3%인 2,072,257표를 얻어[26] 자유당의 경쟁자 호세 유로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그의 러닝메이트였던 필리핀 하원 의장 호세 라우렐 주니어는 자유당 소속으로 팜팡가 제1 선거구 대표였던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에게 패배하였다. 이 선거는 필리핀 역사상 처음으로 과반수가 아닌 다수결 득표로 대통령이 선출되었으며, 당선된 대통령과 부통령의 소속 정당이 다른 사례가 되었다.
가르시아는 1957년 12월 30일 마닐라의 키리노 그랜드스탠드에서 취임 선서를 하며 대통령으로서의 정식 임기를 시작했다.[8] 취임 선서는 필리핀 대법원장 리카르도 파라스가 집행하였다. 당시 보홀의 주지사였던 후안 파호가 가르시아의 선서 시 성경을 들었는데, 이는 대통령 배우자가 성경을 드는 기존의 전통을 깬 이례적인 일이었다.[9]
5. 2. 주요 정책
가르시아 행정부의 대표적인 정책으로는 '''필리피노 퍼스트 정책'''(Filipino First Policy영어)이 있다.[31] 이 외에도 긴축 프로그램, 반공주의 정책을 추진했으며, 외교 분야에서는 볼렌-세라노 협정 개정, 국제 벼 연구소(IRRI) 설립 지원 등의 활동을 했다. 또한, 비공산주의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에 힘쓰며 동남아시아 연합(ASA) 설립을 주도하였다.[25]5. 2. 1. 필리피노 퍼스트 정책 (Filipino First Policy)
가르시아는 이른바 '''Filipino First Policy영어'''(필리피노 우선 정책)로 불리는 정책을 마련했다. 당시 필리핀에서는 소수의 엘리트 계층이 특혜를 받으며 거의 모든 권력을 독점하고 있었다. 그는 이 법률을 장려하며, 인생이란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는 것이라고 주장했다.[31]가르시아는 잘 알려진 Filipino First Policy영어를 시행했다. 이 정책은 외국인 투자자보다 필리핀 사업가들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소매 무역 분야에도 변화를 가져왔는데, 이는 특히 필리핀 내 중국계 사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946년 9월 18일 의회 합동회의 연설에서 가르시아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우리는 이 중대한 논쟁에서 우리 땅이 우리 민족의 요람이자 무덤, 자궁이자 묘지로 남을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우리가 집과 사찰, 제단을 세울 수 있는 유일한 곳이며, 우리의 인종적 희망과 꿈, 전통의 성을 세우고, 우리의 행복과 번영, 기쁨과 슬픔의 창고를 설립하는 곳입니다.[15]
5. 2. 2. 긴축 프로그램 (Austerity Program)
어려운 국내 상황에 직면하여 가르시아는 "긴축 프로그램(Austerity Programeng)"이라 불리는 정책을 시작했다. 그의 행정부는 긴축 프로그램과 포괄적인 민족주의 정책을 고집하는 특징을 보였다. 1960년 3월 3일, 그는 완전한 경제적 자유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정부가 더 이상 국가 경제에서 외국(특히 미국)의 지배를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사업, 무역, 상업 및 산업에서의 외세 지배의 멍에"를 벗어던질 것을 약속했다. 가르시아는 필리핀 문화 예술 부흥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5] 긴축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6]# 정부의 통제 강화를 통해 수출 허가 하의 과도한 수출 및 저가격 책정 남용을 방지한다.
# 기존의 바터(barter) 수출 규정을 더욱 엄격하게 시행한다.
# 정부 수입을 필수 품목으로 제한한다.
# 쌀 수입을 최소한으로 줄인다.
# 휘발유 및 예비 부품 수입 감소를 위한 지역 운송 시스템 개편을 실시한다.
# 세금 부담의 보다 공정한 분배와 납세 능력이 있는 사람들로부터의 더 효과적인 징수를 달성하기 위해 조세 제도를 개정한다.
# 식량 생산 강화를 추진한다.
이 프로그램은[6] 국민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제안된 조치들이 공화국의 난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확신이 표명되었다.[6]
5. 2. 3. 반공주의 정책
필리핀 의회에서의 많은 공식 및 공개 논의 끝에, 필리핀 공산당(Partido Komunista ng Pilipinas-1930)을 불법화하는 법안이 마침내 승인되었다. 의회의 압력 속에서 가르시아 대통령은 1957년 6월 19일 이 법안에 서명하여 공화국 법 제1700호, 즉 '반체제 활동 방지법'(Anti-Subversion Act of 1957)으로 제정했다.[6][10]이 법은 이후 여러 차례 개정되었다. 처음에는 "체제 전복 조직 금지, 조직 가입에 대한 처벌 및 기타 목적"이라는 제목의 대통령령 제885호로 대체되었고, 이후 대통령령 제1736호에 의해 개정되었다. 다시 "반체제 활동에 관한 여러 법률의 성문화 및 체제 전복 조직 가입에 대한 처벌 강화"라는 제목의 대통령령 제1835호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또다시 대통령령 제1975호에 의해 개정되었다. 그러나 1987년 5월 5일, 코라손 아키노 행정부의 행정명령 제167호는 헌법상 보장된 결사의 자유를 지나치게 제한한다는 이유로 대통령령 제1835호와 제1975호를 폐지했다.[11]
결정적으로 1992년 9월 22일, 피델 V. 라모스 행정부 시절 공화국 법 제7636호가 제정되면서 공화국 법 제1700호, 즉 반체제 활동 방지법 자체가 폐지되었다.[12] 이로 인해 필리핀 공산당 및 기타 지하 운동[13]과 관련된 '체제 전복'(subversion) 행위는 합법화되었으나, 반란죄(sedition)는 여전히 범죄로 규정되어 있다.[14]
5. 2. 4. 볼렌-세라노 협정
그의 집권 기간 동안 그는 볼렌-세라노 협정에 따라 미군 기지의 임대 기간을 99년에서 25년으로 단축하고 5년마다 갱신할 수 있도록 했다.[16]5. 2. 5. 국제 벼 연구소 설립 지원
가르시아 대통령은 후안 G. 로드리게스 농업·천연자원부 장관의 강력한 지지 아래, 포드 재단과 록펠러 재단에 필리핀 라구나주 로스바뇨스에 벼 연구소 설립을 제안했다. 이 제안은 1960년 국제 벼 연구소(IRRI) 설립으로 이어졌다.[17]5. 2. 6. 동남아시아 연합(ASA) 설립 주도
가르시아는 비공산주의 아시아 국가들 간의 관계 강화에 힘썼다.[25] 1958년 12월, 그는 공산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자유주의 아시아 국가들을 하나로 결합시키겠다는 대외 정책 방침을 발표했다.이러한 구상은 1959년 1월, 말레이시아의 툰쿠 압둘 라만 수상이 필리핀을 공식 방문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지역 협력에 대한 구상을 가지고 있던 두 정상은 경제 및 문화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회담 후 공동 성명을 통해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참여를 호소했다. 양국 외무부도 이 구상의 실현을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태국의 Thanat Khoman|타낫 코만영어 외무장관 역시 지역 협력 구상에 관심을 보였고, 1959년 7월 태국이 작성한 지역 협력 구상안을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배포했다. 1960년 7월, 라만 수상은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3개국을 창립 회원국으로 하는 지역 협력 기구 설립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혔고, 중립 비동맹 국가들의 가입을 강력히 희망했다.
마침내 1961년 7월 31일부터 8월 1일까지 방콕에서 라만 수상, 타낫 외무장관, 필리핀의 세라노 외무장관 3자가 회담을 가졌다. 회담 첫날인 7월 31일, 이들은 동남아시아 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어소시에이션 오브 사우스이스트 아시아영어, ASA) 설립 선언(방콕 선언)을 발표했다. ASA는 동남아시아 최초의 지역 협력 기구였으며, 1967년 8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이 창설되면서 기능을 계승하고 해산되었다.
5. 3. 1961년 대통령 선거 패배
두 번째 임기가 끝나갈 무렵, 그는 1961년 11월 14일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에 도전했지만, 라이벌 정당인 자유당 소속 부통령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에게 패배하여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25]6. 퇴임 이후와 죽음
1961년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당시 부통령이었던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에게 패배하여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25] 재선에 실패한 후, 가르시아는 타그빌라란으로 은퇴하여 일반 시민으로서의 삶을 살았다.
1971년 6월 1일, 가르시아는 1971년 헌법 개정 회의 대표로 선출되었고, 대표들은 그를 회의 의장으로 선출했다.[26] 그러나 의장 취임 후 불과 13일 만인 1971년 6월 14일 오후 5시 57분, 케손 시티 보홀 애비뉴(현재 사전트 에스구에라 애비뉴)에 있는 마닐라 자택에서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9][26][25]
가르시아는 평신도로서는 처음으로 국가장(lie in state)을 치르는 영예를 안았다. 이는 이전까지 마닐라 대주교들에게만 허용되었던 특권이었다.[20] 그의 유해는 타기그에 있는 국립묘지(영웅묘지)에 안장되었으며,[25] 이곳에 안장된 최초의 필리핀 대통령이기도 했다.[20]
7. 가족
1933년 5월 24일, Leonila Dimataga|레오닐라 디마타가영어와 결혼하여 딸 Linda Garcia-Campos|린다 가르시아-캄포스영어를 두었다.[21]
8. 서훈
9.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53년 선거 | 필리핀 부통령 | 4대 | 국민당 | 62.90% | 2,515,265표 | 1위 | |
1957년 선거 | 필리핀 대통령 | 8대 | 국민당 | 41.28% | 2,072,257표 | 1위 | |
1961년 선거 | 필리핀 대통령 | 9대 | 국민당 | 44.95% | 2,902,966표 | 2위 | 낙선 |
참조
[1]
웹사이트
Remembering Carlos P. García on his 115th Birth Anniversary
http://www.mb.com.ph[...]
Manila Bulletin
2012-10-05
[2]
웹사이트
Honorary Doctors Toyo University
https://www.toyo.ac.[...]
2020-12-09
[3]
웹사이트
Carlos P. Garcia
https://biography.yo[...]
2020-12-09
[4]
웹사이트
List of Previous Senators
https://www.senate.g[...]
2014-11-22
[5]
서적
The Philippine Presidents from Aguinaldo to Garcia
Eufronio Alip
[6]
서적
The Philippines: Through the centuries
University of Santo Tomas Cooperative
[7]
웹사이트
Official Month in Review: March 16 – March 31, 1957
https://www.official[...]
1957-03-31
[8]
간행물
President Garcia’s inaugural address delivered at the Luneta at 12:10 p. m. December 30, 1957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57-12-30
[9]
뉴스
Presidential inaugurations: Traditions, rituals, trivia
https://newsinfo.inq[...]
2022-06-21
[10]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1700
http://www.chanroble[...]
Chan Robles Law Library
1957-06-19
[11]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167, Series of 1987
http://www.chanroble[...]
Chan Robles Law Library
1987-05-05
[12]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7636
http://www.chanroble[...]
Chan Robles Law Library
1992-09-22
[13]
서적
Development, Civil Society and Faith-Based Organizations: Bridging the Sacred and the Secula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7-11-28
[14]
뉴스
Año stands by proposal to revive anti-subversion law
https://www.pna.gov.[...]
2019-08-14
[15]
웹사이트
Our Vision and Mission
https://web.archive.[...]
prescarlosgarcia.org
2011-08-03
[16]
서적
In the Shadow of Giants: The Major Powers and the Security of Southeast Asia
https://archive.org/[...]
Hoover Institution Press
[17]
서적
An Adventure in Applied Science: A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http://books.irri.or[...]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18]
웹사이트
Carlos P. Garcia (1957-1961) Philippine Presidents
https://bloomspresid[...]
2010
[19]
뉴스
CPG IS DEAD!
http://www.boholchro[...]
1971-06-15
[20]
웹사이트
President's Week in Review: June 18 – 24, 1971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71-06-28
[21]
뉴스
Pres. Carlos P. Garcia, the Boholano who married a Cebuana
https://www.philstar[...]
2016-07-20
[22]
웹사이트
Senarai Penuh Penerima Darjah Kebesaran, Bintang dan Pingat Persekutuan Tahun 1959.
http://www.istiadat.[...]
[23]
뉴스
Filipino recipients of Spanish Decorations
https://www.official[...]
[24]
뉴스
President's Month in Review: March 16 – March 31, 1958
https://www.official[...]
[25]
백과사전
Carlos P. Garcia
https://www.britanni[...]
브리타니커 백과사전
[26]
웹사이트
Carlos P. Garcia
http://malacanang.go[...]
Presidental Museum & Library
[27]
웹사이트
Carlos P. Garcia
https://www.senate.g[...]
필리핀 상원
[28]
웹사이트
Ramon Magsaysay
http://malacanang.go[...]
Presidental Museum & Library
[29]
웹사이트
Remembering Carlos P. Garcia on his 115th Birth Anniversary
http://www.mb.com.ph[...]
Manila Bulletin
2012-10-05
[30]
웹사이트
http://www.chanroble[...]
[31]
웹인용
jose carlos “caloy” garcia campos
https://web.archive.[...]
2011-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