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브라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브라주는 필리핀 루손 섬의 코르디예라 행정구역에 위치한 주로, 스페인어 단어 'abra'(협곡, 고개)에서 유래했다. 본톡족, 이푸가오족, 팅기안족이 초기 거주민이었으며, 1846년 독립 주가 되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 미국 식민지 시대, 일본 점령기를 거치며 역사를 겪었고, 1970년대에는 마르코스 독재 정권 하에서 인권 침해 사건이 발생했다. 2022년에는 규모 7.0의 지진이 발생하여 피해를 입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일로카노어와 이테그어를 사용한다. 아브라 위버스라는 프로 스포츠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르디예라 행정구 - 칼링가주
    칼링가주는 필리핀 루손섬 코르디예라 행정구에 위치한 주로, 이바나그어와 가당어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치코 강 댐 건설 계획으로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는 7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개의 구성 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 코르디예라 행정구 - 벵게트주
    벵게트주는 필리핀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의 남서쪽 끝에 위치한 산악 지형 주로, 이발로이족과 칸카나에이족을 비롯한 여러 부족이 거주하며 농업, 광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아브라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아브라 주 깃발
깃발
아브라 주 문장
문장
아브라 주 지도
아브라 주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아브라 주
현지어 명칭 (일로카노어)Probinsia ti Abra
현지어 명칭 (타갈로그어)Lalawigan ng Abra
위치필리핀
소속 지역코르딜레라 행정구
설립일1598년
중심지방게드
면적4,165.25 km²
인구 (2020년)250,985명
인구 밀도60 명/km²
지방 자치 단위27개 지방 자치체
바랑가이 수303개
하원 의원 선거구1개 선거구
시간대PHT (UTC+8)
우편 번호2800–2820
지역 코드74
ISO 3166-2PH-ABR
웹사이트아브라 주 공식 웹사이트
Spoken languagesIlocano、Itneg、Isneg、Tagalog、English
정치 및 행정
주지사도미닉 발레라 (NUP/ASENSO)
부지사조이 베르노스 (NUP/ASENSO)
지방 의회아브라 지방 의회
지리
최고 고도2,467 m (방방랑 산)
언어
사용 언어일로카노어, 이테네그어, 타갈로그어, 영어

2. 어원

아브라라는 이름은 협곡, 고개, 틈 또는 입구를 뜻하는 스페인어 단어 ''abra''에서 유래되었다. 스페인인들이 바나왕 협곡 위 지역, 즉 아브라강이 서필리핀해로 흘러 들어가는 곳을 지칭하며 사용했고, 이는 곧 리오 그란데 데 아브라로 불렸다.[6]

3. 역사

1598년, 방게드를 중심으로 스페인 군대 주둔지가 건설되면서 일로카노 족의 정착이 시작되었다.[2] 스페인군은 머리 사냥꾼들로부터 선교사들을 보호하고, 팅기안족을 기독교화하며 금광을 찾기 위해 주둔지를 건설했다.[2]

1612년, 페드로 콜롬보 신부가 방게드의 초대 목사가 되었다.[3] 아우구스티누스회는 도미니코회가 나르바칸을 선교 중심지로 삼으려는 움직임을 막기 위해 방게드를 사역지로 승격시켰다.[3]

반타이의 전 교구 사제였던 후안 파레하 신부(OSA)는 1626년 아브라에 와서 족장 미겔 두마오알을 포함하여 3,000명이나 되는 주민들을 개종시켰다.[4] 그는 타윰, 사바간, 부카오(현재 돌로레스) 등을 방게드의 비지타(방문지)로 설립했다.[4]

19세기 초 베르나르디노 라고 신부(OSA)가 피디간에서 사역을 시작하여 25년 후 기독교인들은 약 1,000명으로 늘어났다.[6] 라고 신부는 라 파스 마을을 설립하기도 했다.[6]

갈렌데 신부가 정리한 아브라의 마을별 설립 연도는 다음과 같다.[7]

마을설립 연도
타윰1803년
산 그레고리오1829년
피디간1823년
라 파스1832년
부카이1847년
산 호세1848년
빌라비에하1862년
산 킨틴1868년
돌로레스1882년
필라1882년
산 후안1884년
알폰소 12세1884년



원래 이 지역은 "엘 아브라 데 비간"("비간의 입구")이라고 불렸다.[8] 필리핀 영국 점령 기간 동안, 가브리엘라 실랑은 일로코스에서 아브라로 도망쳐 남편 디에고 실랑이 시작한 반란을 계속했으나, 1763년 당국에 체포되어 교수형에 처해졌다.[8]

1818년 일로코스 지역이 일로코스 노르테와 일로코스 수르로 분할되었고, 1846년 10월 9일 아브라는 부카이에 주도와 주지사 관저를 둔 독립적인 주가 되었다.[9] 1863년 주도는 방게드로 이전되어 1899년 미국인들이 도착할 때까지 유지되었다.[9]

1908년 필리핀 위원회는 재정 문제로 아브라를 일로코스수르 주에 편입시켰으나, 1917년 3월 9일 필리핀 의회는 법률 2683호에 따라 아브라를 다시 주(province)로 재설립했다.[7]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2년 일본군이 아브라 주를 점령했다가 1945년 필리핀 군인과 게릴라들이 해방시켰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1972년 9월 계엄령을 선포하여 14년간 대통령직을 유지했다.[15] 이 시기는 마르코스 행정부의 인권 침해 기록으로 기억되며,[16][17] 특히 정치적 반대자와 학생 운동가 등이 희생되었다.[18] 아브라 주에서는 이테그족 출신 피해자들이 많았다.[19]

1983년 5월 6일, 투보 시의 비유 지역에서 "비유 학살"로 알려진 필리핀 헌병대의 공격이 있었다.[20]

1987년 콘라도 발웨그가 이끌던 단체와의 평화 협상 후, 필리핀 정부는 아브라 주를 포함하는 코르디예라 행정구역을 설치하였다.[21]

3. 1. 초기 역사

아브라의 첫 거주민은 본톡족과 이푸가오족의 조상이었다. 이들은 결국 구 마운틴 지방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다른 초기 거주민은 팅기안 또는 이네그족이었다.[1]

3.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85년, 도밍고 데 살라사르 신부가 스페인 국왕에게 보낸 편지에서 팅기안족이 처음 언급되었다.[1]

1598년, 방게드를 중심으로 스페인 군대 주둔지가 건설되면서 일로카노 족의 정착이 시작되었다.[2] 스페인군은 머리 사냥꾼들로부터 선교사들을 보호하고, 팅기안족을 기독교화하며 금광을 찾기 위해 주둔지를 건설했다.[2]

1612년, 페드로 콜롬보 신부가 방게드의 초대 목사가 되었다.[3] 아우구스티누스회는 도미니코회가 나르바칸을 선교 중심지로 삼으려는 움직임을 막기 위해 방게드를 사역지로 승격시켰다.[3]

반타이의 전 교구 사제였던 후안 파레하 신부(OSA)는 이 지역의 개종을 이끌었다.[4] 1626년 아브라에 와서 족장 미겔 두마오알을 포함하여 3,000명이나 되는 주민들을 개종시킨 것으로 알려졌다.[4] 그는 타윰, 사바간, 부카오(현재 돌로레스) 등을 방게드의 비지타(방문지)로 설립했다.[4]

호세 폴랑코 신부(OP) 또한 아브라의 개종에 기여했다.[5] 그는 엄격한 고행을 하는 사람이었으며 1679년 아브라에서 사망했으며 지역 주민들에게 성인으로 여겨졌다.[5]

19세기 초 베르나르디노 라고 신부(OSA)가 도착하여 피디간에서 사역을 시작했다.[6] 25년 후, 기독교인들은 약 1,000명으로 늘어났다.[6] 라고 신부는 라 파스 마을을 설립하기도 했다.[6]

갈렌데 신부는 아브라의 다른 마을들의 설립 연도를 다음과 같이 열거한다.[7]

마을설립 연도
타윰1803년
산 그레고리오1829년
피디간1823년
라 파스1832년
부카이1847년
산 호세1848년
빌라비에하1862년
산 킨틴1868년
돌로레스1882년
필라1882년
산 후안1884년
알폰소 12세1884년



원래 이 지역은 "엘 아브라 데 비간"("비간의 입구")이라고 불렸다.[8] 필리핀 영국 점령 기간 동안, 가브리엘라 실랑은 일로코스에서 아브라로 도망쳐 남편 디에고 실랑이 시작한 반란을 계속했다.[8] 그러나 그녀는 1763년 당국에 체포되어 교수형에 처해졌다.[8] (이는 필리핀 독립운동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진보 진영에서는 가브리엘라 실랑을 높이 평가한다.)

1818년, 일로코스 지역은 일로코스 노르테와 일로코스 수르로 분할되었다.[9] 1846년 10월 9일, 아브라는 부카이에 주도와 주지사 관저를 둔 독립적인 주가 되었다.[9] 1863년 주도는 아브라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인 방게드로 이전되었으며, 이는 1899년 미국인들이 도착할 때까지 유지되었다.[9]

3. 3. 미국 식민지 시대

1908년, 필리핀 위원회는 아브라의 재정 문제로 일로코스수르 주에 편입시켰다.[7] 1917년 3월 9일, 필리핀 의회는 법률 2683호에 따라 아브라를 다시 주(province)로 재설립했다.[7]

3. 4. 일본 식민지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2년, 일본군이 아브라 주를 점령했다. 1945년, 필리핀 군인과 게릴라들이 이 지역을 해방시켰다.

3. 5. 마르코스 독재 시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헌법상 임기가 1년 남은 1972년 9월, 계엄령을 선포하여 14년 더 대통령직을 유지했다.[15] 필리핀 역사에서 이 시기는 마르코스 행정부의 인권 침해 기록으로 기억되며,[16][17] 특히 정치적 반대자, 학생 운동가, 언론인, 종교인, 농부 및 마르코스 독재에 맞서 싸운 다른 사람들을 표적으로 삼았다.[18] 아브라 주에서는 많은 피해자들이 토착민인 이테그족(당시 대부분의 저지대 거주자들에게는 팅기안족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외래어) 출신이었다. 마르코스가 정치적 압력에 굴복한 후, 여러 국제앰네스티 조사단이 국가에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고, 이테그족에 대한 수많은 인권 침해가 문서화되었다.[19]

1983년 5월 6일, 투보 시의 비유 지역은 베리도 대위, 레할도 레부아 중위, 후아니토 푸야완 중위가 이끄는 제623 필리핀 헌병대(623rd PC)가 여러 차례 공격을 가한 장소였으며, 이는 통칭하여 "비유 학살"로 알려지게 되었다. 제623 헌병대는 임신 중인 아기와 바랑가이 의원 로돌포 라바위그, 임신부 호세피나 카얀다그를 포함하여 세 명의 마을 사람의 유해가 남아있는 4채의 집과 쌀 창고를 불태웠다.[20] 아기, 유아를 포함한 비유 주민들은 에르미니오 디시니의 셀로필 자원 공사의 벌목 사업에 반대하는 시위를 지지했다는 혐의로 구타당하고 집이 약탈당했다.[20]

3. 6. 현대

1987년, 콘라도 발웨그가 이끌던 단체와의 평화 협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후, 필리핀 정부는 아브라 주를 포함하는 코르디예라 행정구역을 설치하였다.[21]

4. 지리

아브라는 루손섬의 코르디예라 행정구역 서부에 위치한다. 북서쪽으로는 일로코스노르테 주, 북동쪽으로는 아파야오 주, 중동쪽으로는 칼링가 주, 남동쪽으로는 마운틴 주, 남서쪽으로는 일로코스수르 주와 접한다. 아브라의 총 면적은 4165.25km2이다.

아브라는 서쪽의 일로코스 산맥, 동쪽의 코르디예라 센트럴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 아브라 강은 벵게트 주 남쪽에서 시작하여 주의 서쪽과 중앙 지역을 관통하며 아브라 계곡을 가로지른다. 이 강은 돌로레스 시정촌 근처 동부 고지대에서 발원하는 티네그 강과 합류한다.

아브라는 27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4. 1. 행정 구역

아브라는 27개의 지방 자치 단체 (municipalities)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아브라의 단일 선거구에 포함된다.[1] 주도는 방게드이다. 각 자치 단체는 여러 개의 바랑가이로 나뉜다.

지방 자치 단체인구 (2020년)면적 (km²)인구 밀도 (명/km²)바랑가이 수
방구에드50382136.4km2370/km231
볼리니4551210km222/km28
부카이17953102.16km2180/km221
부클록239563.77km238/km24
다구이오만2019114.37km218/km24
당글라스4074156.02km226/km27
돌로레스1151247.45km2240/km215
라파스1649351.41km2320/km212
라쿠브3612235.53km215/km26
라강길랑14914124.2km2120/km217
라가얀4488215.97km221/km25
랑기덴3576116.29km231/km26
리쿠안-바아이4566256.42km218/km211
루바6518148.27km244/km28
말리브콩4027283.17km214/km212
마나보1161181.08km2140/km211
페냐루비아695139.07km2180/km29
피디간1247549.15km2250/km215
필라르1014666.1km2150/km219
살라파단6389128.62km250/km29
산 이시드로474548.07km299/km29
산 후안1068864.08km2170/km219
산 킨틴570566.59km286/km26
타윰1486955.68km2270/km211
티네그4977744.8km26.7/km210
투보5674492.12km212/km210
비야비시오사5675102.93km255/km28



아브라 주의 27개 지방 자치 단체는 총 303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1]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서 아브라 주의 인구는 250,985명이었으며, 인구 밀도는 60km2이다.[24]

아브라 주의 주민들은 대부분 일로카노 정착민과 팅기안 부족의 후손이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일로카노족이 150,457명으로 가장 많았고, 팅기안족이 39,115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이바나그족(9,334명), 이트네그족(6,624명), 타갈로그족(869명) 등이 있었다.[24]

주요 언어는 일로카노어와 이트네그어이다.[24]

2000년 민족별 인구[24]
민족인원
일로카노150,457
팅기안39,115
이바나그9,334
이트네그6,624
타갈로그869
기타2,175
기타 외국 민족16
미보고556


6. 경제

아브라의 경제는 농업을 기반으로 한다. 주요 작물은 쌀, 채소, 근채류 등이다. 커피, 담배, 코코넛 등도 상업적으로 재배된다. 넓은 초원과 목초지는 가축 생산에 이용된다.[29] 1990년을 기준으로 아브라에는 743개의 소규모 산업이 있었으며, 이 중 208개가 필리핀 통상산업부에 등록되어 있었다. 그 중 59%는 대나무와 등나무 공예 산업으로, 이 지역의 주요 산업이다.[29]

7. 스포츠

아브라 주의 유일한 프로 스포츠팀은 마할리카 필리피나스 농구 리그(MPBL)의 아브라 위버스이다. 위버스는 2024 MPBL 시즌에 리그에 합류했다.[27]

8. 정부

재임 기간이름비고
1846년–1852년돈 라몬 타호네라 이 마르잘군정 주지사[28]
1868년–?돈 에스테반 데 페냐루비아군정 주지사[28]
1901년윌리엄 보웬대령, 군정 주지사[28]
1902년–1904년후안 G. 빌라모르[28]
1904년–1914년호아킨 J. 오르테가[28]
1914년–1916년로살리오 G. 에두아르테[28]
1916년–1922년훌리오 V. 보르본[28]
1922년–1925년비르힐리오 V. 발레라[28]
1925년–1930년에스타퀴오 P. 푸루간난[28]
1930년–1936년비르힐리오 V. 발레라[28]
1936년–1939년비에네베니도 N. 발레라[28]
1939년–1941년에스타퀴오 P. 푸루간난[28]
1941년–1944년베르나르도 V. 바이크엔[28]
1944년–1946년사카리아스 A. 크리스핀[28]
1946년–1947년후안 C. 브릴란테스[28]
1947년–1951년루이스 F. 베르사민[28]
1951년–1953년루카스 P. 파레데스[28]
1953년베네 B. 페 베니토임시 주지사[28]
1953년–1954년에르네스토 P. 파렐[28]
1954년–1963년호세 L. 발레라[28]
1963년–1965년카르멜로 Z. 바르베로[28]
1965년–1971년페트로닐로 V. 세아레스[28]
1971년–1977년가비노 V. 발빈[28]
1977년–1984년아르투로 V. 바르베로[28]
1984년–1986년안드레스 B. 베르노스[28]
1986년–1987년비센테 P. 발레라[28]
1987년부에나벤투라 V. 부에나페임시 주지사[28]
1988년–1998년비센테 Y. 발레라[28]
1998년콘스탄테 B. 쿨랑겐임시 주지사[28]
1998년–2001년마리아 지타 클라우스트로-발레라[28]
2001년–2007년비센테 Y. 발레라[28]
2007년–2016년에스타퀴오 P. 베르사민[28]
2016년–2022년마리아 조슬린 발레라 베르노스[28]
2022년–현재도미닉 B. 발레라[28]


9. 유명 인물


  • 커트 브라이언 바르보사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금메달리스트, 태권도 필리핀 국가대표 선수[1]
  • 푸라 수망길 – 지역 사회 운동가[2]
  • 미르나 토리비오 에스게라 – 피디간 출신 미스 필리피나스 인터내셔널 2024[3]

참조

[1] 뉴스 Palace suspends Abra Governor for 60 days https://www.philstar[...] 2024-12-16
[2] 뉴스 Court stops Malacañang’s suspension of Abra vice governor https://www.rappler.[...] Rappler 2024-09-06
[3] 뉴스 Abra vice governor suspension final, says OP https://tribune.net.[...] 2024-09-30
[4] 뉴스 Malacañang suspends Abra vice governor over COVID-19 hospital lockdown order https://www.rappler.[...] Rappler 2024-08-23
[5]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4-05-14
[6] 간행물 The Ilocos Review Volume 19 - 1987 Arnoldus Press, Inc.
[7] 웹사이트 Act No. 2683; An Act to Authorize the Segregation of the Subprovince of Abra from the Province of Ilocos Sur and the Reestablishment of the Former Province of Abra, and for Other Purposes. http://elibrary.judi[...] 2016-03-18
[8] 서적 Marcos Martial Law: Never Again Filipinos for a Better Philippines, Inc.
[9] 논문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dirp4.pids.g[...] 1992
[10]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1] 논문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12]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13]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14]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15]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16] 웹사이트 Alfred McCoy, Dark Legacy: Human rights under the Marcos regime http://www.hartford-[...]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9-09-20
[17]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18] 뉴스 Gone too soon: 7 youth leaders killed under Martial Law https://www.rappler.[...] 2018-06-15
[19] 웹사이트 The Solid North myth: an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dissent and human rights during the Marcos Regime in Regions 1 and 2, 1969-1986 https://www.ukdr.upl[...] 2021-05
[20] 웹사이트 Terror reigns in Abra, revisited https://nordis.net/2[...] 2016-04-10
[21]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220; Creating a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Appropriating Funds Therefor and for Other Purposes http://www.lawphil.n[...] 2016-07-29
[22] 보고서 Situational Report No. 15 for Magnitude 7 Earthquake in Tayum, Abra (2022) https://ndrrmc.gov.p[...] Nation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Council 2022-08-10
[23] 웹사이트 Situational Report for Magnitude 6.4 Earthquake in Lagayan, Abra (2022) https://ndrrmc.gov.p[...]
[24] 웹사이트 Abra: Housing Unit Occupancy Rate Nears 100%; Table 5.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and Sex: Abra, 2000 https://www.census.g[...] 2015-12-04
[25]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4-02-18
[26] 서적 Comparative Austronesian Dictionary: An Introduction to Austronesian Studies https://books.google[...] Ratzlow-Druck
[27] 웹사이트 MPBL welcomes unlimited pros, expands with two new franchises https://tiebreakerti[...] 2024-02-06
[28] 문서 Historical Highlights of the Province of Abra From 1585 to 1920
[29]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30] Wikidata
[31] Wikidata
[32] Wikidata
[33] Wikidata
[34] Wikidata
[35] Wikidata
[36] Wikidata 2021-00-00 #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00-00-00으로 설정.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