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는 1954년 9월 8일 마닐라에서 체결된 동남아시아 집단 방위 조약(마닐라 조약)에 따라 창설되었다. 냉전 시대,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미국, 영국,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파키스탄, 필리핀, 태국이 참여했다. SEATO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유사하게 집단 안보를 목표로 했지만, 상설 군사 기구가 없고 회원국 간의 이견으로 인해 군사적 효용성은 제한적이었다. 프랑스와 파키스탄의 탈퇴, 베트남 전쟁에서의 미국의 개입 실패, 그리고 국제 정세 변화로 인해 1977년 6월 30일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미국 - 제26회 아카데미상
    제26회 아카데미상은 1954년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지상에서 영원으로》가 작품상, 감독상 등 8개 부문을 수상하며 최다 수상작이 되었다.
  • 1954년 미국 -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재판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재판은 1954년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공립학교 내 인종 분리가 위헌임을 판결하며, 플레시 대 퍼거슨 사건의 '분리하되 평등' 선례를 뒤집고 흑인 민권 운동과 인종 차별 철폐 운동에 중요한 전환점이 된 역사적 사건이다.
  • 미국의 역사 (1945-1964) -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국 전쟁 휴전 직후 대한민국과 미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 조약으로, 주한미군 주둔을 통해 한국의 안보,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주한미군과 작전통제권 관련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미국의 역사 (1945-1964) -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은 17세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 미국 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인종차별 철폐와 시민권 획득을 위해 투쟁한 것으로, 비폭력 저항과 시민 불복종 운동을 통해 1964년 민권법, 1965년 투표권법, 1968년 공정 주택법 등의 제정으로 이어졌으나, 여전히 인종차별과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존재하며 인종 평등과 사회 정의를 위한 투쟁은 계속되고 있다.
  • 1977년 폐지 - 신대방동
    신대방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를 거쳐 서울에 편입되었으며, 서울보라매초등학교, 문창초등학교, 대방중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등의 시설과 신대방역, 신대방삼거리역이 위치해 있다.
  • 1977년 폐지 - 성산동 (서울)
    성산동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하며, 산세가 성처럼 둘러싸인 지형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과거 '성메' 또는 '성미'로 불리다 일제강점기 이후 택지 조성 사업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현재는 성산1동과 성산2동으로 나뉘어 행정 업무를 수행하고, 서울월드컵경기장과 서부자동차검사소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한다.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지도
기본 정보
명칭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영어 명칭Southeast Asia Treaty Organization
약칭SEATO
설립일1954년 9월 8일
해산일1977년 6월 30일
유형정부간 군사 동맹
목적반공
본부방콕, 태국
서비스 지역동남아시아
회원국
회원국 목록






보호 대상 비회원국(1956년까지)
(1970–1975)

사용 언어
사용 언어 목록영어
우르두어
태국어
필리핀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미지
SEATO 깃발
SEATO의 깃발
1959년 SEATO 회원국 지도
1959년 SEATO 회원국 지도 (파란색으로 표시)
1966년 마닐라 SEATO 회의 참석자
1966년 10월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SEATO 회의에 참석한 남베트남의 키 총리, 오스트레일리아의 홀트 총리, 대한민국의 박 대통령, 필리핀의 마르코스 대통령, 뉴질랜드의 홀리오크 총리, 남베트남의 티에우 장군, 태국의 키티카촌 총리, 미국의 존슨 대통령 (왼쪽부터)

2. 역사적 배경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가 철수한 후, 냉전 시대에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1954년 9월 8일 마닐라에서 《동남아시아 집단 방위 조약》, 일명 《마닐라 조약》이 체결되면서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가 창설되었다.[17]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체결 전후로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구 일미 안전보장조약, ANZUS 조약이 체결되어 태평양 지역에 미국 중심의 동맹 시스템이 만들어졌다.[14] 그러나 영국은 ANZUS에 참여하지 못해 불만이 있었고, 태평양 지역 중심 기구 건설의 필요성을 느꼈다.[14]

미국 트루먼 행정부는 동남아시아 문제에 소극적이었으나,[14] 1954년 3월 인도차이나 위기에서 프랑스군이 위기에 처하자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적극적으로 대응했다.[14]

1954년 3월 디엔비엔푸 전투를 둘러싼 인도차이나 위기에서 미국은 공동 행동이나 지역 그룹을 제안했다.[14] 영국은 말레이아 연방과 홍콩 방위를 중시하며 지상군 투입에 반대했고, 제네바 회의를 앞두고 지역 기구 설립에 신중했다.[14] 반면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디엔비엔푸 함락을 막기 위한 군사 행동과 제네바 회의에서 프랑스 입장을 강화하기 위한 공동 그룹을 구상했다.[14]

프랑스로부터 베트남이 독립(이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한 후, 냉전 시대 서방 국가의 맹주였던 미국에서는 “한 국가가 공산주의화되면 그 주변 국가들도 공산화된다”는 “도미노 이론”이 제기되었다.

2. 1. 냉전과 동남아시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가 철수한 후,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는 냉전 하에서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의 확대에 대항하기 위해 1954년 9월 8일 마닐라에서 《동남아시아 집단 방위 조약》(Southeast Asia Collective Defense Treaty) 또는 《마닐라 조약》(Manila Pact)에 서명함으로써 창설되었다.[17]

이 조약은 아시아태평양 민족의 평등과 자립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고, 회원국 간의 경제, 사회, 문화 협력의 목표를 밝혔던 태평양 헌장으로 보충되었다. 조약에 따라 설립된 기구의 본부는 태국의 방콕에 설치되었으며,[18] 매년 공동 훈련이 실시되었다.

기구의 결정은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진행되었으며, 프랑스필리핀의 반대로 라오스 또는 베트남의 전란에 직접 개입하지는 못했다.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이 철수한 1973년까지 존속했으며, 이후 존재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1973년에는 파키스탄, 1974년에는 프랑스가 탈퇴하였고, 기구 자체도 1977년 6월 30일 해산되었다.

1966년 마닐라에서 여러 SEATO 회원국 지도자들의 사진
필리핀 대통령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주최한 1966년 10월 24일 의사당 앞에서 여러 SEATO 회원국의 지도자들


동남아시아 집단 안보 조약은 1954년 9월 8일 마닐라에서 체결되었는데, 이는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미국의 2자 및 집단 안보 조약 체결이라는 미국 트루먼 독트린의 일환이었다. 이러한 조약과 협정은 공산주의 세력(중국 공산당, SEATO의 경우)을 견제할 동맹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정책은 미국 외교관 조지 케넌에 의해 주로 개발된 것으로 여겨진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1953-1959)는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집단 안보 개념을 동남아시아로 확장한 SEATO 설립의 주요 원동력으로 여겨진다. 당시 부통령이었던 리처드 닉슨은 1953년 말 아시아 순방에서 돌아온 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아시아판을 주장했고,[1] NATO는 새로운 조직의 모델이 되었으며, 각 회원국의 군사력은 회원국의 집단 안보를 제공하기 위해 조정될 예정이었다.

방콕에 본부를 둔 이 조직은 1955년 조약에 따라 설립된 장관회의의 첫 회의에서 만들어졌다. 이는 덜레스가 조약을 NATO와 공개적으로 연결짓는 것을 피하기 위해 조직의 이름을 "ManPac"(마닐라 조약)으로 부르기를 선호했던 것과는 달랐다.[2] SEATO는 사무총장이 이끌었는데, 사무총장직은 1957년 캔버라에서 열린 회의에서 설립되었으며, 회원국 대표와 국제 직원으로 구성된 이사회가 있었다. 또한 경제, 안보, 정보 위원회도 있었다. SEATO의 초대 사무총장은 포테 사라신이었는데, 그는 태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1952년부터 1957년까지 미국 주재 태국 대사를 지냈고, 1957년 9월부터 1958년 1월 1일까지 태국 총리를 역임했다.[3]

NATO 동맹과 달리 SEATO는 상설군을 가진 합동 사령부가 없었다. 또한 공산주의가 회원국에 "공통의 위험"을 초래할 경우 SEATO의 대응 프로토콜은 모호하고 비효율적이었지만, SEATO 동맹 가입은 1963-1969년 베트남 남부 합동전 동안 이 지역에 대한 대규모 미국 군사 개입의 근거를 제공했으며, 이는 베트남 전쟁(1955-1975) 기간 동안 발생했다.

프랑스로부터 베트남 독립(독립 전에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후, 냉전 시대의 서방 국가의 맹주였던 미국에서는 “한 국가가 공산화되면 그 주변 국가들도 공산화된다”는 소위 “도미노 이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2. 2. SEATO 창설 이전의 움직임

동남아시아 집단 안보 조약은 1954년 9월 8일 마닐라에서 체결되었는데, 이는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미국의 2자 및 집단 안보 조약 체결이라는 트루먼 독트린의 일환이었다.[1] 이러한 조약과 협정은 중국 공산당 등 공산주의 세력을 견제할 동맹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2] 이 정책은 미국 외교관 조지 케넌에 의해 주로 개발된 것으로 여겨진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1953-1959)는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집단 안보 개념을 동남아시아로 확장한 SEATO 설립의 주요 원동력으로 여겨진다.[1] 1953년 말 아시아 순방에서 돌아온 당시 부통령 리처드 닉슨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아시아판을 주장했고,[1] NATO는 새로운 조직의 모델이 되었으며, 각 회원국의 군사력은 회원국의 집단 안보를 제공하기 위해 조정될 예정이었다.[2]

프랑스로부터 베트남이 독립(독립 전에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한 후, 냉전 시대 서방 국가의 맹주였던 미국에서는 “한 국가가 공산화되면 그 주변 국가들도 공산화된다”는 소위 “도미노 이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체결되었고, 그 전후로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구 일미 안전보장조약, ANZUS 조약이 서명되면서 태평양 지역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동맹 시스템의 원형이 만들어졌다.[14] 그러나 영국, 특히 보수당 내에서는 ANZUS에 참가하지 못한 것에 불만이 있어, 영국 정부에서는 (1) ANZUS 참가, (2)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간의 지역적 군사 협정(the Australia, New Zealand and Malaya Region: ANZAM), (3) 영국안의 태평양 조약, (4) 5개국 군사 참모 기구(Five Powers Staff Agency: FPSA)가 검토되었지만, 어느 경우든 태평양 지역에서 중심적인 기구의 건설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14]

한편, 미국의 트루먼 행정부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해서는 식민지 종주국인 영국이나 프랑스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동 지역에 대한 개입에는 소극적이었다.[14] 그러나 1954년 3월 인도차이나 위기에서 프랑스군의 위기적인 상황이 워싱턴에 보고되자,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인도차이나 문제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게 되었다.[14]

1954년 3월부터 시작된 디엔비엔푸 전투를 둘러싼 인도차이나 위기에서 미국 정부는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공동 행동이나 지역 그룹을 제안했다.[14] 이 제안에 대해 영국 정부는 당시 말레이아 연방과 홍콩의 방위를 중시하고, 말레이아 북쪽에 완충 지대를 설치한다는 생각 아래 인도차이나 지역에 지상 병력을 투입하는 것에는 반대했다.[14] 또한 영국 정부는 평화를 위한 협상이 진행되는 제네바 회의를 앞두고 지역 그룹(지역 기구)의 성급한 설립에는 신중했고, 설립한다면 제네바 회의를 방해하지 않는 형태의 영구적인 집단 방위의 지역 기구로 할 것을 생각했다.[14] 하지만 당초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디엔비엔푸 함락을 막기 위한 조건부의 군사 행동을 공동 행동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그 후에도 제네바 회의에서 프랑스의 입장을 강화하기 위한 공동 그룹을 상정하고 있었다.[14]

3. SEATO의 창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가 철수한 후, 냉전 하에서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의 확대에 대항하기 위해 1954년 9월 8일 마닐라에서 《동남아시아 집단 방위 조약》(Southeast Asia Collective Defense Treaty) 또는 《마닐라 조약》(Manila Pact)에 서명함으로써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가 창설되었다.[17] 이 조약은 아시아태평양 민족의 평등과 자립에 대한 권리를 긍정하고, 회원국 간의 경제, 사회, 문화 협력의 목표를 밝혔던 태평양 헌장으로 보충되었다.

마닐라에서 개최된 SEATO 정상회의


방콕에 본부를 둔[18] 이 조직은 1955년 조약에 따라 설립된 장관회의의 첫 회의에서 만들어졌다. 초대 사무총장은 포테 사라신이었는데, 그는 태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1957년 9월부터 1958년 1월 1일까지 태국 총리를 역임하기도 했다.[3]

SEATO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유사하게 회원국의 집단 안보를 제공하기 위해 각 회원국의 군사력을 조정할 예정이었다.[1] 그러나 NATO와는 달리 상설군을 가진 합동 사령부가 없었다.[14] 또한, 의사결정은 가맹국의 만장일치 행동 원칙에 따랐으며,[15] 무력 공격에 대해 가맹국은 헌법상 절차에 따라 공통의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행동한다고 규정되어 있었다.[16]

3. 1. 회원국 구성 및 특징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는 그 이름과 달리, 실제로는 동남아시아 지역 외 국가들이 다수 포함된 기구였다. 회원국은 오스트레일리아(1975년까지 파푸아뉴기니 통치), 프랑스(1955년까지 프랑스 인도차이나를 포기), 뉴질랜드, 파키스탄(1971년까지 동파키스탄, 현재 방글라데시 포함), 필리핀, 태국, 영국(홍콩, 북보르네오, 사라왁 통치), 미국이었다.[4]

실제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필리핀과 태국만이 참여했다. 이 두 국가는 미국, 특히 필리핀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자국 내 초기 공산주의 반란에 직면해 있었다.[4] 태국은 중국 남서부 시숩반나 다이족 자치주에 "태국 자치 지역"이 설립되자, 마오이즘의 파괴 행위에 대한 위협을 느껴 가입했다.[5] 버마 및 인도네시아는 국내 안정에 더 신경을 써 가입을 거부했다.[4][6] 말레이아(1957년 독립, 1963년부터 1965년까지 싱가포르 포함)는 영국과의 관계로 주요 정보를 받았지만, 공식 참여는 하지 않았다.[4]

프랑스 인도차이나에서 독립한 북베트남, 남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종식을 알린 제네바 협정에 따라 군사 동맹 참여가 불가능했다.[4] 그러나 SEATO는 도미노 이론에 따라 이들 국가를 보호하에 두었고, 이는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명분 중 하나가 되었다. 캄보디아는 1956년에 이 보호를 거부했다.

SEATO 회원국 대부분은 동남아시아 밖에 위치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게 SEATO는 ANZUS보다 만족스러운 조직이었다. 영국과 프랑스는 식민지 유지와 인도차이나 우려 때문에 가입했다. 미국은 동남아시아를 냉전의 중요 최전선으로 보고, SEATO 설립을 냉전 봉쇄 정책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겼다.[4]

회원국 구성은 1950년대 중반 반공 서방 국가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조합을 반영했다. 미국 상원의 압도적 비준(82대 1) 후 가입한 미국을 포함, 영국, 프랑스, 미국은 가장 강력한 서방 세력이었다. 캐나다는 가입을 고려했지만,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책임에 집중하기 위해 포기했다.

4. SEATO의 활동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가 철수한 후 냉전 하에서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의 확대를 막기 위해 1954년 9월 8일 마닐라에서 《동남아시아 집단 방위 조약》(마닐라 조약)에 서명함으로써 창설되었다.[17]

이 조약은 아시아태평양 민족의 평등과 자립에 대한 권리를 긍정하고, 회원국 간의 경제, 사회, 문화 협력의 목표를 밝혔던 태평양 헌장으로 보충되었다. 조약으로 설립된 기구의 본부는 태국의 방콕에 설치되었으며,[18] 매년 공동 훈련이 실시되었다. 기구의 결정은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진행되었으나, 프랑스필리핀의 반대로 라오스 또는 베트남의 전란에 직접 개입하지는 못했다.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이 철수한 1973년까지 존속했으며, 이후 존재의 필요성에 의문이 제기되어 1973년에는 파키스탄, 1974년에는 프랑스가 탈퇴하였다. 기구 자체도 1977년 6월 30일 해산되었다.

미국 우표(1960년 발행) SEATO


SEATO는 군사적 측면과 비군사적 측면 모두에서 활동하였다.

4. 1. 군사적 측면

창설 이후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는 대부분의 회원국들이 동맹에 거의 기여하지 않아 군사적으로는 곧 무의미해졌다.[8] SEATO 군대는 합동 군사 훈련을 실시했지만 내부적 불화로 인해 실제로 배치된 적은 없었다. 프랑스와 영국이 군사 행동을 거부했기 때문에 SEATO는 라오스 내전에 개입할 수 없었다. 그 결과, 미국은 1962년 이후 라오스에 일방적인 지원을 제공했다. 미국이 원했지만, 영국과 프랑스의 협조 부족으로 베트남 전쟁에 SEATO가 개입하는 것은 거부되었다.

미국과 호주 모두 베트남 개입의 정당성으로 이 동맹을 언급했다.[8] SEATO 회원국으로서의 미국의 참여는 동남아시아에서 대규모 미군 개입의 근거를 제공했다. 영국과 아시아의 주요 국가들과 같은 다른 국가들도 이러한 근거를 받아들였다. 1962년, SEATO에 대한 약속의 일환으로 호주 왕립 공군(RAAF)은 제79전대의 CAC 세이버(CAC Sabre) 전투기를 태국 우본 왕립 태국 공군 기지에 배치했다. 세이버 전투기는 1965년 베트남 전쟁에서 역할을 시작했는데, 당시 방공 임무가 확대되어 우본 기지를 북베트남 공격을 위한 기지로 사용하는 미국 공군 항공기의 방호 임무를 포함하게 되었다.[8]

1960년대 초 태국 우본 왕립 태국 공군 기지에 배치된 호주의 79전대 세이버 전투기. 호주의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 참여의 일환

4. 2. 비군사적 측면

SEATO 회원국들은 공동 군사 훈련 외에도 상호 사회 및 경제 문제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활동은 SEATO의 정보, 문화, 교육 및 노동 활동 위원회가 감독했으며, SEATO의 가장 큰 성공 중 일부로 입증되었다.

1959년 SEATO의 초대 사무총장인 포테 사라신(Pote Sarasin)은 태국에 SEATO 공과대학원(현재 아시아공과대학교)을 설립하여 엔지니어를 양성했다. SEATO는 또한 방콕에 교사 개발 센터와 감독관 및 근로자를 위한 기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태국 군사 기술 훈련 학교의 설립을 후원했다. SEATO의 숙련 노동자 프로젝트(SLP)는 특히 태국에 91개의 훈련 워크숍을 설립하는 등 장인 훈련 시설을 만들었다.

SEATO는 농업 및 의료 분야에 대한 연구 자금과 보조금도 제공했다. 1959년 SEATO는 방콕에 콜레라 연구소를 설립하고 나중에 다카(동파키스탄)에 두 번째 콜레라 연구소를 설립했다. 다카(현 다카) 연구소는 곧 세계 최고의 콜레라 연구 시설이 되었고, 나중에 방글라데시 설사병 연구 국제센터로 이름이 바뀌었다. SEATO는 문학에도 관심이 있었고, SEATO 문학상이 제정되어 회원국 작가들에게 수여되었다.[9]

5. SEATO의 한계와 해체

SEATO는 회원국 간의 만장일치 의사 결정 방식을 채택했는데, 이는 프랑스필리핀의 반대로 인해 라오스베트남 분쟁에 직접 개입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17] 1950년대 초, 아뉴린 베반은 영국 의회에서 SEATO를 막으려 했지만 실패했고, 앤서니 이든 외무장관과 클레멘트 애틀리 야당 대표 간의 의회 논쟁을 중단시키며 이들의 생각을 비판하기도 했다.[10]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이 철수한 1973년까지 SEATO는 존속했으나, 그 후 존재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1973년 파키스탄이,[12] 1974년에는 프랑스가 탈퇴하면서 기구는 더욱 약화되었다.[18] 결국 SEATO는 1977년 6월 30일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12]

SEATO는 해체되었지만, 그 기반이 된 동남아시아 집단 방위 조약(마닐라 조약)은 여전히 유효하며, 회원국 간의 방위 의무는 오늘날까지도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5. 1. 회원국 간의 이견과 갈등

존 포스터 덜레스 미국 국무장관은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를 아시아에서 미국의 외교 정책에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했지만, 역사학자들은 마닐라 조약을 실패로 평가한다. 영국의 외교관 제임스 케이블 경은 SEATO를 "미국 정책의 나체를 가리는 잎사귀"로 묘사하고, 마닐라 조약을 "종이 호랑이들의 동물원"이라고 비판했다.[10]

캄보디아의 노로돔 시하누크 왕은 덜레스가 자신을 SEATO에 가입시키려 했으나, "SEATO를 이념은 다르지만 캄보디아와 다툼이 없는 이웃 국가들을 겨냥한 공격적인 군사 동맹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거부했다고 밝혔다.[11] 그러나 시하누크는 이후 캄보디아 왕국을 중국, 북베트남, 크메르 루주와 같은 공산 정부 및 정당과 연합했는데, 이는 캄보디아가 선포한 중립성에 위배되며 내부 갈등과 지역 불안정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으로 동파키스탄방글라데시로 독립하자, 파키스탄1973년 SEATO를 탈퇴했다. 남베트남은 전쟁에서 패배하고 북베트남에 합병되었으며, 프랑스1975년 재정 지원을 철회했다.

라오스 내전에서 SEATO는 유엔에 대응을 일임했고, 1962년 미국과 태국 간의 라스크-타낫 합의 체결로 SEATO는 유명무실해졌다.[15] 1960년대 프랑스와 파키스탄은 SEATO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베트남 전쟁에서 프랑스와 파키스탄의 반대로 만장일치 원칙은 어려움을 겪었다.[16]

1967년 제12차 장관 이사회에서 영국말레이시아 분쟁 종결로 인도차이나 문제에 대한 관심이 줄었고, 다른 회원국으로부터 군사 지원을 받지 못했던 불만이 남아 고립되었다.[16] 1968년 해럴드 윌슨 영국 총리의 수에즈 동쪽 철수 발표와 존슨 미국 대통령의 북폭 중단 제안으로 SEATO의 존재 의의는 더욱 약화되었다.[16]

1973년 파키스탄줄피카르 알리 부토 정권이 SEATO에서 탈퇴하고, 1974년프랑스가 탈퇴하면서, 기구는 1977년 6월 30일에 해산되었다.

5. 2. 국제 정세 변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가 철수한 후, 1954년 9월 8일 마닐라에서 체결된 《동남아시아 집단 방위 조약》(마닐라 조약)을 통해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가 창설되었다.[17] 이는 냉전 시기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 조약은 아시아태평양 민족의 평등과 자립권을 인정하고, 회원국 간 경제, 사회, 문화 협력을 목표로 하는 태평양 헌장으로 보충되었다. SEATO 본부는 태국 방콕에 설치되었고,[18] 매년 공동 훈련이 실시되었다.

SEATO의 결정은 회원국 만장일치로 이루어졌는데, 프랑스필리핀의 반대로 라오스베트남 분쟁에 직접 개입하지 못했다. 1973년 파키스탄이,[12] 1974년에는 프랑스가 탈퇴하면서 기구는 약화되었다.

1960년대에는 프랑스와 파키스탄이 SEATO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16] 프랑스는 1965년부터 SEATO 장관 이사회 참가를 옵서버 참가로 전환했고, 파키스탄도 토론에 소극적으로 참여했다.[16]

1960년대 중반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자,[16] 1964년 8월 톤킨만 사건 이후 미국 의회는 동남아시아 결의(톤킨만 결의)를 가결하여 대통령에게 마닐라 조약에 따른 무력 사용 권한을 부여했다.[16] 존슨 행정부는 회원국들의 협력을 요청했으나, 프랑스와 파키스탄의 반대와 만장일치 원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16]

1967년 4월 워싱턴에서 열린 제12차 장관 이사회에서 프랑스는 불참했고, 파키스탄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16] 영국말레이시아 분쟁 종결 이후 인도차이나 문제에 대한 관심이 줄었고, 다른 회원국들로부터 군사 지원을 받지 못한 불만도 있어 고립되었다.[16]

1968년 1월 16일 영국 총리 윌슨1971년 말까지 수에즈 동쪽에서 철수할 것을 발표했다.[16] 1968년 3월 31일 존슨 미국 대통령은 북폭 중단과 하노이와의 협상을 제안하여 SEATO의 존재 의의는 더욱 약화되었다.[16]

1973년 파키스탄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으로 방글라데시가 독립한 후 SEATO에서 탈퇴했다.[12]

5. 3. 해체 과정

1970년대 초, 조직 해체 문제가 제기되었다. 파키스탄은 1971년 12월 16일 동파키스탄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으로 방글라데시가 된 후 1973년 탈퇴했다.[12] 남베트남은 전쟁에서 패배하고 북베트남에 의해 합병되었고, 프랑스는 1975년 재정 지원을 철회했으며,[12] SEATO 이사회는 조직의 단계적 해체에 동의했다. 1976년 2월 20일 최종 훈련을 마친 후, 지미 카터 행정부 시절인 1977년 6월 30일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12] SEATO가 해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저에 깔린 집단 방위 조약은 여전히 효력을 유지하고 있다.[13]

1973년 파키스탄줄피카르 알리 부토 정권이 SEATO에서 탈퇴하고, 다음 해인 1974년프랑스가 탈퇴했다. 그리고 기구 자체도 1977년 6월 30일에 해산했다.

참고로, 영국, 프랑스미국NATO에 가입하고 있고, 미국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는 ANZUS에 가입하고 있다.

군사 기구로서는 해산했지만, 그 기원이 된 동남아시아 집단방위조약(마닐라 조약)은 현재도 유효하며, 회원국 간의 방위 의무는 현재도 유효하다고 확인되고 있다.

6. SEATO에 대한 비판적 시각

존 포스터 덜레스 미국 국무장관은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를 아시아에서 미국의 외교 정책에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했지만, 역사학자들은 마닐라 조약을 실패로 평가하며, 역사책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고 평가한다.[10] 영국의 외교관이자 해군 전략가인 제임스 케이블 경은 1954년 인도차이나 제네바 회담에서 외무부에 보낸 전문에서 SEATO를 "미국 정책의 나체를 가리는 잎사귀"로 묘사하고, 마닐라 조약을 "종이 호랑이들의 동물원"이라고 비판했다.[10] 1950년대 초, 아뉴린 베반은 영국 의회에서 SEATO를 막으려 했지만 실패했으며, 한때 외무장관 앤서니 이든과 야당 대표 클레멘트 애틀리 간의 의회 논쟁을 중단시키고 이들의 생각을 통렬히 비난하기도 했다.

캄보디아의 노로돔 시하누크 왕은 덜레스가 자신을 SEATO에 가입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SEATO를 이념은 다르지만 캄보디아와 다툼이 없는 이웃 국가들을 겨냥한 공격적인 군사 동맹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가입을 거부했다고 말했다.[11] 하지만, 시하누크는 이후 캄보디아 왕국을 중국과 북베트남, 크메르 루주와 같은 공산 정부 및 정당과 연합했는데, 이는 캄보디아가 선포한 중립성에 어긋나며 내부 갈등과 지역 불안정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참조

[1] 서적 One Man Alone: Richard Nixon Funk & Wagnalls 1969
[2] 보고서 United States – Vietnam Relations, 1945–1967 https://nara-media-0[...] Department of Defense
[3] 웹사이트 History of Thai Prime Ministers http://www.cabinet.t[...] Royal Thai Government 2011-04-22
[4] 웹사이트 Southeast Asia Treaty Organization (SEATO), 1954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U.S. Department of State 2019-03-14
[5] 보고서 US Psychological Strategy Based on Thailand Declassified Documents Reference System 1953-09-14
[6] 뉴스 Nehru Has Alternative To SEATO http://nla.gov.au/nl[...]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2-10-03
[7] 서적 De Gaulle et le Vietnam: 1945–1969 Éditions Tallandier 2023-08
[8] 보고서 Report to the Minister Assisting the Minister for Defence http://www.defence.g[...] 2011-05-01
[9] 웹사이트 Literary Trends and Literary Promotions in Thailand http://ppat.dbp.gov.[...] 2011-04-24
[10] 뉴스 Sir James Cable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2011-03-29
[11] 서적 My War with the CIA The Memoirs of Prince Norodom Sihanouk Pantheon Books 1973
[12] 뉴스 Thai given mandate to dissolve SEATO https://news.google.[...] 2012-07-08
[13] 웹사이트 Thailand http://www.almc.army[...] United States Army 2012-07-06
[14] 학술지 東南アジア条約機構(SEATO)の起源 : 米英の戦略の狭間で https://doi.org/10.1[...] 同志社大学アメリカ研究所 2022-04-09
[15] 학술지 東南アジアにおける「地域安全保障」の変容 : SEATOからASEANへ、一九六〇年~一九六七年 https://koara.lib.ke[...] 慶應義塾大学法学研究会 2022-03-09
[16] 학술지 ベトナム戦争と集団防衛――東南アジア条約機構における米英対立,1965-1968―― https://doi.org/10.1[...] アメリカ学会 2022-08-09
[17] 서적 The Hollow Pact: Pacific Security and the Southeast Asia Treaty Organization ProQuest 2006
[18] 서적 Michael Leifer: Selected Works on Southeast Asia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