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를 베베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 베베르는 러시아 외교관으로, 1885년 초대 주한 러시아 공사로 임명되어 대한제국 시기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에 기여했다. 그는 을미사변 이후 고종을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시키는 아관파천을 주도하고 친러 내각 구성을 지원했다. 또한, 조로 수호 통상 조약 체결에 서명하고, 고종의 신임을 받아 멕시코 주재 공사 발령을 유예받기도 했다. 외교관 생활 외에도 한국어, 한자 및 한국 지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저술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의 외교관 - 스테판 표토로비치 아프락신
    스테판 표토로비치 아프락신은 러시아의 군인이자 귀족으로,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활약하여 장군으로 승진했으며, 7년 전쟁 당시 러시아 군대의 총사령관을 맡아 그로스예거스도르프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뇌물 수수 혐의로 재판을 받던 중 감옥에서 사망했다.
  • 러시아 제국의 외교관 - 표도르 튜체프
    표도르 튜체프는 낭만주의 시풍으로 자연, 사랑, 인간 내면을 성찰하고 범슬라브주의 사상을 담은 정치시와 철학적 서정시로 유명한 19세기 러시아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외교관이다.
  • 리에파야 출신 - 마리스 베르파코우스키스
    마리스 베르파코우스키스는 은퇴한 라트비아 국적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했으며, 라트비아 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이다.
  • 리에파야 출신 - 모리스 할레
    라트비아 출신 미국 언어학자인 모리스 할레는 생성 음운론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촘스키와 함께 생성 음운론의 기초를 다지고 MIT 현대 언어학과를 창설하여 진보적인 학문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
  • 러시아-한국 관계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러시아-한국 관계 - 요나라
    요나라는 907년 야율아보기가 건국하여 거란족과 한족을 이원적으로 통치하며 불교, 유교, 도교, 샤머니즘이 융합된 문화를 형성했고, 북송과 대립하다가 금나라에 멸망했다.
카를 베베르
기본 정보
칼 폰 베버
이름칼 이바노비치 베베르
로마자 표기Karl Ivanovich Veber
한자 표기韋貝 (위패)
한국어 표기위패
문화어 표기칼 웨베르
독일어 표기Carl Friedrich Theodor von Waeber (카를 프리드리히 테오도어 폰 베버)
출생1841년 6월 17일 (구 6월 5일)
사망1910년
직업외교관
국적러시아 제국
경력
1885년한성 주재 러시아 총영사
1897년 ~ 1898년주한 러시아 공사

2. 외교관 생활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졸업 후 러시아 외무성에 들어가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중국 등지에서 근무한 후, 1884년 조로 수호 통상 조약 체결에 참여했으며 이듬해 초대 주조선 러시아 공사로 부임했다.[2] 조선에서는 고종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을미사변 이후 아관파천을 주도하는 등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 1897년까지 조선에 머무른 후 본국으로 돌아갔으며,[17] 이후에도 조선 문제에 관여하다 1910년 사망했다.[11][15]

2. 1. 초기 경력

베베르는 쿠를란트 현의 리바우(현 라트비아 리예파야)에서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아시아사에 관심을 보였다. 그는 186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인 1866년 러시아 외무성에 들어갔다. 그의 첫 해외 근무지는 베이징이었으며, 1882년에는 톈진 주재 러시아 영사로 임명되었다.[2]

2. 2. 조선 부임과 조러 관계

독일 작센주의 라데보일에 있는 베베르와 그의 부인과 아들의 묘


카를 베베르는 1884년 6월 25일 조로 수호 통상 조약 체결 시 러시아 제국 측 대표로 서명했다.[2] 이듬해인 1885년 4월, 그는 조선에 파견된 러시아 최초의 공식 대표(초대 주조선 러시아 공사)로 임명되어 한성(서울)에 부임했다.[2] 부임할 때 아내와 처제인 안토니에 손탁(Antoinette Sontag), 그리고 알자스 출신의 가정부와 함께 조선에 왔다.[3][4][5]

베베르는 부임 초기부터 고종과 개인적인 친분을 쌓으며 조선 내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노력했다.[13][14][15] 고종은 베베르를 깊이 신뢰하여, 훗날 러시아 정부가 그를 다른 임지로 전근시키려 했을 때 직접 니콜라이 2세에게 서한을 보내 베베르의 유임을 요청하기도 했다.[2]

한편, 베베르의 아내는 당시 조선 내 러시아인 및 독일인 거류민 사회의 일부 구성원들과 성격 차이로 갈등을 겪었다. 특히 1880년대 후반에는 독일 영사 페르디난트 크리엔(Ferdinand Krien)이 공관에서 부적절한 연회를 벌인다는 악성 소문을 퍼뜨린 배후로 지목되기도 했다.[5][16]

외교적으로는 1885년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가 주도했던 제1차 조러 밀약 시도가 청나라이홍장에 의해 무산된 이후, 1886년 8월, 조선 정부가 베베르에게 보낸 비밀 서한이 청나라 측에 발각되는 제2차 조러 밀약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조선이 러시아와의 관계 강화를 통해 청나라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 한 시도 중 하나로 평가된다.

2. 3.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1895년 을미사변 당시 일본이 흥선대원군을 사건의 주체로 내세우며 진실을 은폐하려 하자, 베베르는 이에 항의하였다. 이후 고종에게 러시아 공사관을 피신처로 제공하여 1896년 2월 아관파천을 성공시켰다.[2] 고종은 1897년 2월까지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렀으며, 이 시기는 조선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최고조에 달했던 때였다.[2]

아관파천 기간 동안 베베르는 고종을 설득하여 이완용, 이범진, 이윤용 등 친러파 인사들로 구성된 새로운 내각을 조직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2] 또한 1896년 5월에는 일본 측 대표 고무라 주타로와 고무라-웨베르 각서를 체결하였다. 이 각서를 통해 러시아는 한반도에 4개 중대의 병력을 주둔시킬 권한을 확보하였고, 일본은 새롭게 구성된 내각을 인정하게 되었다.[2]

한편, 1895년 7월 러시아 정부는 일본과의 관계를 의식하여 베베르를 멕시코 주재 공사로 전보시키고 후임으로 알렉세이 슈페이에르를 임명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이 소식을 들은 고종은 1895년 7월 2일 니콜라이 2세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베베르의 현명함을 칭찬하며 그의 유임을 강력히 요청하였다.[2][15] 고종의 요청은 받아들여져 후임으로 내정되었던 슈페이에르는 도쿄 주재 공사로 파견되었고, 베베르는 조선에 계속 머물게 되었다.[2][15] 그는 이후 2년 더 서울에 머무르다가 1897년 9월 슈페이어가 후임으로 부임하자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갔다.[17]

2. 4. 이후 활동



1897년 9월 알렉세이 슈페이어가 후임 공사로 부임하자, 베베르는 공사직을 인계하고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갔다.[10][17]

러일 전쟁 발발 직전인 1903년 4월, 베베르는 고종과의 회담을 위해 러시아의 공식적인 자격으로 다시 서울을 방문했다.[15] 그는 러시아 제국 최고의 훈장인 성 안드레이 훈장을 받았다.[2][15]

베베르는 1910년 니더뢰스니츠에서 사망했으며,[11] 현재 독일 작센주 라데보일의 쾨츠셴브로다 묘지에 그의 부인 및 아들과 함께 묻혀 있다. 그의 묘비는 건축가 오토 로메치와 아돌프 주페스가 설계했으며, 조각은 에른스트 탈하임이 담당했다.[11]

3. 저술 활동


  • Ch. 베베르, 《중국 북동부 지도》, 상하이 및 런던, 1900.
  • Ch. 드 베베르, Index géographique du grand atlas chinois T'ou-chou-tsi-tch'eng|중국 대백과사전 T'ou-chou-tsi-tch'eng의 지리 섹션 색인프랑스어, 상트페테르부르크, 1907.
  • К. И. Вебер [Ch. 드 베베르], О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 и корейском чтении китайских иероглифов|한국어한자 읽기에 관하여ru, 상트페테르부르크, 1907.
  • К. И. Вебер [Ch. 드 베베르], Пробная транскрипция всех городов Кореи|한국 도시 이름의 제안된 표기ru, 상트페테르부르크, 1907.
  • 한국어와 한자어의 한국식 발음에 관하여|한국어한자어의 한국식 발음에 관하여ru, 1908.
  • 한국 모든 도시의 시험적 음역|한국 모든 도시의 시험적 음역ru, 1908.

참조

[1] 논문 https://web.archive.[...] Academy of Korean Studies 1986-03-01
[2] 논문 http://www.korusforu[...] Center for Contemporary Korean Studie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2004-05-01
[3] 웹사이트 손탁여사와 손탁호텔 http://modernseoul.c[...]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4] 논문 Deutsche Persönlichkeiten im Königreich Joseon http://www.koreana.o[...]
[4] 웹사이트 Remarkable Germans in the Choson Kingdom https://web.archive.[...] German Embassy in the Republic of Korea 2010-09-02
[5] 뉴스 First gentlemen's club in Seoul established in 1889 https://www.koreatim[...] 2010-10-21
[6] 웹사이트 61. РГАВМФ, ф. 417, оп. 1, д. 2608, л. 1 https://db.history.g[...] 2022-08-17
[7] 웹사이트 65. РГАВМФ, ф. 417, оп. 1, д. 2608, л. 8 https://db.history.g[...]
[8] 웹사이트 68. РГАВМФ, ф. 417, оп. 1, д. 2608, лл. 22об https://db.history.g[...]
[9] 웹사이트 69. РГАВМФ, ф. 417, оп. 1, д. 2608, л. 25 https://db.history.g[...]
[10] 서적 The Abacus and the Sword: The Japanese Penetration of Korea, 1895-19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서적 Stadt Radebeul SAX-Verlag
[12] 서적 Russian diplomat Karl I. Waeber and Korea[Бэлла Пак. Российский дипломат К.И. Вебер и Корея.409 рр. ]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IOS RAS
[13] 뉴스 Коготь тигра. История жизни необыкновенного охотника из Восточной Азии (White Tiger: The life stories of extraordinary hunters in East Asia) http://vladnews.ru/2[...] Vladivostok News
[14] 서적 정신문화연구 28호 http://221.150.168.6[...] Academy of Korean Studies 1986-03-01
[15] 논문 Русские в Корее- имена и судьбы (Russians in Korea - Names and Fates) http://www.korusforu[...] 2004-05-01
[16] 뉴스 First gentlemen’s club in Seoul established in 1889 http://www.koreatime[...] 2010-10-20
[17] 서적 The Abacus and the Sword: The Japanese Penetration of Korea, 1895-19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18] 웹인용 [정치] 韓末 웨베르 공사에 대한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http://www.munhwa.co[...] 1997-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