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미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미우스는 기원전 1세기에 활동한 아트레바테스족의 왕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동맹에서 시작하여 로마의 적대자로 변모했다. 카이사르는 코미우스를 갈리아 정복 후 왕으로 임명하고, 브리타니아 침공 시 사절로 활용했으나, 코미우스는 로마에 반기를 들었다. 그는 갈리아 반란에 참여하고 게릴라전을 벌이다가 로마와 화친했으며, 이후 브리타니아로 건너가 아르테바테스족 왕국을 건설했다. 코미우스의 이름은 브리튼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그의 아들들이 왕위를 계승했다. 그는 소설과 영화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인 통치자 - 베르킨게토릭스
베르킨게토릭스는 기원전 1세기 갈리아의 아르베르니족 출신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 당시 갈리아 부족들을 규합하여 로마에 저항한 영웅이지만 알레시아 공방전에서 패배하여 로마에 항복 후 처형되었고 프랑스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기려진다. - 갈리아인 통치자 - 암비오릭스
암비오릭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 당시 에부로네스족을 이끌며 로마군에 맞서 반란을 일으킨 용맹한 지도자로, 뛰어난 전략으로 로마군에 큰 타격을 입혔으나 패배 후 자취를 감췄고, 현대 벨기에에서 국민적 영웅으로 숭앙받고 있다. - 브리튼계 군주 - 부디카
부디카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이케니족을 이끌고 로마에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며, 남편의 죽음 이후 로마의 부당한 처사에 분노하여 봉기했으나 와트링 가도 전투에서 패배하고 자결하거나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브리튼계 군주 - 카락타쿠스
카락타쿠스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 브리타니아에서 저항 운동을 이끈 지도자이며, 로마의 침공에 맞서 게릴라전을 펼치다 체포되어 로마에서 사면받고 생을 마감했다. -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 - 게미나 제10군단
게미나 제10군단은 기원전 1세기경 창설되어 로마 제국 시대에 활약한 군단으로, 갈리아 전쟁, 내전, 파르티아 원정 등 다양한 전역에 참여했으며, 여러 지역에 배치되어 국경 수비와 반란 진압 임무를 수행하다 5세기까지 존속했다. -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 - 퀸투스 툴리우스 키케로
퀸투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 군인, 작가이며 유명한 웅변가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의 동생으로, 쿠르수스 호노룸을 밟고 갈리아 전쟁에 참전, 카이사르 내전에서 폼페이우스를 지지했으나 사면 후 제2차 삼두정치 시기에 형과 함께 숙청되었으며 그리스 비극 작가로도 활동했다.
| 코미우스 | |
|---|---|
| 기본 정보 | |
| 칭호 | 아트레바테스 부족의 왕 |
| 통치 기간 | |
| 갈리아 아트레바테스 왕국 | 기원전 57년경 – 기원전 30년경 |
| 브리튼 아트레바테스 왕국 | 기원전 30년경 – 기원전 20년경 |
| 후임 | |
| 북부 브리튼 아트레바테스 왕국 | 틴코마루스 |
| 남부 브리튼 아트레바테스 왕국 | 에필루스 |
| 자녀 | |
2. 카이사르의 동맹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57년 사비스 강 전투에서 아트레바트족을 정복한 후[19] 코미우스를 왕으로 임명했다. 코미우스는 카이사르의 브리타니아 침공에 참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기원전 54년 갈리아에서 반란이 일어났지만, 코미우스는 종속국의 왕으로서 카이사르에게 충성을 유지했다. 카이사르는 그 대가로 아트레바트족이 세금을 로마에 바치지 않고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모리니족의 통치권도 위임했다.[38][6][24]
그러나 아울루스 히르티우스가 쓴 《갈리아 전기》 최종본에 따르면, 코미우스는 기원전 53년 갈리아의 다른 부족들과 내통하여 로마에 대항하려는 음모를 꾸몄다고 한다. 티투스 라비에누스는 코미우스를 체포하려 했으나, 코미우스는 머리에 부상을 입고 탈출했다. 이후 코미우스는 다시는 로마와 협력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39][7][25]
2. 1. 갈리아에서의 역할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57년 갈리아에서 아트레바트족을 정복하고[33], 《갈리아 전기》에 밝힌 것과 같이 코미우스를 왕으로 임명하였다.[1] 카이사르는 기원전 55년 브리튼섬을 침공하기에 앞서 코미우스를 사절로 파견하여 저항하지 말도록 설득하게 하였다.[34] 코미우스가 브리튼섬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2] 그러나 코미우스는 도착하자마자 체포되어 카이사르의 상륙을 막을 인질이 되었다.[35] 브리튼인들이 카이사르의 상륙 저지에 실패하자 코미우스는 협상의 재료로 로마 측에 넘겨졌다.[3]코미우스는 자신의 부족에서 얼마 간의 기병을 모아 카이사르의 브리튼섬 침공을 도왔다.[36] 카이사르가 두 번째 침공을 벌일 때에는 브리튼인의 지도자 카시벨라우누스가 항복하도록 협상을 하는 역할을 맡았다.[37]
기원전 54년 갈리아에서는 반란이 일어났지만 코미우스는 종속국의 왕으로서 카이사르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였다. 카이사르는 그 댓가로 아트레바트족이 걷어들인 세금을 로마에 바치지 않고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코미우스에게 벨가이족의 또 다른 지파였던 모리니족의 통치를 위임하였다.[38]
그러나 카이사르의 죽음 이후 아울루스 히르티우스에 의해 쓰여진 《갈리아 전기》의 최종본은 코미우스의 충성이 끝까지 유지되지는 않았다고 적고 있다. 카이사르가 갈리아 키살피나에 있던 기원전 53년 레가투스였던 티투스 라비에누스는 코미우스가 갈리아의 다른 부족들과 내통하여 로마에 대항하고 있다고 믿었다. 라비에누스는 호민관인 가이우스 볼루세누스 콰드라투스와 몇몇 켄투리오를 파견하여 코미우스에게 해명을 요구하기 위해 체포하라고 지시하였다. 코미우스는 체포를 피해 달아나다 머리에 부상을 당했다. 그 이후 코미우스는 다시는 로마와 협력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39]
2. 2. 브리타니아 원정 지원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55년 브리튼섬을 침공하기에 앞서 코미우스가 브리타니아에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하여 그를 사절로 파견해 브리튼인들에게 저항하지 말도록 설득하게 하였다.[34][2][20] 그러나 코미우스는 브리튼섬에 도착하자마자 체포되어 카이사르의 상륙을 막을 인질이 되었다.[35][3]브리타니아인들이 카이사르 군의 상륙 저지에 실패했을 때, 코미우스는 협상의 재료로 로마 측에 넘겨졌다.[21] 이후 코미우스는 자신의 부족에서 얼마간의 기병을 모아 카이사르의 브리튼섬 침공을 도왔다.[36][4] 카이사르가 두 번째 침공을 벌일 때에는 브리튼인의 지도자 카시벨라우누스가 항복하도록 협상을 하는 역할을 맡았다.[37][5][23]
3. 카이사르의 적
코미우스는 카이사르에게 등을 돌리고 갈리아 부족들의 반란에 가담했다. 1세기 경의 저술인 섹스투스 율리우스 프론티누스의 《전략집》에는 코미우스가 추종자들을 이끌고 브리튼 섬으로 도망쳤으며 카이사르가 추격하였으나 마침 영국 해협이 썰물 때여서 코미우스를 따라잡을 수 없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43]
프론티누스의 설명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코미우스의 화친이 결렬되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후대의 사학자 존 크라이튼은 안토니우스와의 화친 조건 가운데 하나에 따라 코미우스가 브리튼섬으로 이주하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프론티누스의 서술은 그가 브리트니아의 총독으로 부임하였을 때 현지에서 전해들은 이야기여서 부정확할 것이라는 것이다.[44] 크라이튼은 브리튼 이주 후 코미우스가 카이사르에 의해 다시 왕으로 임명되었고 폼페이우스와 카이사르가 벌인 내전에서 카이사르를 지지하여 관계를 회복하였다고 말했다.[44]
로마의 갈리아 정복 이후 주조된 갈리아의 화폐에는 코미우스의 이름이 새겨진 것이 있다. 이는 코미우스가 갈리아를 비운 뒤에도 어느 정도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아마도 코미우스의 섭정이 갈리아를 통치하였을 수 있다. 코미우스 주화가 발행된 시기에는 가르마노스와 카르시키오스 이름의 주화도 만들어졌는데 이 둘은 아마도 코미우스의 아들일 수 있다.[45]
3. 1. 갈리아 반란 가담
기원전 52년, 코미우스는 베르킨게토릭스가 이끄는 갈리아 총궐기에 합류하여 알레시아 전투에서 베르킨게토릭스를 구원하려는 군대의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40][8][26] 그러나 로마군에 의해 알레시아 구출은 실패했고, 베르킨게토릭스는 카이사르에게 항복했다.베르킨게토릭스가 패배한 후, 코미우스는 벨로바키족의 반란에 가담하여 500명의 게르만족이 반란을 지원하도록 설득했다.[41][9][27] 게르만족의 원군으로 기병 500명을 이끌고 돌아왔지만, 벨로바키족 군대가 로마군에게 패배하자 코미우스는 게르만족에게 도망쳤다.
기원전 51년, 코미우스는 소규모 기병 부대를 이끌고 선동과 게릴라전을 벌이기 위해 고향인 아트레바테스족의 본거지로 돌아갔다.[42][10][28]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코미우스와 앙숙 관계였던 볼세누스에게 기병 부대를 이끌고 코미우스를 추격하도록 명령했다. 로마군과 코미우스의 기병 부대는 전투를 벌여 로마군이 승리했지만, 볼세누스는 코미우스에게 대퇴부에 창상을 입었다. 코미우스는 도주하여 중재자를 통해 평화를 요청했다.
코미우스는 인질을 제공하고, 로마인을 다시는 만날 필요가 없다는 조건으로, 명령받은 곳에서 살면서 더 이상 카이사르에 저항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안토니우스는 이 평화 제안을 수락했다.[42][10][28]
3. 2. 로마와의 대립
기원전 52년, 아트레바트족은 베르킨게토릭스가 이끄는 갈리아 총궐기에 합류했고, 코미우스는 알레시아 전투에서 베르킨게토릭스를 구원하려던 군대의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40][8][26] 베르킨게토릭스가 패배한 후, 코미우스는 벨로바키족의 반란에 가담하여 약 500명의 게르만족이 그들을 지원하도록 설득했지만, 이 역시 패배했고 코미우스는 게르만 동맹국으로 피신했다.[41][9][27]기원전 51년, 그는 소규모 기병대를 이끌고 고국으로 돌아와 게릴라전을 펼쳤다. 그해 겨울, 당시 군단 사령관이었던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볼루세누스에게 기병대를 이끌고 그를 추격하라고 명령했고, 볼루세누스는 코미우스의 기병을 맞아 승리했지만 허벅지를 창에 찔리고 말았다. 코미우스는 도망쳐 중재자를 통해 평화를 구걸했다. 그는 인질을 제공하고 로마인을 다시는 만날 필요가 없다는 조건으로, 명령받은 곳에서 살면서 더 이상 카이사르에 저항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안토니우스는 그의 청원을 받아들였다.[42][10][28]
섹스투스 율리우스 프론티누스의 《전략집》은 코미우스가 추종자들을 이끌고 브리튼섬으로 도망쳤으며 카이사르가 추격하였으나 마침 영국 해협이 썰물 때여서 코미우스를 따라잡을 수 없었다고 서술하고 있다.[43][11][29]
프론티누스의 설명은 안토니우스와 코미우스의 화친이 결렬되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후대의 사학자 존 크라이튼은 아마도 안토니우스와의 화친 조건 가운데 하나에 따라 코미우스가 브리튼섬으로 이주하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프론티누스의 서술은 그가 브리트니아의 총독으로 부임하였을 때 현지에서 전해들은 이야기여서 부정확할 것이라는 것이다.[44][12][30]
4. 브리타니아의 왕
기원전 30년 무렵, 코미우스는 브리튼섬에 정착하여 그곳의 아르테바트족을 다스리는 왕이 되었다. 그는 칼레바 아트레바툼(오늘날의 실체스터)을 수도로 삼고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주화를 발행하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섬 침공 당시 로마군에 기병을 제공하기도 했는데, 이를 통해 이미 브리튼섬에 아르테바트족의 정착지가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코미우스의 이름이 새겨진 주화는 기원전 20년까지 발행되었으며, 일부 주화에는 "COM COMMIOS"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어 코미우스의 아들도 주화 발행에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6][13][31]
4. 1. 왕국 건설
기원전 30년경, 코미우스는 브리타니아에서 아르테바트족의 왕으로 즉위하여 칼레바 아트레바툼(오늘날의 실체스터)에서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주화를 발행했다. 기원전 55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브리튼섬을 침공했을 때 기병을 데려올 수 없었던 카이사르는 이미 브리튼섬에 살던 아르테바트족으로부터 약간의 기병을 차출하였는데, 이는 코미우스가 왕위에 오르기 전 이미 그곳에 아르테바트족의 정착지가 형성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코미우스의 이름이 새겨진 주화는 기원전 20년까지도 발행되었는데, 어떤 주화에는 "COM COMMIOS"라고 새겨져 있어 코미우스의 아들 코미우스도 주화를 발행한 것으로 해석된다.[13][31]4. 2. 후계자
틴코마루스, 에필루스, 베리카는 주화를 통해 코미우스의 아들들로 언급된다. 기원전 25년경부터 코미우스는 틴코마루스와 공동 통치한 것으로 보인다. 코미우스 사후 틴코마루스는 왕국의 북쪽을, 에필루스는 오늘날 치체스터에 해당하는 남쪽을 통치했다. 기원후 7년 에필루스가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베리카는 기원후 15년 무렵 왕위를 이어받아 43년 로마의 브리타니아 정복 직전까지 통치했다.[14][32]5. 이름과 어원
'코미우스(Commius)'라는 이름은 브리튼어 '콤비오스(Combios)'를 라틴어화한 것으로, '자르다', '때리다', '죽이다' 등의 뜻을 가진 켈트어 동사 ''콤·비나티(kom · binati)''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웨일스어의 '키뮈누(cymynu)', 고대 아일랜드어의 '콤벤(com · ben)'과 상응하는 단어이다.[47][16]
'코미우스(Commios, Comius, Comnios)'가 켈트어에서 명확한 의미를 가지지 않지만, 일부 어원학자들은 '친구' 또는 '동맹'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Com-이 '함께'를 의미하는 고대 라틴어 Cum에서 유래했으며, 게르만어에서는 Ge-로 번역되기 때문이다. 또한, 코미오스는 게르만어에서 '언덕'을 의미하는 지리적 용어인 comb 또는 kame의 변형일 수 있으며, 이는 인도유럽어 "*gembh"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15] 크리스 러드(Chris Rudd)는 Com-이 '친구' 또는 문자 그대로 '함께 사는 사람'을 의미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17]
혹은 코미오스(Commios, Com, Carmanos, Carsisios, Comanvs)는 "선출된 군주"를 의미하는 갈로-벨기에어 칭호로, 더 오래된 갈리아 칭호인 코마누스(Comanus)와 동일하다고 볼 수도 있다. 이 칭호는 모리니, 안데카비, 카르마눔, 세수이, 에부로네스, 비두카세스 등의 갈리아 주화에서 나타난다. 카이사르의 코미우스는 당시 왕이 없었고, 그가 코미오스라는 최고 칭호를 가지고 있던 하나 이상의 국가 연합 수장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까지 이 코미우스의 동전은 발견되지 않아 그의 진짜 이름은 알 수 없지만, 이후 카이사르에 의해 아트레바테스와 모리니의 왕이 되었다.[18]
6. 대중문화
프랑스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 아나톨 프랑스는 코미우스의 입장에서 벨기에 갈리아의 로마화에 관한 장편 단편 소설을 썼는데, 그는 코미우스의 이름을 게르만 형식인 콤(Komm)으로 불렀다. "아트레바테스의 콤(Komm of the Atrebates)"이라는 이 이야기는 프랑스의 역사 소설 모음집인 ''클리오''에 수록되어 있으며, 영어 번역본은 [https://books.google.com/books?id=kSTOYYk4RmYC&q=%22KOMM+OF+THE+ATREBATES%22+intitle%3AClio&pg=PA27 온라인]에서 읽을 수 있다.[1]
코미우스는 2001년 프랑스 영화 ''베르생제토릭스''에 등장한다.[2]
콜린 매컬로(Colleen McCullough)의 『카이사르(로마의 지배자 #5)』에서 역사 소설 내에서 역사에 맞춰 정확하게 묘사된 조연으로 등장한다.[3]
참조
[1]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Book 2
[2]
서적
De Bello Gallico 4.21
[3]
서적
De Bello Gallico 4.27
[4]
서적
De Bello Gallico 4.35
[5]
서적
De Bello Gallico 5.22
[6]
서적
De Bello Gallico 6.6, 7.76
[7]
서적
De Bello Gallico 8.23
[8]
서적
De Bello Gallico 7.75-76, 79
[9]
서적
De Bello Gallico 8.6-7, 10, 21
[10]
서적
De Bello Gallico 8.47-48
[11]
서적
Stratagemata 2:13.11
https://penelope.uch[...]
[12]
서적
Coins and power in Late Iron Age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3]
웹사이트
Commius and the Atrebates
http://www.roman-bri[...]
[14]
서적
Coins and power in Late Iron Age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5]
웹사이트
commius
http://www.romaneran[...]
[16]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17]
웹사이트
Ancient British kings and other significant Britons
https://celticcoins.[...]
2022-11-06
[18]
웹사이트
Celtic Inscriptions on Gaulish and British Coins
https://archive.org/[...]
2022-11-06
[19]
서적
ガリア戦記 第2巻
[20]
서적
ガリア戦記 4.21
[21]
서적
ガリア戦記 4.27
[22]
서적
ガリア戦記 4.35
[23]
서적
ガリア戦記 5.22
[24]
서적
ガリア戦記 6.6, 7.76
[25]
서적
ガリア戦記 8.23
[26]
서적
ガリア戦記 7.75-79
[27]
서적
ガリア戦記 8.6-7, 8.10, 8.21
[28]
서적
ガリア戦記 8.47-48
[29]
서적
戦略論 2:13.11
https://penelope.uch[...]
[30]
서적
Coins and power in Late Iron Age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31]
웹사이트
Commius and the Atrebates
http://www.roman-bri[...]
[32]
서적
Coins and power in Late Iron Age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33]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Book 2
[34]
서적
De Bello Gallico 4.21
[35]
서적
De Bello Gallico 4.27
[36]
서적
De Bello Gallico 4.35
https://wikisource.o[...]
[37]
서적
De Bello Gallico 5.22
https://wikisource.o[...]
[38]
서적
De Bello Gallico 6.6, 7.76
[39]
서적
De Bello Gallico 8.23
https://wikisource.o[...]
[40]
서적
De Bello Gallico 7.75-76, 79, Roman History 40:42
[41]
서적
De Bello Gallico 8.6-7, 10, 21
[42]
서적
De Bello Gallico 8.47-48
https://wikisource.o[...]
[43]
서적
Stratagemata 2:13.11
http://penelope.uchi[...]
[44]
서적
Coins and power in Late Iron Age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5]
서적
Coins and power in Late Iron Age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6]
서적
Coins and power in Late Iron Age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7]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