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슈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슈트는 15세기 중반 몽골 고원 서부로 이동하여 오이라트의 동맹이 된 몽골의 부족이다. 1620년대 오이라트 부족 중 가장 강력해졌으며, 1636년 구시 칸이 코슈트를 이끌고 코케누르(칭하이)를 점령한 후 1642년 코슈트 칸국을 건국했다. 이후 청나라에 복속되었으며,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 등에 주로 거주한다. 코슈트부는 칭하이 호쇼트, 알라산 호쇼트, 준가리아 호쇼트, 볼가 칼미크 호쇼트 등의 분파로 나뉘어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몽골 - 투바 공화국
투바 공화국은 시베리아 남쪽 끝에 위치한 러시아 연방의 공화국으로, 복잡한 역사를 거쳐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한 주체이며, 험준한 산악 지형과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 외몽골 - 코토고이드부
- 오이라트 - 오이라트어
오이라트어는 러시아, 몽골, 중국의 오이라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칼미크 공화국에서는 공용어이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몽골과 중국에서는 몽골어 방언으로 취급되지만 독자적인 문어(토도 문자)를 유지하며 소멸 위기에 처해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난다. - 오이라트 - 굴리치 울루그테무르 칸
굴리치 울루그테무르 칸은 15세기 초 몽골 고원에서 키르기스족을 규합하여 대칸의 자리에 올랐으나, 명나라와의 관계 문제로 몽골 귀족들의 반발을 사 측근에게 암살당했으며, 그의 출신과 가계는 불분명하다. - 몽골의 민족 - 몽골인
몽골인은 몽골, 중국, 러시아 등에 거주하는 유목민족으로, 몽올실위에서 기원하여 흉노족, 돌궐족과 혼혈되었으며, 칭기즈칸의 몽골 제국을 거쳐 여러 칸국으로 분열 후 청나라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되어 몽골어를 사용하며 유목 목축과 라마 불교 중심의 전통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몽골의 민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코슈트부 | |
---|---|
개요 | |
![]() | |
기본 정보 | |
지역 | 중국 |
언어 | 오이라트어 |
종교 | 티베트 불교, 몽골 샤머니즘 |
관련 민족 | 몽골족, 특히 오이라트 |
명칭 | |
몽골 문자 | ᠬᠤᠱᠤᠳ |
중국어 (번체) | 和碩特 |
러시아어 | Хошут, Хошууд |
2. 역사
코슈트는 원래 코르친 부족 중 하나로, 몽골 고원 남동부에 거주했으나, 15세기 중반에 몽골 고원 서부로 이동하여 몽골 고원 중부의 군사력에 대항하기 위해 오이라트의 동맹이 되었다. 그들의 지배 가문 갈와스는 서부 몽골에 의해 추방된 하사르계 코르친족이었다.
코슈트는 1580년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1620년대에는 가장 강력한 오이라트 부족이 되었다. 그들은 다른 부족을 이끌어 불교로 개종했다. 1636년 구시 칸은 많은 코슈트를 이끌고 코케누르(칭하이)를 점령했다. 코슈트 칸국은 1642년에 건국되었다. 1645년 이후, 그의 형제 콘델렝 우바시는 볼가강으로 이주하여 칼미크족에 합류했다. 그러나 많은 코슈트족은 오이라트의 본토 준가리아에 머물며 오치르투 세첸의 지배를 받았다.
준가르 지도자 갈단 보쇼그투 칸이 오치르투를 살해한 후, 코슈트족의 추장 호롤리는 1686년에 그의 백성과 함께 청나라에 항복하여 알라산에 정착했다.
준가르 칸국의 코슈트는 청나라가 1755년에 멸망시키기 전까지 영향력을 유지했다. 1771년 볼가 코슈트족은 칼미크족과 함께 준가리아로 돌아와 보스텐 호 주변에서 청나라에 의해 재정착했다. 칼미크 공화국의 투멘 가문 아래 있던 그들의 작은 잔재는 1917년까지 영향력이 있었다. 그들의 또 다른 일부는 불간주, 코브드주에서 별도의 기로 형성되었지만, 훨씬 더 많은 수로 함께 이주한 토르구트족으로 간주되었다.
2. 1. 기원
코슈트는 원래 코르친 부족 중 하나로, 몽골 고원 남동부에 거주했으나, 15세기 중반에 몽골 고원 서부로 이동하여 몽골 고원 중부의 군사력에 대항하기 위해 오이라트의 동맹이 되었다. 그들의 지배 가문 갈와스는 서부 몽골에 의해 추방된 하사르계 코르친족이었다.코슈트는 1580년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1620년대에는 가장 강력한 오이라트 부족이 되었다.
『사오이라트사』라는 오이라트 연대기에 따르면, 호쇼트의 기원은 칭기즈 칸의 동복 동생 조치 카사르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카사르의 자손은 대대로 호르친 부의 부족장이었지만, 호르친 부의 계보에는 거기에서 분기하여 호쇼트 부를 창시했다는 인물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고, 씨족 이름도 보르지긴 씨 (호르친 부)와 오지에트 씨 (호쇼트 부)와는 다르기 때문에 이 설은 의심스럽다. 다만, 호쇼트 부의 오지에트 씨가 몽골의 일부 부족이었던 것은 확실하며, 토곤 타이시와 에센 칸의 오이라트 제국 시대에 오이라트의 산하에 들어간 몽골 부족이 호쇼트 부가 되어 그대로 오이라트가 된 것으로 생각된다.
2. 2. 오이라트 연맹에서의 역할
코슈트는 1580년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1620년대에는 가장 강력한 오이라트 부족이 되었다. 그들은 다른 부족을 이끌어 불교로 개종했다. 1620년에 오이라트의 토르구트부와 준가르부가 몽골의 할하부를 공격한 것을 시작으로, 오이라트와 몽골이 전투 상태가 되었다.[2] 1623년에 사(四) 오이라트 연합군은[2] 할하 부장이며 알탄 칸[3]인 우바시 콩타이지 등을 살해하고, 몽골의 종속에서 독립을 이루었다. 1636년 구시 칸은 많은 코슈트를 이끌고 코케누르(칭하이)를 점령했다. 코슈트 칸국은 1642년에 건국되었다. 1645년 이후, 그의 형제 콘델렝 우바시는 볼가강으로 이주하여 칼미크족에 합류했다. 그러나 많은 코슈트족은 오이라트의 본토 준가리아에 머물며 오치르투 세첸의 지배를 받았다.준가르 지도자 갈단 보쇼그투 칸이 오치르투를 살해한 후, 코슈트족의 추장 호롤리는 1686년에 그의 백성과 함께 청나라에 항복하여 알라산에 정착했다.
준가르 칸국의 코슈트는 청나라가 1755년에 멸망시키기 전까지 영향력을 유지했다. 1771년 볼가 코슈트족은 칼미크족과 함께 준가리아로 돌아와 보스텐 호 주변에서 청나라에 의해 재정착했다.
2. 3. 호쇼트 칸국 건국과 티베트 지배
코슈트는 1580년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1620년대에는 가장 강력한 오이라트 부족이 되었다. 그들은 다른 부족을 이끌어 불교로 개종했다. 1636년 구시 칸은 많은 코슈트를 이끌고 코케누르(칭하이)를 점령했다.투르바이흐는 1636년 코슈트부의 수장이 되어 티베트 불교 겔룩파의 요청을 받아 칭하이의 초크투 홍타이지를 토벌하기 위해 칭하이 원정을 감행했다. 투르바이흐는 해 질 녘의 결빙기를 이용하여 1만 명의 오이라트 군을 칭하이에 침공하게 하여 이듬해 초크투 홍타이지의 3만 명을 섬멸했다. 이로 인해 투르바이흐는 겔룩파의 달라이 라마 5세로부터 "지교법왕(持教法王)"의 칭호를 받았고 구시 노밍 칸(國師法王)이 되었다(이하 구시 칸). 이 이후 오이라트가 티베트 불교 겔룩파의 시주를 맡게 되었고, 지금까지 칭기스 칸의 직계 후손만이 칭했던 "칸" 호를 타 가문인 오이라트도 칭하게 되었다.
구시 칸은 청해로 불러들인 휘하의 오이라트인과 함께 티베트를 평정하며 다녔고, 1642년에 티베트를 통일하여 티베트 왕의 자리에 올랐다. 코슈트 칸국은 1642년에 건국되었다. 이 때 구시 칸이 달라이 라마 5세를 티베트 불교계의 교주로 추대했기 때문에, 현재에 이르는 달라이 라마 정권(간덴 포드랑)이 시작되었다. 구시 칸의 자손은 그 후에도 청해 초원에서 유목 생활을 하며, 대대로 티베트 왕의 자리에 올랐다. 이 왕통을 '''구시 칸 왕조'''라고 칭한다. 그의 티베트 평정에 종군하여, 그대로 청해 초원을 비롯한 티베트 각지에 정착한 호쇼트는 오이라트 본국에 잔류한 집단과 구별하여, '''청해 호쇼트'''라고 불린다.
2. 4. 청나라 복속과 이후
코슈트는 1580년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1620년대에는 가장 강력한 오이라트 부족이 되었다. 1636년 구시 칸은 많은 코슈트를 이끌고 코케누르(칭하이)를 점령했고, 1642년에 코슈트 칸국을 건국했다. 1645년 이후, 그의 형제 콘델렝 우바시는 볼가강으로 이주하여 칼미크족에 합류했다. 그러나 많은 코슈트족은 오이라트의 본토 준가리아에 머물며 오치르투 세첸의 지배를 받았다.준가르 지도자 갈단 보쇼그투 칸이 오치르투를 살해한 후, 코슈트족의 추장 호롤리는 1686년에 그의 백성과 함께 청나라에 항복하여 알라산에 정착했다.
준가르 칸국의 코슈트는 청나라가 1755년에 멸망시키기 전까지 영향력을 유지했다. 1755년, 청나라는 준가르부의 상속 분쟁으로 오이라트가 내란 상태에 빠진 틈을 타 오이라트 본국에 출병하여 준가르 제국을 멸망시켰다. 준가르 제국의 멸망 후, 각지에 있던 오이라트 제 부족은 청나라에 의해 유목지를 하사받아 만주족의 팔기 제도에 준한 기(호슈운)로 나뉘었다.
1771년 볼가 코슈트족은 칼미크족과 함께 준가리아로 돌아와 보스텐 호 주변에서 청나라에 의해 재정착했다. 칼미크 공화국의 투멘 가문 아래 있던 그들의 작은 잔재는 1917년까지 영향력이 있었다. 그들의 또 다른 일부는 불간주, 코브드주에서 별도의 기로 형성되었지만, 훨씬 더 많은 수로 함께 이주한 토르구트족으로 간주되었다.
다음은 각 호슈트의 기이다.
- 아라샨 오로트부
- 칭하이 지역 - 호슈트 21기
- 코브도 지역 - 신 호슈트 1기
- 신장 지역 - 호슈트 3기
3. 분파
호쇼트부는 여러 분파로 나뉘어 발전했다.
; 칭하이 호쇼트
구시 칸은 휘하의 오이라트인과 함께 티베트를 평정하고 1642년에 통일하여 티베트 왕위에 올랐다. 구시 칸은 달라이 라마 5세를 티베트 불교계의 교주로 추대하여 간덴 포드랑이 시작되도록 하였다. 구시 칸의 자손들은 칭하이 초원에서 유목 생활을 하며 대대로 티베트 왕위를 계승했는데, 이 왕통을 구시 칸 왕조라 칭한다. 칭하이 호쇼트는 티베트 각지에 정착한 호쇼트로 오이라트 본국에 잔류한 집단과 구별된다.
1675년, 오칠르트 체첸 칸은 준가르의 갈단과 충돌하여 이듬해 포로가 되었고, 이로 인해 오이라트의 맹주 자리를 준가르에게 빼앗겼다.
구시 칸의 뒤를 이은 역대 칸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위 기간 | 달라이 라마가 수여한 칭호: 티베트어(몽골어) / 청나라 황제가 수여한 칭호 | 통칭 |
---|---|---|---|
투르바이후 | 1642년 - 1654년 | 텐진 츠키 걀포(샤진바리크치 노민 칸) / 준행 문의 민혜 고실 칸 | 구시 칸 |
다얀 | 1654년 - 1668년 | 텐진 도르제 걀포(샤진바리크치 오치르 칸) 텐진 타얀 걀포(샤진바리크치 다얀 칸) | 다얀 칸 |
군추크 | 1668년 - 1700년 | 텐진 탈레 걀포(샤진바리크치 다라이 칸) | 다라이 칸 |
텐진 옹겔 | 1700년 - 1703년 | ||
라상/ལྷ་བཟང༌།bo | 1703년 - 1717년 | 텐진 징길 걀포(샤진바리크치 칭기스 칸) / 익법 공순 칸 | 라상 칸/ལྷ་བཟང༌།bo |
; 알라산 호쇼트
17세기 말, 준가르와의 갈등을 피해 청나라에 투항한 호쇼트부는 알라산 지역에 정착하였다. 1990년 알라산의 코슈트족은 36,900명이었다.
알라산 호쇼트부의 지도자는 다음과 같다.
- 공격(1771년 - 1773년)
- 더러크 우바시(1773년 - 1791년)
- 텅터크(1791년 - 1797년)
- 야란피러(1771년 - 1790년)
- 어제이얼(1790년 - 1802년)
- 바트마체링(1802년 - 1814년)
- 푸얼푸(1814년)
- 차더언둬얼지(1814년 - 1840년)
- 돌지·남자르(1841년 - 1882년)
- 곤부자부(1882년 - 1897년)
- 상제자부(1897년 - ?)
- 노하이(1771년 - 1792년)
- 삼제(1792년 - 1797년)
- 우얼투나순(1797년 - 1834년)
- 바옌제이얼갈러(1834년 - 1839년)
- 곤제크자부(1839년 - 1856년)
- 동루부왕자르(1856년 - 1887년)
- 쿵가나무자르(1887년 - ?)
- 바야얼라후(? - 1775년)
- 제예제(1775년 - 1805년)
- 상제체렁(1806년 - 1819년)
- 제이얼갈러(1819년 - 1826년)
- 투루멍쿠(1826년 - 1851년)
- 라스더르크(1851년 - 1891년)
- 차보커둬얼지(1891년 - 1899년)
- 라다보두이(1899년 - ?)
- 부옌코슈크(1796년 - 1835년)
- 에린친 돌지(액림심다이얼지)(1835년 - 1851년)
- 치메테철린(1851년 - 1871년)
- 커슈크 부옌(1871년 - 1907년)
- 다무딩체더언(1907년 - ?)
; 준가리아 호쇼트
오이라트 본토인 준가리아에 남아 있던 호쇼트부는 오치르투 세첸 칸 등이 이끌었다.
; 볼가 칼미크 호쇼트
17세기 초, 호쇼트부에서는 초크르와 그의 이복형제인 바이바가스 사이에 유산 상속 분쟁이 발생했다. 1625년에 벌어진 전투에서 바이바가스가 전사했고, 바이바가스의 동생 투르바이후와 쿤데렌 우바시는 이심강에서 토볼강을 거쳐 1630년 야이크강까지 초크르를 추격하여 그의 백성들을 살해했다.
이 사건은 여러 부족이 연관된 내란으로 번졌고, 1630년 토르구트부의 수장 는 동족 간의 분쟁을 피해 일부 호쇼트부 및 돌베트부 백성을 이끌고 볼가강 유역으로 이주했다. 이들이 훗날 '''볼가 칼미크'''가 되었으며, 현재 칼미크인의 기원이 되었다.
3. 1. 칭하이 호쇼트
구시 칸은 휘하의 오이라트인과 함께 티베트를 평정하고 1642년에 통일하여 티베트 왕위에 올랐다. 구시 칸은 달라이 라마 5세를 티베트 불교계의 교주로 추대하여 간덴 포드랑이 시작되도록 하였다. 구시 칸의 자손들은 칭하이 초원에서 유목 생활을 하며 대대로 티베트 왕위를 계승했는데, 이 왕통을 구시 칸 왕조라 칭한다. 칭하이 호쇼트는 티베트 각지에 정착한 호쇼트로 오이라트 본국에 잔류한 집단과 구별된다.1675년, 오칠르트 체첸 칸은 준가르의 갈단과 충돌하여 이듬해 포로가 되었고, 이로 인해 오이라트의 맹주 자리를 준가르에게 빼앗겼다.
구시 칸의 뒤를 이은 역대 칸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위 기간 | 달라이 라마가 수여한 칭호: 티베트어(몽골어) / 청나라 황제가 수여한 칭호 | 통칭 |
---|---|---|---|
투르바이후 | 1642년 - 1654년 | 텐진 츠키 걀포(샤진바리크치 노민 칸) / 준행 문의 민혜 고실 칸 | 구시 칸 |
다얀 | 1654년 - 1668년 | 텐진 도르제 걀포(샤진바리크치 오치르 칸) 텐진 타얀 걀포(샤진바리크치 다얀 칸) | 다얀 칸 |
군추크 | 1668년 - 1700년 | 텐진 탈레 걀포(샤진바리크치 다라이 칸) | 다라이 칸 |
텐진 옹겔 | 1700년 - 1703년 | ||
라상/ལྷ་བཟང༌།bo | 1703년 - 1717년 | 텐진 징길 걀포(샤진바리크치 칭기스 칸) / 익법 공순 칸 | 라상 칸/ལྷ་བཟང༌།bo |
3. 2. 알라산 호쇼트
17세기 말, 준가르와의 갈등을 피해 청나라에 투항한 호쇼트부는 알라산 지역에 정착하였다. 1990년 알라산의 코슈트족은 36,900명이었다.알라산 호쇼트부의 지도자는 다음과 같다.
- 공격(1771년 - 1773년)
- 더러크 우바시(1773년 - 1791년)
- 텅터크(1791년 - 1797년)
- 야란피러(1771년 - 1790년)
- 어제이얼(1790년 - 1802년)
- 바트마체링(1802년 - 1814년)
- 푸얼푸(1814년)
- 차더언둬얼지(1814년 - 1840년)
- 돌지·남자르(1841년 - 1882년)
- 곤부자부(1882년 - 1897년)
- 상제자부(1897년 - ?)
- 노하이(1771년 - 1792년)
- 삼제(1792년 - 1797년)
- 우얼투나순(1797년 - 1834년)
- 바옌제이얼갈러(1834년 - 1839년)
- 곤제크자부(1839년 - 1856년)
- 동루부왕자르(1856년 - 1887년)
- 쿵가나무자르(1887년 - ?)
- 바야얼라후(? - 1775년)
- 제예제(1775년 - 1805년)
- 상제체렁(1806년 - 1819년)
- 제이얼갈러(1819년 - 1826년)
- 투루멍쿠(1826년 - 1851년)
- 라스더르크(1851년 - 1891년)
- 차보커둬얼지(1891년 - 1899년)
- 라다보두이(1899년 - ?)
- 부옌코슈크(1796년 - 1835년)
- 에린친 돌지(액림심다이얼지)(1835년 - 1851년)
- 치메테철린(1851년 - 1871년)
- 커슈크 부옌(1871년 - 1907년)
- 다무딩체더언(1907년 - ?)
3. 3. 준가리아 호쇼트
오이라트 본토인 준가리아에 남아 있던 호쇼트부는 오치르투 세첸 칸 등이 이끌었다.3. 4. 볼가 칼미크 호쇼트
17세기 초, 호쇼트부에서는 초크르와 그의 이복형제인 바이바가스 사이에 유산 상속 분쟁이 발생했다. 1625년에 벌어진 전투에서 바이바가스가 전사했고, 바이바가스의 동생 투르바이후와 쿤데렌 우바시는 이심강에서 토볼강을 거쳐 1630년 야이크강까지 초크르를 추격하여 그의 백성들을 살해했다.이 사건은 여러 부족이 연관된 내란으로 번졌고, 1630년 토르구트부의 수장 는 동족 간의 분쟁을 피해 일부 호쇼트부 및 돌베트부 백성을 이끌고 볼가강 유역으로 이주했다. 이들이 훗날 '''볼가 칼미크'''가 되었으며, 현재 칼미크인의 기원이 되었다.
4. 현대의 호쇼트족
내몽골 자치구 알라산 맹, 신장 위구르 자치구 보르탈라 몽골 자치주, 칭하이성 등지에 주로 거주한다. 1990년 알라산의 코슈트족은 36,900명이었다. 1999년 보스텐 호수 주변의 코슈트족은 12,000명 이상이었다.
4. 1. 중화인민공화국 내 분포
코슈트부는 주로 내몽골 자치구 알라산 맹, 신장 위구르 자치구 보르탈라 몽골 자치주, 칭하이성 등지에 거주한다. 1990년 알라산의 코슈트족은 36,900명이었다. 1999년 보스텐 호수 주변의 코슈트족은 12,000명 이상이었다.4. 2. 몽골 내 분포
참조
[1]
문서
オイラト八部
[2]
문서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