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퀘벡-윈저 회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퀘벡-윈저 회랑은 캐나다에서 인구가 가장 밀집된 지역으로, 퀘벡 시에서 윈저까지 뻗어 있으며 세인트로렌스 강, 온타리오 호, 이리 호 북쪽을 지난다. 이 회랑은 캐나다 전체 인구의 약 50%를 차지하며, 토론토, 몬트리올, 오타와 등 주요 도시들을 포함한다. 지리적으로는 경작지를 통과하며, 기후는 오대호의 영향으로 퀘벡과 온타리오의 다른 지역보다 따뜻하다. 교통은 수로, 도로, 철도, 항공이 발달했으며, 특히 온타리오 401번 고속도로와 VIA 철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역사는 프랑스 식민 시대부터 영국 식민 시대를 거쳐 캐나다 연방 성립 이후까지 다양한 변화를 겪었으며, 세인트로렌스 수로 건설과 같은 사건들이 회랑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퀘벡주 - 가티노
    가티노는 캐나다 퀘벡주 남서부에 위치하며 캐나다 수도권에 속하는 도시로, 2002년 5개의 자치 단체가 통합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가티노 공원과 캐나다 역사 박물관 등의 자연 및 문화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부 기관, 의료, 교육,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이고 오타와와 연결된 광역 경제권을 형성한다.
  • 퀘벡주 - 나라의 사람들이여
    퀘벡의 역사와 정체성을 담아 퀘벡인들의 단결을 상징하는 '''나라의 사람들이여'''는 질 비뇨가 작사하고 가스통 로숑과 함께 작곡한 노래로, 퀘벡의 국가로 여겨진다.
  • 지정학적 회랑 - 폴란드 회랑
    폴란드 회랑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폴란드에 할양되어 독일 본토와 동프로이센을 분리하고 폴란드의 발트해 접근을 제공했으나, 독일의 반발을 야기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으며, 종전 후 폴란드에 편입되었다.
  • 지정학적 회랑 - 실리구리 회랑
    실리구리 회랑은 인도 본토와 동북부를 연결하는 좁고 중요한 육상 통로로, 지정학적 취약성으로 인해 안보 위협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인도 정부가 안보 강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반군 활동 및 밀매 등의 문제도 여전히 존재한다.
  • 퀘벡주의 지리 - 허드슨 해협
    허드슨 해협은 캐나다 북부에 위치한 수역으로 배핀 섬, 사우스햄튼 섬 등의 섬과 본토로 둘러싸여 있으며, 국제수로기구(IHO)에 의해 경계가 정의된다.
  • 퀘벡주의 지리 - 제임스만
    제임스만은 캐나다 북동부 허드슨만의 남쪽 끝에 위치한 만으로, 1631년 토마스 제임스를 기념하여 명명되었으며, 허드슨 베이 회사의 모피 교역 중심지이자 현재는 수력 발전 댐 건설, 카누 여행, 철새 보호 구역으로 활용되고 있다.
퀘벡-윈저 회랑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공식 명칭퀘벡 시티-윈저 회랑
원어 명칭 (프랑스어)Corridor Québec-Windsor
구분지역
지리
위치캐나다 온타리오주, 퀘벡주
면적230,000km²
인구
인구 (2011년 추정)18,898,000명
인구 밀도82.2명/km²
행정 구역
온타리오주
퀘벡주
지역 코드
우편번호 접두사G
H
J
K
L
M
N
지역 번호226
249
289
343
365
382
416
418
437
438
450
468
514
519
548
579
581
613
647
683
705
742
753
819
873
905
시간대
시간대EST
UTC 오프셋-5

2. 지리

이 회랑은 북동쪽의 퀘벡 시에서 남서쪽의 윈저까지 뻗어 있으며, 세인트로렌스 강, 온타리오 호 및 이리 호 북쪽을 지난다. 회랑은 길이의 대부분 구간에서 경작지의 좁은 지대를 통과하며, 북쪽에는 캐나다 순상지, 남쪽에는 애팔래치아 산맥 또는 오대호가 있다. 회랑의 동쪽 2/3 구간을 따라 도시나 마을에서 북쪽으로 불과 몇 분만 운전하면 평평한 농경지와 석회암 기반암에서 순상지의 화강암 언덕으로 갑작스러운 변화를 볼 수 있다. 이 회랑의 고속도로는 종종 순상지의 경계 바로 옆으로 지나가며, 가는 길에 암석 절단면에서 석회암에서 화강암으로의 빈번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휴런 호와 이리 호 사이의 남서부 온타리오 반도(회랑의 서쪽 1/3을 차지함), 오타와에서 몬트리올의 오타와 강과 세인트로렌스 강의 합류점에 이르는 동부 온타리오 삼각주, 몬트리올 남동부의 이스턴 타운십을 포함하여 평평한 농경지가 넓게 펼쳐진 지역도 여러 곳 있다. 나이아가라 단층이라고 하는 층상 석회암의 작은 오대호 회랑도 있다.

회랑의 몬트리올-윈저 구간. 회랑의 온타리오 구간 대부분은 이리호와 온타리오호 바로 북쪽에 위치해 있다.


오대호의 완화 효과와 멕시코 만에서 유입되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 때문에, 특히 서쪽 절반 구간은 퀘벡과 온타리오의 나머지 지역보다 눈에 띄게 따뜻한 기후를 보인다. 비옥한 토양과 따뜻한 기후는 이 회랑의 동식물이 버지니아까지 남쪽으로 뻗어 있는 미국 동부의 낙엽수림과 유사하며, 북극까지 캐나다 중부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상록수 북방림과는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타리오 남서부의 숲은 종종 캐롤리니안 숲이라고 불린다.

3. 인구

2006년 캐나다 인구 조사(Canada 2006 Census)에 따르면, 온타리오주 인구의 94% 이상이 회랑의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퀘벡주 인구의 65% 이상이 몬트리올과 퀘벡 시 안 또는 근처에 거주한다. 캐나다 전체 인구의 약 절반이 퀘벡 시티와 윈저 사이에 거주한다.

캐나다 인구 밀도 지도(2014년)
'''왼쪽 상단:''' 퀘벡-윈저 회랑은 인구가 가장 밀집되고 산업화가 가장 많이 진행된 지역으로, 전체 인구의 거의 50%를 차지한다.


회랑의 세 개의 주요 인구 조사 대도시 지역(CMAs)은 다음과 같다 (2021년 캐나다 인구 조사 기준):

순위대도시 지역인구
1광역 토론토6,712,341
2광역 몬트리올4,291,732
3캐나다 수도권(National Capital Region)1,488,307



회랑을 따라 위치한 나머지 인구 조사 대도시 지역은 다음과 같다:

대도시 지역인구
퀘벡 시티 광역 공동체(Quebec City)839,311
해밀턴785,184
워털루 지역 자치구(Kitchener–Waterloo–Cambridge)575,847
런던543,551
세인트캐서린스-나이아가라 지역 자치구(Niagara)433,604
윈저422,630
오샤와415,311
셔브룩227,398
배리212,856
킹스턴172,546
구엘프165,588
트루아리비에르161,489
피터버러147,681
브랜트포드144,162
벨빌111,184
드러먼드빌101,610



회랑을 따라 위치한 기타 주요 도시 지역으로는 채텀-켄트, 사르니아, 그랑비 (퀘벡), 카와르타 호수, 콘월 등이 있다.

4. 역사

프랑스 식민 제국 시대에 퀘벡-윈저 회랑은 누벨 프랑스의 일부로 캐나다로 불렸으며, 퀘벡 시티에서 몬트리올까지의 지역이 주로 정착되었다. 모피 무역을 위한 주요 경로는 몬트리올에서 오타와 계곡을 따라 캐나다 방패를 지나 니피싱 호와 조지아 만으로 이어졌는데, 이는 현재 회랑의 온타리오 지역 북쪽이었다. 그러나 이 경로는 농지 부족과 운송의 어려움으로 정착에 적합하지 않았다.[1]

영국 왕국과 프랑스 간의 7년 전쟁 동안, 회랑 지역의 정착지는 분쟁의 중심에 있었으며, 파리 조약을 통해 누벨 프랑스는 영국에 할양되었다.[1]

미국 독립 전쟁 이후, 영어를 사용하는 왕당파들이 퀘벡주에 도착하여 세인트로렌스강 북쪽과 낮은 오대호를 따라 정착하면서, 이들은 영국계 캐나다인의 핵심이 되었다. 초기에는 킹스턴이 주요 도시였으나, 토론토가 더 크게 성장하였다. 이주민 유입으로 퀘벡주는 로어캐나다어퍼캐나다로 분할되었고, 회랑에 대한 행정은 두 캐나다로 나뉘었다.[1]

1812년 전쟁 동안 회랑 지역은 다시 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리도 운하는 캐나다-미국 국경에 가까운 회랑의 취약한 부분을 우회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837년-1838년 반란 이후, 두 캐나다는 캐나다주로 통합되었다. 빅토리아 여왕은 오타와를 수도로 선택했는데, 이는 오타와가 내륙에 위치하여 공격에 덜 취약했기 때문이다.[1]

1950년대 후반 세인트로렌스 수로 건설로 외항선이 회랑 전체와 어퍼 오대호까지 운항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 과정에서 온타리오 동부 지역의 여러 마을이 파괴되었다.[1]

4. 1. 프랑스 식민 시대

약 1650년경 누벨 프랑스 지도. 회랑의 동쪽 부분은 캐나다 식민지의 중심부를 형성했고, 서쪽 부분은 누벨 프랑스의 ''페이 당 오'' 지역의 일부를 형성했다.


프랑스 식민 제국 시대에 이 누벨 프랑스 지역은 캐나다로 명명되었으며 총독(일부 도시에는 지역 부총독이 있음) 아래 단일 행정 단위였다. 그러나 회랑의 동쪽 3분의 1, 즉 퀘벡 시티에서 몬트리올까지의 지역만 집중적으로 정착했다. 모피 무역에서 ''보야저''가 사용한 주요 횡단 경로는 몬트리올에서 오타와 계곡을 따라 캐나다 방패를 지나 니피싱 호와 조지아 만까지 이어졌으며, 회랑의 온타리오 부분이 나중에 될 지역의 북쪽으로 멀리 지나갔다. 그러나 좋은 농지가 부족하여 이 경로는 정착에 적합하지 않았고, 잦은 포티지로 인해 카누보다 큰 보트로 운송하는 것이 어려웠다.

영국 왕국과 프랑스 간의 7년 전쟁의 북미 부분 동안, 회랑을 따라 있는 정착지는 갈등의 중심에 있었다. 회랑을 구성하는 지역을 포함한 누벨 프랑스는 분쟁 종료 시 파리 조약 서명을 통해 영국 왕국에 할양되었다.[1]

4. 2. 영국 식민 시대

미국 독립 전쟁 결과, 영어를 사용하는 왕당파들이 퀘벡주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세인트로렌스강 북쪽과 낮은 오대호를 따라 정착했다. 그곳에는 좋은 농지가 있었고, 더 큰 배를 사용하여 운송할 수 있었다. 이들은 나중에 온타리오가 된 지역의 영국계 캐나다인 핵심을 형성했다. 반대로, 오래된 모피 무역과 벌목 경로를 따라 북쪽으로, 오타와 계곡을 거쳐 서쪽으로 이어지는 온타리오의 많은 도시들은 여전히 상당한 프랑스계 캐나다인 인구를 가지고 있다. 초기에는 킹스턴이 회랑의 영어권 지역의 주요 도시였지만, 결국 토론토가 킹스턴보다 더 커졌다. 이주민의 유입으로 퀘벡주는 로어캐나다어퍼캐나다의 두 개의 새로운 식민지로 분할되었고, 회랑에 대한 행정은 두 캐나다로 나뉘었다.[1]

1841년 바이타운 (현재의 오타와)의 리도 운하. 이 운하는 미국과의 전쟁 발발 시 회랑의 안전한 수송로를 제공하기 위해 19세기에 건설되었다.


1812년 전쟁 동안, 회랑을 따라 있는 정착지는 갈등의 중심에 있었다. 리도 운하는 캐나다-미국 국경에 가까운 콘월에서 킹스턴까지의 회랑의 가장 취약한 부분을 우회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837년-1838년 반란 이후, 두 캐나다는 캐나다주를 형성하기 위해 통합되었다. 오타와는 결국 캐나다의 수도로 빅토리아 여왕에 의해 선택되었는데, 이는 오타와가 내륙에 더 깊숙이 위치하여 공격에 덜 취약했기 때문이며, 현재는 회랑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한다.[1]

4. 3. 캐나다 연방 성립 이후

1950년대 후반 세인트로렌스 수로 건설로 일부 외항선이 회랑 전체와 그 너머의 어퍼 오대호까지 운항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회랑의 온타리오 동부 지역에 있는 여러 소실된 마을이 파괴되었다.[1]

5. 교통

퀘벡-윈저 회랑은 수로, 도로, 철도, 항공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이 발달하여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윈저에서 몬트리올 및 퀘벡 시티까지 이어지는 온타리오 401번 고속도로와 퀘벡 20번 고속도로는 북미에서 가장 통행량이 많은 고속도로로, 회랑의 중심 교통축을 담당한다.[8]

세인트로렌스 수로오대호는 가장 오래된 교통로이며, 수로와 갑문을 통해 대형 선박들이 회랑 전체를 이동할 수 있다.

캐나다 국립 철도(CN)와 캐나다 퍼시픽 캔자스시티(CPKC)는 회랑 전역에 걸쳐 화물 철도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VIA 철도는 이 지역에서 도시 간 여객 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VIA 철도의 ''회랑'' 노선은 캐나다 전체 여객 철도 수송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1] 암트랙은 뉴욕에서 출발하여 토론토 또는 몬트리올까지 운행하는 국제 노선을 통해 회랑 지역과 뉴욕 북부를 연결한다. 퀘벡 시티와 윈저 간 고속철도 건설에 대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5. 1. 항공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 몬트리올-피에르 엘리엇 트뤼도 국제공항, 오타와 맥도널드-카르티에 국제공항, 퀘벡/장 르사주 국제공항, 해밀턴/존 C. 먼로 국제공항, CFB 트렌턴은 퀘벡-윈저 회랑을 따라 위치한 주요 여객 공항이다.

윈저 공항, 사르니아 (크리스 해드필드) 공항, 런던 국제공항, 워털루 지역 국제공항, 빌리 비숍 토론토 시티 공항, 킹스턴/노먼 로저스 공항, 레이크 심코 지역 공항, 가티노-오타와 이그제큐티브 공항은 정기 항공편이 운항되는 민간 회랑 공항이다. 몬트리올-미라벨 국제공항은 몬트리올 인근의 대규모 시설로 주로 화물 항공편에 사용되지만 의료 후송[9]일반 항공[10][11] 항공편도 운항한다.

회랑 내에서 가장 붐비는 지역은 토론토-오타와-몬트리올 삼각지대이다. 토론토-오타와-몬트리올 삼각지대 내에서 평일에는 약 108편의 항공편이 운항되어 캐나다에서 가장 붐비는 항공 노선이자 세계에서 15번째로 붐비는 항공 노선이다. 에어 캐나다는 시간별 항공편을 제공하는 ''Rapidair'' 서비스를 통해 이 세 도시를 운항하며, 주요 경쟁사인 웨스트젯도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에어 캐나다와 포터 항공은 빌리 비숍 토론토 시티 공항에서 오타와와 몬트리올로 운항하며, 에어 캐나다 재즈는 많은 소규모 공항을 토론토, 오타와, 몬트리올과 연결하는 통근 항공편을 제공한다. 정기 항공 서비스 외에도 회랑을 따라 있는 일부 공항에서는 에어 트랜샛선윙과 같은 전세 항공편도 자주 운항한다.

5. 2. 철도

VIA 철도의 ''회랑'' 열차 노선도


캐나다 국립 철도(CN)와 캐나다 퍼시픽 캔자스시티(CPKC)는 퀘벡-윈저 회랑 전체에 걸쳐 광범위한 화물 철도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도시 간 여객 철도 서비스는 이 지역 전체에서 VIA 철도(Via Rail)가 제공하며, 주로 CN 화물 노선을 이용한다. VIA 철도의 시간표에서 단순히 ''회랑''이라고 불리는 퀘벡-윈저 회랑은 VIA 시스템에서 가장 붐비는 구간으로, 캐나다의 도시 간 여객 열차 및 이용객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VIA 철도의 총 수익의 약 67%가 퀘벡-윈저 회랑에서 발생한다.[1] 1978년 VIA가 설립되기 전에는 CN과 CP 모두 회랑 서비스를 운영했다.

이 지역 밖에서 출발하는 다른 도시 간 열차는 VIA의 ''캐나디안'' 및 ''오션''과 같이 회랑의 도시에서 시작하여 종착한다. 암트랙(Amtrak)은 뉴욕에서 시작하여 토론토에서 끝나는 노선과 몬트리올에서 끝나는 노선, 이렇게 두 개의 국제 도시 간 여객 철도 노선을 제공하며, 회랑 및 뉴욕 북부(Upstate New York)의 도시를 운행한다.

퀘벡 시티와 윈저 간의 고속철도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제안과 연구가 있었다.

5. 3. 도로

온타리오 401번 고속도로의 동쪽 종점, 온타리오-퀘벡 경계. 고속도로는 20번 고속도로로 퀘벡으로 이어진다.


회랑의 온타리오 부분에 있는 대부분의 도시는 원래 오래된 역마차 도로와 그 이전의 길과 오솔길의 경로를 따라 2번 고속도로(지역에서 "몬트리올 로드", "토론토 로드" 또는 "킹스턴 로드"와 같은 이름으로 알려짐)에 의해 연결되었다. 2번 고속도로는 여전히 회랑의 많은 온타리오 타운과 도시(그 주변에 건설됨)의 주요 도로를 형성하지만, 고속도로의 많은 부분은 이제 주가 아닌 카운티 또는 지방 자치 단체에서 관리한다.[1] 1938년부터 1968년까지 온타리오 주는 401번 고속도로를 건설했는데, 이는 해밀턴을 통과하는 대신 키치너 근처에서 더 북쪽으로 운행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2번 고속도로와 유사한 경로를 따르지만 대부분의 타운과 도시 중심지를 우회한다. 401번 고속도로는 이제 퀘벡 국경까지 회랑의 주요 교통 노선이며, 퀘벡에서는 20번 고속도로가 되어 퀘벡 회랑의 퀘벡 부분을 거쳐 퀘벡 시티까지 이어진다. 양쪽 끝에서 401번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403번 고속도로는 우드스톡과 토론토 사이에서 해밀턴을 포함하여 2번 고속도로의 경로를 거의 따르며 또 다른 중요한 주요 교통 동맥 역할을 한다. 416번 고속도로와 417번 고속도로는 오타와를 401번 고속도로의 브록빌과 20번 고속도로의 몬트리올과 연결한다.[1]

5. 4. 수로

세인트로렌스 수로오대호는 가장 오래된 교통 경로이다. 세인트로렌스 수로는 일련의 수로와 갑문들로 구성되어 있어, 대양을 항해하는 선박과 호수 화물선이 회랑 전체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세인트로렌스 수로의 몬트리올-온타리오 호수 구간 다이어그램

6. 주요 도시

참조

[1] 서적 Particulate Matter Science for Policy Makers: A NARSTO Assessm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2006 Census analysis series http://www12.statcan[...] 2.statcan.ca 2009-10-13
[3] 웹사이트 Profile table,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 Durham, Regional municipality (RM) [Census division], Ontario https://www12.statca[...] 2022-02-09
[4] 웹사이트 Profile table,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 York, Regional municipality (RM) [Census division], Ontario https://www12.statca[...] 2022-02-09
[5] 웹사이트 Profile table,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 Peel, Regional municipality (RM) [Census division], Ontario https://www12.statca[...] 2022-02-09
[6] 웹사이트 Profile table,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 Toronto, City (C) [Census subdivision], Ontario https://www12.statca[...] 2022-02-09
[7] 웹사이트 Profile table,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 Halton, Regional municipality (RM) [Census division], Ontario https://www12.statca[...] 2022-02-09
[8] 웹사이트 Alphabet City | Fuel - Features - The Post-Carbon Highway http://alphabet-city[...] 2010-07-05
[9] 웹사이트 It's liftoff for AirMédic ambulance http://www.canada.co[...] 2011-05-11
[10] 웹사이트 Mirabel redécolle http://lapresseaffai[...] 2008-09-30
[11] 문서 '#REDIRECT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