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회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란드 회랑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폴란드가 발트 해로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된 지역이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폴란드의 영토였으나, 폴란드 분할 이후 프로이센에 편입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로 반환되었다. 폴란드 회랑 설치는 독일 본토와 동프로이센을 분리하여 독일의 반감을 샀으며, 아돌프 히틀러가 폴란드 침공을 일으키는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폴란드의 영토로 확정되었으며, 현재는 폴란드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은 폴란드인, 독일인, 카슈브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해 온 곳으로, 민족 구성은 시대와 자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정학적 회랑 - 실리구리 회랑
실리구리 회랑은 인도 본토와 동북부를 연결하는 좁고 중요한 육상 통로로, 지정학적 취약성으로 인해 안보 위협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인도 정부가 안보 강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반군 활동 및 밀매 등의 문제도 여전히 존재한다. - 지정학적 회랑 - 회랑 (지정학)
회랑(지정학)은 대륙, 민족, 문화권 간 이동에 중요한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국가 간 이해관계가 충돌하며 갈등의 요소로 작용해왔다. - 베르사유 조약 - 자르 분지 지역
제1차 세계 대전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국제연맹의 관리 하에 놓였던 자르 분지 지역은 프랑스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나 주민투표를 통해 독일로 재통합되었고, 이후 프랑스 보호령을 거쳐 서독에 합병되었다. - 베르사유 조약 - 독일령 카메룬
독일령 카메룬은 1884년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독일이 설립한 식민지로, 독일 기업의 경제적 진출과 열강의 아프리카 진출에 대한 우려 속에 성립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에 점령당해 영국과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이 되었고, 경제적 이익 추구와 원주민 착취, 억압으로 특징지어지는 시대였다. - 독일-폴란드 관계 - 폴란드 분할
폴란드 분할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에 프로이센, 러시아, 합스부르크가 폴란드-리투아니아 공화국을 세 차례에 걸쳐 분할 점령하여 폴란드가 123년간 독립을 상실한 사건으로, 폴란드 민족주의 성장을 촉진하고 독립을 위한 저항의 원인이 되었다. - 독일-폴란드 관계 - 타넨베르크 작전
탄넨베르크 작전은 나치 독일이 폴란드 침공과 함께 폴란드 사회 핵심 구성원을 제거하기 위해 1939년에 실행한 비밀 작전으로, 아인자츠그룹이 폴란드 엘리트 계층을 제거하는 데 주력하여 수많은 지식인과 지도자들이 희생되었다.
폴란드 회랑 | |
---|---|
지도 정보 | |
명칭 | |
독일어 명칭 | Polnischer Korridor |
폴란드어 명칭 | Korytarz polski |
기본 정보 | |
위치 | 동프로이센과 독일 본토 사이의 지역 |
존속 기간 | 1919년 ~ 1939년 |
주요 도시 | 그단스크 그디니아 |
역사 | |
형성 배경 | 제1차 세계 대전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폴란드에 할양됨 |
목적 | 폴란드가 발트해로 접근할 수 있는 통로 확보 |
소멸 |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독일군에 의해 점령 |
관련 조약 | 베르사유 조약 독일-폴란드 불가침 조약 |
특징 | |
지리적 특징 | 동프로이센을 독일 본토와 분리하는 좁고 긴 지역 |
인종 구성 | 폴란드인, 독일인, 카슈브인 등 다양한 민족 거주 |
정치적 긴장 | 독일의 영토 회복 요구로 인한 정치적 불안정 |
주요 문제점 | |
접근성 | 독일 본토와 동프로이센 사이의 육상 연결 차단 |
소수 민족 문제 | 지역 내 소수 민족 갈등 |
외교적 갈등 | 독일의 영토 재통합 시도와 폴란드의 영토 수호 의지 충돌 |
로마자 표기법 | |
폴란드어 | Korytarz polski (코리타시 폴스키) |
독일어 | Polnischer Korridor (폴니셔 코리도어) |
2. 역사
폴란드 분할 당시 프로이센이 폴란드 서부를 차지하면서 폴란드 회랑 지역도 프로이센령이 되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제국이 패하고 베르사유 조약을 체결하면서 폴란드가 러시아 제국과 독일 제국으로부터 독립했고, 이 과정에서 폴란드 회랑은 신생 폴란드국의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독일 제국 본토와 동프로이센이 분리되면서 독일인의 반감을 샀고, 아돌프 히틀러는 폴란드 회랑을 구실로 폴란드 침공을 감행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이 패망하면서 폴란드 회랑은 다시 폴란드의 영토가 되었고, 동프로이센의 남부는 폴란드의 영토가, 북부는 소련의 영토가 되면서 폴란드 회랑과 관련한 독일과 폴란드의 마찰도 없어졌다.
2. 1. 선사 시대부터 중세 시대
선사 시대에는 여러 민족이 포메렐리아 지역에 정착하거나 떠났지만, 적어도 9세기까지는 카슈브인이라고도 불리는 서슬라브계 주민이 정착해 살았다.[126]10세기에 피아스트 왕조 폴란드 왕국의 메슈코 1세가 포메렐리아를 포함한 포메라니아 전역을 정복했다. 이후 피아스트 왕조의 여러 왕들은 이 지역의 지배권을 잃었다가 되찾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대체로 폴란드 왕국의 느슨한 영향력 아래 포메렐리아 공(公)이 통치하는 형태가 이어졌다.
11세기에는 카슈브인의 조상인 슬라브계 포메라니아인들이 정착했으며,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1세에 의해 정복당했다. 그 후, 그들은 독립 공국을 건설했다.[15] 1116년/1121년, 포메라니아는 다시 폴란드에 정복되었다. 1138년, 볼레스와프 3세 공의 사후, 폴란드는 여러 반독립 공국으로 분열되었다. 포메라니아의 영주였던 삼보리드(Samborides) 가문은 점차 독립 공작으로 발전하여 1294년까지 공국을 통치했다.
13세기 후반에는 포메렐리아 공가(公家) 내의 가내 분쟁 과정에서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이 개입하게 되면서, 일시적으로 그단스크가 변경백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308년에도 변경백이 포메렐리아의 계승권을 주장하며 이 지역을 정복했다. 폴란드 왕 브와디스와프 1세는 이를 되찾기 위해 변경백 세력의 추방을 독일 기사단에 요청했고, 추방은 실현되었지만 그 결과 독일 기사단이 그단스크를 점령하게 되었다. 독일 기사단은 변경백으로부터 포메렐리아에 대한 청구권을 10000mark에 매입했다.
이후 포메렐리아를 두고 독일 기사단과 폴란드 사이에 소송과 전쟁이 계속되었지만, 칼리시 조약에 따라 독일 기사단의 포메렐리아 영유가 확정되었다.
2. 2. 15세기부터 18세기
15세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과 독일 기사단 사이에 벌어진 13년 전쟁의 결과, 토룬 조약이 체결되면서 폴란드는 포메렐리아를 되찾아 왕령 프로이센의 일부로 편입했다.[17][18][19][20] 왕령 프로이센은 자치령과 같은 형태로 운영되었다.[17][18][19][20] 이 시기 그단스크(단치히)는 독일어 또는 네덜란드어 사용자이자 프로테스탄트가 다수였고, 포메렐리아 지역의 대부분은 폴란드어 또는 카슈브어 사용자이자 가톨릭 신자가 다수였다.18세기 말, 폴란드 분할로 인해 포메렐리아는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되어 서프로이센 주로 명명되었고,[17][18][19][20] 프로이센 왕국의 통치하에서 주민들은 강력한 독일화 정책을 받았다.
다음은 19세기와 20세기 초, 회랑의 주요 4개 군에서 폴란드인과 카슈브인(폴란드-독일어 이중 언어 사용자 포함)의 비율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 | 푸츠크(Puck) | 베이헤로보(Wejherowo) | 카르투지(Kartuzy) | 코시체지나(Kościerzyna) | 출처 |
---|---|---|---|---|---|
1831년 | 82% | 85% | 72% | 얀 모르다프스키(Jan Mordawski) 추정[23] | |
1831년 | 78% | 84% | 71% | 레셰크 벨지트(Leszek Belzyt) 추정[24] | |
1837년 | 77% | 84% | 71% | Volkszählung 인구 조사[25] | |
1852년 | 80% | 77% | 64% | Volkszählung[25] | |
1855년 | 80% | 76% | 64% | Volkszählung[25] | |
1858년 | 80% | 76% | 63% | Volkszählung[25] | |
1861년 | 80% | 77% | 64% | 벨지트(Belzyt)[24] | |
1886년 | 75% | 64% | 66% | 57% | 슐체룽(Schulzählung) 학교 인구 조사[25] |
1890년 | 69% | 56% | 67% | 54% | Volkszählung[25] |
1890년 | 73% | 61% | 68% | 57% | 벨지트(Belzyt)[24] |
1891년 | 74% | 62% | 66% | 56% | 슐체룽(Schulzählung)[25] |
1892년 | 77% | 67% | 76% | 59% | 슈테판 라무우트(Stefan Ramułt) 추정[26][27] |
1896년 | 72% | 61% | 70% | 58% | 슐체룽(Schulzählung)[25] |
1900년 | 69% | 54% | 69% | 55% | Volkszählung[25] |
1901년 | 76% | 60% | 71% | 59% | 슐체룽(Schulzählung)[25] |
1905년 | 70% | 51% | 70% | 56% | Volkszählung[25] |
1906년 | 73% | 62% | 72% | 60% | 슐체룽(Schulzählung)[25] |
1910년 | 70% | 50% | 72% | 58% | Volkszählung[25] |
1910년 | 74% | 62% | 74% | 62% | 벨지트(Belzyt)[24] |
1911년 | 74% | 63% | 74% | 63% | 슐체룽(Schulzählung)[25] |
1918년 | 77% | 55% | 77% | 65% | 폴란드 인구 지도[28][29] |
1921년 | 89% | 92% | 81% | 폴란드 일반 인구 조사[30][31] | |
1931년 | 95% | 93% | 88%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b/b9/Woj.pomorskie-Polska_spis_powszechny_1931.pdf 폴란드 일반 인구 조사] |
2. 3. 19세기와 독일 제국 시기

19세기 프로이센 왕국령 서프로이센(나중에 폴란드 회랑 지역의 일부가 됨)의 민족 구성은 복잡했다. 1819년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52%는 폴란드인, 46%는 독일인, 2%는 유대인이었다.[21] 카를 안드레는 1831년에 서프로이센 전체 인구를 70만 명으로 추정하며, 그중 폴란드인이 50%, 독일인이 47%, 유대인이 3%라고 기록했다.[22]
19세기와 20세기 초, 폴란드 회랑 지역의 주요 4개 군(푸츠크, 베이헤로보, 카르투지, 코시체지나)에서는 민족 구성의 변화가 나타났다.
프로이센과 독일 제국은 폴란드인 비율을 줄이고 독일인 소유 토지를 늘리기 위해 여러 정책을 시행했다.[88] 프로이센은 폴란드 분할 이후 폴란드 귀족(슈략타(Szlachta))의 토지를 몰수하여 독일 귀족에게 주었고, 가톨릭 수도원 재산도 몰수했다.[88] 독일 제국은 동부 지역에서 폴란드인 다수 지역의 회복을 막기 위해 토지를 매입했다.[89]
2. 4. 제1차 세계 대전과 베르사유 조약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제국이 패하고 베르사유 조약이 체결되면서 폴란드는 러시아 제국과 독일 제국으로부터 독립했다. 이 과정에서 폴란드는 발트해로 나아갈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폴란드 회랑이다.[32]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14개 조항에서 "명백히 폴란드인이 거주하는 영토를 포함하고, 바다로의 자유롭고 안전한 접근을 보장받으며, 국제적 계약에 의해 그 정치적, 경제적 독립과 영토 보전이 보장되는 독립된 폴란드 국가가 건설되어야 한다."라고 명시하여 폴란드의 해양 접근권 보장을 주장했다.[32]
폴란드 회랑 건설의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주장이 있었다.
- 민족적 상황: 이 지역 주민 대다수는 폴란드인이었다.[33][34] 1910년 프로이센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52만 8천 명의 폴란드인(독일 선거에서 폴란드 민족 명단을 지지했던 서슬라브계 카슈브인 포함)이 있었고,[37][38][39][40] 독일인(이 지역에 주둔한 군인과 공무원 포함)은 38만 5천 명이었다.[41][42]
- 경제적 이유: 폴란드의 경제적 독립을 위해서는 발트해로의 접근이 필수적이었다. 로만 드모프스키는 바다에 접근할 수 없는 폴란드는 진정한 독립을 이룰 수 없다고 주장했다.


파리 강화 회의 당시, 조사 위원회는 폴란드 회랑과 단치히 모두 폴란드에 직접 할양되어야 한다고 권고했다. 그러나 결국 서프로이센의 대부분은 폴란드에 할양되었지만, 단치히는 자유 도시가 되었다.
2. 5.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폴란드 회랑의 건설은 독일 내에서 큰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바이마르 공화국의 모든 전간기 정부는 베르사유 조약에서 합의된 동부 국경을 인정하지 않았고, 1925년 로카르노 조약에서 서부 국경에 대한 독일의 승인을 동부 국경에 대한 유사한 선언으로 따르기를 거부했다.[77]바이마르 공화국의 기관들은 부분적으로 폴란드의 정책에 의해 급진화된 폴란드 내 독일 소수 민족 단체들을 지원하고 격려하여 국제 연맹에 소수 민족 권리 침해에 대한 약 1만 건의 불만을 제기했다.[77]
독일 교통부는 1922년 독일의 외딴 지역이 된 동프로이센과의 연락선 운항을 위해 Seedienst Ostpreußende('동프로이센 해상 서비스')를 설립하여 폴란드 영토를 통과하는 수송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자 했다.
열차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었는데, 이 경우 객차를 밀봉하는 방식(''Korridorzug'')을 사용하여 승객이 공식적인 폴란드 비자를 여권에 받을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폴란드 당국의 엄격한 검사는 승객들에게 큰 공포의 대상이었다.[86]
1925년 5월, 동프로이센으로 향하던 열차가 회랑을 통과하던 중 레일 못이 일정 구간 제거되고 어깨판의 볼트가 풀려 탈선 사고를 일으켰다. 12명의 여성과 2명의 어린이를 포함하여 25명이 사망하고 약 30명이 부상을 입었다.[87]
1925년 폴란드 정부는 지주를 몰수하는 것을 목표로 토지 개혁 프로그램을 제정했다.[90] 회랑 지역 농지의 39%만 독일인이 소유했지만,[90] 최초 연간 개혁 대상 부동산 목록에는 32명의 독일 지주로부터 10,800헥타르와 7명의 폴란드인으로부터 950헥타르가 포함되었다.[90] 폼메레의 보이보드인 빅토르 라못은 "소위 회랑이 지나는 폼메레 지역은 대규모 독일 토지 소유에서 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90]

2. 6. 나치 독일 시기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당이 독일에서 권력을 장악했다.[92] 히틀러는 초기에는 폴란드와 화해 정책을 추진하는 모습을 보이며 1934년에는 폴란드-독일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기도 했다.[92] 그러나 이는 표면적인 모습이었고, 독일은 재군비에 힘을 쏟고 있었다.[93][94]나치 독일은 무력 충돌 없이도 목표를 달성하려 했다. 1938년 3월에는 오스트리아를 병합했고, 9월에는 뮌헨 협정을 통해 수데텐 지역을 차지했다.[95] 폴란드 역시 체코슬로바키아를 공격하여 트란스올자를 병합했다(1938년 10월 1일).[95]
독일은 폴란드가 반코민테른 조약에 가입하길 원했으나, 폴란드는 독일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우려하여 거부했다.[96] 1938년 10월 24일, 독일 외무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폴란드 대사 요제프 립스키에게 반코민테른 조약 서명을 요청했다.[97]
뮌헨 협정 직후, 히틀러는 수데텐 독일인 문제 해결이 독일의 유럽 영토 주장의 끝이라는 약속을 어겼다.[100] 나치는 단치히 자유시를 독일에 편입하려는 요구를 강화했다.[101] 1938년 11월, 단치히 지방 행정관 알베르트 포스터는 국제 연맹에 히틀러가 폴란드인들이 "체코인들처럼 합리적"이라면 폴란드 국경이 보장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고했다.[102]
1939년, 독일은 단치히의 지위 재협상을 요구하며 폴란드에 압력을 가했다.[102][111][110] 독일은 폴란드 회랑을 통과하는 영토 외의 ''라이히스아우토반'' 고속도로(''라이히스아우토반 베를린-쾨니히스베르크'' 완성을 위해)와 철도 건설을 요구했는데, 이는 사실상 폴란드 영토 병합을 의미했다.[106]
폴란드 정부는 히틀러를 불신했고, 이 계획을 폴란드 주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112][113] 히틀러는 폴란드 공격의 구실로 도시 지위 문제를 이용했으며, 1939년 5월 독일 군 고위 관리 회의에서 실제 목표는 ''생활권'' 확보라고 밝혔다.[114][115][116][117][118]
1939년 8월 말, 나치는 수정된 제안을 최후통첩 형태로 전달했다. 8월 29일 자정, 리벤트로프는 영국 대사 네빌 헨더슨 경에게 조건 목록을 전달했다. 주요 내용은 단치히의 독일 반환, 폴란드 회랑에 대한 국민투표 실시, 소수 민족 인구 교환 등이었다. 폴란드가 조건을 수락하면 독일은 국제적 보장에 동의할 것이었다. 폴란드 전권 대표는 다음날 정오까지 베를린에 도착하여 조건을 수락해야 했다.
다음날 정오, 폴란드 대사 요제프 립스키는 리벤트로프를 만났지만 협상 권한이 없었다. 결국 독일-폴란드 관계는 단절되었다.[119]
2. 7. 제2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1939년 9월 1일,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120] 독일 제4군은 폴란드 폼메레 군을 격파하고 9월 5일까지 투홀라 숲 전투에서 폴란드 회랑을 점령했다. 이 회랑은 독일에 합병되었고, 소련군에 의해 해방될 때까지 유지되었다.[120] 베스터플라테, 단치히 폴란드 우체국, 옥시비에, 헬 등 주요 전투가 이 지역에서 벌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1945년 포츠담 회담에서 소련의 압력으로 폴란드의 국경이 재편되었다.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 단치히를 포함한 영토는 폴란드에 귀속되었다. 회담에서는 전쟁 전 서부 폴란드 영토였던 폴란드 회랑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고, 이 지역은 1945년 폴란드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많은 독일 주민들이 처형되거나 추방되었고, 남은 주민들은 동독이 된 소련 점령 지역으로 추방되었다.
3. 용어
"회랑(corridor)"이라는 용어는 1920년대 독일 민족주의자들의 선전에서 만들어졌으며, 국제적으로는 1919년 3월 초부터 영어로 사용되었다.[5][6] 독일어로는 Polnischer Korridorde라고 하며, 폴란드어로는 korytarz polskipl('폴란드 회랑') 또는 korytarz gdańskipl('단치히 회랑')이라고 불렸다.[14]
전간기 폴란드 외교관들은 이 지역을 '회랑'으로 언급하는 것에 불쾌감을 느꼈다.[14] 그들은 '포메라니아 주'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 1939년 5월 5일 폴란드 외무장관 유제프 베크는 세임(폴란드 의회) 연설에서 "저는 '포메라니아 주'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땅은 수 세기 동안 폴란드 땅이었으며, 소수의 독일 정착민만이 살았던 곳이기 때문에 '회랑'이라는 말은 인위적인 생각입니다."라고 말했다.[14] 폴란드인들은 이 지역을 일반적으로 Pomorze Gdańskiepl('단치히 포메라니아', 포메렐리아) 또는 간단히 Pomorzepl('포메라니아')라고 불렀다.[14]
4. 민족 구성
폴란드 회랑 지역은 역사적으로 폴란드인, 독일인, 카슈브인이 함께 살던 곳이었다.[41]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독일과 폴란드의 통계는 이 지역의 민족 구성에 대해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1910년 독일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52만 8천 명의 폴란드인(카슈브인 포함)과 38만 5천 명의 독일인이 거주했다.[41] 이 인구 조사에는 이 지역에 주둔한 독일군과 행정 관리들도 포함되었다.[41] 반면, 1921년 폴란드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폴란드 회랑 지역의 독일인 비율은 18.8%(17만 5,771명)였다.[76] 이후 10년 동안 독일인 인구는 7만 명이 더 감소하여 9.6%가 되었다.[76]
군(郡) | 총 인구 | 독일 인구 | 독일인 비율 |
---|---|---|---|
지아우도보 (솔다우) | 23,290 | 8,187 | 34.5% (35.2%) |
루바바 (뢰바우) | 59,765 | 4,478 | 7.6% |
브로드니차 (슈트라스부르크) | 61,180 | 9,599 | 15.7% |
봉브제지노 (브리젠) | 47,100 | 14,678 | 31.1% |
토룬 (토른) | 79,247 | 16,175 | 20.4% |
헤움노 (쿨름) | 46,823 | 12,872 | 27.5% |
슈비에체 (슈베츠) | 83,138 | 20,178 | 24.3% |
그루지옹츠 (그라우덴츠) | 77,031 | 21,401 | 27.8% |
트체프 (디르샤우) | 62,905 | 7,854 | 12.5% |
베이헤로보 (노이슈타트) | 71,692 | 7,857 | 11.0% |
카르투지 (카르타우스) | 64,631 | 5,037 | 7.8% |
코시체지나 (베렌트) | 49,935 | 9,290 | 18.6% |
스타로그르트 그단스크 (프로이시슈 스타르가르트) | 62,400 | 5,946 | 9.5% |
호이니체 (코니츠) | 71,018 | 13,129 | 18.5% |
투홀라 (투헬) | 34,445 | 5,660 | 16.4% |
솅폴노 크라옌스키에 (젬펠부르크) | 27,876 | 13,430 | 48.2% |
합계 | 935,643 (덧셈 시 922,476) | 175,771 | 18.8% (922,476일 경우 19.1%) |
1939년 나치 독일 점령 후 실시된 인구 조사에서는 71%의 사람들이 자신을 폴란드인으로, 18만 8천 명이 카슈브어를 모국어로 선언했다.[124]
참조
[1]
GSEn
"Польский коридор"
[2]
서적
A History of Western Civilization
Dorsey Press
[3]
서적
The Scandinavians in History
Ayer Publishing
[4]
서적
Ostpreussen und Westpreussen
https://books.google[...]
Siedler
[5]
웹사이트
The problem of Corridor in the Polish-German relationships and on the international stage 1918 - 1939. A political study
http://www.adiutor-m[...]
2012-02-24
[6]
뉴스
Outlines Polish "Corridor"; Paris Paper Sketches Proposed Strip to Danzig.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19-03-18
[6]
뉴스
Plan to Give Germany Land Communication Across Polish Corridor to the Baltic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19-03-17
[7]
서적
Encyclopedia of the United Nation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Taylor & Francis
[8]
서적
Ostpreussen und Westpreussen
https://books.google[...]
Siedler
[9]
뉴스
POLISH "CORRIDOR."; Paris Paper Sketches Proposed Strip to Danzig.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19-03-18
[9]
뉴스
Russians Hoist the German Flag Over Soldau; Say Polish Corridor Will Be Returned to German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20-08-16
[9]
뉴스
Plan to Give Germany Land Communication Across Polish Corridor to the Baltic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19-03-17
[9]
뉴스
Europe Sorest Spot: The Polish Corridor.; The Old German Port of Danzig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30-11-16
[9]
뉴스
Germans United On Polish Corrido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32-08-17
[10]
간행물
Salmonsens Konversationsleksikon
https://runeberg.org[...]
[10]
간행물
Salmonsens Konversationsleksikon
https://runeberg.org[...]
[11]
웹사이트
New York Times early 1919
https://timesmachine[...]
[12]
웹사이트
Time magazine, 1925
http://www.time.com/[...]
2009-02-09
[13]
서적
The Polish-German Borderlands: An Annotated Bibliograph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4]
웹사이트
Official webpage of Polish Sejm, Chronicle of speeches
http://kronika.sejm.[...]
2020-05-00
[15]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Greenwood Publishing Group
[16]
서적
Merit Students Encyclopedia
Macmillan Educational Corporation
[17]
서적
A Lasting Peace
[18]
서적
Arms and Policy, 1939–1944
[19]
서적
The Congress of Vienna: A Study in Allied Unity, 1812–1822
Grove Pres
[20]
서적
Urban Societies in East-Central Europe
[21]
서적
Statistischer Umriß der sämmtlichen europäischen und der vornehmsten außereuropäischen Staaten, in Hinsicht ihrer Entwickelung, Größe, Volksmenge, Finanz- und Militärverfassung, tabellarisch dargestellt; Erster Heft: Welcher die beiden großen Mächte Österreich und Preußen und den Deutschen Staatenbund darstellt
https://books.google[...]
Verlag des Geographischen Instituts Weimar
[22]
서적
Polen: in geographischer, geschichtlicher und culturhistorischer Hinsicht
https://archive.org/[...]
Verlag von Ludwig Schumann
[23]
서적
Atlas dziejów Pomorza i jego mieszkańców - Kaszubów
Zrzeszenie Kaszubsko-Pomorskie
2019-11-30
[24]
논문
Kaszubi w świetle pruskich danych spisowych w latach 1827-1911. Tabela 24. Procentowy udział Kaszubów w poszczególnych powiatach według korekty
2019-10-31
[25]
논문
Kaszubi w świetle pruskich danych spisowych w latach 1827–1911 [Kashubians in the light of Prussian census data in years 1827–1911]
2019-10-31
[26]
웹사이트
Temat 19: Kaszubi w statystyce (cz. I)
https://kaszebsko.co[...]
2021-09-11
[27]
서적
Statystyka ludności kaszubskiej
[28]
웹사이트
Mapa rozsiedlenia ludności polskiej: z uwzględnieniem spisów władz okupacyjnych w 1916 r. [Map of the distribution of Polish popul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censuses of 1916]
https://polona.pl/it[...]
2019-10-31
[29]
서적
Żywioł niemiecki w zachodniej Polsce
https://www.sbc.org.[...]
[30]
논문
Liczba i rozmieszczenie ludności niemieckiej na Pomorzu w okresie II Rzeczypospolitej
https://repozytorium[...]
[31]
서적
Orphans of Versailles. The Germans in Western Poland 1918–1939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32]
웹사이트
The text of Woodrow's Fourteen Points Speech
http://usinfo.state.[...]
2005-06-22
[33]
서적
The Danzig Dilemma; A Study in Peacemaking by Compromise
[34]
서적
Katyn: A Crime without Punishmen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Danzig Dilemma; a Study in Peacemaking by Compromise: A Study in Peacemaking by Compromise
[36]
서적
My Diary at Conference of Paris
https://archive.org/[...]
Appeal Printing Company
[37]
간행물
Gdańskie Zeszyty Humanistyczne: Seria pomorzoznawcza
Wyższa Szkoła Pedagogiczna (Gdańsk). Wydział Humanistyczny, Instytut Bałtycki, Instytut Bałtycki (Poland)
[38]
서적
Położenie mniejszości niemieckiej w Polsce 1918–1938
[39]
간행물
Rocznik gdański organ Towarzystwa Przyjaciół Nauki i Sztuki w Gdańsku
[40]
서적
Do niepodległości 1918, 1944/45, 1989: wizje, drogi, spełnienie
[41]
서적
Principles and Proble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42]
서적
(Appendix B. German Population of Western Poland by Province and Count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43]
서적
The Poles under Prussian rule
https://archive.org/[...]
Polish Press Bur.
[44]
서적
The Danzig Dilemma a Study in Peacemaking by Compromise
Stan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A History of Modern Germany, 1800–2000
Blackwell Publishing
[46]
서적
Anti-Semitism before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Pearson
2010-12-21
[47]
서적
British Propaganda and the State in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ND
2009-07-06
[48]
서적
Two Worlds of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07-06
[49]
간행물
Niepodległość
Pilsudski Institute of America Instytut Józefa Piłsudskiego Poświecony Badaniu Najnowszej Historii Polski.
[50]
서적
A.J.P. Taylor, Radical Historian of Europe
https://archive.org/[...]
I.B. Tauris
[51]
서적
The causes of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Wiley
[52]
서적
In the Margin of History
https://books.google[...]
[53]
서적
Out of the Ashes
[54]
서적
The Crises of France's East Central European Diplomacy, 1933–1938
[55]
서적
The Danzig dilemma: a study in peacemaking by compromise
Stanford University Press
[56]
간행물
Review of Reviews
[57]
서적
Citizens of Empire: Jews in the Service of the British Empire (1906–194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2023-02-00
[58]
서적
The New Europe
https://books.google[...]
[59]
서적
In the Margin of History
https://books.google[...]
Books for Libraries Press
[60]
간행물
Przegląd zachodni
Instytut Zachodni
[61]
서적
National identity and Weimar Germany: Upper Silesia and the eastern border, 1918–1922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62]
서적
National identity and Weimar Germany: Upper Silesia and the eastern border, 1918–1922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63]
조약
Treaty of Versailles
http://www.firstworl[...]
[64]
조약
Treaty of Versailles
http://www.firstworl[...]
[65]
웹사이트
BPB on Poland
http://www.bpb.de/pu[...]
[66]
서적
Western and Northern territories of Poland : Facts and problems
Wydawnictwo Zachodnie (Publishing House of the Zachodnia Agencja Prasowa)
[67]
서적
The Weimar Republ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68]
서적
The Danzig dilemma a study in peacemaking by compromise
Stanford university press
[69]
서적
Frederick the Great: A Historical Profil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0]
서적
Localism, Landscape, and the Ambiguities of Place: German-speaking Central Europe, 1860–1930
University of Toronto
[71]
서적
A History of Prus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0-20
[72]
서적
Wielka historia Polski t. 4 Polska w czasach walk o niepodległość (1815–1864). Od niewoli do niepodległości (1864 - 1918)
[73]
서적
Orphans of Versailles Appendix B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74]
웹사이트
Anna M
https://web.archive.[...]
Web.ku.edu
2009-05-06
[75]
서적
Historia Polski 1795–1918
[76]
서적
Appendix B. German Population of Western Poland by Province and Country
https://books.google[...]
[77]
서적
The German Question Since 1919: An Analysis with Key Documents
Greenwood Publishing Group
[78]
서적
Orphans of Versailles: the Germans in Western Poland, 1918–193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9-09-05
[79]
서적
In the Margin of History
https://books.google[...]
[80]
서적
In the Margin of History
[81]
서적
Orphans of Versailles: The Germans in Western Poland, 1918–1939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82]
서적
A Lesson Forgotten: Minority Protection Under the League of Nations: The Case of the German Minority in Poland, 1920-1934
LIT Verlag Berlin-Hamburg-Münster
[83]
뉴스
NY Times report
https://www.nytimes.[...]
1920-08-16
[84]
간행물
"Politische Sanierung" Zur deutschen Politik gegenüber Polen 1925/26
http://www.ifz-muenc[...]
Institut für Zeitgeschichte
[85]
문서
Documents on British Foreign Policy 1919-1939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86]
문서
Namen, die keiner mehr nennt
[87]
웹사이트
time.com May 11, 1925
https://web.archive.[...]
2008-12-07
[88]
서적
Historia Polski 1795-1918
[89]
서적
Historia Polski 1795-1918
[90]
서적
Richard Blanke, Orphans of Versailles: The Germans in Western Poland 1918-193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2009-06-30
[91]
서적
Pol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Stabilization of Europe, 1919-1933
Oxford University Press US
[92]
서적
Fascist Ideology: Territory and Expansionism in Italy and Germany, 1922-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93]
웹사이트
Marching Toward War: Poland
https://web.archive.[...]
2006-05-30
[94]
웹사이트
The Five Year Plans and Economic Distress...
https://web.archive.[...]
2009-10-10
[95]
서적
The Munich Crisis, 1938: Prelude to World War II
Routledge
2012-10-12
[96]
서적
The twentieth-century world: an ...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6-16
[97]
서적
Hitler's Foreign Policy, 1933-1939 The Road to World War II
New York: Enigma Books
[98]
서적
Hitler's Foreign Policy, 1933-1939 The Road to World War II
New York: Enigma Books
[99]
서적
Hitler's Foreign Policy, 1933-1939 The Road to World War II
New York: Enigma Books
[100]
웹사이트
Document no. 9
http://www.st-andrew[...]
[101]
웹사이트
The Polish Resistance and the German Press Campaign (August 1–19)
http://www.ibiblio.o[...]
[102]
웹사이트
Anna M
http://www.ku.edu/~e[...]
[103]
서적
Hitler's Foreign Policy, 1933-1939 The Road to World War II
New York: Engima Books
[104]
서적
Hitler's Foreign Policy, 1933-1939 The Road to World War II
New York: Engima Books
[105]
웹사이트
The Polish Resistance and the German Press Campaign (August 1–19)
http://www.ibiblio.o[...]
Ibiblio.org
2009-05-06
[106]
서적
Hitler
https://books.google[...]
Harcourt Trade
[107]
웹사이트
The German-Polish Crisis (March 27-May 9, 1939)
http://www.ibiblio.o[...]
[108]
서적
A history of the world from the 20th ...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06-16
[109]
서적
Reassessing the Presidency
https://books.google[...]
Ludwig van Mises Institut
[110]
뉴스
Herr Hitler Says Yes and Col. Beck Says No; There Rests Demand of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39-05-07
[111]
웹사이트
The British War Blue Book
http://www.ibiblio.o[...]
[112]
웹사이트
The French Yellow Book : No. 113 - M. Coulondre, French Ambassador in Berlin, to M. Georges Bonnet,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Berlin, April 30, 1939
http://www.yale.edu/[...]
[113]
서적
Britain, Poland and the Eastern ...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2-12
[114]
서적
The history of the German resistance, 1933-1945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15]
서적
Hitler
Houghton Mifflin Harcourt
[116]
서적
Blitzkrieg w Polsce wrzesien 1939
Bellona
[117]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Germany,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day
Weidenfeld and Nicolson
[118]
서적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Routledge
[119]
서적
Hitlers erster „Blitzkrieg“ und seine Auswirkungen auf Nordosteuropa
Deutsche Verlags-Anstalt
[120]
서적
A World at Arms: A Global History of World War II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3-28
[121]
서적
Historia Polski 1795-1918
[122]
웹사이트
Pokwitowanie dotyczące zakupu wozu mieszkalnego dla Michała Drzymały z 1908 roku - Katalog Skarbów - Skarby Dziedzictwa Narodowego - Polska.pl
http://dziedzictwo.p[...]
Dziedzictwo.polska.pl
2009-05-06
[123]
서적
Handbuch der preussischen Geschichte
[124]
웹사이트
Strona w trakcie tworzenia
http://www.kki.net.p[...]
Kki.net.pl
2009-05-06
[125]
서적
Orphans of Versailles: The Germans in Western Poland 1918-193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126]
문서
Orphans of Versailles Appendix B
[127]
서적
Orphans of Versailles: The Germans in Western Poland, 1918-1939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28]
서적
Orphans of Versailles: The Germans in Western Poland, 1918-1939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