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벡 수도권 교통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퀘벡 수도권 교통망(RTC)은 1969년에 설립된 퀘벡시의 대중교통 운영 기관으로, 시내버스, 콜택시, 수요응답형 버스, 전기자전거 대여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RTC는 퀘벡시와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2000년대 이후에는 굴절버스, 하이브리드 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버스를 도입하고, OPUS 카드,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요금 시스템을 구축했다. 2023년에는 연간 2,820만 회의 승차량을 기록했으며, 트램 건설 계획이 추진되었으나, 건설 비용 증가, 노선 적합성, 겨울철 운행 문제 등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퀘벡시의 교통 - 퀘벡 트램
퀘벡 트램은 퀘벡 시의 대중교통 시스템 개선을 위해 1968년부터 추진되어 온 도시 철도 사업으로, 2024년 트람시테 계획 발표 후 2027년 착공, 2033년 개통을 목표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운행되었던 전차 시스템을 부활시키는 사업이다. - 퀘벡주의 버스 교통 - 몬트리올 교통공사
몬트리올 교통공사(STM)는 2002년 설립된 몬트리올의 대중교통 공기업으로, 4개의 지하철 노선과 200개 이상의 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통합 요금제와 오퍼스 카드를 사용하고, 휠체어 접근성을 제공하며 2025년까지 모든 버스를 전기 버스로 전환할 계획이다. - 퀘벡주의 버스 교통 - 엑소 (대중교통)
엑소는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 광역권의 통근 철도 및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역 교통망 운영 기관으로, 1995년 설립된 AMT의 후신이며, 2017년 RTM으로 변경 후 2018년 Exo 브랜드를 도입하여 몬트리올 지역 주민들의 주요 교통 수단 역할을 한다. - 좋은 글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좋은 글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퀘벡 수도권 교통망 | |
---|---|
개요 | |
![]() | |
소유주 | 퀘벡시 |
운행 지역 | 퀘벡주 퀘벡시 일대 |
교통 형태 | 시내버스, 간선 급행 버스, 장애인 콜택시, 호출형 버스, 공영 전기 자전거 |
노선 수 | 160 |
차량 수 | 613대 버스, 109대 굴절 버스, 90대 하이브리드 버스 |
일일 승객 수 | 70,000 |
연간 승객 수 | 44,300,000 |
본사 | 720, rue des Rocailles, 퀘벡, 퀘벡주, G2J 1A5 |
웹사이트 | RTC 홈페이지 (영어) |
운행 시작 | 2002 |
운영 | |
관리 기관 | 퀘벡시 |
출범 | 1969년 12월 23일 |
차고지 | 뇌프샤텔 차고지 (메트로뷔스), 르부르뇌프 차고지 (나머지 차량) |
대표 | 모드 메르시에라루슈 (회장), 니콜라 지라르 (사장) |
기타 정보 | |
슬로건 | Allez-y pour le bus (버스를 타세요) |
2. 역사
퀘벡 수도권 교통망은 1969년에 세워진 기관이지만 퀘벡시의 대중교통은 150년이 넘는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 마차와 마차철도 ====
1863년 가을, 퀘벡의 주요 경영인들과 핵심 인사들이 캐나다주 의회에 마차 회사 설립을 위한 서명을 받아냈다. 이 중에는 피에르 가르노, 존 르므쥐리에, 기욤유젠 쉬닉, 세리스 테튀 등이 포함되었다.[10] 1863년 10월 15일, 퀘벡시가철도회사(Quebec Street Railway)가 인가되었고, 퀘벡의 다섯 동네를 이을 마차 노선 건설권을 확보하였다.[11] 이 회사는 샹플랭 시장과 생투르스가 경계까지 마차를 운행하였다.[10] 1865년 8월 18일, 퀘벡의 첫 마차 노선이 개통되었다. 마차철도가 도입되면서 기존 마차는 사양길에 접어들었다. 마차 표는 25센트에서 50센트였던 반면 마차철도 표는 5센트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일부 마부들은 마차철도 도입에 대해 불공정한 경쟁이라며 비난하였고, 이에 대한 항의로 일부 차량이 훼손되고, 선로를 뜯어가고, 일부 마차철도 운전사들에게 폭력을 일삼기도 하였다.[12]
1878년, 생장가도시철도회사(Chemin de fer urbain de la rue Saint-Jean)가 설립되면서 마차철도가 윗마을까지 연장되었는데, 이 회사는 샤토 프롱트낙에서 생장가를 따라 아브뉘 드 살라베리까지 마차철도 노선을 건설하였고, 마구간은 생장밥티스트의 필립 도르발가에 위치해 있었다.[14]
==== 공영 전차 발족 ====
몬트리올이 1892년에 전차를 개통하면서 1890년대에 퀘벡에서도 기존 마차를 공영화하고 전철화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15] 퀘벡, 몽모랑시, 샤를부아 철도회사(Quebec, Montmorency and Charlevoix Railway) 대표이자 공학자, 경영인이었던 호러스 젠슨 비머는 퀘벡의 공영 전차를 운영하기 위한 독점 운행권을 취득하였다.[15] 이후 철도 회사는 퀘벡의 공영 전차 운행을 담당할 계열사인 퀘벡지구철도회사(Quebec District Railway Company)를 설립하고 기존에 퀘벡 일대를 운행했던 퀘벡시가철도회사와 생장가도시철도회사를 인수하였다.[16]
몽모랑시전력회사(Montmorency Electric Power)는 퀘벡시 전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기존 전력 설비를 보강하고 아랫마을과 윗마을을 연결하기 위해 전차가 다닐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로를 지어야 했다.[17] 이에 따라 생장 성문이 퀘벡 구도심과의 완만한 연결을 위해 일부 철거되었다. 1897년 여름, 기존의 전차 노선이 하나로 통합되고 전철화되면서 4개의 전차 노선이 운행을 개시하였다. 1897년 12월에는 생폴가와 오텔디외를 잇는 경사로인 코트 디낭을 따라 전차가 운행하였다. 전차가 개통하면서 마차는 정전 시에만 운행하게 되었다.[18]
뉴욕에서 제조된 신형 전차는 보통 25명에서 27명, 최대 50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으며, 전차 내부에는 히터도 장착되어 있었다.[19] 퀘벡에 개통된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도시는 몽캄 지역까지 확장하였고, 이후 인구가 늘어나면서 인구 밀도도 늘어나게 되었다.[19] 1910년에는 생 시릴 대로(후에 르네-레베스크 대로로 개명)와 셰퍼드 거리를 거쳐 실리까지, 그리고 매과이어 애비뉴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1912년에는 보포르의 역사 지구와 켄트 하우스를 연결하는 새로운 노선이 개통되었다. 전차는 1937년부터 버스로 전환되기 시작했으며, 이 전환은 생-소뵈르 노선 폐쇄와 함께 1948년에 완료되었다.
==== 전차의 번영과 쇠퇴 ====
1899년, 퀘벡 지역의 철도와 전기 회사가 통합되어 퀘벡의 교통과 전력을 독점으로 공급하는 퀘벡철도조명전력회사 (Quebec Railway, Light & Power Company)가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이후 퀘벡전력(Quebec Power)으로 이름을 바꾸고 1948년에 전차 운행이 중단될 때까지 퀘벡시 일대의 전차 운행을 맡았다.[20]
1910년, 전차 노선은 몽캄에서 서쪽으로 실르리까지 연장되었고, 1912년에는 동부의 보포르까지 연장되었다. 1932년에는 실르리에서 몽모랑시까지 총 11개의 노선이 운행하며 퀘벡 전차는 황금기를 맞았다.[19]
그러나 1937년부터 퀘벡전력은 전차를 버스로 대체하기 시작하였고, 1948년 5월 26일에 퀘벡의 마지막 전차 노선인 생소뵈르 노선이 폐선되면서 퀘벡의 전차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19]
한편, 1951년 퀘벡전력이 운행하던 퀘벡, 몽모랑시, 샤를부아 철도는 당시 캐나다 공기업이었던 캐나다 내셔널 철도(CN)에 매각되었다. 1957년 1월에는 퀘벡전력이 대중교통 부문을 퀘벡버스 (Québec Autobus Limitée)로 이름을 변경하였고, 같은 해 퀘벡버스는 몬트리올에 본사를 둔 주간운수회사(Provincial Transport Company)에 매각되었다.[16]
==== 교통위원회 ====
1969년 12월 23일, 퀘벡 주의회를 통과한 법안에 따라 퀘벡도시공동체교통위원회(Commission de transport de la communauté urbaine de Québec, CTCUQ)가 발족하였다.[16] 1970년대에는 버스전용차선 도입, 급행버스 노선 신설, 1개월권 도입 등 퀘벡 대중교통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21][22] 1971년에는 보포르와 부아샤텔 지역의 부아샤텔교통(Transport Boischâtel), 생트푸아와 랑시엔느로레트 지역을 운영하던 푸르니에버스(Autobus Fournier), 바니에 지역의 바니에버스(Autobus Vanier), 샤를부르 지역의 샤를부르버스(Autobus de Charlebourg) 등 4개 버스 회사가 CTCUQ에 흡수되었고, 이후에도 여러 버스 회사들이 공영화되었다.[16]
1980년대에는 플라스 르부르뇌프에 첫 환승 주차장이 개통하고,[22] 지역별로 난립했던 버스 노선도가 하나로 통일되었다.[22] 1986년에는 본사를 확장하고, 인구 밀도가 낮은 곳에 대중교통을 유연하게 운행하기 위해 콜택시를 시범 도입하였다.[22]
1990년대에는 버스 노선 대규모 재편, 간선급행버스(메트로뷔스) 신설, 버스전용차로 확장 등이 이루어졌다.[23] 1994년, 퀘벡도시공동체교통위원회(CTCUQ)는 퀘벡도시공동체교통공사(Société de transport de la Communauté urbaine de Québec, STCUQ)로 이름을 바꾸었다.[21] 더퍼린 몽모랑시 고속도로에 버스 및 카풀 전용차로가 시범 개통 및 영구 도입되었고,[22] 세인트로렌스강 북쪽과 남쪽 지역의 요금이 단일화되었다.[22]
==== 퀘벡 수도권 교통망 ====
2000년 12월 19일, 퀘벡주에서 대규모 행정구역 통폐합이 발표되었다.[24] 이에 따라 퀘벡시와 인접한 12개 지자체가 퀘벡시에 통합되었다.[25] 퀘벡 도시권 교통 위원회 (CTCUQ)는 임시로 퀘벡교통공사 (Société de transport de Québec)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 현재의 기관명인 퀘벡 수도권 교통망(RTC)으로 자리 잡았다.[22]
2000년대 이후, RTC는 다양한 종류의 버스를 도입하였다. 2000년에는 퀘벡 구도심에 천연가스 셔틀버스인 에콜로뷔스/Écolobus프랑스어를 시범 도입했고,[22] 2008년에 전기버스로 전환하여 운행하였다.[26] 에콜로뷔스는 2015년 1월에 전기배터리 과열 문제로 운행이 중단되었다.[27] RTC는 구도심을 운행하는 소형 버스와 더불어 더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굴절버스를 도입하였다. 2006년, 퀘벡주 정부는 굴절버스 유지 보수를 위한 차고지 건설에 4,700만 달러 투자를 발표하였고,[28] 2009년 12월에 차고지가 개장하였다.[31] 2010년 9월에는 디젤과 전기를 혼용하는 하이브리드 버스도 도입되었으며,[32]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기존 디젤 버스는 수백 대의 하이브리드 버스로 대체되었다.[33][34] 2016년에는 반호르와 계약을 체결해 일반 버스의 4분의 3 길이인 A330 하이브리드 버스인 미디뷔스(Midibus)를 주문하여, 2018년 1월부터 2019년 말에 걸쳐 총 64대가 반입되었다.[35][36]
요금 제도도 개편되었다. 2001년, 라본느뷔스(L'abonne BUS)를 통해 대중교통 정기권 요금을 매달 할인된 가격에 자동이체할 수 있게 되었다.[22] 2003년에는 퀘벡과 레비를 오가는 승객을 위해 할인된 요금의 광역 정기권이 출시되었다.[22] 2007년부터는 라발 대학교 학생들을 상대로 학생회비에 RTC 정기권이 포함되었다.[22] 2011년에는 2일권과 일주일권 등이, 2015년에는 5일권과 주말권 등이 추가되었다.[22]
2001년, RTC는 몬트리올 교통공사와 차세대 교통카드 시스템 도입 계약을 발주하였고,[22] 오퍼스 카드(Opus card)가 2008년 가을에 도입되었다.[37] 2009년에는 노인과 학생 요금도 OPUS 카드로 지불이 가능해졌고, 2010년 7월 5일부터 일회용 승차권도 OPUS 카드에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22] 2020년 6월 18일, RTC는 OPUS 카드와 더불어 RTC의 각종 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인 RTC 노마드 페망 (RTC Nomades paiement)을 선보였다.[38]
버스 노선과 인프라도 확충되었다. 2007년에는 로베르 부라사 고속도로 슈망 생트푸아 방면으로 버스전용차로가 개통하였고, 2008년에는 세 번째 메트로뷔스 노선인 802번 버스가 운행을 개시하였다.[22] 2011년에는 네 번째 메트로뷔스 노선인 803번 버스가 신설되었고, 이 중 불바르 르부르뇌프에 설치된 7km의 버스전용차로를 따라 운행한다.[22] 2013년에는 엑스프레스 300번과 500번 버스가 추가되었고,[22] 상트르 비데오트롱 개장에 맞춰 셔틀버스가 운행을 시작하였다.[22] 2016년에는 메트로뷔스 804번과 807번이 도입되었고, 윗마을과 아랫마을을 잇는 19번 버스도 신설되었다.[22] 2017년에는 보포르 지역을 운행하는 51번과 253번 버스가 신설되었고, 11번과 21번은 하나의 버스로 통합되었다.[22]
2. 1. 마차와 마차철도
1863년 가을, 퀘벡의 주요 경영인들과 핵심 인사들이 캐나다주 의회에 마차 회사 설립을 위한 서명을 받아냈다. 이 중에는 피에르 가르노, 존 르므쥐리에, 기욤유젠 쉬닉, 세리스 테튀 등이 포함되었다.[10] 1863년 10월 15일, 퀘벡시가철도회사(Quebec Street Railway)가 인가되었고, 퀘벡의 다섯 동네를 이을 마차 노선 건설권을 확보하였다.[11] 이 회사는 샹플랭 시장과 생투르스가 경계까지 마차를 운행하였다.[10] 1865년 8월 18일, 퀘벡의 첫 마차 노선이 개통되었다. 마차철도가 도입되면서 기존 마차는 사양길에 접어들었다. 마차 표는 25센트에서 50센트였던 반면 마차철도 표는 5센트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일부 마부들은 마차철도 도입에 대해 불공정한 경쟁이라며 비난하였고, 이에 대한 항의로 일부 차량이 훼손되고, 선로를 뜯어가고, 일부 마차철도 운전사들에게 폭력을 일삼기도 하였다.[12]1878년, 생장가도시철도회사(Chemin de fer urbain de la rue Saint-Jean)가 설립되면서 마차철도가 윗마을까지 연장되었는데, 이 회사는 샤토 프롱트낙에서 생장가를 따라 아브뉘 드 살라베리까지 마차철도 노선을 건설하였고, 마구간은 생장밥티스트의 필립 도르발가에 위치해 있었다.[14]
2. 2. 공영 전차 발족
몬트리올이 1892년에 전차를 개통하면서 1890년대에 퀘벡에서도 기존 마차를 공영화하고 전철화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15] 퀘벡, 몽모랑시, 샤를부아 철도회사(Quebec, Montmorency and Charlevoix Railway) 대표이자 공학자, 경영인이었던 호러스 젠슨 비머는 퀘벡의 공영 전차를 운영하기 위한 독점 운행권을 취득하였다.[15] 이후 철도 회사는 퀘벡의 공영 전차 운행을 담당할 계열사인 퀘벡지구철도회사(Quebec District Railway Company)를 설립하고 기존에 퀘벡 일대를 운행했던 퀘벡시가철도회사와 생장가도시철도회사를 인수하였다.[16]
몽모랑시전력회사(Montmorency Electric Power)는 퀘벡시 전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기존 전력 설비를 보강하고 아랫마을과 윗마을을 연결하기 위해 전차가 다닐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로를 지어야 했다.[17] 이에 따라 생장 성문이 퀘벡 구도심과의 완만한 연결을 위해 일부 철거되었다. 1897년 여름, 기존의 전차 노선이 하나로 통합되고 전철화되면서 4개의 전차 노선이 운행을 개시하였다. 1897년 12월에는 생폴가와 오텔디외를 잇는 경사로인 코트 디낭을 따라 전차가 운행하였다. 전차가 개통하면서 마차는 정전 시에만 운행하게 되었다.[18]
뉴욕에서 제조된 신형 전차는 보통 25명에서 27명, 최대 50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으며, 전차 내부에는 히터도 장착되어 있었다.[19] 퀘벡에 개통된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도시는 몽캄 지역까지 확장하였고, 이후 인구가 늘어나면서 인구 밀도도 늘어나게 되었다.[19] 1910년에는 생 시릴 대로(후에 르네-레베스크 대로로 개명)와 셰퍼드 거리를 거쳐 실리까지, 그리고 매과이어 애비뉴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1912년에는 보포르의 역사 지구와 켄트 하우스를 연결하는 새로운 노선이 개통되었다. 전차는 1937년부터 버스로 전환되기 시작했으며, 이 전환은 생-소뵈르 노선 폐쇄와 함께 1948년에 완료되었다.
2. 3. 전차의 번영과 쇠퇴
1899년, 퀘벡 지역의 철도와 전기 회사가 통합되어 퀘벡의 교통과 전력을 독점으로 공급하는 퀘벡철도조명전력회사 (Quebec Railway, Light & Power Company)가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이후 퀘벡전력(Quebec Power)으로 이름을 바꾸고 1948년에 전차 운행이 중단될 때까지 퀘벡시 일대의 전차 운행을 맡았다.[20]1910년, 전차 노선은 몽캄에서 서쪽으로 실르리까지 연장되었고, 1912년에는 동부의 보포르까지 연장되었다. 1932년에는 실르리에서 몽모랑시까지 총 11개의 노선이 운행하며 퀘벡 전차는 황금기를 맞았다.[19]
그러나 1937년부터 퀘벡전력은 전차를 버스로 대체하기 시작하였고, 1948년 5월 26일에 퀘벡의 마지막 전차 노선인 생소뵈르 노선이 폐선되면서 퀘벡의 전차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19]
한편, 1951년 퀘벡전력이 운행하던 퀘벡, 몽모랑시, 샤를부아 철도는 당시 캐나다 공기업이었던 캐나다 내셔널 철도(CN)에 매각되었다. 1957년 1월에는 퀘벡전력이 대중교통 부문을 퀘벡버스 (Québec Autobus Limitée)로 이름을 변경하였고, 같은 해 퀘벡버스는 몬트리올에 본사를 둔 주간운수회사(Provincial Transport Company)에 매각되었다.[16]
2. 4. 교통위원회
1969년 12월 23일, 퀘벡 주의회를 통과한 법안에 따라 퀘벡도시공동체교통위원회(Commission de transport de la communauté urbaine de Québec, CTCUQ)가 발족하였다.[16] 1970년대에는 버스전용차선 도입, 급행버스 노선 신설, 1개월권 도입 등 퀘벡 대중교통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21][22] 1971년에는 보포르와 부아샤텔 지역의 부아샤텔교통(Transport Boischâtel), 생트푸아와 랑시엔느로레트 지역을 운영하던 푸르니에버스(Autobus Fournier), 바니에 지역의 바니에버스(Autobus Vanier), 샤를부르 지역의 샤를부르버스(Autobus de Charlebourg) 등 4개 버스 회사가 CTCUQ에 흡수되었고, 이후에도 여러 버스 회사들이 공영화되었다.[16]1980년대에는 플라스 르부르뇌프에 첫 환승 주차장이 개통하고,[22] 지역별로 난립했던 버스 노선도가 하나로 통일되었다.[22] 1986년에는 본사를 확장하고, 인구 밀도가 낮은 곳에 대중교통을 유연하게 운행하기 위해 콜택시를 시범 도입하였다.[22]
1990년대에는 버스 노선 대규모 재편, 간선급행버스(메트로뷔스) 신설, 버스전용차로 확장 등이 이루어졌다.[23] 1994년, 퀘벡도시공동체교통위원회(CTCUQ)는 퀘벡도시공동체교통공사(Société de transport de la Communauté urbaine de Québec, STCUQ)로 이름을 바꾸었다.[21] 더퍼린 몽모랑시 고속도로에 버스 및 카풀 전용차로가 시범 개통 및 영구 도입되었고,[22] 세인트로렌스강 북쪽과 남쪽 지역의 요금이 단일화되었다.[22]
2. 5. 퀘벡 수도권 교통망
2000년 12월 19일, 퀘벡주에서 대규모 행정구역 통폐합이 발표되었다.[24] 이에 따라 퀘벡시와 인접한 12개 지자체가 퀘벡시에 통합되었다.[25] 퀘벡 도시권 교통 위원회 (CTCUQ)는 임시로 퀘벡교통공사 (Société de transport de Québec)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 현재의 기관명인 퀘벡 수도권 교통망(RTC)으로 자리 잡았다.[22]
2000년대 이후, RTC는 다양한 종류의 버스를 도입하였다. 2000년에는 퀘벡 구도심에 천연가스 셔틀버스인 에콜로뷔스/Écolobus프랑스어를 시범 도입했고,[22] 2008년에 전기버스로 전환하여 운행하였다.[26] 에콜로뷔스는 2015년 1월에 전기배터리 과열 문제로 운행이 중단되었다.[27] RTC는 구도심을 운행하는 소형 버스와 더불어 더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굴절버스를 도입하였다. 2006년, 퀘벡주 정부는 굴절버스 유지 보수를 위한 차고지 건설에 4,700만 달러 투자를 발표하였고,[28] 2009년 12월에 차고지가 개장하였다.[31] 2010년 9월에는 디젤과 전기를 혼용하는 하이브리드 버스도 도입되었으며,[32]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기존 디젤 버스는 수백 대의 하이브리드 버스로 대체되었다.[33][34] 2016년에는 반호르와 계약을 체결해 일반 버스의 4분의 3 길이인 A330 하이브리드 버스인 미디뷔스(Midibus)를 주문하여, 2018년 1월부터 2019년 말에 걸쳐 총 64대가 반입되었다.[35][36]
요금 제도도 개편되었다. 2001년, 라본느뷔스(L'abonne BUS)를 통해 대중교통 정기권 요금을 매달 할인된 가격에 자동이체할 수 있게 되었다.[22] 2003년에는 퀘벡과 레비를 오가는 승객을 위해 할인된 요금의 광역 정기권이 출시되었다.[22] 2007년부터는 라발 대학교 학생들을 상대로 학생회비에 RTC 정기권이 포함되었다.[22] 2011년에는 2일권과 일주일권 등이, 2015년에는 5일권과 주말권 등이 추가되었다.[22]
2001년, RTC는 몬트리올 교통공사와 차세대 교통카드 시스템 도입 계약을 발주하였고,[22] 오퍼스 카드(Opus card)가 2008년 가을에 도입되었다.[37] 2009년에는 노인과 학생 요금도 OPUS 카드로 지불이 가능해졌고, 2010년 7월 5일부터 일회용 승차권도 OPUS 카드에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22] 2020년 6월 18일, RTC는 OPUS 카드와 더불어 RTC의 각종 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인 RTC 노마드 페망 (RTC Nomades paiement)을 선보였다.[38]
버스 노선과 인프라도 확충되었다. 2007년에는 로베르 부라사 고속도로 슈망 생트푸아 방면으로 버스전용차로가 개통하였고, 2008년에는 세 번째 메트로뷔스 노선인 802번 버스가 운행을 개시하였다.[22] 2011년에는 네 번째 메트로뷔스 노선인 803번 버스가 신설되었고, 이 중 불바르 르부르뇌프에 설치된 7km의 버스전용차로를 따라 운행한다.[22] 2013년에는 엑스프레스 300번과 500번 버스가 추가되었고,[22] 상트르 비데오트롱 개장에 맞춰 셔틀버스가 운행을 시작하였다.[22] 2016년에는 메트로뷔스 804번과 807번이 도입되었고, 윗마을과 아랫마을을 잇는 19번 버스도 신설되었다.[22] 2017년에는 보포르 지역을 운행하는 51번과 253번 버스가 신설되었고, 11번과 21번은 하나의 버스로 통합되었다.[22]
3. 체계
퀘벡 수도권 교통망은 시내버스, 교통약자를 위한 콜택시인 수도권보조교통서비스(Service de transport adapté de la Capitale, STAC),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가까운 버스 정류장으로 승객을 실어 나르는 콜택시 서비스인 탁시뷔스(Taxibus), 마찬가지로 일반 버스가 잘 운행하지 않는 저밀도 지역 내에서 모바일 앱을 통해 택시를 호출해 자유롭게 그 지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플렉시뷔스(Flexibus), 자가용에서 버스로 갈아탈 수 있는 환승 주차장은 물론 퀘벡 시내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는 공영 전기자전거 서비스인 아벨로(àVélo) 또한 운영한다.
3. 1. 시내버스
퀘벡 수도권 교통망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은 시내버스이며, 일반 버스, 메트로뷔스, 엑스프레스, 쿠시타르 등 네 종류로 나뉜다.[40]
이 외에도 RTC는 2023년 6월 17일부터 10월 9일까지 관광객을 위한 400번 셔틀버스를 운행했으며,[41] 상트르 비데오트롱에서 행사가 있을 때마다 퀘벡 시내, 르부르뇌프, 샤를부르, 보포르에서 경기장을 오가는 405, 410, 430, 450번 버스를 수시로 운행한다.[42]
3. 2. 탁시뷔스
퀘벡에서 버스 정류장까지 거리가 멀거나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는 버스가 운행하는 대신에 필요에 따라 가까운 버스 정류장까지 택시로 실어 나르는 탁시뷔스(Taxibus)가 있다.[43] 탁시뷔스가 운행하는 지역은 주로 두 지역인데, 퀘벡시 서쪽의 생토귀스탱(Saint-Augustin)과 로랑시앵(Laurentien) 지역이다.[43] 생토귀스탱 지역에서는 자택과 92, 94, 294번 버스 정류장을 오가는 택시를 출발 1시간 전까지 예약할 수 있다.[43] 로랑시앵 지역에서는 자택과 80, 93, 280, 283, 380, 580번 버스 정류장을 오가는 택시를 출발 1시간 전까지 전화로 예약할 수 있다.[44] 택시 요금은 무료이고 이후 시내버스로 갈아탈 때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44]3. 3. 플렉시뷔스
플렉시뷔스(Flexibus)는 버스가 자주 운행하지 않는 대중교통 사각지대에서 운행하는 수요응답형 버스이다. 실시간 최적경로생성 기술을 적용하여 승객의 실시간 이동 수요를 분석하고 파악해 가장 적합한 경로를 찾아 효율적으로 배차한다.[45] 플렉시뷔스 앱이나 RTC 홈페이지 및 고객센터를 통해 운행 지역 내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지정해 출발 30분 전까지 호출하면 되고, 요금은 시내버스와 동일하다.[45] 버스는 7인승 버스로, 모든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해야 하며, 도로교통법에 따라 입석은 불가능하다.[45]2023년 10월 현재 플렉시뷔스가 운행하는 구역은 총 세 구역으로, 1구역은 퀘벡 북서쪽의 발벨레르와 로레트빌 지역이고, 2구역은 퀘벡 북동쪽의 웬다케, 생테밀, 락생샤를 및 노트르담데로랑티드 지역, 3구역은 보포르 북부와 동부에 위치한 생트테레즈리시외, 쿠르빌, 몽모랑시 지역이다.[45] 세 구역 모두 수요응답형 버스가 매일 아침 6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운행한다.[45]
플렉시뷔스의 운행 구역은 다른 지역으로 점차 확대될 예정인데, 4구역은 퀘벡 서부에 위치한 생토귀스탱드데모르, 5구역은 샹피니와 랑시엔느로레트 지역으로 2023년 말에 운행을 개시하며, 6구역과 7구역은 세인트로렌스강을 마주하는 앙스오풀롱, 캅디아망 지역으로 2024년에 운행을 개시할 예정이다.[45]
3. 4. 아벨로
퀘벡 수도권 교통망은 무인 공공 전기자전거 대여 서비스인 아벨로(àVélo)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퀘벡 구도심에서 생트푸아와 리므알루까지 총 74개의 대여소와 780대의 전기자전거가 있다.[46]
아벨로는 만 18세 이상 성인이나 6D 소형 모터사이클 면허를 소지한 만 14세부터 17세 청소년, 또는 자동차 운전면허를 소지한 만 16세 및 17세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다. 아벨로는 이용할 때 헬멧을 착용해야 하고, 인도가 아니라 자전거 전용 도로나 차도를 이용하는 등 퀘벡 도로교통법에서 규정하는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46]
2023년 5월부터 10월까지 아벨로는 이용 횟수가 553,000회 이상으로 역대 최대치를 달성하였다.[47] 예상보다 많은 이용객으로 2024년에는 대여소를 115개로 늘리고, 자전거도 780대에서 1,300대 이상으로 대폭 늘릴 예정이다.[48] 레비 시장 질 르우일리에는 퀘벡 광역공동체와의 협의를 통해 2025년에 세인트로렌스강 남부에 위치한 레비에도 아벨로 전기자전거 대여소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47]
3. 5. 환승 주차장
퀘벡 수도권 교통망은 자가용 운전자들이 환승 거점에서 버스로 갈아탈 수 있도록 환승 주차장인 파크오뷔스(Parc-O-Bus)를 무료로 운영하고 있다.[49] 환승 주차장은 매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개장하지만, 41번가 / 1번가, 드 라 폰, 르 장드르, 피두즈, 데스티모빌, 생트안 주차장은 매일 오전 5시 30분부터 다음날 오전 2시 30분까지 개장한다.[49] 또한 데스티모빌 주차장을 이용하는 운전자들은 RTC 요금이 충전된 OPUS 카드를 주차장 단말기에 태그한 뒤, 90분 내에 버스로 갈아타야 한다.[49]환승 주차장은 총 23곳이다.[49]
- 보포르: 질 트랑블레 경기장 부지, 데스티모빌, 생루이드쿠르빌 성당, 프롬나드 보포르, 프로비고 로뱅 생로랑 지점, 생트안
- 샤를부르: 생트세실 성당, 드 라 폰, 갈르리 샤를부르
- 오트생샤를: 펠릭스 르클레르 도서관, 폴 에밀 보리외 커뮤니티 센터, 생테밀 커뮤니티 센터, 생제라르마젤라 성당, 플라스 발벨레르
- 레리비에르: 카르푸 레솔, 생탕드레 성당
- 라시테-리므알루: 41번가 / 1번가
- 생트푸아-실르리-캅루지: 르 장드르, 캅루지 시립 주차장, 피두즈
- 랑시엔느로레트: 노트르담드라농시아시옹 성당
- 생토귀스탱드데모르: 메트로 플뤼스 GP, 다목적 스포츠 센터
3. 6. 보조교통
퀘벡 수도권 교통망은 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교통약자들을 위한 콜택시인 수도권보조교통서비스(Service de transport adapté de la Capitale프랑스어|쎄흐비스 드 트헝스뽀흐 아답떼 드 라꺄삐딸, STAC)를 운영하고 있다.[50] STAC는 평일 오전 6시 30분부터 오후 7시까지,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7시까지 운행한다.[50] 콜택시는 STAC 홈페이지나 고객센터 및 팩스로 예약할 수 있으며, 아침이나 낮에 이용하려면 전날 저녁 6시까지 예약해야 하고, 전날 저녁 6시 이후에 예약한 경우 당일 오후 6시 이후에 예약된다.[50] 요금은 RTC 요금과 동일하며, 현금이나 OPUS 카드, RTC 노마드 앱을 통해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51]4. 요금
퀘벡 수도권 교통망은 단일요금제로, 하나의 요금으로 퀘벡 전체의 모든 시내버스와 보조교통, 플렉시뷔스를 이용할 수 있다.[45][52] 요금 지불 수단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현금으로 3달러 75센트를 버스에 승차할 때 동전으로 지불하면 된다. 두 번째는 2008년 가을에 도입되어 몬트리올과 더불어 지금까지 통용되는 교통카드인 OPUS 카드(오퓌스 카드)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승객에게 있어서 적합한 지불 수단이다. 세 번째는 오카시오넬(Occasionnelle) 카드로, 이름 그대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지 않거나, 퀘벡에 단기 기간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위한 카드이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RTC 노마드 페망(RTC Nomades paiement) 앱으로 스마트폰 앱을 통해 일반 티켓이나 정기권을 구매하여 요금을 활성화한 뒤 버스 기사에게 보여주는 방식으로 대중교통 이용 빈도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불 수단이다. 2024년 7월 1일 기준 RTC의 요금은 다음과 같다.[52]
요금 유형 | 설명 | 일반 | 아동 및 청소년(만 6-18세) | 대학생(만 19세 이상) | 노인(만 65세 이상) | 에퀴모빌리테(ÉquiMobilité) | |
---|---|---|---|---|---|---|---|
1개월권 | $97.25 | $64.85 | |||||
저녁 및 주말 무제한 | - | $28.60 | - | ||||
광역 1개월권 | $105 | $79 | - | ||||
20회권 | $63 | - | $63 | - | |||
광역 20회권 | $70 | - | $70 | - | |||
평시 10회권 | - | $21.75 | - | ||||
5일권 | $33.25 | $27.25 | - | ||||
주말 무제한 | $17.50 | - | |||||
1일권 | $10.00 | - | |||||
1회용 티켓 | $3.50 | $2.90 | $3.50 | $2.90 | $2.00 | ||
현금 | | | $3.75 |
만 5세 이하 아동은 무료로 승차할 수 있다. 성인의 경우 동반 6-12세 아동 3명까지 무료로 승차할 수 있다.[52]
=== 오카시오넬 ===
오카시오넬 카드(Carte occasionnelle)는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지 않는 승객을 위한 카드로, 2회권, 4회권, 1일권 등 단기간 이용 요금이 충전되어 있다.[53] 아동, 청소년, 대학생, 노인 등 다양한 승객 유형으로 할인받을 수 있는 OPUS 카드나 RTC 노마드 페망과 달리 성인 요금만 결제할 수 있다.[53] 사용했던 요금을 다시 충전할 수 없고, 무기명 카드이기 때문에 분실하거나 도난당하면 교체할 수 없다.[53]
오카시오넬 카드는 편의점이나 약국, 마트 등 RTC 요금을 판매하는 곳이나,[53] 퀘벡 장 르사주 국제공항 및 갈르리 드 라 카피탈 쇼핑몰에 비치된 자판기에서 구매할 수 있다.[54]
=== OPUS 카드 ===
OPUS 카드(오퓌스 카드, Carte OPUS프랑스어)는 2회권부터 1개월권까지 다양한 요금을 충전하는 방식으로, 유효기간은 승객 유형에 따라 4년에서 7년이다. 일반 OPUS 카드는 처음 구매할 때 무기명 카드로 발급되고 이후 RTC 홈페이지에서 이름과 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메일, 카드 번호 등을 입력하면 카드가 등록되어 분실이나 도난 시에도 충전된 요금을 회수할 수 있다.[53] 일반 무기명 카드는 RTC 안내센터, 서비스 센터뿐만 아니라 편의점, 약국, 마트 등 RTC 요금을 판매하는 모든 곳에서 6달러에 구매할 수 있으며, 충전도 가능하다. OPUS 카드에는 1일권과 주말권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요금을 충전할 수 있다.[55]
만 18세 이하 아동 및 청소년과 만 19세 이상 대학생, 만 65세 이상 노인들은 버스 요금을 할인받기 위해 기명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데, 일반 무기명 카드와 다르게 카드 뒷면에 자신의 이름과 승객 유형, 증명사진이 포함되어 있다.
- 만 6세에서 11세 사이의 아동은 여권이나 의료보험증과 같은 신분증, 부모나 법정 대리인이 작성한 카드 신청서와 6달러의 수수료를 RTC 서비스 센터에 제시하여 증명사진을 찍고 현장에서 카드를 발급받으며, 카드의 유효기간은 7년이다.[56]
- 만 18세 이하 청소년은 퀘벡의 5개 고등학교와 6개 세젭(Cégep)에서는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15달러의 수수료로 기명 카드를 발급받거나, 자신이 작성한 카드 신청서와 여권, 운전면허증, 의료보험증과 같은 신분증과 15달러의 수수료를 RTC 서비스 센터에 제시하여 증명사진을 찍은 뒤 현장에서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카드의 유효기간은 4년 또는 만 19세까지이다.[57]
- 만 19세 이상 대학생은 세젭의 경우에는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15달러의 수수료를 지불하고 기명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고, 라발 대학교 학생의 경우에는 버스 요금이 등록금에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버스 요금이 포함된 기명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그 외 학교의 경우에는 RTC 안내센터에서 기명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기명 카드는 유효기간이 4년이지만 요금 할인 혜택을 받으려면 매년 학교 홈페이지나 안내센터 방문을 통해 재학 증명을 해야 한다.[58]
- 만 65세 이상 노인은 여권, 운전면허증, 의료보험증과 같은 신분증과 본인이 작성한 신청서 및 15달러의 수수료를 RTC 서비스 센터에 제시하여 증명사진을 찍고 카드를 현장에서 발급받으며, 카드의 유효기간은 7년이다.[59]
2024년 6월 19일부터 RTC OPUS 충전(RTC Recharge OPUS) 앱을 통해 OPUS 카드에 RTC 요금을 충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OPUS 카드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카드 판매처에 직접 방문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을 앱을 통해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60]
=== RTC 노마드 페망 ===
RTC에서 개발한 모바일 앱인 노마드 페망/Nomades paiement프랑스어 앱은 일반 요금뿐만 아니라 만 18세 이하 아동 및 청소년과 19세 이상 대학생, 만 65세 이상 노인 등 다양한 승객 유형을 설정하여 자신에게 맞는 요금을 앱에서 구매할 수 있다.[61] 노마드 페망 앱은 구글 플레이와 앱 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요금 구매는 비자나 마스터카드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할 수 있으며, 요금을 구매하거나 승차 직전에 해당 요금을 활성화할 때, 또는 다른 버스로 환승할 때 와이파이나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61]
만 18세 이하 아동 및 청소년과 만 19세 이상 대학생, 만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노마드 앱에서 할인을 받으려면 본인의 증명사진과 앱에서 요구하는 증명서류를 올리면 고객센터에서 72시간 내에 승인받을 수 있고, 승객 유형 설정에 대한 승인 이메일을 받으면 승객 유형에 맞는 적절한 요금을 노마드 앱에서 구입할 수 있다. 다만 만 13세 이하 아동의 경우에는 부모님이나 법정 대리인의 동의를 받아 RTC 서비스 센터나 안내센터에서 승인을 받아야 앱에서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61]
노마드 페망에서 구매한 RTC 요금은 보조교통인 STAC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노마드 페망에서는 RTC 요금뿐만 아니라 STLévis 요금도 구매할 수 있으며, 카셰어링 업체인 커뮤노토와의 결합 요금제도 구매할 수 있다. 라발 대학교 학생들을 상대로 한 대학생 패스(laissez-passer universitaire, LPU)는 OPUS 카드로만 발급받을 수 있다.[61]
=== 에퀴모빌리테 ===
2023년 5월 1일부터 퀘벡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승객 및 보조교통인 STAC 승객을 상대로 1회권이나 1개월권 요금을 33% 할인해주는 에퀴모빌리테 (에퀴모빌리테/ÉquiMobilité프랑스어)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62] 에퀴모빌리테 제도는 저소득층의 경우 연 소득이 2022년 기준 1인 29,380달러에서 7인 이상 77,751달러 미만인 경우에 해당된다. 해당자는 신분증과 더불어 작년 또는 재작년의 퀘벡 또는 캐나다 국세청의 세금 신고서, 퀘벡 또는 캐나다 정부에서 발행한 소득 증명 서류, 퀘벡주 노동부에서 발행한 저소득층 지원수당 서류, 캐나다 이민국에서 발행한 난민보호신청 서류, 캐나다에 난민으로 자격을 인정받았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 중 하나를 제시해야 한다.[62]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캐나다아동수당 영수증도 필요하다.[62]
위와 같은 서류를 지참하여 라시테-리므알루나 생트푸아-실르리-캅루지 구청에 방문하거나 퀘벡시 민원창구 주소로 우편을 보내면 퀘벡시에서 3주 안에 에퀴모빌리테 증명서를 우편으로 발송한다.[62] 이후 받은 증명서를 지참해 RTC 서비스 센터나 안내센터에 방문해서 증명사진을 찍고 현장에서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증명사진이 있다면 구청에서 신청할 때 같이 제시하면 집에서 OPUS 기명 카드를 우편으로 동시에 수령할 수 있다. STAC 승객의 경우에는 이미 에퀴모빌리테에 등록된 것으로 간주하기에 위와 같은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다.[62] 이 카드에는 1회권이나 1개월권만 충전이 가능하며 유효기간은 2년이다.[63]
2023년 7월 1일부터는 RTC 서비스센터에 방문하지 않아도 RTC 노마드 페망 앱을 통해 퀘벡시에서 발행한 에퀴모빌리테 증명서, 본인 사진과 신분증을 앱에 업로드할 시 72시간 내에 승인받을 수 있다.[63] 승객 유형 설정에 대한 승인 이메일을 받으면 할인된 1회권이나 1개월권 요금을 구매할 수 있다.[63]
퀘벡시는 2024년 7월 1일부터 에퀴모빌리테를 통해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승객들에게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하여 기존에 1회권 요금은 2달러 25센트에서 2달러로, 1개월권 요금은 63달러에서 50달러로 인하된다. 2023년 5월 1일 도입 이후로 8,400명이 넘는 승객들이 에퀴모빌리테 제도를 통해 할인 혜택을 받았다.[64]
=== 자동이체 ===
RTC를 연중 이용하는 근로자는 매달 할인된 1개월권 요금을 자동이체로 지불하는 라본느 뷔스(L'abonne BUS)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65] 라본느 뷔스는 단체할인 참여 여부에 따라 트라바이외르(Travailleur)와 페르소(Perso) 두 가지로 나뉜다. 라본느 뷔스 트라바이외르는 RTC에서 25%, 회사에서 10% 이상을 할인하여 최소 35%를 할인받으며, 커뮤노토 차량 30분 추가 요금 면제 및 플렉스 정기권 1개월 무료 이용 혜택이 주어진다. 12개월 이상 이용해야 하며, 본인 외 가족 등록 및 급여 차감 방식이다.[65] 단체할인 미참여 회사는 라본느 뷔스 페르소를 통해 RTC에서 25% 할인, 커뮤노토 플렉스 정기권 1개월 무료 이용 혜택을 받으며, 최소 3개월 이상 이용해야 한다.[66] 버스 요금은 신용카드나 계좌에서 매달 자동이체된다. 1개월권 요금은 RTC 또는 STLévis, 자크 카르티에 대중교통, PLU모빌 등 인접 지역 버스 이용이 가능한 메트로폴리탄 요금을 선택할 수 있다.[67]
=== 환승 ===
RTC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은 지불 수단에 상관없이 첫 버스 승차 후 90분 이내에 다음 버스로 무료 환승할 수 있다.[68] 현금 승차 승객은 첫 버스에 승차할 때 버스 기사에게 환승 티켓을 요구할 수 있으며, 90분 안에 다음 버스에 이 티켓을 집어넣으면 무료로 환승이 가능하다.[68] 오카시오넬과 OPUS 카드는 첫 버스 카드 단말기에 요금을 지불하고 90분 내에 두 번째 버스 단말기에 카드를 찍으면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68] RTC 노마드 페망 앱은 해당 요금을 활성화하면 90분 동안 유효하며, 다음 버스에 오를 때 기사에게 앱에 있는 요금 화면을 보여주면 무료로 환승할 수 있다.[68] 다만 티켓이 아닌 정기권을 구매한 경우 정기권이 유효한 이상 환승 시간에 별다른 제약은 없다.[68]
4. 1. 오카시오넬
오카시오넬 카드(Carte occasionnelle)는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지 않는 승객을 위한 카드로, 2회권, 4회권, 1일권 등 단기간 이용 요금이 충전되어 있다.[53] 아동, 청소년, 대학생, 노인 등 다양한 승객 유형으로 할인받을 수 있는 OPUS 카드나 RTC 노마드 페망과 달리 성인 요금만 결제할 수 있다.[53] 사용했던 요금을 다시 충전할 수 없고, 무기명 카드이기 때문에 분실하거나 도난당하면 교체할 수 없다.[53]오카시오넬 카드는 편의점이나 약국, 마트 등 RTC 요금을 판매하는 곳이나,[53] 퀘벡 장 르사주 국제공항 및 갈르리 드 라 카피탈 쇼핑몰에 비치된 자판기에서 구매할 수 있다.[54]
4. 2. OPUS 카드
OPUS 카드(오퓌스 카드, Carte OPUS프랑스어)는 2회권부터 1개월권까지 다양한 요금을 충전하는 방식으로, 유효기간은 승객 유형에 따라 4년에서 7년이다. 일반 OPUS 카드는 처음 구매할 때 무기명 카드로 발급되고 이후 RTC 홈페이지에서 이름과 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메일, 카드 번호 등을 입력하면 카드가 등록되어 분실이나 도난 시에도 충전된 요금을 회수할 수 있다.[53] 일반 무기명 카드는 RTC 안내센터, 서비스 센터뿐만 아니라 편의점, 약국, 마트 등 RTC 요금을 판매하는 모든 곳에서 6달러에 구매할 수 있으며, 충전도 가능하다. OPUS 카드에는 1일권과 주말권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요금을 충전할 수 있다.[55]만 18세 이하 아동 및 청소년과 만 19세 이상 대학생, 만 65세 이상 노인들은 버스 요금을 할인받기 위해 기명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데, 일반 무기명 카드와 다르게 카드 뒷면에 자신의 이름과 승객 유형, 증명사진이 포함되어 있다.
- 만 6세에서 11세 사이의 아동은 여권이나 의료보험증과 같은 신분증, 부모나 법정 대리인이 작성한 카드 신청서와 6달러의 수수료를 RTC 서비스 센터에 제시하여 증명사진을 찍고 현장에서 카드를 발급받으며, 카드의 유효기간은 7년이다.[56]
- 만 18세 이하 청소년은 퀘벡의 5개 고등학교와 6개 세젭(Cégep)에서는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15달러의 수수료로 기명 카드를 발급받거나, 자신이 작성한 카드 신청서와 여권, 운전면허증, 의료보험증과 같은 신분증과 15달러의 수수료를 RTC 서비스 센터에 제시하여 증명사진을 찍은 뒤 현장에서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카드의 유효기간은 4년 또는 만 19세까지이다.[57]
- 만 19세 이상 대학생은 세젭의 경우에는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15달러의 수수료를 지불하고 기명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고, 라발 대학교 학생의 경우에는 버스 요금이 등록금에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버스 요금이 포함된 기명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그 외 학교의 경우에는 RTC 안내센터에서 기명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기명 카드는 유효기간이 4년이지만 요금 할인 혜택을 받으려면 매년 학교 홈페이지나 안내센터 방문을 통해 재학 증명을 해야 한다.[58]
- 만 65세 이상 노인은 여권, 운전면허증, 의료보험증과 같은 신분증과 본인이 작성한 신청서 및 15달러의 수수료를 RTC 서비스 센터에 제시하여 증명사진을 찍고 카드를 현장에서 발급받으며, 카드의 유효기간은 7년이다.[59]
2024년 6월 19일부터 RTC OPUS 충전(RTC Recharge OPUS) 앱을 통해 OPUS 카드에 RTC 요금을 충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OPUS 카드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카드 판매처에 직접 방문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을 앱을 통해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60]
4. 3. RTC 노마드 페망
RTC에서 개발한 모바일 앱인 노마드 페망/Nomades paiement프랑스어 앱은 일반 요금뿐만 아니라 만 18세 이하 아동 및 청소년과 19세 이상 대학생, 만 65세 이상 노인 등 다양한 승객 유형을 설정하여 자신에게 맞는 요금을 앱에서 구매할 수 있다.[61] 노마드 페망 앱은 구글 플레이와 앱 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요금 구매는 비자나 마스터카드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할 수 있으며, 요금을 구매하거나 승차 직전에 해당 요금을 활성화할 때, 또는 다른 버스로 환승할 때 와이파이나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61]만 18세 이하 아동 및 청소년과 만 19세 이상 대학생, 만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노마드 앱에서 할인을 받으려면 본인의 증명사진과 앱에서 요구하는 증명서류를 올리면 고객센터에서 72시간 내에 승인받을 수 있고, 승객 유형 설정에 대한 승인 이메일을 받으면 승객 유형에 맞는 적절한 요금을 노마드 앱에서 구입할 수 있다. 다만 만 13세 이하 아동의 경우에는 부모님이나 법정 대리인의 동의를 받아 RTC 서비스 센터나 안내센터에서 승인을 받아야 앱에서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61]
노마드 페망에서 구매한 RTC 요금은 보조교통인 STAC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노마드 페망에서는 RTC 요금뿐만 아니라 STLévis 요금도 구매할 수 있으며, 카셰어링 업체인 커뮤노토와의 결합 요금제도 구매할 수 있다. 라발 대학교 학생들을 상대로 한 대학생 패스(laissez-passer universitaire, LPU)는 OPUS 카드로만 발급받을 수 있다.[61]
4. 4. 에퀴모빌리테
2023년 5월 1일부터 퀘벡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승객 및 보조교통인 STAC 승객을 상대로 1회권이나 1개월권 요금을 33% 할인해주는 에퀴모빌리테 (에퀴모빌리테/ÉquiMobilité프랑스어)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62] 에퀴모빌리테 제도는 저소득층의 경우 연 소득이 2022년 기준 1인 29,380달러에서 7인 이상 77,751달러 미만인 경우에 해당된다. 해당자는 신분증과 더불어 작년 또는 재작년의 퀘벡 또는 캐나다 국세청의 세금 신고서, 퀘벡 또는 캐나다 정부에서 발행한 소득 증명 서류, 퀘벡주 노동부에서 발행한 저소득층 지원수당 서류, 캐나다 이민국에서 발행한 난민보호신청 서류, 캐나다에 난민으로 자격을 인정받았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 중 하나를 제시해야 한다.[62]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캐나다아동수당 영수증도 필요하다.[62]위와 같은 서류를 지참하여 라시테-리므알루나 생트푸아-실르리-캅루지 구청에 방문하거나 퀘벡시 민원창구 주소로 우편을 보내면 퀘벡시에서 3주 안에 에퀴모빌리테 증명서를 우편으로 발송한다.[62] 이후 받은 증명서를 지참해 RTC 서비스 센터나 안내센터에 방문해서 증명사진을 찍고 현장에서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증명사진이 있다면 구청에서 신청할 때 같이 제시하면 집에서 OPUS 기명 카드를 우편으로 동시에 수령할 수 있다. STAC 승객의 경우에는 이미 에퀴모빌리테에 등록된 것으로 간주하기에 위와 같은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다.[62] 이 카드에는 1회권이나 1개월권만 충전이 가능하며 유효기간은 2년이다.[63]
2023년 7월 1일부터는 RTC 서비스센터에 방문하지 않아도 RTC 노마드 페망 앱을 통해 퀘벡시에서 발행한 에퀴모빌리테 증명서, 본인 사진과 신분증을 앱에 업로드할 시 72시간 내에 승인받을 수 있다.[63] 승객 유형 설정에 대한 승인 이메일을 받으면 할인된 1회권이나 1개월권 요금을 구매할 수 있다.[63]
퀘벡시는 2024년 7월 1일부터 에퀴모빌리테를 통해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승객들에게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하여 기존에 1회권 요금은 2달러 25센트에서 2달러로, 1개월권 요금은 63달러에서 50달러로 인하된다. 2023년 5월 1일 도입 이후로 8,400명이 넘는 승객들이 에퀴모빌리테 제도를 통해 할인 혜택을 받았다.[64]
4. 5. 자동이체
RTC를 연중 이용하는 근로자는 매달 할인된 1개월권 요금을 자동이체로 지불하는 라본느 뷔스(L'abonne BUS)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65] 라본느 뷔스는 단체할인 참여 여부에 따라 트라바이외르(Travailleur)와 페르소(Perso) 두 가지로 나뉜다. 라본느 뷔스 트라바이외르는 RTC에서 25%, 회사에서 10% 이상을 할인하여 최소 35%를 할인받으며, 커뮤노토 차량 30분 추가 요금 면제 및 플렉스 정기권 1개월 무료 이용 혜택이 주어진다. 12개월 이상 이용해야 하며, 본인 외 가족 등록 및 급여 차감 방식이다.[65] 단체할인 미참여 회사는 라본느 뷔스 페르소를 통해 RTC에서 25% 할인, 커뮤노토 플렉스 정기권 1개월 무료 이용 혜택을 받으며, 최소 3개월 이상 이용해야 한다.[66] 버스 요금은 신용카드나 계좌에서 매달 자동이체된다. 1개월권 요금은 RTC 또는 STLévis, 자크 카르티에 대중교통, PLU모빌 등 인접 지역 버스 이용이 가능한 메트로폴리탄 요금을 선택할 수 있다.[67]4. 6. 환승
RTC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은 지불 수단에 상관없이 첫 버스 승차 후 90분 이내에 다음 버스로 무료 환승할 수 있다.[68] 현금 승차 승객은 첫 버스에 승차할 때 버스 기사에게 환승 티켓을 요구할 수 있으며, 90분 안에 다음 버스에 이 티켓을 집어넣으면 무료로 환승이 가능하다.[68] 오카시오넬과 OPUS 카드는 첫 버스 카드 단말기에 요금을 지불하고 90분 내에 두 번째 버스 단말기에 카드를 찍으면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68] RTC 노마드 페망 앱은 해당 요금을 활성화하면 90분 동안 유효하며, 다음 버스에 오를 때 기사에게 앱에 있는 요금 화면을 보여주면 무료로 환승할 수 있다.[68] 다만 티켓이 아닌 정기권을 구매한 경우 정기권이 유효한 이상 환승 시간에 별다른 제약은 없다.[68]5. 차량 및 시설
RTC의 시내버스 차량은 일반 버스, 굴절버스, 미디뷔스로 나뉜다. 모든 일반 버스와 굴절버스는 퀘벡주 생퇴스타슈에 있는 노바버스가 제작하였고, 중소형 버스인 미디뷔스는 벨기에 반호르가 RTC를 위해 특수 제작하였다.[69]
일반 버스는 2006년부터 2013년 사이에 도입된 노바버스의 저상 시리즈(LFS) 디젤 버스와, 2010년에 처음 도입되어 2015년부터 2021년 사이에 도입된 일반 하이브리드 버스인 노바버스의 LFS HEV 기종이 있다. 굴절버스는 2009년부터 2012년 사이에 도입된 노바버스의 LFS 알틱(Artic) 디젤 버스와, 2016년에 도입된 노바버스의 LFS 알틱 HEV 기종이 있다.[69]
퀘벡 수도권 교통망은 일반 버스를 투입하기 어려운 구간을 위해 2016년 벨기에 버스 업체인 반호르에 미디뷔스 제작을 발주하였다.[70] 2019년에 도입된 미디뷔스는 주로 외곽 지역이나 좁은 도로를 달리는 노선에 투입되고 있다.[71]
2022년 10월, RTC는 노바버스와 함께 첫 전기버스 기종인 LFSe+ 기종을 선보였다. 2023년부터 3년 간의 시범 운행을 거쳐 2026년에 전기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72]
운행 차량
- 노바 LFS HEV (2010, 2015-2021)
- 노바 LFS 아틱 (2009-2012)
- 노바 LFS 아틱 HEV (2016, 2022-2023)
- 노바 LFS (2006-2013)
- 반 훌(Van Hool) A330K (2019)
5. 1. 차량
RTC의 시내버스 차량은 일반 버스, 굴절버스, 미디뷔스로 나뉜다. 모든 일반 버스와 굴절버스는 퀘벡주 생퇴스타슈에 있는 노바버스가 제작하였고, 중소형 버스인 미디뷔스는 벨기에 반호르가 RTC를 위해 특수 제작하였다.[69]일반 버스는 2006년부터 2013년 사이에 도입된 노바버스의 저상 시리즈(LFS) 디젤 버스와, 2010년에 처음 도입되어 2015년부터 2021년 사이에 도입된 일반 하이브리드 버스인 노바버스의 LFS HEV 기종이 있다. 굴절버스는 2009년부터 2012년 사이에 도입된 노바버스의 LFS 알틱(Artic) 디젤 버스와, 2016년에 도입된 노바버스의 LFS 알틱 HEV 기종이 있다.[69]
퀘벡 수도권 교통망은 일반 버스를 투입하기 어려운 구간을 위해 2016년 벨기에 버스 업체인 반호르에 미디뷔스 제작을 발주하였다.[70] 2019년에 도입된 미디뷔스는 주로 외곽 지역이나 좁은 도로를 달리는 노선에 투입되고 있다.[71]
2022년 10월, RTC는 노바버스와 함께 첫 전기버스 기종인 LFSe+ 기종을 선보였다. 2023년부터 3년 간의 시범 운행을 거쳐 2026년에 전기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72]
운행 차량
- 노바 LFS HEV (2010, 2015-2021)
- 노바 LFS 아틱 (2009-2012)
- 노바 LFS 아틱 HEV (2016, 2022-2023)
- 노바 LFS (2006-2013)
- 반 훌(Van Hool) A330K (2019)
5. 2. 터미널 및 주요 환승 지점
퀘벡 수도권 교통망(RTC)에는 다양한 시내버스가 시종착하는 터미널과, 터미널에 준하는 시설은 없지만 버스 환승이 가능한 주요 환승 지점이 있다.[73]
주요 터미널은 다음과 같다.[73]
터미널 명칭 | 위치 | 버스 노선 목록 | |
---|---|---|---|
갈르리 드 라 카피탈 | Terminus Galeries de la Capitale | 5300, boulevard des Galeries | 61, 64, 70, 75, 82, 85, 185, 332, 803, 982 |
듀빌 광장 | Terminus Place-d'Youville | 700, place d'Youville | 3, 11, 25, 28, 54, 65, 86, 107, 133, 136, 214, 215, 230, 236, 238, 239, 250, 251, 253, 254, 255, 257, 258, 272, 273, 274, 277, 279, 280, 281, 282, 283, 284, 249, 290, 292, 294, 800, 801, 807, 907, 915, 925, 931, 936, 950, 954, 972, 980, 982, 984, 992 |
드 라 폰 | Terminus de la Faune | 9350, rue de la Faune | 31, 32, 33, 34, 39, 81, 133, 230, 239, 331, 337, 537, 801, 931 |
드 마를리 | Terminus de Marly | 3800, rue de Marly | 14, 15, 25, 107, 331, 354, 391, 800, 801, 807, 907, 915 |
라 시망트리 | Terminus La Cimenterie | avenue Royale(40번 고속도로 근처) | 250, 350, 550, 800, 950 |
레 수 | Terminus Les Saules | 4040, rue Michelet(마송 / 미슐레) | 22, 74, 77, 79, 80, 81, 84, 84G, 86, 88, 92A, 280, 290, 391, 580, 803, 804, 904, 980, 984 |
몽모랑시 계곡 | Terminus Chute-Montmorency | avenue Royale | 59, 250, 350, 550, 800 |
보포르 | Terminus Beauport | 2905, chemin Royal(루아얄 / 데스티모빌) | 51, 52, 53, 54, 55, 56, 57, 58, 250, 258, 350, 354, 550, 800, 802, 803, 950, 954 |
샤를부르 | Terminus Charlebourg | 7960, boulevard Henri-Bourassa(앙리 부라사 / 루이 카토르즈) | 3, 36, 39, 52, 59, 72, 82A, 92A, 133, 136, 330, 331, 530, 801, 931, 936, 972 |
엑스포시테 | Terminus ExpoCité | 250, boulevard Wilfrid-Hamel(상트르 비데오트롱) | 405, 410, 430, 450 |
팔레역 | Terminus Gare du Palais | 330, rue de la Gare-du Palais(팔레역) | 18, 25, 107, 400, 214, 215, 283 |
피두즈 | Terminus Pie-XII | 924, boulevard Pie-XII(데 카트르부르주아 / 피두즈) | 11, 13, 331, 354, 391, 800, 801, 915 |
주요 환승 지점은 다음과 같다.[73]
환승 지점 | 버스 노선 목록 | |
---|---|---|
1번가 / 18번가 | 1re Avenue / 18e Rue | 3, 4, 801, 802, 931 |
41번가 / 1번가 | 41e Rue / 1re Avenue | 3, 39, 61, 330, 331, 530, 801, 803, 931 |
벨베데르 | Avenue Belvédère | 1, 25, 79, 107, 185, 214, 283, 292, 294, 800, 801, 802, 807, 907, 915, 932, 992 |
드 레글리즈 / 데 카트르부르주아 | de l'Église / des Quatre-Bourgeois | 13, 13A, 22, 76, 88, 93, 331, 354, 800, 801, 915, 931 |
퀘벡 대극장 | Grand Théâtre | 3, 11, 19, 25, 28, 65, 86, 107, 136, 214, 215, 230, 236, 238, 239, 250, 251, 253, 254, 255, 257, 258, 272, 273, 274, 277, 279, 280, 281, 282, 283, 284, 289, 292, 294, 800, 801, 915, 925, 931, 992 |
로리에 퀘벡 & 라발대학병원 | Laurier Québec & CHUL | 11, 13, 16, 22, 70, 75, 92, 93, 94, 292, 294, 315, 332, 530, 536, 537, 538, 550, 554, 555, 558, 572, 574, 577, 580, 581, 582, 584, 800, 801, 804, 904, 915, 931, 992 |
자크 카르티에 광장 | Place-Jacques-Cartier | 1, 3, 4, 9, 18, 28, 29, 36, 64, 65, 74, 80, 82, 84, 85, 86, 230, 239, 272, 273, 274, 277, 279, 280, 281, 282, 284, 289, 292, 294, 800, 801, 931, 936, 950, 972, 980, 982, 984 |
베네바 | Beneva | 11, 13, 16, 70, 75, 92, 93, 94, 332, 530, 536, 537, 538, 550, 554, 555, 558, 572, 574, 577, 580, 581, 582, 584, 800, 801, 804, 904, 931 |
라발 대학교 | Université Laval | 11, 13, 16, 18, 22, 79, 88, 92, 93, 94, 185, 292, 294, 315, 330, 336, 337, 338, 344, 350, 355, 358, 372, 374, 377, 380, 381, 382, 384, 800, 801, 804, 807, 904, 907, 915, 931, 992 |
윌프리드 카롱 / 라신 | Wilfrid-Caron / Racine | 70, 72, 75, 84, 272, 273, 290, 384, 584, 804, 972 |
5. 3. 본부, 차고지, 사무실
퀘벡 수도권 교통망(RTC) 본부는 르부르뇌프의 뤼 데 로카이유에 있으며, 1979년에 퀘벡도시공동체교통위원회(CTCUQ) 본부로 지어진 뒤 오늘날에도 RTC 본부로 쓰이고 있다. 2024년 12월 보고서에 따르면 르부르뇌프 본부는 황철석 산화로 콘크리트 문제가 발생하여 2025년 봄부터 8천만 달러를 들여 철거 및 재건축이 진행되며, 2028년 여름 완공 예정이다.[74]RTC의 모든 차량은 두 차고지에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본부에 위치한 르부르뇌프 차고지에는 일반 버스와 미디뷔스가 있으며, 퀘벡 북서쪽 뇌프샤텔의 아르망 비오 공업단지에 위치한 차고지에서는 메트로뷔스에 투입되는 노바 LFS 알틱 굴절버스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이 이루어진다.[75]
2020년, RTC는 전기버스 유지·보수 전용 차고지인 뉴턴 차고지 신설을 발표하였다. 사이먼스의 물류창고로 쓰였던 부지에 건설될 예정이며, 2023년 6월 기준 2027년 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76]
이 외에도 생사크르망의 아브뉘 어네스트 가뇽에는 안내센터, 분실물 센터, 통합이동지원서비스(SAMI)가 위치해있다. SAMI는 대중교통 이용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평일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 토요일 정오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하고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이다.[77]
6. 조직 구조
퀘벡의 대중교통 거버넌스는 정치와 운영 분야로 나뉜다. 정치 분야에서는 주 정부와 시 정부가 협의하여 대중교통 계획을 수립하고 기반 시설을 건설한다. 운영 분야는 퀘벡시 산하기관인 퀘벡 수도권 교통망(RTC)이 담당하며, 세인트로렌스강 남쪽 레비 지역은 레비교통공사 (STLévis)가 담당한다.[78] 몬트리올이나 토론토와 달리 광역교통 계획을 수립하는 별도 기관이 없어, 주요 사업 추진 시 퀘벡시와 주 정부 간의 협의가 중요하다.[78]
RTC 이사회는 시의회에서 위촉하는 12인으로 구성되며, 7명의 시의원, 2명의 외부 인사, 3명의 RTC와 STAC 승객 대표 퀘벡시 주민으로 구성된다.[79] 이사회는 RTC의 기능과 권한을 행사하고 주요 지침을 결정하며, 전략기획, 예산, 노선 및 요금 등을 결정한다.[79] 이사회 산하에는 기술위원회가 있으며, 감사, 거버넌스, 자산, 인적자원, 고객접근위원회가 있다.[79]
RTC는 사장 아래 관리, 기업 업무 및 사무국, 운영, 기술, 주요 사업, 네트워크 개발, 고객 경험 및 커뮤니케이션 담당 전무 및 수석이사 등 여섯 명의 전무 및 수석이사가 있다.[79]
주요 대중교통 사업 추진 시 퀘벡시와 주 정부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기도 한다. 주 정부는 공사 비용 지원 조건으로 노선 연장, 선로와 차도 분리 등을 요구하며 사업에 개입한다.[78] 이에 따라, 정치적 영향을 덜 받는 독립 기관인 광역교통기관 설립이 권장되기도 하였다.[78]
7. 승차량
퀘벡 교통기관의 2023년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에는 연간 승차량이 2,820만 회로 집계되었고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의 83% 수준이었다. 코로나19에 대한 방역조치가 점차 해제되고 이에 따라 많은 학교들이 기존의 화상 수업에서 대면 수업으로 전환하면서 승차량도 점차 코로나 이전 수치로 회복되고 있는 편이다.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는 승차량이 2,300만 회로 2019년의 93% 수준까지 올라갔다.[80]
특히 2022년 12월에는 승차량이 212만 회로 집계되어 코로나 이전인 2019년 12월의 82.5% 수준까지 회복되었다.[79]
퀘벡의 공영 전기자전거인 아벨로/àVélo프랑스어 또한 2023년 5월부터 10월 중순까지 이용객 수가 55만 3천 회를 달성해 2022년에 비해 세 배로 늘어난 수치이다.[47][83]
퀘벡에 트램이 지어지면 대중교통 승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RTC가 2022년 6월에 발행한 보고서에 따르면 개통 첫 해부터 RTC와 STLévis의 승차량이 30% 증가하고, 연간 승차량이 1,040만 회 증가하여 총 4,510만 회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기존에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만원인 굴절버스로 시내 도로가 정체되는 것을 해결할뿐 아니라 퀘벡의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을 기존 8.1%에서 10.6%로 늘릴 것으로 보인다.[84]
8. 사건사고
8. 1. 노사분쟁 및 파업
RTC 설립 이후 여러 차례 노사분쟁과 파업이 발생하였다.[85][86][87][88][89][90][91][92][93][94][95][96][97][98][99] 1971년 6월 28일부터 7월 23일까지 버스기사 및 정비공 파업으로 버스 운행이 중단되었다.[85] 1974년 3월 9일부터 4월 28일까지, 1976년 4월 14일, 1977년 3월 17일부터 3월 18일까지 버스기사 파업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86][87][89] 1976년 7월 8일부터 8월 17일까지는 사무직 및 정비공 파업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88] 1979년 1월 29일부터 10월 6일까지는 버스기사 파업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90]1980년에는 11월 11일, 12월 31일부터 이듬해 1월 6일까지 보조교통 운전기사 파업으로 운행이 중단되었고,[91][92] 1981년 12월 16일부터 1982년 3월 25일까지는 보조교통 운전기사 파업에도 불구하고 정상 운행되었다.[93] 1982년 10월 23일부터 11월 7일까지는 버스기사 파업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94] 1994년 10월 29일부터 1995년 1월 29일까지 버스기사 파업으로 필수 노선만 운행되었다.[95] 1999년 1월 7일에는 버스기사 파업으로 3시간 동안 운행이 중단되었다.[96] 2000년 4월 4일부터 12월 18일까지는 정비공 파업으로 운행이 축소되었다.[97] 2004년 10월 23일부터 11월 2일까지 버스기사 파업으로 10월 23일부터 24일까지 운행이 전면 중단되고 11월 2일까지 필수 노선만 운행되었다.[98] 2023년 7월 1일부터 7월 5일까지는 버스기사 파업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99]
8. 2. 사고
시내버스는 퀘벡 시내 곳곳을 운행하는 안전한 교통수단이지만 도로 상황에 따라 퀘벡 수도권 교통망(RTC) 또한 교통사고에서 예외일 수는 없다.[100][101][102][103][104] 근래에 일어난 RTC와 관련된 주요 사고는 다음과 같다.- 2015년 12월 1일, 생사크르망에서 60대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다 RTC 버스에 치여 중상을 입었다.[100]
- 2020년 6월 9일, 생사크르망에서 70대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다 RTC 버스에 치여 중상을 입었다.[101]
- 2020년 11월 14일, 더퍼린 몽모랑시 고속도로에서 역주행하던 60대 운전자가 RTC 버스를 들이받아 버스 운전자와 60대 차량 운전자가 병원에 이송되었고 이후 60대 운전자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102]
- 2021년 9월 5일, 뇌프샤텔에서 보행자가 RTC 버스에 치여 부상당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103]
- 2022년 2월 17일, 생트푸아에서 빙판길에 15세 소녀가 버스에 치여 눈더미와 버스 사이에 끼이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브루노 마르샹 퀘벡 시장은 빙판길에는 도로 상황이 좋지 않으니 천천히 살펴서 다닐 것을 당부하였다.[104]
- 2023년 6월 11일, 아벨로 전기자전거를 타던 한 남성이 퀘벡 대극장 근처에서 떨어져 사망하였다. RTC는 전기자전거를 이용할 때에는 헬멧을 착용하고 안전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105]
9. 트램
1972년부터 퀘벡에 기존의 버스보다 더 빠른 새로운 도시철도 노선을 짓고자 하는 계획이 추진되었으며, BRT, 지하철, 경전철 등 다양한 교통수단이 논의되었다.[106] 2003년 3월에 완료된 연구에 따르면, 경전철 운송 서비스 도입이 해당 지역 전체에 걸쳐 실행 가능하다고 결론지었다.[8] 2017년 12월, 레지스 라봄 퀘벡 시장은 이 교통수단을 트램으로 가닥잡았고,[106] 2018년 3월에는 필립 쿠이야르 퀘벡 주지사와 연방 정부가 30억 달러 규모의 퀘벡 시티 트램웨이를 포함한 트램과 이를 뒷받침할 트램버스 BRT 사업을 발표하였다.[107][8] 2018년에 발표된 노선은 샤를부르에서 퀘벡 주의회를 지나 캅루지까지 지나는 트램 노선으로, 시내 3.5km 구간은 지하로 운행할 예정이었다.[108] 트램은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3분에서 5분 간격으로, 평시와 주말에는 10분에서 15분 간격으로 운행할 예정이었다.[108]
트램 건설에 대한 찬반 논쟁이 뜨거운 가운데 2020년 6월, 트램버스 BRT 사업은 트램 건설 비용이 불어나면서 결국 백지화되었다.[109] 2020년 7월 6일부터 11월 5일까지 퀘벡 환경공청국에서 트램 사업에 대한 공청회를 진행하였고, 공청국은 트램이 대중교통의 질을 향상하는 것은 사실이나 퀘벡 광역권에서 시내로 진입하는 교통 흐름을 봤을 때 이 트램 노선이 최선책이라고 볼 수는 없다며 기존 사업을 일부 수정할 것을 권고하였다.[110]
2020년 말에 들어서서 트램 사업을 두고 주 정부에서는 이 노선이 교외 지역까지 제대로 이어지지 않는다며 주와 시 정부 간의 갈등이 고조되었다.[111] 퀘벡주와 시 사이의 줄다리기는 2021년 3월 17일에 동부 종점을 기존 샤를부르에서 보포르의 데스티모빌로 변경하면서 일단락되었다.[112]
퀘벡 트램에 대한 제안요청서는 2021년 4월 30일에 발행되었다. 하지만 발행 몇 달 전에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이 프랑스의 다국적 기업인 알스톰으로 인수되면서 경쟁입찰 여건이 충족되지 않았고, 제안요청서에 응답한 기업은 단 한 곳에 불과하였다.[113] 이에 따라 2021년 6월, 퀘벡시는 제안요청서를 전동차 부문과 건설 부문으로 나누어 발행하였다.[114] 2021년 11월에 치러진 지방선거로 브루노 마르샹 시장이 새로 취임하였고 주 정부와 퀘벡시 사이의 정치적 논쟁 끝에 2022년 4월 중순에 전동차 부문 제안요청서가 발행되었다.[115]
전동차 업체 선정 과정에서 독일의 지멘스와 프랑스의 알스톰이 입찰하였다. 지멘스는 집전장치와 동시에 일부 구간에 배터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기술을 제안하였고,[116] 이는 제안요청서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이에 따라 2022년 12월에 입찰을 철회하였다.[117] 2023년 2월 23일, 퀘벡시는 전동차 업체로 프랑스의 알스톰을 선정하였고, 알스톰은 전동차 설계와 생산을 각각 퀘벡주의 생브루노드몽타르빌과 라포카티에르에서 하기로 약속하였다.[118] 2023년 4월 24일, 전동차 계약이 체결되어 제작 비용으로 5억 6,900만 달러, 30년 간 유지 보수 비용으로 7억 6,800만 달러를 지불할 예정이었다.[119] 2019년부터 오늘날까지 부지 매입, 굴착 및 문화재 조사 작업 등 사전 공사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120]
2023년 11월, 최대 예산 120억 달러 규모의 트램 노선을 짓고자 하는 시공사가 한 곳도 없었기 때문에 퀘벡시가 대신 84억 달러에 노선을 지으려고 하였으나,[121][122] 퀘벡주 정부가 이를 거절하면서 2023년 11월 8일에 트램 사업을 대신 전두지휘하게 되었다. 주 정부는 몬트리올 광역급행철도를 건설한 CDPQ 인프라를 통해 퀘벡시에 광역급행철도 (REM), 지하철,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또는 트램 중에 적합한 교통수단이 무엇인지 타당성 조사를 의뢰하였다.[123] 2024년 6월 12일, CDPQ는 타당성 조사에서 향후 15년 동안 154억 8천만 달러 규모의 퀘벡시 광역교통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여기에는 1단계 계획으로 르장드르에서 샤를부르까지 트램을 짓고, 이와 동시에 불바르 샤레(Boulevard Charest)와 생트푸아-레비 간 BRT를 제안하였다. 2단계로는 생로크에서 데스티모빌까지, 샤를부르에서 르부르뇌프까지 트램을 연장하고, 3단계는 생로크에서 레비 시내까지 이어지는 트램을 하저터널을 통해 세인트로렌스강을 지나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124]
10. 비판
매일 퀘벡시 일대의 수만 명의 승객이 이용하는 교통기관인 퀘벡 수도권 교통망은 정시성, 노사분쟁, 트램 건설 논쟁 등 각종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RTC에 제기된 주요 비판 현안은 다음과 같다.
RTC 승객은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버스 편이 여러 편 취소되어 다음 버스를 타기 위해 10분에서 40분 동안 기다려야 하는 등 버스 이용에 불편을 토로하였다. 몇몇 승객은 버스를 타기 위해 버스 정류장에 갔는데 버스가 오지 않자 앱으로 확인하는데 해당 버스 운행이 취소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경우가 여러 차례 발생하기도 하였다.[125] 2022년 9월, RTC는 운전사와 정비공 부족으로 전체 버스 편의 1%에 달하는 4,100편의 운행을 취소하였다. 또한 2009년에 개장한 메트로뷔스 차고지 시설이 겨울 실정에 맞지 않게 지어져 염화칼슘과 얼음, 누수 등으로 기중기 등 일부 장비 사용이 안전 상의 이유로 중단되었다.[126] 브루노 마르샹 시장은 이에 대해 대중교통 승객이 불편을 겪는 점에 대해 십분 이해하며 버스 운행이 중단되거나 지연되는 사례에 대해 인력을 충원하고 시설을 정비하는 등 적절한 대책을 찾아보겠다고 밝혔다.[127]
2022년 12월부터 퀘벡 수도권 교통망의 버스기사들은 임금 인상과 근로환경 개선을 두고 고용주인 퀘벡시와 노사분쟁으로 이어졌다.[128] 퀘벡시는 대중교통 파업 시 시민 불편을 고려해 퀘벡 수도권 교통망을 필수사업장으로 지정하여 시내버스 전면 파업을 막고자 했다. 퀘벡주의 몬트리올, 라발, 롱괴유 등 다른 주요 도시는 대중교통이 중요하여 파업 시 필수 서비스를 유지해야 한다는 판례가 있었다.[129] 하지만 2023년 6월, 퀘벡 노동행정법원은 버스 파업으로 인한 교통량 증가가 구급차 출동 시간을 늘려 시민 건강이나 안전을 해친다고 볼 수 없다며 RTC를 필수사업장으로 지정할 수 없다고 판결하였다.[130] 퀘벡 수도권 교통망은 이에 대해 대중교통은 사회가 제대로 돌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필수사업이라며 법원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130]
RTC 버스기사들은 이 판결에 따라 2023년 7월 1일부터 5일까지 닷새 동안 파업을 진행하였고, 이후 노사는 협상을 통해 버스기사 연봉을 5년에 걸쳐 18% 인상하고, 플렉시뷔스 운전기사를 직영화하는 데 합의하였다.[132]
퀘벡시가 2010년에 트램 건설 계획을 처음으로 발표한 뒤 여러가지 이유로 지역 주민과 단체들의 트램 건설에 대한 반대가 이어졌다.[133]
첫째로, 트램 공사 비용이 계속 증가하여 2023년 현재 40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사업 자체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었다.[134] 2010년 6월 레지스 라봄 퀘벡 시장이 처음 사업을 발표했을 때 건설 예산은 15억 달러로 추산되었으나,[133] 2018년 3월 사업이 재추진되었을 때는 29억 달러로 증가했다.[108] 브루노 마르샹 퀘벡 시장은 인플레이션과 수급 사정을 예산 증가의 이유로 들었지만, 정부 예산에는 한계가 있다고 강조하였다.[135]
둘째로, 현재 퀘벡 트램 계획안이 외곽 지역의 교통난을 해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36] 트램과 병행 운행 예정이었던 트램버스가 메트로버스로 대체되면서, 퀘벡주 정부는 외곽 지역 주민들이 겪을 불편을 우려했다.[136] 그러나 CAQ 정부는 우선 도시의 중추가 되는 노선을 짓고 이후 외곽 지역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반박하였다.[137]
셋째로, 트램이 눈이 많이 오고 빙판길이 잦은 퀘벡의 겨울철 날씨에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138] 퀘벡시는 선로를 통해 트램이 계속 운행되므로 운행 중단은 없을 것이며, 특수 제설차량 투입 및 선로변경장치 난방 설비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139] 또한 1950년대 말까지 퀘벡에 전차가 다녔던 경험[140]과 알스톰의 오타와의 오트레인과 같은 문제 방지를 위한 견고한 차량 제조 약속[141]을 들어 겨울철 운행 가능성을 강조했다.
넷째로, 트램 공사로 인한 벌목 문제와 관련하여, 100년 넘는 고목을 포함한 나무 1,584그루가 베어질 예정[143]이라는 점이 자연 경관 보전을 해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42] 브루노 마르샹 시장은 벌목된 나무 한 그루당 스무 그루의 나무를 새로 심고,[144] 사유지 나무는 소유주들과 협의하여 대체 수단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145]
2023년 10월 여론조사에서 퀘벡시 주민의 54%가 트램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6% 하락한 수치이다.[146] 트램 찬성 단체 '퀘벡은 트램을 원한다'는 건설 과정의 불편함으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으로, 장기적인 관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반대 단체 '퀘벡은 더 나아질 가치가 있다'는 트램 운행의 부정적인 영향을 경고했다.[147]
10. 1. 정시성
RTC 승객은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버스 편이 여러 편 취소되어 다음 버스를 타기 위해 10분에서 40분 동안 기다려야 하는 등 버스 이용에 불편을 토로하였다. 몇몇 승객은 버스를 타기 위해 버스 정류장에 갔는데 버스가 오지 않자 앱으로 확인하는데 해당 버스 운행이 취소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경우가 여러 차례 발생하기도 하였다.[125] 2022년 9월, RTC는 운전사와 정비공 부족으로 전체 버스 편의 1%에 달하는 4,100편의 운행을 취소하였다. 또한 2009년에 개장한 메트로뷔스 차고지 시설이 겨울 실정에 맞지 않게 지어져 염화칼슘과 얼음, 누수 등으로 기중기 등 일부 장비 사용이 안전 상의 이유로 중단되었다.[126] 마르샹 시장은 이에 대해 대중교통 승객이 불편을 겪는 점에 대해 십분 이해하며 버스 운행이 중단되거나 지연되는 사례에 대해 인력을 충원하고 시설을 정비하는 등 적절한 대책을 찾아보겠다고 밝혔다.[127]10. 2. 필수사업장
2022년 12월부터 퀘벡 수도권 교통망의 버스기사들은 임금 인상과 근로환경 개선을 두고 고용주인 퀘벡시와 노사분쟁으로 이어졌다.[128] 퀘벡시는 대중교통 파업 시 시민 불편을 고려해 퀘벡 수도권 교통망을 필수사업장으로 지정하여 시내버스 전면 파업을 막고자 했다. 퀘벡주의 몬트리올, 라발, 롱괴유 등 다른 주요 도시는 대중교통이 중요하여 파업 시 필수 서비스를 유지해야 한다는 판례가 있었다.[129] 하지만 2023년 6월, 퀘벡 노동행정법원은 버스 파업으로 인한 교통량 증가가 구급차 출동 시간을 늘려 시민 건강이나 안전을 해친다고 볼 수 없다며 RTC를 필수사업장으로 지정할 수 없다고 판결하였다.[130] 퀘벡 수도권 교통망은 이에 대해 대중교통은 사회가 제대로 돌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필수사업이라며 법원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130]RTC 버스기사들은 이 판결에 따라 2023년 7월 1일부터 5일까지 닷새 동안 파업을 진행하였고, 이후 노사는 협상을 통해 버스기사 연봉을 5년에 걸쳐 18% 인상하고, 플렉시뷔스 운전기사를 직영화하는 데 합의하였다.[132]
10. 3. 트램 건설에 대한 비판
퀘벡시가 2010년에 트램 건설 계획을 처음으로 발표한 뒤 여러가지 이유로 지역 주민과 단체들의 트램 건설에 대한 반대가 이어졌다.[133]첫째로, 트램 공사 비용이 계속 증가하여 2023년 현재 40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사업 자체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었다.[134] 2010년 6월 레지스 라봄 퀘벡 시장이 처음 사업을 발표했을 때 건설 예산은 15억 달러로 추산되었으나,[133] 2018년 3월 사업이 재추진되었을 때는 29억 달러로 증가했다.[108] 브루노 마르샹 퀘벡 시장은 인플레이션과 수급 사정을 예산 증가의 이유로 들었지만, 정부 예산에는 한계가 있다고 강조하였다.[135]
둘째로, 현재 퀘벡 트램 계획안이 외곽 지역의 교통난을 해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36] 트램과 병행 운행 예정이었던 트램버스가 메트로버스로 대체되면서, 퀘벡주 정부는 외곽 지역 주민들이 겪을 불편을 우려했다.[136] 그러나 CAQ 정부는 우선 도시의 중추가 되는 노선을 짓고 이후 외곽 지역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반박하였다.[137]
셋째로, 트램이 눈이 많이 오고 빙판길이 잦은 퀘벡의 겨울철 날씨에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138] 퀘벡시는 선로를 통해 트램이 계속 운행되므로 운행 중단은 없을 것이며, 특수 제설차량 투입 및 선로변경장치 난방 설비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139] 또한 1950년대 말까지 퀘벡에 전차가 다녔던 경험[140]과 알스톰의 오타와 오트레인과 같은 문제 방지를 위한 견고한 차량 제조 약속[141]을 들어 겨울철 운행 가능성을 강조했다.
넷째로, 트램 공사로 인한 벌목 문제와 관련하여, 100년 넘는 고목을 포함한 나무 1,584그루가 베어질 예정[143]이라는 점이 자연 경관 보전을 해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42] 마르샹 시장은 벌목된 나무 한 그루당 스무 그루의 나무를 새로 심고,[144] 사유지 나무는 소유주들과 협의하여 대체 수단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145]
2023년 10월 여론조사에서 퀘벡시 주민의 54%가 트램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6% 하락한 수치이다.[146] 트램 찬성 단체 '퀘벡은 트램을 원한다'는 건설 과정의 불편함으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으로, 장기적인 관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반대 단체 '퀘벡은 더 나아질 가치가 있다'는 트램 운행의 부정적인 영향을 경고했다.[147]
참조
[1]
웹사이트
About RTC
https://www.rtcquebe[...]
[2]
웹사이트
Ville de Québec - Tramways
https://archive.wiki[...]
2024-01-09
[3]
웹사이트
RTC - Historique
https://archive.wiki[...]
2024-01-09
[4]
웹사이트
La fin pour les Écolobus - Actualités - Québec Hebdo
http://www.quebecheb[...]
2016-03-04
[5]
웹사이트
RTC - Quoi de neuf?
https://archive.wiki[...]
2024-01-09
[6]
뉴스
RTC : deux nouveaux parcours Métrobus à Québec
http://www.sympatico[...]
2017-03-22
[7]
웹사이트
Réseau de transport de la Capitale
https://www.rtcquebe[...]
2024-01-09
[8]
뉴스
Quebec City unveils plans for $3-billion tramway network, wants feds and province to pay
https://www.cbc.ca/n[...]
CBC News
2018-03-16
[9]
웹사이트
Le Tramway De Québec
https://reseaustruct[...]
2020-01-10
[10]
웹인용
Quebec Railway Light & Power Co. 1862 à 1894 (début)
https://www.histoire[...]
퀘벡버스역사학회
2011-09-19
[11]
웹인용
Once Upon a Tram: Bienvenue à Bord the Quebec Street Railway
https://skyrisecitie[...]
Adrian Gamble
2016-07-22
[12]
웹인용
1865, les débuts du transport en commun à Québec
https://www.subverci[...]
Réjean Lemoine
2013-12-30
[13]
웹인용
Les débuts du tramway
http://michelap.ca/T[...]
Michel A. P.
2023-10-01
[14]
웹인용
L’histoire de l’Îlot Irving
https://bourdonmedia[...]
Pascaline Lamare
2017-11-27
[15]
웹인용
Le tramway électrique de Québec, 1897-1948
http://histoiresocie[...]
Luc Nicole-Labrie
2009-10-20
[16]
웹인용
All-Time List of Canadian Transit Systems: Québec, Québec
https://home.cc.uman[...]
매니토바 대학교
2023-10-01
[17]
웹인용
La côte Dinan (1898)
https://histoireurba[...]
Jérôme Ouellet
2016-08-18
[18]
서적
Les tramways de Québec
Publications MNH
1998-12-04
[19]
웹인용
Tramways
https://www.ville.qu[...]
퀘벡시
2023-10-01
[20]
웹인용
Thomson, Andrew
http://www.biographi[...]
토론토 대학교/라발 대학교
2023-10-01
[21]
뉴스
Le quiz des 50 ans du RTC
https://ici.radio-ca[...]
2023-10-14
[22]
웹인용
L'historique
https://www.rtcquebe[...]
퀘벡 수도권 교통망
2023-10-14
[23]
뉴스
20 bougies pour le Métrobus
https://www.lesoleil[...]
Annie Morin
2012-12-30
[24]
뉴스
L’impossible bilan des fusions municipales
https://www.lapresse[...]
Denis Lessard
2022-01-16
[25]
웹인용
Repères chronologiques
https://www.ville.qu[...]
퀘벡시
2023-10-14
[26]
웹인용
Le système Écolobus de Québec
https://publications[...]
캐나다 교통부
2005-01
[27]
뉴스
Bye bye Écolobus!
https://www.lesoleil[...]
Annie Morin
2015-01-16
[28]
뉴스
Des millions pour le RTC
https://ici.radio-ca[...]
2006-09-29
[29]
서적
Rapport annuel 2007
http://www.bv.transp[...]
Service des communications - Réseau de transport de la Capitale
2023-10-14
[30]
뉴스
Des investissements de $265 millions au RTC
https://www.journald[...]
Marc-André Séguin
2008-12-05
[31]
뉴스
Le conflit est évité au RTC... du moins pour le moment
https://www.journald[...]
Diane Tremblay
2009-11-27
[32]
뉴스
L'autobus hybride en service
https://ici.radio-ca[...]
2010-09-22
[33]
뉴스
«A1» pour l'autobus hybride, affirme le président du RTC
https://www.lesoleil[...]
Pierre Pelchat
2010-09-23
[34]
웹인용
Arrivée de véhicules hybrides
https://www.rtcquebe[...]
퀘벡 수도권 교통망
2015-07-09
[35]
웹인용
Midibus : le contrat accordé à Van Hool
https://www.rtcquebe[...]
퀘벡 수도권 교통망
2016-03-16
[36]
뉴스
La fiabilité des midibus encore remise en question
https://www.lesoleil[...]
2023-10-14
[37]
뉴스
La puce remplace le papier
https://ici.radio-ca[...]
2023-10-14
[38]
뉴스
Le RTC introduit le paiement par téléphone
https://ici.radio-ca[...]
2023-10-14
[39]
웹인용
RTC Nomade paiement
https://www.rtcquebe[...]
2023-10-14
[40]
웹인용
Tous les parcours
https://www.rtcquebe[...]
2023-10-21
[41]
웹인용
Service estival 400
https://www.rtcquebe[...]
2023-10-21
[42]
웹인용
Centre Vidéotron
https://www.rtcquebe[...]
2023-10-21
[43]
웹인용
Secteur Saint-Augustin
https://www.rtcquebe[...]
2023-10-21
[44]
웹인용
Secteur Laurentien
https://www.rtcquebe[...]
2023-10-21
[45]
웹인용
Flexibus : Service de transport à la demande
https://www.rtcquebe[...]
[46]
웹인용
àVélo
https://www.rtcquebe[...]
2023-10-21
[47]
뉴스
ÀVélo à Lévis dès 2025? Le maire Lehouillier y travaille
https://ici.radio-ca[...]
2023-10-21
[48]
뉴스
520 vélos de plus pour àVélo en 2024
https://ici.radio-ca[...]
2023-10-21
[49]
웹인용
Parc-O-Bus
https://www.rtcquebe[...]
2023-10-21
[50]
웹인용
Réserver un transport
https://www.rtcquebe[...]
2023-10-21
[51]
웹인용
Tarifs
https://www.rtcquebe[...]
2023-10-21
[52]
웹인용
Grille des tarifs
https://www.rtcquebe[...]
2024-07-21
[53]
웹인용
Cartes OPUS et Occasionnelle
https://www.rtcquebe[...]
2023-10-29
[54]
웹인용
Machines distributrices
https://www.rtcquebe[...]
2023-10-29
[55]
웹인용
Dépliant tarifs 2023
https://cdn.rtcquebe[...]
2023-10-29
[56]
웹인용
OPUS 6 à 11 ans
https://www.rtcquebe[...]
2023-10-29
[57]
웹인용
OPUS 18 ans et moins
https://www.rtcquebe[...]
2023-10-29
[58]
웹인용
OPUS Étudiant+
https://www.rtcquebe[...]
2023-10-29
[59]
웹인용
OPUS Aîné
https://www.rtcquebe[...]
2023-10-29
[60]
웹인용
Une nouvelle application pour recharger sa carte OPUS avec un téléphone intelligent
https://www.rtcquebe[...]
2024-06-28
[61]
웹인용
RTC Nomade paiement
https://www.rtcquebe[...]
2023-10-29
[62]
웹인용
Programme ÉquiMobilité
https://www.ville.qu[...]
2023-10-29
[63]
웹인용
Programme ÉquiMobilité
https://www.rtcquebe[...]
2023-10-29
[64]
웹인용
Baisse des tarifs ÉquiMobilité dès le 1er juillet 2024
https://www.rtcquebe[...]
2024-05-25
[65]
웹인용
L'abonne BUS Travailleur
https://www.rtcquebe[...]
2023-10-29
[66]
웹인용
L'abonne BUS Perso
https://www.rtcquebe[...]
2023-10-29
[67]
웹인용
Programmes d'abonnement
https://www.rtcquebe[...]
2023-10-29
[68]
웹인용
Droit de correspondre
https://www.rtcquebe[...]
2023-10-29
[69]
웹인용
Réseau de transport de la Capitale
https://cptdb.ca/wik[...]
2023-10-22
[70]
웹인용
Midibus : le contrat accordé à Van Hool
https://www.rtcquebe[...]
2023-10-22
[71]
웹인용
Début de la mise en service graduelle
https://www.rtcquebe[...]
2023-10-22
[72]
웹인용
Le RTC dévoile son premier autobus électrique de Nova Bus
https://www.rtcquebe[...]
2023-10-22
[73]
웹인용
Carte du réseau
https://www.rtcquebe[...]
2023-10-22
[74]
뉴스
La pyrite force la démolition du centre du RTC dans Lebourgneuf
https://ici.radio-ca[...]
2024-12-06
[75]
웹인용
NEWTON AND METROBUS CENTRES LAYOUT AND ELECTRIFICATION
https://www.systra.c[...]
2023-10-22
[76]
뉴스
Le centre d’entretien Newton du RTC sera finalement une construction neuve
https://ici.radio-ca[...]
2023-10-22
[77]
웹인용
Pour nous joindre
https://www.rtcquebe[...]
2023-10-22
[78]
웹인용
La gouvernance du transport collectif au Québec : Enjeux et pistes de solution
https://cpp.hec.ca/w[...]
2023-10-23
[79]
웹인용
Rapport d'activité 2022
https://cdn.rtcquebe[...]
Réseau de transport de la Capitale
2023-09-05
[80]
뉴스
La reprise de l’achalandage au RTC dépasse toujours les 90 %
https://ici.radio-ca[...]
2024-12-06
[81]
웹인용
Validations Opus - données 2022
https://cdn.rtcquebe[...]
2023-10-26
[82]
뉴스
Flexibus dépasse les objectifs d’achalandage pour sa première année
https://www.lesoleil[...]
2023-10-26
[83]
뉴스
àVélo pulvérise les prévisions du RTC avec plus de 350 000 déplacements à la mi-saison
https://www.journald[...]
2023-10-26
[84]
뉴스
Le tramway fera bondir l’achalandage du RTC
https://ici.radio-ca[...]
2023-10-26
[85]
뉴스
Les autobus roulent à nouveau à Québec
https://diffusion.ba[...]
2023-10-26
[86]
뉴스
La CTCUQ reprend son service lundi
https://numerique.ba[...]
2023-09-25
[87]
뉴스
Les chauffeurs d'autobus auront le droit de grève le 14 avril
https://numerique.ba[...]
2023-10-26
[88]
뉴스
Les autobus roulent à nouveau mercredi matin
https://numerique.ba[...]
2023-10-26
[89]
뉴스
CTCUQ: retour au travail de chauffeurs frustrés
https://numerique.ba[...]
2023-10-26
[90]
뉴스
1979 : un hiver sans transport en commun à Québec
https://ici.radio-ca[...]
2023-10-26
[91]
뉴스
Handicapés: les chauffeurs ont de nouveau débrayé hier
https://numerique.ba[...]
2023-10-26
[92]
뉴스
Les handicapé retrouvent leur transport
https://diffusion.ba[...]
2023-10-26
[93]
뉴스
Grève illégale terminée dans le transport adapté
https://numerique.ba[...]
2023-10-26
[94]
뉴스
Les autobus de la CTCUQ roulent normalement
https://diffusion.ba[...]
2023-10-26
[95]
뉴스
STCUQ: tous les parcours rétablis ce matin
https://numerique.ba[...]
2023-10-26
[96]
뉴스
Trois petites heures de grève : Le prix de l'entente demeure inconnu à la STCUQ
https://numerique.ba[...]
2023-10-26
[97]
뉴스
Les employés d'entretien de la STCUQ en grève
https://www.tvanouve[...]
2023-10-26
[98]
뉴스
Retour sur la grève des chauffeurs du RTC de 2004 et les désagréments aux usagers
https://www.journald[...]
2023-10-26
[99]
웹인용
Fin de la grève : reprise du service d'autobus dès jeudi le 6 juillet
https://www.rtcquebe[...]
2023-10-26
[100]
뉴스
Un piéton happé par un autobus du RTC dans le quartier Saint-Sacrement
https://www.journald[...]
2023-10-26
[101]
뉴스
Un piéton blessé lutte pour sa vie
https://www.journald[...]
2023-10-26
[102]
뉴스
Collision mortelle entre un autobus du RTC et un conducteur roulant à contresens
https://ici.radio-ca[...]
2023-10-26
[103]
뉴스
Piéton happé par un autobus du RTC à Québec
https://ici.radio-ca[...]
2023-10-26
[104]
뉴스
"[EN IMAGES] Une adolescente écrasée par un autobus du RTC à Québec"
https://www.journald[...]
2023-10-26
[105]
뉴스
Le RTC priorise la sensibilisation après un premier mort avec le service àVélo
https://ici.radio-ca[...]
2023-06-12
[106]
뉴스
Labeaume admet avoir relancé le projet de tramway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23-10-22
[107]
뉴스
Projet de tramway : l’argent du fédéral est toujours disponible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23-10-22
[108]
뉴스
Une ligne de tramway de 23 km à 2,9 G$
https://www.lesoleil[...]
Le Soleil
2023-10-22
[109]
뉴스
Le trambus abandonné pour financer le tramway plus cher que prévu
https://www.lesoleil[...]
Le Soleil
2023-10-22
[110]
뉴스
Le BAPE ne recommande pas le projet de tramway de Québec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23-10-22
[111]
뉴스
François Legault critique le tramway de Québec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23-10-22
[112]
뉴스
Tramway: le nouveau tracé reliera D’Estimauville à Le Gendre
https://www.lesoleil[...]
Le Soleil
2023-10-22
[113]
뉴스
Le tramway repoussé d’un an à cause d’un manque de soumissionnaires
https://www.ledevoir[...]
Le Devoir
2023-10-22
[114]
웹인용
Un processus d’approvisionnement révisé
https://tramwaydeque[...]
2023-10-22
[115]
웹인용
Lancement de l’appel de propositions pour le matériel roulant
https://tramwaydeque[...]
2023-10-22
[116]
뉴스
Siemens plaide pour « la bonne technologie, au bon endroit »... au bon moment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23-10-22
[117]
뉴스
Siemens tourne la page sur le tramway de Québec
https://www.lesoleil[...]
Le Soleil
2023-10-22
[118]
뉴스
Québec et Alstom à un cheveu d’une entente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23-10-22
[119]
뉴스
569 M$ pour la construction et la conception du matériel roulant du tramway de Québec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23-10-22
[120]
뉴스
Plus de 350 acquisitions de terrains pour faire place au tramway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23-10-22
[121]
뉴스
12 à 13 milliards $ pour le tramway de Québec
https://www.journald[...]
Le Journal de Québec
2023-11-11
[122]
뉴스
Tramway : un plan B à 8,4 milliards $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23-11-11
[123]
뉴스
Legault reprend le projet et le confie à la Caisse de dépôt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23-11-11
[124]
뉴스
CDPQ Infra dépose un plan de mobilité de 15 G$ sur 15 ans pour la région de Québec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24-07-21
[125]
뉴스
Des parcours de bus annulés par dizaines: des usagers dénoncent le manque de fiabilité du RTC
https://www.journald[...]
Le Journal de Québec
2023-10-28
[126]
뉴스
Le RTC forcé d’annuler plus de 1000 départs d’autobus en septembre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23-10-28
[127]
뉴스
Retards au RTC: «pas la direction qu'on souhaite», regrette Marchand
https://www.lesoleil[...]
Le Soleil
2023-10-28
[128]
웹인용
Convention collective chauffeurs
https://www.rtcquebe[...]
2023-10-28
[129]
뉴스
STM: le Tribunal approuve les services essentiels
https://journalmetro[...]
Journal Métro
2023-10-28
[130]
뉴스
Le RTC n’est pas tenu d’offrir un service en cas de grève, juge le Tribunal administratif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23-10-28
[131]
뉴스
La direction du FEQ inquiète d’une possible grève du RTC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23-10-28
[132]
뉴스
Entente adoptée à 88 %: la grève prend fin au RTC
https://www.journald[...]
Le Journal de Québec
2023-10-28
[133]
뉴스
Consultations publiques - Plan de mobilité durable
https://archive.wiki[...]
Ville de Québec
2023-10-28
[134]
뉴스
Le tramway de Québec coûtera plus de 4 milliards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23-10-28
[135]
웹인용
Tramway de Québec: «Ce ne sera pas un bar ouvert!» -Bruno Marchand
https://www.985fm.ca[...]
2023-10-28
[136]
뉴스
Tramway: la CAQ en veut plus pour les banlieues
https://www.journald[...]
Le Journal de Québec
2023-10-28
[137]
뉴스
Le tramway d’abord, les banlieues ensuite
https://www.journald[...]
Le Journal de Québec
2023-10-28
[138]
뉴스
10 arguments contre le tramway
https://www.journald[...]
Le Journal de Montréal
2023-10-28
[139]
웹인용
Tout savoir sur le tramway en hiver
https://tramwaydeque[...]
2023-10-28
[140]
뉴스
Des mythes à déboulonner sur le tramway
https://www.ledevoir[...]
Le Devoir
2023-10-28
[141]
뉴스
Alstom promet un tramway pour le rude hiver de Québec
https://www.lapresse[...]
2023-10-28
[142]
뉴스
Tramway: cri du cœur pour sauver les arbres à Québec
https://www.journald[...]
2023-10-28
[143]
뉴스
Même nombre d’arbres abattus le long du tramway
https://www.journald[...]
2023-10-28
[144]
뉴스
Tramway : pas moins d’arbres coupés sous Marchand
https://ici.radio-ca[...]
2023-10-28
[145]
뉴스
Des centaines d’ententes pour les arbres affectés par le tramway
https://www.lesoleil[...]
2023-10-28
[146]
뉴스
Les appuis au tramway baissent à 36 %
https://ici.radio-ca[...]
2023-10-28
[147]
뉴스
Baisse des appuis au projet de tramway : vives réactions au sondage
https://ici.radio-ca[...]
2023-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