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다이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라다이어족은 크라어파와 타이어파의 자칭어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언어 분류로, 동남아시아 언어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다양한 기원 설이 존재하며, 기원전 12세기경 양쯔강 유역에서 형성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타이어파, 크라어파, 캄-수이어파, 베어족, 흘라이어족 등 다섯 개의 어파로 구성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시나-티베트어족, 몬-미엔어족, 일본어족 등 다른 어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동남아시아 출신 이주민 사회에서 사용되며, 학계에서는 한국어와의 계통적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크라다이어족 | |
---|---|
언어 정보 | |
이름 | 크라-다이어족 |
다른 이름 | 타이-카다이어족, 다이어족 |
지역 | 중국 남부, 하이난섬, 인도차이나반도, 인도 북동부 |
어족 색상 | 타이-카다이어족 |
계통 | 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
조어 | Proto-Kra–Dai |
하위 어족 | Kra Kam–Sui Biao–Lakkia Be–Jizhao Tai Hlai–Jiamao |
민족 | Daic people |
Glotto 코드 | taik1256 |
Glottolog 참조 | Tai–Kadai |
분포도 | |
![]() | |
하위 어족 상세 | |
크라어파 | 크라어파 |
캄-수이어파 | 캄-수이어파 |
뱌오-라키아어파 | Biao–Lakkia |
베-지자오어파 | Be–Jizhao |
북부 타이어파 | Northern Tai |
중부 타이어파 | Central Tai |
남서 타이어파 | Southwestern Tai |
2. 명칭
폴 K. 베네딕트 (1942)가 처음 제시한 '''타이카다이어족'''이라는 명칭이 널리 쓰였다.[47] 베네딕트는 크라어파의 3개 언어와 흘라이어파를 묶어 "카다이어파"(Kadai)로 이름 붙였는데, 이는 거라오어에서 사람을 뜻하는 "ka"와 흘라이의 자기 명칭 중 하나인 "dai"를 합친 것이다.[47] 그러나 베네딕트의 분류 방식은 크라 언어와 흘라이 언어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통의 수사들을 가지고 있다는 관찰에 기반한 것이었기에 비판받았다.[47]
제임스 R. 체임벌린(2016)은 타이-카다이(크라-다이)어족이 기원전 12세기 초 양쯔강 유역 중부에서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이는 초나라의 건국과 주나라의 시작과 거의 같은 시기이다.[13] 특히 귀주와 하이난에서 보이는 크라-다이어의 높은 다양성은 크라-다이어족의 기원지임을 보여준다. 이후 이들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지역에 태국과 라오스를 건설했다. 유전 및 언어 분석에 따르면 태국의 크라-다이어 사용자들은 높은 동질성을 보인다.[14]
크라다이어족은 크게 5개의 어파로 분류된다.(Ostapirat, 2005)
위라 오스타피랏(Weera Ostapirat, 2000)은 크라어파와 타이어파의 자기 명칭인 Kra와 Tai를 합하여 "크라-타이"(Kra-Tai)라는 이름을 제시하였다.[48] 이 명칭은 이후 해당 분야 학자들에게 널리 채택되었다. 로저 블렌치 (2008)는 따이어족(Daic)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49]
"크라-다이어"라는 명칭은 위라 오스타피랏이 제안했는데, 크라(Kra)와 다이(Dai)는 각각 크라어파와 타이어파의 재구성된 자칭어(autonym)이다.[8] "크라-다이어"는 이후 피터 K. 노퀘스트(Peter K. Norquest, 2007),[23] 피타야포른(Pittayaporn, 2009),[4][5] 윌리엄 H. 벡스터(William H. Baxter) & 로랑 사가르(Laurent Sagart, 2014),[6] 그리고 엔필드(Enfield) & 버나드 콤리(Bernard Comrie, 2015)를 포함하여 동남아시아 언어학 분야의 전문가 대다수가 사용하는 명칭이 되었다.[7]
"타이-카다이어"라는 명칭은 많은 참고 문헌뿐만 아니라 『에스놀로그(Ethnologue)』와 『글롯톨로그(Glottolog)』에서도 사용되지만, 오스타피랏 등은 이 명칭이 문제가 있고 혼란스럽다고 지적하며 "크라-다이어"를 선호한다.[8]
3. 기원
크라-다이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관계는 논쟁 중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두 언어족이 유전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위라 오스타피랏(2005)은 두 언어 사이의 규칙적인 음운 대응을 제시하며 초기 분기를 가정한다. 오스타피랏(2013)은 특정 음운 대응을 바탕으로 크라-다이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가 자매 언어족이라는 주장을 유지한다. 반면, 로랑 사가르(2008)는 크라-다이어가 "FATK"(타이-카다이어의 포르모사 조상)라고 부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의 한 갈래라고 제안한다. FATK는 타이완에서 발전하여 기원전 3천년기 후반경 광둥, 하이난, 베트남 북부로 이주한 사람들이 사용한 언어의 후기 형태이다.[15] 이 지역에 도착한 후, FATK는 알려지지 않은 집단과 언어적 접촉을 겪어 어휘의 부분적 재어휘화가 발생했다. 에리카 브린들리(2015)는 사가르의 가설을 지지하며, 본토로의 크라-다이어의 근본적으로 다른 이주 역사와 오스트로아시아어 및 중국어 사용자와의 광범위한 접촉으로 인해 관계가 더 멀리 보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오늘날 광둥성에서 크라-다이어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증거 외에도, 더 북쪽에서 사용된 크라-다이어의 흔적은 발굴된 명문 자료와 민남어, 오어에서 찾을 수 있다.
볼프강 베어(2002, 2006, 2009, 2017)는 초나라 명문 자료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비한족 단어가 크라-다이어 기원임을 지적한다. 예를 들어, ''鄂君啟筯'' 청동기 명패와 전국 시대 죽간 명문에 쓰인 '하나, 한 번'을 의미하는 초나라 글자
1980년대 초, 장족 언어학자인 위칭원(韦庆稳)은 월인곡에 기록된 고대 월어가 사실 장족어의 조상 언어라고 제안했다. 위는 재구성된 고대 중국어를 사용하여 글자를 분석했고, 그 결과 어휘가 현대 장족어와 강한 유사성을 보임을 발견했다. 나중에, 정장상방(1991)은 위의 제안을 따랐지만 비교를 위해 태국 문자를 사용했다. 정장은 '저녁, 밤, 어둠'이 우밍 장족어 ''xamC2'' 및 ''ɣamC2'' '밤'에서 C 성조를 가진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러나, 로랑 사가르는 정장의 해석을 시대착오적인 것으로 비판한다. 원시 캄-타이어가 기원전 6세기에 등장했다 해도, 그 발음은 태국어와 상당히 달랐을 것이다.
4. 하위 분류
분류가 불확실한 언어는 다음과 같다.
혼합 기원의 크라다이어족 언어는 다음과 같다.
5. 다른 어족과의 관계
크라다이어족은 다른 어족과의 계통적 관계에 대해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 오스트로-타이어족: 여러 학자들이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의 관련성을 제시하고 있다.[37] 두 어족의 핵심 어휘에는 동족어가 존재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화자가 타이완이나 필리핀에서 대륙으로 역이주하면서 타이-카다이어족이 생겨났다는 주장도 있다.[36]
- 시나-타이어족: 과거에는 타이-카다이어족이 시나-티베트어족의 일원으로 간주되기도 했으나, 어휘 유사성은 차용어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39]
- 몬-미엔어족: Kosaka (2002)는 타이-카다이어족과 몬-미엔어족의 관련성을 논하면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및 더 오래된 조상어인 동아시아 조어와의 관련성도 함께 제시했다.[40]
- 일본어족: 알렉산더 보빈(Alexander Vovin, 2014)은 일본어족의 원향을 중국 남부로 추정하고, 일본어 조어가 크라다이어족과 유사한 고립어였을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이는 유전적 관계가 아닌 언어 접촉에 의한 결과라고 주장했다.[41]

5. 1. 오스트로타이어 가설
크라다이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같은 조상에서 기원했다는 가설이 있다.[28] 위라 오스타피랏(Weera Ostapirat, 2005)은 두 어족 간의 규칙적인 음운 대응을 제시하며 이 가설을 지지한다.[37] 오스타피랏(2013)은 특정 음운 대응을 바탕으로 크라다이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자매 언어족이라는 주장을 계속 유지한다.[38]반면, 로랑 사가르(Laurent Sagart, 2008)는 크라다이어족이 "FATK"(타이-카다이어의 포르모사 조상)라고 부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의 한 갈래로, 타이완에서 발전하여 기원전 3천년기 후반경 광둥, 하이난, 베트남 북부로 이주한 사람들이 사용한 언어의 후기 형태라고 제안한다.[15] 이 지역에 도착한 후, 알려지지 않은 집단과 언어적 접촉을 겪어 FATK 어휘의 부분적 재어휘화가 발생했다고 본다. 에리카 브린들리(Erica Brindley, 2015)는 사가르의 가설을 지지하며, 본토로의 크라다이어의 근본적으로 다른 이주 역사(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의 필리핀과 대조적)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및 중국어 사용자와의 광범위한 접촉으로 인해 관계가 더 멀리 보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녀는 또한 크라다이어에 가장 기본적인 오스트로네시아어 어휘만 존재한다는 점이 이러한 재어휘화 시나리오를 더욱 그럴듯하게 만든다고 제안한다.
두 어족의 핵심 어휘에는 동족어가 있다.[37] 로저 블렌치(Roger Blench, 2018)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화자가 타이완이나 필리핀에서 대륙으로 역이주하면서 타이-카다이어족이 생겨났다고 주장한다.[36]
5. 2. 시노타이 가설
크라다이어족은 과거 크라다이어와 중국-티베트어 계열 언어 간의 많은 어휘 유사성 때문에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서구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이것들을 중국어 차용어로 간주하고, 크라다이어족의 기본 어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공통 조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한다.[30] 중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크라다이어족을 독립된 어족으로 분류한다. 중국에서는 크라다이어족을 侗台(Dòng-Tái) 또는 壮侗(Zhuàng-Dòng) 언어라고 부르며, 몽-미엔어족과 함께 중국-티베트어족에 포함시킨다.[31]타이-카다이어족은 과거 상당수 어휘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시나-티베트어족의 일원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사성에 기본 어휘는 포함되지 않고, 타이-카다이어족의 모든 계통에서 발견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오래된 차용어로 간주된다.[39]
5. 3. 몬미엔어족과의 관계
고(故)사카(Kosaka, 2002)는 타이카다이어족과 몬미엔어족의 관련성을 논했다.[40] 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의 관련성, 그리고 더욱 오래된 조상어(동아시아 조어)에 대해서도 논했다.[40]5. 4. 일본어족과의 관계
알렉산더 보빈(Alexander Vovin, 2014)은 일본어족의 원향을 중국 남부로 추정했다. 보빈은 일본어 조어가 단음절 SVO 구문이며 크라다이어족과 유사한 고립어였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유형론적 증거를 제시했다. 하지만 이러한 공통 특징은 유전적 관계가 아니라 격렬한 언어 접촉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41]참조
[1]
서적
The Tai–Kadai Languages
Routledge
2008
[2]
웹사이트
Taikadai
http://www.languages[...]
2017-10-15
[3]
웹사이트
Ethnologue Tai–Kadai family tree
http://www.ethnologu[...]
[4]
논문
The phonology of Proto-Tai
2009
[5]
웹사이트
Kra-Dai Languages
http://www.oxfordbib[...]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Old Chinese: A New Reconstr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
서적
Languages of Mainland Southeast Asia: The State of the Art
Mouton de Gruyter
2015
[8]
웹사이트
Proto-Kra
http://sealang.net/s[...]
2000
[9]
학술지
Thai, Kadai, and Indonesian: A New Alignment in Southeastern Asia
1942
[10]
서적
Comparative Kadai: Linguistic studies beyond Tai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988
[11]
웹사이트
The Prehistory of the Daic (Tai-Kadai) Speaking Peoples
http://rb.rowbory.co[...]
2008
[12]
학술대회
Project Discussion: The Austro-Tai Hypothesis
http://iscll-14.ling[...]
2014
[13]
웹사이트
Kra-Dai and the Proto-History of South China and Vietnam
https://www.academia[...]
2016
[14]
학술지
Genetic and linguistic correlation of the Kra-Dai-speaking groups in Thailand
2015-07
[15]
문서
Formosan ancestor of Tai–Kadai
[16]
서적
Dongtai yuzu gailun / An introduction to the Kam–Tai languages
China Social Sciences Academy Press
1996
[17]
서적
Dongtai yu gailun / An introduction to the Kam–Tai languages
Central Nationalities Research Institute Press
1990
[18]
웹사이트
A Mainland Bê Language? / 大陆的Bê语言?
https://www.jstor.or[...]
1998
[19]
서적
Comparative Kadai: Linguistic studies beyond Tai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988
[20]
서적
Comparative Kadai: the Tai branch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997
[2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Kam–Tai languages
China Social Sciences Academy Press
1996
[22]
학술지
Kra–Dai and the proto-history of South China and Vietnam
2016
[23]
논문
A Phonological Reconstruction of Proto-Hlai
http://gradworks.umi[...]
2007
[24]
서적
A Phonological Reconstruction of Proto-Hlai
Brill
2015-09-29
[25]
학술대회
A Hypothesis on the Origin of Preglottalized Sonorants in Kra–Dai
http://hdl.handle.ne[...]
2020
[26]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Mainland Southeast Asia
De Gruyter
2021
[27]
웹사이트
Tai-Kadai and Austronesian are Related at Multiple Levels and their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draft)
https://www.academia[...]
2018
[28]
학술지
The higher phylogeny of Austronesian and the position of Tai–Kadai
http://halshs.archiv[...]
2004
[29]
서적
Japanese/Austro-Tai
Karoma
1990
[30]
서적
The Peopling of East Asia: Putting Together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Routledge-Curzon
2005
[31]
서적
The Tai-Kadai Languages
Routledge
2008
[32]
웹사이트
On the affiliation of Miao-Yao and Kadai: Can we posit the Miao–Dai family?
http://sealang.net/s[...]
2002
[33]
웹사이트
Out Of Southern China? --some linguistic and philological musings on the possible Urheimat of the Japonic language family--'
https://www.academia[...]
2014
[34]
서적
講座 言語 第6巻 世界の言語
大修館書店
[35]
서적
世界の言語と国のハンドブック
大学書林
[36]
서적
Tai-Kadai and Austronesian are Related at Multiple Levels and their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draft)
https://www.academia[...]
[37]
저널
The higher phylogeny of Austronesian and the position of Tai–Kadai
http://halshs.archiv[...]
[38]
간행물
Austro-Tai revisited
http://jseals.org/se[...]
23rd Annual Meeting of the Southeast Asian Linguistics Society
2013-05-29
[39]
서적
Kra–Dai and Austronesian: Notes on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and vocabulary distribution
Routledge-Curzon
[40]
저널
On the affiliation of Miao-Yao and Kadai: Can we posit the Miao-Dai family
http://sealang.net/s[...]
[41]
간행물
Out Of Southern China? --some linguistic and philological musings on the possible Urheimat of the Japonic language family--
https://www.academia[...]
XXVIIes Journées de Linguistique d'Asie Orientale
2014-06-26
[42]
서적
講座 言語 第6巻 世界の言語
大修館書店
[43]
서적
世界の言語と国のハンドブック
大学書林
[44]
웹사이트
Taikadai
http://www.languages[...]
2017-10-15
[45]
Glottolog
[46]
저널
Genetic and linguistic correlation of the Kra-Dai-speaking groups in Thailand
https://www.ncbi.nlm[...]
2015-07
[47]
저널
Thai, Kadai, and Indonesian: A New Alignment in Southeastern Asia
[48]
간행물
Proto-Kra
http://sealang.net/s[...]
[49]
간행물
The Prehistory of the Daic (Tai-Kadai) Speaking Peoples
http://rb.rowbory.co[...]
12th EURASEAA meeting
2008-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