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크라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크라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힘'을 의인화한 존재이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처음 등장하며, 제우스의 권력을 옹호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프로메테우스를 스키타이 황무지에 묶는 역할을 하며, 폭력과 권위의 상징으로 그려진다. 크라토스는 다른 문헌에서도 언급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묘사된다. 특히, 비디오 게임 《갓 오브 워》 시리즈의 주인공 크라토스는 이 신화 속 인물에서 이름을 따왔다.

2. 신화 속 크라토스

크라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힘과 권력의 신으로, 티탄족인 팔라스와 스틱스의 아들이다. 비아, 젤로스, 니케와 형제지간이다.

디르크 판 바부렌의 작품인 ''불카누스에게 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1623). 아이스킬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크라토스(이 그림에는 묘사되지 않음)는 헤파이스토스에게 프로메테우스를 사슬에 묶으라고 명령하는 인물이다.

  •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크라토스와 그의 형제자매들은 기원전 8세기 말 또는 7세기 초에 쓰여진 ''신통기''에 처음 언급된다. 헤시오도스는 이들을 스틱스와 팔라스의 자녀로, 젤로스(경쟁), 니케(승리), 비아(폭력)와 함께 제우스 곁에서 권능을 상징하는 존재로 묘사한다.[4] 제우스가 티타노마키아에서 승리한 후, 스틱스와 그녀의 자녀들은 가장 먼저 제우스에게 충성을 맹세하여 그의 통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4] 다이애나 버튼에 따르면 이들의 자발적인 충성은 제우스의 승리를 확고히 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크라토스는 비아와 함께 프로메테우스를 스키타이 황무지에 묶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는 제우스의 명령을 집행하며, 무자비하고 냉혹한 모습을 보인다. 헤파이스토스에게 프로메테우스를 가혹하게 다루도록 강요하며, 연민을 보이는 헤파이스토스를 조롱한다. ''제주하는 여인들''에서는 엘렉트라가 아버지 아가멤논의 복수를 위해 크라토스를 부른다.[5]

  • 기타 문헌: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에서는 제우스의 무서운 경비병 때문에 프로메테우스가 제우스의 요새가 아닌 아테나와 헤파이스토스의 신전에서 불을 훔쳤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 경비병의 정체는 명확하지 않다.[6]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는 ''파불라에'' 서문에서 크라토스에 해당하는 포테스타스(Potestas, 권력)를 팔라스와 스튁스의 자녀 중 하나로 언급한다.[10]

  • 고대 그리스 미술: 크라토스와 비아를 함께 묘사한 예술 작품은 드물다. 현존하는 유일한 예시는 메이디아스 화가 또는 그의 추종자가 제작한 적색상 도기 스퀴포스 파편으로, 익시온의 처벌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 파편에는 크라토스의 머리카락 일부와 비아의 손이 남아있다.[7][8] H. A. 샤피로는 이것이 에우리피데스의 잃어버린 비극 ''익시온''의 한 장면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2. 1.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결박된 프로메테우스'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의 첫 장면에서 크라토스는 그의 누이 비아와 함께 등장한다. 이들은 제우스의 명령에 따라 프로메테우스를 스키타이 황무지의 외딴 곳으로 데려가 바위 노두에 묶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우스의 새로운 정권을 상징한다.[4]

크라토스는 육체적인 잔혹함과 무자비함으로 제우스의 권력을 집행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헤파이스토스에게 프로메테우스를 바위에 묶도록 강요하며, 프로메테우스의 고통에 슬퍼하는 헤파이스토스를 조롱한다. 크라토스는 법의 지배를 공포에 의한 통치와 동일시하고, 연민을 시간 낭비라고 비난한다.[4]

크라토스는 헤파이스토스에게 프로메테우스의 손을 바위에 못 박고, 쇠쐐기를 가슴에 박고, 다리를 묶어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등, 가능한 한 많은 고통을 주도록 명령한다.[4]

프로메테우스가 묶인 후, 크라토스는 그를 조롱하며 헤라클레스의 도움을 받기 전까지는 결코 족쇄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그의 이름(''프로메테우스''는 그리스어로 "선견지명"을 의미한다)에 걸맞지 않다고 조롱한다.

2. 2. 기타 문헌에서의 등장

크라토스는 기원전 8세기 말 또는 7세기 초 보에오티아의 시인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처음 등장한다. 헤시오도스는 크라토스를 힘의 신격화로 묘사하며, 제우스 외에는 다른 거처가 없고 항상 그와 함께 한다고 설명한다.[4] 이는 제우스가 티타노마키아 이후 크로노스 밑에서 일하지 않은 이들에게 지위를 부여했기 때문이다.[4] 스틱스와 그녀의 자녀들이 가장 먼저 제우스에게 충성했기에, 크라토스와 그의 형제자매들은 제우스 정권의 핵심 구성원이 되었다.[4] 다이애나 버튼에 따르면 스틱스, 젤로스, 니케, 크라토스, 비아의 자발적인 충성심 변화는 제우스가 티탄을 상대로 거둔 승리의 확실성을 나타낸다고 한다. 여신 디케(정의), 에우노미아(좋은 법), 에이레네(평화)가 제우스 통치의 혜택을 나타내는 반면, 크라토스와 그의 형제자매들은 그 정권을 건설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보여준다.

아이스킬로스의 ''제주하는 여인들''에서 엘렉트라는 아버지 아가멤논의 복수를 위해 크라토스, 디케, 제우스를 부른다.[5]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에는 프로메테우스가 제우스의 요새가 아닌 아테나와 헤파이스토스의 신전에서 불을 훔쳤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는 "제우스의 경비병"(Διὸς φυλακαί; ''Dios phylakai'')이 너무 무서웠기 때문이다.[6] 이 "경비병"이 누구인지는 알려지지 않았고 논쟁의 대상이다.

고대 그리스 미술에서 크라토스와 비아를 함께 묘사한 작품은 매우 드물다. 유일하게 알려진 예시는 메이디아스 화가나 그의 추종자가 만든 적색상 도기 스퀴포스 파편으로, 익시온의 형벌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 파편에는 크라토스의 머리카락 일부와 비아의 손이 남아있다.[7][8] H. A. 샤피로는 이것이 아마도 에우리피데스의 잃어버린 비극 ''익시온''의 한 장면을 나타낸 것이며, 에우리피데스는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크라토스와 비아의 형상을 빌려왔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는 ''파불라에'' 서문에서 크라토스에 해당하는 포테스타스(Potestas, 권력)를 팔라스와 스튁스의 자녀 중 하나로 언급한다.[10]

3. 예술 작품 속 크라토스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크라토스는 비아와 함께 프로메테우스를 스키타이 황무지에 묶는 역할을 맡았다. 이들은 제우스의 명령을 받아 프로메테우스를 바위에 묶었으며, 제우스의 새로운 권력을 상징한다. 크라토스는 육체적인 잔혹함과 무자비함으로 제우스의 권위를 집행하는 인물로, 비아는 대사 없이 등장한다.

크라토스는 헤파이스토스에게 프로메테우스를 고통스럽게 묶으라고 강요하며, 그의 고통을 조롱한다. 그는 정의를 제우스의 의지에 따른 위계질서로 보며, 제우스 외에는 누구도 진정으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한다.

제주하는 여인들에서 엘렉트라는 아버지 아가멤논을 살해한 자들에게 복수하기 위해 크라토스, 디케, 제우스를 부른다.[5]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에는 프로메테우스가 제우스의 요새가 아닌 아테나와 헤파이스토스의 신전에서 불을 훔쳤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는 "제우스의 경비병"이 무서웠기 때문이라고 한다.[6]

고대 그리스 미술에서 크라토스와 비아는 드물게 묘사된다. 현존하는 유일한 묘사는 메이디아스 화가나 그의 추종자가 제작한 적색상 도기 스퀴포스 파편에 나타난 익시온의 처벌 장면이다. 이 파편에는 크라토스의 머리카락 일부와 비아의 손이 보인다.[7][8]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는 ''파불라에'' 서문에서 크라토스에 해당하는 포테스타스(Potestas)를 팔라스와 스튁스의 자식으로 언급한다.[10]

4. 대중문화 속 크라토스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크라토스는 제우스의 명령을 받아 프로메테우스를 스키타이 황무지에 묶는 역할을 담당한다.[1] 그는 육체적인 잔혹함과 무자비함으로 제우스의 권력을 집행하며, 법의 지배를 공포에 의한 통치와 동일시한다.[2] 연민을 시간 낭비라고 비난하며, 제우스 외에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사람이 없다고 말한다.[3] 크라토스는 헤파이스토스에게 프로메테우스에게 가능한 한 많은 고통을 가하라고 명령하며, 그의 잔혹함은 정의를 올바르게 집행하기 위한 것으로 묘사된다.[4]

''결박된 프로메테우스''는 18세기와 19세기의 낭만주의자들에게 영감을 주어 혁명, 폭정, 노예, 자유, 전쟁, 평화에 대한 질문을 탐구하는 렌즈가 되었다.[5] 존 플랙스먼과 조지 로니는 삽화에서 크라토스와 비아를 대칭적으로 묘사했다.[6] 퍼시 비시 셸리는 자신의 희곡 ''해방된 프로메테우스''(1819)에서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각색했다.[7] 가브리엘 포레의 오페라 ''프로메테''(1900)는 ''묶인 프로메테우스''의 시작 부분을 거의 그대로 인용했다.[8]

아테네 국립 카포디스트리아 대학교의 크라토스 벽화, 그리스


''갓 오브 워'' 비디오 게임 시리즈에도 크라토스라는 이름의 캐릭터가 등장한다.[9] 게임 제작진은 ''묶인 프로메테우스''의 크라토스를 알지 못한 채 "힘"을 의미하는 크라토스라는 이름을 선택했다.[10] 게임 속 크라토스는 그리스 신화의 다른 인물들에게서 영향을 받았지만, 가장 큰 영향은 헤라클레스이다. 그는 잔인하고 폭력적인 인물로 묘사되며, ''갓 오브 워 III''에서는 대부분의 그리스 신들을 죽이고 원시 혼돈의 상태를 그리스에 복원한다.

참조

[1] LSJ κράτος kra/tos1
[2]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3] 서적 Prometheus Bound http://data.perseus.[...]
[4]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5] 서적 Libation Bearers http://data.perseus.[...]
[6] 서적 Protagoras https://www.perseus.[...]
[7] 웹사이트 Monument #8449 https://weblimc.org/[...] 2023-05-14
[8] 웹사이트 5448, ATHENIAN, BASEL, PRIVATE, H. CAHN, HC541 https://www.carc.ox.[...] 2023-05-14
[9] 서적 The Library https://www.perseus.[...]
[10] 서적 Fabulae https://latin.packhu[...]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