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대 그리스 미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그리스 미술은 기원전 1050년경부터 헬레니즘 시대까지 도기, 금속 세공, 조각, 건축, 회화, 모자이크, 각인 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했다. 도기 제작은 원기하학, 기하학, 흑색 그림, 적색 그림 시대로 구분되며, 금속 세공은 청동 조각상과 장신구 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조각은 쿠로스와 코레와 같은 인체 조각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건축은 도리아식, 이오니아식, 코린트식 양식을 사용한 신전 건축이 주를 이루었다. 회화는 패널 페인팅과 벽화가 있었으며, 모자이크는 궁전과 주택 장식에 사용되었다. 각인 보석은 정교한 기술을 보여주었으며, 장식 어휘는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고대 그리스 미술은 에트루리아와 로마 미술, 켈트 미술, 그레코-불교 미술, 르네상스, 신고전주의 등 서양과 동양의 여러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의 미술 -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사자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신화 속 존재로, 이집트,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파라오의 권위, 사악함, 액막이 등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 고대 그리스의 미술 - 헬레니즘 미술
    헬레니즘 미술은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미술로, 건축에서 도시 계획과 대규모 단지 조성, 조각에서 감정 표현과 자연주의, 회화와 모자이크, 금속 공예 영향을 받은 도자기, 테라코타 조각상, 유리 및 보석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징을 보인다.
고대 그리스 미술
개요
아크로폴리스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
시대고대 그리스
주요 중심지에게 해 주변
특징이상화된 인체 표현, 건축 양식 (도리아, 이오니아, 코린트 양식)
역사
기원기원전 3000년경 미노아 문명과 미케네 문명
암흑 시대기원전 1100년 ~ 기원전 800년
고졸기기원전 660년 ~ 기원전 480년
고전기기원전 480년 ~ 기원전 323년
헬레니즘 시대기원전 323년 ~ 기원전 31년
조각
특징인체 비례와 균형 중시, 이상적인 아름다움 추구
주요 조각가페이디아스
폴리클레이토스
미론
프락시텔레스
대표 작품원반 던지는 사람
창을 든 남자
밀로의 비너스
건축
특징기둥 양식 (도리아, 이오니아, 코린트), 균형과 조화 중시
주요 건축물파르테논 신전
에레크테이온 신전
아크로폴리스
도기
특징기하학적 문양, 인물 묘사, 신화 이야기 표현
주요 양식흑회식 도기
적회식 도기
영향
로마 미술로마 미술에 큰 영향
르네상스 미술르네상스 미술의 고전주의 부활에 영향
신고전주의 미술신고전주의 미술에 영감 제공
추가 정보
관련 링크고대 그리스
그리스 미술
미술사

2. 도기

고대 그리스 도기는 정교하게 채색된 모든 형태의 그릇을 지칭하며, 10만 점이 넘는 완전한 잔존 조각이 남아 그리스 생활상을 보여준다.[5] 테라코타로 불리는 조각 또는 건축 도기 역시 대량으로 남아 있다. 도기는 화장된 재를 담는 "장례용 단지"나 매장품으로 사용되었고 널리 수출되었다.

흑색 그림 도기의 세부 묘사, .


그리스 화병 그림은 기원전 600년부터 350년까지 절정에 달했으며, 흑색 그림 도기와 적색 그림 도기로 나뉜다. 흑색 그림 도기는 검은색 바탕에 붉은색 인물을, 적색 그림 도기는 붉은색 바탕에 검은색 인물을 묘사한다. 흰색과 자색-적색이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6] 백색 지면 기법은 자유로운 묘사가 가능했지만, 보존성이 낮아 주로 매장용으로 제작되었다.[6]

기원전 450년경의 아티카 적색 그림 도기 컵 내부


고대 그리스인들은 전시용이 아닌 일상 용도로 도기를 만들었다. 예외는 무덤 표지, 경기 우승 트로피(예: 파나테나이아 항아리), 무덤에 넣기 위한 대형 기념 화병 등이다. 일부 향수병은 소량만 넣어도 가득 차 보이게 만들었다.[7]

백색 지면 기법, 아티카, , 아폴론 킬릭스.


현존하는 도기 중 다수는 암포라, 크라테르(포도주와 물 혼합 용기), 히드리아(물 항아리) 등 액체 저장, 제공, 음용 용기이다. 채색 도기는 일반인도 구매 가능했으며, "5~6개 인물 장식 조각은 약 2~3일 임금"이었다.[9] 헬레니즘 시대에는 다양한 도기가 생산되었으나 예술적 중요성은 낮다.

초기에는 작은 그리스 도시들도 자체 도기를 생산했으나, 후기 고대 시대와 초기 고전 시기에는 코린토스아테네가 도기 생산을 지배했다. 이들의 도기는 스페인우크라이나까지 수출되었다.[13] 기원전 5세기경 도기는 산업화되었고, 도기 그림은 더 이상 중요한 예술 형태가 아니었다.

항아리 색상은 소성 기술에 의해 검정, 흰색, 빨강, 노랑으로 제한되었다.

그리스 도기는 도공이나 장인이 서명한 경우가 많지만, 화가 서명은 드물다. 예술적 개성으로 식별 가능한 화가 수백 명이 있으며, 서명이 없는 경우 선택 주제(" 아킬레우스 화가"), 작업 도공(" 클레오프라데스 화가"), 현대 위치(" 베를린 화가") 등으로 명명된다.[14]

2. 1. 역사

고대 그리스 도자기의 역사는 양식에 따라 다음 다섯 시기로 구분된다.[15][16][17][18]

시기특징
원기하학 시대 (기원전 1050년경)추상적인 디자인, 우아하고 컸으며, 칠하지 않은 공간이 많음.
기하학적 미술 시대 (기원전 900년경)기하학적인 패턴으로 표면 대부분을 밀도 있게 덮음. 디필론 거장의 대형 항아리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과 동물의 매우 양식화된 실루엣 형상(특히 말)을 도입. 장례 행렬이나 전투를 묘사.
후기 기하학 또는 아르카익 시대 (기원전 750년경)오리엔탈 시대의 영향으로 그리스에 원래 없었던 신화적인 동물(스핑크스, 사자)이나 동물, 연꽃과 팔메트와 같은 장식 모티프 사용. 이전보다 훨씬 크게 표현. 야생 염소 양식은 지역적 변형으로, 염소를 매우 자주 묘사. 인물은 동방의 영향을 덜 받았지만, 더 커지고 더 자세해짐.
흑색상 도기 시대 (기원전 7세기 초)코린트에서 시작되어 아티카로 유입, 붉은색과 흰색 디테일을 추가하고 윤곽과 세부 사항을 새겨 넣는 방식.
적색상 도기 시대 (기원전 530년경)항아리를 검은색으로 칠하고 인물을 붉은색으로 칠하는 방식. 흑색상 양식을 대체. 때로는 더 큰 용기에도 조각이 새겨짐. 이성애와 남성 동성애 모두 에로틱한 주제가 흔함.



기원전 320년경 아테네와 다른 그리스 중심지에서 정교한 형상 꽃병 그림이 중단되었고, 다색의 케르치 양식이 마지막으로 번성했다. 이는 아마도 대부분의 기능을 금속 세공품으로 대체했을 것이다. 웨스트 슬로프 웨어는 흑유 도기 위에 장식 모티프를 사용하여 1세기 이상 지속되었다.[19] 남부 이탈리아 고대 그리스 도자기는 기원전 300년경에 끝났고, 다음 세기에는 비교적 원시적인 하드라 꽃병(아마도 크레테에서 유래), 켄투리페 도자기(시칠리아에서), 그리고 파나테나이아 아포라는 현재 정형화된 전통으로 남아있으며, 여전히 만들어지는 유일한 큰 그림 꽃병이었다.[20]

플리니우스나 파우사니아스와 같은 저술가들에 따르면 가장 일반적이고 존경받는 예술 형태는 패널 페인팅이었다.[105][106] 사용된 기법은 밀랍 (왁스) 그림과 템페라였다. 초상화와 정물을 포함한 인물 장면을 묘사했으며, 수집되어 공공 장소에 전시되었다. 파우사니아스는 아테네와 델포이에서 그러한 전시회를 묘사한다. 고대 그리스 화가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코스의 아펠레스였다.[105][106]

그리스 패널 페인팅은 재료의 변하기 쉬운 특성으로 인해 거의 남아있지 않다. 로마 시대 이전의 가장 중요한 그리스 예로는 피차 패널,[107] 파에스툼의 잠수부의 무덤, 베르기나의 왕실 무덤에서 나온 그림이 있다. 에트루리아 문명과 캄파니아의 무덤에는 더 많은 그림이 그리스 양식을 기반으로 한다. 로마 시대에는 폼페이와 주변 지역, 로마 자체에도 많은 벽화가 있는데, 그 중 일부는 특정 이전 걸작의 복제품으로 생각된다.[108] 알렉산드로스 모자이크와 빌라 보스코레알레에서 특정 벽화의 복제품이 확인되었다.[109]

파에스툼의 잠수부의 무덤에 있는 심포지엄 장면


그리스의 벽화 전통은 미노아 문명과 미케네 그리스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크노소스, 티린스, 미케네 유적지의 프레스코 장식이 대표적이다. 파우사니아스에는 벽화가 자주 묘사되어 있으며, 많은 벽화가 고전 시대와 헬레니즘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보존된 예로는 칼라포디 사원의 아르카이크 시대 호플리테 전투 장면, 베르기나의 기원전 4세기의 "필립 무덤"과 "페르세포네 무덤"의 프레스코, 테살로니키 아기오스 아타나시오스의 무덤, 야자 무덤 등이 있다. 그리스 벽화 전통은 이탈리아의 그리스 식민지 묘지 장식에도 반영되어 있는데, 파에스툼의 잠수부의 무덤이 대표적이다. 학자들은 폼페이 유적지의 로마 프레스코가 그리스 전통의 후예이며, 일부는 특정 유명 패널 페인팅을 복사한 것이라고 믿는다.[108]

도리스식 신전의 엔타블레이처에 재구성된 색상 구성표

2. 2. 특징

그리스 도기는 주로 액체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화장된 재를 담는 "장례용 단지"와 같은 매장품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5] 코린토스아테네는 도기 생산의 중심지였으며, 이들의 도기는 스페인에서 우크라이나까지 지중해 전역으로 수출되어 지역 도기들을 대체했다.[13]

흑색 그림 도기와 적색 그림 도기는 그리스 화병 그림의 대표적인 스타일로, 기원전 600년부터 350년까지 절정에 달했다.[6] 흑색 그림 도기는 검은색 바탕에 인물을 붉은색으로 묘사하고, 적색 그림 도기는 반대로 붉은색 바탕에 인물을 검은색으로 묘사하는 방식이다. 백색 지면 기법은 더 자유로운 묘사가 가능했지만,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주로 매장용으로 제작되었다.[6]

도공과 화가들은 종종 자신의 작품에 서명을 남겼으며,[14] 이를 통해 우리는 그들의 예술적 개성을 엿볼 수 있다. 서명이 없는 경우, 선택한 주제, 작업한 도공, 또는 현대적인 위치 등으로 화가를 구분한다.[14] 예를 들어 아킬레우스 화가, 클레오프라데스 화가, 베를린 화가 등이 있다.

고대 그리스 도자기의 역사는 양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섯 시기로 구분된다.

시기특징
원기하학 시대 (기원전 1050년경)추상적인 디자인, 크고 우아하며 칠하지 않은 공간이 많음.
기하학 시대 (기원전 900년경)기하학적인 패턴으로 표면 대부분을 덮음. 디필론 거장의 대형 항아리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과 동물의 양식화된 실루엣 형상 도입.
후기 기하학 또는 아르카익 시대 (기원전 750년경)오리엔탈 시대의 영향으로 스핑크스와 사자 같은 신화적인 동물이나 동물이 근동에서 유입되어 연꽃과 팔메트와 같은 장식 모티프와 함께 사용됨.
흑색상 시대 (기원전 7세기 초)코린트에서 시작되어 아티카로 유입, 붉은색과 흰색 디테일을 추가하고 윤곽과 세부 사항을 새겨 넣는 방식.
적색상 시대 (기원전 530년경)흑색상 기법을 뒤집어 항아리를 검은색으로 칠하고 인물을 붉은색으로 칠함.


3. 금속 세공

고대 그리스에서 금속 세공은 중요한 예술 분야였으며, 특히 청동, 은, 금과 같은 귀금속을 사용한 정교한 작품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 소실되어 현재는 그 흔적을 찾기 어렵다. 현존하는 금속 세공품들은 그리스 주변 지역이나 프랑스, 러시아 등 먼 곳에서 발견되었으며, 뛰어난 기술로 만들어진 그릇과 장신구는 널리 수출되었다.[22] 당시 은은 금보다 더 가치 있게 여겨졌으며, 은으로 만든 물건에는 제작자가 무게를 새겨 넣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은이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필요에 따라 판매되거나 다시 녹여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22]

기하학적 시대와 아르카익 시대에는 대형 금속 용기 제작이 활발했으며, 이는 그리스의 창의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표현 수단이었다. 특히 올림피아와 같은 초기 성소에서는 청동으로 만든 수백 개의 삼족 받침 그릇(또는 제물 삼족 받침)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봉납물로 바쳐진 것이다.[23] 이 그릇은 얕은 그릇에 두 개의 손잡이가 있고 세 개의 다리가 솟아 있는 형태였으며, 후기에는 받침과 그릇이 분리되었다. 오리엔탈라이징 시대에는 이러한 삼족 받침에 그리핀, 스핑크스 등 환상적인 생물의 형상을 한 프토메 장식이 추가되었다.[23]

검, 그리스 투구, 근육 흉갑과 같은 갑옷은 청동으로 제작되었으며, 때로는 귀금속으로 장식되기도 했다. 3세기 작품인 크수르 에세프 흉갑이 그 예이다.[24] 아르카익 시대에는 갑옷과 "방패 띠"에 낮은 부조 장면이 새겨진 띠가 사용되었으며, 이는 나무로 만든 물건에도 부착되었다. 빅스 크라테르의 띠가 대표적인 예이다.[25] 광택 처리된 청동 거울은 처음에는 장식된 뒷면과 코레 손잡이가 있었고, 나중에는 경첩이 달린 덮개가 있는 "접는 거울"이 등장했는데, 덮개에는 종종 에로틱한 장면이 부조로 장식되었다.[26]

후기 아르카익 시대부터 금속 세공 기술은 조각 등 다른 예술 분야의 양식적 발전에 발맞춰 발전했다. 피디아스는 금속 세공을 했던 조각가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27] 헬레니즘 시대에는 정교한 기술적 기교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져 "교묘함, 변덕 또는 과도한 우아함"을 추구했다.[28] 그리스 도기 형태는 대부분 금속으로 처음 만들어진 형태에서 유래했으며, 최근에는 가장 훌륭한 꽃병 그림이 조각이 새겨지고 다른 금속으로 도금된 용기를 위해 은세공인들이 디자인한 것을 재사용한 것이라는 견해가 늘고 있다.[29]



대형 청동 용기의 뛰어난 예로는 와인과 물을 섞는 데 사용되는 두 개의 볼루트 크라테르가 있다.[30] 빅스 크라테르는 높이 1.63m, 무게 200kg에 약 1,100리터를 담을 수 있으며, 프랑스에서 발견된 켈트 여성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31] 기원전 4세기 작품인 데르베니 크라테르는 높이가 90.5cm이다.[32] 트라키아인과 스키타이인과 같은 그리스 주변 국가의 엘리트들은 그리스 금속 세공품을 애용했으며, 현지 취향에 맞게 개조한 그리스 금세공인들의 도움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나기슈테 보물, 보로보 보물 및 기타 트라키아 보물과 흑해 그리스 정착지의 예술가들이 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스키타이 매장지 유물들이 이러한 예시이다.[33] 베르기나에 있는 마케도니아 왕릉은 고전 시대와 헬레니즘 시대 경계선에서 최고 품질의 금속 세공품을 생산했다.[34]

그리스 시장을 위한 장신구는 매우 뛰어난 품질을 자랑했으며,[35] 특히 식물 형태를 모방한 정교하고 섬세한 금 화환이 독특한 형태 중 하나였다. 이 화환은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아마도 생전에는 거의 착용하지 않고 봉납물로 바쳐지거나 죽은 사람에게 씌워졌을 것이다.[36] 파이윰 미라 초상화에서 이 화환을 착용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인물을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큰 금 조각을 선호하는 스키타이인들의 영향으로 큰 장신구들이 제작되기도 했다.[37]

3. 1. 주요 작품

고대 그리스의 주요 조각 작품은 주로 돌(특히 대리석)과 청동으로 만들어졌다. 돌 조각은 독립된 조각상이나 부조 형태로, 청동 조각은 밀랍 주조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금과 상아를 사용한 크리세레판틴 조각은 신전 숭배상으로 최고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다.

제우스와 가니메데 테라코타 조각


클레오비스와 비톤

  • '''주요 작품'''
  • 옥세르의 여인
  • 모스포로스
  • 페플로스 코레
  • 스트랭포드 아폴로


이 외에도 다양한 청동 조각상들이 올림피아 등에서 발견되었으며, 동물이나 인간 형상을 묘사했다.

4. 조각

고대 그리스 조각은 인체의 아름다움을 이상적으로 표현하려 했으며, 이는 서양 조각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초기에는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영향을 받았지만, 점차 독자적인 양식을 발전시켰다.

고전 시대에는 아테네 민주주의 도입과 귀족 문화의 종식으로 조각에 혁명이 일어났다. 조각의 양식과 기능에 변화가 생겼으며, 자세는 더욱 자연스러워졌다. (\[\[델포이의 마부]] 참조) 그리스 조각가들은 다양한 자세로 인체를 묘사하는 기술을 발전시켰다. 기원전 500년경부터 조각상은 실제 사람을 묘사하기 시작했다. 하르모디오스와 아리스토게이톤 조각상은 폭군 타도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아테네에 세워졌는데, 이는 실제 인물을 기리는 최초의 공공 기념물이라고 한다.[54]

upright


이 시기에는 조각과 조상이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전과 같은 고전 시대의 웅장한 신전들은 장식적인 프리즈와 박공 조각을 필요로 했다. 이러한 미적, 기술적 도전은 조각 혁신에 많은 자극을 주었다. 이 작품들은 파편으로만 남아 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엘긴 대리석이다.[57]

장례 조각상은 아르카익 시대의 딱딱한 쿠로스에서 고전 시대의 개인적인 가족 그룹으로 변화했다. 이 기념물들은 아테네 교외에서 흔히 발견되며, 죽은 사람이 가족에게 작별 인사를 하는 모습을 묘사하는 등 감동적인 장면을 담고 있다.[58]

고전 시대에는 피디아스가 파르테논 신전을 감독했고, 프락시텔레스는 여성 누드를 처음으로 존중할 만한 것으로 만들었다. 대 플리니우스는 크니도스의 아프로디테를 세계 최고의 조각상이라고 평가했다.[59] 올림피아의 제우스 상과 파르테논 신전의 아테나 파르테노스 상은 크리세레판틴 기법으로 제작되었으며, 피디아스 또는 그의 지휘 아래 제작되었으나 현재는 유실되었다.[60]

폴리클레이토스의 디아두메노스 복제품,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헤르메스, 아마도 리시포스 작품일 가능성,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밀로의 비너스, 기원전 130년~100년, 루브르 박물관, 밀로스 섬에서 발견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그리스 문화가 인도까지 퍼져나가면서 고전기에서 헬레니즘 시대로 전환되었다. 그리스 미술은 다양해졌고, 다른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61] 헬레니즘 조각가들의 기술적 능력은 사모트라케의 니케, 페르가몬 제단과 같은 작품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조각은 더욱 자연스럽고 표현적으로 변했으며, 감정 묘사에 관심을 가졌다. 일반인, 여성, 어린이, 동물, 가정생활 등이 조각의 주제가 되었다. ''가시를 든 소년''이 그 예이다. 사실적인 초상화가 제작되었고, 조각가들은 더 이상 미적 이상으로 사람들을 묘사할 의무를 느끼지 않았다.[64]

''사모트라케의 니케''(기원전 2세기 또는 1세기), 밀로스 섬에서 온 아프로디테 조각상인 ''밀로의 비너스''(기원전 2세기 중반), 죽어가는 갈리아인(기원전 230년경), ''라오콘 군상''(기원전 1세기 후반)은 헬레니즘 조각상의 예시이다. 이들은 고전적인 주제를 묘사하지만, 더 감각적이고 감정적이다. 여러 인물로 구성된 조각상 그룹은 헬레니즘 시대의 혁신이었다. 페르가몬 제단의 부조가 원본 생존물이며, 죽어가는 갈리아인 등은 아탈로스 1세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한 조각으로 여겨진다.[67]

사모트라케의 니케(헬레니즘), 루브르 박물관, 파리


점토는 미노스 문명 이전부터 로마 시대까지 부조상이나 우상을 만드는 데 자주 사용되는 재료였다. 기원전 8세기 보이오티아의 무덤에는 종종 "종 모양 우상"이 있는데, 다리가 움직이는 여성 조각상이다.[74] 헬레니즘 시대에는 타나그라 조각상처럼 틀을 사용하여 대량 생산된 테라코타 조각상이 유행했으며, 유행하는 옷을 입은 여성, 배우 등이 새로운 주제였다. 알렉산드리아 등에서는 기형적인 인물을 묘사한 그로테스크한 조각상들이 제작되었다.[75]

4. 1. 재료와 형태

고대 그리스 조각가들은 주로 대리석과 청동을 사용하여 작품을 만들었다. 특히 대리석은 흰색의 아름다움과 조각하기 좋은 성질 때문에 널리 사용되었다. 청동은 튼튼하고 가벼워서 역동적인 자세를 표현하는 데 적합했다. 키클라데스 미술에서는 인간 형상을 단순화하여 표현하였는데, 코, 눈, 여성의 가슴 정도만 조각하고, 나머지는 채색으로 표현하였다.[48][49]

아르카이크 시대에는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영향을 받아 석조 조각이 다시 시작되었다. 독립된 조각상은 동방 모델의 견고함과 정면 자세를 공유하지만, 옥세르의 여인과 헤라의 토르소처럼 더 역동적인 형태를 띠었다. 기원전 575년경부터는 아르카이크 미소를 띤 조각상들이 나타났는데, 이는 인물에 독특한 인간적 특징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였다.[50]

대표적인 조각상 유형으로는 서 있는 누드 청년상인 쿠로스와 옷을 입은 소녀상인 코레, 그리고 앉아 있는 여인상이 있었다. 이들은 인간 해부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점차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아나비소스 쿠로스는 이전 작품보다 근육과 골격 구조가 더 잘 드러나 있다. 코레는 옷감의 섬세한 표현이 특징이다.[52]

아르테미시온 청동상은 기원전 46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포세이돈 또는 제우스의 모습을 담고 있다.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장품이다. 이 고전 조각의 걸작은 1928년 아르테미시온 곶 근해에서 어부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높이가 2m가 넘는다.


고전 시대에는 아테네 민주주의의 도입과 함께 조각의 양식과 기능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델포이의 마부처럼 자세가 자연스러워지고, 인체를 다양한 자세로 묘사하는 기술이 발전했다. 하르모디오스와 아리스토게이톤 조각상처럼 실제 인물을 묘사하는 경우도 나타났다.[54]

장례 조각상은 아르카이크 시대의 딱딱한 쿠로스에서 고전 시대의 개인적인 가족 그룹으로 변화했다. 이러한 기념물은 아테네 교외에서 흔히 발견되며, 죽은 사람이 가족에게 작별 인사를 하는 모습을 묘사하는 등 감동적인 장면을 담고 있다.[58]

헬레니즘 시대에는 조각이 더욱 다양해지고 표현적으로 변했다. 사모트라케의 니케, 페르가몬 제단과 같은 작품에서 헬레니즘 조각가들의 뛰어난 기술을 볼 수 있다. 일반 사람들, 여성, 어린이, 동물, 가정생활과 같은 다양한 주제가 등장했으며, 가시를 든 소년과 같이 사실적인 초상화도 제작되었다.[64]

조개 안에 있는 아프로디테 모양의 도기; 고대 그리스 아티카, 파나고리아 묘지, 타만 반도(보스포루스 왕국, 러시아 남부)에서 발견됨, 기원전 4세기 1/4분기, 에르미타주 박물관, 상트페테르부르크.


점토는 부조상이나 우상을 만드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 보이오티아의 무덤에서는 종종 "종 모양 우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다리가 움직이는 여성 조각상으로, 몸 전체에 비해 머리가 작고 긴 목 끝에 자리 잡고 있으며, 몸은 종 모양으로 매우 풍만하다.[74] 헬레니즘 시대에는 타나그라 조각상처럼 틀을 사용하여 대량 생산된 테라코타 조각상이 유행했으며, 유행하는 옷을 입은 여성, 배우, 인형 등이 새로운 주제였다. 알렉산드리아, 스미르나, 타르수스와 같은 도시에서는 기형적인 인물을 묘사한 그로테스크한 조각상들이 제작되었다.[75]

때로는 금과 상아를 결합한 크리셀레판틴 기법도 사용되었다. 피디아스가 제작한 올림피아의 제우스 상과 파르테논 신전의 아테나 파르테노스 상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작품들은 현재 유실되었지만, 복제품과 기록을 통해 그 웅장함을 짐작할 수 있다.[60]

독립된 조각상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프리즈나 스텔레를 장식하는 부조도 많이 제작되었다. 아르카이크 부조는 많은 무덤과 포체 델 셀레의 건물, 델포이의 시프노스 보물창고에서 발견되었다. 아르테미스 신전, 코르푸와 아테네의 고대 아테나 신전의 박공벽 조각도 남아 있다.[53] 고전 시대의 신전들은 장식적인 프리즈와 원형 조각으로 꾸며졌는데, 엘긴 대리석이 대표적인 예시이다.[57]

4. 2. 시기별 발전



아르카익 시대에는 이집트메소포타미아의 영향을 받아 석조 조각이 다시 시작되었다. 그리스 조각은 동방 모델의 견고함과 정면 자세를 공유하지만, 옥세르의 여인과 헤라의 토르소에서 볼 수 있듯이 형태는 더 역동적이다. 기원전 575년경부터 조각상들은 아르카이크 미소를 띠었는데, 이는 묘사된 인물이나 상황과 관련 없이 인간적인 특징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였을 수 있다.[50]

''페르시아의 잔해''는 그리스에 대한 제2차 페르시아 원정 동안 기원전 480/479년 아테네의 파괴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르카이크 조각에 대한 명확한 연대 표식을 제공한다.


이 시기에는 서 있는 누드 청년상(쿠로스), 서 있는 옷을 입은 소녀상(코레), 드물게는 앉아 있는 여인상이 주를 이루었다. 이들은 인간 형상의 특징을 강조하고 일반화하며, 해부학에 대한 이해가 점차 정확해졌다. 아나비소스 쿠로스와 같이 후기 작품에서는 근육과 골격 구조가 더 잘 드러난다. 코레 조각상은 아테네 아크로폴리스 박물관의 조각상처럼 다양한 표현을 보이며, 옷감은 섬세하고 꼼꼼하게 조각되고 칠해졌다.[52]

고전 시대에는 아테네 민주주의 도입과 귀족 문화의 종식으로 조각에 혁명이 일어났다. 자세는 더욱 자연스러워졌고(델포이의 마부 참조), 인체를 묘사하는 기술이 향상되었다. 기원전 500년경부터 조각상은 실제 사람을 묘사하기 시작했다. 하르모디오스와 아리스토게이톤 조각상은 실제 인물을 기리는 최초의 공공 기념물이었다.[54]

파르테논 신전,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전과 같은 신전들은 장식적인 프리즈와 박공 조각을 필요로 했다. 장례 조각상은 아르카익 시대의 쿠로스에서 고전 시대의 가족 그룹으로 변화했으며, 죽은 사람이 가족에게 작별 인사를 하는 모습을 묘사하는 경우가 많았다.[58] 피디아스는 파르테논 신전을 감독했고, 프락시텔레스는 후기 고전 시대에 여성 누드를 처음으로 존중할 만한 것으로 만들었다. 대 플리니우스는 크니도스의 아프로디테를 세계 최고의 조각상이라고 평가했다.[59]

헬레니즘 시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그리스 문화가 인도까지 퍼져나가면서 시작되었다. 그리스 미술은 다양해졌고, 다른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61] 사모트라케의 니케, 페르가몬 제단과 같은 작품에서 헬레니즘 조각가들의 기술적 능력이 드러난다. 조각은 더욱 자연스럽고 표현적으로 변했으며, 감정의 극단을 묘사하는 데 관심을 가졌다. 일반 사람들, 여성, 어린이, 동물, 가정 생활 장면 등이 조각의 주제가 되었다. 가시를 든 소년이 그 예이다. 사실적인 초상화가 제작되었고, 조각가들은 더 이상 미적 이상이나 육체적 완벽함으로 사람들을 묘사할 의무를 느끼지 않았다.[64]

디오니소스의 세계는 이전에는 항아리 그림과 조각상에서 자주 묘사되었지만, 실제 크기의 조각에서는 거의 묘사되지 않았다. 이제 바르베리니 파우누스, 벨베데레 토르소, ''휴식하는 사티로스''와 같은 작품들이 만들어졌다. 푸리에티 켄타우로스와 ''잠자는 헤르마프로디토스''는 관련된 주제를 반영한다.[65] 이집트, 시리아, 아나톨리아 전역에 세워진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들은 그리스 신과 영웅을 묘사하는 조각상을 필요로 했다. 이로 인해 조각은 산업화되었고, 표준화와 품질 저하가 나타났다.

''사모트라케의 니케'', ''밀로의 비너스'', 죽어가는 갈리아인, ''라오콘 군상'' 등은 헬레니즘 조각상의 예시이다. 이들은 고전적인 주제를 묘사하지만, 더 감각적이고 감정적이다. 여러 인물로 구성된 조각상 그룹은 헬레니즘 시대의 혁신이었다. 페르가몬 제단의 부조가 원본 생존물이며, 죽어가는 갈리아인과 루도비시 갈리아인 등은 아탈로스 1세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한 조각으로 여겨진다.[67]

5. 건축

고대 그리스 건축은 신전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도리아식, 이오니아식, 코린트식 등 세 가지 주요 양식이 특징이다.

이탈리아 파에스툼에 있는 두 개의 초기 도리아식 그리스 신전


잘 보존된 후기 도리아식, 기원전 5세기 후반의 아테네 헤파이스토스 신전


건축은 미케네 그리스 시대(기원전 1200년경) 말부터 7세기까지 그리스에서 중단되었다가, 도시 생활과 번영이 회복되면서 다시 시작되었다. 초기 그리스 건축물은 대부분 나무나 흙벽돌로 만들어져 현재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그리스 건축에 대한 지식은 후기 시대의 현존하는 건물과 비트루비우스(기원전 1세기)와 같은 후기 문헌에서 얻을 수 있다.[77]

그리스 건축은 대부분 중력으로만 유지되는 포스트 앤 린텔 건설 시스템을 사용했다. 코벨링은 미케네 그리스에서, 아치는 기원전 5세기부터 알려졌지만, 로마 시대까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78] 나무는 석조 건물의 천장과 지붕에만 사용되었고, 테라코타 지붕 타일은 지붕 경사를 낮게 만들었다.[79]

헬레니즘 시대까지 공공 건물만 석조 양식을 사용했는데, 신전과 보물 건물이 대표적이며, 델포이에 많이 지어졌다. 지붕이 없는 건물로는 아고라, 스토아, 극장, 체육관, 팔레스트라, 에클레시아스테리온, 불레테리온, 프로필라이아 등이 있었다.[80] 둥근 건물은 톨로스라고 불렀으며,[81] 가장 큰 석조 구조물은 방어용 도시 성벽이었다.

무덤은 그리스 세계 변두리, 특히 아나톨리아에서 묘소로 만들어졌다.[82] 개인 주택은 안뜰 주변에 지어졌고, 2층이 있기도 했지만 지하실은 거의 없었다.[83] 헬레니즘 시대의 궁전도 발굴되었다.[84]

델포이에 있는 재건된 아테네 보물관


신전 등 일부 건물은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입구 앞이나 모든 면에 기둥을 세웠다.[85] 대리석은 비싼 건축 자재여서 주로 조각 장식에 사용되었고, 아테네파르테논 신전과 같은 웅장한 건물에 구조적으로 사용되었다.[86]

그리스 건축에는 도리아식과 이오니아식이라는 두 가지 주요 고전 양식이 있었고, 코린트식은 고전 시대에 나타났지만 로마 시대까지 지배적이지 못했다. 세 양식의 가장 큰 특징은 기둥의 주두이며, 디자인과 장식에서도 차이가 있다.[87] 도리아식은 본토 그리스와 이탈리아의 그리스 식민지에서, 이오니아식은 현재 터키 서해안의 이오니아 도시와 일부 에게해 섬에서 사용되었다.[89] 도리아식은 더 공식적이고 엄격했으며, 이오니아식은 더 편안하고 장식적이었다. 코린트식은 이오니아식의 후기 발전으로, 처음에는 건물 내부에만 사용되었으며, 주두를 제외한 모든 것에 이오니아 형식을 사용했다.[90]

파르테논 신전헤파이스토스 신전은 도리아식, 에레크테이온은 이오니아식 건물이다. 이오니아식은 헬레니즘 시대에 지배적이었는데, 그 이유는 더 장식적인 스타일이 이 시대의 미학에 더 잘 맞았기 때문이다. 에페소스와 페르가뭄과 같은 도시의 터키에서 켈수스 도서관과 같은 가장 잘 보존된 헬레니즘 건물을 볼 수 있다.[91]

5. 1. 주요 건축물

6. 회화

마케도니아 무덤 프레스코, 테살로니키 아기오스 아타나시오스, 기원전 4세기.


그리스인들은 조각보다 회화를 더 중요하게 여겼으며, 헬레니즘 시대에는 그림을 이해하고 그리는 것이 교양 교육의 일부가 되었다. 엑프라시스는 예술 작품을 묘사하는 문학 형식으로, 그리스 회화와 화가에 대한 상당한 양의 문헌이 존재하지만, 언급된 예술가들의 논문은 남아 있지 않다.[101]

도자기 그림은 문헌에 언급되지 않았지만, 10만 점이 넘는 현존 사례를 통해 당시 회화 양식을 짐작할 수 있다. 최고의 그리스 회화는 도자기 그림, 후기 그레코-로마 모자이크와 프레스코 사본, 그리스 전통 회화의 매우 후기 사례, 고대 문헌을 통해 추론해야 한다.[103]

고대 그리스에는 여러 회화 전통이 있었고, 기술적 차이로 인해 발전 양상이 달랐다. 초기 회화는 도자기 그림과 유사하게 윤곽선과 평면적인 색상 영역에 의존했지만, 도자기 그림이 쇠퇴할 무렵 발전했다. 헬레니즘 시대 말기에는 형태 윤곽을 나타내는 모델링, 그림자, 단축법, 원근법, 내부 및 풍경 배경, 풍경에서 거리를 암시하기 위한 색상 변화 사용 등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졌다.[104]

6. 1. 주요 기법

그리스인들은 조각보다 그림을 더 중요하게 여겼으며, 헬레니즘 시대에는 그림에 대한 이해와 그림 그리는 것 자체가 교양 교육의 구성 요소였다. 엑프라시스는 예술 작품 묘사로 구성된 문학 형식으로, 그리스 회화와 화가에 대한 상당한 양의 문헌이 존재한다. 그러나 언급된 예술가들의 논문은 남아 있지 않으며, 나무 패널이나 프레스코로 그린 그림, 그리스 조각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사본도 거의 없다.[101]

도자기 그림은 문헌에 언급이 없지만, 10만 점이 넘는 현존 사례가 존재한다.[102] 최고의 그리스 회화에 대한 이해는 도자기 그림의 유사점, 후기 그레코-로마 모자이크와 프레스코의 사본, 그리스 전통 회화의 매우 후기 사례, 고대 문헌을 통해 추론해야 한다.[103]

고대 그리스에는 여러 회화 전통이 있었으며, 기술적 차이로 인해 발전 양상이 달랐다. 초기 회화는 도자기 그림과 유사하게 윤곽선과 평면적인 색상 영역에 의존했지만, 도자기 그림이 쇠퇴할 무렵 발전했다. 헬레니즘 시대 말기에는 형태의 윤곽을 나타내는 모델링, 그림자, 단축법, 아마도 부정확한 형태의 원근법, 내부 및 풍경 배경, 풍경에서 거리를 암시하기 위한 색상 변화 사용 등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져 "그리스 예술가들은 완전한 환영주의 회화에 필요한 모든 기술적 장치를 갖추었다".[104]

6. 2. 다색성

고대 그리스 미술에서 조각상은 강렬하고 밝은 색으로 칠해졌으며, 이를 "다색성"이라고 한다. 페인트는 주로 의복, 머리카락 등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고, 피부는 돌이나 청동의 자연스러운 색을 유지했다. 하지만 조각상 전체를 채색하는 경우도 있었다. 대리석 조각상의 경우, 여성의 피부는 무색으로, 남성의 피부는 옅은 갈색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스 조각상의 채색은 단순히 조각된 형태를 꾸미는 것을 넘어, 뚜렷한 예술 스타일의 특징을 보여준다.[115]

아이기나의 아파이아 신전 박공 조각상은 대담하고 정교한 패턴으로 채색되었으며, 특히 의복의 무늬를 묘사하는 데 공을 들였다. 이처럼 석상에 다색성을 부여하는 것은 금상아 조각에서 피부, 의복 등의 세부 요소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또한, 리체 청동상과 같이 উচ্চ 품질의 청동상에서 입술, 손톱 등을 묘사하기 위해 다양한 금속을 사용한 것과도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1]

아이기나의 아파이아 신전에서 출토된 트로이 궁수의 재구성된 색상 계획.

7. 모자이크

모자이크는 처음에는 둥근 조약돌로 만들어졌지만, 이후에는 더 많은 색상과 평평한 표면을 제공하는 테세라를 사용한 유리가 사용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에 궁전의 바닥 장식으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나중에는 개인 주택에도 사용될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118] 중앙 패널에 있는 중앙 ''엠블레마'' 그림은 주변 장식보다 훨씬 정교하게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다.[119] 손님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음식의 예를 보여주는 제노필리아 모티프는 그리스 정물화의 현존하는 표본 중 상당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모자이크는 알렉산드로스 모자이크와 같이 종종 매우 직접적으로 그림을 복제하는 2차 매체로 간주되어야 한다.[120]

페르가몬의 소소스의 ''쓸지 않은 바닥''은 많은 그리스-로마 복사본으로 알려진 독창적이고 유명한 ''트롱프뢰유'' 작품이었다. 존 보드만에 따르면, 소소스는 이름이 남아 있는 유일한 모자이크 예술가이며, 그의 ''비둘기''도 문헌에 언급되고 복제되었다.[121] 그러나 캐서린 M. D. 던바빈은 두 명의 다른 모자이크 예술가가 델로스 모자이크에 서명을 남겼다고 주장한다.[122] 기원전 4세기의 사슴 사냥 모자이크의 예술가는 그노시스로 서명을 남겼을 수 있지만, 이 단어는 지식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언급하는 것일 수도 있다.[123]

모자이크는 현존하는 마케도니아 예술의 중요한 요소이며, 오늘날 중앙 마케도니아에 있는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수도인 펠라의 유적에서 많은 사례가 보존되어 있다.[124] "사슴 사냥 모자이크와 사자 사냥" 모자이크와 같은 모자이크는 헬레니즘 회화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환상적이고 3차원적인 품질을 보여주지만, 사냥이라는 소박한 마케도니아의 추구는 다른 주제보다 훨씬 두드러진다.[125] 그리스 델로스의 기원전 2세기 모자이크는 프랑수아 샤무에 의해 헬레니즘 모자이크 예술의 정점을 대표하며, 유사한 스타일은 로마 모자이크 시대를 거쳐 중세까지 서구에서 모자이크의 광범위한 사용의 기초를 마련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118]



페르가몬의 소소스의 모자이크인 ''쓸지 않은 바닥''의 로마 시대 복제품.


그리스 델로스의 "보석 구역"에서 발견된 아테나를 묘사한 가옥 바닥의 모자이크, 기원전 2세기 말 또는 1세기 초

8. 각인 보석

각인 보석은 고대 그리스에서 높은 명성을 얻었던 고급 예술이었다. 폼페이우스와 율리우스 카이사르도 각인 보석 수집가였다.[128] 이 기법은 고대 근동에서 유래되었으며, 디자인이 젖은 점토 위에서 굴릴 때만 나타나는 원통형 인장에서 평평한 반지 유형이 개발되어 그리스키프로스를 포함한 미노아 세계로 퍼져나갔다. 그리스 전통은 헬라드 문화에 대한 미노아의 영향 아래 등장했으며, 헬레니즘 시대에 정교함과 세련미의 절정에 이르렀다.[129]

8세기와 7세기 BC부터 둥글거나 타원형의 그리스 보석(뼈와 상아로 된 유사한 물건과 함께)이 발견되며, 보통 역동적인 기하학적 자세의 동물, 종종 점이나 테두리로 표시된 테두리가 있다.[130] 초기 예는 대부분 더 부드러운 돌로 만들어졌다. 6세기 보석은 더 자주 타원형이며,[131] 딱정벌레 뒷면(과거에는 이 유형을 "스카라배우스"라고 불렀음)과 동물뿐만 아니라 인간 또는 신성한 인물이 있다. 딱정벌레 형태는 분명히 페니키아에서 채택되었다.[132]

보석의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형태는 정교하다. 5세기에는 보석이 다소 커졌지만 여전히 높이가 2~3cm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상화일 수도 있는 한 남성 머리의 속눈썹을 포함한 매우 세밀한 디테일이 보여진다. 키오스의 덱사메노스가 서명한 4개의 보석은 이 시대 최고의 작품으로, 그중 2개는 왜가리를 보여준다.[133]

5세기 BC 그리스에서는 부조 조각이 흔해졌고, 점차적으로 화려한 조각 보석의 대부분이 부조로 만들어졌다. 일반적으로 부조 이미지는 음각 이미지보다 더 인상적이다. 이전 형태에서는 문서 수신자가 인쇄된 밀랍에서 이를 보았고, 이후 부조에서는 봉인을 소유한 사람이 수집하거나 보석 펜던트로 목걸이 등에 착용하기 위해 보관했으며, 봉인으로 사용하기보다는 - 나중에는 편지를 봉인하기에는 다소 컸다. 그러나 비문은 일반적으로 여전히 반전("거울 문자")되어 인상에만 올바르게 읽히도록 되어 있다(또는 투명한 돌로 뒤에서 볼 때).

아테네의 아폴로니오스, 석류석에 새겨진 초상화가 있는 금반지, 기원전 220년경


음각 형태로는 드문 더 큰 경옥 조각과 카메오는 3세기경 그리스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파르네세 타자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주요 헬레니즘 시대의 예시이지만(곤자가 카메오와 프톨레마이오스 컵의 연대에 따라 다름), 초상화가 있는 다른 유리 주조 모조품은 보석형 카메오가 이 시대에 만들어졌음을 시사한다.[134] 알렉산드로스의 정복은 그리스 세계로 새로운 무역로를 열었고, 이용 가능한 보석의 범위를 넓혔다.[135]

9. 장식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단순한 기하학적 무늬와 동쪽에서 수입된, 주로 식물을 기반으로 한 무늬가 결합되어 다양한 장식 어휘가 만들어졌다. 예술가와 장인들은 이러한 장식들을 자신감 있고 유창하게 사용했다.[136] 오늘날 이러한 장식은 채색 도자기와 건축 유물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원래는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이후 유럽 신고전주의에서 사용된 방식과 유사하다.

이러한 장식 어휘에는 기하학적인 메안더 또는 "그리크 키", 알과 다트, 구슬과 릴, 비트루비안 스크롤, 기요셰 등이 있다. 또한, 식물에서 따온 양식화된 아칸서스 잎, 소용돌이 장식, 팔메트 및 하프 팔메트, 다양한 종류의 식물 스크롤, 로제트, 연꽃, 파피루스 꽃 등도 포함된다. 이러한 장식은 원래 아르카익 시대의 항아리에 두드러지게 사용되었지만, 인물화가 발전하면서 항아리의 가장자리나 장식의 다른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137] 그리스 건축은 이러한 모티프를 조화롭게 통합하여 몰딩 및 기타 건축 장식 요소를 사용하는 정교한 관례를 개발한 것으로 유명하다.

고전 시대 이전에도 이 장식 어휘는 켈트 미술에 영향을 미쳤다. 알렉산더 대왕 이후 그리스 세계가 확장되고 그리스 물품이 수출되면서 유라시아의 많은 지역, 특히 불교가 확장되고 그리스-불교 미술이 창조된 인도 아대륙 북부 지역에 이 어휘가 전해졌다. 불교가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 및 동아시아로 퍼지면서 종교 미술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형태로 이 어휘의 변형이 함께 전파되었다. 이는 부처와 다른 종교적 이미지를 둘러싸는 데 사용되었으며, 고대 그리스인에게는 과도해 보였을 크기와 강조를 나타냈다. 이 어휘는 비잔틴 미술에서 더욱 발전했을 뿐만 아니라 인도, 중국, 페르시아 및 기타 아시아 국가의 장식에 흡수되었다.[138] 로마인들은 이 어휘를 거의 그대로 가져갔으며, 비록 많이 변경되었지만 유럽 중세 미술 전체, 특히 식물 기반의 장식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이슬람 미술에서는 장식이 인물화를 대체하면서, 비잔틴 식물 스크롤을 완전하고 끝없는 아라베스크로 발전시켰다. 특히 몽골 제국의 14세기 정복 이후 중국으로부터 그리스 어휘의 후손을 포함한 새로운 영향을 받았다.[139] 르네상스 시대부터 이러한 아시아 스타일 중 여러 가지가 유럽으로 수입된 직물, 도자기 및 기타 상품에 나타났으며, 현재까지도 이러한 과정이 계속 진행되면서 그곳의 장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10. 기타 예술



유리는 기원전 9세기경 키프로스에서 만들어졌으며 이 시기 말경에 상당히 발전했지만, 그리스-로마 시대 이전의 유리 세공품 중 최고 수준의 예술적 품질을 보여주는 것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140] 대부분의 유물은 "깃털" 스타일의 작은 향수병으로, 다른 지중해 유리와 유사하게 화려한 색상을 띠고 있다.[141] 헬레니즘 시대 유리는 더 저렴해져서 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스 가구는 남아 있지 않지만, 헤게소의 묘비와 같은 꽃병과 기념 부조에 많은 그림이 있다. 18세기부터 파생된 스타일과 마찬가지로 그리스 가구는 매우 우아했던 것으로 보인다. 베르기나에서처럼 상감으로 사용된 조각된 상아 조각과 몇몇 상아 조각이 남아 있는데, 이것들은 매우 훌륭한 품질을 가질 수 있는 고급 예술이었다.[142]

그리스인들이 종종 정교한 패턴의 옷을 입었다는 것은 꽃병 그림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며, 직조 기술은 존경받는 여성의 표식이었다.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의 무덤에서는 두 개의 호화로운 천 조각이 발견되었다.[143] 집과 사원 모두를 위한 장식용 걸이에 대한 수많은 언급이 있지만, 실제로 남아있는 것은 없다.

11. 영향 및 유산

고대 그리스 미술은 서양 문화, 특히 인체 묘사 방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서양에서는 그리스 건축이 큰 영향을 미쳤고, 동서양 모두에서 그리스 장식의 영향은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에트루리아 미술로마 미술은 대부분 그리스 미술에서 직접 영향을 받았으며,[144] 그리스의 예술품과 영향력은 알프스 북쪽의 켈트 미술뿐만 아니라 지중해 세계와 페르시아까지 미쳤다.[146]

동쪽에서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으로 그리스, 중앙아시아, 인도 문화 간의 교류가 수 세기 동안 이어졌으며, 이는 불교의 확산으로 더욱 활발해졌다. 불교는 초기에 그레코-불교 미술에서 많은 그리스적 특징과 양식을 받아들였고, 이는 문화적 요소의 일부로 동아시아, 심지어 일본까지 전파되었다. 이 예술가들은 자신들이 사용한 양식과 모티프의 기원을 전혀 몰랐을 것이다.[147]

그레코-불교의 간다라 부조, 신자들이 바나나 잎을 들고 있으며, 헬레니즘 양식으로 코린트식 기둥 안에 있으며, 서기 1~2세기, 파키스탄, 스와트,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소장


유럽 르네상스 이후, 인문주의 미학과 그리스 미술의 높은 기술적 수준은 유럽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18세기 중반 신고전주의 운동에서 크게 부활했다. 이는 서유럽에서 그리스 자체로의 접근이 쉬워지고, 파르테논 신전에서 가져온 엘긴 마블을 비롯한 그리스 원본의 수입이 재개되면서 동시에 일어났다. 19세기까지 고전주의 전통은 서양 세계의 예술을 지배했다.[148]

요한 요아힘 빈켈만의 저술, 특히 《회화와 조각에서 그리스 작품 모방에 대한 생각》(1750)과 《고대 예술사》(1764)는 고대 그리스, 에트루리아, 로마 미술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그리스 미술 내에서 성장, 성숙, 모방 또는 쇠퇴의 시기를 정의하여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시기를 정의한 최초의 작품이었다.[150]

참조

[1] 문서 Boardman, 3–4; Cook, 1–2
[2] 문서 Cook, 12
[3] 문서 Cook, 14–18
[4] 문서 Athena wearing the aegis, detail from a scene representing Heracles and Iolaos escorted by Athena, Apollo and Hermes. Belly of an [[Athens|Attic]] black-figured hydria, Cabinet des Médailles, Paris, Inv. 254.
[5] 웹사이트 Home page http://www.cvaonline[...] 2019-05-18
[6] 문서 Cook, 24–26
[7] 문서 Cook, 27–28; Boardman, 26, 32, 108–109; Woodford, 12
[8] 문서 Preface to Ancient Greek Pottery Ashmolean Handbooks 1991
[9] 문서 Boardman, 86, quoted
[10] 문서 Cook, 24–29
[11] 문서 Apollo wearing a laurel or myrtle wreath, a white peplos and a red himation and sandals, seating on a lion-pawed diphros; he holds a kithara in his left hand and pours a libation with his right hand. Facing him, a black bird identified as a pigeon, a jackdaw, a crow (which may allude to his love affair with Coronis) or a raven (a mantic bird). Tondo of an Attic white-ground kylix attributed to the Pistoxenos Painter (or the Berlin Painter, or Onesimos). Diam.
[12] 문서 Cook, 30, 36, 48–51
[13] 문서 Cook, 37–40, 30, 36, 42–48
[14] 문서 Cook, 29; Woodward, 170
[15] 문서 Boardman, 27; Cook, 34–38; Williams, 36, 40, 44; Woodford, 3–6
[16] 문서 Cook, 38–42; Williams, 56
[17] 문서 Woodford, 8–12; Cook, 42–51
[18] 문서 Woodford, 57–74; Cook, 52–57
[19] 문서 Boardman, 145–147; Cook, 56-57
[20] 서적 Red Figure Vases of South Italy: A Handbook Thames and Hudson 1989-04
[21] 문서 Boardman, 185–187
[22] 문서 Boardman, 150; Cook, 159; Williams, 178
[23] 문서 Cook, 160
[24] 문서 Cook, 161–163
[25] 문서 Boardman, 64–67; Karouzou, 102
[26] 문서 Karouzou, 114–118; Cook, 162–163; Boardman, 131–132
[27] 문서 Cook, 159
[28] 문서 Cook, 159, quoted
[29] 문서 Rasmussen, xiii. However, since the metal vessels have not survived, "this attitude does not get us very far".
[30] 간행물 Ancient Greek Bronze Vessels http://www.metmuseum[...]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
[31] 문서 Cook, 162; Boardman, 65–66
[32] 문서 Boardman, 185–187; Cook, 163
[33] 문서 Boardman, 131–132, 150, 355–356
[34] 문서 Boardman, 149–150
[35] 문서 Boardman, 131, 187; Williams, 38–39, 134–135, 154–155, 180–181, 172–173
[36] 문서 Boardman, 148; Williams, 164–165
[37] 문서 Boardman, 131–132; Williams, 188–189 for an example made for the Iberian Celtic market.
[38] 문서 Rhyton. The upper section of the luxury vessel used for drinking wines is wrought from silver plate with gilded edge with embossed ivy branch. The lower part goes in the cast Protoma horse. The work of the Greek master, probably for Thracian aristocrat. Perhaps Thrace, the end of the 4th century BC. NG Prague, Kinský Palace, NM-HM10 1407.
[39] 문서 Cook, 19
[40] 문서 Woodford, 39–56
[41] 문서 Cook, 82–85
[42] 문서 Smith, 11
[43] 문서 Cook, 86–91, 110–111
[44] 문서 Cook, 74–82
[45] 서적 Chryselephantine Statuary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6] 문서 Cook, 74–76
[47] 문서 Boardman, 33–34
[48] 논문 Ashmawy, Aiman, Simon Connor, and Dietrich Raue 2019. Psamtik I in Heliopolis. Egyptian Archaeology 55, 34-39. https://www.academia[...] 2019-01-01
[49]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8-01-01
[50] 문서 Cook, 99; Woodford, 44, 75
[51] 문서 Cook, 93
[52] 문서 Boardman, 47–52; Cook, 104–108; Woodford, 38–56
[53] 문서 Boardman, 47–52; Cook, 104–108; Woodford, 27–37
[54] 문서 Boardman, 92–103; Cook, 119–131; Woodford, 91–103, 110–133
[55] 서적 The Invention of Art History in Ancient Greece: Religion, Society and Artistic Rationalis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56] 논문 Themistocles at Magnesia 1988
[57] 문서 Boardman, 111–120; Cook, 128; Woodford, 91–103, 110–127
[58] 문서 Boardman, 135, 141; Cook, 128–129, 140; Woodford, 133
[59] 문서 Woodford, 128–134; Boardman, 136–139; Cook, 123–126
[60] 문서 Boardman, 119; Woodford, 128–130
[61] 문서 Smith, 7, 9
[62] 문서 Smith, 11, 19–24, 99
[63] 문서 Smith, 14–15, 255–261, 272
[64] 문서 Smith, 33–40, 136–140
[65] 문서 Smith, 127–154
[66] 문서 Smith, 77–79
[67] 문서 Smith, 99–104; Photo of ''Kneeling youthful Gaul'', Louvre
[68] 문서 Smith, 104–126
[69] 문서 Smith, 240–241
[70] 문서 Smith, 258-261
[71] 문서 Smith, 206, 208-209
[72] 문서 Smith, 210
[73] 문서 Smith, 205
[74] 웹사이트 Bell idol http://www.louvre.fr[...]
[75] 문서 Williams, 182, 198–201; Boardman, 63–64; Smith, 86
[76] 문서 Williams, 42, 46, 69, 198
[77] 문서 Cook, 173–174
[78] 문서 Cook, 178, 183–184
[79] 문서 Cook, 178–179
[80] 문서 Cook, 184–191; Boardman, 166–169
[81] 문서 Cook, 186
[82] 문서 Cook, 190–191
[83] 문서 Cook, 241–244
[84] 문서 Boardman, 169–171
[85] 문서 Cook, 185–186
[86] 문서 Cook, 179–180, 186
[87] 문서 Cook, 193–238 gives a comprehensive summary
[88] 문서 Cook, 191–193
[89] 문서 Cook, 211–214
[90] 문서 Cook, 218
[91] 문서 Boardman, 159–160, 164–167
[92] 웹사이트 another reconstruction http://ancient-greec[...]
[93] 문서 Howgego, 1–2
[94] 문서 Cook, 171–172
[95] 문서 Howgego, 44–46, 48–51
[96] 문서 Boardman, 68–69
[97] 서적 Coinage in the Greek World https://books.google[...] Seaby 1988
[98] 문서 Howgego, 63–67
[99] 문서 Williams, 112
[100] 문서 Roger Ling, "Greece and the Hellenistic World"
[101] 문서 Cook, 22, 66
[102] 문서 Cook, 24, says over 1,000 vase-painters have been identified by their style
[103] 문서 Cook, 59–70
[104] 문서 Cook, 59–69, 66 quoted
[105] 웹사이트 Natural History https://www.perseus.[...] Tufts University 2017-03-23
[106] 서적 A Companion to Greek Studies 1916
[107] 문서
[108] 문서
[109] 문서
[110] 문서
[111] 문서
[112] 논문 Hellenes and Romans in Ancient China (240 BC – 1398 AD) http://www.sino-plat[...]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2012-08
[113] 웹사이트 Antoine Chrysostôme Quatremère de Quincy (1755-1849) and the Rediscovery of Polychromy in Grecian Architecture: Colour Techniques and Archaeological Research in the Pages of "Olympian Zeus." http://www.arct.cam.[...] 2012-05-02
[114] 문서
[115] 문서
[116] 문서
[117] 서적 Alexander's Lovers https://books.google[...] Lulu 2006
[118] 문서
[119] 문서
[120] 문서
[121] 문서
[122] 문서
[123] 문서
[124] 문서
[125] 문서
[126] 서적 Alexander the Great in Fact and Fi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27] 서적 Cleopatra the Great: The Woman Behind the Legend Harper 2008
[128] 기타 De Vita Caesarum, Divus Iulius http://www.fordham.e[...]
[129] 문서
[130] 문서
[131] 문서 Lenticular gems
[132] 문서 Later Archaic Greek gems: introduction
[133] 문서
[134] 문서
[135] 문서 "Hellenistic gems: introduction"
[136] 문서
[137] 문서
[138] 문서
[139] 문서
[140] 문서
[141] 서적 Williams
[142] 서적 Boardman
[143] 서적 Boardman
[144] 서적 Boardman, Cook, Williams
[145] 서적 Boardman
[146] 서적 Boardman
[147] 서적 Boardman
[148] 서적 Cook
[149] 서적 Italy's Lost Greece: Magna Graecia and the Making of Modern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50] 서적 Honour
[151] 서적 Classical Art from Greece to Rome 2001
[152] 서적 Adopting an Approach, Ancient Greek Pottery 1991
[153] 서적 Boardman, Cook
[154] 서적 Cook
[155] 서적 Co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