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렙슈-고르단 계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양자역학에서 각운동량 연산자를 합성할 때 나타나는 계수이다. 두 입자의 각운동량을 더하여 전체 계의 각운동량을 구하는 과정에서, 각 입자의 각운동량 상태 텐서곱을 전체 계의 기약 표현으로 분해하는 데 사용된다. 이 계수는 스핀, 구면 조화 함수, 비그너 D-행렬 등과 관련되며, 특히 SU(3)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입자 물리학에서 쿼크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차원 회전 - 방향
    방향은 2차원, 3차원 공간에서 방향 벡터로 표현되며, 단위 벡터, 각도(편각), 방향각, 방위각, 방향 코사인 등으로 나타낼 수 있고, 언어적으로는 가로세로, 상하, 전후, 좌우와 같은 상대적인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 3차원 회전 - 오일러 각
    오일러 각은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소개한 3차원 공간 좌표계의 회전으로 강체의 방향을 나타내는 세 개의 각도이며, 로봇 제어 등 기기 제어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회전축 순서에 따라 정오일러 각과 테이트-브라이언 각으로 나뉜다.
  • 대수학 - 다항식
    다항식은 변수, 계수, 상수항으로 구성되어 덧셈, 뺄셈, 곱셈, 거듭제곱 연산으로 결합된 항들의 유한한 합으로 표현되는 식이며, 대수 방정식 해를 구하는 데 중요하고 현대 수학에서 폭넓게 활용된다.
  • 대수학 - 상수
    상수는 변하지 않는 일정한 값을 가지는 수로, 함수에서 변수와 대비되며 수식 내에서 고정된 값을 갖고, 원주율, 자연로그의 밑, 허수 i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수리물리학 -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스 변환은 함수 f(t)를 복소수 s를 사용하여 적분을 통해 다른 함수 F(s)로 변환하는 적분 변환이며, 선형성을 가지고 미분방정식 풀이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수리물리학 - 불확정성 원리
    불확정성 원리는 1927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발표한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로,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등 짝을 이루는 물리량들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두 물리량의 불확정성은 플랑크 상수에 의해 제한된다.
클렙슈-고르단 계수
개요
이름클렙슈-고르단 계수
로마자 표기Keullepsyu-Goreudan gyesu
영어Clebsch–Gordan coefficients
일본어クレブシュ–ゴルダン係数 (Kurebushu-Gorudan keisū)
분야양자역학, 수학, 물리학
하위 분야각운동량, 군론, 표현론
상세 내용
정의양자 역학에서, 두 개의 각운동량의 결합된 각운동량 고유 상태를 원래 각운동량 고유 상태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하는 계수
역할각운동량 결합
회전 불변성의 응용
관련된 개념각운동량 연산자
구면 조화 함수
위그너 3-j 기호
위그너-에카르트 정리
관련 학자알프레트 클렙슈
파울 고르단

2. 역사

대수기하학을 다루기 위하여 1866년에 알프레트 클렙슈(Rudolf Friedrich Alfred Clebschde)와 파울 고르단(Paul Albert Gordande)이 도입하였다.[15]

3. 각운동량 연산자

자기 수반 연산자 jx영어, jy영어, jz영어는 다음의 교환 관계를 만족하는 각운동량 연산자이다.




:[\mathrm{j}_k, \mathrm{j}_l]

≡ \mathrm{j}_k \mathrm{j}_l - \mathrm{j}_l \mathrm{j}_k

= i \hbar \varepsilon_{klm} \mathrm{j}_m




:k, l, m ∈ {x, y, z},




여기서 εklm영어는 레비-치비타 기호이다. 이 세 연산자는 함께 랭크 1인 데카르트 텐서 연산자인 ''벡터 연산자''를 정의한다.




:'''j''' = (jx, jy, jz).




이는 또한 구면 텐서 연산자이므로 구면 기저라고도 한다. 구면 텐서 연산자가 데카르트 텐서 연산자와 일치하는 것은 랭크 1에서만 해당된다.




이 개념을 더 발전시켜, '''j'''를 자기 자신과 내적하여 또 다른 연산자 '''j'''2를 정의할 수 있다.




:'''j'''2 = jx2 + jy2 + jz2.




이것은 카시미르 연산자의 예시이다. 이 연산자는 대각선이며, 그 고유값은 각운동량 대수 \mathfrak{so}(3,\mathbb{R}) \cong \mathfrak{su}(2)의 특정 기약 표현을 특징짓는다. 이는 표현이 작용하는 상태의 전체 각운동량의 제곱으로 물리적으로 해석된다.




또한 소위 사다리 연산자인 ''상승'' (j+영어) 및 ''하강'' (j영어) 연산자를 정의할 수 있다.




:j±영어 = jx영어 ± i jy영어.

3. 1. 교환 관계

자기 수반 연산자 jx, jy, jz는 다음의 교환 관계를 만족하는 각운동량 연산자이다.

:[\mathrm{j}_k, \mathrm{j}_l]

≡ jkjl - jljk

= iħεklmjm

:k, l, m ∈ {x, y, z},

여기서 εklm는 레비-치비타 기호이다. 이 세 연산자는 함께 랭크 1인 데카르트 텐서 연산자인 ''벡터 연산자''를 정의한다.

:'''j''' = (jx, jy, jz).

이는 또한 구면 텐서 연산자이므로 구면 기저라고도 한다. 구면 텐서 연산자가 데카르트 텐서 연산자와 일치하는 것은 랭크 1에서만 해당된다.

이 개념을 더 발전시켜, '''j'''를 자기 자신과 내적하여 또 다른 연산자 '''j'''2를 정의할 수 있다.

:'''j'''2 = jx2 + jy2 + jz2.

이것은 카시미르 연산자의 예시이다. 이 연산자는 대각선이며, 그 고유값은 각운동량 대수 \mathfrak{so}(3,\mathbb{R}) \cong \mathfrak{su}(2)의 특정 기약 표현을 특징짓는다. 이는 표현이 작용하는 상태의 전체 각운동량의 제곱으로 물리적으로 해석된다.

또한 소위 사다리 연산자인 ''상승'' (j+) 및 ''하강'' (j) 연산자를 정의할 수 있다.

:j± = jx ± i jy.

3. 2. 벡터 연산자

자기 수반 연산자 jx, jy, jz는 다음의 교환 관계를 만족하는 각운동량 연산자이다.

jkjl - jljk = iħεklmjm

여기서 εklm는 레비-치비타 기호이다. 이 세 연산자는 함께 랭크 1인 데카르트 텐서 연산자인 ''벡터 연산자''를 정의한다.

'''j''' = (jx, jy, jz).

이는 또한 구면 텐서 연산자이므로 구면 기저라고도 한다. 구면 텐서 연산자가 데카르트 텐서 연산자와 일치하는 것은 랭크 1에서만 해당된다.

이 개념을 더 발전시켜, '''j'''를 자기 자신과 내적하여 또 다른 연산자 '''j'''2를 정의할 수 있다.

'''j'''2 = jx2 + jy2 + jz2.

이것은 카시미르 연산자의 예시이다. 이 연산자는 대각선이며, 그 고유값은 각운동량 대수 \mathfrak{so}(3,\mathbb{R}) \cong \mathfrak{su}(2)의 특정 기약 표현을 특징짓는다. 이는 표현이 작용하는 상태의 전체 각운동량의 제곱으로 물리적으로 해석된다.

또한 소위 사다리 연산자인 ''상승'' (j+) 및 ''하강'' (j) 연산자를 정의할 수 있다.

j± = jx ± i jy.

3. 3. 카시미르 연산자

3. 4. 상승 및 하강 연산자

4. 각운동량 고유 상태

는 , , 및 와 교환한다.



\begin{align}

&[\mathbf j^2, \mathrm {j}_k] = 0 & k &\in \{\mathrm x, \mathrm y, \mathrm z\}.

\end{align}



두 개의 에르미트 연산자가 교환할 때 공통된 고유 상태 집합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와 가 선택된다. 교환 관계로부터 가능한 고유값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고유 상태는 ''j'' ''m''}}/는 ''각운동량 양자수''이고 은 z축에 대한 ''각운동량 투영''이다.

이들은 구면 기저를 구성하며, 완전하고, 다음 고유값 방정식을 만족한다.



\begin{align}

\mathbf j^2 |j \, m\rangle &= \hbar^2 j (j + 1) |j \, m\rangle, & j &\in \{0, \tfrac{1}{2}, 1, \tfrac{3}{2}, \ldots\} \\

\mathrm{j_z} |j \, m\rangle &= \hbar m |j \, m\rangle, & m &\in \{-j, -j + 1, \ldots, j\}.

\end{align}



올림 연산자와 내림 연산자를 사용하여 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mathrm j_\pm |j \, m\rangle = \hbar C_\pm(j, m) |j \, (m \pm 1)\rangle,



여기서 사다리 계수는 다음과 같다.



C_\pm(j, m) = \sqrt{j (j + 1) - m (m \pm 1)} = \sqrt{(j \mp m)(j \pm m + 1)}.



원칙적으로 C_\pm(j, m)의 정의에 (가능하게는 복소수) 위상 인자를 도입할 수도 있다. 이 문서에서 선택한 것은 Condon–Shortley 위상 규칙과 일치한다. 각운동량 상태는 직교하며 (에르미트 연산자에 대한 고유값이 다르기 때문) 정규화된 것으로 가정한다.



\langle j \, m | j' \, m' \rangle = \delta_{j, j'} \delta_{m, m'}.



여기서 이탤릭체 와 은 입자 또는 시스템의 정수 또는 반정수 각운동량 양자수를 나타낸다. 반면에 로마자 , , , , , 및 는 연산자를 나타낸다. \delta 기호는 크로네커 델타이다.

4. 1. 고유값 방정식

는 , , 및 와 교환한다.



\begin{align}

&[\mathbf j^2, \mathrm {j}_k] = 0 & k &\in \{\mathrm x, \mathrm y, \mathrm z\}.

\end{align}



두 개의 에르미트 연산자가 교환할 때 공통된 고유 상태 집합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와 가 선택된다. 교환 관계로부터 가능한 고유값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고유 상태는 }}으로 표시되며, 여기서 는 ''각운동량 양자수''이고 은 z축에 대한 ''각운동량 투영''이다.

이들은 구면 기저를 구성하며, 완전하고, 다음 고유값 방정식을 만족한다.



\begin{align}

\mathbf j^2 |j \, m\rangle &= \hbar^2 j (j + 1) |j \, m\rangle, & j &\in \{0, \tfrac{1}{2}, 1, \tfrac{3}{2}, \ldots\} \\

\mathrm{j_z} |j \, m\rangle &= \hbar m |j \, m\rangle, & m &\in \{-j, -j + 1, \ldots, j\}.

\end{align}



올림 연산자와 내림 연산자를 사용하여 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mathrm j_\pm |j \, m\rangle = \hbar C_\pm(j, m) |j \, (m \pm 1)\rangle,



여기서 사다리 계수는 다음과 같다.

{{NumBlk||

C_\pm(j, m) = \sqrt{j (j + 1) - m (m \pm 1)} = \sqrt{(j \mp m)(j \pm m + 1)}.

|}}

원칙적으로 C_\pm(j, m)의 정의에 (가능하게는 복소수) 위상 인자를 도입할 수도 있다. 이 문서에서 선택한 것은 Condon–Shortley 위상 규칙과 일치한다. 각운동량 상태는 직교하며 (에르미트 연산자에 대한 고유값이 다르기 때문) 정규화된 것으로 가정한다.



\langle j \, m | j' \, m' \rangle = \delta_{j, j'} \delta_{m, m'}.



여기서 이탤릭체 와 은 입자 또는 시스템의 정수 또는 반정수 각운동량 양자수를 나타낸다. 반면에 로마자 , , , , , 및 는 연산자를 나타낸다. \delta 기호는 크로네커 델타이다.

4. 2. 구면 기저

'''j'''2는 jx, jy, 및 jz와 교환한다.



\begin{align}

&[\mathbf j^2, \mathrm {j}_k] = 0 & k &\in \{\mathrm x, \mathrm y, \mathrm z\}.

\end{align}



두 개의 에르미트 연산자가 교환할 때 공통된 고유 상태 집합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j'''2와 jz가 선택된다. 교환 관계로부터 가능한 고유값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고유 상태는 ''j'' ''m''}}/는 각운동량 양자수이고 은 z축에 대한 각운동량 투영이다.

이들은 구면 기저를 구성하며, 완전하고, 다음 고유값 방정식을 만족한다.



\begin{align}

\mathbf j^2 |j \, m\rangle &= \hbar^2 j (j + 1) |j \, m\rangle, & j &\in \{0, \tfrac{1}{2}, 1, \tfrac{3}{2}, \ldots\} \\

\mathrm{j_z} |j \, m\rangle &= \hbar m |j \, m\rangle, & m &\in \{-j, -j + 1, \ldots, j\}.

\end{align}



올림 연산자와 내림 연산자를 사용하여 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mathrm j_\pm |j \, m\rangle = \hbar C_\pm(j, m) |j \, (m \pm 1)\rangle,



여기서 사다리 계수는 다음과 같다.

{{NumBlk||

C_\pm(j, m) = \sqrt{j (j + 1) - m (m \pm 1)} = \sqrt{(j \mp m)(j \pm m + 1)}.

|}}

원칙적으로 C_\pm(j, m)의 정의에 (가능하게는 복소수) 위상 인자를 도입할 수도 있다. 이 문서에서 선택한 것은 Condon–Shortley 위상 규칙과 일치한다. 각운동량 상태는 직교하며 (에르미트 연산자에 대한 고유값이 다르기 때문) 정규화된 것으로 가정한다.



\langle j \, m | j' \, m' \rangle = \delta_{j, j'} \delta_{m, m'}.



여기서 이탤릭체 와 은 입자 또는 시스템의 정수 또는 반정수 각운동량 양자수를 나타낸다. 반면에 로마자 jx, jy, jz, j+, j, 및 '''j'''2는 연산자를 나타낸다. \delta 기호는 크로네커 델타이다.

4. 3. 사다리 연산자의 작용

5. 텐서곱 공간

두 개의 물리적으로 다른 각운동량 j}1/j영어과 j}2/j영어를 가진 시스템을 고려한다. 예시로는 단일 전자의 스핀과 궤도 각운동량, 또는 두 전자의 스핀, 또는 두 전자의 궤도 각운동량이 있다. 수학적으로 이것은 각운동량 연산자가 차원이 2j_1+1인 공간 V_1과 차원이 2j_2 + 1인 공간 V_2에 작용함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텐서 곱 공간 V_1 \otimes V_2에 작용하는 일련의 "총 각운동량" 연산자를 정의하려고 하며, 이 공간은 차원이 (2j_1+1)(2j_2+1)이다. 이 공간에서 총 각운동량 연산자의 작용은 SU(2) 리 대수의 표현을 구성하지만, 기약적인 표현은 아니다. 이 가약 표현을 기약 조각으로 축소하는 것이 클렙슈-고르단 이론의 목표이다.[4]

V_1|j_1 \, m_1\rangle ( m_1 \in \{-j_1, -j_1 + 1, \ldots, j_1\}) 상태로 구성된 (2 j_1 + 1)차원 벡터 공간이라 하고, V_2|j_2 \, m_2\rangle ( m_2 \in \{-j_2, -j_2 + 1, \ldots, j_2\}) 상태로 구성된 (2 j_2 + 1)차원 벡터 공간이라고 하자.

이러한 공간의 텐서 곱, 는 (2 j_1 + 1) (2 j_2 + 1)차원의 ''비결합'' 기저를 갖는다.

:

|j_1 \, m_1 \, j_2 \, m_2\rangle \equiv |j_1 \, m_1\rangle \otimes |j_2 \, m_2\rangle,

\quad m_1 \in \{-j_1, -j_1 + 1, \ldots, j_1\},

\quad m_2 \in \{-j_2, -j_2 + 1, \ldots, j_2\}.



각운동량 연산자는 의 상태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도록 정의된다.

:

(\mathbf j \otimes 1) |j_1 \, m_1 \, j_2 \, m_2\rangle \equiv \mathbf j |j_1 \, m_1\rangle \otimes |j_2 \, m_2\rangle



:

(1 \otimes \mathrm \mathbf j) |j_1 \, m_1 \, j_2 \, m_2\rangle \equiv |j_1 \, m_1\rangle \otimes \mathbf j |j_2 \, m_2\rangle,



여기서 은 항등 연산자를 나타낸다.

'''총 각운동량''' 연산자는[4] 에 작용하는 두 표현의 공곱 (또는 텐서 곱)에 의해 정의된다.

:\mathbf{J} \equiv \mathbf{j}_1 \otimes 1 + 1 \otimes \mathbf{j}_2~.

총 각운동량 연산자는 다음과 같이 ''동일한 교환 관계를 만족함''을 보일 수 있다.[5]

:

[\mathrm{J}_k, \mathrm{J}_l] = i \hbar \varepsilon_{k l m} \mathrm{J}_m ~,



여기서 }}.

총 각운동량 연산자에 대한 일련의 ''결합'' 고유 상태도 존재한다.

:

\mathbf{J}^2 |[j_1 \, j_2] \, J \, M\rangle = \hbar^2 J (J + 1) |[j_1 \, j_2] \, J \, M\rangle



:

\mathrm{J_z} |[j_1 \, j_2] \, J \, M\rangle = \hbar M |[j_1 \, j_2] \, J \, M\rangle



}}. 부분은 생략한다.

총 각운동량 양자수 는 다음과 같은 삼각형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6]

:

|j_1 - j_2| \leq J \leq j_1 + j_2,



총 각운동량 고유 상태의 총 개수는 의 차원과 같다.

:

\sum_{J = |j_1 - j_2|}^{j_1 + j_2} (2 J + 1) = (2 j_1 + 1) (2 j_2 + 1) ~.



텐서 곱 표현은 2J+1 차원의 각 기약 표현의 직접 합으로 분해되며, 여기서 J|j_1 - j_2|에서 j_1 + j_2까지 1씩 증가한다.[7]

총 각운동량 상태는 의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한다.

:

\left\langle J\, M | J'\, M' \right\rangle = \delta_{J, J'}\delta_{M, M'}~.


5. 1. 비결합 기저

두 개의 물리적으로 다른 각운동량 ''j''1영어과 2j_1+1/''j''2}}를 가진 시스템을 고려한다. 예시로는 단일 전자의 스핀과 궤도 각운동량, 또는 두 전자의 스핀, 또는 두 전자의 궤도 각운동량이 있다.[4] 수학적으로 이것은 각운동량 연산자가 차원이 인 공간 V_2에 작용함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텐서 곱 공간 V_1 \otimes V_2에 작용하는 일련의 "총 각운동량" 연산자를 정의하려고 하며, 이 공간은 차원이 (2j_1+1)(2j_2+1)이다. 이 공간에서 총 각운동량 연산자의 작용은 SU(2) 리 대수의 표현을 구성하지만, 기약적인 표현은 아니다. 이 가약 표현을 기약 조각으로 축소하는 것이 클렙슈-고르단 이론의 목표이다.

V_1을 다음 상태로 구성된 2j_1+1차원 벡터 공간이라고 하자.

:

|j_1 m_1\rangle\quad (m_1=-j_1,-j_1+1,\ldots j_1)



V_2를 다음 상태로 구성된 2j_2+1차원 벡터 공간이라고 하자.

:

|j_2 m_2\rangle\quad (m_2=-j_2,-j_2+1,\ldots j_2)



이들 공간의 텐서 곱 V_{12}\equiv V_1\otimes V_2(2j_1+1)(2j_2+1)차원의 ''비결합'' 기저를 갖는다.

:

|j_1 m_1\rangle|j_2 m_2\rangle \equiv |j_1 m_1\rangle \otimes |j_2 m_2\rangle \quad (m_1=-j_1,\ldots j_1, \quad m_2=-j_2,\ldots j_2)



각운동량 연산자는 V_{12}의 상태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도록 정의된다.

:

(\textrm{j}_i \otimes 1)|j_1 m_1\rangle|j_2 m_2\rangle \equiv (j_i|j_1m_1\rangle) \otimes |j_2m_2\rangle



:

(1 \otimes \textrm{j}_i) |j_1 m_1\rangle|j_2 m_2\rangle \equiv |j_1m_1\rangle \otimes j_i|j_2m_2\rangle

\quad\quad (i = x,y,z)



'''총 각운동량''' 연산자는 \mathbf{J} \equiv \mathbf{j}_1 \otimes 1 + 1 \otimes \mathbf{j}_2~.이다.[4]

총 각운동량 연산자는 다음과 같이 ''동일한 교환 관계를 만족함''을 보일 수 있다.

:

[\hat{\textrm{J}}_k,\hat{\textrm{J}}_l] = i\hbar\epsilon_{klm}\hat{\textrm{J}}_m \quad \quad (k,l,m \in (x,y,z))



따라서 총 각운동량의 동시 고유 상태가 존재한다.

:

\hat{\mathbf{J}}^2 |(j_1j_2)JM\rangle = \hbar^2 J(J+1) |(j_1j_2)JM\rangle



:

\hat{\textrm{J}}_z |(j_1j_2)JM\rangle = \hbar M |(j_1j_2)JM\rangle \quad \quad \quad (M=-J,\ldots,J)



이는 J가 다음을 만족해야 함에 기인한다.

:

|j_1-j_2| \leq J \leq j_1+j_2



전체 각운동량 고유 상태의 총 개수는 V_{12}의 차원과 반드시 같다.

:

\sum_{J=|j_1-j_2|}^{j_1+j_2} (2J+1) = (2j_1+1)(2j_2+1)



총 각운동량 상태는 V_{12}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한다.[8]

:

\langle J_1 M_1 | J_2 M_2 \rangle = \delta_{J_1J_2}\delta_{M_1M_2}


5. 2. 총 각운동량 연산자

두 개의 물리적으로 다른 각운동량 j}1/j영어과 j}2/j영어를 가진 시스템을 고려한다. 예시로는 단일 전자의 스핀과 궤도 각운동량, 또는 두 전자의 스핀, 또는 두 전자의 궤도 각운동량이 있다. 수학적으로 이것은 각운동량 연산자가 차원이 2j_1+1인 공간 V_1과 차원이 2j_2 + 1인 공간 V_2에 작용함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텐서 곱 공간 V_1 \otimes V_2에 작용하는 일련의 "총 각운동량" 연산자를 정의하려고 하며, 이 공간은 차원이 (2j_1+1)(2j_2+1)이다. 이 공간에서 총 각운동량 연산자의 작용은 SU(2) 리 대수의 표현을 구성하지만, 기약적인 표현은 아니다. 이 가약 표현을 기약 조각으로 축소하는 것이 클렙슈-고르단 이론의 목표이다.[4]

V_1|j_1 \, m_1\rangle ( m_1 \in \{-j_1, -j_1 + 1, \ldots, j_1\}) 상태로 구성된 (2 j_1 + 1)차원 벡터 공간이라 하고, V_2|j_2 \, m_2\rangle ( m_2 \in \{-j_2, -j_2 + 1, \ldots, j_2\}) 상태로 구성된 (2 j_2 + 1)차원 벡터 공간이라고 하자.

이러한 공간의 텐서 곱, 는 (2 j_1 + 1) (2 j_2 + 1)차원의 ''비결합'' 기저를 갖는다.

:

|j_1 \, m_1 \, j_2 \, m_2\rangle \equiv |j_1 \, m_1\rangle \otimes |j_2 \, m_2\rangle,

\quad m_1 \in \{-j_1, -j_1 + 1, \ldots, j_1\},

\quad m_2 \in \{-j_2, -j_2 + 1, \ldots, j_2\}.



각운동량 연산자는 의 상태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도록 정의된다.

:

(\mathbf j \otimes 1) |j_1 \, m_1 \, j_2 \, m_2\rangle \equiv \mathbf j |j_1 \, m_1\rangle \otimes |j_2 \, m_2\rangle



:

(1 \otimes \mathrm \mathbf j) |j_1 \, m_1 \, j_2 \, m_2\rangle \equiv |j_1 \, m_1\rangle \otimes \mathbf j |j_2 \, m_2\rangle,



여기서 은 항등 연산자를 나타낸다.

'''총 각운동량''' 연산자는 \mathbf{J} \equiv \mathbf{j}_1 \otimes 1 + 1 \otimes \mathbf{j}_2로 정의된다.[4] 총 각운동량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동일한 교환 관계를 만족함''을 보일 수 있다.

:

[\mathrm{J}_k, \mathrm{J}_l] = i \hbar \varepsilon_{k l m} \mathrm{J}_m ~,



여기서 }}.

따라서 총 각운동량 연산자에 대한 일련의 ''결합'' 고유 상태도 존재한다.

:

\mathbf{J}^2 |[j_1 \, j_2] \, J \, M\rangle = \hbar^2 J (J + 1) |[j_1 \, j_2] \, J \, M\rangle



:

\mathrm{J_z} |[j_1 \, j_2] \, J \, M\rangle = \hbar M |[j_1 \, j_2] \, J \, M\rangle



(M \in \{-J, -J + 1, \ldots, J\}). 부분을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총 각운동량 양자수 J는 삼각형 조건 |j_1 - j_2| \leq J \leq j_1 + j_2를 만족해야 한다.[6] 총 각운동량 고유 상태의 총 개수는 V_3의 차원과 반드시 같다.

:

\sum_{J = |j_1 - j_2|}^{j_1 + j_2} (2 J + 1) = (2 j_1 + 1) (2 j_2 + 1) ~.



이 계산에서 알 수 있듯이, 텐서 곱 표현은 2J+1 차원의 각 기약 표현의 직접 합으로 분해되며, 여기서 J|j_1 - j_2|에서 j_1 + j_2까지 1씩 증가한다.[7]

총 각운동량 상태는 V_3의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한다.

:

\left\langle J\, M | J'\, M' \right\rangle = \delta_{J, J'}\delta_{M, M'}~.


5. 3. 결합 기저

두 개의 물리적으로 다른 각운동량 ''j''1영어과 2j_1+1/''j''2}}를 가진 시스템을 고려한다. 예시로는 단일 전자의 스핀과 궤도 각운동량, 또는 두 전자의 스핀, 또는 두 전자의 궤도 각운동량이 있다. 수학적으로 이것은 각운동량 연산자가 차원이 인 공간 V_2에 작용함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텐서 곱 공간 V_1 \otimes V_2에 작용하는 일련의 "총 각운동량" 연산자를 정의하려고 하며, 이 공간은 차원이 (2j_1+1)(2j_2+1)이다. 이 공간에서 총 각운동량 연산자의 작용은 SU(2) 리 대수의 표현을 구성하지만, 기약적인 표현은 아니다. 이 가약 표현을 기약 조각으로 축소하는 것이 클렙슈-고르단 이론의 목표이다.[4]

V_1|j_1 \, m_1\rangle (m_1 = -j_1, -j_1 + 1, \ldots, j_1) 상태로 구성된 (2j_1 + 1)차원 벡터 공간이라 하고, V_2|j_2 \, m_2\rangle (m_2 = -j_2, -j_2 + 1, \ldots, j_2) 상태로 구성된 (2j_2 + 1)차원 벡터 공간이라 한다.

이러한 공간의 텐서 곱, 는 -차원의 ''비결합'' 기저를 갖는다.

:

|j_1 \, m_1 \, j_2 \, m_2\rangle \equiv |j_1 \, m_1\rangle \otimes |j_2 \, m_2\rangle,

\quad m_1 \in \{-j_1, -j_1 + 1, \ldots, j_1\},

\quad m_2 \in \{-j_2, -j_2 + 1, \ldots, j_2\}.



각운동량 연산자는 의 상태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도록 정의된다.

:

(\mathbf j \otimes 1) |j_1 \, m_1 \, j_2 \, m_2\rangle \equiv \mathbf j |j_1 \, m_1\rangle \otimes |j_2 \, m_2\rangle



:

(1 \otimes \mathrm \mathbf j) |j_1 \, m_1 \, j_2 \, m_2\rangle \equiv |j_1 \, m_1\rangle \otimes \mathbf j |j_2 \, m_2\rangle,



여기서 은 항등 연산자를 나타낸다.

'''총 각운동량''' 연산자는[4] 에 작용하는 두 표현의 공곱 (또는 텐서 곱)에 의해 정의된다.

:\mathbf{J} \equiv \mathbf{j}_1 \otimes 1 + 1 \otimes \mathbf{j}_2~.

총 각운동량 연산자는 다음과 같이 ''동일한 교환 관계를 만족함''을 보일 수 있다.[5]

:

[\mathrm{J}_k, \mathrm{J}_l] = i \hbar \varepsilon_{k l m} \mathrm{J}_m ~,



여기서 }}.

총 각운동량 연산자에 대한 일련의 ''결합'' 고유 상태도 존재한다.

:

\mathbf{J}^2 |[j_1 \, j_2] \, J \, M\rangle = \hbar^2 J (J + 1) |[j_1 \, j_2] \, J \, M\rangle



:

\mathrm{J_z} |[j_1 \, j_2] \, J \, M\rangle = \hbar M |[j_1 \, j_2] \, J \, M\rangle



}}. 부분은 생략한다.

총 각운동량 양자수 는 다음과 같은 삼각형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6]

:

|j_1 - j_2| \leq J \leq j_1 + j_2,



총 각운동량 고유 상태의 총 개수는 의 차원과 같다.

:

\sum_{J = |j_1 - j_2|}^{j_1 + j_2} (2 J + 1) = (2 j_1 + 1) (2 j_2 + 1) ~.



텐서 곱 표현은 2J+1 차원의 각 기약 표현의 직접 합으로 분해되며, 여기서 J|j_1 - j_2|에서 j_1 + j_2까지 1씩 증가한다.[7]

총 각운동량 상태는 의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한다.

:

\left\langle J\, M | J'\, M' \right\rangle = \delta_{J, J'}\delta_{M, M'}~.


6. 클렙슈-고르단 계수의 정의

양자역학에서 각운동량을 더할 때 클렙슈-고르단 계수가 사용된다. 두 입자가 주어진 각운동량을 가지면, 두 입자로 이루어진 전체 계의 상태는 두 입자의 개별적인 상태의 텐서곱이다. 전체 계의 각운동량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능한 상태의 포갬이다. 각각의 가능한 각운동량 상태의 확률크기를 계산하려면, 각 입자의 각운동량 상태의 텐서곱을 전체 계의 각운동량 기약 표현으로 나누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클렙슈-고르단 계수가 필요하다. 스핀은 리 군 Spin(3)의 표현이므로, 양자역학에서 쓰이는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주로 Spin(3)의 것이다. (Spin(3)은 SU(2)와 같은 리 군이다.)

결합 상태는 비결합 기저에서 완전 관계(항등식의 분해)를 통해 확장될 수 있다.

:

|J \, M\rangle =

\sum_{m_1 = -j_1}^{j_1} \sum_{m_2 = -j_2}^{j_2}

|j_1 \, m_1 \, j_2 \, m_2\rangle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rangle



확장 계수

: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 \rangle



는 클렙슈-고르단 계수이다. 일부 저자는 와 같이 다른 순서로 표기하기도 하며, 또 다른 일반적인 표기법은

= ''C''}}이다.

연산자

:

\begin{align}

\mathrm J&=\mathrm j \otimes 1+1\otimes\mathrm j \\

\mathrm J_{\mathrm z}&=\mathrm j_{\mathrm z}\otimes 1+1\otimes\mathrm j_{\mathrm z}

\end{align}



를 정의 방정식의 양쪽에 적용하면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0이 아닌 값을 가질 수 있다.

:

\begin{align}

|j_1 - j_2| \leq J &\leq j_1 + j_2 \\

M &= m_1 + m_2.

\end{align}



전각 운동량의 고유 상태는 결합하지 않은 기저의 완전성 관계를 사용하여 전개할 수 있다.

:

|(j_1j_2)JM\rangle = \sum_{m_1=-j_1}^{j_1} \sum_{m_2=-j_2}^{j_2}

|j_1m_1j_2m_2\rangle \langle j_1m_1j_2m_2|JM\rangle



이 전개 계수 \langle j_1m_1j_2m_2|JM\rangle를 클렙슈-고르단 계수라고 부른다.

연산자

:

\hat{\textrm{J}}_z = \textrm{j}_z \otimes 1 + 1 \otimes \textrm{j}_z



를 정의식의 양변에 작용시키면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

M = m_1 + m_2.\,



일 때만 0이 아니다. 클렙슈-고르단 계수의 구체적인 형태와 수치는 클렙슈-고르단 계수의 표를 참조.

7. 클렙슈-고르단 계수의 계산

양자역학에서 각운동량을 더할 때 사용된다. 두 입자가 주어진 각운동량을 가지면, 두 입자로 이루어진 전체 계의 상태는 두 입자의 개별적인 상태의 텐서곱이다. 전체 계의 각운동량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능한 상태의 포갬이다. 각각의 가능한 각운동량 상태의 확률크기를 계산하려면, 각 입자의 각운동량 상태의 텐서곱을 전체 계의 각운동량 기약 표현으로 나누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클렙슈-고르단 계수가 필요하다. 스핀은 리 군 Spin(3)의 표현이므로, 양자역학에서 쓰이는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주로 Spin(3)의 것이다. (Spin(3)은 SU(2)와 같은 리 군이다.)

이 재귀 관계는 1941년 예루살렘의 히브리 대학교의 물리학자 줄리오 라카에 의해 발견되었다.

전체 각운동량 올림 및 내림 연산자

:\mathrm J_\pm = \mathrm j_\pm \otimes 1 + 1 \otimes \mathrm j_\pm

을 정의 방정식의 좌변에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begin J_\pm |[j_1 \, j_2] \, J \, M\rangle

= \hbar C_\pm(J, M) |[j_1 \, j_2] \, J \, (M \pm 1)\rangle

= \hbar C_\pm(J, M)

\sum_{m_1, m_2}

|j_1 \, m_1 \, j_2 \, m_2\rangle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 \pm 1)\rangle



같은 연산자를 우변에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begin J_\pm \sum_{m_1, m_2}

|j_1 \, m_1 \, j_2 \, m_2\rangle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rangle

= \hbar \sum_{m_1, m_2} \Bigl(

C_\pm(j_1, m_1) |j_1 \, (m_1 \pm 1) \, j_2 \, m_2\rangle

+ C_\pm(j_2, m_2) |j_1 \, m_1 \, j_2 \, (m_2 \pm 1)\rangle

\Bigr)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rangle

= \hbar \sum_{m_1, m_2} |j_1 \, m_1 \, j_2 \, m_2\rangle \Bigl(

C_\pm(j_1, m_1 \mp 1) \langle j_1 \, (m_1 \mp 1) \, j_2 \, m_2 | J \, M\rangle

+ C_\pm(j_2, m_2 \mp 1) \langle j_1 \, m_1 \, j_2 \, (m_2 \mp 1) | J \, M\rangle

\Bigr) .



이러한 결과를 결합하면 클렙슈-고르단 계수에 대한 재귀 관계를 얻을 수 있다.

:

C_\pm(J, M)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 \pm 1)\rangle

= C_\pm(j_1, m_1 \mp 1) \langle j_1 \, (m_1 \mp 1) \, j_2 \, m_2 | J \, M\rangle

+ C_\pm(j_2, m_2 \mp 1) \langle j_1 \, m_1 \, j_2 \, (m_2 \mp 1) | J \, M\rangle.



M = J 조건을 가진 상위 부호를 취하면 초기 재귀 관계를 얻는다.

:

0 = C_+(j_1, m_1 - 1) \langle j_1 \, (m_1 - 1) \, j_2 \, m_2 | J \, J\rangle

+ C_+(j_2, m_2 - 1) \langle j_1 \, m_1 \, j_2 \, (m_2 - 1) | J \, J\rangle.



콘돈-쇼틀리 위상 규칙에서 다음과 같은 제약을 추가한다.

:\langle j_1 \, j_1 \, j_2 \, (J - j_1) | J \, J\rangle > 0

(그리고 따라서 또한 실수이다).

클렙슈-고르단 계수 \langle j_1 m_1 j_2 m_2 | J M\rangle는 이러한 재귀 관계로부터 찾을 수 있다. 정규화는 상태 |[j_1 j_2] J J\rangle의 노름이 1이어야 한다는 요구 사항과 동일한 제곱의 합이 필요하다는 요구 사항에 의해 고정된다.

재귀 관계의 하위 부호는 M = J - 1을 가진 모든 클렙슈-고르단 계수를 찾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방정식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모든 계수를 얻을 수 있다.

클렙슈-고르단 계수를 찾는 이 절차는 콘돈-쇼틀리 위상 규칙에서 이들이 모두 실수임을 보여준다.

클렙슈-고르단 계수의 명시적 표현과 수치표를 참조하십시오.

7. 1. 재귀 관계

이 재귀 관계는 1941년 줄리오 라카에 의해 발견되었다.

전체 각운동량 올림 및 내림 연산자

:\hat{\textrm{J}}_\pm = \textrm{j}_\pm \otimes 1 + 1 \otimes \textrm{j}_\pm

를 정의 방정식의 양변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클렙슈-고르단 계수에 대한 재귀 관계를 얻을 수 있다.

:

C_\pm(J,M) \langle j_1 m_1 j_2 m_2|J M\pm 1\rangle

= C_\pm(j_1,m_1\mp 1) \langle j_1 {m_1\mp 1} j_2 m_2|J M\rangle

+ C_\pm(j_2,m_2\mp 1) \langle j_1 m_1 j_2 {m_2\mp 1}|J M\rangle



여기서

: C_\pm (j,m) = \sqrt{ j(j+1) - m(m\pm 1) }

이다.

C_+에 대해 M=J 조건을 적용하면 초기 재귀 관계를 얻는다.

:

0 = C_+(j_1,m_1-1) \langle j_1 {m_1-1} j_2 m_2|J J\rangle

+ C_+(j_2,m_2-1) \langle j_1 m_1 j_2 m_2-1|J J\rangle



콘돈-쇼틀리 위상 규칙에서 계수 \langle j_1 j_1 j_2 J-j_1|J J\rangle는 양의 실수이다.

규격화를 통해,

:|(j_1j_2)JJ\rangle의 노름에 해당하는, 제곱의 합이 1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사용한다.

C_-M=J-1의 모든 클렙슈-고르단 계수를 찾는 데 사용되며, 이 식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모든 계수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클렙슈-고르단 계수가 모두 실수임을 알 수 있다.

7. 2. 명시적 표현

클렙슈-고르단 계수의 구체적인 형태와 수치는 클렙슈-고르단 계수의 표를 참조하십시오.

7. 3. 특수한 경우

''J'' 0일 때,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다음과 같다.

:\langle j_1 \, m_1 \, j_2 \, m_2 | 0 \, 0 \rangle= \delta_{j_1, j_2} \delta_{m_1, -m_2} \frac{(-1)^{j_1 - m_1}}{\sqrt{2 j_1 + 1}}.

''J'' ''j''1 + ''j''2이고 ''M'' ''J''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langle j_1 \, j_1 \, j_2 \, j_2 | (j_1 + j_2) \, (j_1 + j_2) \rangle = 1.

''j''1 ''j''2 ''J'' / 2이고 ''m''1 −''m''2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langle j_1 \, m_1 \, j_1 \, (-m_1) | (2 j_1) \, 0 \rangle= \frac{(2 j_1)!^2}{(j_1 - m_1)! (j_1 + m_1)! \sqrt{(4 j_1)!}}.

''j''1 ''j''2 ''m''1 −''m''2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langle j_1 \, j_1 \, j_1 \, (-j_1) | J \, 0 \rangle= (2 j_1)! \sqrt{\frac{2 J + 1}{(J + 2 j_1 + 1)! (2 j_1 - J)!}}.

''j''2 1, ''m''2 0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langle j_1 \, m \, 1 \, 0 | (j_1 + 1) \, m \rangle &= \sqrt{\frac{(j_1 - m + 1) (j_1 + m + 1)}{(2 j_1 + 1) (j_1 + 1)}} \\\langle j_1 \, m \, 1 \, 0 | j_1 \, m \rangle &= \frac{m}{\sqrt{j_1 (j_1 + 1)}} \\\langle j_1 \, m \, 1 \, 0 | (j_1 - 1) \, m \rangle &= -\sqrt{\frac{(j_1 - m) (j_1 + m)}{j_1 (2 j_1 + 1)}}\end{align}

''j''2 1/2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left\langle j_1 \, \left( M - \frac{1}{2} \right) \, \frac{1}{2} \, \frac{1}{2} \Bigg| \left( j_1 \pm \frac{1}{2} \right) \, M \right\rangle &= \pm \sqrt{\frac{1}{2} \left( 1 \pm \frac{M}{j_1 + \frac{1}{2}} \right)} \\\left\langle j_1 \, \left( M + \frac{1}{2} \right) \, \frac{1}{2} \, \left( -\frac{1}{2} \right) \Bigg| \left( j_1 \pm \frac{1}{2} \right) \, M \right\rangle &= \sqrt{\frac{1}{2} \left( 1 \mp \frac{M}{j_1 + \frac{1}{2}} \right)}\end{align}

8. 클렙슈-고르단 계수의 성질

양자역학에서 각운동량을 더할 때 사용된다. 두 입자가 주어진 각운동량을 가지면, 두 입자로 이루어진 전체 계의 상태는 두 입자의 개별적인 상태의 텐서곱이다. 전체 계의 각운동량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능한 상태의 포갬이다. 각각의 가능한 각운동량 상태의 확률크기를 계산하려면, 각 입자의 각운동량 상태의 텐서곱을 전체 계의 각운동량 기약 표현으로 나누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클렙슈-고르단 계수가 필요하다. 스핀은 리 군 Spin(3)의 표현이므로, 양자역학에서 쓰이는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주로 Spin(3)의 것이다. (Spin(3)은 SU(2)와 같은 리 군이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대안 표기법을 도입하여 가장 명확하게 작성된다.

:\langle J M|j_1 m_1 j_2 m_2\rangle \equiv \langle j_1 m_1 j_2 m_2|J M\rangle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다음과 같은 직교 관계를 갖는다.

첫 번째 직교 관계는 다음과 같다.

:

\sum_{J=|j_1-j_2|}^{j_1+j_2} \sum_{M=-J}^{J}

\langle j_1 m_1 j_2 m_2|J M\rangle\langle J M|j_1 m_1' j_2 m_2'\rangle=

\langle j_1 m_1 j_2 m_2 | j_1 m_1' j_2 m_2'\rangle

= \delta_{m_1,m_1'}\delta_{m_2,m_2'}



이는 완전성 관계 1\equiv \sum_x | x \rangle\langle x|를 사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두 번째 직교 관계는 다음과 같다.

:

\sum_{m_1m_2} \langle J M|j_1 m_1 j_2 m_2\rangle

\langle j_1 m_1 j_2 m_2|J' M'\rangle

= \langle J M | J' M'\rangle

= \delta_{J,J'}\delta_{M,M'}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더 편리한 대칭 관계를 갖는 비그너 3-j 기호와 관련이 있다. 비그너 3j-기호의 대칭성은 훨씬 더 간단하다.

:

\begin{align}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 \rangle

&= (-1)^{j_1 + j_2 - J}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rangle \\

&= (-1)^{j_1 + j_2 - J} \langle j_2 \, m_2 \, j_1 \, m_1 | J \, M \rangle \\

&= (-1)^{j_1 - m_1} \sqrt{\frac{2 J + 1}{2 j_2 + 1}} \langle j_1 \, m_1 \, J \, (-M)| j_2 \, (-m_2) \rangle \\

&= (-1)^{j_2 + m_2} \sqrt{\frac{2 J + 1}{2 j_1 + 1}} \langle J \, (-M) \, j_2 \, m_2| j_1 \, (-m_1) \rangle \\

&= (-1)^{j_1 - m_1} \sqrt{\frac{2 J + 1}{2 j_2 + 1}} \langle J \, M \, j_1 \, (-m_1) | j_2 \, m_2 \rangle \\

&= (-1)^{j_2 + m_2} \sqrt{\frac{2 J + 1}{2 j_1 + 1}} \langle j_2 \, (-m_2) \, J \, M | j_1 \, m_1 \rangle

\end{align}



이러한 관계를 유도하는 편리한 방법은 클렙슈-고르단 계수를 비그너 3j-기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양자수가 정수 또는 반정수가 될 수 있으므로, 위상 인자를 간단하게 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1)^{2j}는 정수 j에 대해 1과 같고, 반정수 j에 대해 -1과 같다. 그러나 다음 관계는 어느 경우에나 유효하다.

:

(-1)^{4j} = (-1)^{2(j-m)} = 1 \



같은 클렙슈-고르단 계수에 나타나는 j_1, j_2,, J에서는

:

(-1)^{2(j_1+j_2+J)} = (-1)^{2(m_1+m_2+M)} = 1


8. 1. 직교 관계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다음과 같은 직교 관계를 갖는다.

:\langle J M|j_1 m_1 j_2 m_2\rangle \equiv \langle j_1 m_1 j_2 m_2|J M\rangle

와 같은 표기법을 사용하면 직교 관계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첫 번째 직교 관계는 다음과 같다.

:

\sum_{J=|j_1-j_2|}^{j_1+j_2} \sum_{M=-J}^{J}

\langle j_1 m_1 j_2 m_2|J M\rangle\langle J M|j_1 m_1' j_2 m_2'\rangle=

\langle j_1 m_1 j_2 m_2 | j_1 m_1' j_2 m_2'\rangle

= \delta_{m_1,m_1'}\delta_{m_2,m_2'}



이는 완전성 관계 1\equiv \sum_x | x \rangle\langle x|를 사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두 번째 직교 관계는 다음과 같다.

:

\sum_{m_1m_2} \langle J M|j_1 m_1 j_2 m_2\rangle

\langle j_1 m_1 j_2 m_2|J' M'\rangle

= \langle J M | J' M'\rangle

= \delta_{J,J'}\delta_{M,M'}


8. 2. 대칭성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더 편리한 대칭 관계를 갖는 비그너 3-j 기호와 관련이 있다. 비그너 3j-기호의 대칭성은 훨씬 더 간단하다.

:

\begin{align}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 \rangle

&= (-1)^{j_1 + j_2 - J}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rangle \\

&= (-1)^{j_1 + j_2 - J} \langle j_2 \, m_2 \, j_1 \, m_1 | J \, M \rangle \\

&= (-1)^{j_1 - m_1} \sqrt{\frac{2 J + 1}{2 j_2 + 1}} \langle j_1 \, m_1 \, J \, (-M)| j_2 \, (-m_2) \rangle \\

&= (-1)^{j_2 + m_2} \sqrt{\frac{2 J + 1}{2 j_1 + 1}} \langle J \, (-M) \, j_2 \, m_2| j_1 \, (-m_1) \rangle \\

&= (-1)^{j_1 - m_1} \sqrt{\frac{2 J + 1}{2 j_2 + 1}} \langle J \, M \, j_1 \, (-m_1) | j_2 \, m_2 \rangle \\

&= (-1)^{j_2 + m_2} \sqrt{\frac{2 J + 1}{2 j_1 + 1}} \langle j_2 \, (-m_2) \, J \, M | j_1 \, m_1 \rangle

\end{align}



이러한 관계를 유도하는 편리한 방법은 클렙슈-고르단 계수를 비그너 3j-기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양자수가 정수 또는 반정수가 될 수 있으므로, 위상 인자를 간단하게 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1)^{2j}는 정수 j에 대해 1과 같고, 반정수 j에 대해 -1과 같다. 그러나 다음 관계는 어느 경우에나 유효하다.

:

(-1)^{4j} = (-1)^{2(j-m)} = 1 \



같은 클렙슈-고르단 계수에 나타나는 j_1, j_2,, J에서는

:

(-1)^{2(j_1+j_2+J)} = (-1)^{2(m_1+m_2+M)} = 1


9. 클렙슈-고르단 계수의 응용

양자역학에서 각운동량을 더할 때 사용된다. 두 입자가 주어진 각운동량을 가지면, 두 입자로 이루어진 전체 계의 상태는 두 입자의 개별적인 상태의 텐서곱이다. 전체 계의 각운동량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능한 상태의 포갬이다. 각각의 가능한 각운동량 상태의 확률크기를 계산하려면, 각 입자의 각운동량 상태의 텐서곱을 전체 계의 각운동량 기약 표현으로 나누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클렙슈-고르단 계수가 필요하다. 스핀은 리 군 Spin(3)의 표현이므로, 양자역학에서 쓰이는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주로 Spin(3)의 것이다. (Spin(3)은 SU(2)와 같은 리 군이다.)

비그너 D-행렬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

\begin{align}

&\int_0^{2 \pi} d \alpha \int_0^\pi \sin \beta \, d\beta \int_0^{2 \pi} d \gamma \,

D^J_{M, K}(\alpha, \beta, \gamma)^*

D^{j_1}_{m_1, k_1}(\alpha, \beta, \gamma)

D^{j_2}_{m_2, k_2}(\alpha, \beta, \gamma) \\

{}={} &\frac{8 \pi^2}{2 J + 1}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 \rangle

\langle j_1 \, k_1 \, j_2 \, k_2 | J \, K \rangle

\end{align}



:

\int_0^{2\pi} d\alpha \int_0^\pi \sin\beta d\beta \int_0^{2\pi} d\gamma

D^J_{MK}(\alpha,\beta,\gamma)^\ast D^{j_1}_{m_1k_1}(\alpha,\beta,\gamma) D^{j_2}_{m_2k_2}(\alpha,\beta,\gamma)

= \frac{8\pi^2}{2J+1} \langle j_1 m_1 j_2 m_2 | J M \rangle \langle j_1 k_1 j_2 k_2 | J K \rangle

여기서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 \rangle\langle j_1 \, k_1 \, j_2 \, k_2 | J \, K \rangle클렙슈-고르단 계수이다.

정수가 관련된 경우,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구면 조화 함수적분과 관련될 수 있다.

:\int_{4 \pi} Y_{\ell_1}^{m_1}{}^*(\Omega) Y_{\ell_2}^{m_2}{}^*(\Omega) Y_L^M (\Omega) \, d \Omega = \sqrt{\frac{(2 \ell_1 + 1) (2 \ell_2 + 1)}{4 \pi (2 L + 1)}} \langle \ell_1 \, 0 \, \ell_2 \, 0 | L \, 0 \rangle \langle \ell_1 \, m_1 \, \ell_2 \, m_2 | L \, M \rangle

이 식과 구면 조화 함수의 직교성으로부터,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실제로 두 구면 조화 함수의 곱을 단일 구면 조화 함수로 전개한 계수임을 알 수 있다.

:Y_{\ell_1}^{m_1}(\Omega) Y_{\ell_2}^{m_2}(\Omega) = \sum_{L, M} \sqrt{\frac{(2 \ell_1 + 1) (2 \ell_2 + 1)}{4 \pi (2 L + 1)}} \langle \ell_1 \, 0 \, \ell_2 \, 0 | L \, 0 \rangle \langle \ell_1 \, m_1 \, \ell_2 \, m_2 | L \, M \rangle Y_L^M (\Omega)

임의의 군과 그 표현에 대해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특수 유니타리 군 SU(''n'')에 대한 클렙슈-고르단 계수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은 알려져 있다.[9][10] 특히, SU(3)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맛깔-SU(3) 대칭이 존재하여 , 아래, 기묘 쿼크를 관련시키는 강입자 붕괴를 특징짓는 데 유용하기 때문에 계산되고 표로 정리되었다.[11][12][13] SU(N) 클렙슈-고르단 계수를 표로 정리하기 위한 [http://homepages.physik.uni-muenchen.de/~vondelft/Papers/ClebschGordan/ 웹 인터페이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14]

9. 1. 비그너 D-행렬과의 관계

비그너 D-행렬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

\begin{align}

&\int_0^{2 \pi} d \alpha \int_0^\pi \sin \beta \, d\beta \int_0^{2 \pi} d \gamma \,

D^J_{M, K}(\alpha, \beta, \gamma)^*

D^{j_1}_{m_1, k_1}(\alpha, \beta, \gamma)

D^{j_2}_{m_2, k_2}(\alpha, \beta, \gamma) \\

{}={} &\frac{8 \pi^2}{2 J + 1}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 \rangle

\langle j_1 \, k_1 \, j_2 \, k_2 | J \, K \rangle

\end{align}



:

\int_0^{2\pi} d\alpha \int_0^\pi \sin\beta d\beta \int_0^{2\pi} d\gamma

D^J_{MK}(\alpha,\beta,\gamma)^\ast D^{j_1}_{m_1k_1}(\alpha,\beta,\gamma) D^{j_2}_{m_2k_2}(\alpha,\beta,\gamma)

= \frac{8\pi^2}{2J+1} \langle j_1 m_1 j_2 m_2 | J M \rangle \langle j_1 k_1 j_2 k_2 | J K \rangle

여기서 \langle j_1 \, m_1 \, j_2 \, m_2 | J \, M \rangle\langle j_1 \, k_1 \, j_2 \, k_2 | J \, K \rangle클렙슈-고르단 계수이다.

9. 2. 구면 조화 함수와의 관계

정수가 관련된 경우,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구면 조화 함수적분과 관련될 수 있다.

:\int_{4 \pi} Y_{\ell_1}^{m_1}{}^*(\Omega) Y_{\ell_2}^{m_2}{}^*(\Omega) Y_L^M (\Omega) \, d \Omega = \sqrt{\frac{(2 \ell_1 + 1) (2 \ell_2 + 1)}{4 \pi (2 L + 1)}} \langle \ell_1 \, 0 \, \ell_2 \, 0 | L \, 0 \rangle \langle \ell_1 \, m_1 \, \ell_2 \, m_2 | L \, M \rangle

이 식과 구면 조화 함수의 직교성으로부터,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실제로 두 구면 조화 함수의 곱을 단일 구면 조화 함수로 전개한 계수임을 알 수 있다.

:Y_{\ell_1}^{m_1}(\Omega) Y_{\ell_2}^{m_2}(\Omega) = \sum_{L, M} \sqrt{\frac{(2 \ell_1 + 1) (2 \ell_2 + 1)}{4 \pi (2 L + 1)}} \langle \ell_1 \, 0 \, \ell_2 \, 0 | L \, 0 \rangle \langle \ell_1 \, m_1 \, \ell_2 \, m_2 | L \, M \rangle Y_L^M (\Omega)

9. 3. SU(N) 클렙슈-고르단 계수

임의의 군과 그 표현에 대해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특수 유니타리 군 SU(''n'')에 대한 클렙슈-고르단 계수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은 알려져 있다.[9][10] 특히, SU(3)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맛깔-SU(3) 대칭이 존재하여 , 아래, 기묘 쿼크를 관련시키는 강입자 붕괴를 특징짓는 데 유용하기 때문에 계산되고 표로 정리되었다.[11][12][13] SU(N) 클렙슈-고르단 계수를 표로 정리하기 위한 [http://homepages.physik.uni-muenchen.de/~vondelft/Papers/ClebschGordan/ 웹 인터페이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14]

10. 한국 물리학에서의 클렙슈-고르단 계수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문서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학술지 Altering the Symmetry of Wavefunctions in Quantum Algebras and Supersymmetry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Fun with SU(3) https://inspirehep.n[...]
[14] 학술지 A numerical algorithm for the explicit calculation of SU(N) and SL(N,C) Clebsch–Gordan coefficients http://link.aip.org/[...] 2011-04-13
[15] 서적 Theorie der Abelschen Funktion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