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클롭스 (사티로스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클롭스 (사티로스극)는 에우리피데스가 쓴 사티로스극으로,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나오는 오디세우스와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 이 극은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 후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에 시칠리아 섬에 도착하여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의 노예가 된 실레노스와 사티로스들을 만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오디세우스는 포도주로 키클롭스를 취하게 한 뒤 그의 눈을 멀게 하고 탈출에 성공하지만, 자신의 정체를 밝혀 포세이돈의 분노를 사게 된다. 이 작품은 정치적 풍자와 종교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메타 연극적인 요소를 통해 당대 아테네 사회를 비판하는 동시에 디오니소스 숭배와 불경함에 대한 경고를 보여준다.

2. 배경

오디세우스트로이아 전쟁이 끝난 뒤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을 잃고 시칠리아 섬에 상륙한다. 이 섬에는 키클롭스들이 살고 있었는데, 오디세우스와 선원들은 사티로스들과 그들의 아버지인 실레누스(Silenus)를 만나게 된다. 이들은 원래 자신들이 섬기는 신 디오니소스의 권속이었으나, 폴리페모스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키클롭스의 노예가 된 상태였다.[1] 사티로스들과 실레누스는 원작 오디세이아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이 극에서는 익살스러운 행동과 겁 많은 모습으로 극에 희극적인 요소를 더한다.[1]

''배역으로서의 파포실레누스'', 서기 100년경, 기원전 4세기 원본을 따른 조각


오디세우스가 폴리페모스에게 포도주를 바치는 모습

3. 등장인물


  • '''오디세우스''': 트로이아 전쟁의 영웅으로,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에 키클롭스의 섬에 표류하게 된다. 지혜와 용기를 겸비하여 키클롭스를 속이고 탈출하는 데 성공한다.
  • '''폴리페모스(키클롭스)''': 포세이돈의 아들이자 외눈박이 거인. 아에트나 산이 있는 시칠리아 섬에 살면서 오디세우스 일행을 잡아먹으려 한다. 원작 오디세이아에서는 폴리페모스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실레노스''': 사티로스들의 아버지이자 디오니소스의 권속. 술을 좋아하고 겁이 많지만, 오디세우스와 포도주를 교환하는 등 우호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 '''사티로스 (코러스)''': 실레노스의 아들들로, 디오니소스 숭배자들. 겁이 많고 익살스러운 행동으로 극의 희극적 요소를 담당한다. 키클롭스에게 잡혀 노예 생활을 하고 있었다.


4. 줄거리

오디세우스트로이아 전쟁이 끝나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을 잃고 시칠리아 섬에 상륙한다. 그곳에서 오디세우스와 그의 굶주린 선원들은 사티로스들과 그들의 아버지인 실레노스(Silenus)를 만난다. 이들은 디오니소스를 섬겼으나, 디오니소스와 떨어져 키클롭스(폴리페모스)의 노예가 된 상태였다.

오디세우스는 실레누스에게 자신들이 가진 와인과 식량을 교환하자고 제안한다. 실레누스는 디오니소스의 권속으로서 이 제안을 거절하지 못한다. 그러던 중 키클롭스가 나타나고, 실레누스는 오디세우스가 식량을 훔쳤다고 거짓말을 한다. 젊은 사티로스 중 한 명이 오디세우스를 위해 진실을 말하려 하지만, 키클롭스는 오디세우스와 선원들을 동굴로 끌고 가 일부를 잡아먹는다.

오디세우스는 키클롭스를 술에 취하게 한 뒤 부지깽이로 눈을 멀게 할 계획을 세운다. 키클롭스와 실레누스는 함께 술을 마시고, 키클롭스는 실레누스를 가니메데로 착각하여 동굴로 데려간다. 오디세우스는 사티로스들에게 도움을 청하지만, 그들은 겁을 먹고 뒷걸음질 친다. 결국 오디세우스는 자신의 선원들과 함께 키클롭스의 눈을 멀게 한다.

오디세우스는 키클롭스에게 자신의 이름을 '아무도 아님(Nobody)'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오우티스(outis)' 혹은 '메티스(mētis)'라고 속였다. 그래서 키클롭스는 "아무도 내 눈을 멀게 하지 않았다"라고 외치게 된다. 그러나 오디세우스는 탈출하기 전 자신의 진짜 이름을 밝히는 실수를 저지르고, 이로 인해 포세이돈의 분노를 사게 된다.

5. 분석 및 해석

에우리피데스는 디오니소스가 해적에게 붙잡힌 이야기와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나오는 오디세우스폴리페모스의 에피소드를 결합하여 이 극을 만들었다.[1][6][7] 아리스티아스도 키클롭스 사티로스극을 썼지만, 호메로스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 극을 쓴 유일한 작가는 에우리피데스인 것으로 보인다.[1][5]

디오니소스 극장


사티로스극은 "놀이로서의 비극"으로 이해되며, ''키클롭스''는 아테네 교육의 기초 텍스트와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기 위해 메타시적인 용어를 사용했다.[9][11][12] 등장인물들은 에우리피데스의 출처를 알고 있으며, 극 전체에 걸쳐 메타시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민주적인 청중에게 "집단 의식"을 키우고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도왔다.[13][14][15][16][17][10]

탐욕스러운 섭취는 극의 주요 주제 중 하나이며, 라블레적인 과잉과 미하일 바흐틴의 아이디어와 연결된다.[26][27] 폴리페모스는 "말하는 것을 좋아하고, 먹는 것을 좋아하며, [...] 먹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그에게 말하는 사람들을 먹으려고 한다".[26] 오디세우스와 키클롭스의 상호작용은 음식과 교환을 기반으로 한다.[26]

기원전 560–550년경에 제작된 크라테르의 세부 묘사로, 자위 행위를 하는 사티로스를 보여준다.


사티로스는 신이나 영웅에게 맡겨졌던 주역이 아닌 채로 줄거리를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4][35] 그들은 장난기 많고 성적인 행동으로 웃음을 자아내려 했으며, 인간에게 유용한 지혜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었다.[36][37]

''키클롭스''는 줄거리와 등장인물의 단순성을 비판하는 의견과 칭찬하는 의견이 공존하며, 비평가들 사이에 일치된 의견은 거의 없다.[42][43]

5. 1. 원작과의 비교

에우리피데스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9권에 나오는 오디세우스폴리페모스의 만남을 바탕으로 이 극을 썼다.[5][6][7] 하지만 원작에 없던 사티로스와 그들의 아버지 실레노스를 등장시켜 극에 희극적인 요소를 더했다.[8][1]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키클롭스는 야만적이고 미개한 존재로 묘사된다.[15] 반면 에우리피데스의 극에서 키클롭스는 5세기 소피스트와 유사한 지적 능력을 가진 존재로 그려진다.[23] 소피스트의 영향은 에우리피데스의 극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데, 등장인물들은 수사적인 표현을 통해 서로를 속이려 한다.[24][25]

원작에서 키클롭스가 있는 곳은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지만, 에우리피데스는 극의 배경을 시칠리아섬으로 설정했다.[31][32]

5. 2. 정치적 풍자

에우리피데스의 《키클롭스》는 당대 아테네의 정치 상황을 풍자하는 작품으로 해석될 수 있다.[21] 이 극은 알키비아데스의 귀환을 요청하고, 시칠리아 원정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1][22]

키클롭스의 눈을 멀게 하는 장면은 알칸데르가 스파르타의 입법자 리쿠르고스의 눈을 찔렀다는 이야기를 떠올리게 한다.[18][19] 이는 알키비아데스가 스파르타에 대한 정치적 동맹을 바꾼 것을 나타낸다는 해석도 있다.[18][20]

5. 3. 종교적 의미

이 극은 디오니소스 숭배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키클롭스의 불경함이 결국 그의 파멸을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극에서 키클롭스는 신이 아니라 인간이 도덕성의 근원이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배를 가장 위대한 신으로 섬긴다고 말한다. 이러한 불경한 태도는 5세기 아테네인들에게 큰 문제였으며, 에우리피데스는 종종 "불경함의 결과"를 다루었다.[28] 그리스 종교에서는 "신들이 강력하기 때문에 그들을 존경하고 달래는 것"이 중요했다.[28] 아테네인들은 철학자와 소피스트를 사법적으로 처벌했고,[28] 에우리피데스 자신도 "자발적인 망명"으로 아테네를 떠났을 수 있다.[29] 그의 극에서 키클롭스는 불경함에 대한 벌로 눈을 태워진다.[28]

사티로스들은 디오니소스 숭배자로서, 오르페우스교의 중심지인 시칠리아 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극 중 합창단은 "적에게 불 같은 파괴를 가져올 오르페우스의 주문을 알고 있다고 주장한다".[39] 사티로스가 키클롭스를 "대지의 아들"로 식별하고 불쏘시개를 키클롭스의 눈이 아닌 두개골에 점화하는 것으로 제시할 때, 그들은 전통적인 오르페우스 주문과 오르페우스 디오니소스의 "대지의 아들"이자 원초적인 적들인 티탄에 대한 제우스의 처벌을 모방한다.[40] 오르페우스교의 중심은 티탄의 손에 의한 신 디오니소스의 고통과 죽음이며, 이는 오르페우스교의 중심 신화를 형성한다.

6. 한국어 번역

번역자번역 연도번역본 형태비고
Percy Bysshe Shelley영어1824년운문[45]
Edward P. Coleridge영어1891년산문[45]
아서 S. 웨이1912년운문[45]
J. T. Sheppard영어1923년운문[45]
윌리엄 애로우 스미스1956년운문[45]
로저 랑슬린 그린1957년운문[45]
David Kovacs영어1994년산문[45]
헤더 맥휴와 데이비드 콘스탄2001년운문[45]
George Theodoridis영어2008년산문[45]
Patrick O'Sullivan영어과 Christopher Collard영어2013년[45]
Brian Vinero영어2013년운율을 맞춘 운문[45]
타케베 린쇼1960년진문서원 출판[45]
우치야마 케이지로1978년정출판회 출판[45]
나카무라 젠야1986년치쿠마 문고 출판, 원본은 1965년 치쿠마 서방의 『세계 고전 문학 전집 9 에우리피데스』[45]
나카츠카 테츠로1992년이와나미 서점 출판[45]
탄게 카즈히코2016년교토 대학 학술 출판회〈서양 고전 총서〉 출판[45]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in "Cyclops", in Euripides I Loeb Classical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Greek Traged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 서적 "Cyclops", in Euripides I Loeb Classical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4] 서적 A Guide to Ancient Greek Drama John Wiley & Sons, Incorporated 2014
[5] 서적 Metapoetry in Euripid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6] 간행물 "The Double Vision of Euripides' ''Cyclops'': An Ethnographic ''Odyssey'' on the Satyr Stage" 1999
[7] 문서 Odyssey http://data.perseus.[...]
[8] 서적 A Guide to Ancient Greek Drama John Wiley & Sons, Incorporated 2014
[9] 서적 'Cyclops’, in A Companion to Euripides John Wiley & Sons, Inc 2016
[10] 간행물 "The Event of Genre: Reading Plato's Republic through the Lens of Satyr-Play." 2014
[11] 서적 "Cyclops". McClure, Laura. ''A Companion to Euripides'' John Wiley & Sons 2017
[12] 서적 Metapoetry in Euripid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3] 서적 Metapoetry in Euripid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4] 서적 Metapoetry in Euripid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5] 서적 Introduction, in "Cyclops", in Euripides I Loeb Classical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16] 서적 Metapoetry in Euripid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7] 서적 Metapoetry in Euripid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8] 서적 Sophocles and Alcibiades : Athenian Politics in Ancient Greek Literature Acumen 2008
[19] 서적 Sophocles and Alcibiades : Athenian Politics in Ancient Greek Literature Acumen 2008
[20] 서적 Sophocles and Alcibiades : Athenian Politics in Ancient Greek Literature Acumen 2008
[21] 서적 Sophocles and Alcibiades: Athenian Politics in Ancient Greek Literature Routledge 2014
[22] 서적 Metapoetry in Euripid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3] 서적 Introduction, in "Cyclops", in Euripides I Loeb Classical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24] 서적 Greek Tragedies As Plays f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Incorporated, Newark 2016
[25] 간행물 "Odysseus, ingestive rhetoric, and Euripides' Cyclops." https://link.gale.co[...] 2002
[26] 간행물 "Odysseus, ingestive rhetoric, and Euripides' Cyclops." https://link.gale.co[...] 2002
[27] 간행물 "Odysseus, ingestive rhetoric, and Euripides' Cyclops." https://link.gale.co[...] 2002
[28] 서적 A Companion to Euripides John Wiley & Sons, Incorporated, Somerset 2017
[29] 서적 Introduction, in "Cyclops", in Euripides I Loeb Classical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30] 서적 A Companion to Euripides John Wiley & Sons, Incorporated, Somerset 2017
[31] 서적 "Cyclops". McClure, Laura. ''A Companion to Euripides'' John Wiley & Sons 2017
[32] 서적 "Cyclops". McClure, Laura. ''A Companion to Euripides'' John Wiley & Sons 2017
[33] 간행물 "Dionysus and the Pirates in Euripides' 'Cyclops'." http://www.jstor.org[...] 1988
[34] 서적 A Companion to Sophocles https://books.google[...] Wiley 2015
[35] 서적 The World of Christopher Marlowe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014
[36] 서적 Satyric Play: The Evolution of Greek Comedy and Satyr Drama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Reconstructing Satyr Drama https://books.google[...] De Gruyter
[38] 서적 The Gods of The Greeks https://books.google[...] Hauraki Publishing
[39] 논문 "Mystery Cults and Incantations: Evidence for Orphic Charms in Euripides' Cyclops 646-48?"
[40] 논문 "Mystery Cults and Incantations: Evidence for Orphic Charms in Euripides' Cyclops 646-48?"
[41] 논문 "Mystery Cults and Incantations: Evidence for Orphic Charms in Euripides' Cyclops 646-48?"
[42] 논문 "The Overworked Playwright A Study in Euripides' Cyclops."
[43] 서적 Introduction, in "Cyclops", in Euripides I Loeb Classical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44] 서적 Introduction, in "Cyclops", in Euripides I Loeb Classical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45] 웹사이트 Cyclops, adapted from Euripides https://pwcenter.org[...] 2024-02-10
[46] 간행물 『全集9』 岩波
[47] 간행물 『全集9』 岩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