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망은 16세기 초 명나라와 포르투갈 간에 벌어진 일련의 무력 충돌을 일컫는 말로, 오늘날 홍콩 지역에서 일어났다. 15세기 대항해시대에 포르투갈이 동아시아 진출을 시도하면서 시작되었으며, 1517년 포르투갈 함대가 둔문섬에 상륙하면서 본격적인 갈등이 시작되었다. 포르투갈은 둔문 지역을 점령하고 요새를 건설하며 무역을 시도했지만, 명나라의 반격으로 1521년과 1522년 두 차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둔문 지역에서 물러났다. 이 전투 이후 포르투갈은 마카오로 거점을 옮겨 무역을 지속했으며, 타망은 포르투갈의 동아시아 진출 과정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튄문구 - 툰먼 SA
툰먼 SA는 홍콩의 축구 클럽으로, 2009-10 시즌 2부 리그 준우승으로 1부 리그에 승격했으나 구단주의 자산 매각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고, 휴식기를 거쳐 2부 리그로 복귀했다. - 포르투갈 제국 - 콩키스타도르
콩키스타도르는 15세기부터 17세기에 아메리카 대륙 등을 정복했던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탐험가, 군인, 정복자들을 지칭하며, 종교적 열정과 경제적 이익을 위해 항해술과 군사적 우위를 바탕으로 활동했고, 아메리카 원주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포르투갈 제국 - 향신료 무역
향신료 무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어 육상 및 해상 무역로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아랍 상인, 베네치아 공화국, 유럽 열강의 경쟁을 거쳐 종교, 문화, 음식 문화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인도가 세계 향신료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홍콩의 역사 - 영국령 홍콩
영국령 홍콩은 1841년부터 1997년까지 영국의 지배를 받았던 홍콩으로, 아편 전쟁을 거치며 홍콩섬과 주룽반도가 할양되고 신제 지역이 조차되어 영토가 확장되었으며, 일본 점령기를 제외하고 무역항이자 금융 중심지로 발전하다가 1997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어 특별행정구가 되었다. - 홍콩의 역사 - 베이징 조약
베이징 조약은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후 청나라가 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체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톈진 조약 비준 강요, 영토 할양 및 배상금 지불을 통해 청나라 주권을 훼손하고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을 심화시켰으며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타망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타망 |
위치 | 오늘날의 |
시대 | 대항해시대 |
역사 | |
존속 기간 | 1514년 ~ 1521년 |
이전 | 동관현 |
이후 | 동관현 |
사건 1 | 둔문 점령 |
사건 날짜 1 | 1514년 |
사건 2 | 둔문 전투 |
사건 날짜 2 | 1521년 |
정치 | |
수도 | 둔문항 |
지도자 칭호 | 포르투갈 국왕 |
지도자 이름 | 마누엘 1세 |
언어 및 종교 | |
지역어 | 포르투갈어, 하카어, 광둥어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
국기 및 국장 | |
![]() | |
![]() |
2. 역사적 배경
15세기 대항해시대에 부상한 포르투갈 제국은 유럽과 동양의 무역을 발전시켜 아프리카의 앙골라, 인도의 고아, 동남아시아의 믈라카 등지에 군사기지와 무역 거점을 세웠다.
1513년 (명나라 정덕 8년), 조르즈 알바르스는 포르투갈 함대를 이끌고 주강 삼각주를 통과해 상륙하여 교역을 요구하였으나 명나라 측이 거부하면서 선원들은 선상에서 중국 상인들과 직거래에 나서야 했다.[4] 알바르스는 동관현 둔문섬에 파드랑 비석을 세우고 그 비석 옆에 아들의 시신을 묻었다고 한다.[4] 같은 시기 포르투갈의 디오구 로페스 드 세케이라 (Diogo Lopes de Sequeirapt)도 다른 함대를 직접 지휘하여 '둔문만'으로 향한 뒤 해안선을 따라 탐험하고 전초기지와 형장을 설치, 총기를 제조하고 자신의 업적을 알리는 비석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5]
1515년에서 1517년 사이, 포르투갈은 교역 문제로 명나라 정부와 분쟁을 벌였다. 1517년 6월 17일, 포르투갈 특사 토메 피르스는 페르낭 피르스 드 안드라드 등이 지휘하는 함대 8척을 이끌고 주강 지역으로 진입, 8월 15일 '둔문섬'에 도착했다.
1521년 명나라 가정제는 광동해도부사 왕헌(汪鋐)에게 명군을 이끌고 포르투갈이 점령한 둔문을 공격하도록 하였다.[10] 알바르스가 지휘하는 포르투갈군은 디오구 칼부(Diogo Calvo), 두아르트 코엘류(Duarte Coelho), 암브로시우 두 헤구(Ambrocio do Rego)의 지원을 받아 반격하였으나, 거의 한 달 동안 공방전이 이어졌다. 전투 초반 명군은 포르투갈군의 포병력에 고전하였지만, 왕헌은 첩보전을 통해 포르투갈 함선의 선원들로부터 선박 및 함포 제작 기술을 입수하여 오공선(蜈蚣船)을 건조하고 불랑기포를 생산하여 다음 공격에 대비하였다.
포르투갈이 명나라에 처음 진출한 것으로 보이는 기록은 1493년 동관현의 천호소 (오늘날 광둥성 난터우, 선전, 홍콩 일대)를 공격하면서 에 설치됐던 천호소 (千户所)에 포르투갈 군대가 도착했다는 기록이다. 당시 포르투갈군은 삼지오 (岑子澳)에서 동관현 수장 원광 (袁光)과 치열하게 싸웠으나 패배하고 퇴각하였다.[3] 이는 유럽인이 남아프리카의 희망봉을 거치는 항로를 따라 중국과 접촉한 최초의 사례로 평가된다.[3]
3. 발단
포르투갈군이 상륙한 '둔문'이 어디인지를 입증할 자료로, 명나라 관리 곽비 (郭棐)가 쓴 《월대기》(粵大記)의 말미에는 만리 5년(1577년)에 편찬된 《광동연해도》 (廣東沿海圖)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타망 해전이 일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기도 하다. 지도에는 장군오 (將軍澳), 황니용 (黃泥涌), 적주 (赤柱) 등 당시 광둥성 연안을 따라 있었던 여러 마을의 이름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이 지도에는 '둔문' (屯門)이라는 표기가 보이는데 그 우측의 '성산' (聖山)은 지금의 청산 (靑山)에 해당되므로, 당시의 둔문이란 지명은 오늘날 홍콩 신계 지역의 튄문과 일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나라 대에 편찬된《신안현기》 (新安縣記) 4권 〈산수략〉(山水略) 제43절에는 '구경산 (九逕山)은 현에서 남쪽으로 42리, 둔문만에 인접해 있으며, 명나라 해군 장수 왕항 (汪鋐)이 이곳에서 주민들을 이끌고 불랑기(佛朗機)를 무찔렀다'고 소개하고 있다. 또한 '배도산 (곧 지금의 청산)은 현에서 남쪽으로 40리에 있으며, 높고 험준하여 하늘에 닿을 듯하다. 원래 이름은 양갱산 (羊坑山)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구경산과 배도산 모두 동관현 남쪽 40여리에 떨어져 있다는 기록으로부터 〈광동연해도〉에 그려진 두 봉우리와 둔문만의 위치가 서로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포르투갈이 점령했다는 둔문만은 오늘날 홍콩의 칭산완 (青山灣, Castle Bay)에 해당된다.
4. 포르투갈의 둔문 점령과 확장
'둔문섬'의 위치는 오늘날 홍콩의 란타우섬으로 추정되지만, 둔문만 일대의 작은 섬, 네이링딩다오(内伶仃島), 다산섬(大鏟島) 등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1518년, 시망 D. 안드라드(Simão D. Andrade)는 함선 1척과 경범선 3척을 이끌고 둔문에 도착, 인근 섬에 성곽, 장벽, 형장을 설치하고 약탈과 납세 거부를 일삼았다. 포르투갈군은 선전시 난산구 난산반도 점령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둔문섬으로 후퇴, 주둔지를 마련했다. 이후 포르투갈인들은 둔문만과 규용만에 요새를 건설하고 총기를 정비하며 석비를 세워 지역 주민들과 갈등을 빚었다.
5. 명-포르투갈 전쟁 (둔문 전투)
1521년 9월, 명군은 소형함선에 장작과 기름을 싣고 강한 남풍이 부는 날을 기다렸다. 왕헌은 50여 척의 배에 4천 명의 병사를 태우고 포르투갈 함대를 공격했다.[10] 명군은 기름과 풀을 가득 채운 배에 불을 붙여 포르투갈 진영으로 빠르게 접근시켰다. 포르투갈 함대는 크고 느려서 화공을 피하지 못하고 혼란에 빠졌다. 왕헌은 부하들을 시켜 불이 붙지 않은 포르투갈 함선 바닥을 파냈고, 많은 포르투갈군 병사들이 바다에 뛰어들었다. 명군은 적군함에 올라 백병전을 벌였고, 포르투갈군은 패배하여 3척의 배를 이끌고 9월 7일 밤 인근 섬에 숨었다. 다음날 아침, 풍향이 바뀌자 포르투갈 함대는 북풍을 타고 명군의 추격을 피해 믈라카로 후퇴했다.
5. 1. 2차 충돌 (천초만 전투)
1521년 명나라 가정제는 광동해도부사 왕헌(汪鋐)에게 명군을 이끌고 포르투갈이 점령한 둔문을 공격하도록 하였다.[10] 알바르스가 지휘하는 포르투갈군은 디오구 칼부(Diogo Calvo), 두아르트 코엘류(Duarte Coelho), 암브로시우 두 헤구(Ambrocio do Rego)의 지원을 받아 반격하였으나, 거의 한 달 동안 공방전이 이어졌다. 전투 초반 명군은 포르투갈군의 포병력에 고전하였지만, 왕헌은 첩보전을 통해 포르투갈 함선의 선원들로부터 선박 및 함포 제작 기술을 입수하여 오공선(蜈蚣船)을 건조하고 불랑기포를 생산하여 다음 공격에 대비하였다.
1521년 9월, 명군은 소형함선에 장작과 기름을 싣고 강한 남풍이 부는 날을 기다렸다. 왕헌은 50여 척의 배에 4천 명의 병사를 태우고 포르투갈 함대를 공격했다.[10] 명군은 기름과 풀을 가득 채운 배에 불을 붙여 포르투갈 진영으로 빠르게 접근시켰다. 포르투갈 함대는 크고 느려서 화공을 피하지 못하고 혼란에 빠졌다. 왕헌은 부하들을 시켜 불이 붙지 않은 포르투갈 함선 바닥을 파냈고, 많은 포르투갈군 병사들이 바다에 뛰어들었다. 명군은 적군함에 올라 백병전을 벌였고, 포르투갈군은 패배하여 3척의 배를 이끌고 9월 7일 밤 인근 섬에 숨었다. 다음날 아침, 풍향이 바뀌자 포르투갈 함대는 북풍을 타고 명군의 추격을 피해 믈라카로 후퇴했다.
1522년 4월, 포르투갈군은 둔문 탈환을 위해 전함 6척을 다시 파견하였다. 그해 8월, 양측 군대는 대해산(大奚山, 지금의 란터우섬)의 천초만(茜草灣)에서 전투를 벌였는데, 이를 제4차 명-포르투갈 전쟁이라고 한다. 전투는 천초만에서 초주(哨州)까지 이어졌으며,[11] 명군이 승리하였다. 이로써 명나라는 '둔문섬', '둔문만', '규용만' 등 포르투갈이 점령했던 둔문 영토 전체를 회복하였으며, 포르투갈은 이후 홍콩 영토를 되찾지 못했다.[12][13][14][15]
6. 둔문 전투 이후
포르투갈은 홍콩의 둔문섬, 둔문만, 규용만을 잃고 상촨섬 (上川島)과 낭백오(浪白澳)를 거쳐 마카오에 도달하였다.[16] 이들은 상촨섬 일대에 처음 정착하였으며 1542년 낭백오를 점령해나가는 식으로 거점을 마련했다. 3년 후인 1545년 명나라 황실에서 상촨섬의 봉쇄에 나섰다.
1553년 포르투갈인들은 해도부사 왕백 (汪柏)에게 뇌물을 건내고 마카오에 정박할 권리와 거주할 권리를 마침내 확보하며 중국 대륙에서의 이득과 극동에서의 포르투갈 영토를 계속 확장하게 되었다.[17][18][19] 마카오도 포르투갈 제국의 영토로서 확보되어 식민지가 되었다.[20][21]
7. 유적
란타우섬 타이오 지역에는 오늘날까지 포르투갈 점령지 흔적이 남아 있으며, 광둥어로 서양인을 뜻하는 '판과이 (番鬼)'를 붙여 '판과이통' (番鬼塘)이라 부른다.[22] 판과이통은 수심이 얕고 공간이 좁아 10톤 이상 어선 몇 척만 정박할 수 있어, 포함이나 군함 등이 정박할 규모는 되지 못한다.[22]
8. 한국에의 시사점
참조
[1]
서적
香港古代史(修訂版)
中華書局
2006
[2]
서적
香港前代史論集
商務印書局
1985
[3]
서적
深圳古代簡史
文物出版社
1997
[4]
서적
澳門編年史
澳門基金會
[5]
웹인용
屯門地名初探
https://www.hkchroni[...]
2022-04-19
[6]
웹사이트
葡人入居澳门前侵占我国“南头”考实
http://www.historych[...]
2021-02-03
[7]
서적
深圳古代簡史
文物出版社
1997
[8]
서적
香港古代史(修訂版)
中華書局
2006
[9]
서적
深圳古代簡史
文物出版社
1997
[10]
웹인용
屯門地名初探
https://www.hkchroni[...]
2022-04-19
[11]
문서
哨州位置約在大嶼山以西,[[萬山群島]]以東
[12]
문서
有東莞縣白沙巡檢何儒,前因委抽分,曾到佛朗機船,見有中國人楊三、戴明等,年久住在彼國,備知造船、鑄銃及製火藥之法。鋐令何儒密遣人到彼,以賣酒米為由,潛與楊三等通話,諭令向化,重加賞齎,彼遂樂從。約定其夜,何儒密駕小船,接引到岸,研審是實,遂令如式製造。鋐舉兵驅逐,亦用此銃取捷。奪獲伊銃大小二十餘管。
[13]
문서
重建汪公生祠記
[14]
서적
香港前代史論集
商務印書局
1985
[15]
서적
大嶼山
三聯書店
[16]
방송
中華五千年第四百九十八集·澳門開埠
[17]
서적
深圳古代簡史
文物出版社
1997
[18]
서적
Macau, the Imaginary City: Culture and Society, 1557 to the Present
Westview Press
1996
[19]
서적
China and Europe Since 1978: A European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0]
방송
中華五千年第四百九十八集·澳門開埠
[21]
서적
《香港歷史之謎》
明報出版社有限公司
2007-04
[22]
웹인용
蕭國健:《歷史考察工作坊:香港漁民與大澳棚屋》(視聽資料),聯合出版集團,2013年,於2015年7月7日查看。
https://www.youtube.[...]
2015-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