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트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트바는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싯다 의학 등 다양한 종교 및 철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존재의 근본 원리 또는 요소를 의미한다. 힌두교에서는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 자이나교에서는 해탈을 위한 원리, 불교에서는 법의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싯다 의학에서는 인체를 구성하는 96가지 자질을 타트바라고 부르며, 서양 마법에서도 오원소를 나타내는 데 활용된다.

2. 힌두교

힌두교에서 타트바는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원리 또는 요소를 의미한다. 힌두교의 여러 학파와 전통에서는 다양한 수의 타트바를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힌두교에서는 판차 부타(Pañca-bhūta, পঞ্চভূ)라고 불리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타트바를 언급한다.

타트바설명
프리티비
아파스
테자스
바유바람
아카샤허공



이 다섯 가지 요소는 우주의 물질적 구성 요소를 나타내며, 힌두교의 세계관과 우주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1. 상키아 학파

상키아 철학은 우주를 두 개의 영원한 실재, 즉 ''푸루샤''와 ''프라크리티''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는 강력한 이원론 철학이다. ''푸루샤''는 의식의 중심이고, ''프라크리티''는 모든 물질적 존재의 근원이다. 상키아의 25개의 ''타트바'' 체계는 창조의 유형적인 측면만을 다루며, ''프라크리티''가 생성의 세계의 근원이라고 이론화한다. 이는 첫 번째 ''타트바''이며, 스스로를 24개의 추가적인 ''타트바'', 즉 원리로 연속적으로 진화시키는 순수한 잠재성으로 간주된다.

2. 2. 샤이바 학파

샤이바 학파에서 ''타트바''는 의식과 물질적 존재를 모두 포함한다. 샤이바 학파의 36 타트바는 세 그룹으로 나뉜다.

  • '''Shuddha 타트바'''


: 처음 다섯 개의 타트바는 ''shuddha'' 또는 '순수한' ''타트바''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보편적인 경험의 ''타트바''로도 알려져 있다.

  • '''Shuddha-ashuddha 타트바'''


: 다음 일곱 개의 ''타트바''(6–12)는 ''shuddha-ashuddha'' 또는 '순수-불순' ''타트바''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제한된 개별적 경험의 ''타트바''이다.

  • '''Ashuddha 타트바'''


: 마지막 스물네 개의 ''타트바''(13–36)는 ''ashuddha'' 또는 '불순한' ''타트바''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첫 번째는 프라크리티이며, 정신 작용, 감각적 경험, 물질성의 ''타트바''를 포함한다.

2. 3. 바이슈나바 학파

푸라나 문헌과 일반적인 바이슈나바 철학에서 '타트바'는 특정 범주 또는 유형의 존재나 에너지를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된다.

  • '''비슈누-타트바''': 최고의 신인 스리 비슈누. 다른 타트바를 포함한 모든 것의 원인 요소.
  • '''크리슈나-타트바''': 스리 크리슈나로서의 스리 화신 또는 확장인 스리 비슈누.
  • '''샤크티-타트바''': 스리 크리슈나로서의 스리 비슈누의 다양한 에너지. 그의 내적 잠재력, 요가마야, 프라크리티를 포함한다.
  • '''지바-타트바''': 다양한 살아있는 영혼 (지바들). 스리 브라흐마를 포함한다.
  • '''시바-타트바''': 스리 시바지바도 아니고 도 아니며, 비슈누와 브라흐마 사이에서 비슈누의 개인적인 창조물이며, 자질과 권능을 가지고 있다.
  • '''마하트-타트바''': 우주의 총 물질적 에너지 (''프라크리티'')[2]


가우디야 바이슈나바 철학에서는 생명체와 관련하여 총 5가지 주요 타트바가 설명되어 있으며, 이를 통칭하여 ''판차 타트바''라고 한다.

2. 4. 탄트라

힌두교 탄트라에서 다섯 가지 타트바(''pañcatattva'')는 새벽의 ''아카샤''로 시작하여 ''프리티비''로 끝나는 ''타트빅 조류''의 글로벌 에너지 순환을 생성한다.[4]

공기는 파란색 원, 흙은 노란색 사각형, 불은 빨간색 삼각형, 물은 은색 초승달, 에테르는 검은색 달걀로 표현된다.


# ''아카샤''(에테르 타트바) - 검은색 달걀로 상징된다.

# ''바유''(공기 타트바) - 파란색 원으로 상징된다.

# ''아그니''(불 타트바) - 빨간색 삼각형으로 상징된다.

# ''아파스''(물 타트바) - 은색 초승달로 상징된다.

# ''프리티비''(흙 타트바) - 노란색 사각형으로 상징된다.

각 사이클은 2시간 동안 지속된다.[5]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이 다섯 가지 타트바의 시스템은 골든 던(타트바 비전)에 의해 채택되었다.

존 우드로프 (1918년)[6]는 힌두교와 불교 전통의 판차미르타는 직접적으로 ''마하부타'' 즉, 5대 원소와 관련이 있으며, ''판차마카라''는 실제로 ''판차타트바''의 통속적인 용어이며, 이는 가나차크라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차크라푸자"는 가나차크라 또는 가나차크라푸자와 관련이 있다.

3. 자이나교

자이나교 철학은 여러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전통은 '타트바'(tattvas) 또는 근본 원리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이것을 알지 못하면 해탈을 향해 나아갈 수 없다. 주요 자이나교 경전인 타트바르타 수트라에서는 다음과 같은 타트바를 제시한다.[9]

:1. 지바 – 영혼.

:2. 아지바 – 무생물.

:3. 아스라바 – 업의 유입.

:4. 반다 – 업의 속박.

:5. 삼바라 – 업의 유입 중지.

:6. 니르자라 – 업의 소멸.

:7. 모크샤 – 해탈.

이러한 근본 원리 각각은 자이나교 학자들에 의해 심층적으로 논의되고 설명된다.[9] 자이나교의 타트바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두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강을 건너는 사람과 보트:
  • 한 남자가 강 건너편에 가기 위해 나무 보트를 탄다. 남자는 '지바', 보트는 '아지바'에 해당한다.
  • 보트에 누수가 발생하여 물이 들어온다. 물의 유입은 '아스라바', 물이 고이는 것은 '반다'이다.
  • 남자가 구멍을 막는 행위는 '삼바라', 물을 퍼내는 행위는 '니르자라'이다.
  • 남자가 강을 건너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은 '모크샤'에 비유할 수 있다.

  • 집에 사는 가족과 모래 폭풍:
  • 어느 날, 가족은 열린 문과 창문으로 들어오는 시원한 바람을 즐긴다.
  • 갑자기 모래 폭풍이 불어 닥치고, 가족은 문과 창문을 닫는다.
  • 문과 창문을 닫기 전까지 먼지가 집 안으로 들어온다.
  • 가족은 집 안으로 들어온 먼지를 치운다.
  • 이 상황에서 가족은 '지바', 집은 '아지바', 먼지의 유입은 '아스라바', 먼지가 쌓이는 것은 '반다', 문과 창문을 닫는 것은 '삼바라', 먼지를 치우는 것은 '니르자라', 깨끗한 집은 '모크샤'를 나타낸다.

4. 불교

불교에서 "'법'"이라는 용어는 고전 원소에 대한 헌법적 요소로 사용된다. 초기 불교 철학은 현실을 분석하기 위해 ''나마루파''와 다섯 가지 ''스칸다''와 같은 여러 목록을 사용했다. 테라바다 아비담마 전통은 이러한 목록을 상세히 설명하여 100개 이상의 용어를 사용하여 현실을 분석했다.

5. 아야바지

아킬라티라투 암마나이에 따르면 타트바는 인간의 몸을 이루는 96가지 자질 또는 속성이다.[1] Ayyavazhi의 종교 서적이기도 하다.[1]

6. 싯다 의학

고대 인도의 전통 의학 체계인 시타 의학(சித்த மருத்துவம்|Citta maruttuvamta)은 타밀 나두의 싯다르들에 의해 유래되었다.[7] 이 전통에 따르면, 인체는 96개의 구성 원리, 즉 ''타트바''로 구성되어 있다. 싯다의 근본 원리는 사람을 우주와 결코 분리하지 않았다. 그들에 따르면, "자연사람이고 사람은 자연이며, 따라서 둘은 본질적으로 하나이다. 사람은 소우주라고 하며, 우주는 대우주라고 한다. 왜냐하면 우주에 존재하는 것이 사람에게도 존재하기 때문이다."[8]

7. 서양 마법

황금 새벽단 계열의 의식 마법에서는 도형을 사용하여 오원소(사원소와 )의 아스트랄 비전(환시)을 획득하는 기법이 있다.[1]

사용되는 도형은 일본에 전해진 오륜탑의 구성과 거의 같으며, 양자는 기원을 같이 한다.[1]

8. 대한민국과 타트바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대한민국과 타트바'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tattva - of the truth http://vedabase.net/[...] 2007-02-23
[2] 웹사이트 Mahattattva, Mahat-tattva: 5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21-02-10
[3] 웹사이트 Chaitanya Caritamrita, Adi-lila 7.5 http://vedabase.net/[...] 2007-02-28
[4] 서적 Nature's Finer Forces. The Science of Breath and the Philosophy of the Tattvas. Kessinger Publishing 2010
[5]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the Occult https://books.google[...] Llewellyn Publications 2003
[6] 웹사이트 http://www.sacred-te[...] 2007-07-09
[7] 뉴스 Team visits Government Siddha Medical College http://www.hindu.com[...] The Hindu 2010-02-20
[8] 웹사이트 Siddha – a unique system Dr. R. Kannan http://siddhadreams.[...]
[9] 간행물 Path of Arhat - A Religious Democracy Pujya Sohanalala Smaraka Parsvanatha Sodhapitha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