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탁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탁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바오딩 시 동부, 창저우 시 서북부, 헝수이 시 북부 일대에 해당한다. 고황제 재위 기간 동안 진나라 시대의 광양군, 거록군 및 형산군을 기반으로 설치되었으며, 치소는 탁현(涿, 현대의 줘저우 시)에 위치했다. 신나라 시대에는 원한군으로 개칭되었고, 후한 시대에는 하간국으로 남부를 떼어주고 바오딩시 동북부 일대로 축소되었다. 조위 시대에는 범양군으로 개명되었으며, 진 왕조 시기에는 범양국으로 재편되었다.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는 유주로 불렸고, 탁군(742년 이전) 또는 범양군(742년 이후)으로 불리며 9개의 현을 관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톈진시의 군 - 우북평군
    우북평군은 연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허베이성 북부와 랴오닝성 서부를 관할했으며, 시대에 따라 북순군, 북평군으로 불리다가 어양군, 평주 등으로 통합, 변경되었다.
  • 톈진시의 군 - 어양군
    어양군은 전국 시대 연나라에 의해 처음 설치되어 현재의 베이징시 미윈구 일대에 위치했으며, 시대에 따라 통폐합과 복치를 거쳐 계주로 개칭 및 환원되면서 그 명칭이 소멸되었다.
  • 베이징시의 군 - 광양군 (중국)
    광양군은 진나라 때 처음 설치되어 전한 시대에는 연나라 제후의 봉토였다가 유단의 반란 이후 군으로 재설치되었으며, 현재의 베이징시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시대에 따라 광양국으로도 불렸다.
  • 베이징시의 군 - 어양군
    어양군은 전국 시대 연나라에 의해 처음 설치되어 현재의 베이징시 미윈구 일대에 위치했으며, 시대에 따라 통폐합과 복치를 거쳐 계주로 개칭 및 환원되면서 그 명칭이 소멸되었다.
  • 허베이성의 군 - 중산군
    중산군은 전한부터 수나라까지 존속하며 현재 허베이성 중남부에 위치했던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과 소속 현에 변화가 있었고, 후한 말 흑산적의 주요 거점, 조위와 서진 시대 제후국, 오호십육국 시대 여러 나라의 영역으로 편입, 북위 시대 정주 소속 등의 변화를 겪다가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
  • 허베이성의 군 - 하내군
    하내군은 진나라 때 하동군에서 분할되어 설치되었으며 전한 시대에는 삼하 중 하나로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던, 현재의 허난성 북서부에 위치한 중국의 옛 군이다.
탁군
지리 정보
위치중국 북부
개요
유형
역사
설치 시기한대
폐지 시기당대
역대 명칭 변천
서한 시대涿郡 (zhuō jùn, 줘쥔)
신나라 시대垣翰郡 (yuán hàn jùn, 위안한쥔)
후한 시대涿郡 (zhuō jùn, 줘쥔)
삼국 시대范陽郡 (fàn yáng jùn, 판양쥔)
수나라 시대幽州 (yōu zhōu, 요우저우)
涿郡 (zhuō jùn, 줘쥔)
당나라 시대幽州 (yōu zhōu, 요우저우)

2. 전한

탁군은 전한 고제 때 설치되었으며, 군의 치소는 탁현이었다.[1] 설치 시기에 대해서는 기원전 201년 연나라를 분할하여 설치했다는 설과 기원전 111년 광양군의 일부를 분리하여 설치했다는 설이 대립한다.[12] 유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오늘날의 바오딩 시 동부, 창저우 시 서북부, 헝수이 시 북부 일대에 해당한다.

원시 2년(2년) 기준으로 19만 5067호, 78만 2764명이 탁군에 거주했으며,[14] 철관이 설치되어 있었다. 탁군은 29개의 현을 관할했으나, 대부분 후한 시대에 폐지되었다.[2]

왕망은 탁군을 '''원한군'''(垣翰郡)으로 개칭했으나, 후한 건국 후 탁군으로 명칭이 복귀되었다.[7]

2. 1. 속현 목록 (전한)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탁현涿縣바오딩시 줘저우시군 치소가 있었다. 도수(桃水)가 내수(淶水)에서 갈려나와, 나뉘어 동쪽으로 안차(安次)에서 황하에 들어간다.
주현逎縣바오딩시 라이수이현
곡구현穀丘縣헝수이시 안핑현
고안현故安縣바오딩시 이현 남동역수(易水)가 이 현의 염향(閻鄕)에서 나와서 동쪽으로 범양(范陽)에 이르러 유(濡)로 들어가고, 병주를 적신다. 이 강은 또 범양에서 내수로 들어간다.
남심택현南深澤縣스자좡시 선쩌현 동
범양현范陽縣바오딩시 딩싱현 남서응소에 따르면 범수(范水)의 북쪽[陽]이다.
여오현蠡吾縣바오딩시 보예현 남서
용성현容城縣바오딩시 룽청현 북
역현易縣바오딩시 슝현 북서
광망후국廣望侯國바오딩시 칭위안구 남서
막현鄚縣창저우시 런추시 북
고양현高陽縣바오딩시 가오양현 동응소에 따르면 고하(高河)의 북쪽이다.
주향후국州鄕侯國창저우시 허젠시 북동
안평현安平縣헝수이시 안핑현도위의 치소가 있다.
번여후국樊輿侯國바오딩시 쉬수이구 남동
성후국成侯國?
양향후국良鄕侯國베이징시 남서원수(垣水)가 남동에서 양향(陽鄕)에 이르러 도수로 들어간다.
이향후국利鄕侯國?
임향후국臨鄕侯國랑팡시 구안현 남
익창후국益昌侯國랑팡시 바저우시 북동
양향후국陽鄕侯國랑팡시 구안현 북서
서향후국西鄕侯國바오딩시 줘저우시 북서
요양현饒陽縣헝수이시 라오양현 북동응소에 따르면 요하(饒河)의 북쪽이다.
중수현中水縣창저우시 셴현 북서응소에 따르면 지명의 유래는 역수(易水)와 완수(滱水) 두 강의 사이다.
무원현武垣縣창저우시 허젠시 남서응소에 따르면 원수(垣水)는 양향에서 나와서 동쪽으로 도수로 들어간다.
아릉현阿陵縣창저우시 런추시 북동
아무후국阿武侯國창저우시 셴현 북서
고곽후국高郭侯國창저우시 런추시 북서
신창후국新昌侯國랑팡시 신청현 남동

[14][12]

3. 신나라

왕망 시대에 '''원한군'''으로 개칭되었다가[7], 후한이 건국되면서 탁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7]

3. 1. 명칭 변경 (신나라)

垣翰|원한중국어으로 군의 이름을 바꾸고 다음 현의 이름을 바꿨다.

전한
주(逎)주병(逎屏)
범양순음(順陰)
용성심택(深澤)
막(鄚)언부(言符)
고양고정(高亭)
안평광망정(廣望亭)
번여(樊輿)악부(握符)
성(成)의가(宜家)
양향광양(廣陽)
이향장부(章符)
익창(益昌)유질(有袟)
장무(章武)
서향이풍(移風)
무원원한정(垣翰亭)
아릉아륙(阿陸)
고곽광제(廣隄)

[6]

왕망 시대에 '''원한군'''으로 개칭되었다. 후한이 건국되면서 탁군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7]

4. 후한

후한 시대 탁군은 7현 102,218호, 633,754명이었다.[15] 남부를 하간국에 떼어주고 바오딩시 동북부 일대로 축소되었다. 조위 때 범양군으로 개명되었다.

4. 1. 속현 목록 (후한)

현명대략적 위치비고
탁(涿)바오딩시 줘저우 시
주(逎)바오딩시 라이수이 현오기는 내(迺)
고안(故安)바오딩시 이현역수(易水)와 박수(雹水)가 나온다.
범양(范陽)바오딩시 딩싱 현
양향(良鄕)베이징 팡산 구
북신성(北新城)바오딩시 쉬수이 구분수문(汾水門)이 있다.
방성(方城)랑팡시 구안 현광양군에서 이관했다. 옛 임향현(臨鄕縣)을 포함한다. 독항정(督亢亭)이 있다.[15]


5. 조위, 진

조위 문제 때 탁(涿)이 범양(范陽)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진 건국 후 범양국(范陽國)으로 재편되었고, 세 명의 제후가 범양왕 칭호를 받았다.[3] 범양국은 탁(涿), 양향(良鄉), 방성(方城), 장향(長鄉), 내(奈), 관안(固安), 범양(范陽), 융성(榮城)의 8개 현으로 구성되었으며, 280년 기준 인구는 11,000가구였다.[4]

5. 1. 범양왕 (진)

조위 문제 재위 기간 동안 탁(涿)은 범양(范陽)으로 개명되었다. 진 왕조가 건국된 후 이 지역은 범양국(范陽國)으로 재편되었다. 세 명의 제후가 범양왕 칭호를 받았다.[3]

이름시호재위 기간
사마수 (司馬綏)범양 강왕(康王)265년 ~ 279년
사마효 (司馬虓)279년 ~ 306년
사마려 (司馬黎)306년 (팔왕의 난 때 사망)



범양국은 탁(涿), 양향(良鄉), 방성(方城), 장향(長鄉), 내(奈), 관안(固安), 범양(范陽), 융성(榮城)의 8개 현으로 구성되었다. 서기 280년 인구는 11,000가구였다.[4]

6. 수, 당

주현제가 실시될 때 탁군은 '''유주(幽州)'''로 불렸다. 북제에서 설치했던 '''동북도행태(東北道行台)'''는 북주 시기에 총관부로 바뀌었다. 수 양제 시기 총관부가 폐지되었고, 9현 84,059호를 거느렸다.[16]

수나라당나라 시대에 탁군(742년 이전)과 범양군(742년 이후)은 유주의 다른 이름이었다. 치소는 계 (현재의 베이징)에 있었다.[5] 583년 (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범양군은 폐지되어 유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유주는 탁군으로 개칭되었다.[10] 618년 (무덕 원년), 당나라에 의해 탁군은 유주로 개칭되었고, 탁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1]

6. 1. 속현 목록 (수, 당)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계현薊縣베이징옛 연군(燕郡)에 속하였다. 개황 초기 폐지되었다가 대업 초 탁군을 설치하면서 복구되었다.[16]
양향현良鄕縣베이징 시 팡산 구 양향진(良鄕鎭)[16]
안차현安次縣랑팡 시 광양구 구주진(九州鎭)[16]
탁현涿縣바오딩 시 줘저우 시개황 초 범양군이 폐지되면서 탁군의 속현이 되었다.[16]
고안현固安縣랑팡 시 구안 현586년(수 문제 개황 6년) 고안현(故安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16]
옹노현雍奴縣톈진 시 우칭 구[16]
창평현昌平縣베이징 창핑 구과거 동연주 평창군(平昌郡)에 속했다가 북주 때 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이후 다시 평창군이 세워졌다고 개황 초에 폐지되었다. 만년현(萬年縣)을 통폐합했다. 관관(關官)과 만리장성이 있었다.[16]
회융현懷戎縣장자커우 시 줘루 현북제에서 설치한 북연주는 장녕군(長寧郡), 영풍군(永豐郡)의 2개 군을 관할했는데, 북주 시기 북자가 빠져 연주(燕州)로 개명되었다. 개황 초에 2개 군이 폐지되었고 대업 초에 연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교산(喬山), 역양산(歷陽山), 대핵산(大翮山), 소핵산(小翮山), 곽수(漷水), 탁수(涿水), 판천수(阪泉水)가 있다.[16]
노현潞縣베이징 퉁저우구 노성진(潞城鎭)과거 어양군에 속했다.[16]


7. 역대 태수

한고조 유방이 탁군을 설치했다. 군의 치소는 탁현이었으며,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기에 19만 5607호, 78만 2764명이 있었다고 한다[6]왕망 시대에는 원한군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나, 후한이 건국되면서 탁군으로 다시 돌아왔다[7]

후한 시대 탁군은 탁, 추, 고안, 범양, 용성, 양향, 방성, 북신성 등 8개 현을 관할했다[8]

삼국 시대 문제는 탁군을 범양군으로 고쳤다[9]

583년(개황 3년), 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범양군은 유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 유주는 탁군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고, 계, 양향, 안차, 탁, 고안, 옹노, 창평, 회융, 로 등 9개 현을 관할했다[10]

618년(무덕 원년), 나라에 의해 탁군은 유주로 바뀌었고, 탁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1]

7. 1. 전한

한고조 유방이 설치했다. 군의 치소는 탁현이었다. 탁현, 추, 곡구, 고안, 남심택, 범양, 려오, 용성, 역, 광망, 모, 고양, 주향, 안평, 번여, 성, 양향, 이향, 임향, 서향, 양, 익창, 요양, 중수, 무원, 고곽, 아릉, 아무, 신창 등 29개 현을 관할했다.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기에 19만 5607호, 78만 2764명이 있었다[6]

왕망 시대에 '''원한군'''()으로 개칭되었다. 후한이 건국되면서 탁군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7]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Later Han
[3] 서적 Book of Jin
[4] 서적 Book of Jin
[5] 서적 New Book of Tang
[6]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7]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8] 서적 後漢書
[9] 서적 晋書
[10] 서적 隋書
[11] 서적 旧唐書
[12]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3] 문서
[14] 서적 한서
[15] 서적 속한지
[16] 서적 수서
[17] 서적 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