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양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양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연나라가 동호를 정벌한 후 설치된 다섯 군 중 하나이다. 기원전 222년 진나라가 연나라를 멸망시키고 어양군을 설치했으며, 이후 전한, 신나라, 후한, 위진, 북위, 수나라,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지역이 변화했다. 특히 전한 시대에는 유주에 속했으며, 후한 시대에는 오환족이 거주하기도 했다. 수나라 시기에는 현주로 옮겨졌다가 대업 시대에 다시 어양군으로 돌아와 무종현을 관할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계주로 개칭되었다가, 천보 연간에 어양군으로 잠시 불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시의 군 - 탁군
    탁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의 바오딩 시, 창저우 시, 헝수이 시 일대에 해당한다.
  • 베이징시의 군 - 광양군 (중국)
    광양군은 진나라 때 처음 설치되어 전한 시대에는 연나라 제후의 봉토였다가 유단의 반란 이후 군으로 재설치되었으며, 현재의 베이징시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시대에 따라 광양국으로도 불렸다.
  • 톈진시의 군 - 탁군
    탁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의 바오딩 시, 창저우 시, 헝수이 시 일대에 해당한다.
  • 톈진시의 군 - 우북평군
    우북평군은 연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허베이성 북부와 랴오닝성 서부를 관할했으며, 시대에 따라 북순군, 북평군으로 불리다가 어양군, 평주 등으로 통합, 변경되었다.
  • 허베이성의 군 - 탁군
    탁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의 바오딩 시, 창저우 시, 헝수이 시 일대에 해당한다.
  • 허베이성의 군 - 중산군
    중산군은 전한부터 수나라까지 존속하며 현재 허베이성 중남부에 위치했던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과 소속 현에 변화가 있었고, 후한 말 흑산적의 주요 거점, 조위와 서진 시대 제후국, 오호십육국 시대 여러 나라의 영역으로 편입, 북위 시대 정주 소속 등의 변화를 겪다가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
어양군
개요
유형중국
존속 시기진나라 ~ 당나라
역사
진나라진나라 시기 설치
서한어양군
신나라통로군(通路郡)으로 개칭
후한어양군으로 환원
삼국 시대어양군
서진연국에 편입
동진어양군 재설치
남북조 시대어양군 유지
수나라현주(玄州), 어양군
당나라계주(薊州), 어양군, 계주(薊州)

2. 전국·진

연나라 장군 진개동호를 무찌르고 얻은 땅에 설치된 다섯 군 중 하나로, 이름은 어수(漁水)의 북쪽[양(陽)]이라는 뜻이다. 진나라가 기원전 225년 연나라를 멸하고 이듬해 군을 중건해, 진나라 통일 당시 36군에 들어간다. 치소는 어양현이다.[7]

속현 목록
이름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어양漁陽베이징시 화이러우구 베이팡(北房)진 리위안좡(梨园庄)촌 어양고성고지(漁陽古城古址)상하이 박물관 소장 전국 연나라 초기 병기 “어양피”(漁陽鈹) 명문에 “(전략)...어양...(후략)” 등
천주泉州톈진시 우칭구 황좡(黃庄)가도 천주고성톈진시 바오디구 진나라 고성 유지에서 출토된 진나라 돌로 만든 “천주승인”(泉州丞印) 도장 명문에 “천주승인”
백단白檀허베이성 롼핑현 북진나라 봉니 “백단승인”(白檀丞印)



전국 시대에는 연에 의해 설치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군의 이름은 어수(漁水, 현재의 백하)의 북쪽에 위치한 것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222년, 진이 연을 멸망시키자, 연의 옛 땅에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 요서군, 요동군이 설치되었다. 군의 치소는 어양현 (현재의 미윈구)이었다.

2. 1. 속현 목록 (전국·진)

기원전 222년, 진이 연을 멸망시키자, 연의 옛 땅에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 요서군, 요동군이 설치되었다. 군의 치소는 어양현(현재의 미윈구)이었다.

3. 전한

유주자사부에 속했다.[8]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68,802호, 264,116명이 있었다.[9][8]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2현이다. 치소는 진나라 시절과 마찬가지로 어양현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어양현漁陽縣베이징시 미윈 구 남서고수(沽水)가 새외에서 나와서 남동으로 천주(泉州)현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니, 750리를 간다. 철관이 있다.
호노현狐奴縣베이징시 순이 구 북동
노현路縣랑팡시 싼허 시 서
옹노현雍奴縣톈진시 우칭 구 북동
천주현泉州縣톈진시 우칭 구 남염관(鹽官)이 있다.
평곡현平谷縣베이징시 핑구 구 북동
안록현安樂縣베이징시 순이 구 북서
제해현厗奚縣베이징시 미윈 구 북동
광평현獷平縣베이징시 미윈 구 북동
요양현要陽縣청더시 펑닝 만족 자치현 남동 일대
백단현白檀縣청더시 롼핑 현 북혁수(洫水)가 북만이(北蠻夷)에서 나온다.
활염현滑鹽縣청더시 롼핑 현 남


3. 1. 속현 목록 (전한)

전한은 진나라의 제도를 계승하여 유주의 관할 아래, 진나라의 만리장성에서 발해만에 이르는 지역을 관할하는 군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북방에 대한 통치 체제가 느슨해지면서 행정 범위가 남부로 축소되었고, 신나라 시대에는 '''통로군'''으로 개칭됨과 동시에 북방의 행정권을 상실했다. 후한 시대에는 다시 '''어양군'''으로 개칭되었으나, 현재의 밀운현 북부가 북쪽 경계로 여겨졌다.

건무 25년 (49년), 오환족의 대인(족장) 곽단 등이 후한에 조공을 바치자, 광무제는 그들을 유주의 각 군에 거주하게 했고, 어양군에도 오환족이 살게 되었다.

전한 시대의 속현은 어양현, 호노현, 로현, 옹노현, 천주현, 핑구현, 안락현, 선계현, 광평현, 요양현, 백단현, 활염현이 있었다. 신나라 시대에는 득어현 (구 어양), 거부현 (구 호노), 통로정 (구 로현), 옹노현, 천조현 (구 천주), 핑구현, 안러현, 돈덕현 (구 선계), 평광현 (구 광평), 요술현 (구 요양), 광덕현 (구 활염)으로 개칭되었다.

후한 시대의 속현은 어양현, 호노현, 로현, 옹노현, 천주현, 핑구현, 안러현, 선계현, 광평현이었다.

4. 신

전한진나라의 제도를 계승하여 유주의 관할 아래, 진나라의 만리장성에서 발해만에 이르는 지역을 관할하는 군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북방에 대한 통치 체제가 느슨해지면서 행정 범위가 남부로 축소되었고, 신나라 시대에는 '''통로군'''으로 개칭됨과 동시에 북방의 행정권을 상실했다. 후한 시대에는 다시 '''어양군'''으로 개칭되었으나, 현재의 밀운현 북부가 북쪽 경계로 여겨졌다.

건무 25년 (49년), 오환족의 대인(족장) 곽단 등이 후한에 조공을 바치자, 광무제는 그들을 유주의 각 군에 거주하게 했고, 어양군에도 오환족이 살게 되었다.

군의 이름을 통로(通路)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어양득어(得漁)
호노거부(擧符)
통로정(通路亭)
천주천조(泉調)
제해돈덕(敦德)
광평평광(平獷)
요양요술(要術)
활염광덕(匡德)


5. 후한

낙양에서 동북으로 2000리거리에 있다. 9현 68,456호 435,740명을 거느렸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어양현漁陽縣변화없음
호노현狐奴縣변화없음
노현路縣변화없음
옹노현雍奴縣변화없음
천주현泉州縣변화없음
평곡현平谷縣변화없음
안락현安樂縣변화없음
제해현厗奚縣변화없음
광평현獷平縣변화없음



건무 25년 (49년), 오환족의 대인(족장) 곽단 등이 후한에 조공을 바치자, 광무제는 그들을 유주의 각 군에 거주하게 했고, 어양군에도 오환족이 살게 되었다.

후한 시대의 속현은 다음과 같다.: 어양현, 호노현, 로현, 옹노현, 천주현, 핑구현, 안락현, 선계현, 광평현

5. 1. 속현 목록 (후한)

전한은 진나라의 제도를 계승하여 유주의 관할 아래, 진나라의 만리장성에서 발해만에 이르는 지역을 관할하는 군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북방에 대한 통치 체제가 느슨해지면서 행정 범위가 남부로 축소되었고, 신나라 시대에는 '''통로군'''으로 개칭됨과 동시에 북방의 행정권을 상실했다. 후한 시대에는 다시 '''어양군'''으로 개칭되었으나, 현재의 밀운현 북부가 북쪽 경계로 여겨졌다.

건무 25년 (49년), 오환족의 대인(족장) 곽단 등이 후한에 조공을 바치자, 광무제는 그들을 유주의 각 군에 거주하게 했고, 어양군에도 오환족이 살게 되었다.

후한 시대의 속현은 다음과 같다.: 어양현, 호노현, 로현, 옹노현, 천주현, 핑구현, 안락현, 선계현, 광평현

6. 위진

조비 시기에 일부 현들이 폐지되고 서진대에는 연군에 일부 현들만 존치된 채로 통폐합되었다.[10] 서진 시대가 되자 어양군은 폐지되고, 관할 현은 연국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북위 시대가 되자 다시 어양군이 설치되었다. 북위 시대의 관할 현은 옹노현, 노현, 무종현, 어양현, 토은현, 서무현이다.

7. 북위

북위대에 군이 복치되었다. 446년(태평진군 7년)에 북평군을 통폐합했다. 6현 6,984호 29,670명을 거느렸다.[11] 396년(황시 2년)에 후한대에 버려진 전한대 어양군의 북부에 밀운군(密云郡)이 설치되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옹노현雍奴縣톈진 시 우칭 구446년 천주현을 흡수하였다. 옹노성과 천주성이 있다.
노현潞縣랑팡시 북부와 베이징 시 순이 구 핑구 구 일대446년 안락현, 평곡현을 흡수하였다.
무종현無終縣톈진 시 지저우 구본래 북평군에 속하였다. 무종성과 낭산(狼山)이 있다.
어양현漁陽縣변화없음서진시기 폐지되었다가 후에 복원되었다. 도화산(桃花山)이 있다.
토은현土垠縣탕산 시 펑룬 구본래 북평군에 속하였다. 446년 북평군이 통폐합되면서 어양군의 영현이 되었으나 448년(태평진군 9년)에 신설된 안락군으로 이관되었다.
서무현徐無縣탕산 시 쭌화 시본래 북평군에 속하였다.


7. 1. 속현 목록 (북위)

서진 시대가 되자 어양군은 폐지되고, 관할 현은 연국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북위 시대가 되자 다시 어양군이 설치되었다.

북위 시대의 어양군은 옹노현, 노현, 무종현, 어양현, 토은현, 서무현을 관할했다.

8. 수

586년(개황 6년) 현주(玄州)를 이곳에 옮겨 설치하고 총관부를 두었다. 총관부는 대업초에 폐지되었다. 1현 3,925호를 거느렸다.[12] 그리고 이때부터 군의 치소가 톈진시 지저우 구로 고정되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무종현無終縣톈진 시 지저우 구북주에서 서무현을 통폐합했다. 본래 북평군에 소속되있던 현들이었지만 대업시기 이곳에 어양군을 신설하게 되었다. 장성, 연산(燕山), 무종산(無終山), 구하(泃河), 여하(如河), 경수(庚水), 누수(壘水)、남수(濫水), 바다가 있다.



수나라 개황 6년(586년), 현주로 옮겨졌으나, 대업 시대(605년 - 618년) 초에 돌아와 무종 1현을 관할하며 기주에 속했다.

당나라 개원 18년(730년), 어양군은 '''계주'''로 개칭되었고, 천보 원년(742년)에 '''어양군'''으로 개칭되었지만, 건원 원년(758년)에 다시 '''계주'''로 개칭되어 어양군의 행정 구역 명칭은 소멸되었다.

8. 1. 속현 목록 (수)

수나라 개황 6년(586년), 현주로 옮겨졌으나, 대업 시대(605년 ~ 618년) 초에 돌아와 무종 1현을 관할하며 기주에 속했다. 당나라 개원 18년(730년), 어양군은 '''계주'''로 개칭되었고, 천보 원년(742년)에 '''어양군'''으로 개칭되었지만, 건원 원년(758년)에 다시 '''계주'''로 개칭되어 어양군의 행정 구역 명칭은 소멸되었다.

9. 당

730년(개원 18년), 유주의 3개현에 '''계주(薊州)'''를 설치했고 742년(천보 원년) 당나라가 군제를 실시하면서 계주는 어양군으로 불리게 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군현제를 폐하고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계주로 불리게 되었다. 천보연간에는 3현 5,317호 28,521명을 거느렸다.[13]

당나라 시기의 어양군(계주)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어양현漁陽縣톈진 시 지저우 구수나라때부터 이와 같은 이름으로 불렸다. 618년(무덕 원년) 유주에 속했다가 619년(무덕 2년) 현주(玄州)로 소속이 옮겨졌다. 그리고 무종현을 분리설치했다가 627년(정관 원년) 폐지했다. 705년(신룡 원년) 영주(營州)의 치현으로 바꾸었다가 716년(개원 4년) 유주로 소속이 돌아왔다. 730년 유주에서 분리되 계주의 치현이 되었다.
삼하현三河縣랑팡 시 싼허 시716년 노현(潞縣)에서 분리신설했다. 730년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옥전현玉田縣탕산 시 위톈 현697년(만세통천 2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705년 영주에 소속시켰다가 716년 유주로 소속되었다. 720년(개원 8년) 영주에 다시소속시켰다가 723년(개원 11년) 계주로 소속이 바뀌었다.


9. 1. 속현 목록 (당)

수나라 개황 6년(586년), 현주로 옮겨졌으나, 대업 시대(605년 ~ 618년) 초에 돌아와 무종 1현을 관할하며 기주에 속했다.

당나라 개원 18년(730년), 어양군은 '''계주'''로 개칭되었고, 천보 원년(742년)에 '''어양군'''으로 개칭되었지만, 건원 원년(758년)에 다시 '''계주'''로 개칭되어 어양군의 행정 구역 명칭은 소멸되었다.

10. 군수·태수

10. 1. 전한

기원전 119년에 해(解)가 어양군에 임명되었다.[14] 애제 시기에는 팽굉(彭宏)이 있었다.[15] 또한 전립(田颯)도 어양군에 있었다.[16]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2] 서적 Book of Han
[3] 서적 Book of Later Han
[4] 서적 Book of Jin
[5] 서적 Book of Wei
[6] 서적 New Book of Tang
[7] 서적 진대정구지리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8]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9] 서적 한서
[10] 웹인용 106권 지형지 https://zh.wikisourc[...]
[11] 웹인용 106권 지형지 https://zh.wikisourc[...]
[12]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13]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14] 서적 한서
[15] 서적 후한서
[16] 서적 예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