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산군은 중국 역사상의 행정 구역으로, 한(漢)나라 때 처음 설치되어 수(隋)나라 때 폐지되었다. 한나라 때는 중산국으로 불렸으며, 기주에 속해 여러 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대에는 상산군으로 개명되기도 했다. 후한, 위, 서진 시대에도 중산국이 설치되었으며, 관할 현의 변동이 있었다. 북위 시대에는 정주에 소속되었으며,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중산군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베이성의 군 - 탁군
    탁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의 바오딩 시, 창저우 시, 헝수이 시 일대에 해당한다.
  • 허베이성의 군 - 하내군
    하내군은 진나라 때 하동군에서 분할되어 설치되었으며 전한 시대에는 삼하 중 하나로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던, 현재의 허난성 북서부에 위치한 중국의 옛 군이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서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서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중산군
개요
국가중산국 (中山國)
존속 기간기원전 414년 ~ 기원전 296년
수도고성 (顧城, 현재의 허베이성 딩저우시) (기원전 414년 ~ 기원전 380년)
영수 (靈壽, 현재의 허베이성 스자좡시 링서우현) (기원전 380년 ~ 기원전 296년)
역사
건국기원전 414년
멸망기원전 296년
멸망 원인조에 의해 멸망
주요 사건백적의 침공 (기원전 507년)
위나라의 침공 (기원전 406년)
조나라의 침공과 멸망 (기원전 296년)
정치
정치 체제군주국
군주선우흡 (鮮虞翕) (기원전 414년 ~ 기원전 380년)
중산환공 (中山桓公) (기원전 380년 ~ 기원전 360년)
중산성공 (中山成公) (기원전 360년 ~ 기원전 328년)
중산왕착 (中山王𫲏) (기원전 328년 ~ 기원전 309년)
중산왕상 (中山王尚) (기원전 309년 ~ 기원전 296년)
인구
추정 인구약 30만 명 (기원전 4세기)
문화
언어백적어 (중산어)
민족백적 (白狄)
기타
위치현재의 허베이성 중남부
주요 유적중산국 고성 유적, 중산국 왕릉
개요 (중산군)
국가 (漢)
설치 시기전한 (경제) 시기
폐지 시기후한 말기
군치 (郡治)노노 (盧奴, 현재의 허베이성 딩저우시)
역사 (중산군)
전한 시기경제 시기 설치
원시 2년 (서기 2년)에 호구 조사
관할 현노노현 (盧奴縣)
안국현 (安國縣)
규양현 (規陽縣)
망도현 (望都縣)
당양현 (唐陽縣)
심택현 (深澤縣)
고성현 (苦成縣)
안차오현 (安險縣)
극후현 (棘侯縣)
신시현 (新市縣)
무극현 (毋極縣)
중무현 (中丘縣)
역현 ( 역縣)
후한 시기
변화영제 시기 폐지
박릉 (博陵)으로 이전
속현 감소
속현노노현
안국현
당현 (唐縣)
망도현
심택현
무극현
안평현 (安平縣)
위치 (중산군)
위치현재의 허베이성 중남부
기타 (중산군)
관련 인물유승 (중산정왕)

2. 역사

(고조) 시대에 중산군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54년(경제 3년), 유승이 중산왕이 되면서 '''중산국'''이 설치되었다[7]. 전한의 중산국은 기주에 속했으며, 노노, 북평, 북신성, 당, 심택, 고경, 안국, 곡역, 망도, 신시, 신처, 무극, 육성, 안험 등 14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대에는 상산군으로 개명되었다[8].

25년(건무 원년), 유무후한에 항복하여 중산왕에 봉해지면서 다시 중산국이 설치되었다[9]. 중산국은 노노, 북평, 무극, 신시, 망도, 당, 안국, 안희, 한창, 여오, 상곡양, 포음, 광창 등 13개 현을 관할했다[10].

232년(태화 6년), 삼국 조곤이 중산왕이 되면서 중산국이 설치되었다[11].

265년(태시 원년), 사마목(사마표의 아버지)이 중산왕이 되면서 중산국이 설치되었다[12]. 진의 중산국은 노노, 위창, 신시, 안희, 당, 포음, 북평, 망도 등 8개 현을 관할했다[13].

북위 초년에는 정주가 설치되면서 중산군은 정주에 소속되었다. 북위의 중산군은 노노, 상곡양, 위창, 신시, 무극, 안희, 당, 포음, 북평, 망도 등 10개 현을 관할했다[14]. 효창 연간(525년528년)에 중산군에서 포음, 북평, 망도 등 3개 현을 분리하여 북평군으로 만들었다. 정주에 속했으며, 군의 치소는 북평성에 두었다.

583년(개황) 3년, 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중산군은 폐지되어 정주에 편입되었다[15].

2. 0. 1. 후한말 ~ 조위

후한말에는 흑산적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으나, 원소가 이들을 토벌한 후 그의 영향권 아래 있었다. 원상 대에 조조가 하북을 점령하면서 조위의 영향권으로 들어왔다. 11현을 관할했다.

현명(한자)현명(한글)비고
盧奴縣노노현
魏昌縣위창현조비 시기에 한창현을 위창현으로 개명했다.
安喜縣안희현
蒲陰縣포음현
望都縣망도현
唐縣당현
北平縣북평현
廣昌縣광창현
毋極縣무극현서진대에 폐지되었다.
安國縣안국현
蠡吾縣여오현


2. 0. 2. 서진

팔왕의 난이 일어나던 혜제 시기 석륵이 기주를 정복하면서 북방 민족의 손에 넘어갔다. 당시 8개 현, 33,000호를 거느렸다.[13]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盧奴縣노노현변화 없음
魏昌縣위창현한창현을 조위 시기 위창현으로 개명했다.[18]
新市縣신시현
安喜縣안희현
蒲陰縣포음현
望都縣망도현
唐縣당현
北平縣북평현


2. 1. 오호십육국

유연이 노노현 공으로 임명되었고 중산군 지역은 조나라 땅이었기 때문에 그가 나라 이름을 전조라고 칭했다.

석륵이 기주를 병탄하면서 후조에 들어갔다가 모용선비가 세운 전연이 기주 지역을 정복하면서 전연의 영역으로 들어간 후 수도 역할을 했다.

전진이 화북을 통일하면서 전진의 통치권에 들어갔으나, 전진이 몰락한 이후 후연이 중산군을 정복했다.

3. 속현

한 고조 시대에 중산군이 설치되었고, 기원전 154년(경제 3년) 유승이 중산왕이 되면서 중산국으로 바뀌었다.[7] 왕망 시대에는 상산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8]

25년(건무 원년), 유무후한에 항복하면서 다시 중산국이 설치되었다.[9] 232년(태화 6년)에는 삼국 조곤이, 265년(태시 원년)에는 사마목(사마표의 아버지)이 중산왕이 되면서 중산국이 설치되었다.[11][12]

북위 초년에는 정주가 설치되면서 중산군이 정주에 소속되었다. 효창 연간(525년528년)에는 중산군에서 일부 현을 분리하여 북평군을 만들었다.

583년(개황 3년), 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중산군은 정주에 편입되었다.[15]

3. 1. 전한

기주자사부에 속했다.[16]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60,873호, 668,080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17][16]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4현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노노盧奴縣딩저우 시응소에 따르면 노수(盧水)가 (우)북평현에서 나와 동으로 하수로 들어간다.
북평北平縣바오딩시 만청 현 북서수(徐水)가 고양현에 이르러 박수(博水)로 들어간다. 또 노수(盧水)가 있어 또한 고양현에 이르러 하수로 들어간다. 철관이 있다. 중산정왕 유승의 무덤이 있다.
북신성北新成縣바오딩시 쉬수이 구 서상흠(桑欽)에 따르면 역수(易水)가 북서에서 나와 동으로 구수(滱水)로 들어간다.
唐縣바오딩시 탕 현 북요산(堯山)이 남쪽에 있다. 응소에 따르면 옛 요임금의 나라다. 당수(唐水)가 서쪽에 있다. 맹강에 따르면 중항오가 선우를 친 중인(中人) 땅이 이 현의 중인정(中人亭)이다.
심택深澤縣스자좡시 선쩌 현
고형苦陘縣스자좡시 우지 현 북동
안국安國縣헝수이시 안핑 현 북동
곡역曲逆縣바오딩시 순핑 현 남동포양산(蒲陽山)에서 포수(蒲水)가 나와 동으로 난수(濡水)로 들어간다. 또 소수가 있어 또한 동으로 난수로 들어간다.
망도望都縣바오딩시 왕두 현 북서박수가 동으로 고양현에 이르러 하수로 들어간다. 장안(張晏)에 따르면 요산이 북쪽에 있고 요모경도산(堯母慶都山)이 남쪽에 있으니 요산에 오르면 도산이 보이는 데서 이름을 따왔다.
신시新市縣스자좡시 신러 시 남동응소에 따르면 옛 선우자국(鮮虞子國)은 이 현의 선우정(鮮虞亭)이다.
신처新處縣딩저우시 북동
무극毋極縣스자좡시 우지 현 서
육성陸成縣바오딩시 리 현 남
안험安險縣딩저우시 남동



군의 이름을 상산(常山)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북평선화(善和)
북신성삭평(朔平)
화친(和親)
심택익화(翼和)
고형북형(北陘)
안국흥목(興睦)
곡역순평(順平)
망도순조(順調)
안험영험(寧險)



한 고조 시대에 중산군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54년 (경제) 3년, 유승이 중산왕이 되면서 '''중산국'''이 설치되었다.[7] 전한의 중산국은 기주에 속했으며, 노노, 북평, 북신성, 당, 심택, 고경, 안국, 곡역, 망도, 신시, 신처, 무극, 육성, 안험 등 14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대에는 상산군으로 개명되었다.[8]

3. 2. 후한 ~ 북위

25년(건무 원년), 유무후한에 항복하여 중산왕에 봉해지면서 다시 중산국이 설치되었다.[9] 중산국은 노노, 북평, 무극, 신시, 망도, 당, 안국, 안희, 한창, 여오, 상곡양, 포음, 광창 등 13개 현을 관할했다.[10]

232년(태화 6년), 삼국 조곤이 중산왕이 되면서 중산국이 설치되었다.[11]

265년(태시 원년), 사마목(사마표의 아버지)이 중산왕이 되면서 중산국이 설치되었다.[12] 진의 중산국은 노노, 위창, 신시, 안희, 당, 포음, 북평, 망도 등 8개 현을 관할했다.[13]

북위 초년에는 정주가 설치되면서 중산군은 정주에 소속되었다. 북위의 중산군은 노노, 상곡양, 위창, 신시, 무극, 안희, 당, 포음, 북평, 망도 등 10개 현을 관할했다.[14] 효창 연간(525년528년)에 중산군에서 포음, 북평, 망도 등 3개 현을 분리하여 북평군으로 만들었다. 정주에 속했으며, 군의 치소는 북평성에 두었다.

참조

[1] 서적 Book of Han, Chapter 53
[2] 서적 Book of Han, Chapter 80
[3] 서적 Book of Later Han, Chapter 1
[4] 서적 Book of Later Han, Chapter 42
[5] 서적 Book of Han, Chapter 28
[6] 서적 Book of Jin, Chapter 14
[7] 서적 漢書 景帝紀
[8] 서적 漢書 地理志下
[9] 서적 後漢書 光武帝紀上
[10] 서적 後漢書 郡国志二
[11] 서적 三国志 武文世王公伝
[12] 서적 晋書 世祖紀
[13] 서적 晋書 地理志上
[14] 서적 魏書 地形志二上
[15] 서적 隋書 地理志中
[16]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7] 서적 한서 권28 지리지 제8 하
[18] 서적 위서-권106 https://zh.wikisourc[...]
[19] 서적 위서-권106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