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프레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프레소는 고압으로 뜨거운 물을 곱게 간 커피 원두에 통과시켜 추출하는 진한 커피로, 이탈리아에서 기원했다. 1901년 루이지 베체라에 의해 최초의 에스프레소 머신이 개발되었고, 1990년대 후반 한국에 커피 전문점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에스프레소는 추출 방식과 원두 사용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머신이 있으며, 바리스타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사람을 뜻한다. 에스프레소는 아메리카노, 카푸치노, 라떼 등 다양한 음료의 기본 재료로 사용되며, 이탈리아를 비롯한 남유럽과 북미, 호주 등지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커피 - 바리스타
바리스타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하여 커피와 음료를 만드는 직업으로, 에스프레소 추출 및 라테 아트 기술과 커피 지식을 갖추고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국에서 기술을 겨루는 대회가 열리고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WBC)이 대표적이다. - 이탈리아의 커피 - 카페 마키아토
카페 마키아토는 에스프레소에 소량의 데운 우유를 첨가한 커피 음료로, 에스프레소와 우유를 구별하기 위해 우유로 에스프레소에 표시한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롱 마키아토 등 다양한 종류와 시럽을 첨가한 베리에이션이 있다. - 이탈리아어계 외래어 - 매니페스토
매니페스토는 특정 목적을 가진 선언문으로, 정치 분야에서는 정당의 공약집을, 예술 분야에서는 미래주의 선언, 기술 분야에서는 GNU 선언문 등의 예시가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매니페스토 운동이 확산되었다. - 이탈리아어계 외래어 - 아티초크
아티초크는 남유럽 지중해 연안 원산의 국화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꽃봉오리의 꽃받침과 꽃턱을 식용하며 독특한 맛과 풍미, 다양한 영양 성분과 효능을 지녀 전 세계적으로 요리에 활용되고 잎, 줄기, 뿌리는 차로도 이용된다. - 이탈리아 - 이탈리아 의회
이탈리아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되며, 1948년 헌법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입법, 행정부 감시, 대통령 선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2020년 헌법 개정으로 상원 의원 수와 하원 의원 수가 감축되었다.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에스프레소 - [음식]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에스프레소 |
로마자 표기 | eseupereesso |
이탈리아어 | espresso |
이탈리아어 (전체) | caffè espresso |
문화어 | 에스프렛쏘 |
종류 | 강한 커피 |
원산지 | 이탈리아 |
도입 | 1901년 |
영양 정보 | |
칼로리 (kJ) | 8.4 |
탄수화물 (g) | 0 |
지방 (g) | 0.2 |
단백질 (g) | 0.1 |
마그네슘 (mg) | 80 |
리보플라빈 (mg) | 0.2 |
나이아신 (mg) | 5.2 |
수분 (g) | 97.8 |
테오브로민 (mg) | 0 |
카페인 (mg) | 212 |
참고 | USDA 영양 보고서 링크 |
이미지 | |
![]() |
2. 역사
에스프레소의 역사는 19세기 말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다. 1901년 루이지 베제라(Luigi Bezzera)가 현대적인 에스프레소 머신의 원형을 개발하면서 본격적인 에스프레소 시대가 열렸다.
1822년 프랑스의 루이 베르나르 라보(Louis Bernard Rabaut)가 최초의 프로토타입을 만들었고,[16][17][18] 1843년에는 프랑스인 에두아르 루이젤 드 산타이스(Edouard Loysel de Santais)가 시간당 2,000잔의 커피를 만들 수 있는 "카페 익스프레스(café express)"라는 기계를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선보였다.[20][21] 그러나 이 기계는 간접적인 증기를 사용했고, 한 번에 한 주전자씩 커피를 추출하여 대중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20][21] 1887년, 영국의 제임스 차일드(James Childs)와 찰스 존 존스(Charles John Jones)는 최초의 포타필터(portafilter)를 발명하여 에스프레소 머신 설계를 크게 개선했다.[24]
이후 에스프레소는 이탈리아를 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스타벅스와 같은 글로벌 커피 체인의 등장과 함께 에스프레소 기반의 다양한 커피 음료들이 대중화되면서 현대 커피 문화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
이탈리아에서는 에스프레소 소비가 산업화와 도시화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토리노, 제노바, 밀라노에서 두드러졌다. 이탈리아인들은 에스프레소 문화를 이탈리아 소말리아와 이탈리아 에리트레아 등 동아프리카 식민지로 전파했다.[27] 파시스트 정권 하에서는 커피에 가격 통제가 적용되어 바에 서서 마시는 문화를 조장했다.
영어권 국가에서는 카푸치노 형태로, 미국에서는 플레이버 시럽을 첨가하거나 하지 않은 라테 형태로 에스프레소가 인기를 얻었다. 영국에서는 1950년대에 젊은이들 사이에서 에스프레소의 인기가 높아졌다. 에스프레소는 처음에는 이탈리아 이민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고, 이탈리아 관광이 다른 사람들에게 에스프레소를 접하게 함에 따라 인기가 높아졌다. 1980년대 특수 커피가 발전함에 따라 에스프레소는 고급 음료로 자리 잡으면서 토착 장인 커피 문화가 발전했다.
3세대 커피 운동은 재배자와의 관계, 특정 커피 제조에 수반되는 장인 정신을 중시하는 더 넓은 커피 문화로서, 라 마르조코(La Marzocco) 등 에스프레소 머신 브랜드를 포함한다.[28] 오늘날 커피 문화에서 에스프레소 머신은 단순한 추출 도구가 아니라 장인 정신, 품질 및 커피 제조에 대한 헌신의 상징이다.
180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éon Bonaparte)의 대륙봉쇄령으로 프랑스 식민지에서 설탕과 커피 원두가 부족해져 치코리커피 등 대용품이 탄생했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가 방문했던 로마의 "안티코 카페 그레코(Caffè Greco)"는 커피 양을 줄이고 가격을 낮추는 방식으로 위기를 넘겼고, 이는 데미타스 컵(demitasse cup)의 기원이 되었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전기식 업무용 머신은 1961년 에르네스토 발렌테(Ernesto Valente)가 개발한 Faema E61을 기반으로 한다.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 에스프레소 음료가 널리 받아들여진 것은 스타벅스를 비롯한 시애틀 계열 커피숍의 확장이 큰 영향을 미쳤다.
2. 1. 초기 발전

1884년, 안젤로 모리온도(Angelo Moriondo)는 증기로 작동하는 커피 음료 제조 장치(특허번호 33/256)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25] 이는 1800년대 프랑스와 영국의 증기로 작동하는 커피 머신과 유사한 최초의 이탈리아 커피 머신이었다. 이 장치는 커피를 통해 증기와 물의 공급을 별도로 제어하는 최초의 이탈리아 바 머신이었다.[25]

1901년, 이탈리아 발명가 루이지 베제라(Luigi Bezzera)는 커피 머신의 여러 개선된 버전을 고안하고 특허를 받았다.[25] "커피 음료를 준비하고 즉시 제공하기 위한 기계의 혁신"이라는 제목의 특허(번호 153/94, 61707)는 1902년 6월 5일에 허여되었으며 최초의 에스프레소 머신이었다.[25] 1903년, 이 특허는 데시데리오 파보니(Desiderio Pavoni)가 매입하여 라 파보니(La Pavoni) 회사를 설립하고 밀라노 파리니 가(Via Parini)의 작은 작업장에서 하루에 한 대씩 기계를 생산하기 시작했다.[26]
2. 2. 대한민국으로의 전파
대한민국에서 에스프레소는 1990년대 후반부터 커피 전문점을 중심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1999년 스타벅스의 대한민국 진출은 에스프레소 대중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27] 김대중 정부의 적극적인 개방 정책과 맞물려 이 과정은 가속화되었다. IMF 외환 위기 이후, 커피 전문점은 새로운 창업 아이템으로 각광받으며 빠르게 성장했고, 이에 따라 에스프레소는 대한민국 커피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3. 추출 방법
에스프레소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고압(약 9기압)으로 뜨거운 물(약 90°C)을 곱게 간 커피 원두에 통과시켜 짧은 시간(약 25초) 안에 에스프레소를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한 잔당 약 7g의 커피 원두를 사용하여 약 30cc를 추출하며, 약 14g을 사용하여 약 60cc를 추출한 것은 도피오(doppio, 더블)라고 부른다.
가정에서는 모카 포트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를 만들기도 한다. 이탈리아에서는 카페띠에라(cafetiera), 영어권에서는 모카(Moka)라고 부른다. 모카 포트는 주전자 밑바닥에 물을 넣고 거름막에 커피를 담아 끓이면 증기가 커피를 통과하여 추출되는 방식이다. 에스프레소 머신과 달리 2~4기압으로 추출한다.
직화식 기구는 "마키네타(macchinetta)", "모카 에스프레소(Moka Express)", "직화식" 등으로 불린다.
3. 1. 에스프레소 머신
에스프레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에스프레소 머신이 필요하다. 에스프레소는 고운 입자로 압축된 커피에 고압으로 매우 뜨거운 물을 통과시켜 만든다. 에스프레소 추출 과정은 여과식 추출과 침지식 추출이 있다. 보편적인 표준은 없지만,[37] 여러 정의에서 사용되는 원두의 양과 종류, 물의 온도와 압력, 추출 속도를 제한하려는 시도가 있다.[38][39]





에스프레소 머신은 추출 시간이나 압력 등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등 복잡한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기술과 라테 아트 등 전문 기술을 가진 사람을 바리스타라고 부른다. 반면, 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일회용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유형의 에스프레소 머신도 있다. 네슬레사의 네스프레소가 대표적이다. 유럽에는 여러 규격이 존재하며, 호환되지 않는다. 이탈리아의 일리사가 개발한 Easy Serving Espresso (E.S.E.) 규격의 카페 포드(에스프레소 포드)도 보급되어 있다.
전기식 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의 경우, 에스프레소용으로 곱게 간 원두를 필터홀더에 장착된 금속 바스켓에 탬퍼로 눌러 담는다. 이것을 탬핑이라고 한다. 고르게 눌러 담으면 머신의 추출구(그룹 헤드)에 장착하고 고압으로 끓는 물을 통과시켜 커피액을 추출한다. 에스프레소에는 황금색 거품(크레마)이 뜬다.
에스프레소 추출에는 전기식 에스프레소 머신 또는 가정용 모카 익스프레스 등의 전용 기구를 사용한 직화식이 필요하다. 전기식 에스프레소 머신은 직화식에 비해 더 높은 압력으로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진하게 추출된다고 알려져 있다. 추출에 사용하는 물은 35~85 ppm 정도의 중경수가 바람직하다.[52] 경수는 에스프레소 머신 내부 관에 스케일이 생기게 하므로 피해야 한다. 유럽 카페의 업무용 에스프레소 머신은 연수기와 함께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가정에서 에스프레소 주전자를 이용해서 에스프레소를 만들 수도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흔히 카페띠에라(cafetiera)라고 부르며, 영어권에서는 모카(Moka)라고 부른다.
이탈리아 에스프레소 국가 연구소에서 "인증된 이탈리아 에스프레소"를 만들기 위해 제시한 기술적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42]
매개변수 | 값 |
---|---|
필요한 분쇄 커피의 양 | 7 g ± 0.5 |
장치에서 물의 배출 온도 | 88 °C ± 2 °C |
컵의 온도 | 67 °C ± 3 °C |
유입수 압력 | 9 bar ± 1 |
추출 시간 | 25 ± 5초 |
45 °C에서의 점도 | > 1.5 mPa s |
총 지방 | > 2 mg/ml |
카페인 | < 100 mg/컵 |
컵의 부피(크레마 포함) | 25 ml ± 2.5 |
3. 1. 1. 종류
에스프레소 머신은 추출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수동식(레버 피스톤식): 레버 조작으로 압력을 가하여 추출하기 때문에 추출 상태를 보면서 조절할 수 있다. 가장 취미성이 높은 머신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만큼 조작이 어렵고 고가인 경우가 많다.[40]
- 펌프식: 전동 펌프로 고압을 가할 수 있어 가장 보급된 유형이다. 가격은 고급 기종부터 입문 기종까지 폭넓다. 에스프레소 추출에 최적이라고 하는 9기압을 가할 수 있다. 보통 스팀 분출구(완드)가 있어, 우유를 데워 카페 라테 등 우유 커피를 만들거나 음료를 가열할 수 있다. 카페에 설치되는 업무용 기기는 대부분 이 유형이며, 상수도 직결식이 많다. 경수는 고장 원인이 되므로 연수기와 함께 설치된다. 가정용도 원리는 같지만, 간략화되거나 세부 조정이 필요 없는 경우가 많다.
- 전자동식: 커피 원두 분쇄 기능이 본체에 탑재되어, 추출까지 모든 작업을 버튼 조작만으로 자동 수행한다.
- 증기식·직화식: 비교적 저렴하지만 2~4기압 정도만 가압할 수 있어 크레마가 생기지 않는다. 남유럽 가정에서는 이 유형이 많이 보급되어 있으나, 이 방식은 에스프레소가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
직화식 추출기는 가스레인지 등에 직접 올려 가열, 증기압으로 추출한다. 추출기 바닥은 물탱크이며, 아래에서 가열하면 끓는 물이 증기압으로 가압되어 사이폰 원리에 따라 커피 분말이 든 필터를 통과, 본체 상단에 추출된 커피가 모인다. 추출량은 기구 크기에 따라 1인용부터 다인용까지 다양하다.
직화식 기구는 전기식 에스프레소 머신에 비해 작고 간단하며, 저렴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알코올램프나 야외용 가스레인지로도 추출 가능하여 캠핑, 등산 등 야외에서도 가능하다. 그러나 에스프레소 머신보다 압력이 낮아(2~4기압) 추출 성분에 편향이 있고, 향의 복잡성은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일부 기구는 추를 이용한 압력 밸브로 2기압 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매번 필터에 커피를 채우고 물을 넣어 끓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직화 가열 방식 기구는 “마키네타(macchinetta)” 또는 “모카 에스프레소(Moka Express)”, “직화식”, 에스프레소 메이커 등으로 불린다. 직화식 기구를 포함하여 에스프레소 머신이라고도 한다. 마키네타는 원래 나폴리식 커피용 전도식 추출기(나폴레타나(Neapolitan)) 등 소형 커피 추출기를 가리키나, 일본에서는 2000년대부터 직화식 에스프레소 추출기를 가리키는 단어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에스프레소는 원래 머신으로 고압 추출한 것만 가리키며, 직화식 추출은 “모카”로, 완전히 다른 음료라는 견해도 있다.
커피 원두 사용 방식에 따라서도 종류가 나뉜다.
- 수동식: 커피 원두를 갈아 필터에 직접 채우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다. 원두 선택 폭이 넓고 다용도성이 높다.
- 포드식: 커피 분말이 종이 필터에 포장된 것으로, 취급이 간편하다. 수동식과 병용 가능한 머신도 있어, 대응 기종이 비교적 많다.
- '''네스프레소식''': 네슬레의 독자 규격으로, 커피 분말이 든 캡슐을 전용 머신으로 추출한다. 네슬레 외 회사에서도 호환 캡슐을 판매한다.
에스프레소 머신 크기는 가정용 소형부터 업무용 대규모까지 다양하다.
3. 2. 탬핑 (Tamping)
탬핑은 분쇄된 커피를 포터필터에 담고 탬퍼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압축하는 과정이다. 탬핑을 하면 원두에 물이 고르게 스며들도록 하여[41] 고체 성분과 용해된 성분 모두를 추출하여 더 진한 음료를 생산하게 된다.4. 원두 볶기 (Roasting)
에스프레소는 특정 원두나 볶음 정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커피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에스프레소에는 중간 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볶은 원두가 사용된다.[1] 북미의 어떤 커피 체인은 에스프레소 커피로 다크 로스트(dark roasts)를 사용하도록 권장한다.[1] 하지만,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에서는 커피콩 표면에 거의 기름기가 없는 상태의 미디엄 혹은 시티(city) 혹은 풀 시티(full city) 로스트로 만든 에스프레소가 우승하기도 한다.[1]
이탈리아 남부에서는 더 어두운 로스팅을 선호하는 경향이 일반적이다. 북쪽으로 갈수록 약간 밝은 로스팅 쪽으로 기울고, 이탈리아 밖에서는 넓은 범위가 인기이다.[2]
5. 바리스타 (Barista)
바리스타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사람을 가리킨다. 바리스타는 이탈리아어로 바텐더라는 뜻이다.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에서는 바리스타를 대대로 기술을 전수하는 장인이자 전문적인 직업으로 취급한다. 다른 나라에서는 젊은이들이 택할 수 있는 일로 여겨지며, 장인이나 전문적인 직업은 아니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좋은 에스프레소를 뽑아내려면 오랜 훈련이 필요하다. 갈아낸 커피의 굵기와 이를 거름막에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고(탬핑(tamping) 또는 태핑(tapping)) 수동 기계의 경우에는 에스프레소를 뽑아내는 압력과 시간을 조절해야 한다. 솜씨 좋은 바리스타는 습도와 날씨의 영향까지 고려하여 커피를 조절한다. 또 뽑아낸 커피에 얹는 우유거품을 이용하여 아름답게 커피를 꾸미는 라떼 아트도 바리스타의 기술에 포함된다.
6. 용어 및 베리에이션
에스프레소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여러 종류의 커피 음료로 제공된다.
"에스프레소(Espresso)"라는 용어는 '눌러서 짜낸'이라는 뜻 외에도 '당신을 위해 특별히', '빠르게'라는 의미를 전달한다.[4] 1940년대 가지아(Gaggia)가 개척한 압력을 가한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현대 에스프레소는 원래 ''크레마 카페(crema caffè)'' (크림 커피it)라고 불렸다.
''expresso''라는 철자는 대부분 잘못된 것으로 간주되지만, 일부 자료에서는 덜 일반적인 변형이라고 한다.[5] 이탈리아어 알파벳에는 'x'가 없기 때문에 이탈리아에서는 대부분 ''s''로 바꾸어 ''espresso''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탈리아인들은 일반적으로 에스프레소를 단순히 ''카페(caffè)'' (커피it)라고 부르는데, 에스프레소가 주문하는 일반적인 커피이기 때문이다.
에스프레소는 카페인 함량이 적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짙게 로스팅된 원두를 사용하고 추출 시간이 짧기 때문이다.[49] 또한 한 잔의 양이 적어 한 잔당 카페인 함량도 드립 커피보다 적다.[50][51]
일반적인 에스프레소는 한 잔당 약 7g의 커피 원두를 사용하여 약 30cc를 추출하며, 약 14g을 사용하여 약 60cc를 추출한 것은 도피오(doppio, 더블)라고 부른다. 솔로(Solo), 도피오(Doppio), 리스트레토(Ristretto), 룽고(Lungo)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용어"에 설명되어 있다.
다음은 에스프레소의 다양한 베리에이션(variation)들이다.
- 알렉산드리노: 주로 포르투갈의 커피점에서 인기 있는 에스프레소로, 연유 층이 있다. 숟가락 대신 계피 조각과 함께 나온다.
- 카페 봉봉: 연유가 담긴 작은 잔에 나오는 에스프레소. 젓지 않는 한 연유층은 분리되지 않는다.
- 롱 블랙: 아메리카노와 비슷하지만, 반대로 에스프레소를 뜨거운 물에 붓는다.
- 비엔나 커피: 휘핑크림이 든 에스프레소 2샷
- ''카페 크레마'': 더 많은 물과 거친 분쇄 커피로 만든 "긴" 에스프레소 (약 120~180ml)
- ''에스프레소 마티니'': 커피 리큐어와 보드카가 든 에스프레소
- ''카페 코레토'' ('보정된 커피'): 브랜디, 그라파, 또는 삼부카가 든 에스프레소
- ''프레도 에스프레소'': 에스프레소를 설탕과 얼음과 함께 음료 믹서에 섞는다.
에스프레소의 더 다양한 베리에이션(variation)은 하위 섹션인 "베리에이션"에 설명되어 있다.
6. 1. 용어
- 솔로 (Solo): 원두 7g으로 30ml를 추출한 에스프레소 한 잔을 말한다.[4]
- 도피오 (Doppio): 원두 14g으로 60ml를 추출한 두 잔 분량의 에스프레소이다.[4]
- 리스트레토 (Ristretto): '제한된'이라는 뜻으로, 물을 더 적게 사용하여 농도를 짙게 하고 강한 맛을 내는 에스프레소이다 (10~20ml).[4]
- 룽고 (Lungo): '긴'이라는 뜻으로, 에스프레소 추출 시 한 번에 더 많은 양(50~60ml)이 나오도록 오래 추출한 것이다. 더 쓴 맛이 난다.[4]
일부 영어 사전에서는 ''espresso''를 '눌러서 짜낸'으로 번역하지만,[4] 이 단어는 또한 '당신을 위해 특별히'와 '빠르게'라는 의미도 전달한다.
6. 2. 베리에이션
에스프레소는 단독으로 제공되기도 하지만, 우유와 섞어 다양한 방식으로 즐겨 마신다. 우유는 스팀(거품이 거의 없는 형태), 습식 거품(마이크로폼), 건식 거품 형태로 만들거나 뜨거운 물과 함께 섞어 사용한다.[46]종류 | 음료량 | 참고 |
---|---|---|
아메리카노 | 150ml ~ 180ml | 에스프레소에 1:5 비율로 뜨거운 물을 넣은 것. 2차대전중에 유럽의 바리스타들이 미군들이 먹기 좋도록 발명했다는 설이 있다. |
카페 라떼 | 250ml ~ 280ml | 58~70°C의 온도에서 거품을 약간 낸 210g 이상의 우유를 에스프레소에 부은 것. |
카푸치노 | 150ml ~ 180ml | 많은 양의 우유와 우유 거품을 넣은 에스프레소. 라떼 아트 기법으로 그림을 그리기도 한다. |
마키아토 | 30ml ~ 40ml | 이탈리아어로 얼룩 또는 자국을 의미. 고전적인 이탈리아 방식은 에스프레소에 한 스푼의 우유 거품을 넣는 것이고, 현대 방식은 마이크로폼으로 컵 가장자리까지 채운다. |
아포가또 | 아이스크림과 함께 내는 에스프레소. | |
모카 | 초콜릿이 든 카페 라테. | |
에스프레소 콘 파나it | 크림이 든 에스프레소. | |
에스프레소 토닉 |
7. 대중성
에스프레소는 남부 유럽, 특히 이탈리아, 프랑스, 포르투갈, 스페인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마시는 커피이다.[54] 이외의 유럽 지역에서도 인기가 높으며, 아르헨티나, 브라질, 쿠바 및 북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의 도시 지역에서도 인기가 높다.[54]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에서는 거의 모든 카페, 커피하우스, 레스토랑 커피 업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커피이다.[54]
8. 미각
에스프레소는 커피 원두를 그대로 추출하기 때문에 커피의 쓴맛이 강하고 진하다.[29] 이러한 특징 때문에 머그잔 대신 데미타세라고 불리는 작은 에스프레소 전용 잔을 사용하며, 양도 적게 나온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이 이탈리아에 진주했을 때 에스프레소를 마셔보고 너무 써서 물을 타서 마셨는데, 이것이 아메리카노의 기원이 되었다.
에스프레소는 다른 방식으로 추출한 커피보다 진하며, 따뜻한 꿀과 비슷한 점성을 가진다. 이는 현탁된 고체와 용해된 고체의 농도가 높고 위에 크레마(크리미한 질감의 거품)가 있기 때문이다.[29] 고압 추출 과정으로 인해 에스프레소 한 잔에는 풍미와 화학 물질이 매우 농축되어 있다.
대부분의 커피 음료보다 단위 부피당 카페인 함량은 높지만, 일반적인 제공량이 30ml로 다른 커피 음료보다 훨씬 적어, 에스프레소 한 잔의 전체 카페인 함량은 일반적으로 더 낮다.[30]
에스프레소를 독특하게 만드는 세 가지 분산 상은 기름 방울의 에멀젼, 현탁된 고체, 기포 또는 거품층이다. 매우 작은 기름 방울의 분산은 입안에서 크리미하게 느껴진다. 이러한 특징은 음료의 바디감으로 알려져 있다. 기름 방울은 다른 커피 형태에서는 공기 중으로 손실되는 일부 방향족 화합물을 보존하여 에스프레소의 강한 풍미를 향상시킨다.
크레마는 음료 위에 형성되는 짙은 거품층이다.[34][35] 이는 분쇄된 커피 속의 유화된 기름이 콜로이드로 변한 것으로, 다른 추출 방식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크레마는 매우 높은 압력 하에 있는 물이 커피 안에 있는 이산화탄소(볶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기체)를 더 많이 용해할 때 생성된다.[36]
에스프레소는 그 자체로 제공되며, 카페 라테, 카푸치노, 카페 마키아토, 카페 모카, 플랫 화이트, 아메리카노 등 다양한 커피 음료의 베이스로도 사용된다.
참조
[1]
뉴스
The History of the Espresso
https://esquirescoff[...]
2020-02-12
[2]
웹사이트
Espresso Coffee Maker Through History
https://espressocoff[...]
2021-04-08
[3]
웹사이트
Coffee versus Espresso: Unraveling the Caffeine Mystery
https://www.compassc[...]
2024-11-02
[4]
백과사전
espresso
http://dictionary.o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10-30
[5]
웹사이트
Expresso
http://dictionary.re[...]
[6]
웹사이트
Qual è il caffè espresso perfetto e come va bevuto?
https://www.philips.[...]
2022-06-13
[7]
웹사이트
Is it espresso or expresso? Yes
https://www.merriam-[...]
2023-07-18
[8]
웹사이트
Espresso or expresso? The x spelling actually has considerable historical precedent
http://www.slate.com[...]
2014-08-18
[9]
웹사이트
Expresso
http://www.merriam-w[...]
2011-02-13
[10]
웹사이트
Expresso | Define Expresso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2011-02-13
[11]
웹사이트
What is espresso? Or is it expresso?
http://homecooking.a[...]
2011-02-13
[12]
웹사이트
What is Espresso
http://www.espressop[...]
2011-02-13
[13]
웹사이트
The Great Debate: Espresso vs. Expresso
https://espresso.net[...]
[14]
웹사이트
Definition of espresso from Oxford Dictionaries Online
https://web.archive.[...]
2011-02-13
[15]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16]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Starting And Running A Coffeebar
https://books.google[...]
Penguin
2005-10-04
[17]
서적
The Food Lover's Handbook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6-07-14
[18]
서적
The Food Lover's Handbook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6-07-14
[19]
뉴스
A History of the Espresso Machine
https://magazine.cof[...]
2021-06-03
[20]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Coffee and Tea: The Perfect Companion to Your Daily Pick-Me-Up!
https://books.google[...]
Penguin
2006-09-05
[21]
서적
Espresso: Ultimate Coffee,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ublishing Group
2013-10-15
[22]
웹사이트
Brew {{!}} Vinabarista {{!}} Espresso Vietnam
http://vinabarista.c[...]
2024-07-10
[23]
웹사이트
Part 4 - Who really invented the first espresso machine?
https://www.baristah[...]
2024-07-10
[24]
웹사이트
Part 4 - Who really invented the first espresso machine?
https://www.baristah[...]
2024-07-09
[25]
웹사이트
ESPRESSO BASICS : HISTORY
https://www.coffeere[...]
[26]
웹사이트
The Long History of the Espresso Machine
https://www.smithson[...]
2019-04-04
[27]
웹사이트
Roger Blench: Postcard from Eritrea
http://www.rogerblen[...]
2021-11-16
[28]
저널
'Making Italian Espresso, Making Espresso Italian'
https://uhra.herts.a[...]
2011-08-18
[29]
웹사이트
Il caffè e i cinque sensi
http://www.illy.com/[...]
[30]
웹사이트
The Great Debate: Does Espresso or Drip Coffee Have More Caffeine?
http://www.mrcoffee.[...]
Mr. Coffee
2015-06-21
[31]
웹사이트
Show Foods
http://ndb.nal.usda.[...]
[32]
웹사이트
How much caffeine is in your daily habit?
http://www.mayoclini[...]
[33]
웹사이트
Show Foods
http://ndb.nal.usda.[...]
[34]
웹사이트
What is Crema?
http://www.seattleco[...]
seattlecoffeegear
2013-06-08
[35]
웹사이트
Espresso Crema
http://www.chemistry[...]
ChemistryViews.org
2014-10-08
[36]
서적
The World Atlas of Coffee 2nd Edition
Mitchell Beazley
[37]
웹사이트
Today's Espresso Scene
http://www.home-bari[...]
Home Barista
2011-04-29
[38]
웹사이트
Espresso Coffee
http://www.coffeeres[...]
Coffee Research Institute
2011-04-29
[39]
웹사이트
L'Espresso Italiano Certificato
http://www.espressoi[...]
Istituto Nazionale Espresso Italiano
2011-04-29
[40]
서적
Espresso: Ultimate Coffee,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ublishing Group
2013-10-15
[41]
웹사이트
Espresso Tamping
http://www.coffeeres[...]
CoffeeResearch.org
2013-12-08
[42]
웹사이트
Espresso Italiano Certificato
http://www.espressoi[...]
Istituto Nazionale Espresso Italiano
2013-02-15
[43]
웹사이트
Brewing ratios for espresso beverages
http://www.home-bari[...]
2006-11-13
[44]
웹사이트
Anatomy of a Triple Ristretto
https://web.archive.[...]
Gimme Coffee
2009-03-17
[45]
뉴스
Fare of the Country: In Italy, Espresso is the Elixir of Life
https://www.nytimes.[...]
1983-08-07
[46]
서적
The art and craft of coffee: an enthusiast's guide to selecting, roasting, and brewing exquisite coffee
Quarry Books
[47]
웹사이트
How To Make the Perfect Long Black Coffee
https://www.leafbean[...]
2022-12-10
[48]
웹사이트
自宅でできる本格エスプレッソの作り方|おすすめ器具や簡単レシピも
https://mystyle.ucc.[...]
2022-01-07
[49]
웹사이트
第1回 夜のホッと時間をつくる「大人のコーヒー」講座[後編] {{!}} web R25
https://web.archive.[...]
[50]
웹사이트
USDA nutrient database Basic Report: 14210, Coffee, brewed, espresso, restaurant-prepared
https://web.archive.[...]
[51]
웹사이트
USDA nutrient database Basic Report: 14209, Coffee, brewed from grounds, prepared with tap water
https://web.archive.[...]
[52]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Water and Your Espresso Machine
https://clivecoffee.[...]
2021-10-30
[53]
웹인용
Guide To Coffee Roast: A Perfect Espresso - Helena Coffee Vietnam
https://helenacoffee[...]
2022-12-01
[54]
웹인용
CoffeeGeek - Cafe Culture Downunder
http://www.coffeegee[...]
2007-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