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리올 (언어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올은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유럽 식민지 시대에 다양한 언어의 혼합으로 형성된 언어를 의미한다. 크리올어는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서 발생했으며, 유럽어와 비유럽어의 특징을 모두 포함한다. 크리올 언어의 사회적, 정치적 지위는 낮게 평가되기도 했으나, 탈식민화 이후 부흥하여 문어, 영화 등에서 사용되며, 언어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크리올 생성 이론은 유럽어 입력, 비유럽어 입력, 점진적 및 발달 가설, 보편주의적 접근 등 다양하며, 최근에는 크리올의 복잡성, 예외성 등에 대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다. 크리올 언어는 상층 언어에 따라 분류되며, 아랍어,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등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진과 크리올 - 히리 모투
    히리 모투는 파푸아뉴기니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모투족의 전통 무역 방식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공용어로 사용되다 현재는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고령층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 피진과 크리올 - 상고어
    상고어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국어이자 공용어이며, 차드 남부와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도 사용되는 언어로, 응반디어에 기반한 크리올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크리올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설명될 수 있으며, 어휘의 상당 부분이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나 기본적인 어휘는 고유어를 유지하고, 세 가지 기본 성조를 가진 성조 언어이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크리올 (언어학)
언어 정보
언어 유형안정화된 자연어, 피진에서 발전
언어학적 특징
어휘기층어 및 상층어의 영향을 받음
문법단순화된 문법 구조
분석적인 경향
사회 언어학적 측면
사용 환경다언어 환경
언어 접촉 상황
기원무역
식민지화
노예 무역 등
발달 단계피진
크리올
탈크리올화 (de-creolization)
특징
어휘 기반주로 유럽 언어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등)
문법 특징굴절 감소
분석적 언어 경향
어순 단순화 (SVO)
복잡성초기 크리올어는 단순한 경향
시간이 지나면서 복잡성이 증가
관련 용어
관련 용어피진
상층어 (superstrate language)
기층어 (substrate language)
혼합어 (mixed language)
참고
주의사항ISO 639 코드 `crp`는 피진과 크리올을 모두 포함

2. 역사

크리올(creole)이라는 용어는 프랑스어 créole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스페인어 criollo 및 포르투갈어 crioulo와 관련이 있다. 이 단어들은 모두 라틴어 creare(생산하다, 창조하다)에서 파생된 동사 criar(기르다, 양육하다)에서 유래되었다.[24] 이 용어는 16세기와 17세기에 유럽의 해상력과 무역이 확장되면서 다른 대륙에 유럽 식민지가 세워진 시기에 만들어졌다.

criollo 및 crioulo라는 용어는 원래 스페인 및 포르투갈 식민지에서 현지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들을 성인이 되어 이주해 온 사람들과 구별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스페인 식민지에서는 españoles criollos|에스파뇰레스 크리올로스es(스페인계 조상에게서 식민지에서 태어난 사람들)을 españoles peninsulares|에스파뇰레스 페닌술라레스es(이베리아 반도, 즉 스페인에서 태어난 사람들)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용어와 그 파생어(Creole, Kréol, Kreyol, Kreyòl, Kriol, Krio 등)는 일반적인 의미를 잃고 이주민 공동체에서 현지에서 발전한 많은 별개의 민족 집단의 고유 명사가 되었다. 따라서 원래 "크리올 언어"라는 용어는 그러한 크리올 민족의 언어를 의미했다.

크리올은 어른들이 제2 언어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피진이 그들의 자녀의 모국어이자 주 언어가 되면서 발생한다고 여겨지는데, 이 과정을 모국어화라고 한다.[11] 피진-크리올의 생애 주기는 1960년대 미국의 언어학자 로버트 홀에 의해 연구되었다.[12]

오늘날 알려진 많은 크리올은 대항해 시대에 유럽 해상 세력과 무역이 전 세계적으로 확장된 결과로 지난 500년 동안 발생했으며, 이는 광범위한 유럽 식민 제국으로 이어졌다.

2. 1. 지리적 분포

유럽의 식민지 무역 패턴의 결과로, 대부분의 알려진 유럽어 기반 크리올어는 아메리카, 서부 아프리카, 인도 서부의 고아, 동남 아시아에서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마카오, 홍콩, 필리핀, 말레이시아, 모리셔스, 레위니옹, 세이셸오세아니아에 이르는 적도 벨트의 해안 지역에서 발생했다.[25]

대서양 크리올어는 유럽어를 기반으로 하며 아프리카어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의 요소를 포함한다. 인도양 크리올어는 유럽어를 기반으로 하며 말라가시어와 다른 아시아 언어의 요소를 포함한다. 누비어상고어와 같이 유럽어가 아닌 언어에서만 파생된 크리올어도 있다.[25]

지역・국가명칭기층 언어상층 언어위치
세이셸세이셸 크리올어프랑스어공용어
하와이하와이안 피진영어구어
미국루이지애나주루이지애나 크리올어프랑스어구어
미국사우스캐롤라이나주조지아주걸라어영어
아이티아이티어프랑스어공용어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 피진어영어공용어
모리셔스모리셔스 크리올어프랑스어공통어
레위니옹레위니옹 크리올어프랑스어구어
카보베르데카보베르데 크리올어포르투갈어공통어
기니비사우기니비사우 크리올어포르투갈어공통어
상투메 프린시페포루어포르투갈어구어
상투메 프린시페앙골라어포르투갈어
상투메 프린시페프린시페 크리올어포르투갈어
적도 기니 안노본 섬아노보네세어|아노보네세어pt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카메룬카메룬 피진|카메룬 피진영어영어가 주체이며, 구 영국령 카메룬의 영역이었던 노르트 우에스트 주와 수드 우에스트 주에서만 사용된다.프랑스어공용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상고어프랑스어, 응반디어공용어
네덜란드령 아루바, 보네르 섬, 퀴라소파피아멘토어기초 어휘의 60%가 포르투갈어, 그 외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서아프리카어, 아라와크어포르투갈어공용어
시에라리온크리오어영어공통어
자메이카자메이카 크리올어영어
핏케언 제도핏케언어타히티어, 영어 각 방언영어공통어
노퍽 섬노퍽어게일어, 폴리네시아어, 영어의 각 방언영어공통어
바누아투비스라마어멜라네시아계 언어영어, 프랑스어공용어
파푸아뉴기니톡 피신파푸아어족, 멜라네시아계 언어영어공통어
마카오마카오어포르투갈어, 광둥어, 말레이어구어
필리핀차바카노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스페인어
타이완이란 크리올어타이야어일본어
오가사와라 제도오가사와라어영어일본어
스리랑카베다어원래의 베다족의 언어싱할라어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말레이시아베타위어 등, 말레이어 기반 크리올오스트로네시아어족말레이어, 싱할라어, 타밀어
오스트레일리아코코스 제도, 말레이시아사바주코코스 말레이어베타위어말레이어 등
일본오키나와현우치나 야마토구치일본어・류큐어족


2. 2. 사회적, 정치적 지위

크리올어는 이전 유럽 식민 열강의 시각에서 낮은 지위를 가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퇴화된" 언어, 또는 정치적으로 지배적인 원어의 초보적인 "방언"으로 여겨지기도 했다.[26] 20세기 후반 탈식민화로 인한 사회적, 정치적, 학문적 변화로 인해 크리올어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부흥을 경험했다. 일부 크리올어는 표준화되어 전 세계 지역 학교와 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다.[21][22][28] 동시에 언어학자들은 크리올어가 다른 언어보다 열등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그들은 이제 크리올화를 겪은 것으로 의심되는 모든 언어에 대해 "크리올" 또는 "크리올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 용어는 이제 지리적 제한이나 민족적 편견을 의미하지 않는다.

3. 분류

크리올 언어의 계통 분류는 논쟁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피진 전구어와 그 모어가 문서화되기 전에 사라진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13] [14] [15] [16] [17] [18] [19] [20]

살리코코 무프웬과 같은 학자는 피진과 크리올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하며, 피진이 항상 크리올에 선행하거나 크리올이 피진에서 진화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한다.[23]

크리올어는 일반적으로 "퇴화된" 언어, 또는 정치적으로 지배적인 원어의 초보적인 "방언"으로 여겨졌다. 때문에 "크리올"이라는 단어를 "언어"와 대립되는 의미로 사용하기도 했다.[26] 19세기 후반 역사 언어학과 크리올학에서 비교 방법에 대한 현대적 접근 방식에 신문법학파의 언어 진화에 대한 "나무 모형"과 음운 변화의 규칙성이 크리올어가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 언어학적 무관심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21] [26] [27]

20세기 후반 탈식민화로 인한 사회적, 정치적, 학문적 변화로 인해 크리올어는 부흥을 경험했다. 인쇄물과 영화에 사용되고, 공동체적 권위가 향상되었다. 일부는 표준화되었으며 전 세계 지역 학교와 대학교에서 사용된다.[21] [22] [28] 동시에 언어학자들은 크리올어가 다른 언어보다 열등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구어 영어(AAVE)의 진화에 크리올화가 영향을 미친 정도에 대한 논란이 있다. 미국 교육 시스템에서 AAVE를 지칭하기 위해 ''에보닉스''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크리올''이라는 단어의 역사적 부정적인 의미를 반영한다.[29]

일본어도 북방계 언어(알타이 어족)와 남방계 언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가 혼합된 크리올 언어에서 변화했다는 설도 있다(일본어의 기원 참조).

3. 1. 기층 언어와 상위 언어

기층 언어와 상위 언어라는 용어는 두 언어가 상호 작용할 때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기층 언어"와 "상위 언어"라는 용어가 크리올어의 생성 또는 설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정도에 대한 논쟁이 있다.[32] 대서양 크리올어에 대한 문헌에서 "상위 언어"는 일반적으로 유럽 언어를, "기층 언어"는 비유럽 또는 아프리카 언어를 의미한다.[36]

언어 대체 모델은 크리올어 형성 맥락에서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는데, 여기서 새로운 언어는 어떤 언어도 다른 언어를 대체하도록 강요되지 않고 여러 언어에서 파생되기 때문이다.[33][34] 다수의 상위 언어를 가정해야 하거나(예: 파피아멘토어), 기층 언어를 식별할 수 없거나, 단순히 유형론적 유추에서 기층 증거의 존재 또는 생존을 추론해야 할 때는 기층 언어-상위 언어 구분이 어색해진다.[18] 반면에, 각 모국어가 결과 크리올어에 기여하는 바가 과학적으로 의미 있는 방식으로 매우 불평등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을 때는 이 구분이 의미가 있을 수 있다.[35]

3. 2. 탈크리올화

크리올은 공식적인 지위를 얻는 경우가 드물어, 완전히 형성된 크리올 화자들은 자신의 언어를 부모 언어 중 하나에 맞춰야 한다고 느낄 수 있다. 이러한 탈크리올화 과정은 언어에 대규모 변이와 과잉 교정이 나타나는 후기 크리올 연속체를 초래한다.[21][22]

3. 3. 유럽어 기반 및 비유럽어 기반

크리올 언어의 계통적 또는 언어 유형론적 비교는 상반된 결론을 낳았다. 유럽 언어와 같이 관련 언어에서 파생된 크리올 사이에서 유사성이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 반면, 비인도유럽어족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크리올을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그룹 간의 유사성은 낮다.[18] 대서양 크리올어에 대한 문헌에서 "상위 언어"는 일반적으로 유럽 언어를, "기층 언어"는 비유럽 또는 아프리카 언어를 의미한다.[36]

4. 크리올 생성 이론

크리올은 어른들이 제2 언어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피진이 그들의 자녀의 모국어이자 주 언어가 되면서 발생한다고 여겨지는데, 이 과정을 모국어화라고 한다.[11] 피진-크리올의 생애 주기는 1960년대 미국의 언어학자 로버트 홀에 의해 연구되었다.[12]

일부 언어학자들은 크리올이 계통적으로 파생된 언어보다 서로 더 많은 문법적 유사성을 공유한다고 주장하지만,[13] 그러한 유사성을 설명할 수 있는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없다.[14] 더욱이, 어떤 문법적 특징도 크리올에 특정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15][16][17][18][19][20]

피진은 문법 발달이 불충분하고 발음과 어휘에 개인차가 커서 복잡한 의사소통이 어렵지만, 크리올은 이러한 요소들이 발달하고 통일되어 복잡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크리올은 피진과 달리 완성된 언어이다.

일본어도 북방계 언어(알타이 어족)와 남방계 언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가 혼합된 크리올 언어에서 변화했다는 설도 있다(일본어의 기원 참조).

4. 1. 유럽어 입력에 초점을 맞춘 이론

대항해 시대에 유럽 해상 세력과 무역이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면서 광범위한 유럽 식민 제국이 들어섰고, 그 결과 오늘날 알려진 많은 크리올이 지난 500년 동안 발생했다.[21][22]

살리코코 무프웬과 같은 학자는 피진과 크리올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하며, 피진이 항상 크리올에 선행하거나 크리올이 피진에서 진화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한다. 무프웬에 따르면, 피진은 "일상적인 상호 작용을 위해 모국어를 보존한 사용자" 사이의 무역 식민지에서 등장했다. 반면에 크리올은 유럽 언어 사용자들이, 종종 표준에서 멀리 떨어진 언어를 사용했을 계약 노동자들이 비유럽 노예들과 광범위하게 상호 작용하면서, 노예의 비유럽 모국어에서 특정 단어와 특징을 흡수하여 원래 언어의 매우 바실렉트화된 버전을 만들었던 정착 식민지에서 발전했다. 이러한 노동자와 노예는 상위 언어 사용자와의 접촉이 필요한 상황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모국어로 크리올을 사용하게 되었다.[23]

크리올 언어의 계통적 또는 유형론적 비교는 상반된 결론을 낳았다. 유럽 언어와 같이 관련 언어에서 파생된 크리올 사이에서 유사성이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 반면, 누비어나 상고어와 같은 비인도유럽어족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크리올을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그룹 간의 유사성은 낮다. 프랑스어 기반 크리올 언어는 다른 유럽 기반 크리올보다 서로(그리고 프랑스어의 변종과) 더 유사하다. 특히, 정관사는 영어 기반 크리올 언어와 영어에서는 주로 명사 앞에 위치하지만, 프랑스어 크리올과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명사 뒤에 위치한다는 점이 관찰되었다. 이는 17세기와 18세기에 현재 퀘벡으로 수출된 프랑스어의 변종에서도 나타난다.[39] 게다가, 유럽 식민지의 크리올 언어를 낳은 유럽 언어는 모두 서부 인도유럽어의 동일한 하위 그룹에 속하며, 문법이 매우 수렴한다. 심지어 워프는 이들을 단일 표준 평균 유럽어 언어 그룹으로 묶기도 했다.[40] 프랑스어와 영어는 특히 가까운데, 영어는 광범위한 차용을 통해 다른 게르만어보다 프랑스어에 유형론적으로 더 가깝기 때문이다.[41] 따라서 크리올 간의 주장된 유사성은 모든 크리올의 특징이 아니라 유사한 부모 언어의 결과일 수 있다.

크리올 언어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크리올 언어 간의 유사성을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크리올 생성에 관한 설명은 다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내용
유럽어 입력에 초점을 맞춘 이론
비유럽어 입력에 초점을 맞춘 이론
점진적 및 발달 가설
보편주의적 접근


4. 1. 1. 단일 기원설

혼성어의 단일 기원설은 모든 대서양 크리올이 17세기의 서아프리카 포르투갈 혼성어를 거쳐 단일 지중해 링구아 프랑카에서 파생되었다고 가정한다.[44] [45] [46] [47] 이 혼성어는 대서양 노예 무역의 근원지였던 서아프리카의 소위 "노예 무역소"에서 어휘 재해석되었다. 이 이론은 원래 19세기 후반 후고 슈하르트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으며,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에 테일러, 위넘, 톰슨, 그리고 스튜어트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그러나 이 가설은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모든 크리올어를 사용하는 노예 집단이 동일한 포르투갈 기반 크리올어를 사용했다는 것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집단이 포르투갈어에 대한 역사적 노출이 거의 없었거나 전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주장에 대한 강력한 직접적인 증거가 없으며, 포르투갈어는 대부분의 크리올어 어휘에 거의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 또한, 문법적 유사성은 유럽 및 서아프리카 언어에서 흔하지 않은 굴절 및 문법 형태의 손실과 같은 유사한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커튼은 어휘 재해석이 너무 많은 비현실적인 가능성을 가정하며, 언어가 "광범위한 언어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게 열대 지역 전체에 걸쳐 퍼져나가, 음운론의 상당한 변화와 어휘의 거의 완전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어디에 뿌리내리든 문법 구조에서 거의 완전한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은 있을 법하지 않다고 지적한다.[48]

4. 1. 2. 국내 기원 가설

크리올 생성에 관한 이론은 다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42][43]

분류내용
유럽어 입력에 초점을 맞춘 이론
비유럽어 입력에 초점을 맞춘 이론
점진적 및 발달 가설
보편주의적 접근


4. 1. 3. 유럽 방언 기원 가설

프랑스어 크리올어는 "정상적인" 언어 변화의 결과일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이들의 크리올어화는 식민지 기원에 따라 사회 역사적이고 상대적일 수 있다.[49] 이 이론적 틀 안에서, 프랑스어 크리올어는 언어 계통상 프랑스어, 특히 17세기 코이네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한다. 이 코이네 프랑스어는 파리, 프랑스 대서양 항구, 그리고 초창기 프랑스 식민지에서 사용되었다. 이 가설의 지지자들은 아메리카의 여러 지역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비크리올 프랑스어 방언이 이 단일 코이네에서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방언은 캐나다(대부분 퀘벡아카디아 공동체), 루이지애나, 생바르텔레미에서 발견되며, 아메리카의 다른 지역에서는 언어 고립어로 존재한다.[50] 이 가설에 따른 접근 방식은 언어 변화의 점진주의와 코이네 생성의 불완전한 언어 전달 모델과 호환된다.

4. 1. 4. 외국인 화법 및 아기 화법

외국인 화법(FT) 가설은 모국어 화자가 자신의 언어를 전혀 모르는 화자에게 말하기 위해 언어를 단순화하려고 시도할 때 피진 또는 크리올 언어가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유형의 화법과 어린아이에게 하는 화법에서 유사성이 발견되기 때문에, 때때로 아기 화법이라고도 한다.[51]

아렌즈(Arends), 마위스컨(Muysken), 스미스(Smith)는 외국인 화법을 만드는 데 네 가지 다른 과정이 관련되어 있다고 제안한다.

  • 적응
  • 모방
  • 전신식 압축
  • 관습


이것은 크리올 언어가 많은 공통점을 갖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으며, 단일 기원 모델을 피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히넨캄프(Hinnenkamp)는 독일 외국인 화법을 분석하면서 언어 학습에 대한 모델을 제공하기에는 너무 일관성이 없고 예측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입력의 단순화가 크리올 언어의 단순한 문법을 설명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비평가들은 이 설명에 대해 여러 비판을 제기했다.[52]

비판
매우 다른 어휘 제공자 언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진과 크리올 언어 사이에는 많은 문법적 유사성이 있다.
문법적 단순화는 데릭 비커턴의 언어 생물 프로그램 이론과 같은 다른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크리올 언어의 어휘 제공자 언어 화자는 언어를 배우지 않고서는 피진 또는 크리올 언어의 문법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피진은 이러한 화자와 어휘 제공자 언어 화자 간보다는 서로 다른 기저 언어 화자 간에 더 자주 사용된다.



FT 설명의 또 다른 문제는 잠재적인 순환 논리이다. 블룸필드(Bloomfield)는 FT가 종종 비모국어 화자의 부정확한 화법, 즉 피진을 모방하는 데 기반을 두고 있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전자가 후자를 낳았다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될 수 있다.

4. 1. 5. 불완전한 L2 학습

불완전한 L2 (제2 언어) 학습 가설은 피진이 주로 노예가 지배적인 어휘 제공자 언어를 불완전하게 L2로 학습한 결과라고 주장한다.

4. 2. 비유럽어 입력에 초점을 맞춘 이론

기질 언어, 즉 비유럽어에 초점을 맞춘 이론은 크리올어 간의 유사성이 아프리카 기질 언어의 유사성에서 기인한다고 본다.

4. 3. 점진적 및 발달 가설

크리올은 어른들이 제2 언어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피진이 그들의 자녀의 모국어이자 주 언어가 되면서 발생한다고 여겨지는데, 이 과정을 모국어화라고 한다.[11]

피진은 두 개 이상의 서로 이해할 수 없는 모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즉흥적으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제2 언어로서 크리올의 한 종류가 될 수 있다. 피진의 어휘는 일반적으로 작으며, 화자들의 어휘에서 다양한 비율로 차용된다. 단어 굴절과 같이 습득하는 데 보통 수년이 걸리는 형태론적 세부 사항은 생략되며, 구문은 매우 단순하게 유지되고 일반적으로 엄격한 어순에 기반한다.

만약 피진이 한 공동체의 아이들에 의해 모국어로 학습된다면, 고정된 음운론, 구문, 형태론 및 구문 내포를 갖는 더 복잡한 문법을 획득할 수 있다. 피진은 단 한 세대 만에 완전한 언어가 될 수 있다. "크리올화"는 피진 언어가 완전히 발달된 모국어로 발전하는 이 두 번째 단계를 말한다. 어휘 또한 어휘 풍부화의 논리에 따라 점점 더 많은 항목을 포함하도록 발전할 것이다.[55]

4. 4. 보편주의적 접근

보편주의 모델은 언어가 세대에서 세대로, 화자에서 화자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특정 일반적 과정의 개입을 강조한다. 이러한 과정에는 의미 투명성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 보편적 과정에 의해 주도되는 첫 번째 언어 학습, 또는 담화 구성의 일반적 과정 등이 있다.[56] 1980년대에 비커튼이 제안한 언어 생물 프로그램 이론은 주요한 보편주의 이론으로 남아 있다.[56]

비커튼은 크리올어가 새로 설립된 농장에서 자란 아이들의 발명품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주변에서 자연 언어로 기능하기에 충분한 구조를 갖추지 못한 피진어를 들었지만, 아이들은 피진어 입력을 완전한 언어로 바꾸기 위해 자신만의 선천적인 언어 능력을 사용했다. 모든 크리올어의 공통 특징은 이러한 선천적 능력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비롯된다.

5. 최근 연구

지난 수십 년 동안 크리올의 본질에 대한 몇 가지 새로운 질문이 제기되었다. 특히 크리올이 얼마나 복잡한 언어인지, 그리고 크리올이 실제로 "예외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질문이 그것이다.

5. 1. 크리올 원형

존 맥워터는 피진어에서 최근에 파생된 모든 언어인 '''크리올 원형'''을 정의하는 특징으로 다음을 제시했다.

5. 2. 예외성

존 맥워터는 "세계에서 가장 단순한 문법은 크리올 문법"이라고 제안하며, 모든 비크리올 언어의 문법은 적어도 어떤 크리올 언어의 문법만큼 복잡하다고 주장했다.[58] 미셸 드그라프 등은 크리올어가 어떤 의미 있는 방식으로든 예외적이라는 생각에 의문을 제기한다.

맥워터는 피진어에서 최근에 파생된 모든 언어인 '''크리올 원형'''을 정의하는 특징으로 다음을 제시했다.[58]

  • 문맥적 굴절의 부재 (격이나 성의 일치만을 표시하는 굴절의 부재)
  • 기능적 성조 표시의 부재 (어휘 항목을 구별하거나 문법적 특징을 부호화하는 성조의 부재)
  • 의미적으로 불투명한 단어 형성의 부재 (구성 요소의 의미를 분석하여 의미를 알 수 없는 단어의 부재)


맥워터는 이러한 세 가지 특징이 없는 것이 피진어에서 최근에 파생된 언어에서 예측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비원어민은 이러한 특징을 배우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특징은 점차적으로 (재)나타날 수 있다. 맥워터(2013)는 스라난이 네덜란드어와 이중 언어 사용 관계를 유지하면서 의미를 분석할 수 없는 일부 네덜란드어 동사를 차용했다고 언급했다.

맥워터는 이러한 세 가지 특성이 피진어로 최근에 파생된 모든 언어를 특징짓는다고 주장하며, 20년 동안 단 하나의 반례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리올 원형의 존재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이의가 제기되었다.

  • 앙리 비트만(1999)과 데이비드(2001)는 만딩어, 소닌케어, 마구아 프랑스어 및 리아우 인도네시아어와 같은 언어가 세 가지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크리올 언어의 사회 역사적 특성은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맥워터 (2011, 2018)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 다른 사람들은 맥워터의 가설에 대한 반례 역할을 하는 크리올 언어의 존재를 주장해 왔다. 예를 들어, 베르비세 네덜란드 크리올어의 굴절 형태론의 존재나 성조의 파피아멘토어의 존재가 그렇다.[59] 맥워터(2018)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6. 논쟁

크리올어는 일반적으로 모어의 타락한 변형 또는 방언으로 여겨져 왔으며, 이러한 편견으로 인해 유럽 식민지에서 발생한 많은 크리올어가 사멸되기도 했다.[21][22] 그러나 최근 정치적, 학문적 변화로 인해 크리올어의 지위가 향상되었고, 일부는 공식 언어 지위를 얻기도 했다.

크리올어가 다른 언어보다 열등하지 않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언어학자들은 크리올화를 겪은 모든 언어에 대해 "크리올" 또는 "크리올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 용어는 더 이상 지리적 제한이나 민족적 편견을 의미하지 않는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구어 영어 (AAVE)의 진화에 크리올화가 영향을 미친 정도에 대한 논란이 있다. 미국의 교육 시스템에서 AAVE를 지칭하기 위해 ''에보닉스''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크리올''이라는 단어의 역사적 부정적인 의미를 반영한다는 의견도 존재한다.[29]

존 맥워터(McWhorter)는 "세계에서 가장 단순한 문법은 크리올 문법"이라고 주장했지만,[60][61] 질(Gil)은 리아우 인도네시아어가 사라막칸어보다 더 단순한 문법을 가지고 있다고 반박했다.[17] 비트만(Wittmann)도 1999년 맥워터와의 논쟁에서 같은 반론을 제기했다.[62]

로버트 쇼드슨, 살리코코 무푸에네, 미셸 드그라프, 앙리 비트만과 같은 학자들은 ''크리올''이 분류학적 범주로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크리올어가 다른 언어와 구조적으로 다르지 않고, ''크리올''은 언어학적 개념이 아닌 이주민과 노예 제도를 포괄하는 사회 역사적 개념이라고 주장한다.[63]

톰슨과 코프만(Thomason and Kaufman, 1988)은 크리올 예외주의의 개념을 설명하며, 크리올 언어는 언어 이동으로 인한 비유전적 언어 변화의 한 예시이며, 비정상적인 전달을 보인다고 주장한다. 점진주의자들은 크리올 환경에서 언어의 비정상적인 전달에 의문을 제기하며, 오늘날의 크리올 언어를 생성한 과정이 보편적인 언어 변화 패턴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한다.

무푸에네(Mufwene, 2002)는 일부 로망스어가 잠재적인 크리올어이지만, 역사적 편견 때문에 언어학자들이 그렇게 간주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20][64] 크리올 언어학은 크리올로 의심되는 언어의 상대적 크리올성을 연구하며, 슈나이더(Schneider, 1990)는 이를 "크리올성의 연속체"라고 부른다.

6. 1. "크리올", 사회 역사적 개념

"크리올성"은 존 맥워터[65]와 미카엘 파크발이 앙리 비트만과 미셸 드그라프[66]에 반대하는 논쟁의 핵심이다. 맥워터는 크리올성이 정도의 문제이며, 전형적인 크리올어는 굴절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고, 성조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며, 투명한 파생을 모두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그는 아이티 크리올을 이러한 특징을 모두 나타내는 "가장 크리올스러운 크리올어"로 정의한다. 반면에 팔렝케로와 같이 굴절이 존재하는 크리올어는 덜 전형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비트만과 드그라프는 맥워터와 파크발의 주장에 반대하며, 만딩, 소닌케, 마구아 프랑스어와 같은 비 크리올어에서도 크리올성의 특징이 발견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크리올성을 측정하기 위한 과학적인 척도를 고안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고 결론 내린다.

6. 2. "크리올", 진정한 언어학적 개념

크리올은 어른들이 제2 언어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피진이 그들의 자녀의 모국어이자 주 언어가 되면서 발생한다고 여겨지는데, 이 과정을 모국어화라고 한다.[11] 피진-크리올의 생애 주기는 1960년대 미국의 언어학자 로버트 홀에 의해 연구되었다.[12]

데릭 비커턴과 같은 일부 언어학자들은 크리올이 계통적으로 파생된 언어보다 서로 더 많은 문법적 유사성을 공유한다고 주장한다.[13] 그러나 그러한 인식된 유사성을 설명할 수 있는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없다.[14] 더욱이, 어떤 문법적 특징도 크리올에 특정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15][16][17][18][19][20]

오늘날 알려진 많은 크리올은 대항해 시대에 유럽 해상 세력과 무역이 전 세계적으로 확장된 결과로 지난 500년 동안 발생했으며, 이는 광범위한 유럽 식민 제국으로 이어졌다. 대부분의 비공식적이고 소수 언어와 마찬가지로, 크리올은 일반적으로 대중의 의견으로는 모어의 타락한 변형 또는 방언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한 편견 때문에 유럽 식민지에서 발생한 많은 크리올은 낙인이 찍혀 사멸되었다.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의 정치적, 학문적 변화는 살아있는 언어로서, 그리고 언어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크리올의 지위를 향상시켰다.[21][22] 일부 크리올은 특정 정치적 영토의 공식 또는 준공식 언어 지위를 부여받기까지 했다.

언어학자들은 이제 크리올 형성이 유럽 식민 시대에 국한되지 않는 보편적인 현상이며 언어 진화의 중요한 측면임을 인식하고 있다.

살리코코 무프웬과 같은 다른 학자들은 피진과 크리올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하며, 피진이 항상 크리올에 선행할 필요가 없고, 크리올이 피진에서 진화할 필요도 없다고 주장한다. 무프웬에 따르면, 피진은 "일상적인 상호 작용을 위해 모국어를 보존한 사용자" 사이의 무역 식민지에서 등장했다. 반면에 크리올은 유럽 언어 사용자들이, 종종 표준에서 멀리 떨어진 언어를 사용했을 계약 노동자들이 비유럽 노예들과 광범위하게 상호 작용하면서, 노예의 비유럽 모국어에서 특정 단어와 특징을 흡수하여 원래 언어의 매우 바실렉트화된 버전을 만들었던 정착 식민지에서 발전했다. 이러한 노동자와 노예는 상위 언어 사용자와의 접촉이 필요한 상황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모국어로 크리올을 사용하게 되었다.[23]

7. 크리올 언어 목록

다음은 상층 언어를 기준으로 분류한 크리올 언어 목록의 일부이다.

지역・국가명칭기층 언어상층 언어위치
세이셸세이셸 크리올어프랑스어공용어
하와이하와이안 피진영어구어
미국루이지애나주루이지애나 크리올어프랑스어구어
미국사우스캐롤라이나주조지아주걸라어영어
아이티아이티어프랑스어공용어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 피진어영어공용어
모리셔스모리셔스 크리올어프랑스어공통어
레위니옹레위니옹 크리올어프랑스어구어
카보베르데카보베르데 크리올어포르투갈어공통어
기니비사우기니비사우 크리올어포르투갈어공통어
상투메 프린시페포루어포르투갈어구어
상투메 프린시페앙골라어포르투갈어
상투메 프린시페프린시페 크리올어포르투갈어
적도 기니 안노본 섬Annobonese Creole|아노보네세어영어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카메룬Kamtok|카메룬 피진deCameroonian Pidgin English|카메룬 피진 영어영어영어가 주체이며, 구 영국령 카메룬의 영역이었던 노르트 우에스트 주와 수드 우에스트 주에서만 사용된다.프랑스어공용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상고어프랑스어, 응반디어공용어
네덜란드령 아루바, 보네르 섬, 퀴라소파피아멘토어기초 어휘의 60%가 포르투갈어, 그 외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서아프리카어, 아라와크어포르투갈어공용어
시에라리온크리오어영어공통어
자메이카자메이카 크리올어영어
핏케언 제도핏케언어타히티어, 영어 각 방언영어공통어
노퍽 섬노퍽어게일어, 폴리네시아어, 영어의 각 방언영어공통어
바누아투비스라마어멜라네시아계 언어영어, 프랑스어공용어
파푸아뉴기니톡 피신파푸아어족, 멜라네시아계 언어영어공통어
마카오마카오어포르투갈어, 광둥어, 말레이어구어
필리핀차바카노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스페인어
타이완이란 크리올어타이야어일본어
일본오가사와라 제도오가사와라어영어일본어
스리랑카베다어원래의 베다족의 언어싱할라어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말레이시아베타위어 등, 말레이어 기반 크리올오스트로네시아어족말레이어, 싱할라어, 타밀어
오스트레일리아코코스 제도, 말레이시아사바주코코스 말레이어베타위어말레이어 등
일본오키나와현우치나 야마토구치일본어・류큐어족


7. 1. 아랍어 기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아랍어 기반'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수 있는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7. 2. 아삼어 기반

나가메즈는 아삼어에 기반한 크리올이다.

7. 3. 벵골어-메이테이어 기반

비슈누프리야 마니푸리어는 벵골어와 메이테이어를 기반으로 한 크리올이다.[67]

7. 4. 중국어 기반

중국어 기반 크리올이 언급된다.

7. 5. 네덜란드어 기반

네덜란드어 기반 크리올은 다음과 같다.

7. 6. 영어 기반

English영어 기반 크리올은 다음과 같다.

지역・국가명칭기층 언어상층 언어위치
하와이하와이안 피진영어구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조지아주걸라어영어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 피진어영어공용어
카메룬카메룬 피진영어가 주체이며, 구 영국령 카메룬의 영역이었던 노르트우에스트 주와 수드우에스트주에서만 사용된다.프랑스어공용어
시에라리온크리오어영어공통어
자메이카자메이카 크리올어영어
핏케언 제도핏케언어타히티어, 영어 각 방언영어공통어
노퍽섬노퍽어게일어, 폴리네시아어, 영어의 각 방언영어공통어
바누아투비스라마어멜라네시아계 언어영어, 프랑스어공용어
파푸아뉴기니톡 피신파푸아어족, 멜라네시아계 언어영어공통어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오가사와라어영어일본어


7. 7. 프랑스어 기반

아이티어프랑스어에 기반한 크리올 언어로, 미셸 드그라프는 아이티 크리올어가 프랑스어에서 투명하지 않은 파생을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67]

지역・국가명칭기층 언어상층 언어위치
세이셸세이셸 크리올어프랑스어공용어
미국 루이지애나주루이지애나 크리올어프랑스어구어
아이티아이티어프랑스어공용어
모리셔스모리셔스 크리올어프랑스어공통어
레위니옹레위니옹 크리올어프랑스어구어
카메룬KamtokdeCameroonian Pidgin English영어영어가 주체이며, 구 영국령 카메룬의 영역이었던 노르트 우에스트 주와 수드 우에스트 주에서만 사용된다.프랑스어공용어


7. 8. 독일어 기반

독일어 기반 크리올[67]

7. 9. 힌디어 기반

안다만 크리올 힌디어는 힌디어 기반의 크리올이다.

7. 10. 일본어 기반


일본어 기반 크리올
지역・국가명칭기층 언어상층 언어비고
타이완이란 크리올어타이야어일본어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오가사와라어영어일본어
일본 오키나와현우치나 야마토구치일본어, 류큐어족


7. 11. 콩고어 기반

키투바어는 콩고어를 기반으로 한다.[67]

7. 12. 말레이어 기반

말레이어 기반 크리올은 말레이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크리올이다.

7. 13. 응반디어 기반

응반디어를 기반으로 한 크리올은 상고어가 유일하다.[67]

7. 14. 포르투갈어 기반

포르투갈어 기반 크리올
지역・국가명칭기층 언어상층 언어위치
카보베르데카보베르데 크리올어포르투갈어공통어
기니비사우기니비사우 크리올어포르투갈어공통어
상투메 프린시페포루어포르투갈어구어
상투메 프린시페앙골라어포르투갈어
상투메 프린시페프린시페 크리올어포르투갈어
적도 기니 안노본 섬Annobonese Creole|아노보네세어영어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네덜란드령 아루바, 보네르 섬, 퀴라소파피아멘토어기초 어휘의 60%가 포르투갈어, 그 외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서아프리카어, 아라와크어포르투갈어공용어
마카오마카오어포르투갈어, 광둥어, 말레이어구어


7. 15. 스페인어 기반

7. 16. 신할라어 기반

신할라어 기반 크리올에는 베다어가 있다.[67]

7. 17. 스와힐리어 기반

쿠치-스와힐리어는 스와힐리어 기반 크리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Multilingualism and language contact http://languagesinda[...] 2020-04-09
[2] 웹사이트 The study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s http://semantics.uch[...]
[3] 웹사이트 Language varieties: Pidgins and creoles https://web.archive.[...] 2017-05-24
[4] 웹사이트 Typologizing grammatical complexities, or Why creoles may be paradigmatically simple but syntagmatically average https://www.acsu.buf[...]
[5] 서적 Trask's historical linguistics Routledge
[6] 서적 Toward an Ecology of World Languages Polity Press
[7] 서적 Defining creole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Creole – Language Information & Resources https://web.archive.[...] 2017-10-09
[9] 서적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10] 서적 The Emergence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s Oxford Linguistics
[11] 기타
[12] 기타
[13] 기타
[14] 기타
[15] 기타
[16] 기타
[17] 기타
[18] 기타
[19] 기타
[20] 기타
[21] 기타
[22] 기타
[23] 웹사이트 Pidgin and Creole Languages https://web.archive.[...] 2010-04-24
[24] 기타
[25] 간행물 Slave trade merchants of Spanish New Orleans, 1763–1803: Clarifying the colonial slave trade to Louisiana in Atlantic perspective 2008-12-01
[26] 기타
[27] 기타
[28] 기타
[29] 간행물 The Ebonics Controversy 2016-07-25
[30] 기타
[31] 기타
[32] 기타
[33] 기타
[34] 기타
[35] 기타
[36] 기타
[37] 기타
[38] 기타
[39] 기타
[40] 기타
[41] 기타
[36] 간행물
[37] 웹사이트 Creole and pidgin language structure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http://www.eva.mpg.d[...]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 Department of Linguistics 2013-08
[38] 간행물
[39] 간행물
[40] 간행물
[41] 간행물
[42] 서적 The Creole Deb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논문 On the origin of creoles 2001
[44] 간행물
[45] 간행물
[46] 간행물
[47] 간행물
[48] 간행물
[49] 문서 There are some similarities in this line of thinking with [[Ian F. Hancock|Hancock's]] domestic origin hypothesis.
[50] 간행물
[51] 간행물
[52] 간행물
[53] 간행물
[54] 문서 See the article on [[relexification]] for a discussion of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retaining of substrate grammatical features through relexification.
[55] 간행물
[56] 간행물
[57] 간행물
[58] 간행물
[59] 간행물
[60] 간행물
[61] 간행물
[62] 웹사이트 Prototype as a Typological Yardstick to Creoleness http://www.nou-la.or[...]
[63] 간행물
[64] 간행물
[65] 간행물
[66] 간행물
[67]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