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통합교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합교육은 장애가 있는 학생과 없는 학생이 함께 교육받는 것을 의미하며, 'inclusion'과 'integration' 두 가지 의미를 포괄한다. 통합 교육은 최소 제한적인 환경을 넘어 장애 학생의 완전한 참여와 권리를 존중하며, 일반 학급에서의 학습을 지향한다. 통합 교육은 긍정적인 효과와 함께 비판도 존재하며, 개별 학생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교육 방식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최근에는 성인지적 교육과정, LGBTQ 포괄 교육과정, 사회문화적 통합 등 다양한 측면으로 확장되어, 모든 학생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육 - 교육기관
    교육기관은 설립 주체와 교육 대상, 교육 수준에 따라 공교육 기관과 사교육 기관, 유아 교육기관, 초등 교육기관, 중등 교육기관, 고등 교육기관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되어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이다.
  • 교육 - 성인식
    성인식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알리는 의례로, 역사적으로 교육의 시작을 알리고 고대 사회에서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며 다양한 문화권과 종교적 의례로 나타난다.
통합교육
개요
정의장애 학생이 비장애 학생과 대부분의 시간을 함께 보내는 교육 방식
관련 용어통합
관련 연구포괄적 디자인 연구 센터
관련 서적더 스피릿 레벨-평등이 모두에게 더 나은 이유
관련 목표SDG4의 10가지 목표
목표
핵심 목표모든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
핵심 가치
평등과 참여모든 학생이 동등하게 존중받고 교육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
주요 특징
다양한 접근 방식학습 자료, 교육 방법, 환경 조정을 통해 다양한 학습 요구 충족
강조점
획일적인 교육 지양모든 학생에게 맞는 교육 제공
관련 기관
일본 국립특별지원교육종합연구소인클루시브 교육 시스템 구축 지원 데이터베이스 (인클루 DB)

2. 통합의 개념

통합교육에서 '통합'은 'inclusion'과 'integration' 두 가지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128] 1990년대 중반까지는 'integration'의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는데,[128] 이는 학생을 최소 제한적 환경(Least Restrictive Environment)에 배치하는 것을 강조했다.[129] 그러나 이러한 통합은 학생을 일반 학생들과 함께 배치하는 데 그쳐 교육의 질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130]

현재는 'inclusion'의 의미로서 통합을 사용하며, 이는 부분을 전체의 일부분으로 보는 시각을 반영한다.[130] 이러한 관점은 미국 대법원의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과 장애인 교육(개선)법(IDEIA)에 따른 것으로, 특수학교나 교실의 사용을 거부하고 장애 학생의 완전한 참여와 사회적, 시민적, 교육적 권리를 존중한다.[18][19]

프랭크 보우는 통합(integration)과 "완전한 포괄(inclusion)"의 차이점을 강조했다. 통합 교육에서는 미국 장애인 교육법에 따라 특수 교육을 받을 권리가 인정된 아동이 일주일에 3분의 2 이상을 일반 학급에서 학습할 수 있지만, 항상 일반 학급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 치료, 물리 치료, 언어 치료 등의 지원을 위해 "꺼내기" 대상이 될 수 있다. 반면 완전한 포괄에서는 하루 종일 일반 학급에 재학하며, 필요한 지원은 전문가가 교실에 와서 제공하는 "들어가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보우는 완전한 포괄이 아니라 통합 교육이 대부분의 장애 아동에게 타당한 접근 방식이며, 자폐증, 지적 장애, 난청, 복합 장애 아동 등에게는 통합 교육조차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스타인백 부부는 일반 학급에 재학하는 것이 인권이며, 학교가 모든 아동에게 완전한 포괄을 제공하도록 재구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미국 연방 정부 교육부에 따르면, 개별 장애인 교육법의 시행에 관한 조사에서 해당 아동의 약 절반이 대부분의 시간을 일반 학급에서 보내고 있지만,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언어 장애 아동의 90% 이상이 포괄적인 교실에 재학하고 있지만, 자폐증 아동은 29%만이 일반 학급에 다니고 있다. 이는 개별 장애인 교육법의 요구에 따라 교육적 지원이 각 아동의 고유한 필요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

3. 통합교육과 주류화

통합교육은 미국에서 중증 장애 학생의 통합,[7][8][9] 참여 학습, 협동 학습, 포괄적 교실을 지향하는 통합 교사들에게 인기 있는 모델이다.[10]

포괄적 교육은 1970년대 시라큐스 대학교의 통합 및 주류화[11] 작업과는 다르다. 주류화는 학생, 교사, 학부모 등 모든 당사자의 "준비"에 관심을 가졌던 반면,[13][14] 포괄적 교육은 아이의 참여 권리와 학교의 의무에 관한 것이며, 특수학교나 교실의 사용을 거부하고, 장애 학생의 완전한 참여와 사회적, 시민적, 교육적 권리를 존중한다.[18][19]

프랭크 보우는 통합과 "완전한 포괄"의 차이점을 강조했다. 미국 교육자가 일반적인 통합 교육을 실천하는 경우, 미국 장애인 교육법에 따라 특수 교육 권리를 인정받은 아동은 일주일에 3분의 2 이상을 일반 학급에서 학습할 수 있다. 그러나 완전한 포괄 하에서는 장애인 교육법의 대상이 되는 아동들은 하루 종일 일반 학급에 재학하게 된다. 보우는 완전한 포괄이 아니라 통합 교육이 대부분의 장애 아동에게 타당한 접근 방식이라고 생각하며, 자폐증, 지적 장애, 난청 아동 등은 통합 교육조차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스타인백 부부는 일반 학급에 재학하는 것은 인권이며, 고등학교까지 학교가 모든 장애 아동에게 완전한 포괄을 제공하도록 재구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미국 연방 정부 교육부에 따르면, 개별 장애인 교육법 시행에 관한 조사에서 해당 아동의 약 절반이 대부분의 시간을 일반 학급에서 보내고 있지만, 장애 유형별로 보면 그 비율은 큰 차이를 보인다.

4. 통합교육의 원칙과 필요한 자원

한때 성과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으로 칭송받았지만, 완전 통합 교육은 비용을 절감하지 못한다.[20] 이는 학생의 요구를 줄이기 위해 설계된 것이 아니며, 최우선 목표가 학업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조차 아닐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특수 교육 전문가를 "자체 특수 교육" 교실에서 일반 교실의 한 구석으로, 또는 "담당 교사"와 "담당 행정가"가 설계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뿐이다. 장애 학생의 학업 교육에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모든 서비스와 자원을 갖춘 교육이 필요하다:[20]


  • 학생을 위한 적절한 지원 및 서비스
  • 잘 설계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 모든 관련 교사, 즉 일반 교사와 특수 교육 교사를 위한 전문성 개발
  • 교사가 함께 계획하고, 회의를 열고, 만들고, 학생을 평가할 시간
  • 학생의 필요성에 따라 감소된 학급 규모
  • 협동 학습, 또래 튜터링, 적응형 교육 과정 분야의 전문 기술 개발
  • 학부모 또는 보호자, 교사 또는 보조 교사, 전문가, 행정가 및 외부 기관 간의 협력
  • 학교가 자금의 가용성이 아닌 학생의 필요에 따라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자금 지원


실제로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은 법에 따라 원래 1974년의 모든 장애 아동 교육법(Educational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에서 현재의 개인 장애 교육 개선법(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Improvement Act)에 이르기까지 연방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으며, 이 법은 가장 통합된 환경에서의 사용을 요구한다.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의 비용을 지출하는 정부·지방자치단체 측에도 장점이 있다고 한다. 장애인 교육 전용 특수학교의 학급당 비용은 일반 학급의 약 3배가 든다.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 올바른 일"로 여겨지는 통합 교육을 추진함으로써, 추진파의 장애인 단체·미디어 등 추진파의 지지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장애 아동에게 드는 세금 지출도 절약할 수 있다[122][123]

4. 1. 통합학급의 일반적인 관행

통합학급의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나이에 관계없이, 학생들이 해당 연령의 전형적인 학업 수준보다 높거나 낮게 학습하더라도, 같은 연령대의 학생들과 함께 배치된다. 또한 소속감을 장려하기 위해 우정의 가치에 중점을 둔다. 교사는 종종 특별한 요구가 있는 학생과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없는 같은 나이의 학생 사이의 관계를 형성한다. 또 다른 일반적인 관행은 특별한 요구가 있는 학생에게 항상 동반자(버디)를 배정하는 것이다(예: 구내식당, 운동장, 버스 등). 이는 다양한 그룹의 사람들이 공동체를 구성하고, 어떤 유형의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더 나은 것이 없으며, 학생이 "무력하다"고 여겨질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우정에 대한 장벽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관행은 나중에 학년의 학생들 사이에서 엘리트주의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고 그룹 간의 협력을 장려한다.[21]

교사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학급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준다.

  •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한 게임 사용
  • 문제 해결에 학생 참여
  • 공동체를 가르치는 노래와 책 공유
  • 토론을 통해 개별 차이점을 공개적으로 다루기
  • 공동체를 구축하는 학급 역할 할당
  • 서로 돕는 방법을 찾도록 학생들을 가르치기
  • 기립 프레임과 같은 물리 치료 장비를 활용하여 일반적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이 서 있을 때 함께 서서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기
  • 학생들이 교사의 역할을 맡아 지시를 전달하도록 장려 (예: 심각한 장애가 있는 학생에게 책의 일부를 읽어주기)
  • 특별한 요구가 있는 학생의 강점에 집중
  • 학급 체크리스트 만들기
  • 필요할 때 휴식 취하기
  • 아이들이 진정할 수 있는 공간 만들기
  • 학생 책상을 그룹으로 정리
  • 자기 자신과 환영받는 환경 만들기
  • 기본 규칙을 설정하고 준수하기
  • 단기 목표 설정 지원
  • 다면적인 교육 과정 설계
  • 학부모 및/또는 보호자와 정기적으로 소통
  • 다른 특수 교육 교사로부터 지원 요청[22]

4. 1. 1. 팀 티칭 모델

'''다음과 같은 팀 티칭 모델을 사용하여 통합적 관행이 일반적으로 활용됩니다:'''[23]

  • 한 명이 가르치고, 한 명이 지원: 이 모델에서 콘텐츠 교사는 수업을 진행하고, 특수 교육 교사는 학생의 개별적인 요구를 지원하고 필요에 따라 학급 관리를 수행한다.

  • 한 명이 가르치고, 한 명이 관찰: 이 모델에서 콘텐츠에 대한 경험이 가장 많은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고 다른 교사는 돌아다니거나 관찰한다. 이 모델은 일반적으로 IEP 관찰 또는 기능 행동 분석 중에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 사용된다.

  • 스테이션 티칭(순환 수업): 이 모델에서 교실은 학생들이 소그룹으로 방문하는 스테이션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콘텐츠 교사는 자신의 그룹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특수 교육 교사는 학생들과 함께 수업의 검토 또는 수정된 버전을 완료한다.

  • 병렬 수업: 이 모델에서 학급의 절반은 콘텐츠 교사가 가르치고, 절반은 특수 교육 교사가 가르칩니다. 두 그룹 모두 동일한 수업을 소그룹으로 진행한다.

  • 대체 수업: 이 방법에서 콘텐츠 교사는 학급 전체에 수업을 가르치고, 특수 교육 교사는 소그룹의 학생들에게 대체 수업을 가르친다.

  • 팀 티칭(콘텐츠/지원 50/50 공유): 두 교사가 계획, 가르침, 지원을 동등하게 공유한다. 이것이 전통적인 방법이며, 종종 가장 성공적인 공동 수업 모델이다.

4. 2. 광범위한 지원이 필요한 아동

중대한 또는 심각한 장애가 있는 아동의 경우, 건강 지원, 교실 내 1:1 직접 보조, 보조 기술 등이 필요할 수 있다.[24] 건강 지원은 언어 치료, 시각 및 청각(감각 장애), 행동, 학습 등 다양한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24] 프로그램은 일반 교육 학생을 위한 전체 수업 계획에서 학생이 부분적으로 참여하는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사가 일반 핵심 수업에서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일반적인 교수 기법의 도입이 필요할 수 있다.

2005년, 지적 및 발달 장애에 대한 국가 목표에서 포괄적인 건강 지원은 보편적으로 이용 가능하고, 저렴하며, 포괄성을 증진하고, 정보에 입각한 자유로운 건강 관리 결정을 지원하며, 문화적으로 유능하고, 건강 증진을 장려하며, 훈련이 잘되고 존경심 있는 의료 제공자를 보장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25]

"완전한 통합"은 모든 아동이 일반 교실에서 배우고 배워야 한다는 아이디어이며, 일부 학교 시스템에서 자리 잡았다.

4. 3. 완전 통합 학교와 일반 또는 특수 교육 정책

Harmony Day (5475651018)


완전 통합 학교는 드물며, 1980년대의 논쟁과 지역사회 통합 프로젝트(Community Integration Project)와 같은 연방 정부의 주도[29], 가정 학교와 특수 교육-일반 교육 교실에 대한 논쟁[30]을 거치면서 더 이상 "일반 교육"과 "특수 교육" 프로그램을 구분하지 않는다.[26][27][28] 대신, 학교는 모든 학생들이 함께 배우도록 재구성된다.[3][31] 통합 교육에 대한 모든 접근 방식은 전통적인 초등학교 및 고등학교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행정적 및 관리적 변화를 필요로 한다.[32]

포괄적 교육은 2015년에도 학교의 일부로 남아 있으며[33], 미국[34] 및 세계 다른 지역의 교육 개혁 이니셔티브의 일부이다. 포괄적 교육은 장애 분야에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며, 수십 년 동안 교육 개혁의 일반적인 주제였으며,[35] 장애인 권리 협약(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에 의해 지원을 받고 있다. 포괄적 교육은 수십 년 동안 연구 및 조사되어 왔으며, 이질적이고 동질적인 능력별 그룹화에 대한 초기 연구(Stainback & Stainback, 1989),[36] 비판적 친구와 포괄적 교육 촉진자 연구(예: Jorgensen & Tashie, 2000),[37] 90%의 자립형에서 일반 교육 전환(Fried & Jorgensen, 1998)[38] 등 미국 전역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많은 연구들을 통해 대중에게도 어느 정도 보고되었다.

5. 학생 분류 및 교육 관행

학생의 장애별 분류는 진단, 교육, 심리 검사 등을 사용하는 교육 시스템에서 표준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통합 교육은 자체적인 계획과 연관되어 왔으며, 여기에는 2015년에도 여전히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잭 피어포인트(Jack Pearpoint)가 주도하는 MAPS와 학교 혁신의 동력으로 통합 교육을 보는 존 오브라이언(John O'Brien)과 코니 라일 오브라이언(Connie Lyle O'Brien)의 개인 중심 계획이 포함된다.[40]

통합 교육에는 두 가지 하위 유형이 있다.[41] 첫 번째는 때때로 '''일반 통합''' 또는 '''부분 통합'''이라고 불리며, 다른 하나는 '''완전 통합'''이다.[42]

''포괄적 실천''은 항상 포괄적인 것은 아니지만 통합의 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은 거의 하루 종일, 또는 적어도 하루의 절반 이상을 일반 학급에서 교육을 받는다.[42] 가능한 경우, 학생들은 일반 교실에서 추가적인 도움이나 특별 지도를 받으며, 학급의 완전한 구성원처럼 취급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적인 서비스는 일반 교실 밖에서 제공되며, 특히 이러한 서비스가 특수 장비를 필요로 하거나 나머지 학급에 방해가 될 수 있는 경우(언어 치료 등) 학생들은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일반 교실에서 나옵니다. 이 경우 학생은 때때로 일반 교실을 떠나 별도의 교실에서 더 작고 집중적인 수업을 받거나, 언어 치료, 작업 및/또는 물리 치료, 심리 서비스, 사회 사업과 같은 기타 관련 서비스를 받는다.[42] 이러한 접근 방식은 많은 통합 교육 방식과 매우 유사할 수 있으며, 그 뒤에 있는 교육적 이상에서 약간의 차이만 있을 수 있다.[42]

"완전 통합" 환경에서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은 적절한 지원과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첫 번째이자 바람직한 옵션으로 항상 특수 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학생들과 함께 교육을 받는다. 일부 교육자들은 이것이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한다.[43] 극단적인 경우, 완전 통합은 가장 상당한 교육적 및 행동적 지원과 서비스가 필요한 학생들, 즉 일반 학급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학생들의 통합과 특별하고 분리된 특수 교육 수업의 폐지를 의미한다.[43] 특수 교육은 장소가 아닌 서비스로 간주되며, 이러한 서비스는 일상적인 루틴과 교실 구조, 환경, 커리큘럼 및 전략에 통합되어 학생의 개별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학생을 격리하는 대신 학생에게 제공된다. 그러나 완전 통합에 대한 이러한 접근 방식은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현재까지 널리 이해되거나 적용되지 않고 있다.[43][44][45][46]

훨씬 더 일반적으로, 지역 교육 기관은 장애가 있는 아동을 위한 서비스를 조직할 책임이 있다. 그들은 특수 교실에서 통합 교육, 포괄 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고, 교사와 행정가들이 종종 그러하듯이, 학생이 개별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는 시스템에 학생을 배정한다. 경도 또는 중등도의 장애가 있는 학생, 그리고 전동 휠체어, 스쿠터 또는 기타 이동 보조 장치 사용과 같이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애가 있는 학생은 완전 통합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프랭크 보우는 통합(인테그레이션)과 "완전한 포괄(인클루시브)"의 차이점을 강조했다. 인클루시브 교육에서는 소수자인 장애 아동이 동년배의 장애가 없는 친구들과 함께 학습한다. 미국에서는 교육자가 일반적인 통합 교육을 실천하는 경우, 미국 장애인 교육법에 따라 특수 교육을 받을 권리를 인정받은 아동은 일주일에 3분의 2 이상을 일반 학급에서 학습할 수 있다. 이들은 실제로 항상 일반 학급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 치료, 물리 치료, 언어 치료 등의 지원을 받기 위해 "꺼내기"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반대로, 완전한 포괄 하에서는 개별 장애인 교육법의 대상이 되는 아동들은 문자 그대로 하루 종일 일반 학급에 재학하게 된다. 필요한 지원은 "들어가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전문가가 교실에 와서 지원을 제공한다. 보우는 완전한 포괄이 아니라 통합 교육이 장애를 가진 대부분의 아동에게 타당한 접근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보우는, 알려진 바에 따르면 자폐증, 지적 장애, 난청 아동, 복합 장애 아동 등, 아동 중에는 통합 교육조차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는 경우가 있다는 것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스타인백 부부에 따르면, 일반 학급에 재학하는 것은 인권이다. 이들은 고등학교까지 학교가 장애를 가진 모든 아동에게 완전한 포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재구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국 연방 정부의 교육부에 따르면, 개별 장애인 교육법의 시행에 관한 최신 조사에서 해당 아동의 약 절반이 대부분의 시간을 일반 학급에서 보내고 있다. 그러나 장애 유형별로 보면, 그 비율은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언어 장애를 가진 아동의 90% 이상이 포괄적인 교실에 재학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반해 일반 학급에 다니는 자폐증 아동은 불과 29%에 불과하다.

5. 1. 통합 교육의 대안: 학교 절차 및 지역 사회 개발

통합 교육을 받지 못하는 장애 학생은 일반적으로 주류화 교육 또는 분리 교육을 받는다.[47]

주류화 교육을 받는 학생은 일부 일반 교육 수업에 참여한다. 예를 들어 심각한 지적 장애가 있는 어린 학생은 체육, 미술, 이야기 시간에는 주류화 교육을 받지만, 읽기 및 수학 수업은 비슷한 장애가 있는 학생들과 함께 할 수 있다. 이들은 보충 학습을 위해 자료실을 이용하거나, 다양한 그룹 및 개별 회의 및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분리 교육을 받는 학생은 장애가 없는 학생과 함께 수업을 전혀 듣지 않는다. 이들은 다른 장애 학생만 등록하는 특수 학교에 다니거나, 일반 학교 내 전용 교실에 배치될 수 있다. 1970년대 시러큐스의 조워니오 학교와 같은 통합 모델은 몬테소리 교육 기법과 결합될 때 종종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다. 가정 학습 또한 심각한 장애가 있는 자녀를 둔 고학력 부모들에게 인기 있는 대안이었다.[47]

기숙 학교는 수십 년 동안 비판을 받아 왔으며, 정부는 싱글이거나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자녀를 혼자 키우는 부모를 위한 가족 지원 서비스를 포함하여 자금과 서비스를 지역구에 유지해 달라는 요청을 반복적으로 받았다.[47] 특수 교육이 필요한 어린이는 이미 조기 교육에 참여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어린이와 가족의 강점을 강조하는 가족 지원 구성 요소를 가질 수 있다.[48]

일부 학생은 건강 상태로 인해 병원에 갇혀 교육구에서 제공하는 튜터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49] 덜 일반적인 대안으로는 홈스쿨링[50][51]과, 특히 개발 도상국에서 교육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있다.

5. 2. 성인지적 교육과정

성인지적 교육과정은 현재의 양성 세계의 현실을 인정하고, 여아와 남아의 적성이 다르다는 인식을 강화하는 사회화된 학습 결과를 깨뜨리려는 시도이다.[52] 연구에 따르면 여아가 수학과학 분야에서, 남아는 언어 분야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부분적으로 사회화 현상이다.[52]

성 중립적인 교실을 만드는 핵심은 "차별화"인데, 이는 교사가 성별 및 기타 학생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수업을 계획하고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52] 교사는 개인의 강점과 기여도를 최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특성에 따라 학습 활동을 위해 전략적으로 학생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52] 또한 연구에 따르면 교사는 교실에서 여아와 남아를 다르게 대하는 경향이 있다.[53] 성인지적 실천은 모든 학습자에게 공정하고 적절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필요로 한다. 내용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남학생의 주의를 끌기 위해 교사는 고전적인 남성 역할을 언급하는 예시를 자주 사용하며, 이는 내용에 성 편견을 영속화한다.[52]

성별이 모든 학생과 그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하는 교육과정 외에도, 다른 성인지적 교육과정은 성 다양성 문제와 주제를 직접적으로 다룬다. 일부 교육과정 접근 방식은 스토리 문제, 쓰기 프롬프트, 읽기 자료, 미술 과제, 연구 프로젝트 및 학생들이 성별에 대한 자신의 이해와 믿음을 명확히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초청 강연을 통해 성별을 통합하는 것을 포함한다.[54]

5. 3. LGBTQ 포괄 교육과정

LGBTQ 포괄 교육과정은 LGBTQ 개인, 역사 및 사건에 대한 긍정적인 표현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이다.[55] LGBTQ 교육과정은 LGBTQ 경험을 전반적인 사회적 이야기와 분리되고 단편적인 것으로 편향시키지 않고, LGBTQ 개인 내에서 존재하는 민족, 인종 및 기타 형태의 다양성과 교차하는 것으로 통합하려고 시도한다.[55]

LGBTQ 포괄 교육과정의 목적은 LGBTQ 학생들이 교육과정의 내용에서 적절하게 표현된다고 느끼도록 하여 학교에 가는 것을 더 안전하게 느끼고 LGBTQ 관련 주제에 대해 더 편안하게 논의하도록 하는 것이다. GLSEN의 연구는 포괄적인 학교 환경에 있는 LGBTQ 학생들이 자신의 정체성 때문에 안전하지 않다고 느낄 가능성이 훨씬 적으며, 또래들이 자신을 수용하고 지지한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LGBTQ 포괄 교육과정의 시행은 교육과정 결정과 교실에서 가르칠 수 있는 기회를 활용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Snapp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교사들은 종종 LGBTQ 괴롭힘에 개입하지 못했다.[56]

다른 연구에서는 LGBTQ 환자를 더 잘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의료 전문가 교육이 LGBTQ 의료 서비스에 도움이 된다고 제안했다.[57] LGBTQ 환자의 요구에 공감하고 충실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은 문화적 대응 의료에 대한 더 큰 대화에 부합한다.

5. 4. 사회문화적 통합

통합은 유네스코(UNESCO)에서 사용하듯이,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가진 학생들 이상을 의미하며, 종교적, 인종적, 민족적, 언어적 소수자, 이민자, 소녀, 빈곤층, 장애 학생, HIV/AIDS 환자, 원격 지역 거주자 등 소외된 집단의 포용에 중점을 둔다.[58][59]

미국에서는 이러한 광범위한 정의를 "문화적 반응적" 교육이라고도 하며, 이는 1980년대-1990년대 문화 다양성 및 문화 역량 접근 방식과는 다르다.[60][61] 글로리아 래드슨-빌링스는 문화적 반응성이 높은 교사는 아동의 문화적 현실(예: 가정 생활, 지역 사회 경험, 언어 배경, 신념 체계)에 기반하여 학습 경험을 설계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고 지적한다. [http://ea.niusileadscape.org/lc/Record/137?search_query=Culturally%20Responsive 문화적 반응적 교수법]의 지지자들은 모든 사람의 경험과 능력을 존중하는 배려하는 공동체를 만들기 때문에 모든 학생에게 유익하다고 주장한다.

지지자들은 모든 학습자가 자신이 선택한 지역 사회 학교에 최대한 참여하고, 학교 및 학습 환경에서 정책, 교육 과정, 문화 및 관행을 재고하고 재구성하여, 다양한 학습 요구를 충족시키기를 원한다.[65] 그들은 모든 학생이 배우고 교육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학교가 학생의 신체적, 사회적, 문화적 요구에 적응해야 하며, 학생들이 학교의 요구에 적응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학생 간의 개별적인 차이가 풍요로움과 다양성의 원천이며, 광범위하고 유연한 범위의 반응을 통해 지원해야 한다고 믿는다. 학교를 보다 문화적으로 반응적으로 만들기 위해 재고하고 재구성하는 과제는 교육 시스템에 대한 복잡한 시스템적 관점을 요구한다(마이클 패튼 참조[66]).

일반적으로 통합은 초등 및 중등 교육과 관련이 있지만, 고등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통합은 "모든 학습자 간의 다양성을 지원하고 환영하는 개혁으로 점점 더 광범위하게 이해되고 있다."[59]

6. 법적 문제: 교육법 및 장애법

새로운 반차별적 분위기는 국내 및 국제적으로 정책과 법규의 많은 변화의 기반을 마련했다. 통합은 차별과 분리가 거부되는 동시에 확립되었다. 새로운 사고 방식, 정책 및 법률의 발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유엔 아동 권리 협약(1989)은 차별로부터의 자유와 그들의 소원과 견해의 표현과 관련하여 아동의 권리를 규정한다.
  • 유네스코의 교육 차별 금지 협약은 교육에서의 모든 차별, 배제 또는 분리를 금지한다.
  • 유네스코[67] 살라망카 선언(1994)은 모든 정부에 포괄적 교육에 최우선 순위를 부여할 것을 촉구한다.[68]
  • 유엔 장애인 권리 협약(2006)은 모든 당사국에 모든 수준에서 포괄적인 교육 시스템을 보장할 것을 촉구한다.[69]


이러한 국제 협약들은 통합 교육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보여주며, 특히 유엔 장애인 권리 협약은 장애인의 교육받을 권리를 명확히 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된 교육의 권리와도 일맥상통하며, 장애인 차별 금지 및 권리 구제 등에 관한 법률 등을 통해 국내법에도 반영되어 있다.

6. 1. 최소 제한 환경에서 최대 통합 환경으로

미국 학교에서 학생들은 최소 제한 환경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연방 요구 사항은 합리적인 편의 제공의 일환으로 이전에 학교 시스템에서 배제되었던 학생들의 통합을 장려한다.[70][71] 그러나 최소 제한 환경 원칙은 종종 가장 심각한 장애가 있는 개인에게 제한과 분리를 가한다는 비판을 받는다.[72] 1980년대 후반까지, 심각한 장애가 있는 개인과 그들의 가족 및 간병인은 이미 가정과 지역 사회에서 양질의 삶을 누리고 있었다.[73][74][75] 미국 대법원은 Olmstead 결정(1999)에서 새로운 원칙은 전국 시민 장애인 컨소시엄에서 설명한 "최대 통합 환경"[76]이며, 이는 21세기에 국가 통합 및 포괄 목표의 더 나은 달성을 가져와야 한다고 판결했다.

7. 세계의 통합 비율

장애 학생의 통합 비율은 장소와 장애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경미한 장애가 있는 학생에게는 비교적 흔하고 특정 유형의 심각한 장애가 있는 학생에게는 덜 흔하다. 덴마크에서는 학습 장애가 있는 학생 중 99%가 일반 교육 교실에 배치된다.[77] 미국에서는 학습 장애가 있는 학생 5명 중 3명이 대부분의 시간을 일반 교육 교실에서 보낸다.[78]

고등학교 졸업 후 통계는 대학 및 정부에서 대학 입학 학생의 성공률을 기록하며, 대부분은 장애 지원 서비스(예: 편의 시설 및 보조자) 또는 정신과 장애 지원 교육 또는 'College for Living'과 같은 대학 캠퍼스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는 대학 및 직업 재활 서비스(예: 교재, 낭독자 또는 번역가 비용 지불)를 갖춘 완전 통합된 대학 학위 프로그램이며, 후자는 은퇴 연구소와 유사하게 개발된 과정(예: 은퇴자를 위한 금융)이다.

8. 직업 간 협력

통합 환경은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이 매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며, 치료 서비스를 받는 중에도 가능하다. 아동이 미세 운동 능력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자르기, 색칠하기, 재킷 지퍼 채우기와 같은 일반적인 교실 활동에 완전히 참여하는 데 지장을 받을 수 있다. 작업 치료사와의 협력은 교실 교사가 중재 전략을 사용하고 학교 환경 내에서 학생들의 요구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장애인 교육법 (IDEA)의 1997년 재인가로 인해, 통합된 일반 교육 환경 내에서 관련 서비스 제공에 더 큰 강조가 이루어졌다. [Nolan, 2004] 장애 아동을 위한 통합된 서비스 제공 모델의 중요성은 긍정적인 이점을 나타내며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Case-Smith & Holland, 2009] 전통적인 "풀 아웃" 서비스 제공 모델에서 아동은 일반적으로 치료사와 일대일로 격리된 환경에서 작업하며, Case-Smith와 Holland(2009)는 일주일에 한두 번 기술을 연습하는 아동은 "새로운 행동과 증가된 역량으로 이어지는 학습을 생성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한다. [Case Smith & Holland, 2009, pg.419]. 최근 몇 년 동안, 작업 치료는 전통적인 "풀 아웃" 치료 모델에서 치료가 학교나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통합 모델로 전환되었다.

통합 행정가는 정신 건강 요구가 있는 아동을 위한 정신 건강 인력, 직업 배치 연결을 위한 직업 재활, 특수 인구를 위한 지역 사회 연결 (예: "청각-시각 장애", "자폐증"), 방과 후 프로그램 및 성인으로의 전환을 위한 주요 지역 사회 기관 간의 협력을 보장하기 위해 인력을 검토하도록 요청받았다.[79][80] 문화 및 언어적 다양성 분야에서 학부모-전문가 파트너십을 포함하여 학부모와의 협력이 매우 권장된다 (예: 시라큐스 대학교 특수 교육 박사 마야 카이난푸르와 베스 해리).

8. 1. 교육에서의 공동 설계

공동 설계는 설계 과정에 사용자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설계의 한 형태이다. 현재 논의 중인 주제에 대해 개인적인 경험이 있는 사람, 또는 제품 디자인(이 경우, 통합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또는 방법)을 사용할 사람들과의 협업은 사용자에게 더 효과적인 제품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현재의 교육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지만, 공동 설계를 구현하면 학생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공동 설계를 사용하면 더욱 적합한 경험을 만들 수 있다. 커리큘럼 설계자는 모든 학생에게 효과적이지 않은 교실에서 사용되는 커리큘럼과 함께 학습을 위해 구현되는 최상의 커리큘럼 및 전략을 설계할 만큼 충분한 관련 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와 가능하면 학생들과 함께 공동 설계를 하면 장애 학생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학습 시 더욱 포괄적인 경험을 만들 수 있다.

9. 학교 통합 프로그램 학생 선발

일반적으로 교육자들은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일부 학생들은 통합 교육에 적합하지 않다고 말한다.[82] 통합에 적합하지 않은 학생의 예로는 학교에 완전히 다닐 수 없거나, 다른 사람에게 심각한 신체적 위험을 초래하거나, 일반적인 활동이 학습을 방해하는 경우 등이다.[42] 예를 들어, 심각한 주의력 결핍이나 극심한 감각 처리 장애가 있는 학생은 다른 학생들이 책상에서 공부하는 모습에 매우 산만해하거나 괴로움을 느낄 수 있다.[42]

가장 일반적으로 통합되는 학생들은 학업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신체적 장애가 있는 학생 (당뇨병, 간질, 음식 알레르기, 마비)이나 모든 유형의 경미한 장애가 있는 학생, 그리고 상대적으로 적은 전문적인 서비스가 필요한 장애가 있는 학생들이다.

Bowe는 완전 통합이 아닌 일반적인 통합이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학생의 상당수에게 합리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말한다.[42] 그는 또한, 특히 심각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 또는 "지적 장애"가 있는 학생과 많은 청각 장애 또는 복합 장애가 있는 학생의 경우, 일반적인 통합조차도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고 말한다.[42]

10. 정규 지역 학교에서의 완전 통합에 대한 주장

옹호자들은 부분적인 비통합조차도 도덕적으로 용납될 수 없다고 말한다.[84] 이들은 비통합이 장애 학생들의 사회적 중요성을 감소시키며, 사회적 가시성을 유지하는 것이 학업 성취보다 더 중요하다고 믿는다. 장애인들의 가시성이 낮아질 때 인간 존엄성을 덜 부여한다고 주장하며, 일반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피해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사회적 가시성을 낮춤으로써 발생하는 사회적 피해보다 덜 중요하다고 믿기 때문에, 일반 학생이 학업적으로 피해를 입더라도 비통합은 도덕적으로 용납될 수 없다고 본다.[84]

모든 사람이 통합으로 이익을 얻는다는 주장도 있다. 모든 장애 학생을 완전히 포용하는 학교는 모두에게 환영받는다고 느끼게 한다. 다양화된 학생 집단이 일반 교육 집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신 지체'가 있는 학생들이 또래와 시간을 보내면 사회적 기술과 학업 능력이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85]

통합 옹호자들은 아주 어린 나이에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과 함께 통합된 일반 학생들의 장기적인 효과가 다른 사람들이 직면한 어려움에 대한 민감성 향상, 공감 및 연민 증가, 리더십 기술 향상으로 이어져 사회 전체에 이익이 된다고 말한다.[86]

통합과 풀 아웃(부분적 통합) 서비스의 조합은 읽기 이해력 분야에서 학습 장애가 있는 학생에게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수 교육 교사에게 선호된다.[87]

통합 교육은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뿐만 아니라 수업의 모든 학생에게 유익할 수 있다. 학생들이 함께 일하는 것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돕고, 학생 집단 내에서 관용과 공감의 감각을 키운다.[88]

장애가 있든 없든, 적절한 연령의 학생들을 일반 교육 교실에 통합하는 것은 관련된 양쪽 모두에게 유익하다.[89] 통합 교육을 통해 모든 학생들은 동일한 커리큘럼에 노출되고, 자신의 개별적인 잠재력을 개발하며, 동일한 활동에 동시에 참여한다. 학생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각자의 속도와 스타일로 배우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이 이루어진다.[90] 통합 교육은 찬반 양론에도 불구하고 교수와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는 양육 환경을 제공한다. 장애가 있는 학생들은 다양한 능력을 가진 또래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동등한 기회로 인해 동일한 수준에서 경쟁할 수 있기 때문에 통합적인 환경에서 더 많은 혜택을 받는다.[91]

통합 교육을 통해 일반 아동과 같은 학교에 다니게 하고 싶어하는 장애 아동 부모, 그리고 "정치적으로 올바르다"고 생각하는 옹호자들에게, 통합 교육이 기본으로 법제화되는 것은 이상이 실현된 것으로 정신적인 이점이 있다. 그러나 발달 장애 아동을 둔 오카지마 히로시 교수는 본인도 자폐 스펙트럼 경향이 있음을 밝히며,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같은 교실에서 가르치는 것, 발달 장애 아동이나 소극적인 성격의 아이들에게 적극적인 발언을 시키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유형의 사람들을 비판하며, "효율적으로 지식을 주입하고 빨리 돌려보내주면 좋았을 텐데..."라고 생각했던 것을 밝히며, "일반 아동과 발달 장애 아동을 무조건 섞으면 된다는 생각에는 반대합니다"라고 말했다. "'''다양한 개성을 가진 아이들이 같은 곳에서 배우고,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옳다'''"는 정치적 올바름적인 교육과 생각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10. 1. 일반 교실에서의 긍정적인 효과

통합 교육은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교실 환경에서 서로에게 이점을 제공한다. 연구에 따르면 장애 아동에게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 목표 달성, 의사 소통 및 사회적 기술 향상, 긍정적인 또래 상호 작용 증가, 다양한 교육적 성과, 학교 졸업 후 적응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92] 장애가 없는 아동에게는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인식 발달, 비장애 또래와의 사회적 지위 향상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92] 차별 의식이 줄어드는 동시에, 통합 교실에서 학습하는 비장애 아동은 의사 소통 및 리더십 기술도 더 빠르게 발달시킨다.[93]

일반 교육 교실에서의 장애 아동 통합 효과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 통합 유치원과 분리 유치원(특수 교육 전용) 학생들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통합 환경의 아동들이 사회적 기술 발달이 진행된 반면, 분리된 환경의 아동들은 실제로 퇴보했다는 결과가 나왔다.[94] 초등학교 2학년에서 5학년까지의 통합 교육 효과를 연구한 결과, 특정 학습 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정상적인 학업 성취 학생들과 비슷한 속도로 학업적, 정서적 발전을 이루었음이 밝혀졌다. 이들은 자존감 향상과 일부 경우 동기 부여 개선을 보이기도 했다.[95] 자폐증을 가진 아동에게 또래의 지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도 있는데, 또래를 사용하여 중재하는 것이 자폐 학생의 과제 이탈 행동을 유의미하게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96]

11. 비판

통합 교육의 비판론자에는 교육자, 행정가, 학부모 등이 포함된다.[105] 완전 통합 및 부분 통합 접근 방식은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개별화된 교육이나 매우 통제된 환경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간과한다는 비판이 있다.[105] 일반 교육 교사는 교과 과정을 가르치고, 특수 교육 교사는 동시에 교육을 개선하지만, 심각한 주의력 결핍 문제를 가진 아이는 20명 이상의 활동적인 아이들이 있는 교실에서 집중하지 못할 수 있다.[105]

완전 통합은 학교가 학부모와 일반 대중을 안심시키기 위한 방법일 수 있으며, 일반 교육 환경에서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을 교육하려는 실질적인 노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한다는 비판이 있다.[106] 주류 환경이 아닌 통합 환경에 배치되었을 때 IEP(개별화 교육 계획)를 가진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개별화된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07]

일부 연구자들은 학교 구역이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일반 교육 직원을 준비하는 것을 소홀히 하여 어떠한 성과도 거두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학교 구역이 정치적 이유로 통합 철학을 설파하고, 문제에 대해 발언권이 없는 학생들을 위해 모든 가치 있는 개별 수업 서비스를 없앤다고 비판한다.[108]

통합은 철학적으로 매력적이지만 실용적이지 않은 관행으로 여겨지며, 연구는 완전 또는 부분 통합의 제안된 장점을 입증하지 못했다.[109] "푸시 인(push in)" 서비스는 중등도에서 중증 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자원실에서 개별화된 교육을 받을 수 없게 하며, 많은 학생들이 학습과 정서적 발달 모두에서 상당한 이점을 보인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109]

장애 학생의 학부모는 자녀가 다른 학생들에게 조롱당하거나, 학업 교실에서 정상적인 생활 기술을 개발할 수 없을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통합 프로그램에 자녀를 보내는 것을 조심할 수 있다.[110]

통합 학교가 특수 교육과 같은 더 저렴하거나 더 효과적인 개입에 비해 비용 효율적인 대응책이 아니라는 주장도 제기된다.[111] 특수 교육은 특별한 학생들의 고유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개별화되고 맞춤화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고치는" 데 도움이 되지만, 통합 교육 지지자들은 특수 교육에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이 학생 생활의 주류에 완전히 통합되지 않는다고 반박한다.

통합 교육은 일반 아동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애 아동과 같은 반이 되면서 수업 진행이 늦어진다고 느끼거나, 돌보미로 내몰리는 등의 경험을 한 일반 아동은 '''실제 경험에 기반한 뿌리 깊은 장애인 배제·혐오 사상'''을 갖게 될 수 있다.[122][124][123] 통합 교육을 실시하는 곳의 일반 아동 부모나 학생들로부터 통합 교육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평가가 다수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통합 교육 강제 보급 시 실제 경험으로 장애인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증가하고, 통합 교육이 없는 사립학교의 인기가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장애 아동 역시 통합 교육으로 인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특수 지원 학급에서 소규모의 세심한 지원을 받으며 교육받는 것이 일반 학급에서 건강한 아동을 전제로 한 내용을 습득하는 것보다 어려울 수 있으며, 이는 장애인의 사회 진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2][124][123] 오카지마 교수는 실제 경험을 통해, 장애 아동이 통합 교육 환경에서 건강한 아동에게 항상 뒤쳐진다는 것을 느끼게 되며, 이는 "'''현장을 살아가는 아이들에게는 공허하게 들리는 말'''"이라고 비판한다.

오토케 히로타다는 자신이 통합 교육을 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 정부에 통합 교육을 주장하는 유엔 장애인 권리 위원회나 국내외 통합 교육 추진파의 주장은 "너무나 단락적이며, 무엇이 아이들에게 최선인지, 더 다각적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비판한다.

장애인 권리 조약 제24조 제2항 (c)에서는 통합 교육을 할 때 "개인에게 필요한 합리적인 배려가 제공될 것"을 명시하여 장애 아동이 입을 수 있는 불이익을 방지하고자 한다.

11. 1. 교육 전문가 간의 다양한 견해

통합교육, 특히 특수교육과 관련된 통합교육은 많은 학교에서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99] 제임스 M. 코프만(James M. Kauffman)과 쟝마리 바다(Jeanmarie Badar)는 일반 교육 교실이 특수 교육이 필요한 어린이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장소가 아니라고 주장한다.[99] 이들은 장애가 있는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이 높은 기준을 충족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잘못된 가정이며, 각 어린이에게는 그들만의 최고의 기준이 있다고 말한다.[99]

반면, 렌 바턴(Len Barton)은 교사 교육 프로그램, 장애 및 평등 인식 교육 등을 통해 통합이 유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00] 첼시 P. 트레이시-브론슨(Chelsea P. Tracy-Bronson) 박사는 지역 수준의 리더들이 포괄적인 전략을 장려하고, 배타적이지 않은 모델에 도전하며, 포괄적인 환경을 조성할 때 특수 교육에서의 통합이 성공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01]

게리 혼비(Garry Hornby)는 일반 교실로의 통합은 개별 아동의 필요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고 결론지었다.[102] 그는 특수 교육이 필요한 어린이들을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포함시키고 가르치는 것은 효과가 없으며, 개별 상황에 맞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한편, 일본에서는 교육 면허 취득자 중 특별 지원 학교를 취업처로 선택하려는 비율이 적고, 대다수의 교원은 양성 과정에서 장애인에 대해 충분히 배우지 못하는 상황이다. 통합 교육에서는 "수업 지연", "합리적인 배려", "업무 증가" 등의 문제에 대처해야 하므로, 모든 교원에게 "장애 아동 교육"을 강요하는 것은 교원 지망생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11. 2. 통합에 대한 부정적인 학생 경험

통합 교육이 교실과 사회에서 더욱 인기를 얻고 있지만, 주류 교실에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예외적인 학생들도 있다.[103][104] 연구에 따르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를 가진 아동은 사회적 수용 수준이 낮고 사회적 거부 수준이 더 높았다.[103] 이는 예외적인 학생들을 포함하기 위한 관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동료들에게 거부당하는 학생들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통합 교육을 실시하는 주류 학교의 많은 배치는 학생이 학업적으로 능력이 있다고 믿기 때문에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상황에 사회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지 여부는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104] 한 연구는 통합 주류 학교에서 ASD를 가진 학생들의 경험을 조사했는데, 모든 참가자는 공포, 외로움, 고립감을 느끼는 동시에 동료와 교사로부터 괴롭힘을 당하고, 오해받고, 지원을 받지 못했다.[104] 이러한 감정과 배제는 그들의 웰빙에 영향을 미쳤으며 "주류 교육이 주류로 간주되는 자폐증을 가진 모든 사람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통합 수사학과 교실에서의 그들의 실제 현실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04] 이는 통합 교육 환경 내의 사회적 조건에 대한 개선이 여전히 필요함을 보여준다.

일반 아동의 경우, 통합 교육으로 인해 수업 진행이 늦어진다고 느끼거나, 이른바 "돌보미"로 내몰리는 등의 경험을 통해 '''실제 경험에 기반한 뿌리 깊은 장애인 배제·혐오 사상'''을 갖게 되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장애 아동의 경우, 통합 교육이 의무화되면서 일반 학급에서 학습해야 하는데, 건강한 아동을 전제로 한 일반 학급에서 "특수 지원 학급이라는 소규모의 세심한 지원을 받으며 배웠던 내용"을 습득하는 것은 어려우며 장애인의 사회 진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오카지마 교수는 실제 경험을 통해, '''장애가 있는 아이의 시선에서는 (통합 교육이라는 명목으로 일반 학급 안에서) 배려를 받더라도 많은 아이들과 같은 수행 능력을 발휘할 수 없다'''는 것을 지적하며, "'현장을 살아가는 아이들에게는 공허하게 들리는 말'"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오토케 히로타다는 자신이 통합 교육을 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통합 교육 추진파의 주장은 "너무나 단락적이며, 무엇이 아이들에게 최선인지, 더 다각적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설명은 프로그램이자 교육적 방법으로서 통합 교육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통합 교육은 모든 학생에게 능력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포함하고 공평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아직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11. 3. 학교 구역 통합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

통합 교육에 대한 비판은 교육자, 행정가, 학부모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제기된다.[105] 비판론자들은 완전 통합 및 부분 통합 접근 방식이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개별화된 교육이나 매우 통제된 환경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간과한다고 지적한다.[105] 일반 교육 교사는 교과 과정을 가르치고, 특수 교육 교사는 동시에 교육을 개선하지만, 심각한 주의력 결핍 문제를 가진 아이는 20명 이상의 활동적인 아이들이 있는 교실에서 집중하지 못할 수 있다.[105]

완전 통합은 학교가 학부모와 일반 대중을 안심시키기 위한 방법일 수 있으며, 일반 교육 환경에서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을 교육하려는 실질적인 노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한다는 비판이 있다.[106] 주류 환경이 아닌 통합 환경에 배치되었을 때 IEP(개별화 교육 계획)를 가진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개별화된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07]

일부 연구자들은 학교 구역이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일반 교육 직원을 준비하는 것을 소홀히 하여 어떠한 성과도 거두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학교 구역이 정치적 이유로 통합 철학을 설파하고, 문제에 대해 발언권이 없는 학생들을 위해 모든 가치 있는 개별 수업 서비스를 없앤다고 비판한다.[108]

통합은 철학적으로 매력적이지만 실용적이지 않은 관행으로 여겨지며, 연구는 완전 또는 부분 통합의 제안된 장점을 입증하지 못했다.[109] "푸시 인(push in)" 서비스는 중등도에서 중증 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자원실에서 개별화된 교육을 받을 수 없게 하며, 많은 학생들이 학습과 정서적 발달 모두에서 상당한 이점을 보인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109]

장애 학생의 학부모는 자녀가 다른 학생들에게 조롱당하거나, 학업 교실에서 정상적인 생활 기술을 개발할 수 없을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통합 프로그램에 자녀를 보내는 것을 조심할 수 있다.[110]

통합 학교가 특수 교육과 같은 더 저렴하거나 더 효과적인 개입에 비해 비용 효율적인 대응책이 아니라는 주장도 제기된다.[111] 특수 교육은 특별한 학생들의 고유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개별화되고 맞춤화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고치는" 데 도움이 되지만, 통합 교육 지지자들은 특수 교육에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이 학생 생활의 주류에 완전히 통합되지 않는다고 반박한다.

통합 교육은 일반 아동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애 아동과 같은 반이 되면서 수업 진행이 늦어진다고 느끼거나, 돌보미로 내몰리는 등의 경험을 한 일반 아동은 '''실제 경험에 기반한 뿌리 깊은 장애인 배제·혐오 사상'''을 갖게 될 수 있다.[122][124][123] 통합 교육을 실시하는 곳의 일반 아동 부모나 학생들로부터 통합 교육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평가가 다수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통합 교육 강제 보급 시 실제 경험으로 장애인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증가하고, 통합 교육이 없는 사립학교의 인기가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장애 아동 역시 통합 교육으로 인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특수 지원 학급에서 소규모의 세심한 지원을 받으며 교육받는 것이 일반 학급에서 건강한 아동을 전제로 한 내용을 습득하는 것보다 어려울 수 있으며, 이는 장애인의 사회 진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2][124][123] 오카지마 교수는 실제 경험을 통해, 장애 아동이 통합 교육 환경에서 건강한 아동에게 항상 뒤쳐진다는 것을 느끼게 되며, 이는 "'''현장을 살아가는 아이들에게는 공허하게 들리는 말'''"이라고 비판한다.

오토케 히로타다는 자신의 통합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 정부에 통합 교육을 주장하는 유엔 장애인 권리 위원회나 국내외 통합 교육 추진파의 주장은 "너무나 단락적이며, 무엇이 아이들에게 최선인지, 더 다각적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비판한다.

장애인 권리 조약 제24조 제2항 (c)에서는 통합 교육을 할 때 "개인에게 필요한 합리적인 배려가 제공될 것"을 명시하여 장애 아동이 입을 수 있는 불이익을 방지하고자 한다.

12. 관련

12. 1. 진보적 교육과의 관계

통합 교육을 옹호하는 일부 사람들은 진보적 교육 방식의 채택을 장려한다.[112] 진보적 교육 또는 통합 교육 환경에서는 모든 사람이 "풍부한 활동"에 노출되며, 각 학생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일, 또는 하고 싶은 일을 하고, 그 경험에서 얻는 것을 배운다. 마리아 몬테소리의 학교는 때때로 통합 교육의 예로 언급된다.

통합 교육은 교사가 가르치는 방식과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이 서로 상호 작용하고 관계를 맺는 방식의 변화를 요구한다. 통합 교육 방식은 종종 능동적 학습, 진정성 평가 방식, 적용된 교육 과정, 다단계 교수 접근법, 그리고 다양한 학생의 요구와 개별화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활용한다.[112] 학생 통합은 종종 교실에서의 참여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동기 부여로 시작한다.[112]

때로는 항상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교사의 많은 관심과 다른 아이들의 지원이 필요하며, 이는 두 종류의 아이들 모두에게 평화롭고 행복한 환경을 보장할 것이다.

12. 2. 학습을 위한 보편적 설계(UDL)와의 관계

통합 교육과 진보주의적 사고와 관련된 교수법은 보편적 학습 설계(UDL)이다. 이 교수법은 모든 능력의 학생들이 속한 물리적, 사회적 환경의 장벽을 제거하는 것을 옹호한다.[113] 이는 학생들이 수업에서 제시된 자료에 참여할 수 없는 주요 원인이기 때문이다.[114] UDL을 교실에 적용하기 위해 교육자는 학생들의 필요뿐만 아니라 그들의 능력, 관심사, 배경, 정체성, 사전 지식 및 목표를 이해해야 한다. 학생들을 이해함으로써 교육자는 차별화된 수업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모든 사람이 공정하고 보편적으로 교육 과정을 접근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을 수용하고 수정한다. 한 연구는 UDL의 적용 가능성을 설명하면서 "학습 목표에 대한 평가 기준은 일관되게 유지된다. 실제로 학습 종착점 목표는 동일하게 유지되며, 학습의 종착점에 도달하는 방식이 더 다양해진다. 이런 방식으로 각 학생은 자신의 능력에 따라 학습하도록 도전받고, 다단계 실제 수업과 평가를 통해 도전받는다."라고 설명한다.[113] 즉, 학생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아마도 다른 학습 목표를 통해 내용에 대한 지식을 표현하고 있지만, 모두 필연적으로 자신의 능력과 이해를 바탕으로 동일한 목표를 달성한다.

특수성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접근성이라는 관점에서 UDL을 구현할 때, "포괄적"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 교실이나 학교는 포괄적이라는 것이 특수성을 가진 학생들이 지원 인력이나 수정된 교육 과정 요구 사항에 대한 관심 없이 교실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114] 대신, 포괄적 교육은 모든 학생을 가르치고 학습과 교육을 평등이 아닌 공정하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교실의 모든 학생을 위해 UDL을 구현하려면 교육자는 학생 [113]과 그들의 다면적인 정체성에 대한 포괄성을 생각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교실에서 두드러지는 특정 인종의 작가가 쓴 자료를 포함하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학생을 위해 더 열린 공간을 만드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변화와 상관없이 모든 학생은 어떤 방식으로든 이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13. 일본의 통합교육

장애인 권리 협약은 2006년 12월 유엔 총회에서 채택되었으며, 장애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이 함께 배우는 통합교육을 통해 공생 사회 실현에 기여하려는 생각을 제시한다.[116] 일본은 이 협약 비준을 위해 2011년 8월 장애인 기본법을 개정하여, "가능한 한 장애 아동 및 학생이 장애가 없는 아동 및 학생과 함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배려"(16조)할 것을 명시했다.[116] 이는 장애 등의 특성에 맞는 세심한 교육을 통해 장애 아동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다.[116]

중앙 교육 심의회는 장애가 있는 사람이 "general education system"(서명 시 임시 번역: 교육 제도 일반)에서 배제되지 않고, 자신의 생활 지역에서 초등 중등 교육의 기회를 얻으며, 개인에게 필요한 "합리적 배려"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고했다.[117] "합리적 배려"는 장애가 있는 아동이 다른 아동과 동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누리고 행사하도록 학교 설치자나 학교가 필요하고 적절한 변경 및 조정을 하는 것이다. 이는 학교 설치자 및 학교에 체제 및 재정 면에서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진다.[115]

통합 교육은 교실에서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 모두에게 효과적이다. 장애를 가진 아이에게는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성 향상, 긍정적 상호 작용 증가, 교육적 성과, 졸업 후 적응 등의 효과가 나타난다. 장애가 없는 아이에게는 장애를 가진 사람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인식 발달, 사회적 지위 향상 등의 장점이 있다.[118]

유네스코(2009)는 통합 교육이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아동 학생뿐만 아니라 종교적, 인종적, 민족적, 언어적 소수자 및 이민자, 빈곤층, HIV/에이즈 환자 등 더 다양한 요구를 인식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적고 있다.[119] 장애인 권리 협약 제24조는 교육을 받을 권리로서 '포괄 교육 체제' 실시를 초등, 중등 교육뿐만 아니라 성인 교육, 평생 학습 단계에서도 체결국에 요구하고 있다.

통합 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은 교육 현장에서 아이의 성적뿐만 아니라 생활 습관이나 가정 환경 등을 파악하고 배려해야 한다. 그러나 접근 방식에 따라 교원의 의도와는 반대로 아이를 학습에서 배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교원이 신중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120]

13. 1. 개요

13. 2. 역사

포용 및 포용 교육이라는 용어와 개념은 1990년 전후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1994년 특수 교육 요구에 관한 살라망카 선언에서 포용적인 학교의 모습이 제기되면서 국제적인 시민권을 얻게 되었다.[121]

1960년대 이후 서구 국가에서 인테그레이션에 대한 주장과 실천이 본격화되었다. 시민권 운동 및 이민 정책 등과 관련하여 인종, 민족적 편견도 함께 지적되기 시작했고, 안이하고 차별적인 선별에 대한 비판이 높아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장애인 권리 선언(1975년), 국제 장애인의 해(1981년) 이후의 노력에 힘입어 그동안 공교육에서 배제되었던 중증 장애 아동에게도 학교 교육이 보장되게 되었으며, 한편으로는 능력주의적 선별을 시정하고 가능한 한 정상적인 교육 환경을 보장하는 인테그레이션이 권장되었다. 또한, 특수학교·학급의 대상이 되어 왔던 전통적인 장애(맹, 농, 지적 장애, 지체 부자유 등) 외에 자폐증, 학습 장애 등 "새로운 장애"와 학습 곤란,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문제가 부각되었다. 장애 범주를 넘어서는 "특별한 교육적 요구"라는 개념이 영국의 "워노크 보고서"(1978년)에서 제기되자, 그 용어는 다른 국가에서도 채택되어 확산되었고, 장애 아동에 한정하지 않고, 특별한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 광범위한 특별 교육적 요구에 대한 교육적 시책을 추진한다는 특수 교육 요구의 이념·원칙이 살라망카 선언에서 채택되었다.[121]

13. 3. 통합과 포괄의 차이

프랭크 보우는 통합(인테그레이션)과 "완전한 포괄(인클루시브)"의 차이점을 강조했다. 인클루시브 교육에서는 소수자인 장애 아동이 동년배의 장애가 없는 친구들과 함께 학습한다. 미국에서는 교육자가 일반적인 통합 교육을 실천하는 경우, 미국 장애인 교육법에 따라 특수 교육을 받을 권리를 인정받은 아동은 일주일에 3분의 2 이상을 일반 학급에서 학습할 수 있다. 이들은 작업 치료, 물리 치료, 언어 치료 등의 지원을 받기 위해 "꺼내기"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반대로, 완전한 포괄 하에서는 개별 장애인 교육법의 대상이 되는 아동들은 하루 종일 일반 학급에 재학하게 된다. 필요한 지원은 전문가가 교실에 와서 지원을 제공하는 "들어가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보우는 완전한 포괄이 아니라 통합 교육이 장애를 가진 대부분의 아동에게 타당한 접근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자폐증, 지적 장애, 난청 아동, 복합 장애 아동 등, 통합 교육조차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는 경우가 있다는 것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스타인백 부부에 따르면, 일반 학급에 재학하는 것은 인권이다. 이들은 학교가 장애를 가진 모든 아동에게 완전한 포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재구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국 연방 정부의 교육부에 따르면, 개별 장애인 교육법의 시행에 관한 최신 조사에서 해당 아동의 약 절반이 대부분의 시간을 일반 학급에서 보내고 있다. 언어 장애를 가진 아동의 90% 이상이 포괄적인 교실에 재학하고 있지만, 일반 학급에 다니는 자폐증 아동은 29%에 불과하다. 이러한 차이는 각 아동의 고유한 필요에 따라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개별 장애인 교육법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

13. 4. 장점과 단점

13. 4. 1. 장점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 또한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섹션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내용을 작성하려면 요약 및 원본 소스 정보가 필요합니다.

13. 4. 2. 단점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 또한 내용이 없으므로, 주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텍스트를 출력합니다.

```text

14. 통합 체육

14. 1. 정의

1994년(헤이세이6년)에 유네스코가 채택한 살라망카 선언 이후, 일본에서는 법 정비의 하나로 2015년(헤이세이 27년)에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 해소의 추진에 관한 법률", 통칭 "장애인 차별 해소법"을 제정하여 학교 현장에서는 합리적인 배려가 요구되었기에, 인클루시브 체육을 합리적인 배려의 형태로 규정했다.[127] 예시로, 주로 육상에서는 지체 부자유 아동이 자신의 장애 정도에 따라 참가할 수 있으며 단거리 달리기에서는 각자의 능력에 따라 거리를 짧게 조정하는 핸디캡을 설정할 수 있으며, 트랙 경기에서는 휠체어와 다른 아이들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미리 아이들이 달리는 레인을 정해두는 등 합리적인 배려가 요구된다.[127]

참조

[1] 논문 Inclusion: Dimensions of inclusion in education https://doi.org/10.1[...] 2018
[2] 문서
[3] 서적
[4] 웹사이트 What is Inclusive Design http://idrc.ocadu.ca[...] OCAD University 2015-11-13
[5] 서적 The Spirit Level- Why Equity is Better for Everyone Penguin Books 2010
[6] 웹사이트 SDG4's 10 targets https://www.campaign[...] 2020-09-22
[7] 서적
[8] 논문 'Peter? He comes and goes…': First Graders' Perspectives on a Part-Time Mainstream Student 1990-12-01
[9] 간행물
[10] 서적
[11] 서적
[12] 논문 On the Nature and Change of a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1993-06
[13] 논문 The Quality of IEP Objectives Associated with Placement on Integrated versus Segregated School Sites 1986-06
[14] 논문 Community-Referenced Instruction: Research and Issues 1986-03-01
[15] 논문 Judgment of the Social Validity of Instructional Strategies Used in Community-Based Instructional Sites 1994-03-01
[16] 서적
[17] 서적
[18] 논문 How Much Time Should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Spend in Regular Education Classrooms and Elsewhere? 1991-03-01
[19] 논문 Evaluation of a First-Year Inclusion Program: Student Perceptions and Classroom Performance 1999-07-01
[20] 문서
[21] 서적
[22] 웹사이트 How to Support Special Needs Students https://web.archive.[...] 2015-03-04
[23] 웹사이트 Strategies for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on Classrooms http://blogs.scholas[...] 2015-05-31
[24] 서적
[25] 서적
[26] 논문 The Regular Education Initiative Debate: Its Promises and Problems 1989-02-01
[27] 논문 The Regular Education Initiative as Reagan-Bush Education Policy: A Trickle-Down Theory of Education of the Hard-to-Teach 1989-10-01
[28] 논문 A Rationale for the Merger of Special and Regular Education 1984-10-01
[29] 서적
[30] 간행물
[31] 간행물
[32] 서적
[33] 논문 Principals and School Reform: Barriers to Inclusion in Three Secondary Schools 1997-05-01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Classroom organization for diversity among student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7] 서적 Turning points: The story of high school inclusion in New Hampshire Paul H. Brookes
[38] 서적 Equity and excellence: Finding common ground between inclusive education and school reform Paul H. Brookes
[39] 서적 MAPS: Action planning The Inclusion Press
[40] 서적 Inclusion as a force for school renewal Paul H. Brookes
[41] 웹사이트 Inclusion definition - Dictionary - MSN Encarta http://encarta.msn.c[...] 2009-11-01
[42] 서적 Making Inclusion Work Merrill Education/Prentice Hall
[43] 서적 Understanding Psychology Eighth Edition 2010-06-10
[44] 간행물 Student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Educational Psychology
[45] 간행물 Mainstreaming to full inclusion: From orthogenesis to pathogenesis of an idea.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46] 간행물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toward the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47] 서적 Policy, Program Evaluation and Research in Disability: Community Support for All The Haworth Press
[48] 서적 Capacity-building family-system intervention practices Routledge
[49] 서적 The inclusion facilitator's guid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50] 웹사이트 Homeschooling in the United States: 2003 - Table 4: Number and percentage of homeschooled students whose parents reported particular reasons for homeschooling as being applicable to their situation and as being their most important reason for homeschooling: 2003 http://nces.ed.gov/p[...]
[51] 서적 Network Technology and Homebound Inclusive Education https://www.research[...] Nova Science Publishers, Inc.
[52] 논문 Considerations for Gender-Friendly Classrooms
[53] 서적 How schools shortchange girls'
[54] 뉴스 Education https://www.gendersp[...] 2017-05-29
[55] 웹사이트 LGBT-Inclusive Curriculum Guide for Educators https://www.glsen.or[...] 2017-05-29
[56] 논문 Students' Perspectives on LGBTQ-Inclusive Curriculum
[57] 논문 Making nurse education LGBT-Friendly
[58] 웹사이트 Policy Guidelines on Inclusion in Education http://unesdoc.unesc[...] UNESCO
[59] 문서 Policy Guidelines on Inclusion in Education http://unesdoc.unesc[...] UNESCO: Paris
[60] 서적 Cultural Diversity, Families and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Teachers College Press
[61] 서적 Towards Culturally Competent System of Care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62] 웹사이트 Training and Advisory Services - Equity Assistance Centers http://www2.ed.gov/p[...] 2016-08-01
[63] 웹사이트 Home - The Equity Alliance http://www.equityall[...]
[64] 간행물 Reading between the lines and beyond the pages: A culturally relevant approach to literacy teaching
[65] 문서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position statement on inclusive education http://www.bps.org.u[...]
[66] 서적 Developmental evaluation: Applying complexity concepts to enhance innovation and use The Guilford Press
[67] 웹사이트 Inclusive Education | EDUCATION | UNESCO http://www.unesco.or[...] 2009-10-22
[68] 문서 Salamanca Statement and Framework for Action on Special Needs. http://www.unesco.or[...]
[69] 문서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ttps://www.un.org/d[...]
[70] 서적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and Community Integration: A Leadership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n Disability Research and Rehabilitation and Syracuse University, Center on Human Policy
[71] 간행물 Effective education in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The Arc of the US and the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72] 논문 Caught in the continuum: A critical analysis of the principles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1988
[73] 서적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On Community Integration of Persons with the Most Severe Disabilities Human Policy Press
[74] 논문 Review of the nonrestrictive environment: On community integration of persons with the most severe disabilities 1988-06-01
[75] 서적 Community Integr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Teachers College Press
[76] 간행물 Olmstead Implementation and the Concept of the Most Integrated Setting Author
[77] 뉴스 Vouchers Help the Learning Disabled: Lesson from 22 countries: Special-education students thrive in private schools https://www.heartlan[...] The Heartland Institute 2019-04-29
[78] 웹사이트 The State of Learning Disabilities. http://www.ncld.org/[...] National Center for Learning Disabilities 2009
[79] 서적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 Life: Models, Linkages and Policy Sycamore Press
[80] 간행물 Meeting transition goals through inclusion
[81] 웹사이트 Including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Co-Design of the Enacted Curriculum https://files.eric.e[...] 2005
[82] 뉴스 Transformation Ahead for Special Education 2006-09-21
[83] 서적 Successful inclusion for students with autism: creating a complete, effective ASD inclusion program Jossey-Bass
[84] 서적 Controversial Issues Confronting Special Education Allyn & Bacon
[85] 서적 Differences in common: Straight talk on mental retardation, Down Syndrome, and life Woodbine house
[86] 서적 Choosing outcomes and accommodations for Children (COACH): A guide to educational plan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2nd ed.)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87] 논문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88] 논문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during small group learning
[89] 논문 Playing hopscotch in inclusive education reform: examining promises and limitations of policy and practice in the US 2015
[90] 논문 Promoting Inclusion, Social Connections, and Learning Through Peer Support Arrangements 2015-09-01
[91] 논문 The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Workplace Across the Employment Cycle: Employer Concerns and Research Evidence 2020-04-01
[92] 논문 Putting inclusion into practice: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parents
[93] 논문 Classroom Teachers' Behaviors and Peers' Acceptance of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2016-01-15
[94] 논문 The Sociometric statu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full-inclusion school
[95] 논문 A Study of the effects of an inclusion model on students with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96] 논문 Use of a peer support intervention for promoting academic engagement of students with autism in general education settings 2014
[97] 웹사이트 Embracing the Spectrum: Understanding Autism and Inclusive Education https://www.elmens.c[...] ELMENS 2024-04-18
[98] 논문 Life Outcomes and Higher Education: The Need for Longitudinal Research Using a Broad Range of Quality of Life Indicators https://meridian.all[...]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24-05-07
[99] 논문 Instruction, Not Inclusion, Should Be the Central Issue in Special Education: An Alternative View from the USA 2014-01-01
[100] 웹사이트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A Basis for Hope or a Discourse of Delusion https://citeseerx.is[...]
[101] 논문 District-Level Inclusive Special Education Leaders Demonstrate Social Justice Strategies 2020-09-01
[102] 웹사이트 Inclusion or Delusion:Can One Size Fit All? https://nasenjournal[...] National Association for Special Educational Needs, John Wiley & Sons, Ltd 2003-01-07
[103] 논문 Voice of the child - An Investigation into the soci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in mainstream primary settings 2017
[104] 논문 'I felt closed in and like I couldn''t breathe':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the mainstream educational experiences of autistic young people 2018-01-01
[105] 서적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s: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Guilford
[106] 서적 The Illusion of Full Inclusion: A Comprehensive Critique of a Current Special Education Bandwagon PRO-ED, Inc.
[107] 논문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in Resource and Inclusive Settings
[108] 서적 Preserving Special Education Weston: Nobb Hill Press Inc
[109] 논문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Resource Rooms for Children with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1969-04
[110] 문서
[111] 논문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be improved?
[112] 웹사이트 Essential Strategies for Inclusive Teaching https://www.ascd.org[...] 2022-12-01
[113] 간행물 Social Emotional Learning and Inclusion in School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3-29
[114] 논문 Reimagining Disability and Inclusive Education Through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2017-06-01
[115] 웹사이트 インクルーシブ教育システムに関する基本的な考え方 http://inclusive.nis[...] 国立特別支援教育総合研究所 2018-11-07
[116] 웹사이트 "「インクルーシブ教育」で特別支援はどう変わるの?" https://benesse.jp/k[...] 2018-11-07
[117] 웹사이트 共生社会の形成に向けたインクルーシブ教育システム構築のための特別支援教育の推進(報告) 概要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8-11-07
[118] 논문 Putting Inclusion into Practice: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Parents https://doi.org/10.1[...]
[119] 서적 Policy Guidelines on Inclusion in Education https://unesdoc.unes[...] UNESCO
[120] 서적 ニューカマーの子どもがいる教室 教師の認知と思考 勁草書房 2012-02-25
[121] 서적 インクルーシブ教育入門 すべての子どもの学習参加を保障する学校・地域づくり かもがわ出版 2008-06-20
[122] 웹사이트 インクルーシブ教育 https://volunteer-pl[...] 2022-09-10
[123] 서적 発達障害のある子と家族の支援 : 問題解決のために支援者と家族が知っておきたいこと https://id.ndl.go.jp[...] 学研プラス
[124] 웹사이트 インクルーシブ教育とは?障害を持つ子どもへの新しい教育法を解説 {{!}} 私学の教員採用・求人情報なら教員人材センター https://kyoin.co.jp/[...] 2022-09-10
[125] 논문 障害児のきょうだいの不安とストレス : つながりと家族ストレス http://id.nii.ac.jp/[...] 千葉敬愛短期大学 2014-03
[126] 웹사이트 『大学教授、発達障害の子を育てる』の著者・岡嶋裕史氏に聞く(下) - 井上威朗|論座 - 朝日新聞社の言論サイト https://webronza.asa[...] 2022-09-10
[127] 서적 これからのインクルーシブ体育・スポーツ 障害のある子どもたちも一緒に楽しむための指導 ぎょうせい 2017-12-15
[128] 서적 Teaching pupils with learning difficulties: Strategies and solutions London: Falmer Press
[129] 간행물 The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anadian Teachers Federation 1981
[130] 논문 Inclusive education: Are there limi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