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식 국가이다. 1996년까지는 투르크멘 SSR의 국가를 사용하다가, 1997년부터 2008년까지는 "투르크멘바시의 위대한 창조"를 사용했다. 이 국가는 초대 대통령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를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2008년에는 현재의 국가로 변경되었으며, 니야조프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고 투르크메니스탄의 민족적 자긍심과 미래 지향적인 가치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수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 루흐나마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이 집필한 《루흐나마》는 투르크멘 민족의 역사, 문화, 도덕, 윤리를 다루는 책으로, 교육 과정 필수 교재 지정 및 광범위한 개인 숭배 조장 등 사회적 영향을 미쳤으나, 니야조프 사후 교육 과정에서 점차 제외되었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음악 -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벨리 무하토프가 작곡했으며, 1946년부터 1996년까지 사용되었고, 1978년에는 가사에서 스탈린에 대한 언급이 삭제되었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상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 | |
|---|---|
| 기본 정보 | |
| 영어 제목 | 독립, 중립, 투르크메니스탄의 국 국가 |
| 세부 정보 | |
| 국가 | 투르크메니스탄 |
| 작사가 | 집단 |
| 작곡가 | Veli Mukhatov |
| 채택일 | 1997년 (원래 버전) |
| 수정일 | 2008년 (현재 버전) |
| 이전 국가 |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
| 작사가 (1996년) |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
| 로마자 표기 | Garaşsyz, Bitarap Türkmenistanyň Döwlet Gimni |
2. 역사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후, 투르크메니스탄은 1996년까지 가사가 없는 투르크멘 SSR의 국가를 사용했다. 1996년 9월 27일, 투르크메니스탄 인민위원회는 바이람알리에서 새로운 국가를 채택하였다.
이 국가는 1997년부터 사용되었으며, 초대 대통령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투르크멘바시)를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2006년 니야조프가 사망한 후, 후임자인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의 지시에 따라 2008년에 국가가 개정되었다. 이 개정을 통해 니야조프 개인 숭배와 관련된 가사가 수정되어 현재의 국가로 이어지고 있다.
2. 1. 1997년 ~ 2008년 국가
1996년 9월 27일 바이람알리에서 열린 투르크메니스탄 인민위원회에서 새로운 국가가 채택되었다.[21][22] 이 국가는 1997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되었으며, 독립 후 가사 없이 사용되던 투르크멘 SSR 국가를 대체했다.국가의 후렴구 첫 구절인 "투르크멘바시의 위대한 창조"(Türkmenbaşyň guran beýik binasytk)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초대 대통령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투르크멘바시)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가사에는 투르크메니스탄의 독립, 중립, 민족 통합,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3절에는 "나의 운명, 나의 명예, 나의 사랑하는 조국이여! 너에게 의심이 향하면 눈을 멀게 하라"(Ykbalym, namysym, togabym, Watan! Saňa şek ýetirse, kör bolsun gözlertk)와 같이 조국에 대한 강한 충성심을 강조하는 구절이 있다.[24]
2006년 니야조프 사망 후, 후임자인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의 지시로 2008년에 가사가 일부 수정되어 현재의 국가가 되었다.
| 투르크멘어 가사 | 한국어 번역 |
|---|---|
2. 2. 2008년 ~ 현재 국가
2008년,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대통령 사후 그의 개인 숭배와 관련된 가사를 수정하여 현재의 국가가 제정되었다. 새로운 가사는 니야조프를 찬양하는 구절("투르크멘바시가 만든 위대한 건축물")을 삭제하고, "국민들이 만들어낸 영원한 위대한 건조물"로 변경하여 투르크메니스탄의 민족적 자긍심과 미래 지향적인 가치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바뀌었다.아래는 현재 사용되는 투르크메니스탄 국가의 가사이다.
| 투르크멘어 원문 | 한국어 번역 |
|---|---|
투르크메니스탄 국가의 가사는 투르크멘어로 되어 있으며, 시대에 따라 내용이 변경되었다. 1997년에 제정된 초기 가사에는 당시 대통령이었던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를 지칭하는 '투르크멘바시'라는 표현이 포함되어 개인 숭배 논란이 있었다.[24][21][22] 2008년 니야조프 사후, 해당 구절은 '국민'을 의미하는 단어로 수정되었다.[19][20][21][22]
개정된 국가는 1절에서 조국에 대한 헌신("내 영혼을 그대에게 바치리라")과 역사적 유산("용감한 선조들의 영혼")을 기리고, 후렴에서는 국가와 민족의 영원한 번영("국민들이 만들어낸 위대한 건조물", "길이 번영할 내 조국")을 염원한다. 2절은 민족 통합("부족이 서로 형제가 되고")의 중요성과 역경 극복 의지("폭풍에 빼앗기지 않고, 탁류에 부서지지 않으리")를 강조한다.
3. 가사
가사는 투르크멘어 원문을 표기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로마자 외에도 키릴 문자, 아랍 문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기된다. 또한, 발음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국제 음성 기호(IPA) 표기가 제공되기도 한다.
이 국가는 한국어를 비롯하여 영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제르바이잔어, 튀르키예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소개되고 있다.[25] 각 시대별 가사의 원문과 번역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투르크멘어 가사 (2008년 ~ 현재)
| 로마자 | 키릴 문자 | 아랍 문자 | 발음(IPA 표기) |
|---|---|---|---|
١ |
3. 1. 1. 로마자
Janym gurban saňa, erkana ýurdum
Mert pederleň ruhy bardyr könülde.
Bitarap, Garaşsyz topragyň nurdur
Baýdagyň belentdir dünýän önünde.
'''''Gaýtalama:'''''
''Halkyň guran baky beýik binasy''
''Berkarar döwletim, jigerim–janym.''
''Başlaryň täji sen, diller senasy''
''Dünýä dursun, sen dur, Türkmenistanym!''
'''II'''
Gardaşdyr tireler, amandyr iller
Owal–ahyr birdir bizin ganymyz.
Harasatlar almaz, syndyrmaz siller
Nesiller döş gerip gorar şanymyz.
'''''Gaýtalama'''''[19][20]
''Türkmenba¢yñ guran beÿik binasy''
''Berkarar döwletim, jigerim–janym.''
''Ba¢laryñ täji sen, diller senasy''
''Dünÿä dursun, sen dur, Türkmenistanym!''
'''I'''
Janym gurban saňa, erkana ÿurdum
Mert pederleñ ruhy bardyr könülde.
Bitarap, Gara¢syz topragyñ nurdur
Baÿdagyñ belentdir dünÿän önünde.
'''''Gaÿtalama'''''
'''II'''
Garda¢dyr tireler, amandyr iller
Owal–ahyr birdir bizin ganymyz.
Harasatlar almaz, syndyrmaz siller
Nesiller dö¢ gerip gorar ¢anymyz.
'''''Gaÿtalama'''''
'''III'''
Arkamdyr bu daglar, penamdyr düzler
Ykbalym, namysym, togabym, Watan!
Saña ¢ek ÿetirse, kör bolsun gözler
Geçmi¢im, geljegim, dowamym, Watan![24]
3. 1. 2. 키릴 문자
wikitextҖаным гурбан саңа, эркана юрдум
Мерт педерлең рухы бардыр көнүлде.
Битарап, Гарашсыз топрагың нурдур
Байдагың белентдир дүнйән өнүнде.
'''''Гайталама:'''''
''Халкың гуран бакы бейик бинасы''
''Беркарар дөвлетим, җигерим–җаным.''
''Башларың тәҗи сен, диллер сенасы''
''Дүнйә дурсун, сен дур, Түркменистаным!''
'''II'''
Гардашдыр тирелер, амандыр иллер
Овал–ахыр бирдир бизин ганымыз.
Харасатлар алмаз, сындырмаз силлер
Несиллер дөш герип горар шанымыз.
'''''Гайталама'''''[21]
3. 1. 3. 아랍 문자
جانؽم قربان سانگا، ارقانا يوُردوُم
مرت پدرلنگ روُخؽ باردؽر کؤنۆلده.
بيتاراپ، قاراشسؽز توْپراغؽنگ نوُردوُر
بايداغؽنگ بلنتدير دنیأن اؤنۆنده.
'''''قايتالاما:'''''
خلقؽنگ قرآن باقؽ بييك بيناسؽ
برقارار دولتيم، جگريم–جانؽم.
باشلارؽنگ تأجى سن، ديللر سناسؽ
دنیا دوُرسوُن، سن دوُر، تۆرکمنيستانؽم!
'''٢'''
قارداشدؽر تيرلر، آماندؽر ايللر
اول–آخر بيردير بيزين قانؽمؽز.
خاراساتلاز آلماز، سؽندؽرماز سيللر
نسللر دؤش گريپ قوْرار شانؽمؽز.
'''''قايتالاما'''''[22]
3. 1. 4. 발음 (IPA 표기)
'''현재 국가 (2008년 ~ 현재)'''[5][6][7]| 로마자 가사 | IPA(국제 음성 기호) 표기 가창[8] |
|---|---|
'''이전 국가 (1997년 ~ 2008년)'''[10]
| 로마자 가사 | IPA(국제 음성 기호) 표기 가창[11] |
|---|---|
3. 2. 한국어 가사 해석
'''현재 가사 (2008년 개정)'''
'''이전 가사 (1997년 ~ 2008년)'''
4. 비판 및 논란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는 과거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대통령 재임 시절, 그의 개인 숭배를 강화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1997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국가 가사에는 니야조프를 직접적으로 찬양하는 구절이 포함되어 있어, 당시 투르크메니스탄의 권위주의적 통치와 민주주의 원칙과의 괴리를 드러낸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러한 논란은 니야조프 사후 가사 개정을 통해 개인 숭배와 관련된 내용이 삭제되면서 일단락되었다.
4. 1. 니야조프 시대의 개인 숭배
1996년까지 독립한 지 얼마 안 된 투르크메니스탄은 가사가 없는 투르크멘 SSR의 국가를 사용했다. 새로운 국가는 1996년 9월 27일 바이람알리에서 열린 투르크메니스탄 인민위원회 회의에서 채택되었다.1997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이 국가의 가사, 특히 후렴구의 첫 구절인 Türkmenbaşyň guran beýik binasy|투르크멘바싱 구란 베이익 비나스tuk('투르크멘바시의 위대한 창조물')는 당시 대통령이었던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스스로 '투르크멘인의 수장'을 의미하는 '투르크멘바시'라 칭함)를 노골적으로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는 니야조프 시대의 강력한 개인 숭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민주주의 가치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았다.
2006년 니야조프가 사망한 후, 그의 뒤를 이은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대통령은 국가 가사 변경을 지시했다. 그 결과 2008년, 니야조프를 찬양하는 구절이 삭제된 새로운 가사가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이는 니야조프 시대와의 단절 및 탈권위주의적 변화를 상징하는 조치로 평가된다.
참조
[1]
서적
Turkmenistan to the Heights of the Golden Age
Ashgabat
2005
[2]
서적
Key Facts on Turkmenistan: Essential Information on Turkmenistan
https://books.google[...]
The Internationalist
2014-04-04
[3]
뉴스
Absolute leader's name dropped from anthem
https://www.reuters.[...]
2019-07-07
[4]
웹사이트
Asgabat tv turkmenistan anthem and closedown HD
https://www.youtube.[...]
2019-07-07
[5]
웹사이트
Türkmenistanyň Döwlet senasy hakynda
https://www.bp.gov.t[...]
2022-03-28
[6]
웹사이트
Türkmenistanyň Döwlet senasy
https://saylav.gov.t[...]
2022-03-28
[7]
웹사이트
Türkmenistanyň Döwlet senasy/Türkmenistanyň Ylymlar akademiýasy
https://science.gov.[...]
2022-03-28
[8]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Turkmenistan - Garaşsyz, Bitarap Türkmenistanyň Döwlet
https://www.youtube.[...]
2022-03-28
[9]
문서
Türkmen Ýazuw Kadalary (توركمن يازوو قادالاري)
http://www.margush.i[...]
Margush.ir
[10]
웹사이트
Döwlet Gimni/Türkmenistanyň Ylymlar akademiýasy
http://science.gov.t[...]
2021-11-19
[11]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of Turkmenistan (1997-2008) - "Garaşsyz Bitarap Türkmenistanyň Döwlet Gimni"
https://www.youtube.[...]
2022-03-28
[12]
서적
Turkmenistan to the Heights of the Golden Age
Ashgabat
2005
[13]
웹사이트
ПРЕЗИДЕНТ ТУРКМЕНИСТАНА ВОЗЛОЖИЛ ЦВЕТЫ К МОНУМЕНТУ КОНСТИТУЦИИ И ПАМЯТНИКУ МАХТУМКУЛИ ФРАГИ
https://www.mfa.gov.[...]
[14]
서적
Turkmenistan to the Heights of the Golden Age
Ashgabat
2005
[15]
서적
Key Facts on Turkmenistan: Essential Information on Turkmenistan
https://books.google[...]
The Internationalist
2014
[16]
뉴스
Absolute leader's name dropped from anthem
https://www.reuters.[...]
2008-12-16
[17]
뉴스
Changing the lyrics of the National Anthem
https://www.reuters.[...]
[18]
서적
Key Facts on Turkmenistan: Essential Information on Turkmenistan
https://books.google[...]
The Internationalist
2014-04-04
[19]
웹사이트
Общая информация о Туркменистане
https://turkmenistan[...]
2019-03-30
[20]
웹사이트
Гимн Туркменистана — Гимны всего мира со словами, текст, перевод
http://gimn.su/tag/%[...]
2018-11-22
[21]
문서
http://www.translite[...]
[22]
웹사이트
Türkmen Ýazuw Kadalary (توركمن يازوو قادالاري)
http://www.margush.i[...]
2016-03-03
[23]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Туркменистана
http://saylav.gov.tm[...]
2020-07-02
[24]
웹사이트
Döwlet gimni
http://science.gov.t[...]
2023-01-29
[25]
웹사이트
Гимн Туркменистана, а также сохраняя уходящую натуру - гимн «Великое создание Туркменбаши» и гимн Туркменской ССР
http://www.portalost[...]
2009-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