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피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피어족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언어족으로, 브라질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16세기 포르투갈인들이 도착했을 때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링구아 제랄은 투피어족 언어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공통 표준어로, 19세기까지 브라질에서 사용되었다. 투피어족은 서투피 제어와 동투피 제어로 나뉘며, 투피·과라니어파는 가장 큰 어파로 고대 투피어, 과라니어, 녜엥가투어 등을 포함한다. 이 언어족은 다른 언어족들과의 언어 접촉을 통해 어휘적 유사성을 보이며, 다양한 언어들의 기초 어휘 비교를 통해 그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포르투갈인이 브라질에 도착했을 때, 남아메리카의 광대한 해안을 따라 대부분의 원주민이 비슷한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수회 선교사들은 이러한 유사성을 이용하여 ''링구아 제랄''(línguas gerais, "일반 언어")이라는 공통 표준을 체계화했으며, 이는 19세기까지 그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이 언어들 중 가장 잘 알려지고 널리 사용된 언어는 고대 투피어였으며, 그 현대 후손은 오늘날에도 아메리카 원주민이 히우네그루 지역 주변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녜엥가투어''(Nheengatu|니엥가투pt) 또는 "좋은 언어"로 알려져 있다.[1]
투피어족은 크게 서투피 제어와 동투피 제어로 나뉘며, 10개 어파, 약 70여 개의 언어로 구성된다.[8]
2. 역사
인접한 스페인 식민지에서는 과라니어가 고대 투피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또 다른 투피어족 언어였으며, 유사한 역사를 가졌다. 투피어가 포르투갈어에 저항하는 것보다 스페인어의 확산에 더 성공적으로 저항한 과라니어는 오늘날 7백만 명의 화자를 가지고 있으며, 파라과이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투피어족은 이 외에도 화자 수가 적은 여러 언어를 포함하며, 이들은 제어 및 카리브어와 불규칙한 형태론을 공유한다. 이에 브라질의 언어학자 히베이로는 이들을 모두 제-투피-카리브어족으로 연결한다.[1]
2. 1. 기원 및 확산
로드리게스(Rodrigues 2007)는 투피어족의 조어가 마데이라강 분지에서 과포레강과 아리푸아나 사이 어딘가에서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한다.[8] 이 지역 대부분은 현대 브라질 혼도니아주와 일치한다. 투피어족의 10개 어파 중 5개가 이 지역에 분포하며 일부 투피·과라니어파 언어(특히 카와히브어)도 그러하다. 로드리게스는 투피조어가 지금으로부터 약 5,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본다.[2]
포르투갈인이 브라질에 도달했을 때, 신대륙 해안 지역 주민들이 서로 비슷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예수회 선교사들은 이를 활용하여 링구아 제랄(일반 언어)를 만들었고, 이 언어는 19세기까지 현지에서 사용되었다. 널리 알려지고 사용된 투피어는 현재에도 리오 네그로 지방을 중심으로 원주민들이 사용하며, 니엥가투어(Nheengatu, "좋은 말"의 의미)로 통용된다.
인접한 스페인 식민지에서는 과라니어 등 투피어와 관련 깊은 투피어족 언어가 비슷한 역사를 거쳤다. 구아라니어는 스페인어에 맞서 현재 700만 명의 화자를 보유하며 파라과이와 볼리비아의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
투피어족에는 화자 수가 적은 몇몇 언어도 포함된다. 이 언어들은 형태론적으로 불규칙한 부분이 있으며, 브라질의 언어학자 히베이로는 이러한 불규칙성이 제어족(Macro-Jê languages|마크루제어족영어)과 카리브어족 언어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이 제-투피-카리브 대어족(Macro-Jê-Tupí-Cariban languages|마크루제투피카리브어족영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주장한다.
2. 2. 식민지 시대
16세기 포르투갈인이 브라질에 도착했을 때, 해안 지역 원주민 대부분이 비슷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발견했다. 예수회 선교사들은 이러한 언어들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링구아 제랄'(línguas gerais, "일반 언어")이라는 공통 표준어를 체계화했다. 링구아 제랄은 19세기까지 브라질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고대 투피어와 현대의 녜엥가투어("좋은 언어")가 대표적이다.[1] 인접한 스페인 식민지에서는 과라니어가 비슷한 역사를 거쳤지만, 스페인어의 확산에 더 성공적으로 저항하여 현재 파라과이의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1]
2. 3. 현대
예수회 선교사들이 체계화한 링구아 제랄의 현대 후손인 녜엥가투어는 오늘날에도 아메리카 원주민이 히우네그루 지역 주변에서 사용하며, "좋은 언어"라는 뜻이다.[1] 과라니어는 고대 투피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또 다른 투피어족 언어로, 인접한 스페인 식민지에서 스페인어 확산에 성공적으로 저항했다. 오늘날 과라니어는 7백만 명의 화자를 가지고 있으며, 파라과이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투피어족은 이 외에도 화자 수가 적은 여러 언어를 포함한다.[1]
3. 하위 분류
포르투갈인이 브라질에 도착했을 때, 신대륙 해안에서 여러 지역 주민들이 비슷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수회 선교사들은 이를 활용하여 링구아 제랄(일반 언어)이라는 공통어를 만들었다. 링구아 제랄은 19세기까지 현지에서 사용되었다. 널리 알려지고 사용된 투피어족 언어는 투피어였다. 이 파생 언어는 현재에도 리오 네그로 지방을 중심으로 원주민들이 사용하며, 니엥가투어(Nheengatu, "좋은 말"이라는 뜻)로 통용된다.
인접한 스페인 식민지에서는 과라니어 등 투피어와 관련이 깊은 투피어족 언어가 비슷한 역사를 거쳤다. 투피어도 포르투갈어에 저항하여 잘 남아있었지만, 과라니어는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스페인어에 맞서 현재는 700만 명의 화자를 거느리고 파라과이와 볼리비아의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
투피어족에는 이들 외에도 화자 수가 적은 여러 언어가 포함되어 있다.
3. 1. 주요 어파
Rodrigues & Cabral (2012)의 연구에 따르면, 투피어족은 10개의 주요 어파로 나뉜다.[8] 이들은 서투피 제어와 동투피 제어로 크게 묶인다. 각 제어 내에서는 가장 이질적인 어파를 먼저 나열하고 핵심 어파를 뒤에 나열하는 방식으로 분류하였다.
어파 | 언어 수 |
---|---|
아리켐어파 | 2개 |
투파리어파 | 6개 |
몬데어파 | 6개 |
푸루보라어 | 1개 |
라마라마어파 | 2개 |
유루나어파 | 3개 |
문두루쿠어파 | 2개 |
마웨어 | 1개 |
아웨티어 | 1개 |
투피·과라니어파 | 50여 개 (예: 고대 투피어 (사멸), 과라니어 (화자 수 500만 명)) |
일부 연구자들은 마웨어, 아웨티어, 투피과라니어파를 묶어 마웨티·과라니어파라는 하나의 분기군으로 보기도 한다.[9] 푸루보라어와 라마라마어파도 하나의 분기군을 이룰 가능성이 제기된다.
3. 2. 상세 분류
Rodrigues & Cabral (2012)은 투피어족을 10개 어파로 나누었으며, 크게 서투피 제어와 동투피 제어로 묶었다.[8]
일부 연구자는 마웨어, 아웨티어, 투피과라니어파를 마웨티·과라니어파라는 하나의 분기군으로 묶는다.[9] 푸루보라어와 라마라마어파는 하나의 분기군을 이룰 가능성이 있다.[8]
Jolkesky (2016)는 Rodrigues & Cabral (2012)의 분류를 바탕으로 더 세분화된 하위 분류를 제시했다.[4]
Galucio et al. (2015)은 계량 비교 언어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투피어족의 계통수를 제시했다.[5]
4. 언어적 특징
투피어족은 형태론적으로 불규칙한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불규칙성은 제어족과 카리브어족 언어에도 존재한다. 브라질의 언어학자 히베이로는 이들이 제-투피-카리브 대어족을 구성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주장한다.
체스트미르 루코트카(Čestmír Loukotkapt)가 1968년에 제시한 투피어족 언어들의 기초 어휘 비교표는 다음과 같다.[6][7]
언어 | 분파 | 머리 | 귀 | 이 | 손 | 하나 | 둘 | 셋 |
---|---|---|---|---|---|---|---|---|
투피어 | 투피 | a-kang | nambi | táña | pó | peteĩ | mokoĩ | mbohapüi |
투피남바어 | 투피 | a-kán | nambü | ráña | pó | angepé | mokoin | musaput |
포티과라어 | 투피 | a-kanga | nambi | tañha | in-bó | oyepe | mokoy | mosapür |
니엥가투어 | 투피 | a-kanga | namü | taña | pó | yepé | mokoin | musapeire |
과라니어 | 과라니 | ãkan | nambi | apen-kun | pó | peteí | mokói | mbhápira |
아포포쿠바어 | 과라니 | pó | aépi | mokõi | moapi | |||
치리파어 | 과라니 | rakã | nambi | aépi | ||||
카잉구아어 | 과라니 | aká | nambi | kú | pó | petein | mókoin | mbohapi |
무비하어 | 과라니 | che-ahká | chen-nambüh | che-rain | cheh-pó | peteí | mokoi | mboapü |
카노에이로스어 | 과라니 | eaushmã | de-pó | |||||
셰타어 | 과라니화 | sh-aka | che-nambi | tienai | che-pó | matinkam | mokoi | ñiiru |
남부 도라도스어 | 과라니화 | ñ-ãka | elaːme | nénai | eː-po | uaːi | moːgai | mágatei |
과야키어 | 과라니화 | ni-aka | nambi | ã | i-pá | eteyã | meno | tanã |
타피라페어 | 타피라페 | dzyane-akánga | dzyane-inamí | dzyane-roi | dzyane-pó | anchepé | mukúi | mãpít |
카마유라어 | 카마유라 | ye-akang | ye-nami | ye-nai | ye-po | yepete | mokoi | moapit |
아위티어 | 카마유라 | apot | inte-yambe | inte-ngu | i-po | mayepete | monkói | munitaruka |
아라위네어 | 카마유라 | ne-nami | ye-po | |||||
아난베어 | 파라 | a-kánga | hä-nambi | se-raña | pó | yanäpo | mukuẽ | muhapi |
타쿠냐페어 | 파라 | |||||||
과자자라어 | 북부 | akã | sane-inamú | e-rai | sane-pó | metéi | mukúi | nairúi |
템베어 | 북부 | he-akã | he-nami | he-rái | he-pó | petei | mokui | moãpi |
마나제어 | 북부 | he-akü | he-namí | he-rĩ | he-pó | chipei | mokú | moapi |
투리과라어 | 북부 | ne-akánga | ne-nami | ne-ráĩ | ne-pó | petei | mokoi | moapiri |
카아포르어 | 북부 | ne-kang | nambi | ne-roi | n-pó | petei | mukoin | oapíre |
마키리어 | 중부 I | ai-akáng | ái-namí | ái-ráing | ái-pó | aipité | mokoíng | moapét |
카야비어 | 중부 I | parmió | oyepa | mokoi | ||||
카와히브어 | 중부 I | ae-akáng | ae-namí | ae-rái | ae-po | oyepé | mokõi | irumaé |
팔린틴틴어 | 중부 II | ae-akáng | ae-nambí | ae-rai | ae-po | eyepé | mokoĩ | |
위라페도어 | 중부 II | ai-akán | ai-namí | ai-rai | aí-po | ayipe | mokoi | |
타쿠와티프어 | 중부 II | ai-kánga | ai-nami | ai-rain | ai-pó | ayepeːi | mokoːin | |
다와히브어 | 중부 II | ay-akan | ay-nambí | ay-rãi | ay-põãpká | |||
카투키나르어 | 중부 II | taka-sú | saña | punü | ||||
오야피어 | 기아나 | ea-kang | i-nami | e-ráñ | né-po | pesi | mukugue | mapur |
에메리론어 | 기아나 | é-ankang | é-námi | é-rai | é-po | mozepé | mokoñe | maʔapuit |
아피아카어 | 기아나 | ai-kana | ai-nembía | ai-raña | ai-poa | mayupé | mokõñ | boapui |
오마구아어 | 아마조나스 | yakó | námi | sáy | póa | wépi | mokwéshe | mosapröke |
코카마어 | 아마조나스 | yakö | námi | dzái | púwa | wípi | mokoíka | motsapwöka |
코카밀라어 | 아마조나스 | yákö | námi | tsái | púa | uípi | mokuíka | motsapölika |
치리그아노어 | 치리그아노 | ankã | námbi | hai | de-pó | penti | mbokui | mbapui |
과라요어 | 치리그아노 | che-ãka | che-nambí | che-raí | che-pó | nyepeĩ | nyuenió | mosapĩ |
파우셀나어 | 치리그아노 | aká | nambi | rahü | póo | monopedo | mokóe | hebü |
타피에테어 | 치리그아노 | y-anka | ya-nimbi | ya-ninay | ya-ndepo | penté | monké | maʔap |
차네어 | 치리그아노 | se-ãká | se-ndambí | se-rãi | se-pó | mompetí | mokoi | mboapi |
시리오노어 | 치리그아노 | e-ãnkĩ | e-isa | e-rẽy | e-o | ekomiĩ | nedemu | dedemu |
조카어 | 치리그아노 | ãcha | ká | déchatu | ||||
유르나어 | 유르나 | se-tabá | yashiugá | se-yan | uvá | duáyo | nauá | nauámbo |
시파야어 | 유르나 | tabá | enshugá | oayá | uvuá | memé | bidá | mévau |
마니차우아어 | 유르나 | naibuá | huangá | |||||
문두루쿠어 | 문두루쿠 | waá | wa-naibé | woi-noi | wo-ipo | pantá | shepsheptá | chebapitá |
크루아야어 | 문두루쿠 | uása | uampí | ñai | bi | dá | porákã | teboazem |
마웨어 | 마웨 | u-yakída | u-yahapé | u-háĩ | u-ipó | endup | tépui | muén |
이토가프쿠어 | 이토가프쿠 | n-aká | n-akiribe | yãi | parobé | mutírem | yagarekóm | pairóbtem |
라마라마어 | 이토가프쿠 | n-akiribé | niãng | i-pabé | ||||
울미어 | 이토가프쿠 | in-aká | in-akurape | i-pabe | uenakaveu | ishirange | itamaiun | |
울크어 | 이토가프쿠 | óña-áká | on-aküravé | i-pábe | motírem | yegárokum | pagodnóbtem | |
아라라어 | 이토가프쿠 | motürem | yegárkom | koirẽm | ||||
아리케무어 | 아리케무 | a | risába | ñãya | pu | mundápa | patám | moyúm |
카리티아나어 | 아리케무 | risopo | noñno | |||||
마크라프어 | 마크라프 | wakaräte | ua-pishevéta | u-ñamñem | owõte | uéreːket | nemtuté | |
카누아어 | 마크라프 | ki-aneːm | uwa-pitát | ki-nyai | o-po | kitsä | türü | kwaikärum |
그라테가자어 | 마크라프 | ki-anäm | kí-apitát | ki-nyai | ki-puaná | kitsä | teːre | kwaikiä |
카비시아나어 | 마크라프 | niaín | o-popí | |||||
와요로어 | 마크라프 | yá | ne-vapáp | o-nyain | o-pitab | kiét | derät | wärehät |
아피춤어 | 마크라프 | o-pitab | o-nyon | o-nebo | ||||
투파리어 | 마크라프 | ápaba | ábtsi | ñain | poː | kíäm | hürü | hürünoːm |
케프케리와토어 | 케프케리와토 | u-akãin | u-apiá | i-ñãin | ba | pangue | xatéte | sete-pangue |
몬데어 | 몬데 | a-ndará | u-nanimbé | u-im | amba-bé | amakim | parasherám | paiwutwuy |
사나마이카어 | 몬데 | hũ-ndáa | nambiap | h'-ĩn | hũ-mábé | mún | palisharú | waikun |
알루아어 | 몬데 | pan-at | pan-itiwä | pan-yĩn | pan-awä | miːn | busá | wauːm |
디그토어 | 몬데 | pan-dát | ním-piab | nĩ | babé | |||
알라시어 | 몬데 | sham-yaküb | shon-yain | bu |
언어 | 언어 그룹 | 여성 | 물 | 불 | 돌 | 옥수수 | 맥 |
---|---|---|---|---|---|---|---|
투피어 | 투피 | kuñá | ü | tatá | itá | abai | tapüíra |
투피남바어 | 투피 | kuñá | ü | tatá | itá | auvati | tapirusu |
포티구아라어 | 투피 | kuña | üü | tataː | itaː | ||
니엥가투어 | 투피 | kuñan | üüg | tatá | itá | auati | tapira |
과라니어 | 과라니 | kuñá | ü | tatá | itá | avatí | tapií |
아파포쿠바어 | 과라니 | kuña | ü | tatá | |||
치리파어 | 과라니 | ü | tata | avati | mborevi | ||
카잉구아어 | 과라니 | koñá | ü | tatá | itá | avachi | mborevi |
무비하어 | 과라니 | kuña | ü | tatá | itá | avachi | tapií |
카노에이로스어 | 과라니 | uainvi | üg | itá | avashi | ||
셰타어 | 과라니화 | kuñá | ü | tată | itá | avachi | tapi |
남부 도라도스어 | 과라니화 | koːña | hoːñe | agel'á | iːtá | nutya | telaːgoi |
과야키어 | 과라니화 | kuña | ü | dadá | itá | waté | mberevi |
타피라페어 | 타피라페 | kudzá | ü | tatá | itá | awachí | tapiíra |
카마유라어 | 카마유라 | kuña | ü | tata | ita | avatsi | tapiít |
아위티어 | 카마유라 | kuñá | ü | tara | ita | avachi | tapií |
아난베어 | 파라 | kuña | ü | tata | ita | awat | tapiri |
타쿠냐페어 | 파라 | kuñá | tatá | ika | tapií | ||
과자자라어 | 북부 | kuñã | ü | tatá | itá | awachí | tapiíra |
템베어 | 북부 | kuzá | ü | tatá | itá | awachi | tapihir |
마나제어 | 북부 | kuyi | ü | tatá | itá | awachí | tapihi |
투리과라어 | 북부 | kuñá | üa | tatá | itá | awachi | tapiíra |
카아포르어 | 북부 | kuza | üg | tata | itá | tapira | |
마키리어 | 중부 I | kuñá | ih | tatá | avatí | tapiít | |
카야비어 | 중부 I | kuñá | auü | tatá | uachi | ||
카와히브어 | 중부 I | kuñá | ü | tatá | abachi | tapiít | |
팔린틴틴어 | 중부 II | kuñá | iü | tatá | itakí | avaté | tapiíd |
위라페도어 | 중부 II | kuñá | üü | tatá | itá | abasí | tapiít |
타쿠와티프어 | 중부 II | kuñá | üa | tatá | abatí | tapi | |
다와히브어 | 중부 II | kunya | üü | tatá | itá | tapiíra | |
카투키나르어 | 중부 II | uhehü | |||||
오야피어 | 기아나 | nimene | heː | tata | ita | abati | tapiira |
에메리론어 | 기아나 | waimid | ih | tata | auasi | ||
아피아카어 | 기아나 | koñá | ih | tatar | ita | auasi | tapüra |
오마구아어 | 아마조나스 | uainú | úni | táta | itáke | awáti | tapíra |
코카마어 | 아마조나스 | wáina | úni | táta | itáki | abati | tapíra |
코카밀라어 | 아마조나스 | wáina | úni | dzata | idzáki | awáchi | tapíra |
치리그아노어 | 치리그아노 | kúña | ü | tatá | itá | avatí | mboreví |
과라요어 | 치리그아노 | kuñá | ü | tatá | itá | avatí | mborevi |
파우셀나어 | 치리그아노 | ekúre | ü | tatá | itá | ahuati | |
타피에테어 | 치리그아노 | tapipé | ö | tata | itakí | oati | orebi |
차네어 | 치리그아노 | arekóva | ü | tatá | íta | avatí | boreví |
시리오노어 | 치리그아노 | kuña | ine | tatén | ita | ibashi | eãnkwãntoy |
조카어 | 치리그아노 | etú | in | tatá | yiwit | yuáshi | ngitíd |
유르나어 | 유르나 | kuñá | iyá | ashí | koapá | makatí | tõá |
시파야어 | 유르나 | uamiá | iyá | ashí | kuapasá | makati | masaká |
마니차우아어 | 유르나 | kuñá | hidarú | hadzú | ita | maidzú | |
문두루쿠어 | 문두루쿠 | awiyá | hü | tasha | witáa | muirará | piho |
크루아야어 | 문두루쿠 | áu | ü | titi | wítaʔa | mára | bíu |
마웨어 | 마웨 | oñañá | üü | äria | no | awatí | wewató |
이토가프쿠어 | 이토가프쿠 | mapái | ichi | chaná | iyá | nayá | iti |
라마라마어 | 이토가프쿠 | mapoia | utii | tianá | iá | nanian | nató |
울미어 | 이토가프쿠 | shamon | noiábá | ||||
울크어 | 이토가프쿠 | vochái | ichí | chaná | yáa | náya | natoː |
아라라어 | 이토가프쿠 | ||||||
아리케무어 | 아리케무 | uspára | esé | somi | isoá | ngiyó | iruba |
카리티아나어 | 아리케무 | bisam | seː | isoː | pomo | irípo | |
마크라프어 | 마크라프 | arapíñam | ihi | ucha | éki | atiti | yahi |
카누아어 | 마크라프 | anamína | äkü | itaːtʔ | heːk | atsitsi | kwayatsu |
그라테가자어 | 마크라프 | anamina | iki | utaːt | äk | ||
카비시아나어 | 마크라프 | ikí | |||||
와요로어 | 마크라프 | aramirá | ögö | agukáp | äk | atití | ikuáit |
아피춤어 | 마크라프 | anamina | ügükap | äkügükab | äk | ||
투파리어 | 마크라프 | ãramĩrã | yü | koːbkaːb | äk | opab | takara |
케프케리와토어 | 케프케리와토 | buhi | amãni | garämbi | ok | zyaoːpá | uíto |
몬데어 | 몬데 | manzet | ü | kaing | ek | maikeː | uasá |
사나마이카어 | 몬데 | chipakchí | ü | kaːi | ä | maʔä | waːsaː |
알루아어 | 몬데 | ü | kaʔin | äk | |||
디그토어 | 몬데 | manzéyã | ipáva | pokáing | dzáb | máinkin | wachá |
알라시어 | 몬데 | mansät | ü | kain | äk |
4. 1. 다른 언어와의 관계
투피어족은 남아메리카의 여러 언어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욜케스키(Jolkesky, 2016)는 아라와, 보라-무이니안, 과토, 이란체, 히바로, 카리브, 카유바바, 무라-마타나위, 타루마, 트루마이, 야노마미, 하라크벳, 카투키나-카타윅시, 아라와크, 보로로, 카라자, 매크로-마타구아요-구아이쿠루, 타카나, 나다후프, 푸이나베-카크 언어족과의 언어 접촉으로 어휘적 유사성이 있다고 언급한다.[4]투피어족에는 형태론적으로 불규칙한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불규칙성이 제어족과 카리브어족 언어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브라질의 언어학자인 히베이로는 이들이 제-투피-카리브 대어족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주장한다.
4. 2. 어휘
체스트미르 루코트카pt가 1968년에 제시한 투피어족 언어들의 기초 어휘 비교표는 다음과 같다.[6][7]언어 | 분파 | 머리 | 귀 | 이 | 손 | 하나 | 둘 | 셋 |
---|---|---|---|---|---|---|---|---|
투피어 | 투피 | a-kang | nambi | táña | pó | peteĩ | mokoĩ | mbohapüi |
투피남바어 | 투피 | a-kán | nambü | ráña | pó | angepé | mokoin | musaput |
포티과라어 | 투피 | a-kanga | nambi | tañha | in-bó | oyepe | mokoy | mosapür |
니엥가투어 | 투피 | a-kanga | namü | taña | pó | yepé | mokoin | musapeire |
과라니어 | 과라니 | ãkan | nambi | apen-kun | pó | peteí | mokói | mbhápira |
아포포쿠바어 | 과라니 | pó | aépi | mokõi | moapi | |||
치리파어 | 과라니 | rakã | nambi | aépi | ||||
카잉구아어 | 과라니 | aká | nambi | kú | pó | petein | mókoin | mbohapi |
무비하어 | 과라니 | che-ahká | chen-nambüh | che-rain | cheh-pó | peteí | mokoi | mboapü |
카노에이로스어 | 과라니 | eaushmã | de-pó | |||||
셰타어 | 과라니화 | sh-aka | che-nambi | tienai | che-pó | matinkam | mokoi | ñiiru |
남부 도라도스어 | 과라니화 | ñ-ãka | elaːme | nénai | eː-po | uaːi | moːgai | mágatei |
과야키어 | 과라니화 | ni-aka | nambi | ã | i-pá | eteyã | meno | tanã |
타피라페어 | 타피라페 | dzyane-akánga | dzyane-inamí | dzyane-roi | dzyane-pó | anchepé | mukúi | mãpít |
카마유라어 | 카마유라 | ye-akang | ye-nami | ye-nai | ye-po | yepete | mokoi | moapit |
아위티어 | 카마유라 | apot | inte-yambe | inte-ngu | i-po | mayepete | monkói | munitaruka |
아라위네어 | 카마유라 | ne-nami | ye-po | |||||
아난베어 | 파라 | a-kánga | hä-nambi | se-raña | pó | yanäpo | mukuẽ | muhapi |
타쿠냐페어 | 파라 | |||||||
과자자라어 | 북부 | akã | sane-inamú | e-rai | sane-pó | metéi | mukúi | nairúi |
템베어 | 북부 | he-akã | he-nami | he-rái | he-pó | petei | mokui | moãpi |
마나제어 | 북부 | he-akü | he-namí | he-rĩ | he-pó | chipei | mokú | moapi |
투리과라어 | 북부 | ne-akánga | ne-nami | ne-ráĩ | ne-pó | petei | mokoi | moapiri |
카아포르어 | 북부 | ne-kang | nambi | ne-roi | n-pó | petei | mukoin | oapíre |
마키리어 | 중부 I | ai-akáng | ái-namí | ái-ráing | ái-pó | aipité | mokoíng | moapét |
카야비어 | 중부 I | parmió | oyepa | mokoi | ||||
카와히브어 | 중부 I | ae-akáng | ae-namí | ae-rái | ae-po | oyepé | mokõi | irumaé |
팔린틴틴어 | 중부 II | ae-akáng | ae-nambí | ae-rai | ae-po | eyepé | mokoĩ | |
위라페도어 | 중부 II | ai-akán | ai-namí | ai-rai | aí-po | ayipe | mokoi | |
타쿠와티프어 | 중부 II | ai-kánga | ai-nami | ai-rain | ai-pó | ayepeːi | mokoːin | |
다와히브어 | 중부 II | ay-akan | ay-nambí | ay-rãi | ay-põãpká | |||
카투키나르어 | 중부 II | taka-sú | saña | punü | ||||
오야피어 | 기아나 | ea-kang | i-nami | e-ráñ | né-po | pesi | mukugue | mapur |
에메리론어 | 기아나 | é-ankang | é-námi | é-rai | é-po | mozepé | mokoñe | maʔapuit |
아피아카어 | 기아나 | ai-kana | ai-nembía | ai-raña | ai-poa | mayupé | mokõñ | boapui |
오마구아어 | 아마조나스 | yakó | námi | sáy | póa | wépi | mokwéshe | mosapröke |
코카마어 | 아마조나스 | yakö | námi | dzái | púwa | wípi | mokoíka | motsapwöka |
코카밀라어 | 아마조나스 | yákö | námi | tsái | púa | uípi | mokuíka | motsapölika |
치리그아노어 | 치리그아노 | ankã | námbi | hai | de-pó | penti | mbokui | mbapui |
과라요어 | 치리그아노 | che-ãka | che-nambí | che-raí | che-pó | nyepeĩ | nyuenió | mosapĩ |
파우셀나어 | 치리그아노 | aká | nambi | rahü | póo | monopedo | mokóe | hebü |
타피에테어 | 치리그아노 | y-anka | ya-nimbi | ya-ninay | ya-ndepo | penté | monké | maʔap |
차네어 | 치리그아노 | se-ãká | se-ndambí | se-rãi | se-pó | mompetí | mokoi | mboapi |
시리오노어 | 치리그아노 | e-ãnkĩ | e-isa | e-rẽy | e-o | ekomiĩ | nedemu | dedemu |
조카어 | 치리그아노 | ãcha | ká | déchatu | ||||
유르나어 | 유르나 | se-tabá | yashiugá | se-yan | uvá | duáyo | nauá | nauámbo |
시파야어 | 유르나 | tabá | enshugá | oayá | uvuá | memé | bidá | mévau |
마니차우아어 | 유르나 | naibuá | huangá | |||||
문두루쿠어 | 문두루쿠 | waá | wa-naibé | woi-noi | wo-ipo | pantá | shepsheptá | chebapitá |
크루아야어 | 문두루쿠 | uása | uampí | ñai | bi | dá | porákã | teboazem |
마웨어 | 마웨 | u-yakída | u-yahapé | u-háĩ | u-ipó | endup | tépui | muén |
이토가프쿠어 | 이토가프쿠 | n-aká | n-akiribe | yãi | parobé | mutírem | yagarekóm | pairóbtem |
라마라마어 | 이토가프쿠 | n-akiribé | niãng | i-pabé | ||||
울미어 | 이토가프쿠 | in-aká | in-akurape | i-pabe | uenakaveu | ishirange | itamaiun | |
울크어 | 이토가프쿠 | óña-áká | on-aküravé | i-pábe | motírem | yegárokum | pagodnóbtem | |
아라라어 | 이토가프쿠 | motürem | yegárkom | koirẽm | ||||
아리케무어 | 아리케무 | a | risába | ñãya | pu | mundápa | patám | moyúm |
카리티아나어 | 아리케무 | risopo | noñno | |||||
마크라프어 | 마크라프 | wakaräte | ua-pishevéta | u-ñamñem | owõte | uéreːket | nemtuté | |
카누아어 | 마크라프 | ki-aneːm | uwa-pitát | ki-nyai | o-po | kitsä | türü | kwaikärum |
그라테가자어 | 마크라프 | ki-anäm | kí-apitát | ki-nyai | ki-puaná | kitsä | teːre | kwaikiä |
카비시아나어 | 마크라프 | niaín | o-popí | |||||
와요로어 | 마크라프 | yá | ne-vapáp | o-nyain | o-pitab | kiét | derät | wärehät |
아피춤어 | 마크라프 | o-pitab | o-nyon | o-nebo | ||||
투파리어 | 마크라프 | ápaba | ábtsi | ñain | poː | kíäm | hürü | hürünoːm |
케프케리와토어 | 케프케리와토 | u-akãin | u-apiá | i-ñãin | ba | pangue | xatéte | sete-pangue |
몬데어 | 몬데 | a-ndará | u-nanimbé | u-im | amba-bé | amakim | parasherám | paiwutwuy |
사나마이카어 | 몬데 | hũ-ndáa | nambiap | h'-ĩn | hũ-mábé | mún | palisharú | waikun |
알루아어 | 몬데 | pan-at | pan-itiwä | pan-yĩn | pan-awä | miːn | busá | wauːm |
디그토어 | 몬데 | pan-dát | ním-piab | nĩ | babé | |||
알라시어 | 몬데 | sham-yaküb | shon-yain | bu |
언어 | 언어 그룹 | 여성 | 물 | 불 | 돌 | 옥수수 | 맥 |
---|---|---|---|---|---|---|---|
투피어 | 투피 | kuñá | ü | tatá | itá | abai | tapüíra |
투피남바어 | 투피 | kuñá | ü | tatá | itá | auvati | tapirusu |
포티구아라어 | 투피 | kuña | üü | tataː | itaː | ||
니엥가투어 | 투피 | kuñan | üüg | tatá | itá | auati | tapira |
과라니어 | 과라니 | kuñá | ü | tatá | itá | avatí | tapií |
아파포쿠바어 | 과라니 | kuña | ü | tatá | |||
치리파어 | 과라니 | ü | tata | avati | mborevi | ||
카잉구아어 | 과라니 | koñá | ü | tatá | itá | avachi | mborevi |
무비하어 | 과라니 | kuña | ü | tatá | itá | avachi | tapií |
카노에이로스어 | 과라니 | uainvi | üg | itá | avashi | ||
셰타어 | 과라니화 | kuñá | ü | tată | itá | avachi | tapi |
남부 도라도스어 | 과라니화 | koːña | hoːñe | agel'á | iːtá | nutya | telaːgoi |
과야키어 | 과라니화 | kuña | ü | dadá | itá | waté | mberevi |
타피라페어 | 타피라페 | kudzá | ü | tatá | itá | awachí | tapiíra |
카마유라어 | 카마유라 | kuña | ü | tata | ita | avatsi | tapiít |
아위티어 | 카마유라 | kuñá | ü | tara | ita | avachi | tapií |
아난베어 | 파라 | kuña | ü | tata | ita | awat | tapiri |
타쿠냐페어 | 파라 | kuñá | tatá | ika | tapií | ||
과자자라어 | 북부 | kuñã | ü | tatá | itá | awachí | tapiíra |
템베어 | 북부 | kuzá | ü | tatá | itá | awachi | tapihir |
마나제어 | 북부 | kuyi | ü | tatá | itá | awachí | tapihi |
투리과라어 | 북부 | kuñá | üa | tatá | itá | awachi | tapiíra |
카아포르어 | 북부 | kuza | üg | tata | itá | tapira | |
마키리어 | 중부 I | kuñá | ih | tatá | avatí | tapiít | |
카야비어 | 중부 I | kuñá | auü | tatá | uachi | ||
카와히브어 | 중부 I | kuñá | ü | tatá | abachi | tapiít | |
팔린틴틴어 | 중부 II | kuñá | iü | tatá | itakí | avaté | tapiíd |
위라페도어 | 중부 II | kuñá | üü | tatá | itá | abasí | tapiít |
타쿠와티프어 | 중부 II | kuñá | üa | tatá | abatí | tapi | |
다와히브어 | 중부 II | kunya | üü | tatá | itá | tapiíra | |
카투키나르어 | 중부 II | uhehü | |||||
오야피어 | 기아나 | nimene | heː | tata | ita | abati | tapiira |
에메리론어 | 기아나 | waimid | ih | tata | auasi | ||
아피아카어 | 기아나 | koñá | ih | tatar | ita | auasi | tapüra |
오마구아어 | 아마조나스 | uainú | úni | táta | itáke | awáti | tapíra |
코카마어 | 아마조나스 | wáina | úni | táta | itáki | abati | tapíra |
코카밀라어 | 아마조나스 | wáina | úni | dzata | idzáki | awáchi | tapíra |
치리그아노어 | 치리그아노 | kúña | ü | tatá | itá | avatí | mboreví |
과라요어 | 치리그아노 | kuñá | ü | tatá | itá | avatí | mborevi |
파우셀나어 | 치리그아노 | ekúre | ü | tatá | itá | ahuati | |
타피에테어 | 치리그아노 | tapipé | ö | tata | itakí | oati | orebi |
차네어 | 치리그아노 | arekóva | ü | tatá | íta | avatí | boreví |
시리오노어 | 치리그아노 | kuña | ine | tatén | ita | ibashi | eãnkwãntoy |
조카어 | 치리그아노 | etú | in | tatá | yiwit | yuáshi | ngitíd |
유르나어 | 유르나 | kuñá | iyá | ashí | koapá | makatí | tõá |
시파야어 | 유르나 | uamiá | iyá | ashí | kuapasá | makati | masaká |
마니차우아어 | 유르나 | kuñá | hidarú | hadzú | ita | maidzú | |
문두루쿠어 | 문두루쿠 | awiyá | hü | tasha | witáa | muirará | piho |
크루아야어 | 문두루쿠 | áu | ü | titi | wítaʔa | mára | bíu |
마웨어 | 마웨 | oñañá | üü | äria | no | awatí | wewató |
이토가프쿠어 | 이토가프쿠 | mapái | ichi | chaná | iyá | nayá | iti |
라마라마어 | 이토가프쿠 | mapoia | utii | tianá | iá | nanian | nató |
울미어 | 이토가프쿠 | shamon | noiábá | ||||
울크어 | 이토가프쿠 | vochái | ichí | chaná | yáa | náya | natoː |
아라라어 | 이토가프쿠 | ||||||
아리케무어 | 아리케무 | uspára | esé | somi | isoá | ngiyó | iruba |
카리티아나어 | 아리케무 | bisam | seː | isoː | pomo | irípo | |
마크라프어 | 마크라프 | arapíñam | ihi | ucha | éki | atiti | yahi |
카누아어 | 마크라프 | anamína | äkü | itaːtʔ | heːk | atsitsi | kwayatsu |
그라테가자어 | 마크라프 | anamina | iki | utaːt | äk | ||
카비시아나어 | 마크라프 | ikí | |||||
와요로어 | 마크라프 | aramirá | ögö | agukáp | äk | atití | ikuáit |
아피춤어 | 마크라프 | anamina | ügükap | äkügükab | äk | ||
투파리어 | 마크라프 | ãramĩrã | yü | koːbkaːb | äk | opab | takara |
케프케리와토어 | 케프케리와토 | buhi | amãni | garämbi | ok | zyaoːpá | uíto |
몬데어 | 몬데 | manzet | ü | kaing | ek | maikeː | uasá |
사나마이카어 | 몬데 | chipakchí | ü | kaːi | ä | maʔä | waːsaː |
알루아어 | 몬데 | ü | kaʔin | äk | |||
디그토어 | 몬데 | manzéyã | ipáva | pokáing | dzáb | máinkin | wachá |
알라시어 | 몬데 | mansät | ü | kain | äk |
참조
[1]
간행물
'‘Ge–Pano–Carib’ X ‘Jê–Tupí–Karib’: sobre relaciones lingüísticas prehistóricas en Sudamé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dad Ricardo Palma, Facultad de lenguas modernas
2000
[2]
서적
Tupían
https://books.google[...]
De Gruyter Mouton
2012
[3]
논문
A preliminary reconstruction of proto-Maweti-Guarani segmental phonology
2015
[4]
학위논문
Estudo arqueo-ecolinguístico das terras tropicais sul-americanas
http://www.etnolingu[...]
2016
[5]
학술지
Genealogical relations and lexical distances within the Tupian linguistic family
https://www.museu-go[...]
[6]
서적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UCLA Latin American Center
[7]
서적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UCLA Latin American Center
[8]
서적
Tupían
De Gruyter Mouton
2012
[9]
논문
A preliminary reconstruction of proto-Maweti-Guarani segmental phonology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