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퉁화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퉁화 사건은 1946년 2월, 만주 퉁화시에서 발생한 일본인 봉기와 그 이후의 학살 사건을 의미한다. 1945년 일본의 항복과 만주국의 붕괴 이후 퉁화는 소련군과 중국 공산당의 통제를 받으며 혼란스러운 상황에 놓였다. 일본인들은 중국 공산당의 억압적인 정책과 소련군의 만행에 시달렸으며, 이에 반발하여 봉기를 일으켰으나 진압당했다. 봉기 이후 수많은 일본인이 학살당했으며, 이 사건은 제국주의와 민족 갈등의 비극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퉁화 사건 - 조선의용군
    조선의용군은 1937년 중국 우한에서 조선민족전선연맹 산하 항일 무장단체로 창설되어 중국 공산당과 협력하여 항일 활동을 전개했으며, 해방 후 일부는 북한 인민군에 편입되어 한국 전쟁에 참여했다.
  • 퉁화 사건 - 완룽
    다우르족 출신인 완룽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의 황후였으나, 정략결혼과 불행한 삶, 아편 중독, 수감 생활 끝에 사망했다.
  • 1946년 2월 - 베트남 전쟁 (1945년~1946년)
    베트남 전쟁 (1945년~1946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약화된 틈을 타 베트남의 독립을 추구하는 베트민과 프랑스, 연합군 간의 초기 분쟁으로, 북위 16도선 분할 점령과 프랑스의 재진주 시도, 베트민의 저항, 하노이 전투를 거쳐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 1946년 2월 - 1946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1946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르헨티나에서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칠레, 볼리비아 총 6개국이 참가한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아르헨티나가 우승했으며, 호세 마리아 메디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퉁화 사건
사건 개요
이름통화 사건
다른 이름2·3 사건
발생 위치중국 지린성 퉁화 시
날짜1946년 2월
원인국민당의 지원을 받은 반란
목표퉁화 시의 장악 및 공산당 정부 전복 시도
공격 유형무장 반란, 대량 학살
사망자 수1000 ~ 3000명 (주로 일본인)
가해자국민당의 지원을 받은 반란군
일부 중국 민간인
동기공산당 정부에 대한 반감, 외국인 혐오, 경제적 불만
배경
일본의 패망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만주 지역의 정치적 혼란
국민당과 공산당의 갈등중국 내전 상황 속에서 만주 지역을 두고 벌인 양측의 세력 다툼
퉁화 시의 상황일본인 거주민과 중국인 간의 복잡한 관계, 경제적 어려움
사건 경과
반란의 시작1946년 2월 초, 국민당의 지원을 받은 반란군이 퉁화 시에서 봉기
주요 공격 대상공산당 정부 기관, 군 시설, 공산당원, 일본인 거주민
진압 과정공산당 군대가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유혈 사태 발생
일본인 희생반란군과 일부 중국 민간인에 의해 많은 일본인들이 학살당함
사건의 영향
정치적 영향공산당 정부의 권력 강화, 국민당 세력 약화
사회적 영향일본인 사회의 붕괴, 중국인과 일본인 간의 관계 악화
역사적 논쟁사건의 책임 소재, 사망자 수, 역사적 의미 등에 대한 논쟁 지속
관련 정보
같이 보기통주 사건

2. 배경

1945년 8월, 일본의 항복만주국의 붕괴 이후 퉁화시는 지역 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많은 수의 피난민이 유입되었다.[74] 퉁화시는 붉은 군대에 항복했지만 명목상으로는 동북 민주 연합군에 의해 통제되었다.[74] 중소 우호 동맹 조약에 따라 소련의 지배 지역에서 중국 공산당 (CCP)에 대한 소련의 지원은 금지되었지만, 동북 민주 연합군은 CCP의 제8로군의 ''사실상'' 부대였다.

종전 전부터 반일 운동의 지하 공작이 전 만주에 퍼져 있었고, 국민당·공산당 모두 통화에 침투해 있었다.[10] 원래 만주에서는 일본과 일본군의 남방에서의 싸움을 위해 전토에서 식량의 공출 할당이 강제적으로 부과되었고, 정작 생산한 농민에게는 콩깻묵이 배급되었으며, 그것도 일본인 우선으로 만주인·조선인은 뒷전으로 밀려나는 상황이었다.[10] 현지인의 분노가 높아진 상황에서, 관동군은 소련군에게 넘겨주는 것보다는 옷이나 담요를 일본인에게만 분배한 후, 모여든 중국인들 앞에서 소각하는 일도 벌어졌다.[14]

1945년 8월 말, 소련 군인들이 퉁화 여자 고등학교를 반복적으로 습격하여 학생과 교사들을 강간하고 납치, 살해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74] 집단 강간은 거리에서 대낮에도 일어났다고 전해지며, 한 소련 장교는 동료 군인들을 막으려다 사살되기도 했다.[74] 일본 난민들은 주로 여성의 머리를 삭발하고, 피부에 흙과 기름을 바르고, 일반 옷 대신 저장 가방을 입는 것으로 대응했다.[74]

1945년 8월 13일에는 일본 민간인 난민이 가득 찬 기차가 터널 입구 근처에서 멈춰 서고, 일본 여성들이 집단 강간당하는 소산고쿠 사건소산고쿠 사건/小山克事件일본어이 발생했다.[74] 이 사건에는 아이들이 창밖으로 던져져 죽었고, 100명 이상의 일본 여성들이 근처 절벽에서 뛰어내려 자살했으며, 탈출하려는 사람들을 향해 폭도들이 총을 쏘는 사건도 포함되었다.[74] 소산고쿠 사건의 생존자들 중 많은 수가 퉁화 난민 캠프의 거주민이 되었고, 이후 퉁화 사건의 희생자가 되었다.[74]

1945년 9월 22일, CCP 산하 부대가 퉁화에서 국민당 부대를 몰아냈다.[74] 11월 2일까지, CCP의 도시에 대한 입지는 충분히 굳어져서 도시 본부 위에 붉은 깃발이 게양되었다.[74] 11월 초, 일본계 소유의 모든 재산이 압수되었고 15세에서 60세 사이의 모든 일본 남성은 노동대에 강제로 합류하게 되었다.[74] 11월 17일부터 CCP 부대는 무기를 찾기 위해 일본 가정을 임의로 습격하고 성별이나 나이에 관계없이 마주치는 사람들을 노동대에 징집했다.[74]

1946년 1월 21일, 스가와라 타츠로 통화성 차장, 카와우치 료 통화현 부현장 등 고위 일본 민간 지도자들이 중국 공산당군에 의해 공개 처형되었다.[45] 온화하고 신뢰가 두터워 중국인들에게 평판이 좋았던 카와우치 부현장의 총살은 일본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46][47]



[[File:Japanese_Instrument_of_Surrender_September_1945.jpg|thumb|220px|중화민국에 항복하는 일본군(1945년 9월)

2. 1. 만주국의 붕괴와 퉁화의 상황

1945년 8월, 일본의 항복만주국의 붕괴 이후 퉁화시는 지역 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많은 수의 피난민이 유입되었다.[74] 퉁화시는 붉은 군대에 항복했지만 명목상으로는 동북 민주 연합군에 의해 통제되었다.[74] 중소 우호 동맹 조약에 따라 소련의 지배 지역에서 중국 공산당 (CCP)에 대한 소련의 지원은 금지되었지만, 동북 민주 연합군은 CCP의 제8로군의 ''사실상'' 부대였다.

종전 전부터 반일 운동의 지하 공작이 전 만주에 퍼져 있었고, 국민당·공산당 모두 통화에 침투해 있었다.[10] 원래 만주에서는 일본과 일본군의 남방에서의 싸움을 위해 전토에서 식량의 공출 할당이 강제적으로 부과되었고, 정작 생산한 농민에게는 콩깻묵이 배급되었으며, 그것도 일본인 우선으로 만주인·조선인은 뒷전으로 밀려나는 상황이었다.[10] 현지인의 분노가 높아진 상황에서, 관동군은 소련군에게 넘겨주는 것보다는 옷이나 담요를 일본인에게만 분배한 후, 모여든 중국인들 앞에서 소각하는 일도 벌어졌다.[14]

1945년 8월 말, 소련 군인들이 퉁화 여자 고등학교를 반복적으로 습격하여 학생과 교사들을 강간하고 납치, 살해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74] 집단 강간은 거리에서 대낮에도 일어났다고 전해지며, 한 소련 장교는 동료 군인들을 막으려다 사살되기도 했다.[74] 일본 난민들은 주로 여성의 머리를 삭발하고, 피부에 흙과 기름을 바르고, 일반 옷 대신 저장 가방을 입는 것으로 대응했다.[74]

1945년 8월 13일에는 일본 민간인 난민이 가득 찬 기차가 터널 입구 근처에서 멈춰 서고, 일본 여성들이 집단 강간당하는 소산고쿠 사건소산고쿠 사건/小山克事件일본어이 발생했다.[74] 이 사건에는 아이들이 창밖으로 던져져 죽었고, 100명 이상의 일본 여성들이 근처 절벽에서 뛰어내려 자살했으며, 탈출하려는 사람들을 향해 폭도들이 총을 쏘는 사건도 포함되었다.[74] 소산고쿠 사건의 생존자들 중 많은 수가 퉁화 난민 캠프의 거주민이 되었고, 이후 퉁화 사건의 희생자가 되었다.[74]

1945년 9월 22일, CCP 산하 부대가 퉁화에서 국민당 부대를 몰아냈다.[74] 11월 2일까지, CCP의 도시에 대한 입지는 충분히 굳어져서 도시 본부 위에 붉은 깃발이 게양되었다.[74] 11월 초, 일본계 소유의 모든 재산이 압수되었고 15세에서 60세 사이의 모든 일본 남성은 노동대에 강제로 합류하게 되었다.[74] 11월 17일부터 CCP 부대는 무기를 찾기 위해 일본 가정을 임의로 습격하고 성별이나 나이에 관계없이 마주치는 사람들을 노동대에 징집했다.[74]

1946년 1월 21일, 스가와라 타츠로 통화성 차장, 카와우치 료 통화현 부현장 등 고위 일본 민간 지도자들이 중국 공산당군에 의해 공개 처형되었다.[45] 온화하고 신뢰가 두터워 중국인들에게 평판이 좋았던 카와우치 부현장의 총살은 일본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46][47]

2. 2. 소련군과 중국 공산당의 진주

1945년 8월, 소련군퉁화에 진주하면서 일본인들은 강간, 폭행, 약탈 등의 위협에 직면했다.[26] 특히 소련군에 의한 일본 여성 강간은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일본인 거류민회는 소련군 사령부에 고충을 호소했지만, 단속의 대가로 일본인 여성을 위안부로 제공해야 했다.[27] 이러한 상황은 일본 여성들이 삭발을 하고 외출을 자제하는 등 극심한 공포를 야기했다.[26]

한편, 중소 우호 동맹 조약에도 불구하고 중국 공산당(CCP) 소속 동북 민주 연합군이 퉁화를 장악했다.[3] 이들은 일본인 소유 재산을 몰수하고, 15세에서 60세 사이의 일본 남성을 노동대에 강제 동원하는 등 억압적인 정책을 시행했다.[34] 또한, 11월 2일에는 17,000명이 넘는 일본인들에게 수용 능력이 부족한 구 관동군 사령부(남대영)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내려 일본인들의 고통을 가중시켰다.[34]

당시 퉁화에는 이홍광 지대 등 주로 조선족으로 구성된 조선인 부대가 활동하고 있었다.[3] 이들은 팔로군 또는 동북민주연군으로 불렸으며, 일본 제국 육군 출신도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3] 이들은 일본인에 대한 반감이 강해 약탈 등의 행위를 자행했다는 기록이 있다.[32]

1945년 8월 20일에는 아시아계 병사 2명이 퉁화 고등여학교에 침입하여 여학생을 연행하려다 교사들의 저항으로 실패하고, 여성 교사가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5][16][17][19] 다음 날에도 같은 병사들이 침입하여 여학생과 금품을 요구하다 교사에게 사살당하는 등, 소련군과 관련된 폭력 사건이 끊이지 않았다.[20][21]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퉁화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에게 극심한 혼란과 고통을 안겨주었으며, 이후 발생할 퉁화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

3. 일본인의 봉기

1946년 2월 2일, 마에다 미쓰시게/前田光繁일본어로부터 퉁화의 중국 공산당(CCP) 사무실로 난민 수용소에서 계획된 반란에 관한 전화가 걸려왔다.[48] 체포, 고문이 수반된 심문, 그리고 처형이 즉시 이어졌다. 특히 1월 10일에 체포된 모든 일본인들은 즉시 총살되었으며, 이리고(Ri Koko) 부대가 특히 잔혹하게 이 일에 관여했다.[48] 1월 10일 사건 이후, 전 관동군 관계자들이 봉기한다는 유언비어가 퍼졌다. 계획은 중화민국 정부 여당인 국민당원과 전 재향 군인 등에 의해 세워졌다.[48]

2월 3일 자정, 일본 반란은 중국 국민당과의 합의에 따라 시작되었다. 비록 초기에 선양의 중국 국민당군으로부터 지원을 받기로 계획되었지만, 장비 고장으로 인해 반란 연기 라디오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다. 그 결과, 삽과 곤봉, 소수의 칼이나 소총으로 무장한 수백 명의 일본인 공격자들은 중국 공산당 본부 안팎의 매복 위치에서 기관총 사격을 받아 궤멸되었다. 비행장에서의 반란은 시작되기 전에 좌절되었다. 세 차례의 반란 공격 중, 공안 건물 내 완룽 황후의 아파트를 장악하려는 공격만이 성공했다.

공안 건물은 곧 중국 공산당 증원군에 의해 포위되고 포격을 받았다. 중화기를 갖추지 못한 일본 반란군은 항복했다.

3. 1. 봉기의 원인과 계획

1946년 2월 2일, 마에다 미쓰시게(Mitsushige Maeda)로부터 퉁화의 중국 공산당(CCP) 사무실로 난민 수용소에서 계획된 반란에 관한 전화가 걸려왔다. 체포, 고문이 수반된 심문, 그리고 처형이 즉시 이어졌다. 특히 1월 10일에 체포된 모든 일본인들은 즉시 총살되었으며, 이리고(Ri Koko) 부대가 특히 잔혹하게 이 일에 관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동군 군인이 중화민국 정부와 손을 잡고 팔로군을 몰아낸다"라는 유언비어가 퍼져나갔다. 일본인과 국민당 계열 중국인 모두 이 소문을 믿었다. 그리고 그 군인은 "수염 난 참모"로 불렸고, 이후 행방불명된 후지타 사네히코 대좌로 지목되었다.
후지타 사네히코
후지타 대좌는 종전 후, 무장 해제를 기다리지 않고 사단을 떠나, 초췌한 모습으로 가족과 함께 통화를 떠나 스런전(石人镇, 당시에는 스런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지린성바이산 시의 일부)에 잠복해 있었다.

2월 3일 자정, 일본 반란은 중국 국민당과의 합의에 따라 시작되었다. 비록 초기에 선양의 중국 국민당군으로부터 지원을 받기로 계획되었지만, 장비 고장으로 인해 반란 연기 라디오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다. 그 결과, 삽과 곤봉, 소수의 칼이나 소총으로 무장한 수백 명의 일본인 공격자들은 중국 공산당 본부 안팎의 매복 위치에서 기관총 사격을 받아 궤멸되었다. 비행장에서의 반란은 시작되기 전에 좌절되었다. 세 차례의 반란 공격 중, 공안 건물 내 완룽 황후의 아파트를 장악하려는 공격만이 성공했다.

공안 건물은 곧 중국 공산당 증원군에 의해 포위되고 포격을 받았다. 중화기를 갖추지 못한 일본 반란군은 항복했다.

3. 2. 봉기의 전개와 진압

2월 2일, 정오가 지나 린 소좌는 봉기 정보를 마에다 미쓰시게에게 전화로 전달했고[49], 마에다는 중국인 정치 위원인 황내일을 통해 항공총대대장인 주루이(zh)에게 보고했다.[49] 같은 시각, 후지타 대좌의 작전 사령서를 가진 중화민국 정부의 공작원 2명이 체포되었고, 류시위안 중국공산당군 사령관 입회 하에 심문이 이루어졌다.[50] 공작원은 고문을 가해도 입을 열지 않았지만, 일본어 사령서는 마에다에 의해 번역되었고, 저녁 무렵에는 중국공산당군이 긴급 배치를 했다.[50]

2월 3일 자정, 일본 반란은 중국 국민당과의 합의에 따라 시작되었다. 비록 초기에 선양의 중국 국민당군으로부터 지원을 받기로 계획되었지만, 장비 고장으로 인해 반란 연기 라디오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다. 그 결과, 삽과 곤봉, 소수의 칼이나 소총으로 무장한 수백 명의 일본인 공격자들은 중국 공산당 본부 안팎의 매복 위치에서 기관총 사격을 받아 궤멸되었다. 비행장에서의 반란은 시작되기 전에 좌절되었다. 세 차례의 반란 공격 중, 공안 건물 내 완용 황후의 아파트를 장악하려는 공격만이 성공했다.

시바타 등은 심야에 병원을 빠져나와 변전소를 점거했다. 오전 4시에 전등을 3번 점멸시키는 것을 신호로 봉기가 시작되었다. 봉기한 일본인에게는 약간의 소총과 칼이 있을 뿐이며, 대부분은 곤봉이나 삽 등으로 무장하고 있었고, 봉기 성공 후 적에게서 무기를 빼앗을 예정이었다.

일본인은 중대 단위로 나뉘어 시내의 중국 공산당 측 거점을 습격했다. 사토가 이끄는 제1중대는 전원공서(專員公署)를 공격했으나, 대기하고 있던 팔로군의 기관총과 수류탄에 의해 차례차례 쓰러졌다.[53] 사토 이하 10명이 건물에 침입하여, 1월 10일 사건에서 연행된 일본인이 수감되어 있는 감옥에 도착했지만, 기다리고 있던 기관총에 의해 사살되었고, 제1중대는 괴멸, 사토는 체포되었다.[54] 감옥 안의 일본인 140명도 중국 공산군 측의 일제 사격에 의해 거의 전원이 사살되었다.[54]

아베가 이끄는 제2중대는 중공군 사령부의 룽취안 호텔을 습격했지만, 기다리고 있던 중국 공산당군의 공격으로 건물에 접근하기 전에 괴멸되었다.[54]

나카야마 기쿠마츠가 이끄는 유격대는 공안국 (일본의 경찰에 해당)에 감금되어 있는 완용황후· 호 황제비· 황녀 코세이 (황제 푸제의 차녀)[56]를 비롯한 만주국 황실의 구출을 위해 공안국을 점거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곧 공안국은 팔로군에 포위되어, 기관총과 대포에 의한 포격이 가해졌다.[58] 유격대는 쓰러졌고, 황후를 지키려던 만주국 황제아이신교로 푸이의 유모도 포격으로 손목이 날아가, 과다 출혈로 사망했다.[59][60]

공안 건물은 곧 중국 공산당 증원군에 의해 포위되고 포격을 받았다. 중화기를 갖추지 못한 일본 반란군은 항복했다.

4. 봉기 이후의 상황

1946년 2월 3일 아침, 16세 이상의 모든 일본인 남성과 의심되는 여성들은 영하 20도의 추위 속에서 15km를 행진해야 했다. 지쳐 쓰러지거나 부상당한 사람은 총살당했다.[65][66][67][68] 약 3,000명의 일본인 남녀는 낡은 창고에 수용되었으며, 1제곱미터당 5명씩 빽빽하게 들어찼다. 많은 사람들이 산소 부족으로 발작을 일으켰고, 창문을 통해 탈출하려는 사람은 총에 맞았다.[76] 바닥은 피바다가 되었고, 사람들은 서서 죽어갔다. 창고에 들어가지 못한 약 2,000명의 민간인들은 근처에서 총살당했다.[74]

5일간의 감금 후, 생존자들은 걸어 나오도록 허용되었지만, 조선의용군 소속 리코코(리고코) 부대 경비병들에게 맞아 죽었다. 중국 공산당(CCP)은 신속한 심문과 고문을 실시했고, 반란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된 사람들은 총살당했다.[70] 많은 일본 여성들이 강간을 당하거나 자살했다.[81]

구속된 일본인들은 옛 요릿집이었던 신팔로군 본부나 구 운송 회사 사택 등의 건물 각 방에 밀어 넣었다.[74] 전원 공서에서는 8조 정도의 방에 120명이 억지로 밀어 넣어져 몸을 전혀 움직일 수 없었고, 대소변을 흘린 채 5일 동안 서 있는 상태로 있었다.[75] 억류 중에는 산소 부족으로 "입을 뻐끔거리는 사람들"이나, 정신 이상을 일으켜 소리를 지르는 자들이 속출했지만, 그때마다 창문 밖으로 총격을 가해 창가에 있는 사람이 살해되었다.[76] 살해된 자는 서 있는 자세로 방치되거나, 다른 억류자의 발밑에 밟판으로 사용되었다.[74]

구속 5일 후, 조선인민의용군의 병사들에게 곤봉으로 구타당하고, 고문과 겨울의 추위 속에서 열악한 환경에 방치되어 동상이나 질병으로 죽는 사람도 많이 발생했다.[83] 중국 공산당 군의 고문과 심문 후, 혐의가 굳어지면 인민 재판 형태로 처형이 결정되거나, 빈터나 얼어붙은 훈강(압록강의 지류) 위로 끌려 나와 즉결 처형되었다.[77]

봉기에서의 전투, 봉기 계획에 관여하지 않은 일반 시민의 처형, 열악한 환경에서의 구금에 의한 병사·동사를 포함하여, 적게는 800명, 많게는 2천 명~3천 명이 살해되었다고 한다.[74] 신주쿠의 평화 기념관 자료에는 2천에서 3천 명의 희생자가 나왔다는 증언이 수록되어 있다.[82]

중국 국민당이 임명한 지역 지사였던 쑨겅샤오/孫耕暁일본어는 일본 반란 지도자들과 함께 중국 공산당에 의해 공개적으로 매를 맞아 죽었다. 퉁화 사건의 일본 지도자였던 후지타 다네히코/藤田実彦일본어는 1946년 3월 15일 폐렴으로 감옥에서 사망했다. 1월 10일 사건 이후, 전 관동군 관계자들이 봉기한다는 유언비어가 퍼졌다. 이 봉기 계획은 중화민국 정부 여당인 국민당원과 전 재향 군인 등에 의해 세워졌다.[48]

4. 1. 일본인 탄압

1946년 2월 3일 아침, 16세 이상의 모든 일본인 남성과 의심되는 여성들은 영하 20도의 추위 속에서 15km를 행진해야 했다. 지쳐 쓰러지거나 부상당한 사람은 총살당했다.[65][66][67][68] 약 3,000명의 일본인 남녀는 낡은 창고에 수용되었으며, 1제곱미터당 5명씩 빽빽하게 들어찼다. 많은 사람들이 산소 부족으로 발작을 일으켰고, 창문을 통해 탈출하려는 사람은 총에 맞았다.[76] 바닥은 피바다가 되었고, 사람들은 서서 죽어갔다. 창고에 들어가지 못한 약 2,000명의 민간인들은 근처에서 총살당했다.[74]

5일간의 감금 후, 생존자들은 걸어 나오도록 허용되었지만, 리코코 부대 경비병들에게 맞아 죽었다. 중국 공산당(CCP)은 신속한 심문과 고문을 실시했고, 반란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된 사람들은 총살당했다.[70] 많은 일본 여성들이 강간을 당하거나 자살했다.[81]

구속된 일본인들은 옛 요릿집이었던 신팔로군 본부나 구 운송 회사 사택 등의 건물 각 방에 밀어 넣었다.[74] 전원 공서에서는 8조 정도의 방에 120명이 억지로 밀어 넣어져 몸을 전혀 움직일 수 없었고, 대소변을 흘린 채 5일 동안 서 있는 상태로 있었다.[75] 억류 중에는 산소 부족으로 "입을 뻐끔거리는 사람들"이나, 정신 이상을 일으켜 소리를 지르는 자들이 속출했지만, 그때마다 창문 밖으로 총격을 가해 창가에 있는 사람이 살해되었다.[76] 살해된 자는 서 있는 자세로 방치되거나, 다른 억류자의 발밑에 밟판으로 사용되었다.[74]

구속 5일 후, 조선인민의용군의 병사들에게 곤봉으로 구타당하고, 고문과 겨울의 추위 속에서 열악한 환경에 방치되어 동상이나 질병으로 죽는 사람도 많이 발생했다. 죽음을 면한 사람들 중에도 불구자나 폐질을 입은 자가 많았다.[83] 중국 공산당 군의 고문과 심문 후, 혐의가 굳어지면 인민 재판 형태로 처형이 결정되거나, 빈터나 얼어붙은 훈강(압록강의 지류) 위로 끌려 나와 즉결 처형되었다.[77]

봉기에서의 전투, 봉기 계획에 관여하지 않은 일반 시민의 처형, 열악한 환경에서의 구금에 의한 병사·동사를 포함하여, 적게는 800명, 많게는 2천 명~3천 명이 살해되었다고 한다.[74] 신주쿠의 평화 기념관 자료에는 2천에서 3천 명의 희생자가 나왔다는 증언이 수록되어 있다.[82]

4. 2. 희생자 규모와 관련된 논란

1946년 2월 3일까지 16세 이상의 모든 일본인 남성과 여성들은 영하 20°C의 추운 날씨 속에 15km를 행진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지쳐 쓰러지거나 부상당한 사람들은 총살당했다. 약 3,000명의 일본인 남녀가 낡은 창고에 수용되었는데, 1제곱미터당 5명씩 빽빽하게 들어찬 열악한 환경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산소 부족으로 발작을 일으켰고, 창문을 통해 탈출하려는 사람은 총에 맞았다. 창고에 들어가지 못한 약 2,000명의 민간인들은 근처에서 총살당했다.

5일간의 감금 후, 생존자들은 걸어 나오도록 허용되었지만, 리코코 부대 경비병들에게 맞아 죽었다. 중국 공산당은 신속한 심문과 고문을 실시했고, 반란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된 사람들은 총살당했다. 또한 많은 일본 여성들이 강간을 당하거나 자살했다.

중국 국민당이 임명한 지역 지사였던 쑨겅샤오/孫耕暁일본어는 일본 반란 지도자들과 함께 중국 공산당에 의해 공개적으로 매를 맞아 죽었다. 퉁화의 일본 지도자였던 후지타 다네히코/藤田実彦일본어는 1946년 3월 15일 폐렴으로 감옥에서 사망했다.

4. 3. 조선인 부대의 역할

1946년 2월 3일까지 16세 이상의 모든 일본인 남성과 의심되는 여성들은 쇠사슬에 묶여 영하 20도의 날씨에 15km를 행진해야 했다. 지쳐 쓰러지거나 부상당한 사람은 총살당했다. 약 3,000명의 일본인 남녀가 낡은 창고에 수용되었으며, 1제곱미터당 5명씩 빽빽하게 들어찼다. 많은 사람들이 산소 부족으로 발작을 일으켰고, 창문을 통해 탈출하려는 사람은 총에 맞았다. 바닥은 피바다가 되었고, 사람들은 서서 죽어갔다. 창고에 들어가지 못한 약 2,000명의 민간인들은 근처에서 총살당했다.

5일간의 감금 후, 생존자들은 걸어 나오도록 허용되었지만, 리 코코(리고코) 부대 경비병들에게 맞아 죽었다. 중국 공산당은 신속한 심문과 고문을 실시했고, 반란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된 사람들은 총살당했다. 또한 많은 일본 여성들이 강간을 당하거나 자살했다.

5. 사건의 여파와 역사적 의미

1946년 말, 국민당은 퉁화를 점령하고 반란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식을 거행했다. 1947년 공산당이 이 도시를 다시 점령했다.[120]

몬다 타카마사는 1984년, 미개방 지역이었던 퉁화에 인민복 차림으로 잠입하여, 사건으로 살해된 백부를 조문하기 위해 퉁화의 돌을 가져왔다고 진술했다[120]

후나토 요이치의 저서 『잔몽의 해골 만주국 연의』 시리즈의 클라이맥스는 퉁화 사건을 다루고 있다[121][122][123]

켄트 길버트는, 『석간 후지』의 칼럼에서 세계항일전쟁사실유호연합회에 의한 난징 대학살, 위안부 강제 연행 등의 허위 확산에 대한 전쟁 진실의 예시로 퉁화 사건을 통저우 사건, 황하 홍수 사건과 함께 예시하며 미국 내 허위 반일 선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행위를 단속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주장했다[124]。 퉁화 사건은 일제 강점기의 잔혹한 역사와 일본 제국의 만행을 보여주는 사례로, 일본 극우 세력의 역사 왜곡 시도에 맞서 진실을 알리는 데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5. 1. 국공 내전과 퉁화

1946년 말, 국민당은 퉁화를 점령하고 반란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식을 거행했다. 1947년 공산당이 이 도시를 다시 점령했다.

5. 2. 한반도에 미친 영향

1946년 말, 국민당은 퉁화를 점령하고 반란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식을 거행했다. 1947년 공산당이 이 도시를 다시 점령했다. 퉁화 사건은 한반도, 특히 북한 지역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건 이후 일본으로 귀환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과 어려움이 발생했다. 또한 퉁화 사건은 한국 사회에 역사적 교훈과 과제를 남겼다.

5. 3. 일본 사회의 반응과 기억

1946년 말, 국민당은 퉁화를 점령하고 반란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식을 거행했다. 1947년 공산당이 이 도시를 다시 점령했다.

몬다 타카마사는 1984년, 미개방 지역이었던 퉁화에 인민복 차림으로 잠입하여, 사건으로 살해된 백부를 조문하기 위해 퉁화의 돌을 가져왔다고 진술했다.

후나토 요이치의 저서 『잔몽의 해골 만주국 연의』 시리즈의 클라이맥스는 퉁화 사건을 다루고 있다.

켄트 길버트는, 『석간 후지』의 칼럼에서 세계항일전쟁사실유호연합회에 의한 난징 대학살, 위안부 강제 연행 등의 허위 확산에 대한 전쟁 진실의 예시로 퉁화 사건을 통저우 사건, 황하 홍수 사건과 함께 예시하며 미국 내 허위 반일 선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행위를 단속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주장했다.

5. 4. 중일 관계와 퉁화 사건

1946년 말, 국민당은 퉁화를 점령하고 반란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식을 거행했다. 1947년 공산당이 이 도시를 다시 점령했다. 몬다 타카마사는 1984년 미개방 지역이었던 퉁화에 인민복 차림으로 잠입하여, 사건으로 살해된 백부를 조문하기 위해 퉁화의 돌을 가져왔다고 진술했다. 후나토 요이치의 저서 『잔몽의 해골 만주국 연의』 시리즈의 클라이맥스는 퉁화 사건을 다루고 있다. 켄트 길버트는, 『석간 후지』의 칼럼에서 세계항일전쟁사실유호연합회에 의한 난징 대학살, 위안부 강제 연행 등의 허위 확산에 대한 전쟁 진실의 예시로 퉁화 사건을 통저우 사건, 황하 홍수 사건과 함께 예시하며 미국 내 허위 반일 선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행위를 단속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주장했다.

6. 진보적 관점에서의 평가와 교훈

6. 1. 제국주의와 민족 갈등의 비극

6. 2. 전쟁과 폭력의 희생자 추모

6. 3. 역사적 진실 규명과 화해

6. 4. 한국의 역할과 책임

참조

[1] 서적 出身地でわかる中国人 PHP研究所
[2] 서적 通化"二・三"事件 世界知識出版社
[3] 서적 少年は見た 通化事件の真実 新評論 1998-02-03
[4] 서적
[5] 서적 通化事件 新評論 1993-04-25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웹사이트 血泪山_百度百科 https://baike.baidu.[...] 百度百科 2022-02-23
[13] 웹사이트 石人血泪山万人坑 http://miyosi.webcro[...] 2022-02-21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뉴스 曠野に眠る亡き娘 豪放と、節制と ベスト電器・北田光男伝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 2012-07-18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女たちの太平洋戦争 朝日新聞社 1991-11-25
[30] 서적 赤い夕陽 満州電々追憶記集 「赤い夕陽」刊行会事務局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문서 松原 (2003)
[37] 문서 松原 (2003)
[38] 문서 佐藤 (1993)
[39] 문서 佐藤 (1993)
[40] 문서 山田 (1953)
[41] 서적 秘録大東亜戦史 下巻 富士書苑 1953-06-10
[42] 문서 佐藤 (1998)
[43] 문서 松原 (2003)
[44] 문서 松原 (2003)
[45] 문서 松原 (2003)
[46] 문서 佐藤 (1993)
[47] 문서 佐藤 (1998)
[48] 문서 松原전게서
[49] 문서 佐藤 (1993)
[50] 문서 佐藤 (1993)
[51] 문서 佐藤 (1993)
[52] 문서 佐藤 (1993)
[53] 문서 山田 (1953)
[54] 문서 山田 (1953)
[55] 문서 佐藤 (1998)
[56] 서적 流転の子 最後の皇女・愛新覚羅嫮生 中央公論新社
[57] 문서 愛新覚羅 (1992)
[58] 문서 愛新覚羅 (1992)
[59] 문서 愛新覚羅 (1992)
[60] 뉴스 血に染まった乳母の顔、銃弾・砲弾の嵐…西宮在住ラストエンペラー血族の回想「多くの人に守られ生かされた」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06-30
[61] 서적 流転の王妃の昭和史 主婦と生活社
[62] 문서 山田 (1953)
[63] 문서 松原 (2003)
[64] 문서 佐藤 (1993)
[65] 문서 佐藤 (1993)
[66] 문서 佐藤 (1993)
[67] 문서 佐藤 (1993)
[68] 문서 佐藤 (1993)
[69] 문서 佐藤 (1998)
[70] 문서 佐藤 (1993)
[71] 서적 松原 (2003)
[72] 서적 佐藤 (1993)
[73] 서적 松原 (2003)
[74] 웹사이트 我が子に伝えたい誇りある近代史 (社)日本青年会議所 新しい教科書づくり委員会 http://archives.jayc[...]
[75] 서적 山田 (1953)
[76] 서적 古川 (1984)
[77] 서적 愛新覚羅 (1992)
[78] 서적 佐藤 (1998)
[79] 서적 佐藤 (1998)
[80] 서적 佐藤 (1993)
[81] 서적 松原 (2003)
[82] 웹사이트 満州国の崩壊と通化事件 https://www.heiwakin[...] 平和祈念展示資料館 2022-03-05
[83] 서적 山田 (1953)
[84] 뉴스 1952-12-04
[85] 뉴스 1952-12-06
[86] 웹사이트 紙田治一 遺稿「ああ……悲劇の通化暴動事件!」 http://a-kamita.jp/k[...] Internet Archive 2022-03-14
[87] 서적 藤田大佐の最後 文芸春秋 1972-10-15
[88] 서적 佐藤 (1998)
[89] 서적 佐藤 (1993)
[90] 서적 佐藤 (1993)
[91] 서적 佐藤 (1998)
[92] 서적 松原 (2003), 佐藤 (1993)
[93] 서적 松原 (2003)
[94] 서적 佐藤 (1998)
[95] 서적 佐藤 (1998)
[96] 서적 古川 (1984)
[97] 서적 佐藤 (1993)
[98] 서적 佐藤 (1998)
[99] 웹사이트 証言集会:元731部隊 篠塚良雄さん(千葉) http://uketugukaiiwa[...] 撫順の奇蹟を受け継ぐ会岩手支部 2008-09-14
[100] 웹사이트 大村市政だより『満洲通化事件よる犠牲者遺族の方は申出を……』 http://www.city.omur[...] 大村市役所 1950-12-01
[101] 서적 佐藤 (1993)
[102] 서적 佐藤 (1993)
[103] 서적 佐藤 (1993)
[104] 웹사이트 かつて八路軍に参加した旧日本軍兵士の座談会 http://j.people.com.[...] 人民網 2005-09-05
[105] 서적 佐藤 (1993)
[106] 웹사이트 駐日大使館と日本民間4団体が「七七事変」77周年を共に記念 https://web.archive.[...] 2014-07-10
[107] 서적 佐藤 (1993)
[108] 서적 山田 (1953)
[109] 서적 松原 (2003)
[110] 서적 佐藤 (1993)
[111] 서적 佐藤 (1998)
[112] 서적 佐藤 (1993)
[113] 서적 佐藤 (1993)
[114] 서적 佐藤 (1993)
[115] 서적 松原 (2003)
[116] 서적 松原 (2003)
[117] 서적 佐藤 (1998)
[118] 서적 佐藤 (1993)
[119] 서적 佐藤 (1998)
[120] 블로그 反骨の女流作家の「死」 http://www.kadotaryu[...] 2011-02-24
[121] 뉴스 【著者に訊け】船戸与一 圧倒的スケールで描く『残夢の骸』 https://www.news-pos[...] 小学館 2015-03-05
[122] 뉴스 渾身のライフワークが10年の時をかけて完結――船戸与一著「満州国演義」全9巻(新潮社) http://toshoshimbun.[...] 図書新聞 2015-03-28
[123] 간행물 船戸与一『満州国演義』全九巻完結記念特集 〈正史〉と〈叛史〉をつむぐ、すさまじい力業 http://www.shinchosh[...] 新潮社 波 2015-03
[124] 뉴스 【ニッポンの新常識】米国は史実無視の「反日プロパガンダ工作機関」を取り締まるべきだ https://www.zakzak.c[...] 夕刊フジ 2015-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