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이츠 인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라이츠 인대는 샘창자와 빈창자를 나누는 경계로, 가로막에서 시작하여 식도 주변을 지나 샘빈창자굽이에 닿는 구조물이다. 해부학적 변이가 존재하며, 길이와 부착 부위가 다양하다. 기능적으로는 샘빈창자굽이의 각도를 증가시켜 창자 내용물의 이동을 돕는다. 발생학적으로는 중배엽에서 유래하며, 작은창자의 회전 시 구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임상적으로는 상부 위장관과 하부 위장관을 구분하는 랜드마크로, 창자회전이상 및 위창자간막동맥 증후군 진단에 활용된다. 1853년 바츨라프 트라이츠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몸통 근육 - 마름근
마름근은 등 상부에 위치한 큰마름근과 작은마름근으로 나뉘는 근육으로, 등뼈와 목뼈에서 시작하여 어깨뼈를 척추 방향으로 당기고 회전시켜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과 목의 움직임 및 자세 유지에 관여하며 등쪽어깨신경의 지배를 받아 승모근과 함께 어깨뼈를 안정적으로 지탱한다. - 몸통 근육 - 갈비사이근
갈비사이근은 갈비뼈 사이에 위치하여 호흡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 바깥갈비사이근, 속갈비사이근, 가장 안쪽 갈비사이근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흡기와 날숨을 돕고 늑간신경과 늑간 동맥의 지배 및 공급을 받으며 사각근 또한 일부로 분류되어 흡기에 관여한다. - 소화계 - 배변
배변은 대장의 연동운동, 직장의 작용, 항문 괄약근의 조절을 통해 체내 변을 항문으로 배출하는 생리적 과정으로, 배변 자세, 관련 질병, 사회문화적 요소, 심혈관계 합병증 위험 등과 관련된다. - 소화계 - 식도
식도는 소화계의 상부 기관으로, 입 뒤에서 시작하여 위까지 연결되며, 음식물 역류를 막고 삼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좋은 글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좋은 글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트라이츠 인대 | |
---|---|
개요 | |
![]() | |
![]() | |
라틴어 | musculus suspensorius duodeni, ligamentum suspensorium duodeni |
세부 정보 | |
이는 곳 | 복강동맥과 위창자간막동맥을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 |
닿는 곳 | 샘창자의 셋째, 넷째 부분, 샘빈창자굽이 |
계통 | 위장관계 |
신경 | 복강신경얼기, 위창자간막신경얼기 |
작용 | 음식물의 이동을 도움; 발생기에 장 회전이 일어날 때 빈창자를 고정함 |
2. 구조
샘창자와 빈창자는 작은창자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부분으로, 트라이츠 인대는 이 둘을 나누는 경계이다.[9] 가로막의 오른쪽 다리에서 시작하여 식도 주변을 지나 복강동맥 줄기와 위창자간막동맥 주변 결합조직으로 이어진다. 이자 뒤쪽을 지나 창자간막 위쪽으로 들어가 샘창자와 빈창자 사이 접합부인 샘빈창자굽이에 닿아,[10] 샘창자 근육층으로 연속된다.[17]
2. 1. 변이
트라이츠 인대는 길이와 근육이 붙는 곳에 대해 고려할 만한 해부학적 변이가 존재한다.[11] 고전적인 설명과 다르게 이 근육이 샘빈창자굽이(십이지장 공장 굴곡)에만 닿는 경우는 전체의 8% 정도이다. 훨씬 많은 40~60%에서는 샘빈창자굽이에 더해 샘창자(십이지장)의 셋째, 넷째 부분에도 닿으며, 20%의 사람들에게서는 아예 셋째, 넷째 부분에만 닿는다. 또한 서로 분리된 여러 부분에 붙는 경우도 흔하다.[17]몇몇 저자들은 트라이츠 인대를 두 부분으로 나누기도 한다. 첫 번째 부분은 인대 부분으로 오른쪽 가로막다리에 붙어 복강동맥과 위창자간막동맥을 둘러싸는 결합조직이다. 두 번째 부분은 결합조직에서 시작하여 샘창자에 닿는 아래쪽 근육 부분이다. 위쪽 부분은 Hilfsmuskel|힐프스무스켈d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0][11] 이 두 부분은 해부학적으로 구별되는 것으로 여겨지며, '걸이근'이라는 표현은 샘창자에 닿는 아래쪽 근육 부분만을 가리키기도 한다.[17][11]
3. 기능
트라이츠 인대는 가로막에서 시작된 골격근으로 된 얇은 띠와 샘창자의 수평 부분 및 오름 부분에서 나오는 섬유근육성의 평활근 띠로 구성된다. 트라이츠 인대가 수축하면 샘창자의 셋째와 넷째 부분에 연결되어 샘빈창자굽이의 각도가 넓어져 창자 안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17][12] 이러한 샘창자의 위치는 위의 내용물이 이자와 쓸개의 소화 효소에 의해 유미를 형성하도록 돕는다.[13]
4. 발생학
발생학적으로 트라이츠 인대는 중배엽에서 유래한다. 작은창자의 발생학적 회전 시에 위쪽에서 구조를 유지하는 띠 역할을 한다.[17][10]
5. 임상적 중요성
트라이츠 인대는 상부 위장관과 하부 위장관을 나누는 샘빈창자굽이의 중요한 해부학적 랜드마크이다. 예를 들어 토혈이나 흑색변(피가 섞인 대변 중 검게 보이는 것)은 대부분 상부 위장관에서 나오는 출혈이다. 반대로 혈변(밝은 빨간색의 피나 핏덩이가 보이는 대변)은 하부 위장관에서 나오는 출혈을 시사한다.[14][5] 특히 트라이츠 인대는 창자회전이상을 관찰하는 데에 중요한 랜드마크이다. 창자회전이상은 구토가 재발하는 어린이들한테서 종종 의심할 수 있는 증후군이다. 방사선 사진에서 트라이츠 인대의 정상적인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어린이의 창자회전이상을 배제하는 데에 중요하다. 창자회전이상이 존재한다면 트라이츠 인대가 비정상적으로 위치한다.[11][3]
이자, 샘창자, 빈창자 일부를 제거하는 이자샘창자절제술은 췌장암 치료에 흔히 시행된다. 이때 트라이츠 인대는 샘창자에서 떼어 내어져 보존된다. 빈창자의 남은 부분을 위의 날문과 문합할 때, 이 문합은 트라이츠 인대를 통해 지나간다.[15][6]
위창자간막동맥 증후군은 선천성, 만성, 유발성, 급성일 수 있는 극히 희귀한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이다. 이 증후군은 샘창자가 배대동맥과 위창자간막동맥 사이에 압박되는 특징을 보이며, 선천적으로 트라이츠 인대가 짧아서 발생할 수 있다. 병을 치료하기 위한 하나의 수술적 치료에는 트라이츠 인대를 절제하는 "스트롱의 수술"(Strong's operation)이 있지만, 자주 수행하지는 않는다.[16][7]
6. 역사
바츨라브 트라이츠가 1853년에 트라이츠 인대를 musculus suspensorius duodenila(라틴어)라고 처음 이름을 붙였다. 이때 트라이츠 인대는 아래쪽의 넓은 근육성 부분과, 복강동맥과 위창자간막동맥이 시작하는 지점 주변에서 결합조직과 섞이는 위쪽의 힘줄 부분을 가진다고 설명되었다.[17] 임상의는 '트라이츠 인대'(ligament of Treitz)로, 해부학자는 '샘창자걸이근'(suspensory muscle of the duodenum)이라고 주로 부른다. 트라이츠 인대는 많은 사람들이 언급하지만 본 사람은 거의 없는 구조물이라는 점에서 마치 극관 같다고 서술되기도 했다.[17]
7. 추가 이미지
참조
[1]
서적
Oxford textbook of medicine: Sections 18-33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7-01
[2]
서적
Anatomy, Combined Edition
https://books.google[...]
Academic Publishers
[3]
논문
The ligament of Treitz (the suspensory ligament of the Duodenum): anatomic and radiographic correlation
2007-07-25
[4]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5]
논문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1997-07
[6]
논문
Laparoscopic Whipple procedure: review of the literature
2009-07-28
[7]
논문
Superior Mesenteric Artery Syndrome: Where Do We Stand Today?
2012-10-18
[8]
논문
Treitz redux: the ligament of Treitz revisited
1995-09
[9]
서적
Oxford textbook of medicine: Sections 18-33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7-01
[10]
서적
Anatomy, Combined Edition
https://books.google[...]
Academic Publishers
[11]
논문
The ligament of Treitz (the suspensory ligament of the Duodenum): anatomic and radiographic correlation
2007-07-25
[12]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13]
논문
New look at about nature, structure and function of Trietz ligament
https://www.ncbi.nlm[...]
[14]
논문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1997-07
[15]
논문
Laparoscopic Whipple procedure: review of the literature
2009-07-28
[16]
논문
Superior Mesenteric Artery Syndrome: Where Do We Stand Today?
2012-10-18
[17]
논문
Treitz redux: the ligament of Treitz revisited
199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