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렁크 (자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렁크는 자동차의 짐칸을 의미하며, 차량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초기에는 외부 랙 형태였으나, 이후 차체에 통합되었고, 후방 엔진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 앞쪽에 위치하기도 한다. 트렁크 덮개는 짐칸 접근을 위한 덮개로, 다양한 개폐 방식과 형태를 가지며, 차량의 안전성에도 기여한다. 트렁크는 짐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차량의 능동 및 수동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비상용품, 예비 타이어 등 다양한 추가 장비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트렁크 (자동차) | |
---|---|
개요 | |
종류 | 자동차 부품 |
용도 | 수하물 및 기타 물품 보관 |
위치 | 대부분의 차량: 후방 일부 차량 (전기자동차, 미드십 엔진 차량): 전방 |
명칭 | |
일반 명칭 | 트렁크 룸 |
다른 명칭 | 부트 (영국, 호주, 뉴질랜드) 러기지 컴파트먼트 딕키 (과거) |
전방 트렁크 | 프렁크 (전기자동차) |
구조 및 특징 | |
형태 | 격리된 구획 해치백 스타일: 실내와 연결 |
접근 방식 | 힌지형 트렁크 리드 데크 리드 |
내부 | 트림 처리 카펫 마감 조명 장치 |
추가 기능 | 스페어 타이어 공간 공구 보관 공간 비상용품 보관 공간 |
디자인 고려 사항 | |
공간 활용 | 최대화된 공간 활용 |
안전 | 충돌 시 안전성 확보 물품 고정 장치 |
접근성 | 낮은 리프트 오버 높이 넓은 개방 공간 |
편의성 | 전동 개폐 기능 원격 제어 기능 |
재료 | 경량화 및 내구성 강화 |
역사 | |
초기 모델 | 외장형 트렁크 |
현대 모델 | 차체 통합형 트렁크 |
관련 기술 | |
트렁크 자동 개폐 시스템 | 스마트 트렁크 |
트렁크 정리 시스템 | 트렁크 오거나이저 |
잠금 장치 | 전자식 잠금 장치 원격 제어 잠금 장치 |
기타 | |
관련 용어 | 해치백 스테이션 왜건 SUV |
참고 사항 | 트렁크는 차량의 적재 공간을 의미하며,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다. |
2. 디자인
트렁크는 엔진 위치와 차량 형태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다. 대부분의 승용차는 엔진이 앞에 있고 트렁크가 뒤에 있는 형태(FF)이지만, 엔진이 뒤쪽이나 중앙에 있는 경우(RR, MR)에는 트렁크가 앞쪽에 위치하기도 한다.
폭스바겐 비틀이나 포르쉐 911과 같은 후방 엔진(RR) 자동차는 트렁크가 승객실 앞에 있다. 미드십 엔진(MR) 방식의 포르쉐 914, 포르쉐 박스터, 토요타 MR2는 앞뒤 모두에 짐칸이 있다. 폭스바겐 타입 3는 뒤쪽에 얕은 트렁크와 앞쪽 공간을 모두 갖춘 후방 엔진 디자인을 적용했다.
포드 F-150 라이트닝과 같은 전기 자동차는 앞뒤 양쪽에 모두 트렁크(프렁크)를 갖춘 경우가 있다. 프렁크는 앞쪽(front)과 트렁크(trunk)를 합친 단어이다.
차량 디자인에 따라 트렁크 크기를 늘리거나 실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덮개 디자인을 변경하기도 한다. 1970년대 '슈퍼 비틀'로 다시 디자인된 비틀이 그 예이다.
2. 1. 형태 및 배치
초기 자동차 디자인에는 차량 후면에 수하물 트렁크를 부착하기 위한 외부 랙이 있었다.[1] 이후 디자인은 수납 공간을 차량 차체에 통합했고, 결국 더 유선형이 되었다.[2][3] 일반적으로 엔진이 있는 반대편 차량 끝 부분에 주요 수납 공간이 제공된다.
폭스바겐 비틀과 포르쉐 911과 같이 후방 엔진 차량은 승객실 앞에 트렁크가 있다.[4] 폭스바겐 타입 3[8]처럼 후방 구동계가 낮은 차량은 뒤쪽에 얕은 기존 트렁크와 수하물을 위한 앞쪽 공간을 확보했다. 914 및 박스터, 토요타 MR2와 같은 미드십 차량은 앞뒤에 모두 트렁크가 있다.[9][10] 테슬라 모델 S와 같은 일부 전기 자동차도 앞뒤에 모두 트렁크를 갖추고 있다.[10]

때때로 차량의 디자인 수명 동안 트렁크의 크기를 늘리거나 실용성과 유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덮개를 다시 디자인하기도 한다. 이에 대한 예로는 1970년대 '슈퍼 비틀'로의 비틀 재설계가 있다.
2. 2. 트렁크 덮개 (트렁크 리드)
트렁크 덮개는 주요 수납 공간 또는 짐칸을 여닫는 덮개이다. 경첩은 덮개를 들어 올릴 수 있게 하며, 수동 지지대 등으로 열린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19][20] 토션 스프링이나 기타 스프링을 사용하여 트렁크 덮개를 들어 올리고 열린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트렁크가 뒤쪽에 있는 자동차의 경우, 덮개에 중앙 장착 세 번째 브레이크 등이 통합되기도 한다. 뒷 덮개에는 장식용 에어 스포일러가 부착되기도 한다.
트렁크 리드는 세단처럼 닫힌 트렁크를 가진 차량에만 해당되며, 해치백이나 스테이션 왜건같이 열린 트렁크를 가진 차량은 리어 해치 또는 리어 게이트 등으로 불린다.
트렁크 리드는 경첩으로 차체에 부착되며, 완전 개방 시 스프링이나 가스 댐퍼로 개방 위치를 유지하기도 한다. 전형적인 프런트 엔진 차량의 경우, 최근에는 트렁크 리드 중앙에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가 설치되기도 하며, 스포티 모델에는 트렁크 리드에 장식적인 리어 스포일러가 설치되기도 한다. GT 윙 등의 추가 에어로파츠도 대부분 트렁크 리드에 설치된다.
2. 3. 개폐 방식
트렁크의 문 또는 개구부는 상단, 측면 또는 하단에 경첩이 달릴 수 있다.문이 하단에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특히 미국에서는 테일게이트라고 한다. 이들은 스테이션 왜건과 픽업 트럭뿐만 아니라 일부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에도 사용된다.[11][12] 전통적인 드롭다운 스테이션 왜건과 픽업 테일게이트는 작업대 받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13]

전통적인 미국의 스테이션 왜건에는 작은 물건을 싣거나 테일게이트를 하단에 장착된 경첩으로 아래로 열 수 있도록 테일게이트 안으로 들어가는 롤다운 창문이 포함되어 있다. 일산화탄소 가스의 가능성 때문에 엔진이 작동 중일 때는 스테이션 왜건의 테일게이트 창문을 닫아야 한다.[14]
양방향 스테이션 왜건 테일게이트는 측면과 하단에 경첩이 달려 있어 일반 문처럼 옆으로 열거나 적재 플랫폼 확장 장치로 아래로 떨어뜨릴 수 있다.[15] 이들은 창문을 내린 후 특별한 경첩에 선택한 방향으로 열 수 있도록 특별한 손잡이(들)로 설계되었다.[16]
포드에서 사용된 세 방향 디자인은 테일게이트를 창문을 올린 채로 문처럼 열 수 있도록 한다.[15]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는 뒷창문이 지붕 안으로 말려 올라가고 테일게이트가 아래로 미끄러져 적재 바닥 아래로 들어가는 조개 껍질 스타일의 "사라지는" 디자인을 개발했다.[17]
문이 상단에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해치''라고 하며, 후방 해치가 있는 차량을 ''해치백''이라고 한다.[12][18] 하단 개방형 문은 현재 SUV에서 흔히 사용된다.
3. 종류
트렁크는 구조에 따라 밀폐형과 개방형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트렁크는 엔진룸 반대편에 위치한다. 앞 엔진 자동차는 트렁크가 뒤쪽에 있지만, 미드십이나 리어 엔진 차량은 트렁크가 앞쪽에 있는 경우가 많다. 폭스바겐 비틀이나 포르쉐 911처럼 후방 엔진 차량, 또는 포드 F-150 라이트닝과 같은 전기 자동차가 대표적이다.[4][5] 앞 트렁크는 '프렁크(frunk)'라고도 불린다.[6]
프론트 트렁크는 조향을 담당하는 앞바퀴의 휠 하우스와 조향 장치 공간 때문에 형태가 울퉁불퉁하고, 전방 시야와 디자인 문제로 높이도 제한되어 짐칸으로 사용하기 불편하다. 폭스바겐 타입 3처럼 수평 대향 엔진의 배치를 조절하여 엔진룸을 낮추고 윗 공간을 짐칸으로 활용하거나, 포르쉐 914, 박스터, 토요타 MR2, 피아트 X1/9처럼 차체 전후에 짐칸을 모두 갖춘 경우도 있다.[9][10]
중대형 버스는 하이데커 차량의 경우 앞뒤 바퀴 사이 객실 바닥 아래, 2층 버스는 뒷바퀴 윗부분이 짐칸인 경우가 많다. 짐은 측면 문을 통해 싣고 내린다. 마이크로 버스는 객실 뒤쪽을 짐칸으로 사용하며, 객실과 분리되지 않고 실내와 백 리드(백 도어) 양쪽에서 접근할 수 있다.
3. 1. 밀폐형 트렁크
세단이나 쿠페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밀폐형 짐칸은 차체의 격벽(벌크 헤드)이나 트림(내장)에 의해 객실과 분리된다.[2] 하지만, 일부 차량은 격벽에 작은 구멍을 뚫어 스키 홀을 설치하거나, 개구부를 크게 만들어 뒷좌석 등받이를 앞으로 젖혀 트렁크 스루로 하여 긴 물건을 수납할 수 있게 하기도 한다.[8]3. 2. 개방형 트렁크
개방형 짐칸은 스테이션 왜건, 미니밴, SUV와 같은 밴 형태의 차체나 해치백 차량에서 볼 수 있으며, "러기지 스페이스" 또는 "러기지 룸"이라고도 불린다.밀폐형 짐칸은 일반적으로 단순한 소재로 마감되지만, 스테이션 왜건은 객실의 연장선상에 짐칸이 있어 객실과 비슷한 수준의 소재로 마감되기도 한다. 스테이션 왜건, SUV, 해치백의 경우, 프라이버시 보호 및 짐 도난 방지를 위해 토노 커버를 장착할 수 있다. 토노 커버에는 롤 커튼 모양의 감아 올리는 방식(스테이션 왜건이나 SUV), 판 모양의 분할식 또는 접이식(고급차에서 주로 사용), 끈으로 백도어에 매달아 놓는 트레이 모양(주로 대중 해치백) 등이 있으며, 수납 및 탈착이 가능하다.
스테이션 왜건이나 SUV에서는 급브레이크나 충돌 시 짐이 승객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상단에 망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를 배리어 넷이라고 하며, 개를 싣는 문화권에서는 도그 넷이라고도 부른다.
일본차의 일본 내수용 차량은 해치백을 제외하면 이러한 가림막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고급 스테이션 왜건이나 SUV에도 넷을 장착한 경우는 드물다.
개방형 트렁크 차량에서는 충돌 시 고정되지 않은 짐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거나, 동물과 같이 격리가 필요한 짐을 싣기 위해 금속제 칸막이 바를 설치하기도 한다. 고정되지 않은 짐에 대한 다른 해결책으로는 배리어 네트가 있다.
이러한 장비는 차체 내부에 직접 설치하거나, 토노 커버와 유사한 롤 형태의 탈착식 카세트로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장비를 적절히 사용하면 교통사고나 급제동 시 짐이 승객에게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배리어 네트는 칸막이 바보다 설치 공간이 작지만, 칸막이 바는 차체에 맞춰 설계되어 더 많은 짐을 실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4. 안전
트렁크는 차량의 능동 안전성과 수동 안전성에 기여한다. 짐을 객실 내부가 아닌 격리된 공간인 트렁크에 싣는 것만으로도 충돌이나 급제동 시 짐이 이동하여 탑승자가 다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짐을 고정하면 안전성이 더욱 높아진다.
4. 1. 능동적 안전
짐을 트렁크에 싣고 고정하면 급격한 조작 시 짐이 이동하여 사고가 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1] 부분적으로 적재된 차량의 경우, 래싱 아이(lashing eye)를 사용하여 짐을 고정하면 심각한 조작 시 차량과 탑승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1] '극한' 코너링 중 운전할 때, 잘못 적재된 짐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무게 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 것만으로도 차량이 그립력을 잃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1]4. 2. 수동적 안전
사고가 발생하면 짐이 탑승자에게 충돌하여 피해를 줄 수 있다. 짐을 고정하기 위해 짐 고정 아이(래싱 아이), 배리어 넷, 칸막이 바 등을 사용한다. 짐 고정 아이(lashing eyes영어)는 고정 또는 접이식 루프 형태일 수 있으며, 일부 유럽 차량의 경우 레일 시스템에 슬라이딩 루프를 결합하여 짐 고정 아이의 최적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개방형 화물칸을 갖춘 차량에는 충돌 시 헐거운 물건을 잡아두거나, 트렁크의 적재물(예: 동물)과 보호되지 않은 승객 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금속 격자 또는 가드가 장착되기도 한다. 묶여 있지 않은 물건에 대한 또 다른 해결책은 화물칸 차단 그물망(배리어 네트)이다. 이는 비상 제동 및 경미한 교통 사고 시 화물을 화물칸에 가두는 역할을 한다. 배리어 네트는 금속 가드에 비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롤업하여 보관할 수 있어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드는 롤업 가능한 그물망보다 차체 내부의 윤곽에 더욱 밀착되도록 맞춤 제작될 수 있다.
4. 3. 트렁크 내부 탈출 장치
어린이나 차량을 수리하기 위해 트렁크 안으로 들어간 성인은 트렁크에 갇히면 질식이나 열사병으로 사망할 수 있다.[27] 트렁크 안에 갇히면, 내부에서 들어갔더라도 탈출하지 못할 수 있는데, 많은 뒷좌석이 승객 공간 내부에서만 트렁크로 열리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2002년형 모델부터 미국에서 판매되는 일반적인 트렁크가 있는 모든 차량에는 야광 내부 트렁크 탈출 장치가 의무적으로 장착되었다.[28] 해치백, 왜건, 밴, 그리고 SUV는 갇힌 사람이 화물 덮개나 선반을 발로 차서 내부와 승객용 문에 접근할 수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이 요구 사항에서 제외된다.5. 추가 기능
스테이션 왜건이나 해치백 차량의 경우, 트렁크 덮개를 설치하여 짐칸의 물건을 햇빛이나 도난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해치백은 주로 단단한 선반이나 고리가 달린 유연한 시트 형태, 스테이션 왜건과 SUV는 롤러 블라인드 형태를 사용한다.[19]
충돌 사고 발생 시 짐이 승객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막기 위해, 트렁크 내부에 래싱 아이(lashing eyes)를 설치하여 짐을 고정할 수 있다. 이는 고정식 또는 접이식 고리 형태, 또는 레일 시스템에 슬라이딩 고리를 결합한 형태로 제공된다. 밴이나 항공 수송에서 사용되는 칸막이, 자전거 캐리어 등을 차량 내부에 통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개방형 화물칸을 갖춘 차량에는 금속 격자나 가드를 설치하여 짐과 승객 공간을 분리하기도 한다. 묶여 있지 않은 물건을 위한 또 다른 해결책으로 화물칸 차단 그물망이 있다. 이는 차체에 직접 부착하거나, 화물칸 덮개와 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비상 제동 및 경미한 교통 사고 시 화물을 가두는 역할을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롤업하여 보관할 수 있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5. 1. 추가 장비
트렁크에는 짐 외에도 다양한 장비가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는 보통 트렁크 내부 마감재 뒤에 있으며, 필요에 따라 마감재 해치를 열거나 카펫, 지지 보드 등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비상 용품: 삼각대, 경광등, 부스터 케이블 등 비상 상황 대비 용품.
- 스페어 타이어 또는 펑크 수리 키트: 타이어 펑크 시 교체용 스페어 타이어 또는 임시 수리 키트.
- 잭 및 휠 너트 렌치: 타이어 교체 시 필요한 잭과 휠 너트 렌치.
- 차량 내 공구 키트: 간단한 자가 정비용 공구.
- 전자 장치: 카 오디오 (예: CD 체인저), AV 기기, GPS, 차량 내비게이션 등.
- 배터리: 일반 자동차 배터리 외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배터리.
- 퓨즈 박스: 차량 내 전기 장치 퓨즈.
- CNG/LPG 탱크: 압축 천연 가스(CNG) 또는 액화 석유 가스(LPG) 연료 탱크.
- 접이식 좌석: 일부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있는 접이식 좌석(3열 시트). 좌석을 펼쳐 사용하거나 접어서 짐 공간 확보.
5. 2. 편의 장비
일부 차량의 트렁크에는 보드(판)나 쉘프(선반) 등의 장비가 제공된다. 이러한 장비는 짐을 싣는 용도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크라이슬러 PT 크루저에 장착된 멀티 포지션 리어 쉘프는 화물칸의 칸막이 역할, 방호 울타리 역할 외에도 피크닉 시 테이블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19][20]또한 시트로엥 C3의 트렁크에는 뒷좌석을 접었을 때 화물칸과 객실을 구분하거나 바닥면을 수평으로 만들어 짐을 싣고 내리기 쉽게 하는 가동식 플로어 보드가 설치되어 있다.
트렁크의 잠금 장치는 객실의 잠금 장치와 연동되는 경우가 있다. 파워 도어 잠금 장치를 참고하라.
참조
[1]
서적
The Portland Company, 1846–1982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ers
2014-07-12
[2]
간행물
Peerless (automobile advertisement)
https://books.google[...]
2014-07-12
[3]
서적
Haynes-Apperson and America's first practical automobile: a histo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07-12
[4]
간행물
Unveiling the Tucker
https://books.google[...]
2014-07-12
[5]
서적
Standard Catalog of Volkswagen, 1946–2005
https://books.google[...]
Krause
2014-07-12
[6]
웹사이트
Put It in the 'Frunk'
https://www.merriam-[...]
2022-07-28
[7]
웹사이트
Auto Makers Tout the ‘Frunk:’ A Trunk in Front. But Does the Word Sound Like Swearing?
https://www.wsj.com/[...]
2023-07-30
[8]
서적
Volkswagen Beetles and Buses: Smaller and Smarter
https://books.google[...]
Quarto
2022-01-25
[9]
서적
Complete Automotive Estimating
https://books.google[...]
Delmar Publishers
2014-07-12
[10]
간행물
The X1/9: Fiat has a deal you can't refuse
https://books.google[...]
2014-07-12
[11]
서적
The World Book Dictionary
https://books.google[...]
World Book
2014-07-12
[12]
간행물
Intermediate Wagons
https://books.google[...]
2014-07-12
[13]
간행물
Tailgate workbench for your station wagon or pickup
https://books.google[...]
2014-07-12
[14]
간행물
Autos
https://books.google[...]
2014-07-12
[15]
간행물
The Big Wagons
https://books.google[...]
2018-12-04
[16]
간행물
Intermediate Wagons: Big enough for most jobs
https://books.google[...]
2018-12-04
[17]
서적
General Motors in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Ward's Communications
2018-12-04
[18]
간행물
Front wheel drive to the fore!
https://books.google[...]
2014-07-12
[19]
웹사이트
Decklid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2014-07-12
[20]
서적
Title 49 – Transportatio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Parts 400–599
https://books.google[...]
Federal Register
2014-07-12
[21]
간행물
Ford quiets engines in '50s
https://books.google[...]
2014-07-12
[22]
서적
Standard Catalog of Buick, 1903–2004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2014-07-12
[23]
서적
American 'independent' automakers : AMC to Willys 1945 to 1960
https://books.google[...]
Veloce
2014-07-12
[24]
서적
The automobile in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a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2014-07-12
[25]
웹사이트
1966 American Motors Cavalier
http://www.carstylin[...]
Car Styling
2014-07-12
[26]
서적
The Cars of American Motors: An Illustrated History
https://archive.org/[...]
McFarland
2014-07-12
[27]
간행물
Fatal car trunk entrapment involving children—United States, 1987-1998
https://www.cdc.gov/[...]
1998-12-04
[28]
웹사이트
A kit makes trunks in older cars safer
http://www.consumerr[...]
Consumer Reports
2014-01-04
[29]
웹사이트
2001 Chrysler PT Cruiser Review & Ratings
https://www.edmunds.[...]
2022-01-25
[30]
문서
[31]
문서
[32]
웹사이트
ハイエース バン 取扱説明書(ディーゼル車/ガソリン車)
https://toyota.jp/pa[...]
トヨタ自動車
2020-11-22
[33]
웹사이트
キャラバン 取扱説明書 パーテーションパイプ(バン)
http://www.nissan.co[...]
日産自動車
2020-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