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드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레드밀은 회전 벨트 위에서 걷거나 달릴 수 있도록 설계된 운동 기구이다. 1817년 죄수 교정을 위해 처음 도입되었으며, 1960년대 윌리엄 스타우브가 가정용 트레드밀을 개발하면서 대중화되었다. 트레드밀은 실내 운동, 운동 부하 검사, 재활 치료, 우주에서의 근력 유지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종류와 기능이 다양하며, 장점으로는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할 수 있고,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는 점 등이 있다. 단점으로는 단조로운 운동 환경, 소음 문제, 안전사고 위험 등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가상현실 기술과 결합하여 더욱 발전하고 있으며, 대중문화에서도 건강 관리 및 자기 계발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트레드밀은 동력원, 디자인,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곡물 제분이나 물을 퍼 올리는 작업에 사용되었고, 이후 죄수 처벌 도구로도 활용되었다. 현대에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트레드밀이 널리 보급되어 건강 관리와 운동 능력 향상 목적으로 사용된다.
2. 역사
트레드밀은 고대부터 동력원으로 사용되었으며[4], 19세기 초 윌리엄 큐빗에 의해 죄수 교정용으로 도입되었다.[6] 20세기 중반, 로버트 브루스와 웨인 퀸턴이 의료용 트레드밀을 개발했고,[11] 케네스 쿠퍼의 연구는 가정용 트레드밀 개발을 촉진했다.[3]
1913년 6월 17일, 트레드밀 "훈련 기계"에 대한 최초의 미국 특허(#1,064,968)가 발급되었다.[10]
오늘날 트레드밀은 의료 시설, 스포츠 클럽, 생체 역학 연구소, 정형 외과, 달리기 용품점, 올림픽 훈련 센터, 대학교, 소방 훈련 센터, NASA, 경찰 및 군대, 체육관, 가정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된다.
대부분의 트레드밀은 전동 방식으로 작동하며, 회전 벨트가 있는 런닝 데크를 갖추고 있다. 런닝 데크 앞뒤에는 두 개의 샤프트가 있으며, 벨트는 이 샤프트와 런닝 데크 사이에 걸쳐져 있다. 트레드밀의 안전 표준은 IEC EN 957-1 및 IEC EN 957-6이다.
의료용 트레드밀은 IIb 등급의 능동형 치료 및 진단 기기이다. 전동 모터 구동 시스템을 통해 런닝 벨트를 움직여 인체에 기계적 에너지를 전달한다. 사용자는 벨트의 속도에 맞춰 움직여야 하며, 안전 하네스, 체중 경감 시스템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의료용 트레드밀은 심전도(ECG), 폐활량 측정법, 혈압 측정기, EMG 등과 연결하여 VO₂ max 등 다양한 생체 기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목표 심박수를 설정하면 속도와 경사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심장 기능 모드"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피트니스용 트레드밀은 약 150cm 길이, 50cm 너비의 테이블 크기를 가지며, 0km/h의 속도 범위와 0–20%의 경사 각도를 제공한다. 운동선수용 트레드밀은 더 크고 안정적이며, 최대 45km/h의 속도를 낼 수 있도록 300cm 길이, 100cm 너비의 넓은 데크를 갖추기도 한다.
전동 트레드밀 외에도 슬랫 벨트 설계를 사용하거나, 트레드밀 책상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치료 센터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 훈련을 돕기 위해 트레드밀을 사용하기도 한다. 대형 트레드밀은 자전거, 휠체어, 크로스컨트리 스키 훈련에도 활용된다.
2. 1. 런닝머신의 기원과 발전
트레드밀은 고대부터 동력원으로 사용되었다.[4] 초기 트레드밀은 세 가지 주요 설계 방식을 가졌다.[5] 첫 번째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소나 사람이 원형으로 돌며 막대를 미는 방식이었다. 두 번째는 트레드휠 형태로, 제자리에서 오르내리며 동력을 얻는 방식이었다. 이는 햄스터 휠과 유사하다. 세 번째는 경사진 플랫폼에서 오르내리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트레드밀은 물을 퍼 올리거나, 곡물을 빻거나, 풀무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1817년, 영국의 엔지니어 윌리엄 큐빗은 베리 세인트 에드먼즈 감옥의 죄수들을 교정하기 위해 '처벌용 트레드밀'을 도입했다.[6] 이 트레드밀은 죄수들이 끝없는 계단을 오르듯 밟아 돌리는 방식으로 작동했다. 1865년 교도소법에 따라, 16세 이상의 남성 죄수는 최소 3개월 동안 트레드밀을 이용하는 강제 노동을 해야 했다.[7] 이들은 하루 6시간 이상, 1500~4000m의 수직 거리를 올라야 했다. 브릭스턴 감옥에서는 이 기계를 사용하여 곡물을 빻기도 했다.[9]
1954년, 워싱턴 대학교의 로버트 브루스와 웨인 퀸턴은 심장 및 폐 질환 진단을 위한 의료용 트레드밀을 개발했다.[11] 1968년, 케네스 쿠퍼는 에어로빅스라는 책에서 유산소 운동의 이점을 발표했고, 이는 가정용 트레드밀의 상업적 개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3]
케네스 쿠퍼의 저서 ''에어로빅스''에서 영감을 받은 기계 엔지니어 윌리엄 스타우브는 최초의 가정용 트레드밀 '페이스마스터 600'을 개발했다.[2] 쿠퍼의 책은 일주일에 4~5회, 8분 동안 달리는 것이 건강에 좋다고 언급했다. 스타우브는 당시 저렴한 가정용 트레드밀이 없다는 것을 알고 1960년대 후반에 직접 개발에 나섰다. 스타우브는 클리프턴에서 생산을 시작하여 리틀폴스로 이전했다.
2. 2. 한국의 런닝머신 역사
William Staub|윌리엄 스타우브영어는 최초의 가정용 트레드밀을 개발했다.[2] 1968년 Kenneth H. Cooper|케네스 쿠퍼영어의 저서 ''에어로빅스''(Aerobics)에서 일주일에 4~5번, 8분 동안 달리는 사람이 더 나은 신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을 읽고 트레드밀을 개발했다. 스타우브는 당시 저렴한 가정용 트레드밀이 없다는 것을 알고 1960년대 후반 자신의 사용을 위해 트레드밀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3] 그는 자신의 첫 번째 트레드밀을 PaceMaster 600|페이스마스터 600영어이라고 불렀다. 스타우브는 완성된 프로토타입 트레드밀을 쿠퍼에게 보냈고, 쿠퍼는 피트니스 장비 판매자를 포함한 첫 번째 고객들을 찾았다.
스타우브는 생산 시설을 리틀 폴스, 뉴저지로 옮기기 전 클리프턴, 뉴저지에 있는 자신의 공장에서 최초의 가정용 트레드밀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3. 런닝머신의 종류와 기능
현대 트레드밀은 대부분 전동 모터로 구동되며, 런닝 데크 위에서 걷거나 달린다. 런닝 데크는 충격 흡수 특성을 가진 댐핑 요소에 장착되고, 리프팅 요소로 경사를 조절해 오르막길을 시뮬레이션한다. 일부는 런닝 벨트를 반전시켜 내리막길을 시뮬레이션한다.
트레드밀은 사용 목적에 따라 크기와 기능이 다양하다. 피트니스용 일반 트레드밀은 약 150cm 길이와 50cm 너비의 런닝 데크를 가지며, 0km/h의 속도 범위와 0–20% 경사 각도를 제공한다. 운동선수용은 더 크고 안정적이며, 최대 45km/h 속도와 300cm 길이, 100cm 너비 런닝 데크를 가질 수 있다.
의료용 트레드밀은 심전도(ECG), 폐활량 측정법, 혈압 측정기(BPM), EMG 등 의료 기기와 연결하여 생체 기능을 측정하고 진단한다. "심장 기능 모드"로 심박수에 따라 속도와 경사를 자동 조절한다.
슬랫 벨트 트레드밀, 트레드밀 책상, 치료용, 동물용, 전방향성 트레드밀 등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된다.
3. 1. 종류
트레드밀은 동력 방식과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동력 방식에 따른 분류
용도에 따른 분류3. 2. 기능
트레드밀은 컨베이어 벨트 모양의 발판을 모터로 움직여 사용자가 실내에서 걷거나 달리도록 돕는 유산소 운동 기구이다. 속도 조절 기능이 있어 사용자는 자신의 체력 수준에 맞게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대부분의 트레드밀에는 다음과 같은 기본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도, 의료용 트레드밀은 심전도(ECG), 폐활량 측정법, 혈압 측정기(BPM), EMG 등과 연결하여 VO₂ max를 비롯한 다양한 생체 기능을 측정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11] 또한, "심장 기능 모드"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에 따라 속도와 경사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기능도 있다.
일부 트레드밀은 슬랫 벨트 설계를 사용하여 실제 달리기와 유사한 느낌을 제공하며, 트레드밀 책상은 업무 중에도 운동을 할 수 있게 해준다.[12] 치료 센터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 재활을 돕기 위해 트레드밀을 활용하기도 한다.
4. 런닝머신의 장단점
트레드밀은 실내에서 달리기나 걷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구이다. 런닝머신이라고도 불린다.
'''장점'''
트레드밀은 날씨와 상관없이 실내에서 운동할 수 있고, 쿠션 기능으로 관절에 부담을 줄여준다. 속도와 경사 조절을 통해 다양한 강도의 운동이 가능하며, 운동 프로그램과 심박수 측정 기능으로 체계적인 훈련을 돕는다. 또한, TV 시청 등 다른 활동과 병행할 수 있고, 운동 기록을 추적하여 성취감을 높일 수 있다.
'''단점'''
트레드밀 달리기는 야외 달리기에 비해 단조롭게 느껴질 수 있으며, 심리적 만족감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이웃에게 피해를 줄 수 있고, 잘못 사용하면 부상의 위험이 있다. 초기 구매 비용과 전기 요금, 수리 비용이 발생하며, 가정 내 공간을 차지한다는 단점도 있다. 트레드밀 달리기는 특정 스포츠에 특화되어 있지 않으며, 트레드밀 달리기를 활용하는 경쟁 스포츠는 없다. 예를 들어, 경쟁적인 러너는 자신의 경기에 더 특화되고 현실적인 공간에서 야외 달리기를 하는 것이 훨씬 더 유리하다.[13] 또한, 일부 트레드밀 사용자는 야외 달리기에서 나타나는 나쁜 달리기 습관을 들이게 된다. 바람의 저항이 없고 발 앞부분으로 모터 덮개를 차지 않으려고 하다 보면 짧고 수직적인 보폭이 나타날 수 있다.[13]
4. 1. 장점
- 날씨에 관계없이 실내에서 운동할 수 있다.
- 쿠션이 있는 트레드밀은 야외에서 달리는 것보다 충격이 적은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많은 트레드밀에는 쿠셔닝이 뛰어나고 오래 지속되는 고무 또는 우레탄 데크 엘라스토머(쿠션)가 있다.[1] 경사를 이용하여 칼로리 소모를 늘리고, 주어진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충격을 크게 줄일 수 있다.[1]
- 경사 설정을 통해 일관된 "오르막" 훈련이 가능하다.[1]
- 속도 설정을 통해 일관된 페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1]
- 일부 트레드밀에는 언덕과 같은 지형을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이 있어 사용자가 정확하고 프로그래밍된 운동 시간을 가질 수 있다.[1]
- 트레드밀을 사용하면서 TV를 시청하여 앉아서 TV를 보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1]
- 거리, 소모 칼로리, 심박수와 같은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추적할 수 있다.[1]
- 뒤로 "오르막" 달리기는 앞으로 달릴 때 사용하지 않는 많은 길항근을 발달시킬 수 있다.[1]
- 트레드밀에서 달리면 범죄, 교통사고, 울퉁불퉁한 지형 등 실외 위험을 줄일 수 있다.[1]
- 스포츠 클럽에 설치되어 있어 각자의 페이스에 맞춰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체중 감량이나 지구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2]
-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3]
- 공조 관리가 되는 균일한 환경에서 운동할 수 있다.[3]
- 일정한 페이스(같은 속도)로 달리는 훈련이 가능하다. 오버 페이스를 방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3]
- 교통사고의 위험이 없다. 신호 대기 등으로 페이스가 흐트러질 일도 없다.[3]
- 손 닿는 곳에 음료를 둠으로써 수시로 수분 보급이 가능하다. (실외에서는 음료를 들고 달려야 한다.)[3]
- 어린 자녀가 있어도 집을 비울 필요 없이 운동할 수 있다.[3]
- 텔레비전을 보면서 운동할 수 있다.[3]
-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 전화 등을 사용하면서 운동할 수 있다.[3]
4. 2. 단점
- 야외에서 달리는 것에 비해 트레드밀 달리기는 단조롭게 느껴져서 일정 기간 후 흥미를 잃기 쉽다.[14]
- 집에서 벗어나 새로운 장소에서 달릴 때 얻을 수 있는 심리적 만족감을 트레드밀 달리기는 제공하지 못한다.
- 트레드밀의 소음과 진동은 이웃, 특히 아파트 아래층에 사는 이웃에게 불만을 야기할 수 있다.[15]
- 트레드밀을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부상을 입을 수 있다. 특히 어린이가 작동 중인 트레드밀 벨트에 손을 넣어 심한 마찰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6] 어린이가 트레드밀 벨트에 의해 부상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안전 키를 제거해야 한다.
- 트레드밀은 야외 달리기에 비해 구매 비용, 전기 요금, 수리 비용이 상당히 높다.
- 트레드밀은 가정에서 공간을 차지한다.
- 오르막이나 내리막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기르기 어렵다.
- 트레드밀의 부드러운 착지 충격에 익숙해지면 야외에서 달릴 때 위화감을 느낄 수 있다.
- 속도 조절이 완만하고 버튼 조작이 필요하므로 인터벌 트레이닝에 적합하지 않다.
- 가정용 트레드밀은 최대 속도가 16km/h, 업무용도 20km/h 정도여서 스프린트 연습은 할 수 없다.
- 바람이 없고 공기 흐름이 없어 적절한 실내 온도 관리를 하지 않으면 체온이 쉽게 상승한다.
- 경치 변화가 없어 쉽게 지루해진다.
- 주변에 경쟁자가 없어 동기 부여를 유지하기 어렵다.
- 일반 가정, 특히 공동 주택에서는 소음과 진동이 문제가 될 수 있다.
- 옆이나 뒤로 걷거나 달리는 등 앞 방향 이외의 운동은 트레드밀에서 위험하므로 금지된다.
- 일부 트레드밀 사용자는 야외 달리기에서 나타나는 나쁜 달리기 습관을 들이게 된다. 바람의 저항이 없고 발 앞부분으로 모터 덮개를 차지 않으려고 하다 보면 짧고 수직적인 보폭이 나타날 수 있다.[13]
5. 런닝머신의 활용
트레드밀은 운동 및 건강 관리, 의료 및 재활, 특수 목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운동 및 건강 관리 측면에서 트레드밀은 실내 유산소 운동 기구로, 속도와 경사 조절을 통해 운동 강도를 조절하고 운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스포츠 클럽 등에서 흔히 사용되며 체중 감량과 지구력 향상에 기여한다.
의료 및 재활 분야에서는 심전도(ECG), 폐활량 측정법 등과 연동하여 VO₂ max 측정을 비롯한 다양한 생체 기능을 평가한다. 협심증, 심근 경색 진단, 고령자 및 수술 후 환자의 재활 치료, 뇌졸중, 척수 손상 환자 보행 훈련 등에 쓰인다. 수중 트레드밀은 부력으로 무릎 부담을 줄여 재활에 효과적이다.
특수 목적으로는 스키, 스케이트, 자전거 등 스포츠 훈련용 대형 트레드밀,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 우주 비행사 근력 및 골밀도 유지를 위한 트레드밀, 동물 병원에서 개 재활 및 운동 부족 해소용 트레드밀, 실험용 동물 연구용 트레드밀 등이 있다.
5. 1. 운동 및 건강 관리
트레드밀은 실내에서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구이다. 컨베이어 벨트 형태의 발판이 모터로 움직이며, 사용자는 속도를 조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트레드밀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운동 효과를 높인다.- 경사 조절: 오르막길을 걷는 것처럼 경사를 조절하여 운동 부하를 높일 수 있다.
- 운동 정보 표시: 주행 거리, 경과 시간, 평균 속도, 소비 칼로리, 보폭, 걸음 수, 피치, 심박수 등을 표시하여 운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소비 칼로리는 사용자의 체중과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계산되므로, 정확한 체중 설정이 중요하다.
- 긴급 정지 장치: 사용자가 넘어질 위험이 있을 때 자동으로 작동하여 부상을 예방한다.
스포츠 클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트레드밀은 사용자의 체력 수준에 맞춰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체중 감량과 지구력 향상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근력 운동만큼의 근육 증가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5. 2. 의료 및 재활
의료용 트레드밀은 능동형 치료 기기이자 진단을 위한 능동형 기기이다. 심전도(ECG), 폐활량 측정법, 혈압 측정기(BPM), EMG와 같은 의료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VO₂ max 등 다양한 생체 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 대부분의 트레드밀에는 목표 심박수를 정의하고 속도와 경사(부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피험자가 "심박수 안정 상태"에 도달하는 "심장 기능 모드"가 있다.- 운동 부하 검사
- 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의 원인이 되는 관상 동맥의 동맥 경화 진단에 이용된다.[20] 심장에 부하를 가하면 심전도에 이상(부정맥)이 나타나므로, 심전도와 혈압을 측정하면서 트레드밀의 속도와 경사를 올려 진단한다.
- 각 개인의 최대 산소 섭취량(VO2max) 측정에 이용된다.[21] 마스크를 착용하고 호흡 가스(산소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를 채취하면서, 심박수가 최대 심박수 근처로 유지되도록 트레드밀의 속도를 조정한다. 그 상태에서 호흡 가스를 분석하여 최대 산소 섭취량을 얻는다.
- 재활 치료
- 고령자나 수술 후 환자 등을 위한 재활 치료 기구로 이용된다.
- 뇌졸중, 척수 손상 등 환자의 재활 치료에 사용된다. 치료사가 환자의 다리를 움직여 걷는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고 다시 걷는 법을 배우도록 돕는다.
- 수중 트레드밀
- 부력이 있기 때문에 무릎에 부담이 적고, 고령자의 재활 치료용으로 사용된다. 2007년 7월부터 상황・상황 황후가 이용하기 위해 황거에 납품되었다.[22][23]
- 수중 트레드밀은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덮여 있고, 사용자가 부분적으로 잠길 수 있을 정도로 물이 채워진 트레드밀이다. 재활 치료에 활용된다.[17]
5. 3. 특수 목적
- 스키, 스케이트, 자전거 등으로 주행할 수 있는 대형 트레드밀이 있다.[24]
- 우주 체류 중에는 중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골량 감소 및 근육 위축이 일어난다.[24]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트레드밀이나 에어로바이크를 이용한 운동을 하루 2시간 정도는 반드시 해야 한다고 여겨진다.[25][26] 현재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는 2대의 트레드밀이 설치되어 있다. 1대는 즈베즈다에 있는 TVIS[27]이고, 다른 1대는 트랭퀼리티에 있는 COLBERT "콜베어"[28]이다. 모두 ISS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고안되어 있다. 과거에는 소련의 살류트[29][30]와 미르[31], 그리고 미국의 스카이랩[32]에도 트레드밀이 설치되어 있었다.
- 개를 위한 트레드밀이 동물 병원 등에 판매되고 있으며, 치료 후 재활 및 비만견의 운동 부족 해소에 이용된다. 수조처럼 물을 채워 부력을 발생시켜 발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 마우스・래트용 트레드밀은 실험 기구로 판매되고 있으며, 전기 자극, 피로, 면역, 혈액 등 폭넓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6. 런닝머신의 미래
고급 응용 분야로는 전방향성 트레드밀이 있다. 이 트레드밀은 2차원으로 움직이도록 설계되었으며, "홀로데크"의 기반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여러 해결책이 제안되었지만 크기, 소음, 진동과 같은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아 연구가 계속 진행 중이다.[18] 병렬 개발은 휠체어 훈련기를 위한 가상 현실 환경을 만들어 치료 운동을 촉진하기 위해 미국 재향 군인부가 후원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연구원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18]
가상 현실 연구의 일환으로, 앞뒤좌우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걸을 수 있는 무한 보행 트레드밀(ODT)이 시제품으로 제작되고 있다. HMD나 전주형 디스플레이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며, 보행자의 움직임에 맞춰 벨트가 자동으로 움직이는 것이 많다. 일본에서는 쓰쿠바 대학 등이 시제품을 제작하고 있다.[35] 프린스턴 대학교 분자 생물학 교실에서 마우스용 트레드밀이 제작되어, 기억의 메커니즘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36][37]
7. 런닝머신 관련 논란 및 사건사고
트레드밀, 즉 런닝머신과 관련하여 안전 문제와 층간 소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런닝머신은 야외 달리기와 다른 운동 습관을 유발하고, 부상 위험이 있으며, 층간 소음을 일으켜 이웃 간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15]
7. 1. 런닝머신 안전 문제
- 일부 트레드밀 사용자는 야외에서 달릴 때 나타나는 좋지 않은 달리기 습관을 기르게 된다. 특히, 바람의 저항이 없고 발 앞부분으로 모터 덮개를 차지 않으려고 하다 보면 짧고 수직적이며 탄력 있는 보폭이 나타날 수 있다.
- 사용자에게 엄격한 속도를 강요하여 달리기에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균형을 잃을 수 있다.
- 트레드밀 달리기는 특정 스포츠에 특화되어 있지 않으며, 트레드밀 달리기를 활용하는 경쟁 스포츠는 없다. 예를 들어, 경쟁적인 달리기 선수는 자신의 경기에 더 특화되고 현실적인 공간에서 야외 달리기를 하는 것이 훨씬 더 유리하다.
- 트레드밀을 재활 프로그램에 사용할 때는 시간적, 각도적 운동학의 차이점을 고려해야 한다.[13]
- 많은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단조롭게 느끼고 일정 기간 후 흥미를 잃는다.[14]
- 트레드밀은 일부 사용자가 집의 방해에서 벗어나 새로운 장소에서 달리는 것에서 얻는 심리적 만족감을 제공하지 못한다.
- 이웃, 특히 아파트 아래층에 사는 이웃은 트레드밀의 소음(쿵쿵거림 및 진동)에 대해 불만을 제기할 수 있다.[15]
- 트레드밀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부상을 입을 수 있다. 특히, 작동 중인 트레드밀 벨트에 손을 넣어 심한 마찰 화상을 입고 최악의 경우 여러 차례의 피부 이식술을 받아야 하며 영구적인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어린이가 우려된다.[16]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안전 키를 제거하여 어린이가 트레드밀 벨트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 야외 달리기에 비해 구매, 전기 및 잠재적 수리 비용이 상당히 높다.
- 가정에서 공간을 차지한다.
7. 2. 층간 소음 문제
트레드밀 사용으로 인한 소음, 특히 쿵쿵거리는 소리와 진동은 이웃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15]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 아래층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15] 이는 층간 소음 문제로 이어져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참조
[1]
웹사이트
Top Treadmill Manufacturers in the USA
https://www.thomasne[...]
2021-01-02
[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Treadmill
https://www.hfe.co.u[...]
Health and Fitness Education
2021-02-13
[3]
뉴스
William Staub, Engineer Who Built an Affordable Treadmill, Dies at 96
https://www.nytimes.[...]
2022-11-25
[4]
웹사이트
The Pre-Industrial Sources of Power: Muscle Power
http://www.historyto[...]
History Today
2012-06-22
[5]
웹사이트
Histories and Precedents
http://www.uic.edu/a[...]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2013-09-02
[6]
웹사이트
The Treadmill's Prison Origins
http://mentalfloss.c[...]
Mental Floss, Inc (USA)
2013-06-12
[7]
EB1911
[8]
서적
The A-Z of punishment and torture
https://books.google[...]
Book Guild Publishing
[9]
서적
The problem of freedom: race, labour, and politics in Jamaica and Britain, 1832-1938
https://books.google[...]
JHU Press
[10]
웹사이트
Patent US1064968 - Training-machine. - Google Patents
https://www.google.n[...]
Google.no
2014-07-22
[11]
웹사이트
Can You Lose Stomach Fat On A Treadmill?
http://www.livestron[...]
Livestrong.com
2012-02-29
[12]
웹사이트
I Put In 5 Miles at the Office
https://www.nytimes.[...]
2008-09-16
[13]
간행물
Comparison of Pelvic Complex Kinematics During Treadmill and Overground Walking
http://eprints.staff[...]
2012-12
[14]
웹사이트
How To Beat Boredom on the Treadmill
http://running.about[...]
About.com
2009-01-22
[15]
문서
Noise and Vibration Considerations During Gym or Fitness Club Design
https://acoustical-c[...]
[16]
뉴스
The Dangers of Treadmills
http://well.blogs.ny[...]
2009-01-22
[17]
웹사이트
Underwater treadmill used for physical therapy
http://www.hastingst[...]
2020-05-26
[18]
간행물
Kinetic and physiological analysis of the GAMEWheels system
http://www.rehab.res[...]
2002-11
[19]
문서
History of human-powered machinery
http://www.uic.edu/a[...]
[20]
문서
狭心症
http://plaza.umin.ac[...]
東京大学医学部附属病院 循環器内科
[21]
문서
最大酸素摂取量
https://www.e-health[...]
厚生労働省 e-ヘルスネット
[22]
웹사이트
公共調達の適正化について
https://www.kunaicho[...]
[22]
웹사이트
公共調達の適正化について(平成18年8月25日付財計第2017号)に基づく随意契約に係る情報の公表(物品役務等)
https://www.kunaicho[...]
宮内庁
2013-10-20
[23]
문서
御所に水中歩行機導入へ 両陛下の健康維持の一助に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07-02-26
[24]
문서
宇宙医学
https://iss.jaxa.jp/[...]
JAXA
[25]
문서
国際宇宙ステーション(ISS)ではどのようにして健康を保つのですか
http://iss.jaxa.jp/i[...]
JAXA
[26]
간행물
宇宙飛行による骨・筋への影響と宇宙飛行士の運動プログラム
2006-03-18
[27]
문서
Treadmill (トレッドミル)
Life Sciences Data Archive, Johnson Space Center, NASA
[28]
문서
NEW SPACE STATION MODULE NAME HONORS APOLLO 11 ANNIVERSARY
http://www.nasa.gov/[...]
NASA
2010-04-14
[29]
문서
Results of medical investigations carried out on board the Salyut orbital stations.
http://www.ncbi.nlm.[...]
NCBI, National Center for
[30]
문서
Salyut 6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31]
문서
Shannon Lucid on Treadmill in Russian Mir Space Station
http://www.nasaimage[...]
NASA Images
[32]
문서
Skylab Treadmill
http://lsda.jsc.nasa[...]
Life Sciences Data Archive, Johnson Space Center, NASA
[33]
문서
VRマラソン・シミュレータ
http://www.vrtc.co.j[...]
VRテクノセンター
[34]
문서
揖斐川町健康広場
http://www3.pref.gif[...]
岐阜県生涯学習情報提供システム
[35]
문서
筑波大学工学システム学類
[36]
뉴스
Virtual maze 'maps' mouse memory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0-15
[37]
웹사이트
サイボーグ研究の現在:動画9選
https://wired.jp/200[...]
2009-11-19
[38]
웹사이트
Records -> Sports & Games -> Athletics
http://www.guinnessw[...]
2023-03-25
[39]
뉴스
Sunita Williams runs marathon in space
http://www.zeenews.c[...]
ZEENEWS.COM
2007-04-16
[40]
뉴스
Tim Peake 'runs' London Marathon from space
http://www.bbc.com/n[...]
BBC NEWS
2016-04-24
[41]
웹사이트
歴史
http://www.catalogho[...]
[42]
뉴스
「最も影響力大きいPV」はM・ジャクソンのスリラー=調査
http://jp.reuters.co[...]
ロイター
2010-05-03
[43]
웹사이트
treadmill
https://www.oxford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