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비아 토네이도 ADV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나비아 토네이도 ADV는 1970년대 영국 공군의 장거리 요격기 요구에 따라 개발된 전투기이다. 토네이도 IDS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장거리 요격 임무 수행을 위해 항속 거리, 레이더, 무장 등이 개량되었다. 영국 공군, 이탈리아 공군, 사우디아라비아 왕립 공군에서 운용되었으며, 걸프 전쟁, 코소보 전쟁 등 실전에 투입되었다. F2, F3, EF3 등 파생형이 있으며, 영국 공군은 2011년에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첫 비행한 항공기 - SH-60 시호크
SH-60 시호크는 UH-60 블랙 호크를 기반으로 개발된 다목적 해상 작전 헬리콥터로, 대잠수함전, 대수상함전, 수색 및 구조, 수송 등 다양한 임무 수행이 가능하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다. - 1979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미라주 4000
미라주 4000은 프랑스 다소가 개발한 쌍발 엔진 전투기로, F-15 이글과 유사한 크기에 최대 2,445km/h의 속도를 내며, 30mm 기관포와 8,000kg의 외부 무장을 탑재할 수 있었으나 프랑스 공군에는 채택되지 않고 다쏘 라팔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 가변익기 - 파나비아 토네이도
파나비아 토네이도는 영국, 서독, 이탈리아가 공동 개발한 가변익 다목적 전투기로, 전술 타격, 정찰, 방공, 해상 임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단거리 이착륙 성능을 갖춘 전후 가장 성공적인 폭격기 프로그램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가변익기 - 수호이 Su-17
수호이 Su-17은 수호이 설계국이 개발한 가변익 기술을 적용한 Su-7의 개량형 전투폭격기로, 다양한 분쟁에 투입되었으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파나비아 토네이도 ADV | |
---|---|
개요 | |
![]() | |
기종 | 요격기 |
제작사 | 파나비아 항공 GmbH |
원형 | 파나비아 토네이도 IDS |
개발 및 생산 | |
최초 비행 | 1979년 10월 27일 |
도입 | 1985년 5월 1일 |
퇴역 | 퇴역 |
생산 대수 | 194대 |
운용 | |
주요 운용국 | 영국 공군 (과거) |
기타 운용국 | 사우디아라비아 공군 (과거) 이탈리아 공군 (과거) |
운용 현황 | 퇴역 |
비용 | |
대당 가격 | 1980년 기준 1,400만 파운드 |
2. 개발의 경위
1970년대, 영국 공군은 노후화된 잉글리시 일렉트릭 라이트닝 요격기를 대체할 새로운 장거리 전투기를 필요로 했다. 이에 따라 우수한 항속 거리와 기동성을 가진 가변익 항공기 토네이도 IDS를 기반으로 공중 방어 임무에 특화된 파생형 개발이 결정되었다. BAe는 1976년부터 개발을 시작했다.
토네이도 ADV(Air Defence Variant)는 주로 영국 본토에서 떨어진 북해나 대서양 북동부 상공에서 소련의 폭격기를 요격하는 임무를 상정하여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스카이플래시 4발을 탑재할 수 있도록 동체를 78cm 연장하고, 연료 탑재량도 750L 늘렸다. 또한, 장거리 탐지 능력을 갖춘 마르코니 사의 AI.24 폭스헌터 레이더를 탑재하고 공중 급유 장치를 추가하는 등 여러 개량이 이루어졌다. 좌현의 기관포는 공중 급유 프로브 장착 공간 확보를 위해 제거되었다. 전체 길이는 IDS보다 2m 늘어났다.
영국 공군에 납품된 첫 번째 토네이도 ADV는 토네이도 F.2로 명명되었으며, 1979년10월 27일에 초도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그러나 핵심 장비인 폭스헌터 레이더 개발 지연 및 성능 문제로 인해 F.2는 제한적으로 운용되었고, 이후 레이더 문제가 해결된 개량형 토네이도 F.3가 주력 기종으로 배치되었다.
2. 1. 배경
토네이도 ADV의 개발은 영국 공군(RAF)이 장거리 요격기를 요구한 공군 참모 요건 395(Air Staff Requirement 395|ASR.395영어)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당시 RAF가 운용하던 잉글리시 일렉트릭 라이트닝 F6과 맥도넬 더글러스 팬텀 FGR2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1] 현대적인 요격기의 필요성은 주로 당시 소련이 보유한 상당한 규모의 전략 폭격기 전력, 특히 새롭게 도입된 초음속 폭격기 투폴레프 Tu-22M의 위협 때문에 대두되었다.[3] 1968년, 토네이도 IDS 개발 초기부터 공중 방어 임무 전용 파생형의 가능성이 조용히 검토되었으며, 여러 미국 항공기가 평가되었으나 모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4]영국의 공중 방어 강화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다른 유럽 파트너 국가들은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아 결국 영국 단독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1976년 3월 4일, 토네이도 ADV 개발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으며, RAF가 주문한 385대의 토네이도 중 165대가 공중 방어형(ADV)으로 제작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5][6] 같은 해, 영국 항공기 공사(British Aircraft Corporation, BAC)는 시제기 세 대를 제작하는 계약을 체결했다.[6][7]
첫 번째 시제기는 1979년 8월 9일 워턴에서 공개되었고, 같은 해 10월 27일 데이비드 이글스(David Eagles)의 조종으로 초도 비행에 성공했다.[6] 두 번째와 세 번째 개발 항공기는 각각 1980년 7월 18일과 11월 18일에 첫 비행을 마쳤다.[1][3] 특히 세 번째 시제기는 새로운 마르코니/페란티 AI.24 폭스헌터(AI.24 Foxhunter영어) 항공기 요격 레이더의 시험에 주로 사용되었다.[1][8] 비행 시험 결과, 토네이도 ADV는 완전 무장 상태에서도 토네이도 IDS보다 눈에 띄게 뛰어난 초음속 가속 성능을 보여주었다.[9] 시험 과정에서는 실시간 원격 측정 기술이 적극 활용되어 비행 중인 항공기의 데이터가 지상 기술자들에게 즉시 전송되었다.[10]
토네이도 ADV는 토네이도 IDS와 비교하여 몇 가지 주요한 차이점을 가진다. 영국 본토에서 떨어진 북해나 대서양 북동부에서 소련 폭격기를 요격하는 임무를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AIM-7E 스패로우 기반의 영국제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스카이플래시 4발을 동체 하부에 반매입식으로 탑재하기 위해 동체가 1.36m 연장되었다.[11][1] 이 동체 연장은 영국에서 제작된 토네이도의 전방 동체를 조종석 바로 뒤에 연장 부품을 추가하여 이루어졌는데, 이는 예상치 못하게 항력을 줄이고 약 200impgal의 연료를 추가로 탑재할 수 있는 연료 탱크(탱크 '0', 약 750L) 공간을 확보하는 부수적인 이점도 가져왔다.[12] 필요한 항속 거리 확보를 위해 좌현의 기관포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공중 급유용 접이식 프로브를 장착했으며(IDS는 프로브가 오른쪽에 장착됨), 이로 인해 기관포는 우현의 1문만 남게 되었다.[1][16]
기수의 레이돔 형상도 변경되어 전장이 IDS보다 약 2m 길어졌으며, 레이더는 대지 공격용에서 대공 전투를 주안으로 한 마르코니제 AI.24 폭스헌터(AI.24 Foxhunter영어) 대공 요격 레이더로 교체되었다.[1][8] 날개 뿌리 부분(글러브)의 후퇴각이 더 커졌고, 크루거 플랩이 제거되었다. Mk.104 엔진은 애프터버너 노즐을 연장하고 고고도 성능에 최적화되었다. 비행 조종 장치의 인공 감각(artificial feel)은 IDS보다 ADV에서 더 가볍게 설정되었으며[13], 항공 전자 장비, 디스플레이, 유도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부분에서도 차이가 있었다.[14]
토네이도 F2는 RAF에 납품된 토네이도 ADV의 초기 버전으로, 총 18대가 제작되었다. 영국 공군은 토네이도 IDS GR.1에 숫자 1을 부여했기 때문에 첫 ADV 버전은 F.2로 명명되었다. 1984년 3월 5일에 초도 비행을 했으며, IDS 토네이도와 동일한 RB.199 Mk 103 엔진을 사용했다. 네 가지 날개 후퇴각 설정이 가능했고, 초기에는 날개 아래 파일런에 두 발의 AIM-9 사이드와인더 미사일만 탑재하도록 되어 있었다.[15] 그러나 핵심 장비인 폭스헌터 레이더 개발이 지연되고 불량이 해결되지 않아, F2는 레이더를 장착하지 못한 채 기수에 콘크리트와 납으로 만든 무게추(밸러스트)를 임시로 달고 인도되었다. 이 무게추는 레인보우 코드 명명법과 영국의 유명 시멘트 상표인 블루 서클(Blue Circle)의 이름을 따 '블루 서클'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16] 부대 배치는 1984년 11월에 시작되었으나, 레이더 문제가 해결된 토네이도 F3가 1986년에 배치되기 시작하자 F2는 주로 훈련용으로 사용되다가 1988년에 대부분 운용이 종료되었다. 극소수의 F2는 F3 사양으로 개량되어 F2A로 명명되었고, F3의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운용되었다.
2. 2. 개발 과정
토네이도 ADV의 개발은 영국 공군(RAF)이 장거리 요격기를 요구하는 공군 참모 요건 395(ASR.395)를 발효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는 당시 RAF가 운용하던 잉글리시 일렉트릭 라이트닝 F6과 맥도넬 더글러스 팬텀 FGR2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1] 당시 소련이 운용하던 대규모 전략 폭격기 전력, 특히 새로 도입된 초음속 폭격기인 투폴레프 Tu-22M의 위협에 대응하여 현대적인 요격기를 확보할 필요성이 커졌다.[3] 토네이도 IDS (요격기/공격기) 개발 초기인 1968년부터 공중 방어 전용 파생형 개발 가능성이 조용히 검토되었다. 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여러 미국 항공기가 평가되었지만, 모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4]영국은 공중 방어 능력 확보에 강한 관심을 보였지만, 토네이도 프로젝트의 다른 유럽 파트너들은 이에 동참하지 않아 영국 단독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1976년 3월 4일, 토네이도 ADV 개발이 공식 승인되었고, RAF가 주문한 토네이도 385대 중 165대를 공중 방어형으로 제작하기로 결정되었다.[5][6] 같은 해 영국 항공기 공사(BAC)는 시제기 3대를 제작하는 계약을 체결했다.[6][7]
1979년 8월 9일, 첫 번째 시제기가 워턴에서 공개되었고, 같은 해 10월 27일 데이비드 이글스의 조종으로 초도 비행에 성공했다.[6] 두 번째와 세 번째 시제기는 각각 1980년 7월 18일과 11월 18일에 첫 비행을 마쳤다.[1][3] 특히 세 번째 시제기는 새로운 마르코니/페란티 AI.24 폭스헌터 항공기 요격 레이더 시험에 주로 사용되었다.[1][8] 시험 비행 결과, 토네이도 ADV는 완전 무장 상태에서도 토네이도 IDS보다 눈에 띄게 뛰어난 초음속 가속 성능을 보여주었다.[9] 시험 프로그램은 비행 중인 항공기에서 지상 기술자들에게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원격 측정 기술 덕분에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다.[10]
토네이도 ADV는 토네이도 IDS와 비교하여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가진다. 날개 글러브의 후퇴각이 더 커졌고, 크루거 플랩이 제거되었다. 좌현의 기관포가 제거되었으며, 폭스헌터 레이더를 탑재하기 위해 기수 레이더 덮개(라돔)가 더 길어졌다. 에어 브레이크도 약간 더 길어졌고, 동체는 1.36m 연장되었다. 이 동체 연장은 네 발의 스카이플래시 반능동 레이더 호밍 미사일을 동체 하부에 반매립식으로 탑재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었다.[11][1] 영국에서 제작된 토네이도의 전방 동체는 조종석 바로 뒤에 추가 구조물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연장되었는데, 이는 예상치 못하게 항력을 줄이고 200impgal의 연료를 운반하는 추가 연료 탱크(탱크 '0')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부수적인 이점도 가져왔다.[12] 비행 조종 장치의 인공적인 조작감은 IDS보다 ADV에서 더 가볍게 설정되었다.[13] 이 외에도 항공 전자 장비, 디스플레이, 유도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다.[14]
토네이도 F2는 RAF에서 운용한 토네이도 ADV의 초기 버전으로, 총 18대가 제작되었다. 1984년 3월 5일에 첫 비행을 했으며, IDS 토네이도와 동일한 RB.199 Mk 103 엔진을 사용했다. 날개 후퇴각은 네 가지로 설정할 수 있었고, 초기에는 날개 아래 파일런에 사이드와인더 미사일 두 발만 탑재할 수 있었다.[15] 개발 중이던 폭스헌터 레이더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어, F2는 레이더 없이 인도되었다. 레이더 탑재 공간에는 임시방편으로 콘크리트와 납으로 만든 밸러스트(무게추)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레인보우 코드 명명법과 영국 시멘트 브랜드인 블루 서클의 이름을 따 '블루 서클'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16]
3. 설계 및 특징
토네이도 ADV(Air Defence Variant)는 영국 공군(RAF)의 장거리 요격기 요구 사항(ASR.395)에 따라 개발되었다. 이는 당시 운용 중이던 잉글리시 일렉트릭 라이트닝 F6과 맥도넬 더글러스 팬텀 FGR2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1] 특히 소련의 전략 폭격기, 그중에서도 신형 초음속 폭격기인 투폴레프 Tu-22M의 위협에 대응할 현대적인 요격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3] 토네이도 IDS 개발 초기부터 공중 방어형 파생 모델이 고려되었으나,[4] 다른 유럽 파트너 국가들은 관심을 보이지 않아 영국 단독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1976년 3월, 토네이도 ADV 개발이 공식 승인되었고, RAF가 주문한 385대의 토네이도 중 165대가 ADV 사양으로 제작될 예정이었다.[5][6] 같은 해 영국 항공기 공사(BAe)는 시제기 3대 제작 계약을 체결했다.[6][7]
첫 시제기는 1979년 8월 9일 워턴에서 공개되었고, 같은 해 10월 27일 데이비드 이글스의 조종으로 초도 비행에 성공했다.[6] 두 번째와 세 번째 시제기는 각각 1980년 7월과 11월에 초도 비행을 마쳤다.[1][3] 특히 세 번째 시제기는 새로운 마르코니/페란티 AI.24 폭스헌터 항공기 요격 레이더 시험에 주로 사용되었다.[1][8] 시험 비행 결과, ADV는 완전 무장 상태에서도 IDS보다 뛰어난 초음속 가속 성능을 보였다.[9] 시험 과정에서는 실시간 원격 측정 기술이 활용되어 지상에서 비행 데이터를 즉시 분석할 수 있었다.[10]
토네이도 ADV는 제공 전투기가 아니라, 소련 폭격기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장거리 요격기로 설계되었다. 주요 임무는 북해와 북부 대서양 상공에서 장시간 공중 초계를 수행하며 적 폭격기를 요격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스카이플래시나 AMRAAM과 같은 장거리 시계 밖 미사일을 주 무장으로 사용했다. 성능 면에서도 기존 팬텀과 비교하여 더 빠른 가속력, 2배의 항속 거리와 체공 시간, 짧은 활주로 운용 능력 등 상당한 개선을 이루었다.[1] 또한, 강력한 AI.24 폭스헌터 레이더를 탑재하여 훨씬 넓은 범위를 탐지하고 먼 거리에서 목표물과 교전할 수 있었으며, JTIDS/링크 16 시스템을 통해 다른 항공기와 정보를 공유하는 능력도 갖추었다. 이는 디지털 데이터 버스를 갖춘 최초의 항공기 중 하나이기도 했다.
토네이도 IDS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지만, 요격 임무 수행을 위해 동체 연장, 레이더 시스템 교체, 무장 구성 변경 등 여러 주요 설계 변경이 이루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영국 공군에 납품된 첫 번째 양산형 모델은 토네이도 F2로 명명되었다. 총 18대가 제작되어 1984년부터 부대에 배치되기 시작했으나, 핵심 장비인 폭스헌터 레이더 시스템의 개발 지연 및 문제로 인해 초기에는 레이더 대신 임시 밸러스트를 기수에 장착하고 운용되었다. 이 밸러스트는 'Blue Circle|블루 서클eng'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16]
항공 역사학자 마이클 리크에 따르면, 토네이도 ADV는 개발 초기부터 성능과 임무 적합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며, 이는 운용 기간 내내 지속되었다고 한다.
3. 1. 주요 변경 사항
토네이도 ADV는 요격기 임무에 맞게 토네이도 IDS를 기반으로 여러 부분이 변경되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동체: 스카이플래시 반능동 레이더 호밍 미사일 4발을 동체 하부에 반매입식으로 탑재하고 추가 연료 탱크(탱크 '0')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동체 길이가 1.36m 길어졌다.[11][1] 이 연장은 조종석 바로 뒤에 플러그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항력을 줄이고 750L의 추가 연료를 탑재할 수 있게 하는 예상치 못한 이점도 가져왔다.[12] 기수 레이돔 형상 변경 등과 합쳐져 전체 길이는 IDS보다 약 2m 늘어났다.
- 날개: 날개 글러브의 스윕 각도가 더 커졌고, 저속 비행 성능을 위한 크루거 플랩은 제거되었다.[11]
- 레이더 및 항공전자장비: 장거리 요격 임무를 위해 개발된 마르코니/페란티 AI.24 폭스헌터 항공기 요격 레이더를 탑재했다.[1][8] 이를 수용하기 위해 기수의 레이돔이 더 길고 뾰족한 형태로 변경되었다.[11] 이 외에도 항공 전자 장비, 디스플레이, 유도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패키지에 다양한 차이가 있었다.[14]
- 무장: 주 무장인 스카이플래시 미사일 탑재 공간 확보를 위해 좌현의 27mm 기관포가 제거되고 우현에 1문만 남게 되었다.[11]
- 엔진: 고고도 요격 임무에 맞춰 최적화된 RB199 Mk.104 엔진을 사용했으며, 애프터버너 노즐이 연장되었다.
- 기타: 공중 급유 프로브가 좌현으로 이동했으며(IDS는 우현), 에어 브레이크가 약간 더 길어졌다.[11] 비행 조종 장치의 인공적인 느낌은 IDS보다 더 가볍게 조정되었다.[13]
3. 2. F2와 F3의 차이점
토네이도 F2는 영국 공군(RAF)에서 사용된 토네이도 ADV의 초기 버전으로, 총 18대가 제작되었다. 1984년 3월 5일에 초도 비행을 했으며,[15] 토네이도 IDS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RB.199 Mk 103 엔진으로 구동되었다. F2는 네 가지 날개 스윕 설정을 할 수 있었고, 날개 하부에는 사이드와인더 미사일을 2발만 탑재할 수 있었다.[15]
F2는 AI.24 폭스헌터 레이더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어, 레이더 세트를 장착할 수 있을 때까지 임시 조치로 기수 부분에 콘크리트와 납으로 만들어진 밸러스트를 장착한 채로 인도되었다. 이 밸러스트는 레인보우 코드 명명 규칙과 영국 시멘트 브랜드 블루 서클에서 유래한 'Blue Circle|블루 서클영어'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16] 레이더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F2가 배치되었기 때문에, 주로 훈련용으로 사용되다가 1988년에 운용을 종료했다. 극소수의 토네이도 F.2는 F.3과 동일한 장비로 업그레이드되었는데, 이를 F.2A라고도 하며 F.3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운용되었다.


토네이도 F3는 F2의 개선형으로, 1985년 11월 20일에 초도 비행을 실시했다.[6] F3는 다음과 같은 주요 개선 사항을 가지고 있었다.
- 엔진: 고고도 운용에 최적화되고 애프터버너 노즐이 더 길어진 개선된 RB.199 Mk 104 엔진을 장착했다.[16]
- 무장: 날개 하부에 탑재 가능한 사이드와인더 미사일 수가 2발에서 4발로 늘어났다.[16] 동체 하부에는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스카이플래시 4발을 반매립식으로 탑재했다.[11][1]
- 자동 날개 가변: 자동 날개 가변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는 비행 제어 컴퓨터가 비행 상황에 맞춰 자동으로 날개 각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비행 성능을 유지하도록 돕는 기능으로, 이전 토네이도 모델에는 없었다.[16] 이 기능은 미국의 그루먼 F-14 톰캣에 적용된 자동 날개 가변(ASW) 기능과 유사한 개념이다.
F3는 잉글리시 일렉트릭 라이트닝과 팬텀 FGR.2(F-4M)를 대체하기 위해 영국 공군에서 152기가 발주되었으며, 1986년부터 부대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다음 표는 토네이도 F2와 F3의 주요 차이점을 요약한 것이다.
구분 | 토네이도 F2 | 토네이도 F3 |
---|---|---|
엔진 | RB.199 Mk 103 | RB.199 Mk 104 (개선형, 고고도 최적화) |
레이더 | AI.24 폭스헌터 (초기 문제로 밸러스트 장착) | AI.24 폭스헌터 (개선) |
사이드와인더 탑재 수 | 2발 | 4발 |
날개 가변 | 수동 (4가지 설정) | 자동 날개 가변 기능 추가 |
초도 비행 | 1984년 3월 5일 | 1985년 11월 20일 |
생산 대수 | 18대 | 152대 (영국 공군 발주 기준) |
3. 3. 자동 기동 장치 시스템
토네이도 F3에 도입된 가장 두드러진 혁신 중 하나는 자동 기동 장치 시스템이다.[16] 이 시스템은 비행 제어 컴퓨터가 비행 상황에 맞춰 날개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비행 성능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이는 미국의 그루먼 F-14 톰캣에 적용된 자동 날개 가변(ASW, Automatic Swing Wing) 기능과 유사한 개념으로, 토네이도 F3의 기동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16] 이전의 모든 토네이도 IDS 및 초기 ADV 모델에는 이 기능이 없었다. 토네이도 F3는 개선된 엔진과 함께 이 자동 날개 가변 기능을 갖추고 1989년부터 실전에 배치되었다.4. 성능 유지 프로그램 (CSP)
파나비아 토네이도 F3를 2010년으로 예정된 퇴역 시점까지 효과적인 플랫폼으로 유지하기 위해, 영국 국방부는 능력 유지 프로그램(Capability Sustainment Programme, CSP)을 시작했다. 1996년 3월 5일에 발표된 이 1.25억파운드 규모의 프로젝트는 ASRAAM과 AIM-120 AMRAAM 공대공 미사일의 통합, 다중 표적 교전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레이더 업그레이드 등 여러 요소를 포함했다. 또한, 조종사와 항법사의 디스플레이를 개선하고 여러 온보드 컴퓨터 시스템을 교체하는 작업도 수반되었다.[18][19] CSP는 비표준 항공기 상태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특히 Foxhunter 레이더에 대한 다양한 업그레이드는 "함대 내의 함대"라고 묘사될 정도로 복잡한 상황을 초래했다.[18] Foxhunter 레이더는 업그레이드 프로그램, 특히 새로운 AMRAAM 미사일의 통합 과정에서 어려움을 야기하기도 했다.[20]
비용 절감 결정으로 인해 CSP는 AMRAAM 또는 ASRAAM 미사일의 능력을 완전히 활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AMRAAM은 일반적으로 자체 탐색기가 작동하기 전에 목표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발사 후 두 번의 중간 과정 업데이트를 사용하지만, CSP는 이 기능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링크를 포함하지 않았다. ASRAAM 역시 완전히 통합되지 않아 미사일의 전체 시야 밖(off-boresight) 기능을 사용할 수 없었다.[21] 그러나 2001년 6월, 국방부는 이러한 중간 과정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추가 업그레이드 계약을 체결했다. 이 업그레이드는 업데이트된 IFF와 함께 AMRAAM 최적화 프로그램(AMRAAM Optimisation Programme, AOP)으로 알려졌으며, 2003년 12월과 2006년 9월 사이에 나머지 F3 함대에 통합되었다.[22]
2003년 초에는 추가 업그레이드로 ALARM 대방사 미사일의 통합이 공개되었다. 이를 통해 일부 토네이도 ADV가 SEAD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23] F3의 기존 레이더 경고 수신기는 항공기 근처의 작동 중인 레이더 시스템을 감지하고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출 위치 시스템(Emission Location System, ELS)의 기반을 형성했으며, 두 발의 ALARM 미사일은 동체 하부 파일론에 탑재할 수 있었다. 12대의 항공기는 때때로 비공식적으로 토네이도 EF3로 지정되었으며, Operation Telic, 즉 2003년 이라크 침공을 위한 준비의 일환으로 긴급 작전 요구 사항(UOR)에 따라 개조되어 제11 비행대대 RAF가 운용했다.[24]
5. 성능
토네이도 ADV는 장기간의 공중전 기동을 벌이는 제공 전투기가 아니라, 소련의 전략 폭격기(특히 투폴레프 Tu-22M 등)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장거리 요격기로 설계되었다.[1][3] 이는 당시 영국 공군(RAF)이 운용하던 잉글리시 일렉트릭 라이트닝 F6 및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II FGR2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1]
토네이도 ADV는 요격기/공격기 버전인 토네이도 IDS와 비교하여 몇 가지 중요한 성능상 차이점을 가진다. 동체는 4개의 스카이플래시 반능동 레이더 호밍 미사일을 내부 동체 하단에 반매립식으로 탑재하기 위해 1.36m 길어졌다.[11][1] 이 동체 연장은 조종석 바로 뒤에 플러그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의도치 않게 항력을 줄이고 약 909 리터의 연료를 추가로 탑재할 수 있는 공간(탱크 '0')을 확보하는 부수적인 이점도 가져왔다.[12] 또한 날개 글러브의 후퇴각이 더 커졌고, 크루거 플랩과 좌현의 27mm 마우저 BK-27 기관포가 제거되었다.[11][1] 비행 시험 결과, 토네이도 ADV는 완전 무장 상태에서도 토네이도 IDS보다 눈에 띄게 우수한 초음속 가속 성능을 보였다.[9] 비행 조종 장치의 인공적인 감각은 IDS보다 가볍게 설정되었다.[13]
핵심 항전 장비인 마르코니/페란티 AI.24 폭스헌터 항공기 요격 레이더는 이전 세대 레이더보다 더 넓고 먼 거리를 탐색하여 원거리에서 표적을 추적하고 교전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했다.[1][8] 초기형인 토네이도 F2는 폭스헌터 레이더 개발 지연 문제로 인해 레이더 대신 콘크리트와 납으로 만든 밸러스트(일명 '블루 서클')를 장착한 채 인도되기도 했다.[1][16] 이 문제는 이후 개선형인 토네이도 F3에서 해결되었다.
토네이도 ADV는 여러 버전으로 개발되었다.
버전명 | 주요 특징 |
---|---|
토네이도 F2 | 초기 생산형. 터보유니온 RB199 Mk 103 엔진 사용. 18대 생산.[15] |
토네이도 F2A | F2를 F3 표준으로 업그레이드했으나 엔진은 기존 Mk 103 유지. 1대 개조. |
토네이도 F3 | 주력 생산형. 더 강력한 터보유니온 RB199 Mk 104 엔진, 자동 날개 후퇴 제어 기능, AIM-9 사이드와인더 탑재 능력 향상, 개선된 항전 장비를 갖춤. 171대 생산 (RAF 및 RSAF).[16] |
토네이도 EF3 | F3 중 일부 기체에 ALARM 미사일 운용 능력을 추가한 비공식 명칭.[23] |
사우디 아라비아 공군(RSAF)도 토네이도 ADV를 운용했으나, 미국 분석가 앤서니 코데스만은 "토네이도 ADV는 성공적인 방공 전투기로 증명되지 않았다"고 평가하며 초기 운용 경험이 부정적이었다고 지적했다.[53] 사우디는 이후 맥도넬 더글러스 F-15E 스트라이크 이글 도입을 추진하며 ADV 추가 도입 계획을 IDS 공격기 버전으로 변경했다.[54][55]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우디의 토네이도 ADV는 1991년 사막의 폭풍 작전 당시 이라크 상공에서 451회의 방공 임무를 수행했다.[56]
6. 운용 역사
파나비아 토네이도 ADV는 주로 영국 공군, 이탈리아 공군, 사우디아라비아 왕립 공군에서 운용되었다.
- 영국 공군: 1979년부터 2011년까지 운용했으며, 다수의 비행대대에서 임무를 수행했다.[60][61][62][63][64][65][66][67][68][69][70]
- 이탈리아 공군: 유로파이터 타이푼 도입 지연에 따른 전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영국 공군으로부터 임대하여 운용했다.[58]
- 사우디아라비아 왕립 공군: 1989년부터 2006년까지 운용했다.[59]
각 국가별 상세 운용 내역 및 부대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영국 공군 (RAF)
토네이도 ADV의 대량 생산은 1980년에 시작되어 1993년까지 계속되었다.[1] 영국 공군 (RAF)은 잉글리시 일렉트릭 라이트닝과 팬텀 FGR.2(F-4M)를 대체하기 위해 토네이도 F.3 152기를 발주했다. 초도 비행은 1985년 11월 20일에 이루어졌다.[6]
토네이도 F3는 F2에 비해 고고도에 최적화된 RB.199 Mk 104 엔진을 장착했으며, 이 엔진은 애프터버너 노즐이 더 길어졌다. 또한, 사이드와인더 미사일을 기존 2발에서 4발까지 장착할 수 있게 되었고, 자동 날개 가변 기능이 추가되었다.[16] 실전 배치 당시 토네이도 F3의 주 무장은 단거리 사이드와인더와 중거리 스카이플래시 미사일이었는데, 스카이플래시는 미국의 AIM-7 스패로우를 기반으로 영국이 개발한 미사일이었다.[17]
토네이도 F3의 중요한 개선점 중 하나는 자동 기동 장치 시스템 도입이었다. 이 시스템은 비행 제어 컴퓨터가 자동으로 날개 가변 각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비행 성능을 유지하도록 돕는 기능으로, 미국의 그루먼 F-14 톰캣의 자동 날개 가변(ASW) 기능과 유사하다. 이 기능은 이전 토네이도 모델에는 없었으며 기동성 향상에 기여했다. 1989년, 토네이도 F.3(원래 F.Mk3)가 실전 배치되었다.
영국 국방부는 토네이도 F3를 2010년 예정된 퇴역 시점까지 효과적인 플랫폼으로 유지하기 위해 1996년 3월 5일, 1.25억파운드 규모의 '능력 유지 프로그램'(Capability Sustainment Programme, CSP)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ASRAAM과 AIM-120 AMRAAM 공대공 미사일 통합, 다중 표적 교전 능력 향상을 위한 레이더 업그레이드, 조종사 및 항법사 디스플레이 개선, 온보드 컴퓨터 시스템 교체 등을 포함했다.[18][19] CSP는 다양한 업그레이드로 인해 발생한 비표준 항공기 상태, 특히 Foxhunter 레이더의 여러 버전으로 인한 "함대 내의 함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8] 그러나 Foxhunter 레이더 업그레이드와 새로운 AMRAAM 미사일 통합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20]
비용 절감 조치로 인해 CSP는 AMRAAM이나 ASRAAM 미사일의 성능을 완전히 활용하지 못했다. AMRAAM은 발사 후 목표 정보 갱신을 위해 중간 유도가 필요했지만, CSP에는 관련 데이터 링크가 포함되지 않았다. ASRAAM 역시 완전히 통합되지 않아 미사일의 시야 밖(off-boresight) 교전 능력을 사용할 수 없었다.[21] 이후 2001년 6월, 국방부는 중간 유도를 가능하게 하는 추가 업그레이드 계약을 체결했다. 이 업그레이드는 'AMRAAM 최적화 프로그램'(AMRAAM Optimisation Programme, AOP)으로 불렸으며, 업데이트된 IFF와 함께 2003년 12월부터 2006년 9월 사이에 나머지 F3 기체에 적용되었다.[22]


2003년 초에는 ALARM 대방사 미사일 통합 계획이 공개되어, 여러 대의 토네이도 ADV가 SEAD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23] F3의 기존 레이더 경고 수신기는 주변의 레이더 시스템을 탐지하고 위치를 파악하는 ELS(Emission Location System)의 기반이 되었으며, ALARM 미사일 두 발을 동체 하단 파일론에 장착할 수 있었다. 이 개조는 텔릭 작전 준비를 위한 긴급 작전 요구(UOR)에 따라 12대의 항공기에 적용되었으며, 이 기체들은 비공식적으로 토네이도 EF3로 불렸고 제11 비행대대가 운용했다.[24]
토네이도 F3는 1991년 걸프 전쟁에서 처음 실전에 투입되었다. 걸프 전쟁 종결 후에도 이라크 남부 비행 금지 구역 설정 작전(Operation Resinate South)과 텔릭 작전 하에 초계 임무를 수행했다. 1999년에는 NATO의 연합군 작전의 일환으로 코소보 전쟁을 지원하는 임무에 투입되었다. 이라크 전쟁에서는 전투 공중 초계(CAP) 임무를 수행했으나, 이라크 공군의 적극적인 대응 부재로 공중전 전과는 기록하지 못했다.
기지 | 부대 | 운용 기간 |
---|---|---|
RAF 코닝스비, 링컨셔 | 제V (AC) 비행대대 | 1987–2003[60] |
제29 (F) 비행대대 | 1987–1998[61] | |
F3 작전 평가 부대 (F3 OEU) | 1987–2004[62] | |
고속 제트기 및 무기 작전 평가 부대 (FJWOEU) | 2004–2006[62] | |
제41 (R) 비행대대 | 2006–2011[62][63] | |
제65 (R) 비행대대 (제229 OCU의 그림자 정체성) | 1986–1992[64] | |
제56 (R) 비행대대 | 1992–2003[65][64] | |
제229작전전환부대 영국 공군 | 1984–2003[64] | |
RAF 리밍, 노스요크셔 | 제XI (F) 비행대대 | 1988–2005[66] |
제23 (F) 비행대대 | 1988–1994[67] | |
제XXV (F) 비행대대 | 1989–2008[68] | |
RAF 루카르스, 파이프, 스코틀랜드 | 제43 (F) 비행대대 | 1989–2009[69] |
제56 (R) 비행대대 | 2003–2008[65] | |
제111 (F) 비행대대 | 1990–2011[70] | |
RAF 마운트 플레전트, 포클랜드 제도 | 제1435 비행대 | 1992–2009[64] |
2011년 3월 22일, 마지막 토네이도 F3 운용 부대였던 제111 (F) 비행대대가 해산하면서 영국 공군에서 모든 토네이도 ADV 기체가 퇴역했다.[75]
6. 2. 이탈리아 공군 (Aeronautica Militare Italiana)
1990년대 초, 이탈리아 공군은 유로파이터 타이푼 도입 지연에 따른 공중 방어 능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토네이도 F3 전투기를 임대하여 운용했다. 1993년 11월 17일, 이탈리아는 영국 공군과 24대의 토네이도 F3를 10년 동안 임대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임대한 기체들은 1995년부터 실전 배치되었으며, 2004년 12월 7일 마지막 기체가 영국 공군에 반환되면서 임대 운용을 종료했다.이탈리아 공군에서 토네이도 F3를 운용한 부대는 다음과 같다.
기지 | 소재지 | 비행대 | 운용 기간 |
---|---|---|---|
조이아 델 콜 공군기지 | 바리 | 제12 비행대 | 1995–2004[58] |
조이아 델 콜 공군기지 | 바리 | 제21 비행대 | 1999–2001[58] |
카메리 공군기지 | 카메리, 노바라 | 제21 비행대 | 1997–1999[58] |
6. 3. 사우디아라비아 왕립 공군 (Royal Saudi Air Force)
사우디아라비아 왕립 공군은 1989년부터 2006년까지 파나비아 토네이도 ADV를 운용했다.[59] 주요 운용 부대는 다음과 같다.
7. 파생형
'''토네이도 F2'''
토네이도 ADV의 초기 버전으로, 영국 공군(RAF)을 위해 총 18대가 제작되었다. 첫 비행은 1984년 3월 5일에 이루어졌다.[15] 이 기종은 토네이도 IDS와 동일한 RB.199 Mk 103 엔진을 사용했으며, 네 가지 날개 후퇴 각도 설정이 가능했다. 초기에는 날개 아래 파일런에 AIM-9 사이드와인더 미사일 두 발만 장착할 수 있었다.[15] 개발 중이던 AI.24 폭스헌터 레이더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어, 양산기들은 레이더가 준비될 때까지 기수 부분에 콘크리트와 납으로 된 무게추(밸러스트)를 임시로 장착한 채 인도되었다. 이 무게추는 영국의 유명 시멘트 상표인 '블루 서클'에서 이름을 따와 '블루 서클 밸러스트'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16]
'''토네이도 F3'''
F2의 개량형으로, 영국 공군은 노후화된 잉글리시 일렉트릭 라이트닝과 팬텀 FGR.2를 대체하기 위해 총 152대의 F3를 주문했다. 초도 비행은 1985년 11월 20일에 이루어졌다. 초기 무장은 스카이플래시 반능동 레이더 유도 미사일과 사이드와인더 적외선 유도 미사일이었다.
1989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 공군(RSAF)에 첫 F3 기체가 인도되었다. 1994년에는 이탈리아 공군이 유로파이터 타이푼이 배치될 때까지 노후된 F-104 스타파이터 전력을 보강하기 위해 영국 공군으로부터 10년간 F3 24대를 임차하기로 결정했다.[74] 이탈리아 조종사들은 영국 공군 기지에서 훈련을 받았으며, 첫 기체는 1995년에 인도되었다.
1996년, 영국 국방부는 F3의 작전 능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역량 유지 프로그램(Capability Sustainment Programme, CSP)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AMRAAM과 ASRAAM 공대공 미사일을 통합하고, 관련 항공전자장비와 무장 통제 시스템을 개선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탈리아 공군에 임대된 기체들도 CSP 개량을 거쳐 1997년까지 모두 인도되었다. 그러나 초기 CSP 개량만으로는 AMRAAM의 성능을 완전히 발휘하기 어려워 한동안 스카이플래시 미사일을 계속 사용했으며, 2002년 추가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AMRAAM 운용 능력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토네이도 EF3'''
요격기로서의 역할이 줄어들고 토네이도 IDS의 부담을 덜기 위해, 토네이도 F3의 레이더 탐지 시스템을 활용한 적 방공망 제압(SEAD) 임무 투입이 검토되었다. 이에 따라 2003년, 일부 F3 기체에 ALARM 대레이더 미사일 운용 능력을 부여하는 개조가 이루어졌다. 이 개조된 기체들은 비공식적으로 토네이도 EF3(때로는 F3(E)로도 불림)로 명명되었으며, EF3를 운용한 1개 비행대가 2005년까지 활동했다.
2011년 3월 22일, 영국 공군의 마지막 토네이도 F3 운용 부대였던 제111비행대( No. 111 Squadron RAFeng )가 해체되면서 영국 공군에서 모든 토네이도 F3가 퇴역했다.[75]
8. 운용 국가
9. 제원 (토네이도 F3)
''자료:'' ''Jane's All The World's Aircraft 1993–94''[71][76]
- '''승무원:''' 2명
- '''전장:''' 18.68m
- '''전폭:'''
- 날개 후퇴각 25° 시: 13.91m
- 날개 후퇴각 67° 시: 8.6m
- '''전고:''' 5.95m
- '''날개 면적:''' 26.6m2
- '''익형:''' 가변 후퇴익
- '''자체 중량:''' 14500kg
- '''최대 이륙 중량:''' 27986kg
- '''엔진:''' 2 × 터보 유니온 RB199-34R 애프터버너(afterburning) 3단 터보팬
- MK-103 (초기형) / MK-104 (후기형, 23호기 이후)
- '''추력:'''
- 엔진 당 드라이 추력: 40.5kN
- 엔진 당 애프터버너 사용 시 추력: 73.5kN
- '''최대 속도:'''
- 고도 9000m에서: 마하 2.2 (2,400km/h)
- 해수면 근처에서: 1,482km/h
- '''전투 행동 반경:'''
- 아음속 비행 시: 1853km 이상
- 초음속 비행 시: 556km 이상
- '''페리 항속 거리:''' 4265km (외부 연료 탱크 4개 장착 시)[72]
- '''체공 시간:''' 기지로부터 560km ~ 740km 거리에서 2시간 전투 공중 초계 가능
- '''실용 상승 한도:''' 15240m[73][77]
- '''무장:'''
- '''기관포:''' 1 × 27mm 마우저 BK-27 회전식 기관포 (180발 탑재)
- '''하드포인트:''' 총 10개 (동체 하단 반매립식 4개, 날개 하단 2개, 날개 어깨 파일런 4개), 최대 탑재량 9000kg
- AIM-9 사이드와인더 또는 ASRAAM 4발 (날개 어깨 파일런)
- 스카이플래시 또는 AIM-120 AMRAAM 4발 (동체 하단 반매립식)
- '''기타:''' 항속 거리 및 체공 시간 연장을 위해 최대 2개의 드롭 탱크 장착 가능. 수송 임무 시 스카이플래시/AMRAAM 대신 최대 4개의 드롭 탱크 장착 가능.
- '''항공 전자 장비:'''
- GEC-마르코니/페란티 AI.24 폭스헌터 레이더
참조
[1]
웹사이트
Variants
https://www.panavia.[...]
[2]
웹사이트
Armaments (Replacement Cost)
https://api.parliame[...]
Parliamentary Debates (Hansard)
1980-11-28
[3]
서적
[4]
문서
Aeroguide 21
[5]
문서
[6]
서적
[7]
문서
Aeroguide 21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Aeroguide 21
[15]
문서
Aeroguide 21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간행물
Sustaining the F.3
Key Publishing
2000-07
[20]
뉴스
RAF abandons missile system after near miss
https://www.telegrap[...]
2002-01-23
[21]
문서
[22]
간행물
Tornado F.3 – At its Peak
Key Publishing
2007-12
[23]
웹사이트
Tornado F3
http://www.raf.mod.u[...]
Royal Air Force
2008-03-26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Aeroguide 21
[29]
문서
[30]
문서
Aeroguide 21
[31]
문서
[32]
문서
[33]
웹사이트
Pilotless Passenger Jet Flown Remotely By RAF
http://www.raf.mod.u[...]
Royal Air Force
2007-04-03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Szejnmann 2010
[37]
웹사이트
Tornado F3 Bows Out
2012-07-11
[38]
서적
Szejnmann 2010
[39]
서적
Szejnmann 2010
[40]
웹사이트
Hoon announces broad military cuts
http://www.scotsman.[...]
2004-07-21
[41]
웹사이트
Historic squadron is disbanded – but Fighting Cocks may fly again
http://news.scotsman[...]
2009-04-17
[42]
웹사이트
UK retires last Tornado F3 fighters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2011-03-22
[43]
웹사이트
QinetiQ wins contract to use Tornado F3 for BVRAAM trials
http://www.qinetiq.c[...]
QinetiQ
2007-05-16
[44]
논문
Meteor Development Complete
2012-08
[45]
뉴스
£15bn go-ahead for Eurofighter
https://www.independ[...]
1996-09-03
[46]
뉴스
Italy's British Tornados
Key Publishing
2003-10
[47]
웹사이트
Italian air force faces tough 12 months as cash cuts bite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1995-01-11
[48]
뉴스
Italy cuts projects to protect EF2000 interest
Flight International
1997-03-12
[49]
뉴스
Italy to lease 35 F-16 jets from USA until Eurofighter operational
2001-02-01
[50]
뉴스
Final AMI Tornados F3s Returned
Key Publishing
2005-02
[51]
뉴스
Briefing for the Prime Minister's Meeting with Prince Sultan
http://image.guardia[...]
Ministry of Defence
1985-09-26
[52]
서적
Cordesman 2003
[53]
서적
Cordesman 2003
[54]
웹사이트
BAE official denies reports of Tornado sale cancellation
http://www.highbeam.[...]
Defense Daily
1990-10-05
[55]
서적
Cordesman 2003
[56]
웹사이트
The Royal Saudi Air Force and Long-term Saudi National Defence: A Strategic Vision
http://apps.dtic.mil[...]
United States Marines Corps Command and Staff College
2002-05-06
[57]
웹사이트
The 2006 Saudi Shopping Spree: BAE Wins Tornado Fleet Upgrade Contract
http://www.defensein[...]
Defense Industry Daily
2006-09-12
[58]
웹사이트
Operations – Italy
https://www.panavia.[...]
Panavia Aircraft GmbH
2019-03-22
[59]
웹사이트
Operations – Saudi Arabia
https://www.panavia.[...]
Panavia Aircraft GmbH
2019-03-22
[60]
웹사이트
5 Squadron
http://www.raf.mod.u[...]
Royal Air Force
2019-03-22
[61]
웹사이트
29 Squadron
http://www.raf.mod.u[...]
Royal Air Force
2019-03-22
[62]
웹사이트
41 Squadron
http://www.raf.mod.u[...]
Royal Air Force
2019-03-22
[63]
웹사이트
41 Squadron
http://www.raf.mod.u[...]
Royal Air Force
2019-03-22
[64]
웹사이트
Operations – United Kingdom
https://www.panavia.[...]
Panavia Aircraft GmbH
2019-03-22
[65]
웹사이트
56 (Reserve) Squadron
http://www.leuchars.[...]
2019-03-22
[66]
웹사이트
11 Squadron
http://www.raf.mod.u[...]
Royal Air Force
2019-03-22
[67]
웹사이트
23 Squadron
http://www.raf.mod.u[...]
Royal Air Force
2019-03-22
[68]
웹사이트
25 Squadron
https://www.raf.mod.[...]
Royal Air Force
2019-03-22
[69]
웹사이트
No 43 (Fighter) Squadron Disbanded
http://www.raf.mod.u[...]
Royal Air Force
2019-03-22
[70]
웹사이트
Historic RAF squadron disbanded as F3 retires
https://www.gov.uk/g[...]
Ministry of Defence
2011-04-05
[71]
서적
Lambert 1993
[72]
서적
Mason 1992
[73]
웹사이트
RAF: Equipment – Tornado F3 Specifications
http://www.raf.mod.u[...]
Royal Air Force
2010-07-01
[74]
간행물
Italy's British Tornados
Key Publishing
2003-10
[75]
뉴스
UK retires last Tornado F3 fighters
http://www.flightglo[...]
Flightglobal
2011-03-22
[76]
서적
Lambert 1993
[77]
웹사이트
RAF: Equipment – Tornado F3 Specifications
http://www.raf.mod.u[...]
Royal Air Force
2010-07-01
[78]
웹인용
Variants
https://www.panav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