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스크르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스크르 전투는 1249년 제7차 십자군 원정 중 이집트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프랑스 국왕 루이 9세가 이끄는 십자군은 다미에타를 점령하고 카이로로 진격하려 했으나, 이집트 술탄 알무아잠 투란샤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파리스크르에서 패배했다. 십자군은 궤멸되었고, 루이 9세는 포로로 잡혔다. 이 전투의 결과로 십자군은 예루살렘을 탈환하는 데 실패했고, 맘루크 왕조가 이집트의 지배 세력으로 부상하는 등 중동 지역의 세력 구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파리스크르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전투 이름 | 파리스크르 전투 |
일부 | 제7차 십자군 |
날짜 | 1250년 4월 6일 |
장소 | 파라스쿠르, 아이유브 이집트 |
결과 | 아이유브 왕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아이유브 술탄국 |
전투 참여 세력 1 | 이집트 농부 |
교전국 2 | 프랑스 왕국 |
전투 참여 세력 2 | 성전 기사단 구호 기사단 |
지휘관 및 지도자 | |
지휘관 1 | 투란샤 |
부지휘관 1 | 쿠투즈 |
지휘관 2 | 루이 9세 (항복) |
부지휘관 2 | 기욤 드 소나크 (전사) |
부지휘관 3 | 장 드 주앵빌 (항복) |
병력 규모 | |
병력 1 | 알 수 없음 |
병력 2 | 15,000명 |
사상자 및 피해 | |
사상자 1 | 알 수 없음 |
사상자 2 | 10,000–30,000명 |
2. 배경
제1차 리옹 공의회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4세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프랑스 국왕 루이 9세는 이집트를 상대로 제7차 십자군 원정을 결의했다. 앙주의 샤를, 아르투아의 로베르 등 루이 9세의 형제들이 이 원정에 함께했다.[46][47][48][49][50][51][52][53] 1249년 6월, 십자군 함대가 이집트 해역에 도착하여 다미에타에 상륙했고, 루이 9세는 아이유브 왕조의 이집트 술탄 아스 살리흐 아이유브에게 서신을 보냈다.[3] 다미에타의 아이유브 수비대는 아쉬뭄-타나의 술탄 진영으로 후퇴했고,[4] 이로 인해 다미에타 주민들은 큰 혼란에 빠져 나일강 서안과 다미에타를 연결하는 다리를 그대로 둔 채 도시를 버리고 도망쳤다.
2. 1. 십자군 원정의 결정
제1차 리옹 공의회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4세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프랑스 국왕 루이 9세는 그의 형제들인 앙주의 샤를과 아르투아의 로베르를 대동하고 이집트를 상대로 제7차 십자군을 시작했다. 십자군의 목표는 이집트를 격파하고, 이집트와 시리아의 아이유브 왕조를 멸망시키며, 1244년 이슬람교도들이 탈환한 예루살렘을 되찾는 것이었다.[46][47][48][49][50][51][52][53]
2. 2. 십자군의 목표
제1차 리옹 공의회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4세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 국왕 루이 9세는 앙주의 샤를, 아르투아의 로베르와 함께 제7차 십자군을 일으켰다. 십자군의 목표는 이집트를 격파하고 이집트와 시리아의 아이유브 왕조를 멸망시켜, 1244년 이슬람 세력에게 빼앗긴 예루살렘을 되찾는 것이었다.3. 이집트 상륙과 초기 전투
제1차 리옹 공의회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4세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프랑스 국왕 루이 9세는 그의 형제들인 앙주의 샤를, 아르투아의 로베르를 대동하고 이집트를 상대로 제7차 십자군을 시작했다. 십자군의 목표는 이집트를 격파하고, 이집트와 시리아의 아이유브 왕조를 멸망시키며, 1244년 이슬람교도들이 탈환한 예루살렘을 되찾는 것이었다.
1249년 6월, 함대가 이집트 해역에 진입했고 제7차 십자군의 병력이 다미에타에 상륙했다. 루이 9세는 아이유브 왕조의 이집트 술탄 아스 살리흐 아이유브에게 서신을 보냈으며[3], 이에 다미에타의 아이유브 수비대 사령관 파크르 앗딘 유수프는 아쉬뭄-타나의 술탄 진영으로 후퇴했다.[4] 이로 인해 다미에타 주민들은 큰 혼란에 빠져 나일강 서안과 다미에타를 연결하는 다리를 그대로 둔 채 도시를 버리고 도망쳤다.
다미에타를 점령한 루이는 셋째 형제 푸아티에의 알퐁스가 이끄는 증원군의 도착과 아스 살리흐 아이유브의 사망 소식에 용기를 얻어 카이로로 진격하기로 결정했다. 프랑크족은 아쉬뭄 운하(오늘날 알 바흐르 알 사기르로 알려짐)를 건너 알 만수라에서 3km 떨어진 지데일라의 이집트 진영을 기습했다.[5] 기습을 받은 이집트군은 알 만수라로 후퇴했고 십자군은 도시로 향했다.
3. 1. 다미에타 점령
제1차 리옹 공의회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4세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프랑스 국왕 루이 9세는 제7차 십자군을 일으켜 이집트를 공격했다. 1249년 6월, 십자군은 다미에타에 상륙했다. 루이 9세는 아이유브 왕조의 이집트 술탄 아스 살리흐 아이유브에게 서신을 보냈고[3], 이에 다미에타의 아이유브 수비대 사령관 파크르 앗딘 유수프는 아쉬뭄-타나의 술탄 진영으로 후퇴했다.[4] 이로 인해 다미에타 주민들은 큰 혼란에 빠져 나일강 서안과 다미에타를 연결하는 다리를 그대로 둔 채 도시를 버리고 도망쳤다.3. 2. 카이로 진격 시도
제1차 리옹 공의회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4세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프랑스 국왕 루이 9세는 그의 형제들인 앙주의 샤를, 아르투아의 로베르를 대동하고 이집트를 상대로 제7차 십자군을 시작했다. 십자군의 목표는 이집트를 격파하고, 이집트와 시리아의 아이유브 왕조를 멸망시키며, 1244년 이슬람교도들이 탈환한 예루살렘을 되찾는 것이었다.1249년 6월, 함대가 이집트 해역에 진입했고 제7차 십자군의 병력이 다미에타에 상륙했다. 루이 9세는 아이유브 왕조의 이집트 술탄 아스 살리흐 아이유브에게 서신을 보냈다.[3] 다미에타의 아이유브 수비대 사령관 파크르 앗딘 유수프는 아쉬뭄-타나의 술탄 진영으로 후퇴했다.[4] 이로 인해 다미에타 주민들에게 큰 혼란이 일어나 그들은 나일강 서안과 다미에타를 연결하는 다리를 그대로 둔 채 도시를 버리고 도망쳤다.
1249년 6월 이집트 항구 다미에타를 점령한 루이는 셋째 형제 푸아티에의 알퐁스가 이끄는 증원군의 도착과 아스 살리흐 아이유브의 사망 소식에 용기를 얻어 카이로로 진격하기로 결정했다.
4. 알 만수라 전투
2월 27일 새로운 술탄 투란샤는 하산키에서 이집트에 도착했고, 이집트군을 이끌고 알 만수라로 진군했다. 전함들이 육로로 운반되어 나일강에 배치되어 십자군의 배후를 공략, 다미에타로부터의 보급을 차단했고, 루이 9세의 십자군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다. 이집트인들은 그리스의 불을 사용하여 많은 전함과 수송선을 격파하였다. 곧 십자군은 괴멸적인 공격과 질병, 기아로 고통받기 시작했고, 일부는 이슬람군에 투항했다.[54][55] 루이 9세는 이집트인들에게 다미에타와 예루살렘 및 시리아 해안의 몇몇 도시를 교환할 것을 제안했으나, 십자군의 끔찍한 상황을 알고 있던 이집트인들은 이를 거절하였다.
4월 5일 밤, 십자군은 다미에타를 향해 북쪽으로 퇴각하기 시작했으나, 혼란 속에서 해협을 건너기 위해 설치했던 부교를 불태우는 것을 잊었다. 이집트군은 다리를 건너 파리스크르에서 그들을 따라잡아 4월 6일 철저하게 격파했다.[56][57][58] 수천 명의 십자군이 살해되거나 포로가 되었다. 루이 9세와 그의 귀족들은 모니아트 아브달라 마을 근처에서 사로잡혔다. 루이 9세는 살해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받고 자말 아드 딘 알 살리히라는 환관에게 항복했다.[59][43] 그의 두 동생인 샤를 당주와 알퐁스 드 푸아티에 역시 사로잡혀 대법관 이브라힘 벤 로크맨의 집에 보내졌고, 사슬에 묶인 채 소지 알 모아자미라는 환관의 감시를 받았다.[60][61] 루이 9세의 코이프는 시리아에서 전시되었다.[62][63] 이브라힘 벤 로크맨의 집은 루이 9세와 귀족들의 수감소가 되었고, 알 만수르 밖에 있던 프랑스군의 본영은 수많은 전쟁 포로의 수용소가 되었다.
4. 1. 맘루크의 반격
2월 27일, 투란샤 술탄이 하산케이프에서 이집트에 도착하여 알 만수라로 가서 이집트 군대를 지휘했다. 배들은 육로로 운송되어 나일강(바흐르 알-마할라)에 투입되었고, 십자군의 배 뒤쪽에 위치하여 다미에타에서 오는 지원선을 끊고, 루이 9세의 십자군 부대를 포위했다.[13][14] 이집트인들은 그리스 화약을 사용하여 많은 배와 보급선을 파괴하고 압수했다. 곧 포위된 십자군은 엄청난 공격, 기근, 질병으로 고통받았다. 일부 십자군은 믿음을 잃고 무슬림 측으로 탈주했다.루이 9세는 이집트인들에게 예루살렘과 시리아 해안의 몇몇 도시를 교환 조건으로 다미에타를 항복할 것을 제안했다. 십자군의 비참한 상황을 알고 있던 이집트인들은 포위된 왕의 제안을 거절했다. 4월 5일 밤, 십자군은 야영지를 철수하고 다미에타를 향해 북쪽으로 도주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공황 상태에 빠져 운하 위에 설치한 부교를 파괴하는 것을 잊었다. 이집트인들은 다리를 건너 운하를 건너 파리스크르까지 그들을 따라갔고, 4월 9일 십자군을 완전히 격파했다.[15] 수천 명의 십자군이 죽거나 포로로 잡혔다.[16][17][18] 루이 9세와 살아남은 몇몇 귀족들은 인근의 모니앗 압달라(현재 메니앗 엘 나스르) 마을에서 붙잡혔다. 루이 9세는 자신이 죽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받은 후 알-살리히라는 환관에게 항복했다.[19][20] 그는 그의 두 형제인 샤를 당주와 알퐁스 드 푸아티에와 함께 알 만수라로 끌려가 왕실 재상인 이브라힘 벤 로크만의 집에 갇혔고, 족쇄가 채워졌으며 소비흐 알-모아자미라는 또 다른 환관의 감시를 받았다.[21][22] 루이 9세의 코이프는 시리아에서 전시되었다.[23][24] 이브라힘 벤 로크만의 집은 루이 9세와 귀족들의 감옥으로 사용되었고, 알 만수라 외곽에는 수천 명의 전쟁 포로들을 수용하기 위한 캠프가 설치되었다.
4. 2. 십자군의 패배
2월 27일, 새로운 술탄인 투란샤가 하산케이프에서 이집트에 도착하여 즉시 알 만수라로 가서 이집트 군대를 지휘했다. 배들은 육로로 운송되어 나일강(바흐르 알-마할라)에 투입되었고, 십자군의 배 뒤쪽에 위치하여 다미에타에서 오는 지원선을 끊고, 루이 9세의 십자군 부대를 포위했다. 이집트인들은 그리스 화약을 사용했고, 많은 배와 보급선을 파괴하고 압수했다. 곧 포위된 십자군은 엄청난 공격, 기근, 질병으로 고통받았다. 일부 십자군은 믿음을 잃고 무슬림 측으로 탈주했다.[13][14]루이 9세는 이집트인들에게 예루살렘과 시리아 해안의 몇몇 도시를 교환 조건으로 다미에타의 항복을 제안했다. 십자군의 비참한 상황을 알고 있던 이집트인들은 포위된 왕의 제안을 거절했다. 4월 5일 밤의 어둠을 틈타 십자군은 그들의 야영지를 철수하고 다미에타를 향해 북쪽으로 도주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공황 상태에 빠져 급하게 운하 위에 설치한 부교를 파괴하는 것을 소홀히 했다. 이집트인들은 다리를 건너 운하를 건너 파리스크르까지 그들을 따라갔고, 그곳에서 4월 6일 이집트인들은 십자군을 완전히 격파했다.[15] 수천 명의 십자군이 죽거나 포로로 잡혔다.[16][17][18] 루이 9세와 살아남은 몇몇 귀족들은 인근의 모니앗 압달라(현재 메니앗 엘 나스르) 마을에서 붙잡혔고 그곳에서 피신했다. 루이 9세는 자신이 죽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받은 후 알-살리히라는 환관에게 항복했다.[19][20] 그는 그의 두 형제인 샤를 당주와 알퐁스 드 푸아티에와 함께 알 만수라로 끌려가 왕실 재상인 이브라힘 벤 로크만의 집에 갇혔고, 족쇄가 채워졌으며 소비흐 알-모아자미라는 또 다른 환관의 감시를 받았다.[21][22] 루이 9세의 코이프는 시리아에서 전시되었다.[23][24] 이브라힘 벤 로크만의 집이 루이 9세와 귀족들의 감옥으로 사용되는 동안, 알 만수라 외곽에는 수천 명의 전쟁 포로들을 수용하기 위한 캠프가 설치되었다.
5. 파리스크루 전투
알 만수라 전투 이후, 십자군은 나일강에서 이집트 군에게 보급로를 차단당하고 질병과 기아에 시달렸다. 루이 9세는 예루살렘과 시리아 해안의 몇몇 도시를 대가로 다미에타를 넘겨주겠다고 제안했으나, 이집트 인들은 이를 거절했다.
4월 5일 밤, 십자군은 다미에타를 향해 퇴각했지만, 4월 6일 파리스크르에서 이집트 군에게 대패했다. 루이 9세를 포함한 많은 십자군이 포로로 잡혔다.[56][57][58]
5. 1. 이집트군의 공세
2월 27일, 투란샤 술탄이 하산케이프에서 이집트에 도착하여 알 만수라로 가서 이집트 군대를 지휘했다.[54][55] 배들은 육로로 운송되어 나일강에 투입되었고, 십자군의 배 뒤쪽에 위치하여 다미에타에서 오는 지원선을 끊어 루이 9세의 십자군 부대를 포위했다. 이집트인들은 그리스 화약을 사용하여 많은 배와 보급선을 파괴하고 압수했다. 곧 포위된 십자군은 엄청난 공격, 기근, 질병으로 고통받았다. 일부 십자군은 믿음을 잃고 무슬림 측으로 탈주했다.[13][14]5. 2. 십자군의 궤멸
2월 27일 새로운 술탄 투란샤는 하산키에서 이집트에 도착했고, 이집트군을 이끌고 알 만수르로 진군했다. 전함들이 육로를 넘어 나일강에 배치되어 십자군의 배후를 공략하여 다미에타로부터의 보급을 차단했고, 루이 9세의 십자군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다. 이집트인들은 그리스 화약을 사용하여 많은 전함과 수송선을 격파하였다. 곧 공격당한 십자군은 괴멸적인 공격과 질병, 기아로 고통받기 시작했다. 일부 십자군은 이슬람군에 투항하기 시작했다[54][55][13][14]루이 9세는 이집트인들에게 다미에타를 예루살렘 및 시리아 해안의 몇몇 도시들과 교환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집트인들은 십자군의 끔찍한 상황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왕의 요구를 거절하였다. 4월 5일 밤, 십자군은 본영에서 벗어나 다미에타를 향해 북쪽으로 퇴각하기 시작했다. 혼란 속에 그들은 해협을 건너기 위해 설치했던 부교를 불태우는 것을 잊어버렸다. 이집트군은 다리를 건너 파리스크르에서 그들을 따라잡았고, 4월 6일 십자군을 철저하게 격파하였다. 수천 명의 십자군이 살해당하거나 포로가 되었다[56][57][58][15][16][17][18] 루이 9세와 그의 귀족들은 모니아트 아브달라(현재 메니앗 엘 나스르) 근처에서 사로잡혔다. 루이 9세는 살해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받고 자말 아드 딘 알 살리히라는 환관에게 항복했다[59][43][19][20] 그의 두 동생인 샤를 당주와 알퐁스 드 푸아티에 역시 사로잡혀 대법관 이브라힘 벤 로크맨의 집으로 보내졌고, 사슬에 묶인 채 소지 알 모아자미라는 환관에 의해 감시되었다[60][61][21][22] 루이 9세의 코이프는 시리아에서 전시되었다[62][63][23][24] 이브라힘 벤 로크맨의 집은 루이 9세와 귀족들의 수감소가 되었고, 알 만수르 밖에 있던 프랑스군 본영은 수많은 전쟁 포로의 수용소가 되었다.
6. 전투의 결과
십자군의 완벽한 패배와 파리스크르 전투에서 루이 9세가 사로잡힌 일은 프랑스에 엄청난 충격을 안겨주었다. 십자군은 유럽에 루이 9세가 위대한 전투에서 이집트의 술탄을 패퇴시켰으나 카이로는 루이 9세를 배신하여 그를 자신의 손아귀에 넣었다는 거짓 정보를 퍼뜨렸다.[64][65] 이 소식이 프랑스에 전해지자 세퍼드 십자군 운동이 프랑스에서 일어났다.[66]
루이 9세는 40만 디나르의 몸값으로 풀려났다. 그는 이집트로 다시는 돌아오지 않고 다미에타를 이집트에 넘겨준다고 약속한 후에야 1250년 5월 8일 그의 동생들과 12,000명의 포로들과 함께 아크레로 물러갈 수 있었다.[67] 마르그리트 드 프로방스는 오랫동안 악몽을 꾸었는데[68], 그녀는 얼마 후 다미에타에서 아들 장 트리스탄을 낳았다.[69]
다미에타 탈환일은 5월 8일로, 1250년 루이 9세를 쫓아낸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70]
6. 1. 루이 9세의 석방과 철수
루이 9세는 400000dinars의 몸값을 지불하고 석방되었다. 그는 다시는 이집트로 돌아오지 않겠다고 맹세하고 다미에타를 이집트인에게 넘겨준 후, 1250년 5월 8일 그의 형제들과 12,000명의 포로들과 함께 아크레로 떠날 수 있었다. 이 중에는 이집트인들이 석방하기로 합의한 이전 전투에서 잡힌 사람들도 있었다. 다른 많은 포로들은 처형되었다.[67][28][29] 루이의 왕비인 프로방스의 마르그리트는 악몽에 시달렸다. 남편 루이가 포로로 잡혔다는 소식에 너무나 공포를 느껴 잠들 때마다 방에 수염을 기른 무슬림들이 가득 찬 듯한 환상에 시달렸고 "도와줘요! 도와줘요!"라고 외쳤다.[68][30] 그녀는 다미에타에서 태어난 아들 장 트리스탄(존 슬픔)과 함께 며칠 전에 아크레로 떠났다.[69][31]다미에타 주의 국경일인 5월 8일은 1250년 루이 9세가 이집트에서 추방된 것을 기념한다.[70][32]
6. 2. 프랑스 내의 반응
파리스크르 전투에서 십자군이 완패하고 루이 9세가 포로로 잡힌 사건은 프랑스에 큰 충격을 주었다. 십자군은 유럽에 루이 9세가 이집트 술탄과의 전투에서 승리했고 카이로가 그의 손에 넘어갔다는 거짓 정보를 퍼뜨렸다.[64][65][25][26] 프랑스에 프랑스군의 패배 소식이 전해지자 세퍼드 십자군이라는 운동이 프랑스에서 일어났다.[66][27]
루이 9세는 400000디나르의 몸값으로 풀려났다. 그는 다시는 이집트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맹세하고 다미에타를 이집트인에게 넘겨준 후 1250년 5월 8일에 형제들과 12,000명의 포로들과 함께 아크레로 떠날 수 있었다.[67][28] 이 중에는 이집트인들이 석방하기로 합의한 이전 전투에서 잡힌 사람들도 있었다. 다른 많은 포로들은 처형되었다.[29] 루이의 왕비인 마르그리트 드 프로방스는 악몽에 시달렸다.[68][30] 그녀는 다미에타에서 아들 장 트리스탄을 낳았다.[69][31]
7. 역사적 영향
제7차 십자군은 1250년 파리스크르 전투에서 비극적으로 끝나면서, 당시의 종교적 세력 판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루이 9세가 이끈 십자군은 이집트에서 패배했고, 이후 유럽의 왕들은 십자군 원정에 대한 관심을 잃었다. 이 전투는 이집트가 이슬람의 요새이자 무기고임을 증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파리스크르 전투 직후, 아이유브 왕조의 술탄 투란샤는 암살되었고[71][72], 알 만수르 전투의 승리자 중 하나인 맘루크가 이집트의 새로운 지배자가 되었다. 이로써 지중해 남부 및 동부 지역은 맘루크 이집트, 아이유브 시리아, 아크레의 프랑크족,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과 안티오크 공국의 동맹 세력 등 네 개의 주요 세력으로 재편되었다.
유라시아 대초원에서 갑자기 나타난 몽골 제국은 1241년까지 오데르 강과 아드리아 해 북동부 해안까지 진출하며 급격히 세력을 확장했다. 서방 기독교 세력과 킬리키아 아르메니아는 이슬람 세력에 대항하여 몽골과의 동맹을 희망했고, 킬리키아 아르메니아는 1247년 몽골의 종주권을 받아들였다. 1254년에는 헤툼 1세가 몽골의 수도를 방문하기도 했다.
1258년 훌라구가 이끄는 몽골군이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아바스 왕조를 멸망시킨 후 시리아로 진군하여 다마스쿠스를 점령하면서 이집트로 가는 길이 열렸다. 몽골은 이집트에 굴복을 요구하는 협박 편지를 보냈다.[75] 1260년, 맘루크 술탄 쿠투즈와 장군 바이바르스는 아인잘루트 전투에서 몽골군을 격퇴했다. 이 전투에서 몽골군 사령관 키트부카는 전사했는데, 그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인이었고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과 안티오크 공작이 그와 동행했다.[76] 아크레의 프랑크 세력은 중립을 지켰으나, 맘루크 술탄에게 배반에 대해 경고하고 이집트군에게 길을 터 주었다.[77] 이 승리로 다마스쿠스와 시리아는 맘루크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술탄 바이바르스 시대 동안, 킬리키아 아르메니아와 안티오크 공국은 몽골과의 동맹에 대한 막대한 대가를 치렀다.[78] 아인잘루트 전투 이후 맘루크는 시리아에 대한 몽골의 계속된 공격을 격퇴하며, 이슬람 세계는 십자군과 몽골의 공격 속에서도 살아남았다.[79]
1257년 몽골 제국은 금장 한국의 분열로 혼란을 겪었고, 베르케가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맘루크와 동맹을 맺으면서 다른 몽골 세력들도 독립하기 시작했다. 1270년 루이 9세는 제8차 십자군을 조직하여 튀니스로 향했으나 그곳에서 사망했다.[80] 바이바르스 술탄의 재임 기간 동안 시리아의 프랑크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고, 아크레는 최후의 프랑크족 세력이었으나 1291년과 1292년에 걸쳐 맘루크 술탄 알 아쉬라프 할릴에게 함락되었다.
7. 1. 맘루크 왕조의 부상
제7차 십자군은 1250년 파리스크르 전투에서 비극적으로 끝났으며, 이는 당대 종교 세력의 변화를 보여주는 역사적 전환점이었다. 이집트는 루이 9세의 십자군을 격파하여 이슬람의 요새이자 무기고임을 증명했다. 제7차 십자군은 이집트에 대한 십자군의 마지막 주요 공세였다. 십자군은 예루살렘을 탈환하지 못했으며, 루이 9세를 제외한 유럽의 왕들은 새로운 십자군에 관심을 잃었다. 파리스크르 전투 직후, 아이유브 왕조의 술탄 투란샤는 파리스크르에서 암살되었고[71][72], 알 만수르 전투의 승자 중 하나인 맘루크가 이집트의 새로운 지배자가 되었다.동, 남 지중해의 세력도는 4개의 주된 세력으로 나뉘게 되었다. 이집트의 맘루크와 아이유브의 시리아는 서로 대립했고, 안티오크 공국과 실리시안 아르메니아와 프랑크 세력이 동맹을 맺었다. 갑작스럽게 유라시아 초원을 진동시킨 몽골 제국은 1241년까지 오데르 강의 서쪽에서 북부로는 아드리아 해까지에 이르는 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파리스크르 전투동안 그들은 인접한 지역에 공세를 가했다.[73]
서방의 기독교 세력과 실리시안 아르메니아인들은 이슬람 세력에 대항하여 몽골과의 동맹을 맺기를 바랐다. 실리시안 아르메니아인들은 1247년과 1254년에 그들의 왕인 헤툼 1세가 몽골의 수도를 방문함으로써 몽골에 대하여 종속의 예를 갖추었다. 제7차 십자군을 구성한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1246년 카라코룸에 있는 몽골의 대칸에게 프란치스코회 선교사 조반니 다 피안 델 카르피네를 보내 무슬림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고자 하였으나, 그는 구유크 칸에게 교황과 유럽의 왕들이 모두 구유크 칸에게 복종해야만 동맹이 성립할 것이라는 실망스러운 대답을 받았다.[74] 1253년 루이 9세는 이집트에서의 패배 이후 아크레에 이전의 원정에서 자신을 따른 적이 있는 새로운 사절인 프란치스코파의 루브룩의 윌리암을 보냈으나, 이 여행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75]
1258년 훌라구칸이 이끄는 몽골군이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아바스 칼리프 왕조를 멸망시킨 후 시리아로 진군하여 다마스쿠스를 점령하였다. 이로써 이집트로 가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몽골은 이집트에 협박 편지를 보내어 몽골에 굴복할 것을 요구하였다.[76] 1260년 맘루크 술탄 쿠투즈와 알 만수르에서의 승자와 동일인물인 장군 바이바르스 알 부두크다리가 아인 잘루트에서 몽골군을 격퇴한다. 전투에서 패사한 사령관의 이름은 키트부카인데 그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인이었고, 실리시안 아르메니아의 기독교 왕과 역시 기독교인인 안티오크 공작과 동행하고 있었다.[77] 아크레의 프랑크 세력은 중립을 지키고 있었으나 맘루크의 술탄에게 배반에 대해서 경고하고는 이집트군에게 길을 터 주었다.[78] 이 승리로 인하여 다마스쿠스와 시리아는 맘루크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술탄 알 자히르 바이바르스 알 부두크다리의 시대 동안 실리시안 아르메니아와 안티오크 공국은 몽골과의 동맹에 대하여 지독한 대가를 치르게 되었다.[79] 아인 잘루트의 전투 이후 맘루크군은 시리아에 대한 몽골의 계속된 공격을 격퇴하였다. 이슬람은 몽골과 십자군의 공격 속에서도 살아남았고, 이보다 더 큰 위험은 이 종교가 태어난 후 없었다.[80]
1257년 몽골 제국은 유라시아 초원의 절반을 차지하고 맘루크와 동맹을 맺은 이슬람 몽골 세력인 금장 한국의 분열로 고통받았다. 몇 년 후 다른 몽골 세력들도 독립하기 시작했다. 1270년 루이 9세는 제8차 십자군을 조직하여 튀니스로 향해 이집트에 대하여 반격을 기도했으나 그는 튀니스에서 죽고 말았다. 바이바르스 술탄의 재임 기간 동안 시리아의 프랑크 세력은 눈에 띄게 축소되었다. 아크레는 최후의 프랑크 족 세력이었으나 맘루크 술탄 알 아쉬라프 할릴이 1291년과 1292년에 걸쳐 맹공을 퍼부어 끝내 함락시켰다.
7. 2. 서방과 몽골의 관계

서방 기독교 세력과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은 이슬람 세력에 대항하여 몽골과의 동맹을 희망했다. 킬리키아 아르메니아는 1247년 몽골의 종주권을 받아들였고, 1254년에는 헤토움 1세가 몽골의 수도를 방문했다. 1246년, 제7차 십자군을 지지했던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무슬림에 맞서 동맹을 모색하기 위해 프란치스코회 사절 조반니 다 피안 델 카르피네를 카라코룸에 있는 몽골의 칸에게 보냈다. 그러나 구유크 칸은 교황과 유럽의 왕들이 모두 자신에게 복종해야 한다는 실망스러운 답변을 하였다.[73] 1253년, 루이 9세는 이집트에서 패배한 후, 아크레에서 또 다른 사절인 프란치스코회 수도사 루브룩의 윌리엄을 보냈으나, 이 역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74]
7. 3. 아인잘루트 전투와 몽골의 패배
1258년 훌라구가 이끄는 몽골군이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아바스 왕조를 멸망시킨 후 시리아로 진군하여 다마스쿠스를 점령하였다. 이로써 이집트로 가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몽골은 이집트에 협박 편지를 보내어 몽골에 굴복할 것을 요구하였다.[75] 1260년 맘루크 술탄 쿠투즈와 장군 바이바르스 알 부두크다리는 아인잘루트 전투에서 몽골군을 격퇴하였다. 이때 몽골군 사령관은 키트부카였는데, 그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인이었고,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기독교 왕과 안티오크 공국의 기독교 공작이 그와 동행하였다.[76] 아크레의 프랑크 세력은 중립을 지켰으나 맘루크 술탄에게 배반에 대해 경고하고 이집트군에게 길을 터 주었다.[77] 이 승리로 다마스쿠스와 시리아는 맘루크의 영토가 되었다.7. 4. 십자군 국가들의 몰락
제7차 십자군은 1250년 파리스크르 전투에서 비극적으로 끝났으며, 이는 당대 주요 세력 판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루이 9세가 이끄는 십자군은 이집트에서 패배했고, 이후 유럽의 왕들은 십자군 원정에 대한 관심을 잃었다. 파리스크르 전투 직후, 아이유브 왕조의 술탄 투란샤는 암살당했고, 맘루크가 이집트의 새로운 지배 세력으로 떠올랐다.[71][72]이로써 지중해 동부와 남부 지역은 맘루크 이집트, 아이유브 시리아, 아크레의 프랑크족,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과 안티오크 공국의 동맹 세력으로 재편되었다. 한편, 몽골 제국은 1241년에 이미 오데르 강과 아드리아 해 북동부 해안까지 진출하며 급격히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다.[34]

서방 기독교 세력과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은 이슬람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몽골과의 동맹을 희망했다. 킬리키아 아르메니아는 1247년 몽골에 복속되었고, 1254년에는 헤툼 1세가 직접 몽골의 수도를 방문하기도 했다.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1246년 프란치스코회 사절 조반니 다 피안 델 카르피네를 카라코룸에 보내 몽골과의 동맹을 모색했으나, 구유크 칸은 몽골에 복종할 것을 요구하며 동맹을 거부했다.[73] 1253년, 루이 9세는 루브룩의 윌리엄을 사절로 보냈지만, 이 역시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했다.[74]

1258년, 훌라구가 이끄는 몽골군은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아바스 왕조를 멸망시킨 후 시리아의 다마스쿠스까지 함락시켰다. 몽골은 이집트에 복종을 요구하는 협박 편지를 보냈다.[75] 그러나 1260년, 아인잘루트 전투에서 맘루크 술탄 쿠투즈와 장군 바이바르스는 몽골군을 격파했다. 이 전투에서 몽골군 지휘관 키트부카는 전사했는데, 그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인이었고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과 안티오크 공작이 그와 동행했다.[76] 아크레의 프랑크 세력은 중립을 지켰지만, 맘루크 술탄에게 배반에 대해 경고하고 이집트군에게 길을 터주었다.[77] 이 승리로 다마스쿠스와 시리아는 맘루크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술탄 바이바르스의 통치 기간 동안,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과 안티오크 공국은 몽골과의 동맹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되었다.[78] 아인잘루트 전투 이후 맘루크는 시리아에 대한 몽골의 계속된 공격을 격퇴했다. 이슬람은 십자군과 몽골의 공격 속에서도 살아남았다.[79]
1260년, 몽골 제국은 베르케가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맘루크와 동맹을 맺으면서 분열되었다. 1270년, 루이 9세는 제8차 십자군을 일으켜 튀니스를 공격했으나, 그곳에서 사망했다.[80] 바이바르스 술탄의 재임 기간 동안 시리아의 프랑크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아크레는 최후의 프랑크족 세력이었으나, 맘루크 술탄 알 아쉬라프 할릴이 1291년과 1292년에 걸쳐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참조
[1]
서적
Joinville
[2]
문서
Louis IX was proclaimed a Saint by Pope Boniface VIII in 1297
[3]
편지
Letter from Louis IX to as-Salih Ayyub
Al-Maqrizi
[4]
문서
Ashmum-Tanah, now town of Dakahlia
Al-Maqrizi
[5]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s://www.google.c[...]
2017-04-02
[6]
서적
Qasim
[7]
서적
Lord of Joinville
[8]
서적
Asly
[9]
서적
Egyptian Counter-attack, The Seventh Crusade
[10]
문서
according to Matthew Paris, Only 2 Templars, 1 Hospitaller and one ‘contemptible person’ escaped
[11]
문서
After the crusaders captured Damietta, general emergency was declared in Egypt, called al-Nafir al-Am Commones joined the battling zone and raided the crusaders camp frequently
Al-Maqrizi
[12]
서적
Al-Maqrizi
[13]
서적
Louis IX`s Crusade
[14]
서적
Al-Maqrizi
[15]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Vol.1: ca. 3000 BCE–1499 C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
[16]
서적
Ibn Taghri
[17]
서적
Abu al-Fida
[18]
서적
Al-Maqrizi
[19]
서적
Al-Maqrizi
[20]
서적
Abu al-Fida
[21]
서적
Ibn Taghri
[22]
문서
Though Louis IX, who was a king, was treated well, he was chained and put under the guard of a slave which was not according to the custom
[23]
서적
Al-Maqrizi
[24]
서적
Ibn Taghri
[25]
서적
Lord of Joinville
[26]
문서
False rumours from Egypt: letters from the bishop of Marseilles and certain Templars spread the rumour that Cairo and Babylon had been captured and the fleeing Saracens had left Alexandria undefended.
Matthew Paris
[27]
서적
Matthæi Parisiensis
[28]
문서
Al-Maqrizi, p. 455/ vol. 1. – Ibn Taghri, pp. 102–273/vol. 6.
Al-Maqrizi
[29]
서적
Al-Maqrizi
[30]
서적
Lord of Joinville
[31]
문서
Both Louis IX and his son Jean Tristan died in Tunis in 1270 during the Eighth Crusade.
[32]
문서
See also Battle of Mansurah (1250)|Battle of Al Mansurah.
[33]
서적
Al-Maqrizi
[34]
서적
The Devil's horsemen : the Mongol invasion of Europe
https://www.worldcat[...]
Atheneum
1979
[35]
편지
From letter of Güyük to Pope Innocent IV, 1246.
Lord of Joinville
[36]
서적
Toynbee
[37]
문서
훌라구의 쿠투즈에게 보낸 편지
[38]
문서
앗유트 전투 이전의 이집트 군대
[39]
문서
바이바르스의 침략
[40]
서적
Toyenbee
2022-10-00
[41]
서적
알자야트의 풍자시
Al-Maqrizi
[42]
웹사이트
www.historyofwar.org
[43]
서적
Al-Maqrizi
[44]
서적
al-Maqrizi
[45]
문서
보니파키우스 8세의 성인 추증
[46]
지도
Gideila and Al Mansurah on map
http://maps.google.c[...]
[47]
서적
Qasim
[48]
서적
Joinville
[49]
서적
Asly
[50]
서적
Egyptian Counter-attack, The Seventh Crusade
[51]
서적
Matthew Paris
[52]
서적
알마크리지와 이븐 타그리
Al-Maqrizi
[53]
서적
Al-Maqrizi
[54]
서적
LOUIS IX`S CRUSADE
[55]
서적
Al-Maqrizi
[56]
서적
Ibn Taghri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Ibn Taghri
[61]
문서
[62]
서적
[63]
서적
Ibn Taghri
[64]
서적
Joinville
[65]
서적
LOUIS IX`S CRUSADE 1250
[66]
서적
Matthæi Parisiensis
[67]
서적
Al-Maqrizi
[68]
서적
Joinville
[69]
문서
루이 9세와 장 트리스탕의 죽음
[70]
문서
알 만수라 전투
[71]
서적
Al-Maqrizi
[72]
서적
Ibn Taghri
[73]
서적
Lord of Joinville
[74]
서적
Toynbee
[75]
편지
Letter of Hulagu to Qutuz
[76]
서적
Toynbee
[77]
문서
The Egyptian army's camp near Acre
[78]
문서
Destruction of Cilician Armenia and Antioch
[79]
서적
Toyenbee
[80]
서적
Al-Maqriz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