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널 판타지 XIII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시스템
- 3. 등장 인물
- 4. 세계관
- 4.1. 파루시 (fal'Cie)
- 4.2. '이상향' 코쿤 (Cocoon)
- 4.2.1. 에덴 (Eden)
- 4.2.2. 팜폴룸 (Palumpolum)
- 4.2.3. 보덤 (Bodhum)
- 4.2.4. 행드 에지 (Hunged Edge)
- 4.2.5. 빌지 호수 (Bilge Lake)
- 4.2.6. 에우리데 협곡 (Euclide Canyon)
- 4.2.7. 바일 픽스 (Vaile Peaks)
- 4.2.8. 가플라 수림 (Gapra Woods)
- 4.2.9. 선레스 수향 (Sunleth Waterscape)
- 4.2.10. 노틸러스 (Nautilus)
- 4.2.11. 피프스 아크 (Fifth Ark)
- 4.2.12. 아르카키르티 대평원 (Arcadia Plains)
- 4.2.13. 메디아 협곡 (Medea Ravine)
- 4.2.14. 야샤스 산 (Yaschas Massif)
- 4.2.15. 마하바라 갱도 (Mah'habara Subterra)
- 4.2.16. 수리야 호수 (Suriya Lake)
- 4.2.17. 테진 타워 (Tejin Tower)
- 4.2.18. 오르바 촌 (Oerba Village)
- 4.3. 기타 용어
- 5. 평가
- 6. 판매량
- 7. 수상
- 8. 속편
- 참조
1. 개요
파이널 판타지 XIII은 2009년에 출시된 스퀘어 에닉스의 롤플레잉 게임으로, 액티브 타임 배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독특한 전투 시스템, 크리스탈리움 성장 시스템, 개조 시스템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야기는 루시로 선택된 주인공 라이트닝과 동료들이 코쿤과 펄스를 둘러싼 운명에 맞서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라이트닝, 스노우, 바닐라, 삿즈, 호프, 팡 등의 등장인물들이 주요 역할을 한다. 게임은 일본에서 발매 첫날 100만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7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선형적인 게임 진행 방식에 대한 비판이 있었지만, 2009년 일본 게임 어워드에서 퓨처 디비전 상을 수상하는 등 호평을 받기도 했다. 후속작으로 파이널 판타지 XIII-2와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이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이널 판타지 XIII -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은 멸망해가는 세계에서 라이트닝이 사람들의 영혼을 구원하는 내용을 담은 《파이널 판타지 XIII》 시리즈의 완결편으로, 스타일 체인지 액티브 타임 배틀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의상을 활용한 전투를 벌이며, 시간 제한과 퀘스트, 엇갈린 평가를 받은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 파이널 판타지 XIII - 파이널 판타지 XIII-2
파이널 판타지 XIII-2는 2011년에 출시된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세라 파론과 노엘 크라이스를 조작하여 시간 여행을 하며 언니 라이트닝을 찾아가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커맨드 시너지 배틀 시스템과 몬스터 동료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 파브라 노바 크리스탈리스 파이널 판타지 - 파이널 판타지 영식
《파이널 판타지 영식》은 스퀘어 에닉스에서 개발한 액션 롤플레잉 게임으로, 오리엔스 세계에서 주작, 백호, 현무, 청룡 4개 국가 간의 갈등과 각 국가의 크리스탈 숭배 이야기를 배경으로 마도원 페리시티리움 주작 소속 클래스 제로 학생 14명을 조작하여 아기토가 되기 위한 여정을 담고 있다. - 파브라 노바 크리스탈리스 파이널 판타지 -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은 멸망해가는 세계에서 라이트닝이 사람들의 영혼을 구원하는 내용을 담은 《파이널 판타지 XIII》 시리즈의 완결편으로, 스타일 체인지 액티브 타임 배틀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의상을 활용한 전투를 벌이며, 시간 제한과 퀘스트, 엇갈린 평가를 받은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 취소된 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 - 메달 오브 아너: 에어본
메달 오브 아너: 에어본은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미 육군 82 공수 사단 소속 공수부대원 보이드 트래버스의 시점에서 주요 작전에 참여하며, 낙하산을 이용한 자유로운 침투와 강화된 인공지능이 특징인 1인칭 슈팅 게임이다. - 취소된 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 - 마피아 II
마피아 II는 2K Games에서 발매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의 가상 도시 엠파이어 베이를 배경으로 이탈리아 이민자 출신 비토 스칼레타가 마피아 세계에 발을 들여 범죄 조직에서 활동하며 벌어지는 이야기와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차량, 음악, 그리고 패밀리 간의 세력 다툼을 다룬다.
파이널 판타지 XIII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롤플레잉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시리즈 | 파이널 판타지 파브라 노바 크리스탈리스 |
개발 | |
개발사 | 스퀘어 에닉스 1st 프로덕션 부서 |
배급사 | 스퀘어 에닉스 |
감독 | 도리야마 모토무 |
프로듀서 | 기타세 요시노리 |
프로그래머 | 가시타니 요시키 |
아티스트 | 카미코쿠료 이사무 테츠야 노무라 |
작가 | 와타나베 다이스케 도리야마 모토무 |
작곡가 | 하마우즈 마사시 |
엔진 | 크리스털 툴스 |
플랫폼 | |
플랫폼 | 플레이스테이션 3 엑스박스 360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출시 | |
플레이스테이션 3 | 일본: 2009년 12월 17일 전 세계: 2010년 3월 9일 |
엑스박스 360 | 전 세계: 2010년 3월 9일 일본: 2010년 12월 16일 |
윈도우 | 전 세계: 2014년 10월 9일 |
기타 정보 | |
판매량 | PS3 & Xbox 360: 전 세계 700만 장 이상 PS3: 일본 200만 장 PC: 72.5만 장 |
대응 영상 출력 | NTSC, 480p, 720p, 1080i, 1080p |
대응 음성 출력 | 최대 5.1ch(PCM・AC-3・dts) |
CERO | B |
ESRB | T |
PEGI | 16 |
USK | 12 |
2. 시스템
『FFXIII』은 일직선 구조의 스토리로, 기본적으로 스토리 진행에 따라 무대가 계속 바뀌며, 이전 장소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되돌아올 수 없다. 후반부의 그랑=파루스로 내려간 후에는 제한적이지만 비교적 자유롭게 다닐 수 있다.
플레이어는 3인칭 시점으로 캐릭터(캐릭터)를 직접 조작하여 사람, 사물, 적과 상호 작용한다. 캐릭터 주위로 카메라를 돌려 주변 환경을 360°로 볼 수 있다. 이전 파이널 판타지 게임들과 달리 모든 지역이 캐릭터에 비례하여 표현된다. 플레이어는 도보 또는 초코보를 타고 세계를 이동한다. 세이브 스테이션을 사용하여 게임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하고, 소매 네트워크에서 아이템을 구입하거나 무기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게임 내 데이터로그는 몬스터 도감과 파이널 판타지 XIII 세계에 대한 부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일본 출시 버전에는 "이지" 모드 옵션이 포함되어 있다.
== 배틀 시스템 ==
「액티브 타임 배틀 시스템을 속도감을 내는 방향으로 진화시킨 것」과 「명령의 연쇄, 동료와 연결되어 확장되는 행동의 연쇄」, 『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과 같은 전투가 테마이다.
본 작품에서는 리더 캐릭터가 전투 불능이 되면, 다른 동료가 건재하더라도 게임 오버가 된다. 게임 오버 후에는, 엔카운트 전부터 다시 시작하거나 게임을 종료하게 된다.
전투가 종료되면 HP는 전부 회복되고, 전투 불능 등의 상태 이상은 해제된다. 전투 종료 후, 직접 길을 획득할 수 없다. 보물 상자를 열어 직접 입수하거나, 전투 등에서 입수한 필요 없는 아이템을 팔아 길을 얻게 된다.
; 심볼 인카운트
: 본작에서는 필드 위에 적이 보이고, 그것에 접촉하면 근처의 적을 끌어들여 배틀 필드로 이동한다.
: 전투에 돌입한 경우, 「도망치기」 명령이 없으므로, 그 전투 중에 도망칠 수 없게 되었다. 만일 전투에 돌입한 경우에는, 전투 중 또는 게임 오버 시에 다시 시작을 선택함으로써 엔카운트 전의 상황으로 돌아갈 수 있다.
; 기습 공격
: 적에게 발각되기 전에 접촉하면 기습 공격이 되어, 배틀 시작 시에 자동으로 공격을 한다. 그에 따라 적을 브레이크 직전까지 몰아넣은 상태에서 배틀이 시작되고, 결과 화면에서의 평가도 상승한다.
; 결과 화면
: 전투에서 승리하면, 결과 화면에서 평가된다. 파티 및 적의 강함, 기습인지 여부 등의 조건으로부터 산출된 목표 시간을 주된 기준으로 산출된다. 별의 수로 표시되는 배틀 랭크가 높을수록 TP가 많이 회복되거나, 희귀 아이템을 입수할 수 있는 등의 메리트가 있다.
; 다시 시작
: 전투에서는 결과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이라면, 노리스크로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실행하면 엔카운트 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 전투 시에 사용한 아이템이나 TP, 전투 전에 사용한 스모크는 모두 원래대로 돌아온다.
; 에너미 리포트
: 메뉴의 「오토 클립」 내의 항목에서 열람할 수 있는, 적의 정보가 모두 축적된 항목이다. AI가 판명된 적의 특징에 맞춘 행동을 취하게 된다.
; 세이브 포인트・숍
: 세이브 포인트와 숍은 연동되어 있으며, 코쿤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구입하는 형식이므로, 어느 세이브 포인트를 사용해도 같은 것을 구입할 수 있다.
; 옵티머
: 옵티머는 전투 중 파티원의 '''역할(롤)'''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행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전투 중 L1 버튼을 누르면 옵티머 목록이 표시되며, 언제든지 변경하여 파티 전력과 행동 패턴을 바꿀 수 있다. 옵티머는 사전에 설정해둔 것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다.
; 롤(역할)
: 기존 시리즈의 직업과 유사하다. 캐릭터의 능력과 어빌리티는 세팅한 롤에 따라 변화한다.
역할 | 특징 |
---|---|
어택커 ATK | 공격에 특화된 역할. 주로 무속성 공격으로 싸운다. |
블래스터 BLA | 체인을 잇는 것을 특기로 하는 역할. 속성 공격도 특기이다. |
디펜더 DEF | 방어에 능한 역할. 도발 등의 어빌리티도 습득한다. |
힐러 HLR | 회복에 특화된 역할.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
엔핸서 ENH | 파티 지원용 역할. 프로텍트, 헤이스트 등을 습득한다.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
재머 JAM | 상대의 약화를 행하는 역할. 바이오, 슬로우 등을 습득한다.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
== 액티브 타임 배틀(ATB) ==
본 작품의 ATB 게이지는 여러 개의 슬롯으로 나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커맨드에는 '''코스트'''가 설정되어 있으며, 슬롯 1개 당 코스트 1의 기술을 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커맨드를 '''스톱'''시킬 수 있는데 △버튼을 눌러 ATB 게이지가 MAX가 되면 선택했던 커맨드를 순차적으로 한 번에 발동시킬 수 있다. 슬롯마다 커맨드를 입력해 연속공격을 노리거나 다수의 슬롯을 일시에 소비해 강력한 공격을 노릴지는 플레이어의 판단에 달려있다.
강력한 공격을 받아 넘어지면 행동이 방해받는다. 방해받는다는 것은 실행하려 했던 공격이 캔슬이 된다는 뜻이다. 캔슬되도 해려했던 공격의 ATB 게이지는 소비되지 않는다. 공격 행동 중에 ×를 누르면 공격을 도중에 종료시킬 수 있다.
리더의 커맨드 입력은 수동으로 기술・마법을 하나씩 입력하는 방법과 자동으로 결정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어느 쪽을 초기 상태로 정할 지는 메뉴의 콘픽에서 선택이 가능하며, 자동으로 해서 생략되게 하려면 ○버튼을 연타하는 것만으로 전투를 끝내는 것도 가능하다.
아이템 사용과 TP 어빌리티(소환・라이브라 등)은 ATB에 관계 없이 즉석에서 발동 가능하다. ATB 게이지의 소모도 없다.
== 체인과 브레이크와 쳐 올리기 ==
적을 공격하면 화면 오른쪽 위의 체인 보너스와 체인 게이지가 상승한다. 공격이 끊기면 게이지가 감소하며, 0이 되기 전에 공격을 이으면 체인 수가 증가한다. 체인 중에는 일반보다 높은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보너스가 오른쪽의 고정 수치를 웃돌면 적을 브레이크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브레이크 상태가 되면 체인 게이지가 감소하며, 게이지가 0이 되면 다시 체인 게이지를 모을 수 있다. 체인 게이지를 모으는 방법에 따라 브레이크 시간이 크게 달라진다.
브레이크 중에는 체인과는 별도로 데미지가 추가되며, 이 상태의 적에게 타이밍 좋게 공격하면 강력한 특수 공격을 캔슬시킬 수도 있다. 또한, 브레이크 상태에서는 어택커(후술)의 오토 어빌리티 「스매시 어퍼」에 의해 「공격」이 변화하여 띄울 수 있게 된다. 띄운 상태에서 추가 공격을 하면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적의 행동을 봉쇄할 수 있다. 단, 적의 종류에 따라 띄울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브레이크에 의해 형태가 변화하는 적도 있으며, 전반적으로 대폭 약화되므로, 빠르게 브레이크 상태로 만드는 것이 공략의 포인트가 된다. 또한, 적의 특수 공격 중에는 브레이크 중에 공격해도 캔슬할 수 없는 것이 있다.
== 소환수 시스템 ==
소환수는 루시 한 명당 한 마리만 소환 가능하며, 특정 이벤트 전투에서 "인정받음"(물리치는 것이 아님)으로 획득할 수 있다. 소환자가 성장하면 소환수도 자동으로 성장한다. 피니시 기술의 레벨은 전투 중 소환수와 연계하여 전투하면 오른다. 소환을 사용할 때는 '''TP'''(택티컬 포인트)가 필요하다. TP는 전투 종료 시 결과 랭크에 따라 획득할 수 있으며, 특정 아이템을 사용하여 보충할 수도 있다. 전투 멤버 중 누군가가 ATB 게이지를 최대치까지 스톡하여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명령을 성공시키면 회복한다. 또한, 팡이 특정 무기로 브레이크해도 회복한다.
소환수와의 전투에서는 드라이빙 게이지를 최대로 채워 최대치일 때 □ 버튼을 누르면 소환수에게 "인정받는다". 드라이빙 게이지를 채우는 방법은 소환수에 따라 다르다.
- '''소환''': 소환 중에는 소환자와 소환수만으로 파티를 이루어 싸우게 된다. 소환자의 TP 게이지가 DRIVE 게이지로 변화하며, 체인을 쌓아 증가한다. 이 게이지 양이 많을수록 드라이빙 모드에 돌입했을 때의 총 코스트가 증가하여 더 많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소환 중에 소환자의 HP가 0이 되면 소환자에게 리레즈를 사용하고 소환수는 귀환한다.
- '''SP(소몬 포인트)''': 소환수의 HP에 해당하는 수치. 적의 공격을 받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일정량까지 감소하면 드라이빙 모드의 게이지도 함께 감소하기 시작하고, SP가 0이 되면 귀환한다. SP가 0이 되기 전에 □ 버튼을 누르면 드라이빙 모드로 돌입한다.
- '''드라이빙 모드''': 드라이빙 모드는 소환수가 말이나 차로 변형하여 소환자를 태우고 싸운다. 아날로그 스틱과 버튼 조합으로 공격한다. 기술명 옆의 수치는 발동에 필요한 코스트이며, 기술을 사용하면 화면 왼쪽 아래의 총 코스트에서 수치가 줄어든다. 드라이빙 모드 중에는 미터의 바늘이 가리키는 빨간 게이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0이 되기 전에 기술을 사용하면 게이지는 최대치로 돌아가 다시 감소하기 시작한다. 시간 내에 기술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남은 총 코스트가 0이 되면 소환수는 자동으로 피니시 기술을 발동하고 귀환한다. 코스트와 게이지가 남아 있어도 수동으로 피니시 기술을 발동하면 소환수는 귀환한다.
- '''귀환 후''': 아군은 죽음의 선고를 제외한 상태 이상을 포함하여 전부 회복한다. 쌓인 체인 게이지가 리셋되고, 브레이크 상태도 해제된다.
== 옵티머 ==
옵티머는 전투 중 파티원의 '''역할(롤)'''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행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전투 중 L1 버튼을 누르면 옵티머 목록이 표시되며, 언제든지 변경하여 파티 전력과 행동 패턴을 바꿀 수 있다. 옵티머는 사전에 설정해둔 것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다. 각 멤버(최대 3인)의 역할을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없고, 정해진 최대 6 종류인 옵티머로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투 상황에 맞는 옵티머를 미리 설정해두어야 한다.
역할은 물리적 피해를 입히는 어태커, 속성 마법을 사용하는 블래스터, 체력 회복 및 부정적 상태 이상 제거가 가능한 힐러, 긍정적 상태를 부여하여 아군을 강화하는 엔핸서, 부정적 상태를 부여하여 적을 약화시키는 재머, 방어 능력을 가지고 적의 공격을 받는 디펜더로 구성된다.
== 롤(역할) ==
기존 시리즈의 직업과 유사하다. 캐릭터의 능력과 어빌리티는 세팅한 롤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고유의 보너스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파티 전체에 효과가 미친다. 같은 역할의 캐릭터가 있다면 효과가 보다 강해진다. 롤 레벨이 오르면 효과의 위력도 상승한다.
영문판에서는 대부분 군 병사의 역할과 연관된 명칭이 되었다.
역할 | 특징 |
---|---|
어택커 ATK | 공격에 특화된 역할. 주로 무속성 공격으로 싸운다. 체인 보너스의 지속 시간이 길기 때문에, 블래스터와 조합하는 것이 브레이크를 위한 기본이 된다. 보너스 효과는 공격 데미지 증가이다. |
블래스터 BLA | 체인을 잇는 것을 특기로 하는 역할. 속성 공격도 특기이다. 체인 보너스가 크게 상승하지만, 지속 시간이 짧기 때문에, 어택커나 재머로 지속 시간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보너스 효과는 체인 게이지 증가율 증가이다. |
디펜더 DEF | 방어에 능한 역할. 도발 등의 어빌리티도 습득한다. 보너스 효과는 피해량 감소이다. |
힐러 HLR | 회복에 특화된 역할.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보너스 효과는 아이템, 마법에 의한 HP 회복량 증가이다. |
엔핸서 ENH | 파티 지원용 역할. 프로텍트, 헤이스트 등을 습득한다.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보너스 효과는 강화 효과 지속 시간 연장이다. |
재머 JAM | 상대의 약화를 행하는 역할. 바이오, 슬로우 등을 습득한다.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체인 보너스의 상승량, 지속 시간 모두 어택커와 블래스터의 중간에 해당하기 때문에, 파티에 어택커가 없을 때 지속 시간을 늘리는 대체 역할이 된다(그런 상황이 되는 것은 드물다). 보너스 효과는 약화 효과 지속 시간 연장이다. |
== 크리스탈리움 ==
파이널 판타지 XIII의 성장 시스템은 전투에서 획득한 '''CP'''(크리스탈 포인트)를 사용하여, 능력치를 향상시키거나 어빌리티를 습득하여 역할(롤)별로 성장시키는 방식이다. 파이널 판타지 X의 「스피어판」과 비슷하지만, 크리스탈리움은 캐릭터마다 독립되어 있으며, 자유도는 높지 않다.
크리스탈리움은 같은 종류의 롤이라도 캐릭터마다 다르다. 원반은 다층구조로 중앙의 크리스탈에 도달하면 위쪽의 원반으로 이동한다. 또한 크리스탈리움에도 레벨이 있어 기본적인 스토리 진행만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서 원반의 증가 나아가서는 습득 가능한 크리스탈리움의 최대수도 증가된다. 크리스탈리움 레벨은 최대 10까지 상승하며 게임을 클리어하지 않는 경우 최대 레벨 9까지 상승한다.
성장시키고 싶은 롤을 정하면 원반 면이 나타난다. 파워라인으로 연결된 크리스탈이 배치되어 있으며 CP를 소비하는 것으로 그 라인을 따라 진행 가능하다. 크리스탈에 도달하면 어빌리티를 습득하거나 스테이터스 보너스를 얻거나 한다. 크리스탈은 5종류가 있으며, HP・물리공격・마법공격 등의 수치 상승, 어빌리티 습득, 악세사리 장착 가능 개수 증가, ATB 슬롯 증가, 롤 레벨 상승의 5가지이다.
크리스탈리움(Crystarium)은 6개의 크리스탈로 구성된 레벨 시스템으로, ''파이널 판타지 X''의 스피어 그리드와 유사하다. 크리스탈리움의 각 크리스탈은 6가지 직업 중 하나를 나타내며, 10개의 레벨로 나뉜다. 각 레벨에는 체력, 공격력, 마법력 등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능력과 액세서리 슬롯을 제공하는 다양한 노드가 있다. 이러한 노드는 반직선형 경로로 연결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적을 물리친 후에 얻는 크리스탈젠 포인트(Crystogen Points)를 획득하여 경로를 따라 진행할 수 있다. 게임 시작 시에는 모든 크리스탈리움을 사용할 수 없으며, 게임 스토리의 특정 시점에서 새로운 크리스탈이나 레벨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개조 ==
소재를 사용해 장비품을 강화하는 시스템이다. 장비품은 소재를 사용해 개조하면 경험치가 모여 레벨 업하면 성능이 올라가며 어빌리티가 부여되기도 한다. 장비품은 각각 레벨 한계치가 있으며, 레벨이 ★로 표시되는 장비품은 특정 소재로 아이템 체인지 가능하다. 아이템 체인지하면 이름과 외관 성능이 변한다. 아이템 체인지한 무기는 대개 한계까지 개조한 장비품보다 일시적으로 성능은 떨어지지만, 더욱 개조를 거듭해나가면 개조 전의 장비품을 상회하는 성능을 지니게 된다.
소재의 경험치 상승 폭은 소재마다 정해져 있으며, 그 중에는 경험치 보너스(=경험치에 필요한 배율, 최대 3배)를 줄여버리는 것도 있다. 소재는 크게 3개 장르로 나뉘며, 소재의 장르는 소재의 이름 왼쪽 아이콘으로 확인 가능하다.
- '''기계소재''' - 비교적 경험치가 높고 경험치 보너스가 감소. 나사와 같은 아이콘.
- '''생체소재''' – 비교적 경험치가 낮고, 입수가 쉬고 경험치 보너스도 증가한다. 덩굴같은 아이콘.
- '''광석소재''' – 아이템 체인지 용 소재. 경험치 입수와 경험치 보너스가 변하지는 않는다. 돌과 같은 아이콘.
해체한 장비품은 없어지지만 대신 소재를 입수할 수 있다. 가끔 그 중에는 해체로만 습득 가능한 소재도 있다. 또한 해체 대상의 아이템 레벨에 따라서 입수 가능한 아이템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 장비품 ==
본 작품에서는 무기와 액세서리만 장비할 수 있으며, 각 장비에는 고유한 어빌리티가 부여된다.
; 무기
: 무기는 하나만 장비할 수 있다. 적이나 롤의 특성에 따라 다수의 무기를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한다. 캐릭터마다 사용 가능한 무기 카테고리가 정해져 있으며, 무기를 개조해도 이 카테고리는 변하지 않는다. 배틀 중에는 무기를 교체할 수 없다.
; 액세서리
: 초기에는 액세서리를 한 개만 장착할 수 있지만, 캐릭터가 성장함에 따라 최대 4개까지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액세서리는 개조를 통해 성능 향상이 가능하며, 기존 방어구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장비 어빌리티
: 장비품에 부가되는 어빌리티이다. 직접 공격과 마법 위력을 향상시키거나, 특정 조건에서 ATB 게이지나 TP를 회복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프로테스, 헤이스트, 각종 속성 강화 등 스테이터스 효과를 부여하는 어빌리티도 있다.
; 연쇄 어빌리티
: 특정 무기와 액세서리를 조합하면 특수한 어빌리티가 발동된다.
== 초코보 ==
특정 미션을 완료하면 아르카키르티 대평원(アルカキルティ大平原)에서 초코보를 탈 수 있다. 초코보를 이용하면 걷는 것보다 훨씬 빠르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갈 수 없는 특정 장소로 점프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초코보는 땅 속에 묻혀있는 보물을 발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탑승 중 초코보의 머리 위에 "!" 아이콘이 표시되면 그 주변에 보물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물에 가까워질수록 아이콘의 움직임이 격렬해지며, 초코보는 보물이 있는 방향으로 머리를 향한다.
== 명비(冥碑)와 미션 ==
'그랑=펄스' 곳곳에 흩어져 있는 명비로부터 미션을 받아 특정 몬스터를 토벌한다. 명비를 만지면 미션을 받을 수 있으며, 타겟 몬스터나 그 출몰 지역, 난이도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타겟 몬스터를 토벌하면 보수를 얻고 미션은 한 번 클리어 후에 몇 번이고 재도전 가능하다.
특정 미션을 클리어하면 잠들어있던 명비가 눈을 뜨기 때문에 다른 미션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특수한 명비인 「텔레포의 명비」(미션을 클리어하면 워프 포인트로써 사용 가능), 「명비의 결계」(미션을 클리어하면 봉쇄된 에리어가 봉인 해제됨)도 존재한다.
== 오토 클립 ==
메뉴에 있는 도움말과 용어 사전 등을 집약한 시스템이다. 자동적으로 수집되며 새로운 항목이 추가되면 화면에 통지된다.
- 스토리 – 메인 스토리를 진행하면 추가된다.
- 13일간 – 스토리 발단이된 13일간 벌어지는 일들이 점점 밝혀진다.
- 인물, 전설과 역사, 지역과 시설, 성부와 사회 – 각각 캐릭터와 용어 해설.
- 파루시 – 작품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파루시/ファルシ일본어 해설.
- 단편의 장 – 특정 미션과 서브 이벤트를 하면 추가되며 메인 스토리를 보완하는 세계 설정.
- Tips – 시스템의 해설. 기본 조작편・배틀편・필드편・메뉴편이 있다.
- 에너미 리포트 – 적을 쓰러뜨리거나 라이브라를 사용하면 추가된다.
2. 1. 배틀 시스템
「액티브 타임 배틀 시스템을 속도감을 내는 방향으로 진화시킨 것」과 「명령의 연쇄, 동료와 연결되어 확장되는 행동의 연쇄」, 『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과 같은 전투가 테마이다.
본 작품에서는 리더 캐릭터가 전투 불능이 되면, 다른 동료가 건재하더라도 게임 오버가 된다. 게임 오버 후에는, 엔카운트 전부터 다시 시작하거나 게임을 종료하게 된다.
전투가 종료되면 HP는 전부 회복되고, 전투 불능 등의 상태 이상은 해제된다. 전투 종료 후, 직접 길을 획득할 수 없다. 보물 상자를 열어 직접 입수하거나, 전투 등에서 입수한 필요 없는 아이템을 팔아 길을 얻게 된다.
; 심볼 인카운트
: 본작에서는 필드 위에 적이 보이고, 그것에 접촉하면 근처의 적을 끌어들여 배틀 필드로 이동한다.
: 전투에 돌입한 경우, 「도망치기」 명령이 없으므로, 그 전투 중에 도망칠 수 없게 되었다. 만일 전투에 돌입한 경우에는, 전투 중 또는 게임 오버 시에 다시 시작을 선택함으로써 엔카운트 전의 상황으로 돌아갈 수 있다.
; 기습 공격
: 적에게 발각되기 전에 접촉하면 기습 공격이 되어, 배틀 시작 시에 자동으로 공격을 한다. 그에 따라 적을 브레이크 직전까지 몰아넣은 상태에서 배틀이 시작되고, 결과 화면에서의 평가도 상승한다.
; 결과 화면
: 전투에서 승리하면, 결과 화면에서 평가된다. 파티 및 적의 강함, 기습인지 여부 등의 조건으로부터 산출된 목표 시간을 주된 기준으로 산출된다. 별의 수로 표시되는 배틀 랭크가 높을수록 TP가 많이 회복되거나, 희귀 아이템을 입수할 수 있는 등의 메리트가 있다.
; 다시 시작
: 전투에서는 결과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이라면, 노리스크로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실행하면 엔카운트 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 전투 시에 사용한 아이템이나 TP, 전투 전에 사용한 스모크는 모두 원래대로 돌아온다.
; 에너미 리포트
: 메뉴의 「오토 클립」 내의 항목에서 열람할 수 있는, 적의 정보가 모두 축적된 항목이다. AI가 판명된 적의 특징에 맞춘 행동을 취하게 된다.
; 세이브 포인트・숍
: 세이브 포인트와 숍은 연동되어 있으며, 코쿤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구입하는 형식이므로, 어느 세이브 포인트를 사용해도 같은 것을 구입할 수 있다.
; 옵티머
: 옵티머는 전투 중 파티원의 '''역할(롤)'''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행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전투 중 L1 버튼을 누르면 옵티머 목록이 표시되며, 언제든지 변경하여 파티 전력과 행동 패턴을 바꿀 수 있다. 옵티머는 사전에 설정해둔 것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다.
; 롤(역할)
: 기존 시리즈의 직업과 유사하다. 캐릭터의 능력과 어빌리티는 세팅한 롤에 따라 변화한다.
역할 | 특징 |
---|---|
어택커 ATK | 공격에 특화된 역할. 주로 무속성 공격으로 싸운다. |
블래스터 BLA | 체인을 잇는 것을 특기로 하는 역할. 속성 공격도 특기이다. |
디펜더 DEF | 방어에 능한 역할. 도발 등의 어빌리티도 습득한다. |
힐러 HLR | 회복에 특화된 역할.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
엔핸서 ENH | 파티 지원용 역할. 프로텍트, 헤이스트 등을 습득한다.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
재머 JAM | 상대의 약화를 행하는 역할. 바이오, 슬로우 등을 습득한다.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
2. 1. 1. 액티브 타임 배틀(ATB)
본 작품의 ATB 게이지는 여러 개의 슬롯으로 나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커맨드에는 '''코스트'''가 설정되어 있으며, 슬롯 1개 당 코스트 1의 기술을 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커맨드를 '''스톱'''시킬 수 있는데 △버튼을 눌러 ATB 게이지가 MAX가 되면 선택했던 커맨드를 순차적으로 한 번에 발동시킬 수 있다. 슬롯마다 커맨드를 입력해 연속공격을 노리거나 다수의 슬롯을 일시에 소비해 강력한 공격을 노릴지는 플레이어의 판단에 달려있다.강력한 공격을 받아 넘어지면 행동이 방해받는다. 방해받는다는 것은 실행하려 했던 공격이 캔슬이 된다는 뜻이다. 캔슬되도 해려했던 공격의 ATB 게이지는 소비되지 않는다. 공격 행동 중에 ×를 누르면 공격을 도중에 종료시킬 수 있다.
리더의 커맨드 입력은 수동으로 기술・마법을 하나씩 입력하는 방법과 자동으로 결정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어느 쪽을 초기 상태로 정할 지는 메뉴의 콘픽에서 선택이 가능하며, 자동으로 해서 생략되게 하려면 ○버튼을 연타하는 것만으로 전투를 끝내는 것도 가능하다.
아이템 사용과 TP 어빌리티(소환・라이브라 등)은 ATB에 관계 없이 즉석에서 발동 가능하다. ATB 게이지의 소모도 없다.
2. 1. 2. 체인과 브레이크와 쳐 올리기
적을 공격하면 화면 오른쪽 위의 체인 보너스와 체인 게이지가 상승한다. 공격이 끊기면 게이지가 감소하며, 0이 되기 전에 공격을 이으면 체인 수가 증가한다. 체인 중에는 일반보다 높은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보너스가 오른쪽의 고정 수치를 웃돌면 적을 브레이크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브레이크 상태가 되면 체인 게이지가 감소하며, 게이지가 0이 되면 다시 체인 게이지를 모을 수 있다. 체인 게이지를 모으는 방법에 따라 브레이크 시간이 크게 달라진다.브레이크 중에는 체인과는 별도로 데미지가 추가되며, 이 상태의 적에게 타이밍 좋게 공격하면 강력한 특수 공격을 캔슬시킬 수도 있다. 또한, 브레이크 상태에서는 어택커(후술)의 오토 어빌리티 「스매시 어퍼」에 의해 「공격」이 변화하여 띄울 수 있게 된다. 띄운 상태에서 추가 공격을 하면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적의 행동을 봉쇄할 수 있다. 단, 적의 종류에 따라 띄울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브레이크에 의해 형태가 변화하는 적도 있으며, 전반적으로 대폭 약화되므로, 빠르게 브레이크 상태로 만드는 것이 공략의 포인트가 된다. 또한, 적의 특수 공격 중에는 브레이크 중에 공격해도 캔슬할 수 없는 것이 있다.
2. 1. 3. 소환수 시스템
소환수는 루시 한 명당 한 마리만 소환 가능하며, 특정 이벤트 전투에서 "인정받음"(물리치는 것이 아님)으로 획득할 수 있다. 소환자가 성장하면 소환수도 자동으로 성장한다. 피니시 기술의 레벨은 전투 중 소환수와 연계하여 전투하면 오른다. 소환을 사용할 때는 '''TP'''(택티컬 포인트)가 필요하다. TP는 전투 종료 시 결과 랭크에 따라 획득할 수 있으며, 특정 아이템을 사용하여 보충할 수도 있다. 전투 멤버 중 누군가가 ATB 게이지를 최대치까지 스톡하여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명령을 성공시키면 회복한다. 또한, 팡이 특정 무기로 브레이크해도 회복한다.소환수와의 전투에서는 드라이빙 게이지를 최대로 채워 최대치일 때 □ 버튼을 누르면 소환수에게 "인정받는다". 드라이빙 게이지를 채우는 방법은 소환수에 따라 다르다.
- '''소환''': 소환 중에는 소환자와 소환수만으로 파티를 이루어 싸우게 된다. 소환자의 TP 게이지가 DRIVE 게이지로 변화하며, 체인을 쌓아 증가한다. 이 게이지 양이 많을수록 드라이빙 모드에 돌입했을 때의 총 코스트가 증가하여 더 많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소환 중에 소환자의 HP가 0이 되면 소환자에게 리레즈를 사용하고 소환수는 귀환한다.
- '''SP(소몬 포인트)''': 소환수의 HP에 해당하는 수치. 적의 공격을 받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일정량까지 감소하면 드라이빙 모드의 게이지도 함께 감소하기 시작하고, SP가 0이 되면 귀환한다. SP가 0이 되기 전에 □ 버튼을 누르면 드라이빙 모드로 돌입한다.
- '''드라이빙 모드''': 드라이빙 모드는 소환수가 말이나 차로 변형하여 소환자를 태우고 싸운다. 아날로그 스틱과 버튼 조합으로 공격한다. 기술명 옆의 수치는 발동에 필요한 코스트이며, 기술을 사용하면 화면 왼쪽 아래의 총 코스트에서 수치가 줄어든다. 드라이빙 모드 중에는 미터의 바늘이 가리키는 빨간 게이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0이 되기 전에 기술을 사용하면 게이지는 최대치로 돌아가 다시 감소하기 시작한다. 시간 내에 기술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남은 총 코스트가 0이 되면 소환수는 자동으로 피니시 기술을 발동하고 귀환한다. 코스트와 게이지가 남아 있어도 수동으로 피니시 기술을 발동하면 소환수는 귀환한다.
- '''귀환 후''': 아군은 죽음의 선고를 제외한 상태 이상을 포함하여 전부 회복한다. 쌓인 체인 게이지가 리셋되고, 브레이크 상태도 해제된다.
2. 1. 4. 옵티머
옵티머는 전투 중 파티원의 '''역할(롤)'''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행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전투 중 L1 버튼을 누르면 옵티머 목록이 표시되며, 언제든지 변경하여 파티 전력과 행동 패턴을 바꿀 수 있다. 옵티머는 사전에 설정해둔 것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다. 각 멤버(최대 3인)의 역할을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없고, 정해진 최대 6 종류인 옵티머로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투 상황에 맞는 옵티머를 미리 설정해두어야 한다.역할은 물리적 피해를 입히는 어태커, 속성 마법을 사용하는 블래스터, 체력 회복 및 부정적 상태 이상 제거가 가능한 힐러, 긍정적 상태를 부여하여 아군을 강화하는 엔핸서, 부정적 상태를 부여하여 적을 약화시키는 재머, 방어 능력을 가지고 적의 공격을 받는 디펜더로 구성된다.
2. 1. 5. 롤(역할)
ATKBLA
DEF
HLR
ENH
J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