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박스 360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가정용 게임기로, 2005년 11월 북미에서 처음 출시되었다. 이후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2006년 2월 대한민국에도 정식 발매되었다. 엑스박스 360은 엑스박스 라이브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멀티플레이, 콘텐츠 다운로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키넥트와 같은 주변기기를 통해 게임 경험을 확장할 수 있었다. 2016년 4월 생산이 종료되었지만, Xbox One에서 하위 호환을 지원하여 일부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엑스박스 360 - 키넥트 키넥트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동작 인식 장치로, 적외선 프로젝터와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과 음성을 인식하며, Xbox용으로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었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 등으로 판매가 부진하여 생산이 중단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기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클라우드 기반 Azure Kinect로 이어졌으나 단종되었다.
엑스박스 360 - 제노스 제노스는 3개의 SIMD 엔진과 48개의 셰이더 유닛, 10MB의 eDRAM을 갖춘 GPU로, 90nm 공정으로 제작되어 500MHz로 작동하며, 최대 4기가픽셀의 픽셀 필레이트를 지원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콘솔 - 엑스박스 Xbox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비디오 게임 브랜드로, 여러 세대에 걸쳐 다양한 하드웨어,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출시하며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의 Wii 및 스위치와 경쟁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콘솔 - 엑스박스 시리즈 X/S 마이크로소프트의 4세대 엑스박스 콘솔인 엑스박스 시리즈 X/S는 고성능 모델 X와 보급형 모델 S로 나뉘며, AMD Zen 2 CPU와 RDNA 2 GPU, SSD를 탑재하여 성능 향상, 빠른 로딩, 퀵 Resume 기능, 하위 호환성, 엑스박스 게임 패스 구독 등의 특징을 가진다.
7세대 게임기 - 닌텐도 DS 닌텐도에서 2004년에 출시한 휴대용 게임기인 닌텐도 DS는 듀얼 스크린과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캐주얼 게임 시장 확장과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게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7세대 게임기 - Wii Wii는 닌텐도에서 개발하여 2006년에 출시된 가정용 비디오 게임 콘솔로, 혁신적인 Wii 리모컨을 통해 직관적인 조작 방식을 제공하며 닌텐도 게임큐브와의 하위 호환을 지원했다.
분리형 하드 드라이브: 20, 60, 120 또는 250 GB (구형 모델); 250, 320 또는 500 GB (Xbox 360 S 모델) 메모리 카드 (분리형) (오리지널 디자인만 해당): 64 MB, 256 MB, 512 MB 온보드 저장 칩: 아케이드 콘솔 (후기 모델): 256 MB, 512 MB 보급형 "Xbox 360 S" 콘솔: 4 GB 외장 USB 저장 장치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필요): 1 GB ~ 2 TB 클라우드 저장 (엑스박스 계정 필요): 2 GB
최대 4개 (조합 가능): 엑스박스 360 컨트롤러 (USB 유선, 2.4 GHz 무선) 엑스박스 360 무선 레이싱 휠 리듬 게임 컨트롤러 빅 버튼 패드 엑스박스 360 아케이드 스틱 에이스 컴뱃 6 플라이트 스틱 키넥트
연결성
오리지널 모델: 2.4 GHz 무선, 3 × USB 2.0, IR 수신기, 100 Mbit/s 이더넷 추가 기능: Wifi 802.11 a/b/g Wifi 802.11a/b/g/n 개정된 "S" 모델: 2.4 GHz 무선, 5 × USB 2.0, 디지털 광학 오디오 출력, IR 수신기, 100 Mbit/s 이더넷, Wifi 802.11b/g/n, AUX 포트, HDMI 포트 개정된 "E" 모델: 2.4 GHz 무선, 4 × USB 2.0, IR 수신기, 100 Mbit/s 이더넷, Wifi 802.11b/g/n, AUX 포트, HDMI 포트
오리지널 Xbox 360: US/CA: 2005년 11월 22일 EZ/NO/SE/UK/CH: 2005년 12월 2일 JP: 2005년 12월 10일 CO/MX: 2006년 2월 2일 KR: 2006년 2월 24일 HK/SG/TW: 2006년 3월 16일 AUS: 2006년 3월 23일 CL: 2006년 7월 7일 IN: 2006년 9월 25일 ZA: 2006년 9월 29일 CZ/PL: 2006년 11월 3일 BR: 2006년 12월 1일 RU: 2007년 2월 11일 PE: 2008년 2월 25일 UAE: 2008년 10월 28일 NG/TR: 2009년 SC: 2010년 봄 Xbox 360 S: 북미: 2010년 6월 18일 오스트레일리아: 2010년 7월 1일 NZ: 2010년 7월 8일 유럽: 2010년 7월 16일 Xbox 360 E: 북미: 2013년 6월 10일 유럽: 2013년 6월 20일
"E" 모델 USB x 4 이더넷 연결용 RJ-45 x 1 AUX 포트 A/V 단자 WiFi 802.11b/g/n 지원 "S" 모델 USB x 5 이더넷 연결용 RJ-45 x 1 AUX 포트 WiFi 802.11b/g/n 지원 오리지널 모델 USB x 3 이더넷 연결용 RJ-45 x 1
온라인 서비스
엑스박스 라이브
판매량
[[파일:Newworldmap.png|26px|전 세계]] 8,400만 대 (2014년 6월 기준) [[파일:Flag of Japan.svg|26px|일본]] 약 162만 대
최고 판매 소프트웨어
[[파일:Newworldmap.png|26px|전 세계]] 키넥트 어드벤처! / 2,400만 장 [[파일:Flag of Japan.svg|26px|일본]] 스타오션4 -THE LAST HOPE- / 약 21만 장
엑스박스의 후계 기종으로 개발된 엑스박스 360은 정식 명칭 발표 전까지 '제논' 등 여러 가칭으로 불렸다. 개발은 2003년 초 마이크로소프트 내부에서 시작되었으며,[353] 경쟁 기종인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3보다 앞서 시장에 출시되었다.
2005년5월 12일, MTV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전 세계에 공식적으로 공개되었으며,[355] 같은 해 11월 22일 북미 지역을 시작으로 발매되었다. 북미에서는 출시 초기 품귀 현상을 빚을 정도로 인기를 얻었으나,[227]12월 10일 출시된 일본에서는 초기 판매량이 전작 엑스박스에 미치지 못하며 부진한 출발을 보였다.[226]대한민국에는 2006년2월 24일 정식 발매되었으며, 일반판은 41.9만원, 염가판 '코어 시스템'은 33.9만원에 판매되었다. 한국 시장에서의 온라인 사전 예약은 9시간 만에 매진되는 등 초기 반응은 긍정적이었다.[356]
출시 이후 여러 모델이 등장했다. 2007년에는 HDMI 단자와 120GB 하드 디스크를 탑재한 상위 모델 '''Xbox 360 Elite'''가 출시되었고,[209]2010년에는 디자인을 변경하고 크기를 줄인 '''Xbox 360 S''' 모델이 250GB 하드 디스크와 내장 Wi-Fi 기능을 갖추고 발매되었다.[215]2013년에는 후속 기종인 엑스박스 원과 유사한 디자인의 '''Xbox 360 E''' 모델이 출시되었다.[221]
엑스박스 360은 Xbox Live를 통해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했다. 2009년에는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연동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며,[214]2010년에는 동작 인식 컨트롤러 Kinect가 발매되어 새로운 게임 플레이 방식을 선보였다.[217][220] 같은 해 ZUNE 비디오 서비스를 통해 영화 및 TV 프로그램 배포도 시작했다.[219]
판매량 면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2006년 말 전 세계 누적 출하량 1,000만 대를 돌파했고,[230]2008년 말에는 2,800만 대,[235]2011년 6월에는 5,500만 대,[238]2013년 10월에는 8,000만 대를 넘어섰다.[241] 특히 북미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일본 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전하여 2009년 3월에야 누적 판매량 100만 대를 돌파했다.[236]
2016년4월 20일, 마이크로소프트는 Xbox 360의 생산 종료를 공식 발표했다. 다만, 기존 구매자를 위한 Xbox Live 서비스 및 기술 지원은 계속 유지되었다.[222] 이후 2024년7월 29일부로 Xbox 360 스토어(마켓플레이스) 서비스가 종료되어, 해당 플랫폼을 통한 신규 콘텐츠 구매는 불가능해졌으나 구매한 게임의 재다운로드 및 플레이는 계속 지원된다.[224][225]
2. 1. 개발
엑스박스의 후계 기종 개발은 2003년 초에 시작되었으며, 정식 모델명 발표 전까지는 '엑스박스 FS', '엑스박스 넥스트', '넥스트박스', '엑스박스 2', '제논' 등 다양한 가칭으로 불렸다.[31][32]2003년 2월, 마이크로소프트의 부사장 제임스 알라드의 지휘 아래 '제논'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대한 계획이 시작되었다.[32] 같은 달, 마이크로소프트는 개발자들의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워싱턴주벨뷰에서 400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행사를 개최했으며,[32] 전 세가 북미지사장 피터 무어가 마이크로소프트에 합류했다.
핵심 기술 파트너십 구축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2003년 8월 12일, 마이크로소프트는 ATI(현 AMD)와 새로운 콘솔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353][33]중앙 처리 장치(CPU)인 제논 프로세서는 IBM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다. 제논 프로세서의 코어는 경쟁 기종인 플레이스테이션 3의 셀 프로세서 PPE 아키텍처를 약간 수정한 버전을 기반으로 했는데, IBM 직원들은 셀 프로세서 공동 개발 파트너였던 소니와 도시바에게 이 사실을 숨겼다고 알려져 있다.[354][34] 출시 전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애플의 파워맥 G5 하드웨어를 사용한 알파 개발 키트가 포착되기도 했는데, 이는 파워맥 G5의 파워PC 970 프로세서가 제논 프로세서와 동일한 파워PC 아키텍처를 사용했기 때문이다.[34] 또한, 게임 내 음악 시각화 프로그램인 네온은 제프 민터가 제작했다.[35]
도쿄 게임쇼(2005년)
2005년5월 12일, 마이크로소프트는 MTV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엑스박스 360을 공식 발표했다. 〈MTV Presents: The Next Generation Xbox Revealed〉라는 특별 프로그램에는 배우 일라이저 우드가 출연하고 밴드 더 킬러스가 공연을 선보였다. 발표 이후 엑스박스 360은 2005년5월 23일 발행된 《타임》지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355]
개발자들을 위한 지원책으로 2006년 8월, 마이크로소프트는 엑스박스 360 및 PC용 게임 개발 키트인 'XNA Game Studio Express'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Visual C# Express에 엑스박스 360용 컴파일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개발자들이 보다 쉽게 엑스박스 360용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 다만, 개발한 게임을 실제 엑스박스 360에서 실행하려면 유료인 XNA Creators Club 회원으로 가입해야 했다.
2. 2. 출시
엑스박스의 후계 기종으로, 정식 모델명 발표 전에는 엑스박스 FS, 엑스박스 넥스트, 넥스트박스 엑스박스 2, 제논 등 다양한 가칭으로 불렸다. 2003년 2월,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 제임스 알라드의 지휘 아래 제논 소프트웨어 플랫폼 계획이 시작되었고, 같은 시기 마이크로소프트는 개발자 채용을 위해 워싱턴주벨뷰에서 행사를 열었다. 이 달에는 전 세가 북미지사장 피터 무어가 마이크로소프트에 합류했다. 2003년 8월 12일, ATI와 새로운 콘솔의 그래픽 프로세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353] 출시 전에는 애플 파워 맥 G5 하드웨어를 이용한 초기 개발품이 포착되기도 했는데, 이는 IBM 제논 프로세서와 같은 파워피시 아키텍처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제논 프로세서의 코어는 플레이스테이션 3의 셀 프로세서 PPE 아키텍처를 일부 수정하여 개발되었으며, IBM 직원들은 이 사실을 당시 소니와 도시바에게 숨겼다고 알려졌다.[354] 엑스박스 360은 경쟁 기종인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3보다 먼저 시장에 출시되었다.
2005년5월 12일, MTV는 〈MTV Presents: The Next Generation Xbox Revealed〉라는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엑스박스 360을 공식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에는 배우 일라이저 우드가 출연하고 밴드 더 킬러스가 공연을 선보였다. 발표 이후 엑스박스 360은 2005년5월 23일 발행된 《타임》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355]
북미 출시 초기에는 품귀 현상을 빚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2005년12월 10일 출시 후 첫 이틀간 판매량이 약 6만 2천대에 그쳐, 초기 엑스박스의 3일간 판매량(약 12만 4천대)에 비해 부진한 출발을 보였다.[226] 이는 기대작이었던 데드 오어 얼라이브 4의 발매 연기가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었으나,[226] 실제 해당 게임 발매 이후에도 판매량이 크게 늘지는 않았다. 2005년 말 기준 전 세계 누적 출하량 150만 대 중 일본 시장의 비중은 10만 대로 저조했다.[227]
대한민국에는 2006년2월 24일 정식 발매되었다. 가격은 엑스박스 360 일반판이 41.9만원, 하드디스크 등이 제외된 염가판 '코어 시스템'이 33.9만원으로 책정되었다. 온라인 사전 예약 구매자에게는 패키지 상품 외에 CGV 영화 관람권 2매와 한정판 페이스 플레이트가 제공되었는데, 판매 시작 9시간 만에 매진될 정도로 초기 반응이 뜨거웠다.[356]
초기 모델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코어'''(Core): '입문' 단계 제품으로, SDTV 해상도만 지원하는 컴포지트 비디오 케이블이 기본 제공되었다. 이후 HDMI 1.2 출력을 지원하는 모델도 나왔으며, 별도 케이블 구매 시 HD 출력이 가능했다. 하드 디스크는 별매였고, 유선 컨트롤러가 포함되었다. 후에 단종되고 '아케이드' 모델로 대체되었다. 일본에서는 2006년 11월 2일에 뒤늦게 발매되었다.[359]
'''아케이드'''(Arcade): 코어 모델의 후속으로 2007년10월 22일 발표되었다.[360] 대한민국에는 10월 24일 29.9만원에 발매되었다.[361] 무선 컨트롤러, 컴포지트 AV 케이블, 내장 메모리(초기 256MB, 이후 512MB), 5가지 Xbox Live 아케이드 게임이 포함되었다.
'''프로'''(Pro): 아케이드 모델의 기능에 더해 하이브리드 컴포지트/컴포넌트 케이블과 탈착 가능한 하드 디스크(초기 20GB, 이후 60GB)가 제공되었다. 이전 엑스박스 게임과의 하위 호환을 지원했으며, 게임 데모, 동영상, 헥식 HD 게임이 포함되었다. 2007년 7월 이후 모델부터 HDMI 1.2 출력을 지원하고 GPU 방열판이 강화되었으나 HDMI 케이블은 별매였다. 2007년 9월 말부터는 65nm 공정 CPU를 탑재한 '팔콘' 마더보드 모델이 출시되어 소음과 발열이 개선되었다. 20GB 모델은 2008년 8월, 60GB 모델은 2009년 8월에 단종되었다.
'''엘리트'''(Elite): 최상위 모델로, 120GB 하드 드라이브와 검은색 본체, 컨트롤러, 헤드셋이 특징이었다. 초기부터 HDMI 1.2 출력을 지원했으며, 이후 '팔콘' 칩셋을 탑재했다.
2006년 6월 말, 전 세계 누적 출하량은 500만 대를 돌파했으며(북미 330만, 유럽 130만, 아시아 40만),[228] 같은 해 12월 31일에는 1,040만 대를 넘어섰다.[230] 일본 시장에서는 2006년 12월 블루 드래곤 발매와 함께 판매량이 증가하여 2007년 첫 주 누적 30만 대를 돌파했고,[229] 같은 해 11월에는 에이스 컴뱃 6: 해방의 전화 출시 등의 영향으로 누적 50만 대를 넘어서며 초기 엑스박스의 일본 판매량을 추월했다.[232]2008년 6월 말 전 세계 누적 출하량은 2,000만 대를 돌파했으며,[233] 같은 해 말에는 2,800만 대를 넘어섰다.[235]2009년 3월 말에는 일본 누적 판매량 100만 대를 돌파했다.[236]2011년 6월 말 전 세계 누적 출하량은 5,500만 대,[238]2012년 10월에는 7,000만 대,[239]2013년 10월에는 8,000만 대를 돌파했다.[241]
2010년6월 19일(북미 기준), 더 작고 슬림해진 디자인에 250GB 하드디스크와 Wi-Fi를 내장한 신형 모델 '''Xbox 360 S'''가 299.99USD에 출시되었다.[25] 이 모델은 45nm 공정의 통합 CPU/GPU를 탑재하고 발열 및 소음 문제를 개선했다. 일본에서는 6월 24일에 발매되었다.[215] Xbox 360 S 출시와 함께 기존 엘리트와 아케이드 모델은 가격이 인하된 후 단종 수순을 밟았다. 2010년8월 3일에는 4GB 내장 메모리를 탑재한 Xbox 360 S 4GB 모델이 199.99USD에 출시되었다.
2013년6월 10일(북미 기준), E3에서 엑스박스 원과 유사한 디자인으로 변경된 '''Xbox 360 E''' 모델이 발표 및 출시되었다.[120] 기존 S 모델보다 원가를 절감하고 크기와 소음을 개선했으며, 가격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일본에서는 9월 19일에 발매되었다.[221]
2016년4월 20일, 마이크로소프트는 모든 Xbox 360 모델의 생산 종료를 공식 발표했다.[3] 재고가 소진될 때까지 판매는 계속되었으며, Xbox Live 서비스와 기술 지원은 계속 유지되었다. 해외에서는 2018년 발매된 FIFA 19까지 소프트웨어 공급이 이어졌다.
2. 3. 모델 및 판매량
엑스박스 360은 출시 당시 및 이후 여러 모델로 출시되었다. 초기에는 '엑스박스 360 프리미엄'(비공식적으로 20GB Pro)과 '엑스박스 360 코어' 두 가지 구성으로 제공되었다. 프리미엄 모델은 399USD 또는 279.99GBP에, 코어 모델은 299USD 또는 209.99GBP에 판매되었다. 초기 프리미엄 모델에는 프로모션으로 미디어 리모컨 축소 버전이 포함되었다.[108]
이후 다양한 모델이 추가되거나 기존 모델을 대체했다.
'''코어'''(Core): '입문' 단계 제품으로, SDTV 해상도만 지원하는 컴포지트 비디오 케이블이 기본 제공되었으나, 특정 로트 번호 이상은 HDMI 1.2 출력을 지원했다. HD 출력은 별도 케이블 구매 시 가능했으며, 하드 드라이브도 별도 구매하여 장착할 수 있었다. 유선 컨트롤러가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코어 모델은 단종되고 아케이드 모델로 대체되었다. 일본에서는 뒤늦게 2006년 11월 2일에 발매되었다.[359] 2007년 10월 27일 단종되었다.[117]
'''아케이드'''(Arcade): 코어 모델을 대체하여 2007년 10월 22일 279.99USD 가격으로 발표되었고,[360] 대한민국에는 10월 24일 29.9만원에 발매되었다.[361] 무선 컨트롤러, 컴포지트 AV 케이블, 내장 메모리(초기 256MB, 이후 512MB),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 게임 5종이 제공되었다. 2010년 6월 단종되었다.[25]
'''프로'''(Pro): 아케이드 모델의 기능에 더해 하이브리드 컴포지트/컴포넌트 케이블과 탈착 가능한 하드 디스크(초기 20GB, 이후 60GB)가 제공되었다. 이전 Xbox 게임과의 하위 호환을 지원했으며, 게임 데모, 동영상, 헥식 HD 게임 등이 포함되었다. 특정 시점 이후 모델부터 HDMI 출력 지원 및 개선된 칩셋(제퍼, 팔콘)이 탑재되어 발열과 소음이 줄었다. 20GB 모델은 2008년 8월, 60GB 모델은 2009년 8월에 단종되었다.
'''엘리트'''(Elite): 가장 고가 모델로, 120GB 하드 드라이브와 검은색 본체가 특징이다. 초기부터 HDMI 출력을 지원했으며, 본체 색상과 맞는 검은색 컨트롤러와 헤드셋이 제공되었다. 2007년 4월 29일 479.99USD에 출시되었으며,[115] 이후 가격 인하를 거쳐 2010년 6월 단종되었다.[25]
바이오하자드 5 패키지
'''S (슬림)''': 2010년 6월에 발표된 모델로, 기존 엘리트와 아케이드를 대체했다. 더 작고 각진 디자인의 케이스와 하드웨어 및 과열 문제를 개선한 재설계된 마더보드를 특징으로 한다. Kinect 센서용 포트가 추가되었다.[25][111][112] 250GB 모델과 4GB 모델 두 가지로 출시되었으며, 각각 299.99USD와 199.99USD에 판매되었다.[25]
'''E''': 2013년 6월 Xbox One에서 영감을 받은 투톤 직사각형 디자인으로 출시된 모델이다. S 모델보다 USB 포트가 하나 적고, AV 커넥터가 없어 HDMI 출력만 지원하며 S/PDIF를 지원하지 않는다.[113] 250GB 모델과 4GB 모델이 각각 299.99USD와 199.99USD에 판매되었다.[120]
이 외에도 여러 한정판 모델이 출시되었다.
'''헤일로 3 한정판''': 2007년 9월 북미(399.99USD)와 대한민국(499900KRW) 등에 발매되었다. 헤일로 3 테마와 스파르탄 색상이 적용되었고, 무선 헤드셋, 컨트롤러, 플레이 앤 차지 킷, HDMI 포트 등이 포함되었다.[362]
'''심슨 가족 영화 한정판''': 영화 홍보를 위해 제작된 노란색 본체로, 총 100대만 생산되었다.[363]
'''바이오하자드 5 패키지''': 2009년 3월 발매된 엘리트 모델 기반 패키지. 빨간색 무선 컨트롤러, 검은색 유선 헤드셋,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HD 리믹스》가 포함되었다. 대한민국 소비자 가격은 43.5만원였다.[364]
'''엘리트 번들 패키지''': 2009년 11월 발매. 120GB 엘리트 본체와 《레고 배트맨》, 《퓨어》 게임을 묶어 41.9만원에 판매했다.[365]
마이크로소프트는 2016년 4월 20일, 모든 Xbox 360 모델의 생산 종료를 발표했다. 재고 소진 시까지 판매는 계속되었으며, 지원 및 Xbox Live 서비스는 유지되었다.[3][222]
=== 가격 변동 ===
Xbox 360은 출시 이후 여러 차례 가격 조정이 있었다. 주요 가격 변동은 다음과 같다. (북미 기준)
날짜
모델
변경 내용
가격 (USD)
2005년 11월 22일[114]
프리미엄 (20GB)
출시
399.99USD
2005년 11월 22일[114]
코어
출시
299.99USD
2007년 4월 29일
엘리트 (120GB)
출시
479.99USD[115]
2007년 8월 6일[116]
프리미엄 (20GB)
가격 인하
349.99USD
2007년 8월 6일[116]
코어
가격 인하
279.99USD
2007년 8월 6일[116]
엘리트 (120GB)
가격 인하
449.99USD
2007년 10월 27일
아케이드
출시 (코어 대체)
279.99USD[117]
2008년 7월 13일
프리미엄 (20GB)
단종 (재고 299.99USD)
- [118]
2008년 8월 1일
프리미엄 (60GB)
출시
349.99USD[118]
2008년 9월 5일[119]
엘리트 (120GB)
가격 인하
399.99USD
2008년 9월 5일[119]
프리미엄 (60GB)
가격 인하
299.99USD
2008년 9월 5일[119]
아케이드
가격 인하
199.99USD
2009년 8월 28일
프리미엄 (60GB)
단종 (재고 249.99USD)
-
2009년 8월 28일
엘리트 (120GB)
가격 인하
299.99USD
2010년 6월 19일[25]
S (250GB)
출시
299.99USD
2010년 6월 19일[25]
엘리트 (120GB)
단종 (재고 249.99USD)
-
2010년 6월 19일[25]
아케이드
단종 (재고 149.99USD)
-
2010년 8월 3일
S (4GB)
출시
199.99USD
2013년 6월 10일[120]
E (4GB)
출시
199.99USD
2013년 6월 10일[120]
E (250GB)
출시
299.99USD
=== 판매량 ===
Xbox 360은 2005년 11월 22일 미국과 캐나다를 시작으로 출시되었다.[9] 이후 유럽, 일본 등 전 세계 36개국에 출시되었으며, 이는 단일 연도 출시 국가 수로는 당시 기록이었다.[36] 마이크로소프트는 출시 초기 북미 시장에서 3개월 만에 300만 대 판매를 목표했지만[396], 생산 및 공급 부족 문제로 목표 달성에 실패하고 실제로는 절반 정도만 판매되었다.[397][48][49][50][51] 출시 첫 주 이베이(eBay)에서 4만 대가 판매되기도 했다.[52] 2005년 말까지 전 세계 누적 출하량은 150만 대(북미 90만, 유럽 50만, 일본 10만)였다.[53]
빌 게이츠는 2006년 E3에서 경쟁 기종 출시 전 1천만 대 판매 구상을 밝혔고,[398] 2008년 5월 미국 내 판매량이 1천만 대를 돌파하며 당시 세대 콘솔 중 최초 기록을 세웠다.[399][54] 2009년 1월 기준 전 세계 누적 판매량은 2,800만 대로, 플레이스테이션 3보다 약 800만 대 앞섰다.[400] 최종적으로 Xbox 360은 전 세계적으로 '''8,400만 대''' 이상 판매되었다. (2014년 6월 9일 기준)[12]
이러한 판매량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소프트의 게임 사업부는 초기에는 큰 손실을 보았다. 2005년 한 해에만 400만달러의 손실을 기록했으나,[401] 2008년에 들어서야 처음으로 영업 이익을 달성했다.[402]
'''북미''': Xbox 360은 북미 시장에서 특히 강세를 보였다. 2008년 6월 Wii에게 선두를 내주기 전까지 현 세대 콘솔 판매량 1위를 유지했으며,[55][56][57] 2011년 1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32개월 연속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콘솔이었다.[58] 2014년 말에는 Wii의 판매량을 다시 넘어서며 미국 내 7세대 콘솔 중 가장 많이 팔린 기기가 되었다.[59]
'''유럽''': 영국에서는 200만 대 판매에 110주가 걸렸으며,[42] 2013년 2월에는 800만 대 판매를 돌파했다.[63] 최종적으로 영국 내 판매량은 900만 대를 넘어 Wii를 제치고 7세대 콘솔 중 가장 많이 팔렸으며, 역대 판매량 3위를 기록했다.[64][42][43] 스페인에서도 100만 대 이상 판매되었다.[65]
'''일본''': 일본 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출시 초기 이틀간 판매량은 약 6만 2천 대로, 전작인 Xbox(3일간 약 12만 4천대)보다 저조했다.[226] 기대작이었던 《데드 오어 얼라이브 4》의 발매 연기가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으나, 실제 판매량 증가는 미미했다.[226] 2009년 3월에야 100만 대 판매를 돌파했고,[66][236] 최종 판매량은 약 162만 대에 그쳤다.[44] 이는 전작 Xbox의 판매량(약 47만 대)보다는 개선된 수치지만,[44] 경쟁 기기인 플레이스테이션 3나 Wii에 비하면 크게 뒤처지는 성적이었다. 일부 독점 타이틀(《인피니트 언디스커버리》, 《스타 오션: 더 라스트 호프》) 출시 주간에 일시적으로 판매량 1위를 기록하기도 했으나,[68][69] 전반적인 부진으로 인해 일부 소매점에서는 판매 규모를 축소하거나 중단하기도 했다.[70] 일본 내 유통을 담당했던 하피넷은 2016년 유통에서 철수했다.[207]
'''대한민국''': 2006년 2월 24일, 일반 모델 41.9만원, 코어 시스템 33.9만원에 발매되었다. 온라인 사전 예약 판매는 패키지, CGV 영화 관람권, 한정판 페이스 플레이트 등의 혜택과 함께 9시간 만에 매진되는 등[356] 초기 반응은 긍정적이었으며, 전작 Xbox에 비해 개선된 판매 성과를 보였다.
3. 하드웨어
엑스박스 360 본체 후면 (HDMI 지원 모델)
엑스박스 360은 IBM, ATI(현 AMD)와 협력하여 개발한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한다.
핵심 연산 장치로는 3.2 GHz로 작동하는 3개의 코어를 가진 파워피시 기반의 제논(Xenon) CPU가 탑재되었다. 각 코어는 두 개의 하드웨어 스레드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총 6개의 스레드를 병렬로 실행할 수 있다.[98] 그래픽 처리는 10MB의 eDRAM을 내장한 ATI의 제노스(Xenos) GPU가 담당한다. 시스템 전체적으로는 512MB의 GDDR3 RAM을 공유하여 사용한다.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256MB 메모리가 고려되었으나, 에픽 게임즈의 요청으로 성능 향상을 위해 512MB로 증설되었다.[99]
저장 장치로는 다양한 용량의 탈착 가능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는 포트가 본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게임 저장 데이터나 프로필 이동을 위한 전용 메모리 유닛 슬롯 2개가 전면에 있다. 전면에는 DVD 드라이브가 기본 장착되어 게임 디스크 외에 다양한 포맷의 광 디스크 미디어 재생을 지원한다. 과거 외장 HD-DVD 플레이어도 지원했으나 단종되었다.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이더넷 유선 랜 포트가 기본 내장되어 있다. 초기 모델은 별도 어댑터가 필요했으나, 이후 모델(엑스박스 360 S부터)에는 무선 랜 기능이 내장되었다.[358]
영상 및 음성 출력을 위해 모델에 따라 컴포지트, 컴포넌트, VGA, HDMI 등 다양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단자를 지원했다. 전면과 후면에는 주변기기 연결 및 컨트롤러 충전을 위한 USB 2.0 포트가 여러 개 제공된다.
3. 1. 본체
엑스박스 360 S
엑스박스 360 엘리트
Xbox 360 프리미엄
Xbox 360 아케이드 (Xbox 360 코어 대체)
E3 2013에서 발표된 Xbox 360 E 모델. Xbox One과 디자인 유사성을 공유한다.
엑스박스 360 본체는 무광 화이트 또는 블랙 색상으로 약간 오목한 형태의 디자인을 채택했다. 화이트 모델의 공식 색상 명칭은 '아크틱 칠'(Arctic Chill)이다. 본체 상단(수평으로 놓았을 때 왼쪽)에는 맞춤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연결할 수 있는 포트가 있다.
엑스박스 360은 출시 이후 여러 모델로 개선되었다. 크게 오리지널 모델, S 모델, E 모델로 나눌 수 있다.
=== 오리지널 모델 (2005년 ~ 2010년) ===
초기 엑스박스 360은 '코어', '아케이드', '프로', '엘리트'의 네 가지 구성으로 출시되었다.
'''코어'''(Core): 엑스박스 360의 입문용 모델이다. SDTV 해상도만 지원하는 컴포지트 비디오 케이블이 기본 제공되었으나, 특정 로트 번호(0728 이상)부터는 HDMI 1.2 출력을 지원했다. 별도의 케이블을 구매하면 HD 출력이 가능했다. 20, 60, 120GB 하드 드라이브를 별도로 구매하여 장착할 수 있었다. 다른 모델과 달리 유선 컨트롤러가 포함되었다. 코어 모델은 단종되고 아케이드 모델로 대체되었다. 일본에서는 2006년 11월 2일에 뒤늦게 발매되었다.[359]
'''아케이드'''(Arcade): 코어 모델을 대체하여 출시된 모델이다. 2007년 10월 22일 279.99USD 가격으로 발표되었고,[360] 대한민국에는 24일 29.9만원에 발매되었다.[361] 무선 컨트롤러, 컴포지트 AV 케이블, 내장 512MB 메모리 칩(초기에는 256MB 메모리 유닛 제공), 그리고 5가지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 게임 타이틀이 제공되었다.
'''프로'''(Pro): 아케이드 모델의 모든 기능에 더해 하이브리드 컴포지트 및 컴포넌트 케이블이 제공되었다. 탈착 가능한 60GB 하드 디스크(초기에는 20GB)가 장착되어 있었고, 이전 Xbox 게임과의 호환을 지원했다. 게임 데모, 동영상,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 게임 헥식 HD가 무료로 제공되었다. 2007년 7월 제퍼(Zephyr) 마더보드부터 HDMI 1.2 출력과 개선된 GPU 방열판을 지원했으나 HDMI 케이블은 포함되지 않았다. 2007년 9월 말부터 판매된 팔콘(Falcon) 마더보드 모델은 65나노미터 공정의 CPU를 탑재하여 소음과 발열을 줄였다. 20GB 프로 모델은 2008년 8월 1일에 단종되었고, 모든 프로 모델은 2009년 8월 28일에 단종되었다.
'''엘리트'''(Elite): 당시 가장 비싼 모델로, 120GB 하드 드라이브와 검은색 본체가 특징이었다. 초기부터 제퍼 마더보드를 탑재하여 HDMI 1.2 출력을 지원했으며, 본체 색상과 맞는 검은색 컨트롤러와 헤드셋이 제공되었다. 이후 팔콘 칩셋을 탑재했다.
=== 엑스박스 360 S (슬림, 2010년 ~ 2016년) ===
2010년 6월 14일 E3에서 공개된 모델로, 기존의 엘리트 및 아케이드 모델을 대체했다.[25] "발할라"(Valhalla) 메인보드를 탑재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CPU와 GPU를 하나의 칩으로 통합하여[357] 소비 전력을 감소시켰다. 더 작고 각진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으며, 하드웨어 및 과열 문제를 개선했다.[25][111][112]USB 2.0 포트가 5개로 늘어났고(이전 모델보다 2개 증가), 키넥트 센서를 위한 전용 포트가 추가되었다. 또한 무선랜[358]과 TOSLINK S/PDIF 광출력 단자가 내장되어[352] 별도의 어댑터 없이 디지털 오디오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드 드라이브 베이는 본체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하단(수평 배치 시 오른쪽)으로 이동했으며, 숨겨진 문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곳에는 표준 2.5인치 SATA 노트북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엑스박스 360에서 인식되려면 맞춤형 외장 케이스와 펌웨어가 필요하다.[96][97]
=== 엑스박스 360 E (2013년 ~ 2016년) ===
2013년 E3에서 발표된 모델로,[120] Xbox One에서 영감을 받은 투톤의 직사각형 디자인을 채택했다. S 모델보다 더 간소화된 형태로, USB 포트가 하나 줄었고, 컴포지트/컴포넌트 출력을 위한 AV 커넥터가 제거되어 HDMI 출력만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S/PDIF 광출력 단자도 지원하지 않는다.[113] 하드 드라이브 베이 위치는 S 모델과 동일하다.
=== 모델별 출시 및 가격 변동 ===
날짜
모델
상태
미국 출시 가격 (USD)
2005년 11월 22일[114]
Xbox 360 프리미엄 (20GB)
출시
399.99USD
2005년 11월 22일[114]
Xbox 360 코어
출시
299.99USD
2007년 4월 29일
Xbox 360 엘리트 (120GB)
출시
479.99USD[115]
2007년 8월 6일[116]
Xbox 360 프리미엄 (20GB)
가격 인하
349.99USD
2007년 8월 6일[116]
Xbox 360 코어
가격 인하
279.99USD
2007년 8월 6일[116]
Xbox 360 엘리트 (120GB)
가격 인하
449.99USD
2007년 10월 27일
Xbox 360 아케이드
출시
279.99USD[117]
2007년 10월 27일
Xbox 360 코어
단종
-
2008년 7월 13일
Xbox 360 프리미엄 (20GB)
단종 (재고 299.99USD에 판매)[118]
-
2008년 8월 1일[118]
Xbox 360 프리미엄 (60GB)
출시
349.99USD
2008년 9월 5일[119]
Xbox 360 엘리트 (120GB)
가격 인하
399.99USD
2008년 9월 5일[119]
Xbox 360 프리미엄 (60GB)
가격 인하
299.99USD
2008년 9월 5일[119]
Xbox 360 아케이드
가격 인하
199.99USD
2009년 8월 28일
Xbox 360 프리미엄 (60GB)
단종 (재고 249.99USD에 판매)
-
2009년 8월 28일
Xbox 360 엘리트 (120GB)
가격 인하
299.99USD
2010년 6월 19일[25]
Xbox 360 S (250GB)
출시
299.99USD
2010년 6월 19일[25]
Xbox 360 엘리트 (120GB)
단종 (재고 249.99USD에 판매)
-
2010년 6월 19일[25]
Xbox 360 아케이드
단종 (재고 149.99USD에 판매)
-
2010년 8월 3일
Xbox 360 S (4GB)
출시
199.99USD
2013년 6월 10일[120]
Xbox 360 E (4GB)
출시
199.99USD
2013년 6월 10일[120]
Xbox 360 E (250GB)
출시
299.99USD
2016년 4월 20일
모든 Xbox 360 모델
단종[3]
-
3. 2. 주변기기
엑스박스 360은 다양한 주변기기를 통해 게임 플레이 경험을 확장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무선 컨트롤러가 제공되며, 추가로 유선 컨트롤러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 컨트롤러는 최대 4대, 유선 컨트롤러는 최대 3대(USB 허브 사용 시 4대)까지 본체에 연결할 수 있다. Xbox 360 컨트롤러는 게임 포 윈도 지정 게임과 호환되어 PC에서 사용하기 위해 컨트롤러만 구매하는 경우도 있다.[370]
엑스박스 360 무선 헤드셋
다양한 액세서리가 별도로 판매되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연결 케이블: 화면 및 음성 연결을 위한 S-비디오, 컴포넌트 비디오, VGA, HDMI 케이블.
컨트롤러 액세서리: 무선 컨트롤러용 충전 키트인 플레이 앤 차지 킷(Play and Charge Kit).
입력 장치: 미디어 재생을 위한 유니버설 미디어 리모컨, 엑스박스 라이브 문자 채팅용 키보드(메신저 키트의 Xbox 360 채팅패드가 무선 컨트롤러에 부착되어 있다.), 음성 채팅을 위한 유/무선 헤드셋, 레이싱 게임용 무선 레이싱 휠, 화상 채팅 및 게임용 엑스박스 라이브 비전 카메라, 댄스 패드, 운동용 Gamercize.
저장 장치: 탈착 가능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0GB, 60GB, 120GB, 250GB[100][101][102], 320GB, 500GB) 및 메모리 유닛(64MB, 256MB, 512MB).
기타: 본체 전면 디자인을 바꿀 수 있는 페이스플레이트.
마이크로소프트는 2006년 11월(대한민국 2007년 3월[371]) 외장형 HD-DVD 플레이어를 출시했다. 이 기기는 USB를 통해 엑스박스 360에 연결하여 HD-DVD 영화를 재생할 수 있었으나, 게임 타이틀은 읽을 수 없었다. 고화질 광디스크 포맷 전쟁에서 블루레이가 승리함에 따라 2008년에 단종되었다.[103]
키넥트 센서
'''키넥트'''(Kinect)는 컨트롤러 없이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이나 음성 명령을 통해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게 하는 주변기기이다. 2009년 6월 E3에서 '프로젝트 나탈'(Project Natal)이라는 코드명으로 처음 공개되었고,[104] 2010년 E3에서 공식 명칭 '키넥트'를 발표했다. 키넥트는 카메라와 마이크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동작(모션 캡처)과 음성(음성 인식)을 인식한다.[105] 모든 엑스박스 360 모델과 호환되지만, 구형 모델에 연결하려면 별도의 전원 어댑터가 필요하다.[372][106] 키넥트는 2010년 11월 4일 미국에서 출시되었으며,[107] 출시와 함께 17개의 게임 타이틀이 발매되었다.[373]
'''Xbox SmartGlass'''는 Windows 8, iOS,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기기를 엑스박스 360의 보조 화면으로 사용하여 추가 정보를 표시하거나 원격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었다. 『헤일로 4』, 『포르자 호라이즌』 등 일부 게임에서 지원되었으나, 2018년 5월 18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253]
4. 소프트웨어
엑스박스 360은 자체 운영 체제인 대시보드를 기반으로 게임 플레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엑스박스 라이브를 통한 온라인 서비스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능을 제공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기능 추가, 주변기기 호환성 확보, 버그 수정 등이 이루어졌다.
엑스박스 360은 이전 모델인 엑스박스 게임과의 하위 호환성을 일부 지원한다. 다만, 플레이스테이션 2처럼 하드웨어 자체에 이전 기종의 기능이 내장된 것은 아니며, 호환성을 위해서는 엑스박스 360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별도의 에뮬레이터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한다. 이 에뮬레이터는 엑스박스 라이브에 접속하여 다운로드하거나, Xbox.com 웹사이트에서 설치 파일을 내려받아 CD나 DVD로 기록하여 설치할 수 있다.[384] 이전 엑스박스용 컨트롤러는 연결 단자와 버튼 구성(흰색/검은색 버튼 대신 LR 트리거 버튼 사용)이 달라 엑스박스 360과 호환되지 않는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XNA 프레임워크를 통해 개발된 게임을 이용할 수 있는 XNA 커뮤니티 기능도 제공되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XNA 게임 스튜디오를 이용해 직접 게임을 제작하고, XNA 크리에이터스 클럽을 통해 배포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만든 게임(User Created Game, UCG)을 받을 수 있었다. 이는 개발사나 유통사를 거치지 않고 엑스박스 라이브를 통해 게임을 디지털 방식으로 배포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했지만,[167][168] Xbox Live 인디 게임으로 이어지며 일부 성공작이 나오기도 했으나, 전반적인 게임 판매는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169]
엑스박스 360의 주요 소프트웨어 기능인 운영체제(대시보드), 게임 라인업,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온라인 서비스(엑스박스 라이브, 마켓플레이스, 아케이드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대시보드
'대시보드'는 엑스박스 360의 핵심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다. 디스크를 넣지 않거나 디스크 트레이를 연 상태에서 전원을 켜면 자동적으로 표시된다(본체 설정을 통해 디스크가 넣어진 상태에서도 대시보드가 표시되게 설정 가능). 디스크가 삽입되었을 경우 게임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지만, 언제든지 컨트롤러의 엑스박스 가이드 버튼을 누르면 간소화된 대시보드가 표시된다.[146] 이 간소화된 버전에서는 사용자의 게이머 카드, 엑스박스 라이브 메시지와 친구 목록, 음악 재생, 음성이나 영상 대화 관련 설정이 가능하며, 여기에서 주 대시보드로 돌아갈 수도 있다.
Xbox 360의 초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Xbox 360 대시보드''로 불렸으며, 탭 인터페이스로 다섯 개의 "블레이드"(이전에는 네 개)를 특징으로 하였다. 이는 AKQA[145]와 Audiobrain이 디자인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콘솔 발매 이후 대시보드 소프트웨어에 대한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실시해 왔다.[148][149] 이 업데이트는 콘솔에 새 기능 추가, 새 액세서리에 대한 호환성 추가, 소프트웨어 버그 수정 등을 포함한다. 엑스박스 라이브를 사용하려면 이러한 업데이트가 필수적이며, 업데이트가 완료될 때까지 엑스박스 라이브 접속이 비활성화된다.
컨트롤러
2008년 11월 19일, E3 2008에서 발표된 "새로운 엑스박스 경험"(New Xbox Experience, NXE)이라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적용되었다.[382][147] 이 업데이트는 콘솔 메뉴 탐색을 더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윈도우 미디어 센터와 준에서 사용하던 Twist UI를 기반으로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채택했다. 기존의 "블레이드" 인터페이스는 새로운 엑스박스 가이드에서 유지되었으나, 색 구성표는 NXE 대시보드와 일치하도록 변경되었다.[150] NXE는 디스크에서 하드 드라이브로 게임을 설치하여 로딩 시간과 디스크 구동 소음을 줄이는 기능을 도입했다. 다만, 게임 실행 시에는 여전히 디스크가 필요하다. 또한, 새로운 커뮤니티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만의 디지털 아바타를 생성하여 사진을 공유하거나 1 vs. 100과 같은 아케이드 게임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383][151] 이 업데이트는 이전 업데이트와 달리 저장 장치를 요구하는 최초의 업데이트로, 최소 128MB의 여유 공간이 있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드라이브가 필요했다.[152]
2011년 12월 6일 저녁(한국 시간 기준), 마이크로소프트는 대시보드에 대한 추가 업데이트를 배포했다.[153] 이 업데이트는 윈도우 8과 윈도우 폰에 적용된 메트로 디자인 언어를 사용하는 완전히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입했다. 배경은 흑색/회색으로 변경되었고, 페이지 세로 스크롤 기능이 제거되었으며, 게임, 마켓플레이스, 설정 등이 각각의 개별 페이지에 간략하게 정리되었다. 또한 게임 저장 및 프로필을 위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실시간 TV, Bing 음성 검색,[154]유튜브 비디오 접속, 키넥트 음성 명령에 대한 향상된 지원 등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155]
2012년 10월 16일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앱이 무료로 배포되기 시작했으며, 전반적인 UI는 당시 등장했던 윈도우 8과 유사해졌다.[254] 그러나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서비스 종료에 따라 2022년 6월 15일 이후로는 사실상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유튜브 앱은 2011년경부터 무료로 배포되기 시작했다. 실행에는 무료 확장 플러그인 설치가 필요하며, 최대 지원 화질은 PS3 이후 버전과 달리 720p이다. 마켓플레이스 종료 후인 2024년 8월 이후에도 계속 사용이 가능하며, 2024년에는 UI도 개선되었다.
Xbox 360에서 이용 가능한 많은 언리얼 엔진 3 기반 게임 중 하나인 ''록 오브 에이지스''
엑스박스 360은 북미에서 14개, 유럽에서 13개의 게임 타이틀과 함께 출시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퍼펙트 다크 제로》, 《프로젝트 고담 레이싱 3》 등 총 20여 개의 타이틀이 동시에 발매되었다.[351] 일본에서는 초기에 《데드 오어 얼라이브 4》, 《인챈티드 암스》 등 6종의 타이틀이 출시되었으며,[139] 콘솔 출시 첫해에 《크롬하운즈》, 《나인티나인 나이츠》, 《판타지 스타 유니버스》와 같이 특정 지역을 겨냥한 게임들도 선보였다.[140]
출시 첫 해인 2005년, 콘솔 최고 판매 게임은 100만 장 이상 판매된 《콜 오브 듀티 2》였다.[131] 이 외에도 《고스트 리콘 어드밴스드 워파이터》,[132] 《엘더스크롤 IV: 오블리비언》,[133] 《데드 오어 얼라이브 4》,[134] 《세인츠 로우》,[135] 그리고 《기어즈 오브 워》[136] 등 5개의 게임이 같은 해 1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특히 《기어즈 오브 워》는 출시 2주 만에 100만 장, 6주 만에 200만 장, 10주 만에 300만 장 판매를 돌파했으며,[375] 2006년 한 해 동안 총 300만 장 이상 판매되어[137] 그 해 콘솔 최고 판매 게임이 되었다. 2006년 12월까지 《데드 오어 얼라이브 익스트림 2》 등을 포함해 총 61개의 게임 타이틀이 출시되었다.[374]
2007년 10월 말까지 엑스박스 360용 소프트웨어는 총 1,340만 장이 판매되었다. 같은 해 10월 25일 출시된 1인칭 슈팅 게임 《헤일로 3》는 발매 첫 주 만에 3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하고[379] 연말까지 810만 장 이상 팔리며[380] 2007년 최고 판매 게임이 되었다.[138] 또한, 2007년 게임 크리틱스 어워드에서는 엑스박스 360 플랫폼 게임들이 38개 부문 후보에 올라 11개 부문에서 수상했다.[143]
일본 시장 공략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는 파이널 판타지 제작자 사카구치 히로노부가 설립한 일본 개발사 미스트워커의 지원을 받았다. 미스트워커의 첫 게임인 《블루 드래곤》은 2006년에 출시되어 한정판 번들이 빠르게 매진되었으며,[141] 일본 내에서 2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이는 《테일즈 오브 베스페리아》, 《스타 오션: 더 라스트 홉》과 더불어 일본에서 20만 장 이상 판매된 세 가지 엑스박스 360 게임 중 하나이다. 미스트워커의 두 번째 게임인 《로스트 오디세이》도 1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142]
2008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게임 개발자 콘퍼런스(GDC)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XNA 게임 스튜디오 2.0을 통해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한 1,000개 이상의 UCG(User Created Game, 사용자 제작 게임) 타이틀을 연말까지 선보일 것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381]
2015년 이후로는 대부분의 게임 개발사들이 후속 기종인 Xbox One에 집중하면서 엑스박스 360용 게임 출시는 감소하기 시작했다. 공식적으로 마지막으로 출시된 게임은 2018년 10월에 발매된 《저스트 댄스 2019》이다.
4. 3. 멀티미디어
엑스박스 360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한다. 2007년 봄 대시보드 업데이트를 통해 .wmv 동영상, H.264, MPEG-4, 플레이포슈어(PlaysForSure) WMV 동영상 재생 기능이 추가되었다.[385][156] 같은 해 12월 업데이트에서는 MPEG-4 ASP 포맷의 동영상 재생 기능도 더해졌다.[386][156] HD 해상도까지의 비디오 파일 재생이 가능하며, 여러 코덱(MPEG-2, MPEG-4, WMV)과 컨테이너 형식(WMV, MOV, TS)을 지원한다.[160]
사진 감상 기능도 제공하며, 다양한 전환 효과를 이용한 슬라이드 쇼를 만들 수 있다. 음악 재생 기능은 엑스박스 360 가이드 버튼을 통해 쉽게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으며, 게임 플레이 중이나 대시보드 화면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시각화 기능과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음악, 사진, 동영상 콘텐츠는 표준 USB 대용량 저장 장치, 엑스박스 360 전용 저장 장치(메모리 카드 또는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된 파일을 직접 재생하거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을 통해 윈도우 미디어 센터 또는 윈도우 XP 서비스 팩 2 이상이 설치된 컴퓨터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할 수 있다.[387][157][158] 엑스박스 360은 수정된 버전의 UPnP AV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159] GeeXboX 프로젝트의 uShare나 MythTV 같은 일부 대체 UPnP 서버를 통해서도 미디어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 온라인 서비스 ===
==== 비디오 및 음악 마켓플레이스 ====
마이크로소프트는 2006년 11월 6일, 콘솔을 통해 접근 가능한 비디오 스토어인 'Xbox 비디오 마켓플레이스'(Xbox Video Marketplace)를 발표하고, 같은 해 11월 22일 미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은 고화질(HD) 및 표준화질(SD) TV 프로그램과 영화를 엑스박스 360 콘솔에 다운로드하여 시청할 수 있었다. 짧은 클립을 제외하고는 당시에는 스트리밍으로 이용할 수 없었으며, 다운로드해야 했다. 영화는 대여 형식으로 제공되었으며(다운로드 후 14일 또는 영화 재생 시작 후 24시간 이내 중 먼저 도래하는 시점에 만료), TV 프로그램 에피소드는 구매하여 소유할 수 있었다. 다운로드된 비디오는 720p 해상도의 VC-1 코덱으로 인코딩되었고 비트 전송률은 6.8 Mbit/s였으며, 5.1 서라운드 사운드를 지원했다.[183] MTV, VH1, 코미디 센트럴, 터너 방송, CBS, 워너 브라더스., 파라마운트, 디즈니 등 다양한 방송사 및 영화 배급사들이 콘텐츠를 제공했다.[184] 이 서비스는 2007년 12월 유럽과 캐나다로 확대되었다.[185][186]
2009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는 Zune HD 출시 계획과 함께 기존의 Xbox 비디오 마켓플레이스와 Zune 비디오 마켓플레이스를 통합하여 Zune Marketplace를 출범한다고 발표했다.[187][188] 이후 2012년 10월 16일, Zune Marketplace는 'Xbox Video'와 'Xbox Music'으로 다시 분리되어 출시되었다. Xbox Video는 영화와 TV 시리즈를 구매하거나 대여하는 서비스였고, Xbox Music은 약 3천만 곡의 음악 트랙을 구매하거나 구독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였다. 이 서비스들은 엑스박스 360뿐만 아니라 Windows 8, Windows RT PC 및 태블릿, Windows Phone에서도 이용 가능했다.[189][191]
2015년 8월, 마이크로소프트는 Windows 10 앱과의 통일성을 위해 Xbox Video를 'Movies & TV'로,[190] Xbox Music을 'Groove Music'으로[191] 각각 명칭을 변경하는 업데이트를 배포했다.
==== IPTV 및 라이브 스트리밍 ====
마이크로소프트는 2007년부터 수년간 소비자 가전 박람회(CES)에서 엑스박스 360을 통한 IPTV 서비스 제공 계획을 발표했다. 빌 게이츠는 2007년 Microsoft TV IPTV Edition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출시를 예고했고,[163] 2008년에는 영국 BT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Microsoft Mediaroom 플랫폼 기반의 BT Vision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64] 하지만 하드 드라이브 용량 제한으로 BT Vision의 DVR 기능은 사용할 수 없었다.[165] 2010년에는 스티브 발머가 AT&T의 U-verse 서비스를 엑스박스 360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지만,[166] 이러한 IPTV 서비스들은 제한적인 시험 운영 외에는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2009년 10월 27일부터 영국과 아일랜드 사용자들은 Sky TV의 라이브 및 주문형 프로그램을 스트리밍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161][162]
2012년에는 'Live 이벤트 플레이어'가 출시되어 비디오 게임 쇼, 미인 대회, 시상식, 콘서트, 뉴스, 스포츠 이벤트 등을 Xbox Live를 통해 콘솔에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 스트리밍 이벤트로는 2012년 Revolver 골든 갓 시상식, 마이크로소프트의 E3 2012 미디어 브리핑, Miss Teen USA 2012 미인 대회 등이 있었다.
==== Xbox SmartGlass ====
Xbox SmartGlass는 2012년에 도입된 기능으로, 엑스박스 360 콘솔과 태블릿,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했다.[192]안드로이드, 윈도우즈 폰 8, iOS용 앱을 통해 사용자는 플레이 중인 게임이나 시청 중인 TV 프로그램, 영화에 대한 부가 정보를 모바일 기기 화면에서 확인하거나, 모바일 기기를 리모컨처럼 사용하여 콘솔을 제어할 수 있었다.[193] 이 기능은 후속 기종인 Xbox One에서도 계승되었다.
==== 인터넷 익스플로러 ====
2012년 10월 16일, 인터넷 익스플로러 앱이 엑스박스 360용으로 무료 배포되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당시 출시된 Windows 8과 유사한 디자인을 채택했다.[254] 하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서비스 종료에 따라 2022년 6월 15일 이후로는 앱을 실행해도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게 되어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4. 4. 엑스박스 라이브
엑스박스 360 발매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의 온라인 서비스인 엑스박스 라이브를 대대적으로 업데이트했다.[170][171] 이 업데이트로 엑스박스 라이브는 두 가지 등급으로 나뉘었다.
기본 등급인 엑스박스 라이브 실버(Xbox Live Silver, 이후 엑스박스 라이브 프리(Free)로 명칭 변경)는 무료로 제공되며, 모든 종류의 엑스박스 360에서 이용할 수 있다. 실버 등급 사용자는 자신의 프로필을 만들고,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와 엑스박스 라이브 마켓플레이스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이용하거나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170][171] 또한 엑스박스 라이브 비전이라는 웹캠을 연결하면 다른 사용자와 영상 및 음성 대화도 가능하다.[172] 다만, 실버 등급은 기본적으로 온라인 멀티플레이 게임을 지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비바 파냐타》처럼 게임 자체에 온라인 기능이 포함되어 있거나, EA 스포츠 게임처럼 게임 배급사가 자체적인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멀티플레이가 가능하다.[170][171]
유료 등급인 엑스박스 라이브 골드(Xbox Live Gold)는 실버 등급의 모든 기능과 더불어, 대부분의 게임에서 온라인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172] 골드 등급을 이용하려면 별도의 이용권을 구매해야 하며, 이용권은 1개월, 3개월, 12개월 단위로 판매된다. 2011년 1월 기준으로 엑스박스 라이브의 구독자 수는 3,000만 명을 넘어섰다.[174]
기존 엑스박스에서 엑스박스 라이브를 이용하던 사용자들은 자신의 프로필 정보, 친구 목록, 게임 기록 등을 엑스박스 360의 엑스박스 라이브 골드 계정으로 그대로 옮길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Xbox.com 웹사이트에서 자신의 게이머태그에 윈도우 라이브 ID(마이크로소프트 계정)를 연결해야 했다.[173]
4. 4. 1. 마켓플레이스
엑스박스 라이브 마켓플레이스는 엑스박스 라이브 사용자가 콘텐츠를 구매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가상 상점이었다.[175][388] 이곳에서는 영화, 게임 트레일러, 게임 데모, 게이머태그 이미지, 대시보드 테마는 물론 게임 추가 콘텐츠(아이템, 의상, 레벨 등)도 제공했다.[388][175] 마켓플레이스에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려면 하드 드라이브나 메모리 유닛 같은 저장 장치가 필요했다.[388][175] 유료 콘텐츠는 마이크로소프트 포인트를 사용해 결제해야 했으며, 현금 결제는 불가능했다.[388][176] 예고편이나 데모와 같은 일부 콘텐츠는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176]마이크로소프트 포인트는 선불 카드(1,600, 4,000포인트 단위)나 신용카드를 통해 엑스박스 라이브에서 직접 구매(500, 1,000, 2,000, 5,000포인트 단위)할 수 있었다.[176] 사용자는 PC에서 Xbox.com 웹사이트를 통해 마켓플레이스의 콘텐츠를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었으며, 구매 시 엑스박스 360의 다운로드 대기열에 자동으로 추가되어 다운로드되었다.[389][177] 엑스박스 라이브 사용자의 약 70%가 마켓플레이스에서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178]
2006년 11월 6일, 마이크로소프트는 비디오 마켓플레이스 내에 비디오 스토어를 개설한다고 발표했고,[390] 같은 해 11월 22일 미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미국 거주 사용자는 이를 통해 고화질(HD) 및 표준 화질(SD)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를 구매하거나 대여할 수 있었다.[391] 짧은 콘텐츠를 제외하면 스트리밍은 지원되지 않았고, 반드시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후에 재생해야 했다. 영화를 대여하는 경우, 다운로드 후 14일 동안 보관할 수 있었으며, 일단 재생을 시작하면 24시간 내에 시청을 완료해야 했다.[391][392] 다운로드된 영상은 5.1 서라운드 오디오를 지원했고, VC-1 코덱을 사용하여 720p 해상도로 인코딩되었으며, 비트레이트는 초당 6.8 메가비트(Mbps)였다.[391]
엑스박스 360 마켓플레이스는 2024년 7월 29일에 서비스가 중단되었다.[179]
4. 4. 2. 아케이드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엑스박스 및 엑스박스 360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가능한 비디오 게임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하는 온라인 서비스이다.[180] 이 서비스는 2004년 11월 3일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당시에는 DVD를 사용하여 게임을 로드하는 방식이었다.[394][180]
라이브 아케이드에서는 팩맨이나 Ms. Pac-Man과 같은 고전 아케이드 게임뿐만 아니라, 어썰트 히어로즈와 같이 새로 개발된 오리지널 게임도 제공한다.[180] 또한, 다른 콘솔이나 플랫폼으로 출시되었던 게임들도 이용할 수 있는데, 플레이스테이션용 게임이었던 《캐슬배니아: 밤의 교향곡》[393]이나 PC 게임이었던 《Zuma》[180]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게임 가격은 일반적으로 약 5USD에서 15USD 사이이며, 구매 시에는 마이크로소프트 포인트라는 독자적인 통화를 사용한다.[180] 이는 신용카드 거래 수수료를 줄이기 위한 방식이다.
2005년 11월 22일, 엑스박스 360의 출시에 맞춰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는 새롭게 개편되었고, 엑스박스 360의 대시보드와 통합되었다.[181] 게임들은 주로 캐주얼 게이머를 대상으로 하며, 인기 있는 타이틀로는 《지오메트리 워즈》, 《스트리트 파이터 II' 하이퍼 파이팅》, 《유노》 등이 있다.[395][181]
2010년 3월 24일에는 엑스박스 라이브에 게임 룸 기능이 추가되었다. 게임 룸은 엑스박스 360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사용자가 가상의 아케이드 공간에서 고전 아케이드 게임이나 콘솔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182]
5. 기술적 문제
엑스박스 360 초기 모델은 출시 이후 여러 기술적 문제로 인해 기기 신뢰성과 고장률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121][122][123]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전원 링 세 부분이 빨갛게 점등되는 '죽음의 레드링' 현상과 E74 오류 코드였다.[124][413]마이크로소프트는 이들 오류에 대해 무상 수리 기간을 3년으로 연장하는 조치를 취했다.[409][124][125][414] '죽음의 레드링'의 주 원인인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열 시스템 개선[410], CPU 및 GPU 공정 개선(팔콘, 제스퍼 모델)[411][412], HDMI 단자 탑재[258][212] 등 하드웨어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 외에도 디스크 트레이 오작동[415][416]이나 기기 이동 시 디스크 스크래치 문제[417][418] 등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개선 노력 덕분에 후기 모델에서는 초기 모델의 심각한 기술적 문제들이 상당 부분 해결되었다.
5. 1. 죽음의 레드링
엑스박스 360 전원 버튼 주변의 링 표시등 중 세 부분이 빨간색으로 깜박이는 '일반 하드웨어 오류'. 흔히 '죽음의 레드링(Red Ring of Death)'으로 불린다.
엑스박스 360 초기 모델 사용자들 사이에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기술적 문제는 전원 버튼 주변 링의 세 부분이 빨간색으로 깜박이는 현상이었다. 이는 '죽음의 레드링'(Red Ring of Death, RRoD)이라는 별칭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일반 하드웨어 오류'를 나타내는 신호였다.[124] 이 문제로 인해 기기의 신뢰성과 고장률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121][122][123]
'죽음의 레드링'의 주된 원인은 기기 내부의 발열로 인한 과열로 지목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러한 소비자 불만에 대응하기 위해 2007년, '일반 하드웨어 오류'에 한해 기존 1년이었던 무상 수리 기간을 3년으로 연장하고, 이전에 유상으로 수리받은 사용자들에게 수리비를 환불해주기로 결정했다.[409][124] 하지만 다른 종류의 고장에 대해서는 이 3년 무상 수리 혜택이 적용되지 않았다. 발열 외에도 전원 케이블 연결 불량 등으로 인해 빨간색 등 세 개가 깜박이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본체를 재부팅하거나 전원 케이블을 다시 제대로 연결하면 해결될 수 있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문제 해결을 위해 기술적인 개선 노력도 진행했다. 2007년 6월에는 방열 시스템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410] 같은 해 가을에는 발열과 소음 문제, 전력 소모량을 개선하고 CPU에 65나노미터 공정을 적용한 '팔콘(Falcon)' 모델이 출시되었다.[411] 2008년부터는 CPU와 GPU 모두 65나노미터 공정을 사용한 '제스퍼(Jasper)' 모델이 판매되기 시작했다.[412] 이 두 모델은 흔히 '신공정' 모델로 불리며, 부품 수와 크기, 배치를 줄이고 CPU와 GPU 주변에 에폭시를 추가하여 기판 변형을 방지했으며, GPU에 두 번째 방열판(히트싱크)을 추가하는 등의 수정이 이루어졌다.[126][127] 또한, 2007년 8월 미국[258]과 11월 일본[212]에서 HDMI 단자가 탑재된 모델이 출시되면서 발열 문제가 상당히 개선되어 '죽음의 레드링' 발생 빈도가 크게 줄어들었다.
한편, 새로운 엑스박스 경험(New Xbox Experience, NXE) 업데이트 이후에는 초기 버전에서 드물게 나타나던 E74 오류 코드 발생 보고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 오류는 '죽음의 레드링'과 달리 빨간색 등이 한 개만 켜지고, 화면에 E74 코드와 함께 여러 언어로 오류 메시지가 표시되는 증상을 보였다.[413] 마이크로소프트는 2009년 4월, E74 오류에 대해서도 '죽음의 레드링'과 마찬가지로 무상 수리 기간을 3년으로 연장했다.[125][414]
이후 출시된 엑스박스 360 S 및 E 모델에서는 오류 표시 방식이 변경되었다. 이 모델들에서는 시스템 과열 시 전원 버튼 자체가 빨간색으로 깜박이며 사용자에게 시스템 종료 임박을 경고하고,[129] '일반 하드웨어 오류'는 전원 버튼이 녹색과 빨간색으로 번갈아 깜박이는 것으로 표시된다.[130] 이 신형 모델들의 보증에는 '죽음의 레드링'과 같은 특정 오류에 대한 3년 연장 보증이 포함되지 않는다.[128]
5. 2. 디스크 스크래치
디스크를 읽는 도중에 게임기를 옮기거나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실수로 넘어뜨릴 경우 디스크에 스크래치가 생겨 심하면 디스크를 읽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문제를 출시 전부터 알고 있었지만,[417] 디스크 스크래치는 소비자 과실로 보고 별도의 처리를 제공하지 않았다.[418]
6. 평가
엑스박스 360은 7세대 콘솔 중 가장 많이 팔린 콘솔은 아니었지만, Xbox Live를 통한 디지털 미디어 배포 및 온라인 게임을 강조하고 게임 업적 보상 시스템을 대중화시켜 ''TechRadar''로부터 가장 영향력 있는 콘솔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24] ''PC Magazine''은 엑스박스 360을 온라인 게임의 원형으로 보며, "온라인 게임 커뮤니티가 콘솔 공간에서 번창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언급했다.[21]
출시 초기, 마이크로소프트는 북미 시장에서 3개월 만에 300만 대 판매를 목표했지만[396] 공급 부족 문제로 목표치의 절반 정도만 판매하는 데 그쳤다.[397] 2006년 빌 게이츠는 경쟁사 제품 출시 전까지 1천만 대 이상 판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고,[398] 실제로 2008년 5월 미국 내 판매량이 1천만 대를 돌파했다.[399] 2009년 1월 기준으로 전 세계 누적 판매량은 2천 8백만 대로, 당시 플레이스테이션 3의 2천만 대보다 약 8백만 대 앞섰다.[400] 하지만 이러한 판매량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소프트의 게임 사업부는 초기 재정적 어려움을 겪어 2005년 한 해에만 4백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으나,[401] 2008년에 들어서야 처음으로 영업 이익을 달성했다.[402]
2009년, 게임 웹사이트 IGN은 엑스박스 360을 역대 비디오 게임 콘솔 중 6번째로 위대한 콘솔로 선정했다.[37] 출시 5년 후에는 동작 인식 카메라 Kinect가 큰 호평을 받으며 출시되었는데, 이는 역사상 가장 빠르게 판매된 소비자 가전 제품이라는 기록을 세우고 콘솔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기여했다.[38] 게임 잡지 ''Edge''는 1993년부터 2013년까지의 기간 동안 엑스박스 360을 두 번째로 우수한 콘솔로 평가하며, "자체 소셜 네트워크, 게임 간 채팅 기능, 매주 새로운 인디 게임 출시, 그리고 거의 모든 멀티플랫폼 게임에서 최고의 버전을 제공했다"고 언급했다. 또한 "킬존은 헤일로가 아니고, 요즘 그란 투리스모는 포르자가 아니다"라고 덧붙이며 독점작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마이크로소프트가 초기 엑스박스 시절부터 내린 결정들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PC와 유사한 아키텍처 덕분에 초기 EA 스포츠 게임들이 PS3의 30fps보다 높은 60fps로 구동되었고, Xbox Live는 기존 사용자 기반을 확보했으며, 헤일로는 차세대 킬러 독점작 역할을 했다. 더불어 개발자들이 PC에서 게임 시연 시 엑스박스 360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업계 표준이 된 점도 중요한 성과로 꼽았다.[39]
7. 기타
마이크로소프트는 2006년 11월 6일, 콘솔을 통해 이용 가능한 독점 비디오 스토어인 Xbox 비디오 마켓플레이스(Xbox Video Marketplace)를 발표했다. 2006년 11월 22일 미국에서 처음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사용자들은 고화질 및 표준화질 TV 프로그램과 영화를 Xbox 360 콘솔에 다운로드하여 시청할 수 있었다. 짧은 클립을 제외하고는 당시 스트리밍으로 이용할 수 없었으며, 다운로드해야 했다. 영화는 대여도 가능했다. 대여한 영화는 다운로드 후 14일 또는 재생 시작 후 24시간 이내에 만료되었다. TV 프로그램은 구매하여 소유할 수 있었고, 여러 콘솔로 전송이 가능했다. 다운로드된 파일은 5.1 서라운드 사운드를 지원하며, 비디오는 720p 해상도의 VC-1 코덱으로 인코딩되었다.[183]MTV, VH1, 코미디 센트럴, 터너 방송 시스템, CBS 등의 TV 콘텐츠와 워너 브라더스., 파라마운트 픽처스, 월트 디즈니 컴퍼니 등의 영화 콘텐츠가 제공되었다.[184] 2007년 봄 업데이트 이후에는 H.264 및 MPEG-4 Part 2 비디오 코덱 지원이 추가되었다. 2007년 12월 11일에는 유럽과 캐나다에서도 서비스가 시작되었다.[185][186]
2009년에는 Zune HD 출시와 함께 Zune 비디오 마켓플레이스와 Xbox Live 비디오 스토어가 통합되어 Zune Marketplace가 되었다.[187][188] 이후 2012년 10월 16일, Zune Marketplace를 대체하여 Xbox 비디오와 Xbox 뮤직이 출시되었고, 이는 Xbox 360, Windows 8, Windows RT, Windows Phone 등에서 영화와 TV 시리즈를 구매하거나 대여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 서비스였다.[189] 2015년 8월 18일에는 Windows 10 앱과의 통일성을 위해 서비스 이름이 Movies & TV로 변경되었다.[190]
Xbox 360 아케이드는 기존 코어 시스템을 대체하는 보급형 모델로 출시되었다. 코어 시스템과 동일한 색상의 본체에 HDMI 단자가 탑재되었고 무선 컨트롤러가 동봉되었다. 미국에서는 2007년 10월 18일, 일본에서는 2008년3월 6일에 발매되었으며[208], 2008년 9월 11일 일본에서 가격이 19,800엔으로 인하되었다[213]. 초기 모델에는 256MB 메모리 유닛과 Xbox Live Arcade 타이틀 5개가 수록된 디스크가 포함되었으나, 이후 모델에는 256MB 메모리가 본체에 내장되고 디스크는 포함되지 않았다. Xbox 360 S 발매와 함께 가격은 오픈 프라이스로 변경되었다.
Xbox SmartGlass는 Xbox 360 콘솔과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다.[192]안드로이드, 윈도우즈 폰 8, iOS용 앱이 제공되었다. 사용자들은 플레이 중인 게임이나 시청 중인 미디어에 대한 추가 정보를 모바일 기기에서 확인하거나, 모바일 기기를 리모컨처럼 사용하여 콘솔을 제어할 수 있었다.[193] 이 기능은 후속 기종인 Xbox One에서도 계승되었다.
PartnerNet은 개발자들이 Xbox Live Arcade용 게임 콘텐츠의 베타 테스트를 위해 사용하던 개발자 전용 Xbox Live 네트워크였다.[194] 개발자와 게임 언론 관계자들이 사용하는 Xbox 360 디버깅 키트에서 접속 가능했다. 그러나 비밀유지협약(NDA)에도 불구하고 PartnerNet을 통해 테스트 중이던 미공개 게임 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여러 차례 발생했다. 2007년에는 ''에일리언 호미니드''와 ''이카루가'', ''젯팩'' 리메이크 등의 정보가 유출되었고[195], 2010년에는 ''소닉 더 헤지호그 4: 에피소드 1''의 완전한 버전이 유출되어 PartnerNet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196]마이크로소프트는 개발자와 언론에 NDA 준수를 상기시키고 유출 정보 삭제를 요청했다.[197]세가는 유출된 소닉 4 버전에 대한 팬 피드백을 반영하여 게임을 수정 후 출시했다.[198] 또한, 해커들이 수정된 ''Halo 3'' 게임을 PartnerNet에서 플레이하고 미출시 정보를 빼돌리는 사건도 있었으며, 이들은 번지에 의해 적발되었다.[199] 이 외에도 션뮤와 션뮤 II 등의 게임 정보가 PartnerNet을 통해 유출된 바 있다.[200]
7. 1. 대한민국 시장
(작성할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대한민국 시장'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