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궈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펑궈장은 북양군벌의 장군으로, 신해혁명 당시 위안스카이 휘하에서 활동했다. 중화민국 부총통을 거쳐, 1917년 장쉰 복벽 사건으로 리위안훙이 퇴임한 후 대리총통이 되었으나, 1918년 퇴임했다. 직예파 군벌의 수장으로서 안휘파 군벌 돤치루이와 권력 투쟁을 벌였고, 쑨원의 광둥 군정부에 대한 대립 속에서 평화 통일을 주장했으나 실패했다. 1919년 베이징에서 사망했으며, 아들 펑자위와 증손자 펑 꽁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참예정무대신 - 이홍장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었던 이홍장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직례총독으로서 외교를 주도하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나, 청일 전쟁 패배와 부패 논란 등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의 삶은 청나라 격변기와 근대화 노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청나라의 참예정무대신 - 쉬스창
쉬스창은 청나라 말 문관으로 시작하여 중화민국 국무총리와 대총통을 역임했으며, 군벌 간의 세력 다툼 속에서 조정 역할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예술 활동에 전념했다. - 직계 군벌 - 우페이푸
우페이푸는 청나라 말에서 중화민국 초기에 활동한 산둥성 출신의 군벌로, 북양무비학당에서 교육을 받고 안직전쟁 승리로 북양군벌의 주요 인물로 부상했으나 북벌 이후 몰락하여 1939년에 사망했다. - 직계 군벌 - 장징후이
장징후이는 랴오닝성 출신의 군벌로, 만주국에서 헤이룽장성 성장, 국무원 총장을 거쳐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일본의 꼭두각시 역할을 했고, 2차 세계 대전 이후 체포되어 수감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펑궈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풍궈장 |
한자 | 馮國璋 |
간체자 | 冯国璋 |
병음 | Féng Guózhāng |
로마자 표기 | Feng Guozhang |
출생일 | 1859년 1월 7일 |
출생지 | 청나라 직례성 하간 |
사망일 | 1919년 12월 12일 |
사망지 | 중화민국 베이징시 |
국적 | 중국 |
소속 정당 | 직례파 |
다른 소속 정당 | 진보당 |
학력 | 천진 무관학교 |
군사 경력 | |
충성 | 청나라 중화민국 |
최종 계급 | 대장 |
군종 | 회군 북양군 |
지휘 | 북양 제3사단 북양 제6사단 참모본부 |
복무 기간 | 1886년–1919년 |
주요 전투 | 청일 전쟁 의화단 운동 신해혁명 제2차 혁명 호국전쟁 |
훈장 | 서훈장 보광가화장 문호장 |
정치 경력 | |
직책 | 중화민국 대총통 (권한대행) |
임기 시작 | 1917년 8월 6일 |
임기 종료 | 1918년 10월 10일 |
이전 대통령 | 리위안훙 |
다음 대통령 | 쉬스창 |
직책 | 중화민국 부총통 |
임기 시작 | 1916년 6월 7일 |
임기 종료 | 1917년 7월 1일 |
대통령 | 리위안훙 |
이전 부통령 | 리위안훙 |
다음 부통령 | 폐지 |
직책 | 직례성 성장 |
임기 시작 | 1912년 9월 8일 |
임기 종료 | 1913년 12월 16일 |
이전 성장 | 장시루안 |
다음 성장 | 자오빙쥔 |
직책 | 강소성 성장 |
임기 시작 | 1913년 12월 16일 |
임기 종료 | 1917년 8월 1일 |
이전 성장 | 장쉰 |
다음 성장 | 리춘 |
2. 생애
펑궈장은 허베이성 출신으로 북양군벌의 장군으로 경력을 쌓았다. 1911년 신해혁명 당시 위안스카이 휘하에서 청나라 소속으로 혁명군을 공격하기도 했으나, 혁명이 성공하고 위안스카이가 중화민국 총통이 된 후 직례총독이 되었다. 1915년 위안스카이가 황제가 되려 하자 이에 반대하여 둘 사이가 멀어졌다.
1916년 위안스카이 사후 리위안훙이 총통이 되고 펑궈장은 부총통이 되었다. 이듬해 장쉰, 캉유웨이 등이 선통제 복위사건을 일으켜 선통제가 잠시 복위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로 인해 리위안훙이 퇴임하고 펑궈장은 1917년 7월 17일부터 1918년 10월 10일까지 총통 대리가 되었으나, 의회 승인을 받지 못해 임시직이었다.
당시 제1차 세계 대전 중이었고, 독일 제국이 장쉰의 쿠데타를 지원한 것이 알려지자 중국은 연합국 측으로 참전했다. 1917년 9월 쑨원이 광저우에 새로운 정부를 열고 베이징 정부에 반대하기 시작했다. 당시 국무총리였던 안휘파 군벌 수장 돤치루이는 쑨원의 혁명파에 대한 강경 입장을 고수했고, 펑궈장의 직례파와도 계속 대립했다. 펑궈장은 혁명파와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돤치루이를 실각시켰지만, 안휘파의 요구로 다시 총리직에 복귀시켜야 했다.
펑궈장은 위안스카이와 리위안훙의 임기를 승계했기에, 위안스카이의 원래 임기 시작인 1913년부터 5년이 되는 1918년 10월 10일에 퇴임했다. 이후 병으로 고생하다 1919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펑궈장은 1859년 허베이성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가난 때문에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유교 경전을 공부하고 과거 시험을 준비했다. 극장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생계를 유지하다가, 친척의 도움으로 리훙장(李鴻章)의 톈진 군사학교에 입학하여 1년 동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 이 학교는 리훙장이 중국을 현대화하기 위해 설립한 학교로, 군사 훈련, 공학, 측량, 수학 등의 과목을 가르쳤다.1888년 펑궈장은 학업을 중단하고 생원(生員) 시험에 합격했지만, 향시(鄕試)에 낙방하자 군사학교로 돌아가 1890년에 졸업했다.[1] 1891년 니시청(聶士成)의 부대에 배속되었고, 잠시 톈진 군사학교에서 강사로 근무한 뒤 뤼순항으로 이동했다. 만주를 여행하며 지리에 익숙해졌고, 이는 1894~1895년 청일 전쟁에서 니시청의 지휘 아래 복무할 때 도움이 되었다. 전쟁 후, 펑궈장은 일본에 무관으로 파견되었다.[1]
1895년 일본에서 펑궈장은 일본육군사관학교 교장이 된 복섬야스마사(福島安正) 등 일본군 장교들과 친분을 맺었다. 일본의 군사 현대화, 특히 훈련 방법을 관찰하고 기록하여 니시청에게 전달했고, 니시청은 이를 위안스카이(袁世凱)에게 보냈다. 위안스카이는 펑궈장의 능력에 감명을 받아 그를 신군(이후 북양군)의 참모 교육 책임자로 임명했다.[1] 1896년부터 펑궈장은 북양군의 핵심 장교단의 일원이었다.
1899년 의화단 운동이 발발하자, 펑궈장은 위안스카이를 따라 산둥성에서 의화단 진압에 참여했다. 팔국 연합군이 반란을 진압하고 위안스카이가 1901년 지리 총독으로 임명된 후, 펑궈장은 보정(保定)에 보정 군관학교를 설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북양무비학당을 졸업하고 보병학당 감독관이 되었으며, 1903년에 연병소가 설립되자 군학사 정사에 임명되었다.
2. 2. 청나라 장군 시절
허베이성 출신 펑궈장은 북양군벌의 장군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1903년 12월에 설립된 군대 개편 위원회에서 근무했으며, 위안스카이의 최측근 동맹 중 한 명이었다.[1] 1904~1905년 북양군이 확장된 후, 1905년 북양 제3사단 사령관, 1906년 제6사단 사령관을 거쳐 1907년 7월에는 총참모부 감독이 되었다. 이로써 그는 육군부의 주요 행정 기관 책임자가 되었고, 중국 전역의 신군(新軍) 사단 훈련 및 조직 문제에 대해 자문했다.1906년 1월부터 왕공자 군사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몽골 황기의 부중장 직무대행으로 임명되었다. 이 학교는 주로 만주 세습 왕족, 황실 구성원, 군 또는 민간 관리의 아들들을 받아들이는 군사 중학교였다. 펑궈장은 만주 황실 및 위안스카이와 모두 좋은 관계를 맺었다.
1909년 7월, 총참모부는 육군부와 분리되어 황제에게 직접 보고하는 형태로 개편되었다. 순친왕(醇親王) 재풍(載灃) 섭정왕은 재타오(載濤)와 유랑(裕朗)을 책임자로 임명했지만, 그들은 군사 경험이 부족했고 펑궈장은 군사 전문가로서 부하 직책을 유지했다.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의 무창기의(武昌起義) 발발 후, 청나라 조정은 펑궈장에게 혁명 진압을 명령했다. 그는 위안스카이가 복권될 때까지 북양군을 지휘하여 양xia 전투(양하 전투)에서 혁명군으로부터 한커우(漢口)와 한양(漢陽)을 점령했다. 10월 14일, 황실은 그를 제2군(2개 사단)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는 한커우를 파괴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위안스카이의 명령에 따라 무창(武昌)에 대한 진격을 중단했다. 이후 위안스카이는 마지막 황제 푸이(溥儀)의 퇴위를 협상하고 1912년 중화민국 임시 대통령이 되었다. 펑궈장은 위안스카이를 따라 새 정부에 합류했고, 혁명 진압에 적극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신해혁명에 기여했다는 칭찬을 받았다.

2. 3. 중화민국 정치 경력
1916년 위안스카이 사망 후, 리위안훙이 총통이 되면서 펑궈장은 부총통이 되었다.[1] 장쉰, 캉유웨이 등이 선통제 복위 사건을 일으켜 선통제가 잠시 복위하기도 했으나, 이 사건으로 리위안훙이 퇴임하면서 펑궈장이 7월 17일부터 1918년 10월 10일까지 총통 대리가 되었다.[1] 그러나 당시 의회 승인을 받지 못해 임시직이었다.[1]당시 세계는 제1차 세계 대전 중이었고, 독일 제국이 장쉰의 쿠데타를 지원한 증거가 드러나면서 중국은 연합국 측으로 참전했다.[1] 펑궈장은 약 13만 5천 명의 병력을 노무단으로 서부 전선, 메소포타미아, 독일 동아프리카에 파병했고, 러시아 내전에도 병력을 보냈다.[1]
1917년 9월, 쑨원이 광저우에 새로운 정부를 수립하면서 베이징 정부와 대립, 남북 분열이 심화되었다.[1] 안휘파 군벌 수장인 돤치루이 국무총리는 쑨원의 혁명파에 강경한 입장이었고, 펑궈장의 직례파와도 대립했다.[1] 펑궈장은 혁명파와 평화적 해결을 위해 돤치루이를 실각시켰으나, 안휘파의 요구로 다시 복귀시켜야 했다.[1]
펑궈장은 위안스카이와 리위안훙의 임기를 승계했기에, 위안스카이의 원래 임기 시작인 1913년부터 5년이 되는 1918년 10월 10일에 퇴임했다.[1] 이후 병으로 고생하다 1919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1]
2. 4. 사망 이후
펑궈장은 병으로 고생하다 사망하였다. 그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고, 고향인 허베이성에 안장되었다. 그러나 문화대혁명 기간에 그의 묘는 파괴되었다.그의 유명한 자손으로는 셋째 아들인 펑자위(馮家遇)와 증손자인 펑궁(馮鞏)이 있다. 펑자위는 톈진의 발전에 기여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펑궁은 중국의 전통적인 코미디 공연 형식인 샹성(相聲) 예능인(8대 샹성 배우)으로 유명하다. 샹성은 일본의 만자이나 라쿠고에 해당한다.
3. 권력 투쟁과 남북 분열
펑궈장은 직예파 군벌의 수장으로서, 안휘파 군벌의 돤치루이(段祺瑞)와 권력 투쟁을 벌였다. 1917년 9월, 쑨원이 광동군정부를 조직하여 사실상 중화민국이 분열 상태에 빠지자, 돤치루이는 남정을 통한 무력 통일을 주장한 반면, 펑궈장은 평화 통일을 주장했다. 그러나 봉천파와 연합한 돤치루이가 남정을 강행하고, 신국회에서 안휘파의 다수파 공작으로 1918년에 펑궈장 정권은 와해되었다.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1차 득표율 | 1차 득표수 | 2차 득표율 | 2차 득표수 | 3차 득표율 | 3차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16년 선거 | 중화민국 부총통 | 2대 | 무소속 | -% | 413표 | -% | 528표 | 72.12% | 520표 | 1위 |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들(셋째) | 펑자위 | 천진 발전에 기여 |
증손자 | 펑궁 | 샹성 배우, 유명 코미디언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