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마탕시안타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마탕시안타르는 인도네시아 북수마트라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에는 다마닉 가문이 통치하는 독립 왕국이었다. 1907년 네덜란드 식민지가 되었고, 1942년에는 일본의 지배를 받았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자치 지위를 얻었으며, 1974년에는 2급 자치구로 승격되어 시말룽군 군의 수도가 되었다. 페마탕시안타르는 열대 기후를 보이며, 바탁족이 주요 민족을 이루고 있다. 주요 언어는 인도네시아어와 바탁어이며, 기독교와 이슬람교 신자가 다수를 차지한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동물원, 관세음보살상, 바탁 문화 등이 있으며, 바탁 전통 음식과 로티 간다, 콕 통 코피티암 커피 등 다양한 음식을 즐길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수마트라주 - 탄중발라이
    탄중발라이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북동부 아사한강 하구에 위치한 도시로, 해상 운송 및 교역의 요충지이며 어업 중심지이자 관광 도시로 발전하여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주민들이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 북수마트라주 - 파당시뎀푸안
    파당시뎀푸안은 인도네시아 북수마트라 주에 있는 도시로, 상인들의 휴식처로 시작하여 네덜란드 식민 통치와 독립 전쟁을 거쳐 행정 도시로 승격되었으며, 열대 기후에서 농업이 발달하고 살락 기념비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인도네시아의 도시 - 데폭
    데폭은 인도네시아 서자와주에 위치하며 자카르타 수도권의 일부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장교의 사유지에서 기원하여 자치시가 되었고, 발달한 대중교통망과 여러 대학을 보유한 교육 도시이자 다양한 쇼핑 및 여가 시설을 갖춘 곳이다.
  • 인도네시아의 도시 - 암본
    암본은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에 위치한 도시로,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1950년 남몰루카 공화국 독립 운동의 중심지였고, 1999년 종교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현재는 기독교와 이슬람교가 공존하며 서비스업, 무역업, 농업, 어업 등이 주요 산업이다.
페마탕시안타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페마탕시안타르 시청
페마탕시안타르 시청
공식 명칭페마탕시안타르 시
현지어 명칭Kota Pematangsiantar
바탁어ᯈᯩᯕᯖᯰᯙᯫᯁᯉ᯳ᯖᯓ᯳
표어Sapangambei Manoktok Hitei
위치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북수마트라 주
행정
국가인도네시아
북수마트라 주
시장수산티 데와야니
부시장공석
시의회 의장Timbul Marganda Lingga (PDI-P)
시의회 부의장Mangatas Maruli Tua Silalahi (Golkar), Ronald Darwin Tampubolon (People's Conscience Party)
지리
면적79.971 km²
인구
인구 (2023년 추정치)274,838 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기타 정보
시간대인도네시아 서부 표준시
UTC 오프셋+7
지역 번호(+62) 622
웹사이트페마탕시안타르 시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페마탕시안타르의 역사는 1907년 이전 다마닉 가문이 통치하던 시말룽군 왕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8] 당시 바탁족의 시말룽군 민족 집단에 속하는 다마닉 가문이 이 지역을 다스렸으며, 투안 상나왈루 다마닉이 마지막 독립 군주였다.

1907년, 네덜란드가 이 지역의 지배권을 장악하면서 식민 시대가 시작되었다.[18] 네덜란드는 행정 중심지를 페마탕시안타르로 이전했으며, 이 시기 화교, 인도계, 자바인 등 다양한 민족이 이주해왔다. 1917년에는 자치권을 가진 Gemeente로 지정되기도 했다.

네덜란드의 통치는 1942년 일본 제국의 침략으로 중단되었다.[18] 일본 점령기 동안 페마탕시안타르는 '시안타르 주'로 개편되었고, 기존 의회는 폐지되었다.

1945년 인도네시아가 독립을 선언하면서 페마탕시안타르는 자치 지위를 얻었다.[18] 독립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및 지위 변경을 거쳤으며, 1974년에는 2급 자치구로 승격되고 시말룽군 군의 수도로 지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8]

2. 1. 시안타르 왕국

1907년 이전까지 페마탕시안타르는 다마닉 가문이 통치하는 독립 왕국이었다.[18] 다마닉 가문은 바탁족의 시말룽군 민족 집단에 속하는 씨족이다.[18] 이 왕조의 마지막 독립 군주는 투안 상나왈루 다마닉(Tuan Sang Nawalu Damanikid)이었으며, 그는 1907년까지 왕으로서 권력을 행사했다.[18] 그의 후손들은 오늘날까지도 시말룽군 사람들 사이에서 '라자 시안타르'(Raja Siantarid)라는 의례적인 칭호를 유지하고 있다.

당시 왕국의 중심지는 '풀라우 홀링'(Pulau Holingid)이었으며, 그 주변으로 여러 마을이 발달했다. 이 마을들은 훗날 페마탕시안타르 시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되었다. 주요 마을과 현재 지명은 다음과 같다.

  • '풀라우 홀링'은 '캄풍 페마탕'(Kampung Pematangid)이 되었다.
  • '시안타르 바유'(Siantar Bayuid)는 현재 시안타르 시의 중심부가 되었다.
  • '수히 카헤안'(Suhi Kaheanid)은 '캄풍 시핑골핑골'(Kampung Sipinggol-pinggolid), '캄풍 멜라유'(Kampung Melayuid), '마르토바'(Martobaid), '수카다메'(Sukadameid), '바네'(Baneid) 지역이 되었다.
  • '수히 바 보사르'(Suhi Ba Bosarid)는 '캄풍 크리스텐'(Kampung Kristenid), '카로'(Karoid), '토무안'(Tomuanid), '판토안'(Pantoanid), '토바'(Tobaid), '마림방'(Marimbangid) 지역이 되었다.


1907년, 네덜란드가 이 지역을 장악하면서 시안타르 왕국은 막을 내리고 페마탕시안타르는 네덜란드의 식민지가 되었다.[18]

1910년 페마탕시안타르 거리 풍경


1923년 페마탕시안타르에 지어진 네덜란드인의 집


1938년 페마탕시안타르 항공 사진

2. 2. 네덜란드 및 일본 식민 시대



1907년 이전, 페마탕시안타르는 다마닉 가문이 이끄는 왕국이었다. 다마닉 가문은 바탁족의 시말룽군 민족 집단에 속하는 씨족이었으며, 이 왕조의 마지막 독립 군주는 투안 상나왈루 다마닉이었다. 북수마트라는 네덜란드인도네시아에 병합한 마지막 지역 중 하나였는데, 네덜란드령 동인도 세력이 북수마트라에 진입하면서 시말룽군 지역도 네덜란드 영토가 되었다. 결국 1907년, 네덜란드가 지배권을 장악하여 왕들의 독립 통치는 끝나고 페마탕시안타르는 식민지가 되었다. 같은 해, 원래 코메르스에 주둔하던 네덜란드 관리자가 페마탕시안타르로 이전하면서 이곳은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네덜란드 통치 하에 페마탕시안타르는 많은 이주민들이 유입되는 지역으로 발전했다. 화교와 인도계 공동체는 주로 '팀방 갈룽'과 '캄풍 멜라유' 지역에 정착했으며, 자바인은 '타나 자와'를 중심으로 거주했다. 1910년에는 페마탕시안타르 시립 예비 기관이 설립되었다. 1917년 7월 1일, 네덜란드 법령인 Stad Blad No. 285에 따라 페마탕시안타르는 자치권을 가진 Gemeente(Gemeente|헤멘터nld)로 지정되었다. 이후 1939년 1월에는 Stad Blad No. 717에 따라 Gemeente 의회의 구조가 변경되기도 했다.

네덜란드의 지배는 1942년까지 이어졌다. 그해 일본 제국 군대가 수마트라에서 네덜란드를 몰아내고 인도네시아를 침략하여 점령했다. 이 일본 점령기(1942년-1945년) 동안 페마탕시안타르의 정치 구조는 일본 행정부에 의해 '시안타르 주'로 변경되었고, 기존의 의회는 폐지되었다. 일본의 통치는 1945년 인도네시아가 독립을 선언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2. 3. 독립과 현대

1945년 인도네시아가 독립을 선언한 후, 페마탕시안타르는 자치 지위를 부여받았다. 법률 제1/1957호에 따라 완전한 시 프라자(Kota Praja Penuh|코타 프라자 프누id)로 지정되었고, 법률 제18/1965호 발효로 시(Kotamadya|코타마디아id) 지위로 변경되었다.

1974년, 법률 제5/1974호 '지방 정부 원칙에 관한' 법률이 발효되면서 페마탕시안타르는 2급 자치구(레벨 II 지역 도시, Daerah Tingkat II|다에라 팅캇 두아id)로 지위가 변경되었으며, 시말룽군 군의 수도로 지정되었다.[18] 이것이 현재 이 도시의 지위이다.

정부 규정 제35/1981호에 근거하여, 페마탕시안타르 레벨 II 지역 도시는 1982년 3월 17일 북수마트라 주지사에 의해 발효되어 4개의 행정 구역(kecamatan|케차마탄id)과 29개의 도시 마을(kelurahan|클루라한id)로 나뉘었으며, 당시 면적은 12.48km2이었다. 현재 페마탕시안타르 시에는 총 8개의 구와 53개의 도시 마을이 있다.[17]

페마탕시안타르는 8개의 구(kecamatan|케차마탄id)로 나뉜다.[17]

명칭인구
(2010년 통계)[17]
시안타르 마리하투17,872
시안타르 마림분14,642
시안타르 슬라탄 (남부)17,101
시안타르 바라트 (서부)34,984
시안타르 우타라 (북부)46,427
시안타르 티무르 (동부)38,454
시안타르 마토바38,368
시안타르 시타라사리26,854


3. 지리

페마탕시안타르는 적도 근처에 위치해 열대 기후를 보인다.[19]

3. 1. 기후

페마탕시안타르는 연중 강우량이 많은 열대 우림 기후(Af)를 보인다. 도시의 고도로 인해 기온이 약간 완화된다.

페마탕시안타르의 월별 기후 데이터[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29.2°C29.7°C30°C30°C30.3°C30.2°C29.9°C29.7°C29.2°C28.9°C28.6°C28.8°C
일평균 기온 (°C)24.3°C24.5°C24.8°C25°C25.3°C25°C24.7°C24.6°C24.5°C24.5°C24.2°C24.3°C
평균 최저 기온 (°C)19.4°C19.4°C19.7°C20.1°C20.3°C19.9°C19.6°C19.6°C19.9°C20.1°C19.9°C19.8°C
평균 강수량 (mm)210mm181mm210mm241mm261mm192mm176mm233mm318mm350mm263mm259mm


4. 행정

시장은 페마탕시안타르 정부의 최고 지도자로서, 북수마트라 주지사에게 책임을 진다. 현재 페마탕시안타르 시장은 선출된 부시장 출신인 수산티 데와야니이다.

수산티 데와야니는 2020년 페마탕시안타르 시장 선거에서 시장 후보 아스네르 실라라히와 함께 부시장 후보로 출마하여 2021-2024년 임기 선거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시장 당선자였던 아스네르 실라라히는 공식 취임식 전에 사망하였다.[8]

이에 따라 수산티 데와야니는 2022년 2월 22일 메단 시의 북수마트라 주지사 사무실에서 북수마트라 주지사 에디 라흐마야디에 의해 부시장으로 공식 취임했다.[8] 당시 시장 자리는 공석이었으며, 이후 페마탕시안타르 시의회는 회의를 열어 수산티 데와야니를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임기를 수행할 페마탕시안타르 시장으로 임명했다. 수산티 데와야니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재임한 헤프리안샤–토가르 시토루스의 뒤를 이었다.[9]

4. 1. 행정 구역

시안타르 8개 구 지도


이 도시는 행정적으로 8개의 구(kecamatan)로 나뉘며, 2010년 인구 조사[3]와 2020년 인구 조사,[4] 및 2023년 중반 공식 추정치는 아래 표와 같다.[10]

페마탕시안타르의 행정 구역
구 이름
(kecamatan)
면적
(km²)
인구
(2010년)
인구
(2020년)
인구
(2023년 추정)
시안타르 마리핫7.825km217,87220,93321,484
시안타르 마림분18.006km214,64220,67521,684
시안타르 셀라탄
(남시안타르)
2.02km217,10117,44717,588
시안타르 바랏
(서시안타르)
3.205km234,98437,89638,249
시안타르 우타라
(북시안타르)
3.65km246,42349,88650,300
시안타르 티무르
(동시안타르)
4.52km238,45436,74437,041
시안타르 마르토바18.022km238,36850,35052,705
시안타르 시탈라사리22.723km226,85434,32335,787
합계79.971km2234,698268,254274,838


5. 인구 통계

2022년 중반 페마탕시안타르 시의 인구는 274,838명이었으며, 인구 밀도는 km²당 3,437명이었다. 2023년 중반 기준 남성 인구는 135,918명, 여성 인구는 138,920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에 따른 성비는 97.84이다.[11]

번호구역남성여성2023년 중반 총계밀도 (km²당)
1시안타르 마리핫10,55910,92521,4842,746
2시안타르 마림분10,73010,95421,6841,204
3남시안타르8,2999,28917,5888,707
4서시안타르18,75019,49938,24911,934
5북시안타르25,01825,28250,30013,781
6동시안타르18,18218,85937,0418,195
7시안타르 마르토바26,37726,32852,7052,924
8시안타르 시탈라사리18,00317,78435,7871,575
합계135,918138,920274,8383,437


5. 1. 민족 구성

페마탕시안타르의 원주민은 시말룽군 바탁족이다. 현재 페마탕시안타르의 주요 민족은 바탁족이며, 이는 토바와 시말룽군 그룹을 포함한다. 상당수의 자바인과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도 거주하고 있다. 그 외 다른 민족으로는 미낭카바우족, 인도계 인도네시아인, 아체족 등이 있다. 특히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이나 말레이인(자바인 포함)은 시내 중심부에 주로 거주한다.

2010년 인도네시아 인구 조사에 따른 민족 구성 비율은 다음과 같다.

페마탕시안타르의 민족 구성 (2010년 인구 조사)[12]
민족비율 (%)
바탁족61.53
자바인22.07
중국인6.78
미낭카바우족2.41
기타7.21


5. 2. 언어 및 종교

페마탕시안타르의 주요 언어는 인도네시아어와 바탁어이며, 이 두 언어는 도시 내 다양한 민족이 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공용어이다. 주요 민족인 바탁족 외에도 자바인 커뮤니티는 가정 내에서 자바어를 사용하고,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은 호키엔어와 하이난어를 사용한다. 상당수의 인도계 인도네시아인은 타밀어를 사용하며, 미낭카바우족, 아체족 등 다른 소수 민족들도 각자의 고유 언어를 사용한다.

2010년 인도네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페마탕시안타르 주민의 종교 분포는 기독교 신자가 51.25%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이슬람교 신자가 43.9%를 차지한다. 약 4.36%는 불교 신자이며, 소수의 힌두교 신자와 유교 신자도 존재한다. 도시 곳곳에는 다양한 종교 시설이 있으며, 특히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로 운영되는 불교 사찰 중 하나가 이곳에 위치해 있다.

6. 경제

2020년 페마탕시안타르의 경제는 전년 대비 1.89% 감소했다. 생산 측면에서 보면,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분야는 전력 및 가스 조달 사업(2.24%)이었으며, 정보통신 사업(2.00%), 농림어업 사업(1.05%)이 뒤를 이었다. 지출 측면에서는 가계를 지원하는 비영리 기관(LNPRT)의 소비 지출이 0.36%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2020년 생산 기준 GRDP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은 도매 및 소매 무역,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25.28%)였고, 제조업(21.51%), 건설업(10.15%) 순이었다. 지출 기준으로는 가계 소비 지출(PKRT)이 58.5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총고정자본형성(PMTB)이 24.81%로 그 다음이었다.

2020년 페마탕시안타르의 명목 GRDP는 현재 가격 기준으로 13.92조인도네시아 루피아였으며, 2010년 불변 가격 기준으로는 9.43조인도네시아 루피아였다.

7. 문화

페마탕시안타르는 바탁 문화의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특히 전통 직물인 '바틱'과 '울로스'가 잘 알려져 있다.

7. 1. 관광 명소

페마탕시안타르 동물원


관세음보살상.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높은 의 관세음보살상이 있는 바 볼론(Bah Bolon)의 비하라 아발로키테스와라 불교 사원


페마탕시안타르는 바탁 문화, '바틱'과 '울로스' 직물, 바탁 음식 등으로 유명하며, 특히 잘 관리된 동물원인 Taman Hewan Pematangsiantar|타만 헤완 페마탕시안타르ind(페마탕시안타르 동물원)가 주요 명소 중 하나이다. 이 동물원은 인도네시아 고유의 다양한 동물들, 특히 조류, 호랑이, 유인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오래된 나무를 포함한 풍부한 열대 식물도 자랑한다. 동물원은 도시 중심부에서 가까워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있다.

도시의 또 다른 주요 명소는 Vihara Avalokitesvara|비하라 아발로키테스와라ind 불교 사원으로, 이곳에는 높이 22.8m에 달하는 관세음보살상이 있다. 이 불상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높은 관세음보살상으로 알려져 있다. 사원 단지는 Jl. Pane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새로운 사원 단지의 일부이다. 바 볼론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연결된 옛 사원 건물은 2008년 5월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이후 재건되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랜드마크 및 관광 명소가 있다.

  • 시안타르 워터파크
  • 시안타르 베짝 조형물
  • 호라스 시장
  • 시말룽군 박물관
  • 동물학 박물관
  • 시안타르 식물원

7. 2. 음식

페마탕시안타르의 음식 문화는 주로 바탁족의 전통 음식과 중화 요리에 기반을 둔다. 바탁족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삭상''(돼지고기를 그 피로 조리한 요리)과 구운 돼지고기가 있으며, ''투악''(설탕 야자나 코코넛으로 만든 전통 술)과 같은 음료도 인기가 많다.

도시 곳곳에는 나시 파당, 사테, 박소 등을 파는 가게가 많아 할랄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서수마트라 지방의 요리도 찾아볼 수 있다.

페마탕시안타르의 유명한 음식 및 기념품은 다음과 같다.

  • ''로티 간다'': 가장 유명한 기념품으로, 카야(''세리카야'')를 바른 베개 모양의 빵이다. 판단 잎 잼, 초콜릿, 치즈 맛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바크미 시안타르: 중국계 커뮤니티에서 유래한 유명한 국수 요리이다.
  • ''콕 통 코피티암'' 커피: 역시 중국계 커뮤니티에서 유래한 유명한 커피이다.
  • ''텅텅'' 사탕: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제과점 중 하나인 Toko A1 Asli에서 만드는 전통 사탕으로, 설탕, 땅콩, 참깨로 만들어 바삭하며 인기 있는 기념품이다.

8. 교통

메단에서 시안타르역까지 매일 운행하는 ''시안타르 익스프레스'' 열차를 이용하여 페마탕시안타르로 갈 수 있다. 또한, 시안타르와 메단을 연결하는 대형 버스도 운행하며, 거리는 130km이고 소요 시간은 약 2시간이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시에서 약 70km 떨어진 쿠알라나무 국제공항이다. 페마탕시안타르와 터빙팅기, 쿠알라나무 공항, 그리고 주도인 메단을 연결하는 유료 도로가 2024년에 완공되어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페마탕시안타르는 수마트라 횡단 고속도로를 통해 토바 호수에서 약 50km 떨어져 있어, 세계 최대 규모의 칼데라이자 인기 관광지인 토바 호수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참조

[1] 간행물 Kota Pematangsiantar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Jakarta 2024-02-28
[2]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Pematangsiantar City (In Indonesian) https://www.pematang[...]
[3] 간행물 Biro Pusat Statistik, Jakarta 2011
[4]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Jakarta 2021
[5] 간행물 Kota Pematangsiantar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Jakarta 2024-02-28
[6] 웹사이트 Pematangsiantar history (in Indonesian) http://www.pematangs[...]
[7] 웹사이트 Climate: Pematangsiantar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20-11-06
[8] 웹사이트 Susanti Dewayani Dilantik Sebagai Wakil Wali Kota Siantar https://portalsianta[...] 2022-02-22
[9] 웹사이트 Akhirnya Hefriansyah Dilantik Jadi Wali Kota Pematangsiantar https://buktipers.co[...]
[10] 간행물 Kota Pematangsiantar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Jakarta 2024-02-28
[11] 간행물 Kota Pematangsiantar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Jakarta 2024-02-28
[12] 문서 Sensus Penduduk Tahun 2010
[13] 웹사이트 PERTUMBUHAN EKONOMI PEMATANGSIANTAR TAHUN 2020 https://siantarkota.[...] 2021-05-25
[14]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Pematangsiantar City (In Indonesian) http://www.pematangs[...]
[15] 웹사이트 Citypopulation.de:Indonesia Municipalities http://www.citypopul[...]
[16] 웹사이트 http://www.bps.go.id
[17] 간행물 Biro Pusat Statistik, Jakarta 2011
[18] 웹사이트 Pematangsiantar history (in Indonesian) http://www.pematangs[...]
[19] 웹인용 Climate: Pematangsiantar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20-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