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펠레샤츠반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펠레샤츠 반도는 크로아티아 남부에 위치한 반도로, 말리스톤 만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클레크 반도와 분리하며, 펠레샤츠 해협은 코르출라 섬과 구분한다. 즈미이노 브르도와 스베티 일리야 봉우리가 있으며 카르스트 지형이 특징이다. 행정적으로는 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주에 속하며, 오레비치, 트르파니, 얀지나, 스톤의 4개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된다.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해 왔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역사 기록이 존재한다. 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자후믈레 공국을 거쳐 라구사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고, 19세기 초 프랑스 제1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을 거쳐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거쳐 크로아티아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펠레샤츠 반도는 D414 도로를 비롯한 도로망과 페리 노선으로 연결되며, 펠레샤츠 대교가 건설되어 육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펠레샤츠"라는 이름은 오레비치 마을 위의 언덕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적으로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반도 - 이스트라반도
    이스트라반도는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이탈리아에 걸쳐 있는 반도로, 고대 로마, 동로마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등을 거쳐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현재는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분할하여 관할하며, 이탈리아 요리의 영향을 받은 요리와 다양한 민족, 크로아티아어, 이탈리아어, 슬로베니아어를 사용한다.
  • 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주의 지형 - 라스토보섬
    라스토보섬은 달마티아 제도 중부 아드리아해에 위치하며 코르출라섬 남쪽 약 13km 지점에 있는 46개 섬으로 이루어진 라스토보 제도의 일부로,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고 로마 시대에는 '아우구스타 인술라'로 불렸으며, 지중해성 기후, 험준한 지형, 풍부한 수중 생물, 독특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주의 지형 - 코르출라섬
    코르출라섬은 크로아티아의 섬으로, 아드리아해에서 여섯 번째로 크며,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농업, 관광, 어업 등이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페리 등으로 본토와 연결된다.
  • 아드리아해 - 오트란토 해협
    오트란토 해협은 이탈리아와 알바니아 사이의 아드리아 해와 이오니아 해를 연결하는 좁은 해협으로, 고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와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
  • 아드리아해 - 살렌토반도
    살렌토반도는 이탈리아 남부에 위치하며, 고대에는 메사피족이 거주하고 헬레니즘 시대에 그리스 문화와 교류했으며, 로마 제국, 동고트족, 비잔틴 제국, 노르만족 등의 지배를 거쳐 1861년 이탈리아 왕국에 통합되었고, 지중해성 기후와 살렌토 방언을 사용하며, 음식 축제와 동성애자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펠레샤츠반도
지도
일반 정보
위치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 주
면적65km
지리
지리적 특징반도
명칭
크로아티아어Pelišac
이탈리아어Sabbioncello
IPA (크로아티아어)/pɛ̌ʎɛʃats/
로마자 표기Pelješac

2. 지리

펠레샤츠 반도의 전형적인 카르스트 지형


펠레샤츠 반도는 아드리아 해 해안을 따라 길게 뻗어 있는 카르스트 지형이다. 반도 남쪽에는 크로아티아 영토인 코르출라섬믈레트섬이 있다.[3]

2. 1. 위치 및 지형

말리스톤 만은 펠레샤츠 반도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클레크 반도와 크로아티아 본토에서 분리한다. 펠레샤츠 해협은 반도의 서쪽 끝에 위치하며, 코르출라 섬과 펠레샤츠 반도를 구분한다. 반도의 서쪽 부분에는 펠레샤츠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즈미이노 브르도(문자 그대로 뱀의 언덕)가 있으며, 그중 스베티 일리야 봉우리는 해발 961m이다.[3]

카르스트 지형이 펼쳐져 있으며, 반도의 남쪽에는 크로아티아 영토인 코르출라섬믈레트섬이 있다.

2. 2. 행정 구역

행정적으로 펠레샤츠반도는 다음과 같은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뉜다.

지방 자치 단체인구 (2021년)
오레비치3,705명
트르파니683명
얀지나522명
스톤2,491명[4]



지방 자치 단체 하위 구분

3. 역사

펠레샤츠 반도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나코바나 유적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기록에도 등장하며, 일리리아 전쟁 이후 로마 제국달마티아 속주에 편입되었다.[6]

로마 제국 지배 이후 6세기에는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7] 남슬라브족이 도래하면서 자후믈레 공국의 일부가 되었고, 이후 여러 왕조의 통치를 거쳤다. 14세기에는 라구사 공화국이 펠레샤츠 반도를 획득했다.[7]

1806년 프랑스 제1 제국이 이 지역을 점령하고 1808년 일리리아 지방으로 만들었다.[1] 빈 체제에서는 오스트리아 제국달마티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3] 1867년부터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치슬라이타니아에 속하게 되었다.[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성립되었고,[4] 펠레샤츠 반도는 1918년부터 1941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였다.[2]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였다가,[2]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후 크로아티아 영토가 되었다.[4]

3. 1. 선사 시대

나코바나는 펠레샤츠 반도에서 가장 잘 알려진 고고학 유적지로, 수 세기에 걸친 인류 정착의 흔적이 발견된 곳이다.[5]

펠레샤츠 반도에 대한 최초의 역사 기록은 고대 그리스 시대의 것이다.[6] 이 지역은 일리리아 전쟁 (기원전 220년 ~ 기원전 219년) 이후 로마 달마티아 속주에 편입되었다.[6]

3. 2. 고대와 중세

펠레샤츠 반도는 일리리아 전쟁 이후 로마 제국달마티아 속주에 편입되었으며, 로마인들의 이주가 뒤따랐다.[7] 6세기에는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7]

남슬라브족의 도래와 함께 펠레샤츠 반도는 자후믈레 공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후 여러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 미하일로 비셰비치가 불가리아 제1제국 황제 시메온 1세의 권위를 인정하자 자후믈레는 여러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 950년경에는 차슬라브 공작이 잠시 통치했고, 10세기 말에는 사무일이 자후믈레의 군주였으며, 공작령은 이반 블라디미르 왕에게 속했다. 1168년에는 라슈카 대공 스테판 네마냐가 공국과 자후믈레를 정복했다. 30년 후 자후믈레는 크로아티아와 달마티아의 공작 안드리아가 침략했다. 1254년에는 헝가리 벨라 4세가 중세 보스니아와 자후믈레를 침략했다. 1304년부터 자후믈레는 믈라덴 1세 슈비치 오브 브리비르가 통치했고, 잠시 동안 지역 주판이 통치했으며, 1325년부터 스테판 2세, 보스니아의 반 스테판 2세 코트로마니치가 통치했다.[7]

14세기, 라구사 공화국(두브로브니크)은 보스니아 통치자로부터 펠레샤츠 반도를 획득하여 지배 영역을 확장했다. 1333년 라구사 공화국에 편입된 이후, 가톨릭 교세가 강화되었고, 프란체스코회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7]

3. 3. 근대와 현대

프랑스 제1 제국은 1806년 이 지역을 점령하여 옛 공화국을 폐지했고, 1808년에는 일리리아 지방으로 만들었다.[1]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프랑스 제국은 1806년에 구 공화국을 폐지하고 이 지역을 점령하여 일리리아 주를 설치했다.[3] 나폴레옹의 패배 이후 빈 체제에서는 오스트리아 제국달마티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3] 1815년에는 오스트리아 제국에 할양되었으며, 1867년부터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군주국의 치슬라이타니아 (헝가리 왕관령 이외의 제국령)에 속하게 되었다.[2]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국이 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붕괴하고, 발칸반도 서부에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성립했다.[4] 1918년부터 1941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였고,[2]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추축국에 의한 유고슬라비아 침공·점령을 거쳐,[4] 1945년부터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였다.[2]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한 연방 해체 후에는 크로아티아 영토가 되었다.[4] 1991년부터는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일부이다.[2]

4. 교통

D414 도로는 반도에서 가장 긴 국도이며, 펠레샤츠 대교는 코마르나 근처의 반도와 본토를 연결한다. 트르파니와 본토의 플로체를 잇는 자동차 페리 노선, 오레비치와 코르출라섬의 코르출라를 잇는 노선, 프라프라트노와 믈레트섬의 소브라를 잇는 노선이 운행된다.[11]

교량(빨간색으로 표시)은 펠레샤츠 반도와 크로아티아 본토를 연결한다.

4. 1. 도로 교통

D414 도로는 펠레샤츠 반도에서 가장 긴 도로로, D415를 통해 트르파니로, D416를 통해 프라프라트노로 연결되어 모든 지방 자치 단체를 연결한다. 또한 군도는 로비슈테, 줄랴나, 호딜리에를 연결하며, 많은 지방 도로는 더 외딴 마을로 이어진다. 브리예스타 근처에 위치한 펠레샤츠 대교는 코마르나 근처의 반도와 본토를 연결하며, 이를 통해 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주 남부 반월경지구를 자국의 영해를 통해 나머지 국가와 연결한다.[11] 이 다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해상 접근을 허용하는 네움의 좁은 해안선을 우회한다. 트르파니와 본토의 플로체를 잇는 자동차 페리 노선, 오레비치와 동명의 섬인 코르출라를 잇는 노선, 프라프라트노와 믈레트섬의 소브라를 잇는 노선이 있다.

크로아티아 본토와 두브로브니크 등 월경지 영토를 육로로 연결하기 위해 펠레샤츠 반도와 본토 사이에 펠레샤츠 대교 건설 구상은 1990년대부터 있었다. 그러나 자금 문제 외에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네움에 화물 항구를 건설했을 때 화물선의 높이가 제한될 것을 우려하여 반대하며, 연기가 반복되었다. 2013년 크로아티아의 유럽 연합 (EU) 가입, 2017년 유럽 위원회의 자금 지원 승인을 거쳐 2018년에 착공, 2022년 6월에 개통이 예정되었으며[11], 같은 해 7월 26일에 개통식이 거행되었다.[9]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 도로교량 공정 등이 참여한 공동 사업체가 건설했으며, 총 길이 2400m, 총 공사비 5.26억유로 중 EU가 3.57억유로를 지원했다.[9]

4. 2. 해상 교통

트르파니와 본토의 플로체를 잇는 자동차 페리 노선, 오레비치와 코르출라 섬의 코르출라를 잇는 노선, 프라프라트노와 믈레트 섬의 소브라를 잇는 노선이 운행된다.[1]

5. 어원

"펠레샤츠(Pelješac)"라는 이름은 오레비치 마을 위에 있는 펠리사츠(Pelisac) 언덕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반도의 비교적 새로운 이름이다. 역사적으로는 남슬라브어의 ''Stonski Rat'', 라틴어의 ''Puncta Stagni'', 이탈리아어의 ''Ponta di Stagno''와 같은 다른 이름들이 사용되었다.[2]

참조

[1]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World Place-Na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 논문 Kada je i kako Stonski Rat došao pod vlast Dubrovnika https://books.google[...] 1976
[3] 웹사이트 Pelješac – Zmijino brdo – vrh Sv. Ilija https://www.hps.hr/i[...] Croatian Mountaineering Association 2021-01-31
[4]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2011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12-12
[5] 뉴스 Tajne života kroz tisuće godina Nakovane https://magazin.hrt.[...] Croatian Radiotelevision 2022-06-17
[6] 서적 The Illyrians 1992
[7] 서적 Raukarov zbornik : zbornik u čast Tomislava Raukara
[8] 논문 Vlasništvo nad nekretninama crkvenih i samostanskih ustanova na orebićkome području u 19. stoljeću https://hrcak.srce.h[...]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9] 뉴스 クロアチアで巨大橋が開通 中国企業が建設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8-11
[10] 웹사이트 12. STANOVNIŠTVO PREMA NARODNOSTI, PO GRADOVIMA/OPĆINAMA, POPIS 2001. https://www.dzs.hr/H[...] 2019-07-15
[11] 웹사이트 (中国特集)クロアチアから見た中国 – 一般社団法人 霞関会 https://www.kasumiga[...] 2022-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