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토스 그리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토스 그리스어는 흑해 남부 해안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그리스어의 방언으로, 4세기부터 11세기 비잔틴 제국 시대까지 사용된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 폰토스 그리스어는 튀르키예, 그리스, 우크라이나, 러시아, 조지아 등에 분포하며, 폰토스 그리스인들은 이 언어를 로메이카, 폰티아카, 폰티아콘 랄리안 등으로 부른다. 폰토스 그리스어는 고대 그리스어의 특징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어 언어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폰토스 그리스어는 구전 전통과 민담, 폰토스 노래 등을 통해 보존되고 있으며, 시, 소설, 만화 등 현대 문학 작품도 제한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압하지야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압하지야의 언어 - 조지아어
조지아어는 카르트벨리어족에 속하는 독립된 어족의 언어로, 5세기부터 문헌으로 기록되었고 므케드루리 문자를 사용하며, 복잡한 자음 체계와 다양한 방언을 가진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의 교착어이다. - 폰토스 - 주르나
주르나는 중앙아시아와 고대 소아시아에서 유래한 과일 나무 경목으로 만든 관악기로, 오보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크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 특징이 있고 서아시아 민속 음악과 오스만 제국 메흐테르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쑈옴, 수오나, 태평소 등 다양한 악기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 폰토스 - 케밥
케밥은 튀르키예어 "케바프"에서 유래되었으며, 꼬치에 꿰어 구운 고기, 스튜, 미트볼 등 다양한 형태의 구운 고기 요리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 그리스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그리스의 언어 - 알바니아어
알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고대 발칸 제어의 유일한 생존 언어로 추정되지만 기원은 불분명하고, 게그어와 토스크어 방언으로 나뉘며 토스크 방언 기반의 표준어가 알바니아와 코소보 등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음운 및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리리아어와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다.
폰토스 그리스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폰토스 그리스어 |
다른 이름 | 로마이카 |
고유어 | |
사용 국가 | 그리스 러시아 조지아 튀르키예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독일 네덜란드 |
사용 지역 | 원래 흑해 연안의 폰투스; 그리스, 러시아, 조지아, 튀르키예 |
사용자 수 | 778,000 명 (2009–2015) |
어족 | 인도유럽어족 헬라스어 아티케–이오니아 |
방언 | 마리우폴 그리스어 (?) 오피트 방언 |
문자 |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 |
ISO 639-3 | pnt |
링구아 | 56-AAA-aj |
글롯토로그 | pont1253 |
글롯토로그 참조 | 폰토스 |
참고 | IPA |
![]() | |
민족 | 폰토스 그리스인 |
로마자 표기 | Rhomaiika |
IPA 표기 | , |
폰토스 그리스 문화 | |
지역 | 폰토스 |
요리 | 요리 |
음악 | 음악 (리라) |
민속춤 | 민속춤 (세라) |
전통 의상 | 의상 |
미술 | 미술 |
건축 | 건축 |
언어와 방언 | |
언어 | 로마이카 (including 오플리카 방언) 우룸어 그리스어 튀르키예어 |
역사 | |
역사적 사건 | 흑해 식민지 폰토스 왕국 미트리다테스 전쟁 로마 아나톨리아 비잔티움 제국 트라페준타 제국 트라페준타 함락 오스만 제국 제1차 세계 대전 인구 교환 현대 튀르키예 |
종교 | |
종교 | 그리스 정교회 수니파 이슬람교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카프카스 그리스인 크림 그리스인 우룸인 |
박해 | |
박해 | 그리스인 대학살 (폰토스 그리스인 대학살) 아마시아 재판 '아멜레 타부르라르' |
2. 명칭
역사적으로 폰토스 그리스어 화자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Romeika|로메이카pnt(라틴어 표기: Romeyka|로메이카pnt, Ρωμαίικα|로메이카pnt)라고 불렀는데, 이는 현대 그리스어 전체를 가리키는 역사적이고 구어적인 용어이기도 하다.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 유래한 이 용어는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비잔티움의 백성을 ''Rhomaioi'' (Ῥωμαῖοι|로마이오이grc)라고 부르고 중세 그리스어를 ''Rhomaikḗ'' (Ῥωμαική|로마이키grc)라고 불렀던 것을 반영한다. "폰토스"라는 용어는 학술적인 용례에서 유래했지만, 그리스에 거주하는 폰토스 그리스인들이 정체성의 표식으로 채택했으며, 그곳에서는 이 언어를 일반적으로 (Ποντιακά|폰티아카el)라고 부른다.[11] 폰토스인들은 또한 자신들의 언어를 Ποντιακόν λαλίαν|폰티아콘 랄리안pnt (폰토스 방언)이라고 부르며, 때로는 Λαζικά|라지카pnt라고도 부른다. 표준 현대 그리스어로는 Ποντιακή διάλεκτος|폰티아키 디알렉토스el (폰토스 방언)라고도 한다.
폰토스 그리스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그리스어의 일종으로, 아티카-이오니아 계열에 속한다.[4] 현대 그리스어 방언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폰토스 그리스어는 기원전 4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헬레니즘 및 로마 시대에 사용된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기원했다. 11세기 셀주크 제국의 소아시아 침략 이후 폰토스는 비잔티움 제국의 다른 지역과 고립되었다.[14] 이로 인해 폰토스인들은 본토 그리스인들과 분리되었고, 폰토스 그리스어는 본토 그리스어의 다른 방언들과 다르게 독자적으로 발전했다.[15] 그러나 이 언어는 주변의 페르시아어, 코카서스 언어, 튀르크어의 영향도 받았다.
폰토스 그리스어는 지역 및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나뉜다.
튀르키예어에는 폰토스 그리스어를 위한 특별한 명칭이 없다. 비잔티움 그리스인을 가리키는 튀르키예어 단어 ''룸''에서 유래한 Rumca|룸자tr ()라고 부른다.[12][13][22] 오늘날 튀르키예에 거주하는 폰토스어 화자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Romeyka|로메이카pnt, Urumce|우룸제tr, Rumca|룸자tr 또는 Rumcika|룸지카pnt라고 부른다.[22]
3. 역사
4. 방언
구분 방언명 주요 사용 지역 및 특징 터키 내 서부 (Oinountiac 또는 Niotikapnt) 외누에(터키어 Ünye) 주변 동부 해안 (Trapezountiac) 트라브존(고대 그리스어 Trapezousgrc) 주변 내륙 (Chaldiot) 칼디아(아르규루폴리스(Argyroupolis)(Gümüşhane)와 폰토스의 카닌(Kanin) 주변), 그 주변 지역(켈키트, 바이부르트 등)과 코티오라(Ordu) 주변. 칼디오트 방언 사용자가 가장 많았으며, 일부 변종은 터키어의 모음조화를 보인다.[16] 터키 내
(오프 계곡)오피틱(Ophitic) 또는 로메이카(Romeika)pnt 오프 계곡 주민, 그리스계 무슬림이 사용. 트라페존티아(Trapezountiac) 아변종. 고대 그리스어의 원형 부정사를 유지하는 등 고풍스러운 특징을 지님.[20][21] 터키 외부 북부 (마리우폴 그리스어 또는 Rumeíkapnt) 원래 크리미아에서 사용, 현재는 주로 마리우폴에서 사용. 소비에트 루마이익 소비에트 연방의 폰토스 그리스인들이 사용.
17세기 이슬람으로 개종한 오프 계곡 주민들은 터키에 남았으며, 오늘날까지도 부분적으로 폰토스어를 유지하고 있다.[16][17][18][19] 이들이 사용하는 오피틱어는 고대 그리스어에는 존재하지만 다른 현대 그리스어 변종에서는 사라진 원형 부정사를 유지하고 있으며,[20][21] 따라서 "고풍스러운" 또는 보수적인 특징을 보인다.
매우 유사한 방언이 오프 계곡(특히 콘두(Kondu) 출신) 출신 기독교인들의 후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그리스 마케도니아 중부 네아 트라페존타(Nea Trapezounta, Pieria) 마을에 약 400명의 화자가 거주하고 있다.[23][24][25]
4. 1. 터키 내 방언
그리스어 학자 마놀리스 트리안타필리디스는 터키의 폰토스 방언을 서부와 동부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칼디오트 방언 사용자가 가장 많았다. 폰토스 방언의 일부 변종은 터키어의 모음조화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6]
17세기에 이슬람으로 개종한 오프 계곡 주민들은 터키에 남았으며, 오늘날까지도 부분적으로 폰토스어를 유지하고 있다.[16][17][18][19] 그들의 방언은 트라페존티아(Trapezountiac) 아변종에 속하며, 언어학자들은 이를 "오피틱(Ophitic)"이라고 부르지만 화자들은 일반적으로 로메이카(Romeika)pnt라고 부른다. 화자 수는 5,000명 정도로 보고되지만,[20][21] 실제 화자 수는 훨씬 많다는 추정도 있다.[22]
오피틱/로메이카어 화자들은 트라브존 주 동부 지역, 즉 차이카라(카토호르(Katohor)), 데르넥파자르(콘두(Kondu)), 쉬르메네(수르메나(Sourmena)) 및 쾨프뤼바쉬(괴네셰라(Göneşera))에 집중되어 있다. 덜 널리 퍼져 있지만 오프 지구 자체의 일부 외딴 마을에서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리제 주 서부 이키즈데레(디포타모스(Dipotamos)) 지구에서도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이 방언은 더 동쪽으로 파자르(아티나(Athina)) 항구 도시까지 뻗어 있는 더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오피틱어는 고대 그리스어에는 존재하지만 다른 현대 그리스어 변종에서는 사라진 원형 부정사를 유지하고 있다.[20][21] 따라서 "고풍스러운" 또는 보수적인(다른 폰토스 방언과 비교해도) 것으로, 고대 그리스어에 가장 가까운 살아있는 언어로 특징지어진다.
4. 2. 터키 외부 방언
터키 외부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5. 분포
폰토스 그리스어는 원래 흑해 남쪽 해안에서 사용되었지만, 18세기와 19세기부터 상당수의 화자가 러시아 제국의 북쪽과 동쪽 해안으로 이주했다. 폰토스 그리스어는 여전히 우크라이나(주로 마리우폴을 포함하여 오데사와 도네츠크 지역 등 우크라이나의 다른 지역), 러시아(스타브로폴 주변), 조지아에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러시아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잃었지만, 2024년 현재 마리우폴의 그리스인 대다수는 도시와 인근 마을에 남기로 선택했다.[26] [27]
1910년대 학살 이후 소아시아에 남은 대다수의 화자들은 로잔 조약 인구 교환의 대상이 되어 그리스(주로 그리스 북부)로 재정착되었다. 두 번째 이주는 1990년대 초 옛 소련 국가들에서 일어났다.[28]
그리스의 도시 지역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지만, 주로 그리스 북부에 위치한 폰토스 인구가 더 고르게 분포된 마을과 도시에서는 여전히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많은 라디오 방송국에서 폰토스어로 방송하고 있으며, 이 언어 보존을 위한 많은 단체가 존재한다.
- 그리스: 400,000명의 화자(대부분 마케도니아(동, 중앙, 서)와 아티카에 거주)[30]
- 터키: 불명(확실히 5,000명 이상), 대부분 동부 흑해 지역과 이스탄불에 거주[29] [30] [31]
- 오프 방언 지역:
그리스 문자 | 로마자 (터키식) | 키릴 문자 | IPA | 용례 |
---|---|---|---|---|
Α α | A a | А а | [a] | ρομεικα, romeyika, ромейика |
Β β | V v | В в | [v] | κατιβενο, kativeno, кативено |
Γ γ | Ğ ğ | Г г | [ɣ] [ʝ] | γανεβο, ğanevo, ганево |
Δ δ | DH dh | [ð] | δοντι, dhonti, донти | |
Ε ε | E e | Е е | [e] | εγαπεςα, eğapesa, егапеса |
Ζ ζ | Z z | З з | [z] | ζαντος, zantos, зантос |
ΖΖ ζζ | J j | Ж ж | [ʒ] | πυρζζυας, burjuvas, буржуас |
Θ θ | TH th | [θ] | θεκο, theko, теко | |
Ι ι | İ i | И и | [i] | τοςπιτοπον, tospitopon, тоспитопон |
Κ κ | K k | К к | [k] [c] | καλατζεμαν, kalaceman, калачеман |
Λ λ | L l | Л л | [l] | λαλια, lalia, лалиа |
Μ μ | M m | М м | [m] | μανα, mana, мана |
Ν ν | N n | Н н | [n] | ολιγον, oliğоn, олигон |
Ο ο | O o | О о | [o] | τεμετερον, temeteron, теметерон |
Π π | P p | П п | [p] | εγαπεςα, eğapesa, егапеса |
Ρ ρ | R r | Р р | [ɾ] | ρομεικα, romeyika, ромейка |
Σ ς | S s | С с | [s] | καλατζεπςον, kalacepson, калачепсон |
ΣΣ ςς | Ş ş | Ш ш | [ʃ] | ςςερι, şeri, шери |
Τ τ | T t | Т т | [t] | νοςτιμεςα, nostimesa, ностимеса |
ΤΖ τζ | C c | Ч ч | [ʤ] | καλατζεμαν, kalaceman, калачеман |
ΤΣ τς | Ç ç | Ц ц | [ʧ] | μανιτςα, maniça, маница |
Υ υ | U u | У у | [u] | νυς, nus, нус |
Φ φ | F f | Ф ф | [f] | εμορφα, emorfa, эморфа |
Χ χ | H, KH (sert H) | Х х | [x] [ç] | χαςον, hason, хасон |
그리스 폰토스어는 그리스 문자로 표기되며, 다음과 같이 구분 부호를 사용한다. σ̌ ζ̌ ξ̌ ψ̌grc는 [ʃ ʒ kʃ pʃ]를, α̈ ο̈grc는 [æ ø] (음운론적 [ia io])를 나타낸다. 터키의 폰토스어는 터키어 관례에 따라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러시아에서는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소비에트 초기에는 아래와 같이 구분 부호 대신 이중 자음을 사용하여 폰토스어를 음소적으로 그리스 문자로 표기하였다. [æ ø]는 ιαgrc, ιοgrc로 표기되었다. 폰토스어 위키백과는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며, 현대 그리스어의 ια, ιο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모음에 εα, εο를 채택하고, 구분 부호 대신 소비에트 시스템의 이중 자음을 사용하지만, 그 외에는 역사적 철자법을 따른다.
그리스 문자 | 터키 문자 | 라틴 문자 (영어) | 키릴 문자 | IPA | 예시 |
---|---|---|---|---|---|
Α α | A a | A a | А а | [ä] | ρωμαίικα, romeyika, romejika, ромейика |
Β β | V v | Bb/Vv/Ww | В в | [v] | κατηβαίνω, kativeno, katibënô, кативено |
Γ γ | Ğ ğ | G g | Г г | [ɣ] [ʝ] | γανεύω, ğanevo, ganeyô, ганево |
Δ δ | DH dh | D d | Д д | [ð] | δόντι, dhonti, dónti, донти |
Ε ε | E e | E e | Е е | [e̞] | εγάπεσα, eğapesa, egápesa, егапеса |
Ζ ζ | Z z | Z z | З з | [z] | ζαντός, zantos, zantóſ, зантос |
Θ θ | TH th | Þ þ | С с, Ф ф, Т т | [θ] | θέκω, theko, þékô, теко |
Ι ι | İ i | I i | И и | [i] | οσπιτόπον, ospitopon, ospitópon, оспитопон |
Κ κ | K k | K k | К к | [k] | καλάτσ̌εμαν, kalaçeman, kalácheman, калачеман |
Λ λ | L l | L l | Л л | [l] | λαλία, lalia, lalía, лалиа |
Μ μ | M m | M m | М м | [m] | μάνα, mana, mána, мана |
Ν ν | N n | N n | Н н | [n] | ολίγον, oliğоn, olígon, олигон |
Ο ο | O o | O o | О о | [o̞] | τέτερον, themeteron, þeméteron, ҭеметеро'''н |
Π π | P p | Pp | П п | [p] | εγάπεσα, eğapesa, egápesa, егапеса |
Ρ ρ | R r | R r | Р р | [ɾ] | ρωμαίικα, romeyika, romejika, ромейка |
Σ ς | S s | S s | С с | [s] | ασπαλώ, aspalo, aspalō, аспalо |
Χ̌ χ̌ | Ş ş | SH sh | Ш ш | [ʃ] | χ̌έριν, şerin, shérin, шерин |
Τ τ | T t | T t | Т т | [t] | νόστιμεσσα, nostimesa, nóstimesa, ностимеса |
ΤΖ̌ τζ̌ | C c | C c | Ц ц | [d͡ʒ] | κεμεντζ̌ έ, kemence, kemencé, кemenце |
ΤΣ τς | Ç ç | CH ch | Ч ч | [t͡ʃ] | μανίτσα, maniça, manícha, манича |
Υ υ | U u | Uu/Yy | У у | [u] | υίαν, uian, uían, уи́aн |
Φ φ | F f | F f | Ф ф | [f] | έμορφα, emorfa, émopfa,.эморфа |
Χ χ | Hh, KHkh | Hh/Xx | Х х | [x] | χάσον, hason, háson, хасон |
8. 특징
폰토스 그리스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그리스어의 일종으로, 아티카-이오니아 계열에 속한다.[4] 역사적으로 폰토스 그리스어 화자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Romeika|로메이카pnt (Romeyka|로메이카pnt, Ρωμαίικα|로메이카pnt)라고 불렀는데, 이는 현대 그리스어 전체를 가리키는 역사적이고 구어적인 용어이기도 하다. 폰토스인들은 또한 자신들의 언어를 Ποντιακόν λαλίαν|폰티아콘 랄리안pnt (폰토스 방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1]
대부분의 현대 그리스 방언과 마찬가지로 폰토스 그리스어는 기원전 4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 사용되었던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주로 유래되었다. 11세기 서기 동안 셀주크 제국의 소아시아 침략 이후 폰토스는 비잔티움 제국의 많은 지역들로부터 고립되었다.[14] 폰토스인들은 본토 그리스인들과 다소 고립되어, 폰토스 그리스어는 본토 그리스어의 다른 방언들과는 별개로 독자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15] 그러나 이 언어는 인근의 페르시아어, 코카서스 언어 및 튀르크어의 영향도 받았다.
오피틱어는 고대 그리스어에 존재하지만 다른 현대 그리스어 변종(이탈리아 그리스어 제외)에서는 사라진 원형 부정사를 유지하고 있으며,[20][21] 따라서 고대 그리스어에 가장 가까운 살아있는 언어로 특징지어진다.
다음은 현대 그리스어의 발전과는 대조적으로 초기 그리스어 형태에서 유지된 폰토스 그리스어의 특징이다.
- 모음 "η"는 때때로 "ι"가 아닌 "ε"과 합쳐졌다(κέπιν = κήπιον, κλέφτες = κλέπτης, συνέλικος = συνήλικος, νύφε = νύ(μ)φη, έγκα = ἤνεγκον, έτον = ἦτον, έκουσα = ἤκουσα 등).
- 모음 "ω"는 공통 그리스어에서 "ου"로 받아들인 경우에도 "o"와 합쳐졌다(ζωμίν = ζουμί, καρβώνι, ρωθώνι 등).
- 공통 그리스어의 "σφel" 대신 이오니아 그리스어의 이오니아 자음쌍 σπ|스프pnt가 보존되었다(σποντύλιν, σπίγγω, σπιντόνα|스폰틸린, 스핑고, 스핀도나pnt).
- 고대 그리스어 중성형 지소의 명사 접미사 "-ίονgrc" (παιδίον, χωρίονgrc; 폰토스어 παιδίν, χωρίν|파이딘, 호린pnt)에서 고대 명사형 접미사 "-νgrc"의 보존.
- 폰토스어에서 여성 복합 형용사 어미 -ος|-오스pnt (η άλαλος, η άνοστος, η έμορφος|이 알랄로스, 이 아노스토스, 이 에모르포스pnt)의 보존.
- 남성 명사의 굴절: 단수 주격 어미 -ον|온pnt에서 소유격 -ονος|오노스pnt (ο νέον → τη νέονος, ο πάππον → τη πάππονος, ο λύκον → τη λύκονος, ο Τούρκον → τη Τούρκονος|오 네온 → 티 네오노스, 오 파폰 → 티 파포노스, 오 리콘 → 티 리코노스, 오 투르콘 → 티 투르코노스pnt)로의 변화.
- 호격 형태의 명사의 고대 강세: άδελφε, Νίκολα, Μάρια|아델페, 니콜라, 마리아pnt.
- 아오리스트(aorist)의 두 번째 형태는 -ον|-온pnt (ανάμνον, μείνον, κόψον, πίσον, ράψον, σβήσον|아남논, 메이논, 콥손, 피손, 랍손, 스비손pnt)이다.
- 중간태(middle voice) 동사 어미는 -ούμαι|-우메pnt (ανακατούμαι, σκοτούμαι, στεφανούμαι|아나카투메, 스코투메, 스테파누메pnt)이다.
- 수동태(passive voice) 아오리스트 어미는 -θα|타pnt (고어 -θην|틴pnt)이다: εγαπέθα, εκοιμέθα, εστάθα|에가페타, 에키메타, 에스타타pnt 등.
- 수동태 아오리스트 명령법(Imperative mood) 형태는 -θετε|테테pnt (고어 -θητι|티티pnt)이다: εγαπέθετε, εκοιμέθετε, εστάθετε|에가페테테, 에키메테테, 에스타테테pnt.
- 부정사(infinitive)의 산발적인 사용: εποθανείναι, μαθείναι, κόψ'ναι, ράψ'ναι, χαρίσ'ναι, αγαπέθειν, κοιμεθείν|에포타니네, 마티네, 콥스네, 랍스네, 하리스네, 아가페틴, 키메틴pnt.
- 폰토스어 en|엔pnt ("이다")는 코이네(Koine) 관용 표현 ''enestigrc'' (표준 고대 그리스어 ''estigrc'')에서 유래하며, 성경 표현 enigrc ("있다"), 현대 그리스어 ''ine'' (είναιel)와 비교된다.
- ας|아스pnt가 ναel 대신 산발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δός με ας τρόω|도스 메 아스 트로오pnt.
- 폰토스어 τεμέτερον|테메테론pnt (temeteron|테메테론pnt; "우리의")은 고대 그리스어 τῶν ἡμετέρων (ton hemeteron)grc에서 유래한 반면, 현대 그리스어는 των […] μας (ton […] mas.)el를 사용한다.
; 1. 고대어 어미 –εῖν, -ειν|–에인, -에인grc (트라페존트 방언 폰토스어에서)에 /e/ 음이 첨가됨
폰토스어 | 고대 그리스어 |
---|---|
ειπείνε|이피네pnt | εἰπεῖνgrc |
παθείνε|파티네pnt | παθεῖνgrc |
αποθανείνε|아포타니네pnt | ἀποθανεῖνgrc |
πιείνε|피이네pnt | πιεῖνgrc |
ειδείνε|이디네pnt | εἰδεῖνgrc |
φυείνε|피이네pnt | φυγεῖνgrc |
ευρείνε|에브리네pnt | εὑρεῖνgrc |
καμείνε|카미네pnt | καμεῖνgrc |
φαείνε|파이네pnt | φαγεῖνgrc |
μαθείνε|마티네pnt | μαθεῖνgrc |
ερθέανε|에르테아네pnt | ἐλθεῖνgrc |
μενείνε|메니네pnt | μένεινgrc |
; 2. 고대어 어미 -ῆναι|-이나이grc 보존
폰토스어 | 고대 그리스어 |
---|---|
ανεβήναι|아네비네pnt | ἀναβῆναιgrc |
κατεβήναι|카테비네pnt | καταβῆναιgrc |
εμπήναι|엠비네pnt | ἐμβῆναιgrc |
εβγήναι|에브기네pnt | ἐκβῆναιgrc |
επιδεαβήναι|에피데아비네pnt | ἀποδιαβῆναιgrc |
κοιμεθήναι|키메티네pnt | κοιμηθῆναιgrc |
χτυπεθήναι|흐티페티네pnt | κτυπηθῆναιgrc |
ευρεθήναι|에브레티네pnt | εὑρεθῆναιgrc |
βρασήναι|브라시네pnt | βραχῆναιgrc |
ραήναι|라이네pnt | ῥαγῆναιgrc |
; 3. 고대 그리스어 제1 미완료 부정사 어미 -αι가 제2 미완료 어미 -ειν으로 대체됨
폰토스어 | 고대 그리스어 |
---|---|
κράξειν|크락신pnt | κράξαιgrc |
μεθύσειν|메티신pnt | μεθύσαιgrc |
; 4. 고대어 미완료 부정사 어미 –ειν|–에인grc에 /e/ 음이 첨가됨
: ράψεινε, κράξεινε, μεθύσεινε, καλέσεινε, λαλήσεινε, κτυπήσεινε, καθίσεινε|랍시네, 크락시네, 메티시네, 칼레시네, 랄리시네, 크티피시네, 카티시네pnt
; 5. 동일한 미완료 어미 –κα|–카pnt는 완료 어미이기도 함
폰토스어 | 고대 그리스어 |
---|---|
εδώκα|에도카pnt | ἔδωκαgrc |
εντώκα|엔도카pnt | ἐνέδωκαgrc |
εποίκα|에피카pnt | ἐποίηκαgrc |
εφήκα|에피카pnt | ἀφῆκαgrc |
εθήκα|에티카pnt | ἔθηκαgrc |
; 6. 고대 그리스어 –ein|–에인grc (-εῖν)|(-에인)grc 부정사 > 폰토스 그리스어 –eane|–에아네pnt (-έανε)|(-에아네)pnt 부정사
폰토스어 | 고대 그리스어 |
---|---|
ερθέανε|에르테아네pnt | ἐλθεῖν |
9. 보존 노력
폰토스 그리스어는 풍부한 구전 전통과 민담을 가지고 있으며, 폰토스 노래는 특히 그리스에서 인기가 많다. 또한 폰토스어로는 시집(가장 유명한 작가 중 한 명은 코스타스 디아만티디스이다), 소설, 그리고 번역된 아스테릭스 만화책을 포함한 현대 문학 작품이 제한적으로 생산되고 있다.[34] 젊은이들은 종종 표준 그리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폰토스어 사용은 그리스보다 북미의 화자들에 의해 더 많이 유지되어 왔다.[4]
참조
[1]
논문
Trapezountian Pontic Greek in Etoloakarnania
2020-00-00
[2]
서적
Romeika (Karadeniz Rumcası): edebiyat - gramer bilgileri ve ağızlar arasi karşılaştırma
Töz Yayınları
2023-00-00
[3]
웹사이트
Pontic
https://endangeredla[...]
[4]
웹사이트
Pontic
https://www.ethnolog[...]
2018-04-11
[5]
논문
The Pontic dialect: a corrupt version of ancient Greek?
https://www.academia[...]
1991-01-01
[6]
웹사이트
Nostalgia, Emotionality, and Ethno-Regionalism in Pontic Greek ''Parakathi'' Singing
https://www.ideals.i[...]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16-00-00
[7]
논문
Greek Folktales from Imera, Pontos
2003-09-00
[8]
논문
Becoming Pontic: "Post-Socialist" Identities, "Transnational" Geography, and the "Native" Land of the Caucasian Greeks
https://muse.jhu.edu[...]
2003-00-00
[9]
논문
Exiles and Pioneers: Oral Histories of Greeks Deported from the Caucasus to Kazakhstan in 1949
https://www.jstor.or[...]
Taylor & Francis
2010-11-00
[10]
논문
Topicalisation in Pontic Greek
https://pwpl.lis.upa[...]
2010-00-00
[11]
서적
Aspects pontiques
ARP
1997-00-00
[12]
웹사이트
Nişanyan Sözlük - Türkçe Etimolojik Sözlük
https://www.nisanyan[...]
[13]
웹사이트
Rum Kelime Kökeni, Kelimesinin Anlamı - Etimoloji
https://www.etimoloj[...]
[14]
웹사이트
Development of the Pontic Greek Dialect
http://pontosworld.c[...]
2017-02-17
[15]
논문
The Pontic dialect: a corrupt version of Ancient Greek?
https://www.academia[...]
1991-10-10
[16]
논문
Greek-Speaking Moslems of North-East Turkey: Prolegomena to a Study of the Ophitic Sub-Dialect of Pontic
[17]
서적
Pontos Kültürü
Belge Yayınları
[18]
서적
Muslimisch-Pontisch und die Sprachgemeinschaft des Pontisch-Griechischen im heutigen Trabzon
Lienau, C
[19]
웹사이트
The cost of language, Pontiaka trebizond Greek
http://www.karalahan[...]
2013-03-31
[20]
웹사이트
Against all odds: archaic Greek in a modern world | University of Cambridge
http://www.cam.ac.uk[...]
2010-07-00
[21]
웹사이트
Jason and the Argot: Land where Greece's Ancient Language Survives
https://www.independ[...]
2011-01-03
[22]
논문
The Pontic Greek spoken by Muslims in the villages of Beşköy in the province of present-day Trabzon
[23]
웹사이트
www.latsis-foundation.org
http://www.latsis-fo[...]
2009-00-00
[24]
서적
Ofítiki: Ptychés tis Grammatikís Domís mias Pontiakís Dialéktou
Εκδοτικός Οίκος Αδελφών Κυριακίδη
[25]
논문
I taftótita tis ofítikis pontiakís: Mia glossologikí meléti ton pigón kai ton omilitón tis
http://www.revithiad[...]
[26]
웹사이트
Δράμα χωρίς τέλος για τους Ελληνες της Μαριούπολης
https://www.tanea.gr[...]
2024-01-07
[27]
뉴스
Ukraine: (Greek) Mariupol is no more
https://www.balcanic[...]
Osservatorio Balcani e Caucaso Transeuropa
2022-05-06
[28]
서적
The Refugee Convention at fifty: a view from forced migration studies
https://archive.org/[...]
Lexington Books
[29]
웹사이트
News and Events: Endangered language opens window on to past
http://www.cam.ac.uk[...]
University of Cambridge
2011-01-04
[30]
웹사이트
Romeika - Pontic Greek (tr)
http://www.karalahan[...]
Karalahana.com
[31]
웹사이트
Pontic Greek (Trabzon Of dialect) - Turkish Dictionary (tr)
http://www.karalahan[...]
Karalahana.com
[32]
웹사이트
OPSEIS TIS EKPAIDEUSIS KAI TIS KOINONIAS TON ELLINON
http://www.elemedu.u[...]
[33]
문서
Survey carried out in 2001–2004, organized by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34]
웹사이트
Asterix in Pontic Greek
http://www.asterix.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