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유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유마어는 대만 원주민 언어 중 하나로, 푸유마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난왕 방언을 포함한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음운론적으로 18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문법적으로는 동사, 명사, 형용사(상태 동사)의 어휘적 범주를 가지며, 동사는 서법, 상, 태에 따라 굴절한다. 문장 구조는 술어가 먼저 오고 논항이 뒤따르는 VSO 어순을 기본으로 하며, 4가지 중심태를 통해 동사의 논항 관계를 나타낸다. 푸유마어의 명사구는 명사구 표지,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등을 사용하여 격과 한정성을 표시하며, 인칭대명사 체계는 주격, 속격, 사격의 세 가지 격을 구분한다. 또한, 연속동사구문, 보문절, 부정문, 명령문, 의문문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푸유마어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푸유마어 |
다른 이름 | 피누유마얀 |
지역 | 타이완 남동부 |
민족 | 푸유마족 |
사용 인구 | 8,500명 (2002년) |
언어 분류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타이완 제어 (지리적 분류) |
어군 | 파이완어군 |
문자 체계 | |
문자 | 라틴 문자 |
언어 지위 | |
국가 | (타이완 원주민 지역의 국가어) |
기관 | 원주민족위원회 |
활력도 | 취약 |
언어 코드 | |
ISO 639-3 | pyu |
글롯로그 | puyu1239 |
글롯로그 참조 이름 | 푸유마 |
링구아 | 30-JAA-a |
관련 언어 | |
중국어 표기 | 베이난위 난왕 |
2. 방언
팅(Ting, 1978)에 따르면 푸유마어 방언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난왕 방언은 푸유마조어의 유성 파열음을 보존하고 있어 음운 면에서는 보수적이지만, 사격과 속격의 기능이 합쳐져 문법 면에서는 혁신적이라고 여겨진다.[2]
- '''푸유마조어'''
- * 난왕 방언
- * (주 분기군)
- ** 피나스키·울리벌리버크
피나스키 방언
울리벌리버크 방언
- ** 리카붕 방언
- ** 카사바칸·카티풀
카사바칸 방언
카티풀 방언
푸유마어를 사용하는 마을은 다음과 같다.[3]
카티풀 군집 (‘돌에서 태어남’) |
---|
피나스키(下賓朗|샤빈랑중국어)는 푸유마(난왕) 마을의 2km 북쪽에 있으며,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 1. 난왕 방언
南王|난왕중국어 및 아파풀루(寶桑|바오상중국어) 마을에서 사용된다.[1] 푸유마조어의 유성 파열음을 보존하여 음운 면에서는 보수적이지만, 사격과 속격의 기능이 합쳐져 문법 면에서는 혁신적이다.[2]
2. 2. 기타 방언군
카사바칸(Kasavakan, 建和|젠허중국어) 방언[5]
카티풀(Katratripul, 知本|즈번중국어) 방언[5]
푸유마어를 사용하는 마을은 다음과 같다.[4]
; 카티풀 군집 (‘돌에서 태어남’)
3. 음운론
푸유마어는 18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Teng은 공식적인 표기법과 달리 ‹lr›을 /ɭ/로, ‹l›을 /l/로 사용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문서에서는 공식 표기법을 사용한다.
푸유마어의 음절 구조는 (C)V(C)이다. 단음절어는 대부분 기능어이며, 단음절 내용어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 CVC 구조이다. 어중에서는 자음 둘이 연달아 나올 수 있지만, 같은 자음이나 동일 조음 위치의 두 파열음은 연달아 나올 수 없다. 강세는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온다. 단, 접사는 단어의 일부로 취급하지만 접어는 단어의 일부로 취급하지 않는다.
푸유마어에는 모음 동화, 순음 동화, 순음 이화, 접근음 삽입, /ə/ 삽입, ⟨əm⟩의 이형태, ⟨in⟩의 이형태 등 여러 형태음운론적 과정이 있다.
3. 1. 자음
/ʈ/는 타이완 제어 중 푸유마어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음소이다.[1] 루카이어의 타난 방언에서 /ʈ/가 발견되지만, 이는 푸유마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ʔ/를 제외한 무성 파열음은 모음 앞에서는 무기음, 어말에서는 유기음으로 발음된다. /s/는 고모음 /i, u/ 앞에서는 [ʃ]로, 그 외에는 [s]로 발음된다. 일부 방언(특히 카사바칸, 카티풀 방언)에서 /l/은 설측 마찰음 [ɮ]로 발음된다. 난왕 방언에서는 마찰이 없거나 약하다. 성문 파열음 /ʔ/과 자음의 부재 간에는 최소대립쌍이 존재하지 않으며, 젊은 화자들은 /ʔ/를 발음하지 않기도 한다. 그러나 접사의 이형태 선택 규칙 등에서 /ʔ/는 자음처럼 행동한다. 난왕 방언의 /ʔ/는 다른 방언의 /h/ 또는 /ʁ/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인다.[1]
3. 2. 모음
어두의 /ə/ 앞이나 어말의 /ə/ 뒤에는 수의적으로 [ʔ]가 삽입된다.[1] /u/는 /ŋ/ 앞에서 [o]로 발음된다.[1]
3. 3. 철자법
2005년 중화민국 교육부는 푸유마어를 포함한 16개 원주민 언어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을 발표하였고, 2017년에 개정되었다.[1] 이 표기법은 난왕, 카티풀, 카사바칸, 울리벌리버크 방언의 음소 체계를 포괄한다.[1]- /ʔ~ɦ/는 2005년 표기법에서 ‹'›로 표기했지만, 이후 ‹q›로 바꾸었다.[3]
- ‹dr›와 ‹tr›는 권설음, ‹d›와 ‹t›는 치경음을 나타내지만, ‹lr›는 치경음 /ɮ/(난왕 방언에선 /l/), ‹l›은 권설음 /ɭ/을 나타낸다.[4][5]
- /t͡s/는 카사바칸 방언에서만 고유어에 나타나고, 나머지 세 방언에서는 외래어에만 나타난다.[1]
3. 4. 음소배열
푸유마어의 음절 구조는 (C)V(C)이다. 단음절어는 대부분 기능어이며, 단음절 내용어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 CVC 구조이다. 어중에서는 자음 둘이 연달아 나올 수 있지만, 같은 자음이나 동일 조음 위치의 두 파열음은 연달아 나올 수 없다. 강세는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온다. 단, 접사는 단어의 일부로 취급하지만 접어는 단어의 일부로 취급하지 않는다.3. 5. 형태음운론적 과정
푸유마어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형태음운론적 과정이 있다.- '''모음 동화''': 형태소 경계를 사이에 두고 /ə/가 이웃한 모음과 같아지는 현상이다. (수의적)
- '''순음 동화''': /ə/가 이웃 음절의 순음 자음(m, p, b)에 영향받아 /u/로 변하는 현상이다. (수의적)
- '''순음 이화''': 행위자중심 접요사 ⟨əm⟩의 /m/이 선행하는 양순 파열음(p, b)에 영향받아 /n/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필수적)
- '''접근음 삽입''': 고모음(/i/, /u/) 뒤에 그와 다른 모음이 오면 고모음에 대응하는 접근음(/j/, /w/)이 삽입되는 현상이다. (수의적)
- '''/ə/ 삽입''': 자음으로 끝나는 접두사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간에 붙으면 수의적으로 중간에 /ə/가 삽입되는 현상이다.
- '''⟨əm⟩의 이형태''': 행위자중심 표지 ⟨əm⟩은 ⟨əm⟩, mə-, m-의 3가지 이형태가 있으며, 어간의 첫 음소에 따라 선택된다.
- '''⟨in⟩의 이형태''': 완망상 표지 ⟨in⟩은 ⟨in⟩, in-, ni-의 3가지 이형태가 있으며, 어간의 첫 음소에 따라 선택된다.
4. 문법
아래의 문법 설명은 난왕 방언을 기준으로 한다. 푸유마어의 어휘적 범주로는 크게 동사와 명사가 있으며, 형용사는 별개의 품사로 존재하지 않고 상태동사에 포함된다. 동사는 서법, 상, 태에 따라 굴절한다. 명사구는 주격 또는 사격을 받을 수 있으며, 격은 명사구 표지를 통해 표시된다. 대명사는 주격 또는 속격을 받는다. (난왕 방언에서는 사격과 속격이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푸유마어에는 18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이 있다.
- 자음소 가운데 는 타이완 제어 중 푸유마어에서만 나타난다. 유일한 예외는 푸유마어에서 이 음소를 차용한 루카이어의 타난 방언이다.
- 를 제외한 무성 파열음 음소는 모음 앞에서는 무기음으로, 어말에서는 유기음으로 발음된다.
- 는 고모음 앞에서는 로, 그 이외에는 로 발음된다.
- 특히 카사바칸과 카티풀 방언 등 일부 방언에서 은 설측 마찰음 로 발음된다. 난왕 방언에서는 마찰이 없거나 약하다.
- 성문 파열음 과 자음의 부재 간에는 최소대립쌍이 존재하지 않고, 젊은 화자들의 경우 를 발음하지 않기도 한다. 그러나 접사의 이형태 선택 규칙 등에서 는 자음과 같이 행동한다. 또 난왕 방언의 는 다른 방언에서 또는 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4. 1. 문장 구조
푸유마어는 동사가 문장 맨 앞에 오는 어순을 가진다.[1]푸유마어의 관사는 다음과 같다.[2]
종류 | 형태 |
---|---|
단수 인칭 | i |
단수 비인칭 | a |
복수 (인칭 및 비인칭) | na |
4. 1. 1. 동사절
푸유마어의 동사는 취하는 논항의 수에 따라 0~3가 동사로 구분된다. 0가 동사는 논항을 취하지 않으며 주로 날씨를 나타낸다. 푸유마어는 오스트로네시아 정렬을 따르며 4개의 중심태가 있다. 중심태 선택은 동사의 의미와 논항의 한정성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4. 1. 2. 명사절
분류의 명사절은 비한정 명사구 술어와 명사구 주어로 구성되며, 계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부정문에서는 계사 aməli|아멀리ppu가 쓰인다.동치의 명사절은 한정 명사구 술어와 명사구 주어로 구성되며, 계사 amau|아마우ppu가 쓰인다.
4. 1. 3. 존재·소유·처소절
푸유마어의 존재·소유·처소절은 계사 'ulaja'/'ulija'를 사용하며, 부정문에서는 계사 'unian'을 사용한다.존재절계사, 비한정 주어, 수의적인 처소 명사구로 구성된다. 긍정 존재절의 주어는 비한정 주격이고, 부정 존재절의 주어는 비한정 사격이다.
처소절계사, 한정 주어, 처소 명사구로 구성되며, 주어는 주격이다.
소유절
4. 2. 동사 굴절
푸유마어는 네 가지 중심태를 가진다.[1]- 작용자 초점: Ø (표시 없음), -em-, -en- (순음 뒤), me-, meʔ-, ma-
- 목적어 초점: -aw
- 참조자 초점: -ay
- 도구 초점: -anay
동사상은 완료상, 미완료상, 미래상의 세 가지가 있다.[1]
동사법은 명령법, 권유 미래의 두 가지가 있다.[1]
접사는 다음과 같다.[1]
- 완료상: Ø (표시 없음)
- 미완료상: 중복; -a-
- 미래상: 중복, 때로는 -a-만
- 권유 미래: -a-
- 명령법: Ø (표시 없음)
4. 3. 명사류
푸유마어에는 주격, 속격, 사격의 세 가지 격이 있다. 속격은 대명사에만, 사격은 일반명사구에만 나타나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주어는 주격을 받고, 나머지 모든 논항은 사격을 받는다. 또한 타동사태에서는 행위자가 속격 대명사 접어로 동사에 표시된다.열린 부류 명사구 앞에는 반드시 명사구 표지, 인칭대명사, 또는 지시대명사가 와서 격과 한정성 또는 수를 표시한다. 푸유마어에서 ‘인간명사’에는 사람의 이름 및 손위 친척을 가리키는 몇몇 친족어휘가 속한다.
인간명사만이 문법적으로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고, 보통명사는 수를 구별하지 않는다. 그러나 보통명사도 복수의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중첩되거나, 접미사 이 붙거나, 혹은 둘 다를 겪을 수 있다.
4. 3. 1. 인칭대명사
푸유마어의 인칭대명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1]의존형 대명사는 접어이다. ‘주어’ 접어는 동사 뒤에 붙어 주어를 표시한다. (주어가 3인칭이 아닌 경우 반드시 주어 접어가 붙어야 한다.[1]) ‘주어의 소유자’ 접어는 주어 앞에 붙어 소유자를 표시한다. 행위자중심(자동사태)이 아닐 경우, ‘속격’ 접어가 동사 앞에 붙어 행위자를 표시한다.
colspan="2" rowspan="2" | | 단수 | 복수 | ||||||
---|---|---|---|---|---|---|---|---|
1인칭 | 2인칭 | 3인칭 | 포함 1인칭 | 배제 1인칭 | 2인칭 | 3인칭 | ||
주격 | 주어 | =ku | =ju | ― | =ta | =mi | =mu | ― |
주어의 소유자 | ku= | nu= | tu= | ta= | niam= | mu= | tu= | |
속격 | ku= | nu= | tu= | ta= | mi= | mu= | tu= |
독립형 대명사는 음운론적으로 독립된 단어이다. 주격 및 사격 독립형 대명사는 명사구 표지와 대명사가 합쳐진 형태이다. 주격 대명사는 주어의 소유자를 표시한다. (주격 접어와 기능이 같다.) 사격 대명사는 비주어의 소유자를 표시하는 것이 있고, 비주어 논항을 표시하는 것이 있다. 중립 대명사는 주제어, 계사 구문, 또는 질문에 대한 대답 등으로 쓰인다.
colspan="3" rowspan="2" | | 단수 | 복수 | |||||||
---|---|---|---|---|---|---|---|---|---|
1인칭 | 2인칭 | 3인칭 | 포함 1인칭 | 배제 1인칭 | 2인칭 | 3인칭 | |||
주격 (주어의 소유자) | nanku | nanu | nantu | nanta | naniam | nanəmu | nantu | ||
사격 | 비주어의 소유자 | 한정 | kanku kananku | kanu kananu | kantu kanantu | kanta kananta | kaniam kananiam | kanəmu kananəmu | kantu kanantu |
비한정 | ɖaku ɖananku | ɖanu ɖananu | ɖatu ɖanantu | ɖata ɖananta | ɖaniam ɖananiam | ɖanəmu ɖananəmu | ɖatu ɖanantu | ||
비주어 | kanku | kanu | kantaw | kanta | kaniam | kanəmu | kantaw | ||
중립 | kuiku | juju | tajtaw | tajta | mimi | mujmu | ― |
4. 3. 2. 지시대명사
colspan="2" | | 근칭 | 중칭 | 원칭 | |
---|---|---|---|---|
주격 | 단수 | iɖi, iɖini | iɖu, iɖunu | iɖiju |
복수 | naɖi, naɖini | naɖu, naɖunu | naɖiju | |
사격 | 단수 | kanɖi, kanɖini | kanɖu, kanɖunu | kanɖiju |
복수 | kanaɖi, kanaɖini | kanaɖu, kanaɖunu | kanaɖiju |
지시대명사는 단독으로도 쓰일 수 있고 명사구의 일부로도 쓰일 수 있다. 지시대명사가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사람이 아닌 것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구분 없이 단수 지시대명사가 쓰인다. (가끔 여기에서 벗어나는 예외도 있다.) 근칭, 중칭, 원칭 순으로 화자로부터의 먼 거리를 나타낸다. 지시대명사는 짧은 형태와 긴 형태가 있는데,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긴 형태가, 그렇지 않을 때에는 짧은 형태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1]
4. 3. 3. 명사구의 구조
명사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지닌다. 이때 ‘명사표지’란 위에서 말한 명사구 표지 또는 소유자 인칭대명사를 가리킨다.- 지시대명사
- 명사표지 + 명사 (+ 사격명사구/장소명사구)
- 명사표지 + 수사 (+ 사격명사구/장소명사구)
- 명사표지 + 자동사구
명사 뒤에는 사격 명사구가 와서 소유자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사격 명사구란 사격 표지로 시작하는 명사구, 또는 사격 지시대명사이다. 또한, 동사 파생 명사 뒤에는 사격 명사구가 와서 행위자 또는 피행위자를 나타낼 수 있다.[1]
ɖa | saʔaɖ | ɖa | kawi |
branch | tree | ||
나무의 가지들 |
또는 명사 뒤에 장소 명사구가 와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장소 명사구란 장소명사 표지로 시작하는 명사구, 또는 공간직시어이다.
kaniam | ʈau | i | rumaʔ |
person | house | ||
우리 가족 (직역하면, ‘집에 있는 우리 사람들’) |
자동사구는 자동사 또는 자동사태(행위자중심태) 동사가 이루는 동사구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전체 명사구 안의 수식어, 즉 관계절의 기능을 한다. 이때 자동사구는 앞에는 부정어가 올 수 있고, 여러 자동사가 이어진 연속동사구문이 될 수도 있다. 또 동사의 사격 논항을 포함할 수도 있다.
na | ʈau | na | ma-ra-rəŋaj |
person | say | ||
말하고 있는 사람 |
iɖi | {na | aɖi | kibəraj | ɖa | bini} |
this. | get | seed | |||
씨앗을 얻지 못한 이 [사람] |
이런 명사구 여럿이 동격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큰 명사구를 이룰 수 있다. 이때 큰 명사구 안의 작은 명사구들은 격이 일치해야 한다. 작은 명사구 사이의 어순은 자유롭지만, 다만 그 중 지시대명사가 있다면 맨 앞에 와야 한다. 원칙적으로 큰 명사구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작은 명사구의 수에는 제한이 없지만, 실제 발화에서는 최대 3개까지만 관찰된다.
ɖa | ɖuma | ɖa | suan | ɖa | sajgu | mə-ɭiluʔ |
other | dog | can | hunt | |||
사냥할 수 있는 다른 개들 |
일반적으로는 위의 예문과 같이 작은 명사구들의 격이 일치해야 하지만, 두 번째 명사구부터는 사격의 가 와야 할 자리에 주격의 가 오기도 한다. (이는 역시 사격으로 표시되는 소유자와 혼동되는 일을 피하기 위해서일 수도 있다.)[1] 이러한 현상은 일반명사구 앞에 지시대명사와 수사가 올 때 특히 잘 나타난다.[1]
kanɖu | na | mia-ɖua | na | maɭu-wadi |
those. | -two | -sibling | ||
저 두 형제들 |
지금까지의 예문에서 보듯, 푸유마어 관계절은 피수식 명사의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 또한 관계화된 성분이 관계절 내부에 등장하지 않는 공백 전략(gap strategy)이 쓰인다. 관계화된 성분이 관계절의 행위자이면, 관계절의 동사는 정형(finite)이 되고, 그렇지 않다면 관계절의 동사는 접미사이 붙어 명사화된다. 관계화된 성분을 제외한, 명사화된 동사의 나머지 논항은 소유자 대명사로 표시되며(이것이 ‘명사표지’의 역할을 한다) 가끔은 사격 명사구로도 함께 나타난다.
saɖu | {tu=ʈ⟨in⟩əkəɭ-an} | na | asi |
many | drink- | milk | |
그가 마신 우유는 많다. |
위 예문에서 관계화된 성분은 ‘우유’이다. 이 성분은 관계절의 행위자가 아니므로 관계절의 동사는 명사화되었다. 관계절의 동사 ‘마시다’의 또다른 논항인 ‘그’는 명사화된 동사 앞에 붙은 3인칭 주격 소유대명사 접어 =로 표시되었다.
지금까지 관계절에 대한 설명은 제한적(restrictive) 관계절에 대한 것이었다. 푸유마어에는 계속적(non-restrictive) 관계절도 존재하는데, 제한적 관계절과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반드시 피수식어 뒤에 와야 하며, 피수식어와 계속적 관계절 사이에는 휴지가 온다.
- 사격이라고 해도 반드시 가 아닌 로 시작해야 한다.
- 피수식어는 거의 반드시 독립형 인칭대명사이거나, 사람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이다.
4. 3. 4. 소유 표현
소유자는 소유자 대명사, 사격 명사구, 또는 둘 모두로 표현된다.tu=tijal | kana | unan |
=belly | snake | |
뱀의 배 |
Tsuchida(1995)에 따르면 푸유마어의 타말라카우 방언에는 일부 친족어휘와 신체부위 명사 뒤에 붙는 양도불능 소유 접미사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푸유마어는 타이완 제어 중 유일하게 양도가능 소유와 양도불능 소유를 구분하는 언어가 된다. 그러나 난왕 방언에는 이에 대응하는 계열이 불완전하게만 존재한다.
4. 4. 기타 품사
시간명사는 명사 표지와 함께 쓰이지 않지만, 명사절의 주어와 동사 palu의 논항이 될 수 있다. 다른 명사들과 달리, 시간명사는 전치사의 도움 없이 부가어로 쓰일 수 있다. 시간명사는 다음 5개가 전부다.[1]- aɖu/aɖunu|아두/아두누puy ‘그때’
- andaman|안다만puy ‘내일; 며칠 뒤’
- adaman|아다만puy ‘어제; 며칠 전’
- garəm|가럼puy ‘지금; 오늘’
- garəmaj|가러마이puy ‘나중’
공간직시어(spatial deictic)는 근칭 kaɖi/kaɖini|카디/카디니puy ‘여기’, 중칭 kaɖu/kaɖunu|카두/카두누puy ‘저기’, 원칭 kaɖiju|카디유puy ‘저기 멀리’가 있다. 단독으로 또는 후행 장소명사구와 함께 쓰인다.
시간직시어(temporal deictic)는 aɖu/aɖunu|아두/아두누puy와 kaɖu/kaɖunu|카두/카두누puy가 있으며 과거의 어느 시점을 가리킨다.
직시동사(verbal deictic)는 공간직시어로부터 파생된 형태이다. kaɖu|카두puy는 ‘거기 있다’를 뜻한다. k⟨əm⟩aɖi/k⟨əm⟩aɖini|커마디/커마디니puy, k⟨əm⟩aɖu/k⟨əm⟩aɖunu|커마두/커마두누puy는 서술어로는 잘 쓰이지 않고 주로 ‘…의 일종인’이라는 뜻의 수식어로 쓰인다. 또한 속성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여 ‘이만큼/저만큼’과 같이 정도를 나타내거나, ‘이렇다/저렇다’, ‘이렇게/저렇게’와 같이 두 사건을 연결하기도 한다.[2]
부사는 daw|다우puy ‘왜’, ala|알라puy ‘어쩌면’, əla|얼라puy ‘성급하게’의 3가지가 있다. 동사와 달리 부사는 굴절하지 않는다. 푸유마어는 부사적 의미를 대부분 동사로 나타내기 때문에 많은 수의 부사가 필요하지 않다.[3]
주제표지 i, mu|이, 무puy는 주제화된 성분 뒤에 와서 주제임을 표시한다. 주제표지 다음에는 반드시 휴지가 온다.[4]
접속사는 서로 같은 종류의 성분을 묶는 역할을 한다. 접속사는 다음 5가지가 있다.[5]
- aw|아우puy ‘그리고, 그 다음에’
- kan/an/anə|칸/안/아너puy ‘…하다면’
- amuna|아무나puy ‘그러나’
- ɖijama|디야마puy ‘그래서’
- laba|라바puy ‘…하도록’
감탄사는 다음이 있으며 항상 상승조로 발음된다.[6]
- ta|타puy! (화자가 이전 문장이 나타내는 사실을 알지 못했음을 나타냄)
- iwua|이우아puy! (화자의 놀람을 나타냄)
- i|이puy! (화자의 의심을 나타냄)
- ah|아puy! (화자의 갑작스러운 깨달음을 나타냄)
4. 5. 다른 품사로의 파생
ni-əkan(-an) “먹은 음식”a-akan-an “먹을 음식”
완망상 ni-
비현실법 Ca-
sa-sənaj-an “불릴 노래”
s⟨in⟩a-sa-sənaj “종종 불리는 노래”
비현실법 Ca-
빈번상 Ca- + ⟨in⟩ + Ca-
diru-dirus-an “수영장”
CVCV- + -an
b⟨in⟩ərək-an “떠난 때”
완망상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