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1567년 사보이아 공국의 귀족 집안에서 태어난 가톨릭 사제이자, 제네바의 주교였다. 법학을 공부했으나 사제의 길을 선택하여 종교 개혁기에 칼뱅파의 근거지였던 제네바에서 활약하며 정신적 지도자로 명성을 얻었다. 1610년에는 방문자 수녀회를 설립했으며, 1622년 사망 후 시복, 시성되었고, 1877년에는 교회 박사로 선포되었다. 그는 '경건한 삶에 대한 소개'와 같은 저술을 통해 영적 삶을 강조했으며, 그의 영성은 빈센트 드 폴, 요한 보스코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의 이름을 딴 학교, 성당 등 다양한 시설들이 세계 각지에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알렉산데르 7세가 시복한 복자 - 페르난도 3세
    페르난도 3세는 카스티야와 레온을 통합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을 몰아내는 데 기여했으며, 레콩키스타를 추진하여 코르도바와 세비야를 함락하고 1671년 시성되었다.
  • 교황 알렉산데르 7세가 시성한 성인 - 마타의 성 요한
    마타의 성 요한은 12세기 프랑스 사제로, 발루아의 펠릭스와 함께 삼위일체 수도회를 설립하여 기독교인 포로 구출에 헌신했으며, 그의 축일은 12월 17일이다.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출생일1567년 8월 21일
출생지샤토 드 살, 사보이아 공국, 신성 로마 제국
사망일1622년 12월 28일
사망지리옹, 리오네, 프랑스 왕국
주요 기념일
축일1월 24일 (1969년 일반 로마력)
시복일1661년 1월 8일
시복 장소로마, 교황령
시복자교황 알렉산데르 7세
시성일1665년 4월 8일
시성 장소로마, 교황령
시성자교황 알렉산데르 7세
상징물예수 성심, 가시관
수호 성인베이커 (오리건주), 신시내티 (오하이오주), 루이지애나 주 휴마-티보도 교구, 가톨릭 언론, 콜럼버스 (오하이오주), 고해성사, 청각 장애인, 교육자, 남아프리카 공화국 업핑턴, 윌밍턴 (델라웨어주), 작가, 언론인, 그리스도 왕 사제회,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선교회, 성 프란치스코 드 살의 오블라테, 돈 보스코의 살레시오회
직책
칭호주교 및 교회 박사
소속 수도회오라토리오 (성 필립보 네리)
교회 지도자 정보
존경 접두사
직함제네바 주교
관구비엔 대교구
교구제네바
임명일 (보좌 주교)1602년 7월 15일
임기 시작일1602년 12월 8일
임기 종료일1622년 12월 28일
이전 주교클로드 드 그라니에
후임 주교장-프랑수아 드 살
서품일1593년 12월 18일
주교 서임일1602년 12월 8일
출생 이름프랑수아 드 살
모국어 이름 (프랑스어)François de Sales
이전 직책니코폴리스 아드 이아테룸 명의 주교 (1602년)
좌우명Non-excidet (결코 떨어지지 않다)

2. 생애

살레시오는 '살레스(Sales)'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이탈리아어 이름이다. 현대 이탈리아어로는 '프란체스코 디 살레스(Francesco di Sales)', 프랑스어로는 '프랑수아 드 살(François de Sales)'이라고 한다. 당시 남프랑스, 스위스, 북이탈리아는 사보이아 가문의 영토였다. 그는 사보이아 지방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자유학예를 공부하고, 아네시와 파리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으나, 주변의 기대와 달리 세속적인 성공을 포기하고 가톨릭 사제의 길을 선택했다.

종교 개혁 시기에 제네바는 칼뱅파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가톨릭 제네바 주교는 아네시[24]에 머물러야 했다. 프란치스코는 제네바 주교로서 열정적인 설교와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1610년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과 함께 방문자 수녀회를 설립했다.

1622년 12월 28일 리옹에서 선종했으며, 유해는 아네시에 안장되었다.[20] 1661년 시복되었고, 1665년 시성되었다. 1877년 비오 9세에 의해 교회 박사로 선포되었다.

2. 1. 아동기와 청소년기

사보이아 공국의 귀족 가문 출신인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1567년 8월 21일 오늘날 프랑스 오뜨-사부아의 토랑-글리에르에 있는 살르 성(Château de Sales)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프랑수아 드 보이시이고, 어머니는 프랑수아즈 드 시오느즈이다.[1] 그는 프랑수아 드 라 플레셰르와 보나벤투르 드 셰브롱빌레트를 따라 '프랑수아 보나벤투르'로 세례를 받았다.[2]

6남매 가운데 장남이었던 프란치스코는 최고의 학교에서 교육받기를 원했던 아버지의 열망 덕분에 라로슈쉬르포롱과 아네시 인근에서 특별 수업을 받았다.[3] 그의 영성과 지식은 예수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1583년, 그는 파리의 클레르몽 대학교에 들어갔다. 1년 후, 프란치스코는 운명에 대한 신학 토론에 참석한 후 자신이 죽으면 지옥에 떨어질 것이라는 생각에 공포심을 느꼈다. 1586년 12월, 그의 절망과 공포심은 극에 달해 몸살이 나서 몸져눕게 되었다. 1587년 1월, 프란치스코는 두려움을 안고 프랑스 남부에 있는 생테티엔드그레 성당을 방문하여 마음의 평온을 되찾고 자신의 일생을 하느님에게 바치기로 결심하였다.

2. 2. 학업

1578년, 드 살은 당시 예수회 기관이었던 클레르몽 대학(Collège de Clermont)에 입학하여 수사학인문학을 공부했다.[4] 귀족이었던 그는 자신의 하인과 데아주(Déage) 신부라는 사제 가정교사를 동반했다. 아버지를 기쁘게 하기 위해 그는 승마, 춤, 펜싱과 같은 귀족적인 취미 활동을 배웠다. 드 살은 지능적이고 잘생겼으며, 키가 크고 체격이 좋고, 푸른빛이 도는 회색 눈을 가졌으며, 다소 내성적이고 조용한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아버지와 관계를 맺고 있던 귀족들의 집에서 환영받는 손님이었다.

1586년, 프랑수아 드 살은 예정설에 관한 신학 토론에 참석했는데, 그 토론에서 그는 지옥으로의 파멸을 확신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절망적인 개인적 위기를 겪었으며, 이러한 확신은 1586년 12월까지 지속되었다. 극심한 절망으로 그는 육체적으로 병들어 한때는 누워 지내기도 했다. 1587년 12월 말이나 1월 초, 그는 파리의 오래된 본당인 생테티엔데그르(Saint-Étienne-des-Grès, Paris)를 방문하여 유명한 구세주 성모상(성모 마리아상, 검은 마리아(Black Madonna)) 앞에서 "추억하소서(Memorare)"를 기도했다. 그는 성모 마리아에게 자신을 봉헌하고 순결 서약과 함께 그의 삶을 하느님께 헌신하기로 결심했다.[3] 그 후 그는 미니무회(Minim (religious order))의 제3회 회원이 되었다.

드 살은 궁극적으로 요한 1서가 증명하는 것처럼 "하느님은 사랑"이기 때문에 하느님이 그를 위해 좋은 것을 준비해두셨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느님에 대한 이러한 충실한 헌신은 그의 의심을 없애줄 뿐만 아니라 그의 남은 삶과 가르침에도 영향을 미쳤다.

클레르몽 대학(Collège de Clermont)에서 학업을 마친 드 살은 이탈리아의 파도바 대학교(University of Padua)에 입학하여 법학과 신학을 공부했다.[5] 그는 12세 된 그의 동생 갈로아(Gallois)와 함께 파도바에 갔다. 드 살은 예수회 사제인 안토니오 포세비노(Antonio Possevino)를 그의 영적 지도자로 삼았다.

1592년, 드 살레스는 법학과 신학 박사 학위를 받고 사제가 되기로 결심했다. 그는 로레토(이탈리아)에 있는 성가정 성당(성가정 성소)으로 순례를 떠났다가 사보이로 돌아왔다.

2. 3. 졸업 및 사제 서품

Franciscus Salesiusla는 1592년에 법학과 신학 분야에서 모두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성모 마리아 순례지로 유명한 이탈리아의 로레토를 순례하고 사보이로 돌아왔다. 그의 부친은 아들을 위해 샹베리 시의회 의원직을 비롯하여 여러 중요한 요직을 미리 마련해 두었다. 하지만 프란치스코는 부친이 정해준 부유한 상속녀와 결혼을 거부하고 성직자의 길을 선택하였다. [5]

결국 프란치스코는 1593년에 사제로 서품되었고, 동시에 제네바 주교좌 성당 참사회장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제네바는 칼뱅주의자들의 영향 아래 있었기 때문에, 주교는 남쪽으로 약 32km 떨어진 아네시(Annecy)에 거주했다. 프란치스코는 아네시 대성당과 여러 본당 교회에서 설교했는데, 그의 설교는 간결하고 학식 과시가 없었으며, 특정 의무나 미덕에 초점을 맞추어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

2. 4. 사제와 주교

프란치스코는 사보이아 공국의 개신교 신자들을 다시 가톨릭으로 돌아오게 하는 선교 활동에 힘썼으며, 많은 사람들이 가톨릭 신앙을 되찾았다. 또한 교황 클레멘스 8세와 프랑스 국왕 앙리 4세 사이의 동맹을 맺도록 주선했다.[1]

1602년 제네바 교구장 주교가 사망하자 프란치스코가 제네바 대교구의 교구장에 착좌하였다. 그러나 칼뱅주의자들이 제네바를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24] 주교좌는 제네바에 둘 수 없었고, 안시에 머물러야 했다. 프란치스코는 주교로 재직하면서 뛰어난 강론 능력과 청중을 사로잡는 능력, 엄격한 생활을 하는 성직자로 명성을 얻었다. 특히 가난한 사람들을 돕고 놀라울 정도로 온화하고 이해심이 깊은 사람으로 알려졌다.[20]

1594년, 사보이 공작은 제네바 주교에게 샹블레 지역에 선교사를 파견해 줄 것을 요청했고, 프랑수아 드 살레는 가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이 임무를 수락했다. 그는 톤-레-뱅에 집중하며 활동했고, 제네바 목사들의 큰 반대에 직면했지만 점차 선교는 성공을 거두었다.[1]

1599년 제네바 보좌주교로 임명되었고, 1602년에는 프랑스의 앙리 4세에게 외교 사절로 파견되어 가톨릭 예배의 회복을 협상했다. 파리에서 그는 피에르 드 베뤼유 추기경과 마리 드 린카르나시옹을 만나 수도원 개혁 계획 등에 대해 논의했다.[6]

1602년 그라니에 주교가 사망하자 프란치스코는 제네바 주교로 서임되었다.[7] 그는 교구에서 가톨릭 신앙을 전파하는 데 적극적이었던 프란체스코회와 긴밀히 협력했다. 제네바 호수 남쪽 기슭의 에비앙레뱅에서 아시시의 프란체스코가 그에게 나타나 순교에 대한 예언을 했다고 전해진다.[8]

1610년에는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과 함께 여성 봉쇄 수도회인 성모 마리아 방문 수녀회를 안시에 설립하였다.

1622년 12월 28일 프랑스 리옹에서 선종하였다.

2. 5. 사망

1622년 12월 28일, 살레시오사보이아 공의 수행원으로 방문한 리옹에서 사망했다.[20] 그는 오랫동안 활동했던 아네시에 묻혔으며, 현재도 그 무덤이 아네시에 있다.[20]

3. 사후 공경

교황 알렉산데르 7세는 1661년에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를 시복하였고, 3년 뒤인 1665년에 시성하였다.[26] 1877년에는 교황 복자 비오 9세가 교회학자로 선언하였다.[26]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유해는 프랑스 안시에 있는 성모 마리아 방문 대성당에 안장되어 있다.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유물을 보관하고 있는 순례지에서는 여러 기적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그의 성유물 가운데 하나인 심장은 원래 리용에 보관하고 있었으나, 프랑스 혁명을 피해 베네치아로 옮겨져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27]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시신이 안시에 안장된 1월 24일을 그의 축일로 정해 기념하고 있다.

4. 저술 활동

드 살은 당시에 평신도, 특히 여성을 위해 쓰인 《경건한 삶에 대한 소개》(Introduction to the Devout Life)로 유명하다. 이 책에서 그는 영적 삶의 발전 수단으로써 속죄보다 자선을 권했다. 드 살은 또한 신비주의 작품인 《하느님 사랑에 대한 논고》(Treatise on the Love of God)와, 《영적 지도 편지》(Letters of Spiritual Direction)에 편찬된 잔 프랑수아즈 드 샹탈(Jane Frances de Chantal)과의 편지들을 포함한 많은 귀중한 영적 지도 편지들을 남겼다.[9]

5. 영성

살레시오는 1610년 6월 6일 샹탈과 함께 아네시에 여성 수도회인 방문수녀회를 설립했다. 그러나 데니-시몽 드 마르크몽 대주교는 수녀들이 폐쇄 수도 생활을 유지할 것을 요구했다.[10]

살레시오는 또한 토농레뱅(Thonon-les-Bains)에 자신을 수장 혹은 수도원장으로 하는 남성 공동체인 성 필립 네리 오라토리오(Oratory of St. Philip Neri)를 설립했다. 그러나 이 사업은 그의 죽음으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고, 그 수도회는 곧 사라졌다.[11]

6. 영향

살레시오 성 프란치스코는 인내와 온화함으로 인해 "신사 성인"이라고 불린다.[8] 그의 사후 부검에서 많은 담석이 발견되었다.

1623년 1월 24일, 샹탈과 함께 설립한 앙시의 방문 수녀회 교회에 매장되었으며, 샹탈 또한 그곳에 매장되었다. 그들의 유해는 프랑스 혁명 때까지 공경을 받았다.[13] 그의 성지에서는 많은 기적이 보고되었다고 한다.

그의 심장은 리옹 시민들의 요청으로 리옹에 남았으나, 프랑스 혁명 동안 리옹의 방문 수녀들이 베네치아로 옮겨 보존했다.[3]

1661년 알렉산데르 7세에 의해 시복되었고, 4년 후 시성되었다. 1877년 비오 9세에 의해 교회 박사로 선포되었다.[14]

로마 가톨릭 교회는 1624년 앙시에 매장된 날인 1월 24일을 그의 축일로 기념한다.[15] 1969년 개정 이전까지는 1월 29일에 기념되었다.

잉글랜드 교회에서는 1월 24일에 소축일로 기념된다.[16] 2022년에는 감리교회 전례력에 공식적으로 추가되어, 잔 프랑수아즈 드 샹탈과 함께 12월 12일에 축일을 공유한다.[17]

1923년 비오 11세는 프란치스코 살레시오가 영적 지도와 지역 칼뱅주의자 개종 노력에 벽보와 책을 광범위하게 사용했기에 그를 작가와 언론인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했다.[5] 살레시오는 청각 장애인에게 하나님에 대해 가르치기 위해 수화를 개발하여 청각 장애인의 수호성인이 되었다.[18]

성 요셉 수녀회(1650년 프랑스 르 퓌 설립)는 살레시오를 그들의 수호성인 중 한 명으로 삼는다.

1618년 또는 1619년 파리에서 빈센트 드 폴은 프란치스코 드 살레스를 만났는데, 그의 영성과 저술, 특히 『경건한 삶의 입문』과 『하느님 사랑 논고』는 빈센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20]

그의 저서 『하느님 사랑 논고』는 십자가의 바오로, 성passionist회 창설자의 저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마리아의 마음의 완덕에 관한 그의 저술은 장 외드에게 영향을 주어 예수와 마리아의 성심 신심을 발전시키도록 하였다.[21]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성 프란시스코 드 살레즈 예배당 외관의 프랑수아 드 살레즈 모자이크


20세기에 설립된 사제회인 그리스도 왕 주교회는 프랑수아 드 살레즈를 세 명의 주요 수호 성인 중 한 명으로 삼고 있다. 미국에 있는 이 수도회의 주요 사도직 중 하나는 성 프란시스코 드 살레즈 예배당이다.(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19]

6. 1. 살레시오회

19세기, 북이탈리아 토리노에서 활동한 사제 요한 보스코는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온화한 성품, 저술을 통한 선교 활동,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공감 등에 큰 영향을 받아 자신의 수도회 이름을 그의 이름을 따서 살레시오회라고 지었다.[5]

  • 돈 보스코 살레시오회(1859년 돈 보스코 설립, 1874년 교황청 승인)는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회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의 수호 아래 있다.
  •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회의 봉헌 수녀회는 레오니 아비아와 루이 브리송이 마리 드 살레 샤퓌의 영적 지도 아래 1866년에 설립했다.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회 남성 수도회는 나중에 브리송이 마리 드 살레의 지도 아래 1875년에 설립했다.[7]

6. 2. 기타

1923년, 비오 11세는 프란치스코 살레시오가 영적 지도와 지역 칼뱅주의자 개종 노력에 벽보와 책을 광범위하게 사용했기에 그를 작가와 언론인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했다.[5] 살레시오는 청각 장애인에게 하나님에 대해 가르치기 위해 수화를 개발했다. 이로 인해 그는 청각 장애인의 수호성인이 되었다.[18]

살레시오와 드 샹탈이 설립한 방문 수녀회와의 시도 이후 최초의 수도원 밖 수녀회 중 하나로 설립된 성 요셉 수녀회(1650년 프랑스 르 퓌 설립)는 살레시오를 그들의 수호성인 중 한 명으로 삼는다.

19세기에 그의 수도 공동체에 대한 비전이 부활되었다. 당시 프랑수아 드 살레즈가 발전시킨 영적 길을 따라 살고자 하는 남성과 여성을 위한 여러 수도회가 설립되었다.

  • 성 프란시스코 드 살레즈 선교회(MSFS)는 1838년 피에르 메르미에르 신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세기에 그의 영성을 받아들인 최초의 수도회이다.
  • 돈 보스코 살레시오회(SDB)는 1859년 돈 보스코에 의해 설립되었고(1874년 교황청 승인), 성 프란시스코 드 살레즈 수도회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의 수호 아래 있다.
  • 성 프란시스코 드 살레즈 수녀회(OSFS)는 1866년 레오니 아비아와 루이 브리송에 의해, 마리 드 살레 샤퓌의 영적 지도 아래 설립되었다.
  • 남성을 위한 성 프란시스코 드 살레즈 관구회(OSFS)는 나중에 마리 드 살레의 지도 아래 브리송에 의해 1875년에 설립되었다.[7]
  • 미국의 폴리스트회는 그를 그들의 수호 성인 중 한 명으로 여긴다.


20세기에 설립된 사제회인 그리스도 왕 주교회는 프랑수아 드 살레즈를 세 명의 주요 수호 성인 중 한 명으로 삼고 있다. 미국에 있는 이 수도회의 주요 사도직 중 하나는 성 프란시스코 드 살레즈 예배당이다.(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19]

7. 평가

빈센트 드 폴은 1618년 또는 1619년 파리에서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를 만났는데, 그의 영성과 저술, 특히 『경건한 삶의 입문』과 『하느님 사랑 논고』는 빈센트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20]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저서 『하느님 사랑 논고』는 십자가의 바오로의 저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20]

마리아의 마음의 완덕에 관한 그의 저술은 장 외드에게 영향을 주어 예수와 마리아의 성심 신심을 발전시키도록 하였다.[21]

참조

[1] 서적 S. Francis de Sales: Bishop and Prince of Geneva https://books.google[...] Rivingtons
[2] 서적 Francis de Sales Sage & Saint https://books.google[...] DeSales Resource Center
[3] 웹사이트 St. Francis de Sales http://www.newadvent[...] 2020-03-11
[4] 서적 The Dublin Review https://books.google[...] Tablet Publishing Company
[5] 웹사이트 Saint Francis de Sales https://web.archive.[...] 2020-03-11
[6] 서적 The Land and Works of St. Francis de Sales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Oblate History http://www.oblates.o[...]
[8] 서적 The Franciscan Book Of Saints http://www.paxetbonu[...] Franciscan Herald Press
[9] 서적 Francis de Sales, Jane de Chantal: Letters of Spiritual Direction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10] 서적 Boundaries of Faith: Catholics and Protestants in the Diocese of Geneva https://books.google[...] Truman State University Press
[11] 서적 Philip Neri:The Fire of Joy https://books.google[...] T&T Clark
[12] 웹사이트 The Life Story of St. Francis de Sales http://www.donboscow[...]
[13] 웹사이트 Salesian Sites http://www.diocese-a[...]
[14] 웹사이트 St. Francis de Sales, Bishop, Doctor of the Church https://web.archive.[...] EWTN 2008-01-14
[15]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6]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7] 웹사이트 General Convention Virtual Binder https://web.archive.[...] 2022-07-22
[18] 웹사이트 Error https://www.desales.[...] 2018-12-18
[19]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web.archive.[...] 2014-08-12
[20] 웹사이트 Francis de Sales – Vincentian Encyclopedia https://famvin.org/w[...] 2018-12-18
[21] 서적 Mary's Immaculate Heart
[22] 웹사이트 St Francis De Sales School in Nizamabad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St. Francis de Sales School for the Deaf https://sfdesales.or[...]
[24] 문서 아누시는 주네브에서 직선거리로 30km 정도 떨어져 있다. 당시에는 사보이 공의 영토였으며, 현재는 프랑스 오트-사보아현이다.
[25] 서적 Mary's Immaculate Heart
[26] 웹사이트 St. Francis de Sales, Bishop, Doctor of the Church https://web.archive.[...] EWTN 2008-01-14
[27]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